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령기 외동아이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원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18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학령기 외동아이의 이해 8 1) 외동아이의 특징 8 2) 학령기 아동의 특징 13 2. 학령기 외동아이 부모의 이해 16 1) 외동아이 부모의 특징 16 2) 학령기 아동의 부모 역할 18 3. 부모의 양육경험 이해 21 4. 선행연구 25 Ⅲ. 연구방법 29 1. Giorgi 현상학적 연구 29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배경 33 3. 자료수집 34 4. 자료분석 36 Ⅳ. 연구결과 40 1. 학령기 외동아이 양육경험의 상황적 구조 40 2. 학령기 외동아이 양육경험의 일반적 구조 52 3. 학령기 외동아이 양육경험의 구성 요소들 61 1) 원가족 경험과 원가족의 영향 64 (1) 원가족의 경험 65 (2) 원가족의 영향 70 2) 양육행동경험 82 (1) 양육방법 82 (2) 부모역할 104 (3) 자녀의 존재 120 3) 양육자로서의 불안과 양육스트레스 129 (1) 양육환경의 결여 129 (2) 양육불안과 스트레스 130 4) 부모역량에 대한 경험 140 (1) 자녀에 대한 기대 140 (2) 지지자의 역할 147 (3) 부모역할의 부족 153 4. 학령기 외동아이 양육경험의 본질적 주제 160 Ⅴ. 논의 및 결론 163 1. 논의 163 2. 결론 및 제언 171 참고문헌 177 영문초록 191 부록 19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of school-aged parents of only children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only children and parents' parenting. It is about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parents' parenting experience, such as conflicts and expectations about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on parenting experiences of parents with school-aged only children who are receiving services from the researcher's community investment service provider were analyzed. This study was selected according to nomadic sample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2 to 3 times for each research participant from February to August 2022, and data were supplemented by phone counseling later.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4 essential contents, 10 areas, 12 components, and 42 sub-components were finally derived. The four essential contents were divided into family of origin experience and influence, parenting behavior experience, anxiety and stress experience as a caregiver, and parental competency experience. In the first family of origin experience, loneliness with no place to rely on, parents' divorce or unsatisfactory marital relationship, discrimination and inferiority between siblings, and economic reasons for lack of support in childhood appeared. Second, in the experience of parenting behavior, there are different parenting views of the couple, lack of common sense of parenting, emotional parenting behavior, problems in parenting styl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discomfort from the view of being an only child, and at the same time, pride in being able to help the child as a child, satisfaction with values, a desire to do everything, and rewards from the child were derived. Third, in the experience of anxiety and stress as a caregiver, there is anxiety about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child, concern about the child, lack of care due to dual income, the desire to be an autonomous child, and the expectation to be a good parent to the child. It turns out that there is parenting stress about the need for time. Fourth, in the experience of parental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imes when parents wanted to consult about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the role as a supporter of expectations for school life adaptation and wanting to support their children,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o develop parental competency. As a result of integratively analyzing the meaning of parenting experiences of parents of school-age only children, 'parents who are clumsy but always together' appeared as a theme that integrates related meanings, and 'parents who strive for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Trying to do my best for the family, and becoming a healthy family appeared as my personal life goal and hope. This study is aimed at parents of school-aged only children, an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parent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aising school-age only children are comprehensively examined, as they are in the fiel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parenting experiences and to help parents become the right par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a data that contributes to 학령기 외동아이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외동아이 부모를 대상으로 외동아이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양육경험을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살펴 학령기 외동아이 자녀의 특성과 부모들의 양육에 대한 갈등과 기대 등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의 지역사회투자서비스 제공기관에 서비스를 받고 있는 학령기 외동아이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경험에 대해 심층면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목적 표본표집에 따라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은 2022년 2월부터 8월까지 연구 참여자 별로 2회에서 3회씩 실시하였으며, 추후 전화상담 등으로 자료를 보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4개의 본질적 내용과 10개의 영역, 12개의 구성요소, 42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4개의 본질적 내용은 원가족 경험과 영향, 양육행동경험, 양육자로서의 불안과 스트레스 경험, 부모역량에 대한 경험으로 나뉘어졌다. 첫 번째 원가족 경험에서는 의지할 곳 없었던 외로움, 부모의 이혼이나 부모의 부부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던 것, 형제간 차별과 열등감, 어릴 적 지원이 없었던 경제적인 이유 등이 나타났다. 둘째, 양육행동 경험에서는 부부의 다른 양육관, 부족한 양육 상식, 감정적인 양육행동, 양육방식의 문제, 아이의 문제행동, 외동아이라는 시선의 불편함이 있음과 동시에 자녀의 존재로서 아이를 도와줄 수 있다는 자부심과 가치관에 대한 만족감, 다 해 주고 싶은 마음, 아이로부터의 보람이 도출되었다. 셋째, 양육자로서 불안과 스트레스 경험에서는 아이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불안, 아이에 대한 염려, 맞벌이로 인한 돌봄의 부족, 자율적인 아이로의 바램,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고 싶다는 기대가 있는 한편 나만의 시간이 필요한데 대한 양육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역량에 대한 경험에서는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기대와 아이에게 버팀목이 되어 주고 싶다는 지지자로서의 역할과 부모역량을 키우기 위해 부모교육의 필요성, 가족의 소중함과 상담을 하고 싶을 때가 많음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학령기 외동아이 부모의 양육경험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관련된 의미들을 통합하는 주제로‘서투르지만 늘 함께 하는 부모’로 나타났고,‘아이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부모’로 늘 자녀를 위해 최선을 다하려고 하고, 건강한 가정이 되는 것이 개인적인 자신의 삶의 목표이자 희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기 외동아이 부모를 대상으로 학령기 외동아이의 양육과정에서 겪는 부모의 경험을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현장에서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통합적으로 살펴, 양육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올바른 부모가 되는데 기여하는 자료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형제 관계와 뇌 구조 및 연결성

        마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916

        서론: 다른 역할을 지닌 타인과의 상호작용은 특히 어린 시절에, 본인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역할을 배우고 이해하게 됨으로써 성격과 사회성의 발달과정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형제 관계는 나와 다른 역할을 지닌 타인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아주 어린 시절부터 경험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제공하므로, 형제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사회성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으며 뇌 발달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사회성 차이에 대한 특정한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며, 뇌영상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형제가 있는 사람과 형제가 없는 사람의 뇌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를 다중 뇌 자기공명영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러한 뇌의 차이가 사회성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다형성과 관련되어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이거나, 형제 수가 2명인 경우 외동과의 차이에 대한 효과크기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를 참고로 진행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형제 관계 유무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조금 더 객관적인 결과에 근거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방법: 20-30대의 건강한 젊은 성인 남녀 125명(형제 군 75명―첫째 및 본인을 포함한 형제 수가 2명인 사람 제외, 외동 군 50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휴지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였다. 나이, 성별, 교육연한을 포함한 인구학적 정보를 얻었고, 친사회적 경향척도(prosocial tendencies measure, PTM), 다차원 정서적 공감척도(multi-dimensional emotional empathy scale, MDEES), 사회공급척도(social provisions scale, SPS)를 사용하여 사회적 특성과 관련된 임상적 정보를 얻었다. 관심 뇌 영역(regions of interest, ROIs)은 사회적 인지와 관련된 것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된 정중전전두엽(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하두정엽(inferior parietal lobule, IPL), 후측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cortex), 편도체(amygdala)로 정하였다. 대뇌 피질의 두께 및 피질하구조물의 용적은 FreeSurfe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휴지기 기능적 연결성은 4개의 관심영역에 대하여, 관심 영역 간(ROI-to-ROI) 및 관심영역과 뇌 전체 voxel 간(seed-to-voxel)의 기능적 연결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 간 뇌 구조 및 기능적 연결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영역에 대하여 PTM, MDEES, SPS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옥시토신 수용체 유전자(OXTR)의 단일염기 유전자다형성(rs11131149)이 본 연구에서 관찰된 뇌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와 관련되어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예상한 바와 같이, 이타적 친사회적 경향이 형제 군에서 외동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β = 0.25, P = 0.005). (1) 구조적 뇌 영상 분석 결과, 좌측 IPL의 두께가 형제 군이 외동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운 것은 것으로 나타났다(Cohen's d = 0.43, P = 0.02). 외동 군에서 SPS 총점이 높을 수록 좌측 IPL의 두께가 유의하게 두꺼웠으며(β = 0.37, P = 0.04), 형제 군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SPS 총점과 그룹의 교호 효과는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 for interaction = 0.02). 또한 OXTR 유전자의 G 동형접합체(homozygotes)를 가지는 형제 군에서 좌측 IPL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다음으로 A 유전자형 보유자(carriers)인 형제 군, G 동형접합체를 가진 외동 군, 마지막으로 A 유전자형 보유자인 외동 군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선형적 양상이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 for linear trend = 0.03). (2) ROI-to-ROI 분석 결과 양측 IPL과 편도체의 연결성이 형제 군에서 외동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Fisher-transformed correlation coefficient = 0.07, P = 0.02). 양측 IPL과 편도체의 연결성은 전체 표본에서 이타적 친사회적 경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0.18, P = 0.048). (3) Seed-to-voxel 분석 결과 해마(hippocampus) 및 창백핵(pallidum)을 포함하는 군집과 mPFC의 연결성, 조가비핵(putamen)과 양측 IPL의 기능적 연결성이 형제 군에서 외동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mPFC―해마 및 창백핵, peak t = 4.66, Cluster size P = 0.01; IPL―조가비핵, peak t = 3.81, Cluster size P = 0.04). mPFC와 해마 및 창백핵 영역과의 기능적 연결성이 높을 수록 전체 표본과 형제 군에서 이타적 친사회적 경향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표본, β = 0.32, P < 0.001; 형제 군, β = 0.26, P = 0.03). 또한 양측 IPL과 좌측 central operculum을 포함하는 군집의 연결성도 형제 군에서 외동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났다(β = 0.42, Cluster size P = 0.03). 해당 기능적 연결성은 전체 표본에서 이타적 친사회적 경향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고(β = 0.19, P = 0.04), OXTR 유전자의 G 동형접합체를 가지는 형제 군의 기능적 연결성이 가장 강하고, A 유전자형 보유자(carriers)인 형제 군, G 동형접합체를 가진 외동 군, 마지막으로 A 유전자형 보유자인 외동 군으로 갈수록 연결성이 약해지는 선형적 양상 또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 for linear trend < 0.001). 한편, 형제 군에서 외동 군에 비하여 양측 IPL과 중간 전두엽(middle frontal gyrus)를 포함하는 군집의 기능적 연결성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β = -0.39, Cluster size P = 0.004), 해당 연결성은 MDEES의 하위 항목인 전반적 공감 능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β = -0.29, P = 0.02). 해당 연결성은 OXTR 유전자의 G 동형접합체를 가지는 형제 군에서 가장 낮고, A 유전자형 보유자(carriers)를 가진 형제 군, G 동형접합체를 가진 외동 군, 마지막으로 A 유전자형 보유자인 외동 군으로 갈수록 강해지는 선형적 양상 또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 for linear trend < 0.001). 결론: 본 연구는 형제가 있는 사람과 형제가 없는 사람의 사회적 특성의 차이와 뇌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의 연관성을 다중 뇌자기공명영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다. 사회적 인지와 관련된 것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된 IPL의 두께가 형제가 있는 사람에서 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고, 형제가 없더라도 사회적 네트워크의 질이 높은 경우 IPL의 피질 두께가 두껍게 관찰된 점은 IPL 영역이 사회적 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형제 관계가 양질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좌측 IPL의 두께와 친사회적 경향, 공감능력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점은, 사회성이 어느 한 뇌 영역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네트워크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기능적 뇌영상 분석에서는 형제가 있는 사람에서 인간의 사회적 행동, 공감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거울 신경 시스템의 기능적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고, 해당 연결성이 이타적 친사회적 경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형제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성의 차이가 뇌의 기능적 연결성 차이에 의해 수반되었을 잠재적 가능성을 시사한다. OXTR 유전자 다형성에 대하여는, rs11131149 SNP에 의하여 뇌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가 선행연구와 같은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형제 군 내에서 특별히 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아,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조절이 형제 간의 상호작용과 큰 관련이 있지는 않은 것으로 조심스럽게 유추할 수 있다.

      • 모-자 미술치료가 맞벌이가정 외동자녀의 모-자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남진숙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84

        본 연구에서는 모-자 미술치료가 맞벌이가정 외동자녀의 모-자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3학년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별검사로 모-자 의사소통 척도, 또래관계기술 척도를 실시하여 아동 5명을 선정하였다. 모-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모-자 각 5명씩 총 10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성하여 12주 동안 주 1회, 매 회기 각 9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총 12회기 진행하였다. 모-자 의사소통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모-자 의사소통 척도와 새둥지화(BND)의 사전․사후 측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래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사전․사후 측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 미술치료는 모-자 의사소통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새둥지화(BND)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자 긍정적 의사소통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둘째, 모-자 미술치료는 또래관계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모-자 미술치료가 모-자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향상에 효과를 주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모-자 미술치료를 모-자 의사소통관계 개선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모-자간 부적절한 의사소통으로 원만하지 못한 또래관계를 맺고 있는 맞벌이가정 외동자녀들의 관계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keeping an eye out that effects of art therapy of mother-child on communication and same age relationship of only child in dual-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s ten people who are composed of a third yea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Also the subjects was selected through screening inspection with measure of mother-child on communication and same age relationship skill. Experiment group organize each of five pairs on mother-child in a total of ten people from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twelve session was performed for twelve weeks, and each session was performed ninety minute-long group art therapy once a week excepting ex ante-ex post analysis. To look at change of experimental group, the analysis was used not only quantity analysis of result from ex ante-ex post analysis on mother-child on communication and same age relationship but also quality analysis of result from Bird Net Drawing test and interview contents of experimental group to make up for reliability restriction of quantity analysis. To sum up, at first, art therapy of mother-child seemed as statistically useful affect experiment group to promote score of mother-child on communication. Secondary, art therapy of mother-child seemed as statistically helpful effect on experiment group to promote score of same age relationship. So this article improved that the art therapy of mother-child affected promotion of mother-child on communication and same age relationship from this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er hopes art therapy of mother-child will be useful primary data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of only child in dual-income families suffering from unfriendly peer relationship and inadequate communication.

      •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력 차이

        정희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70

        최근 들어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가족구성에 있어서 외동아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외동아가 우리나라 사회구조의 중심축이 될 것이고 외동아의 올바른 학교적응 및 사회화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이 어떤 영향을 받고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여섯째, 외동아와 형제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광역시 소재의 6개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의 외동아 133명과 형제아 133명이다. 외동아와 비교할 형제아는 외동아의 질문지의 숫자와 맞추어 각 외동아가 소재한 학교에서 난수표방식으로 형제아 질문지를 임의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따른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의사소통, 폐쇄형 의사소통 모두에서 형제아가 더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비교에서는 외동아와 형제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교적응력에 있어서 형제아가 외동아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교우관계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력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더 많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하여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적응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외동아가 형제아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개인학습능력과 개인-조직 적합성, 이직의도,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인 관계 : 중국 외동·비외동 자녀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Moderating Effect of Only-child in China

        Yang, Feifeng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6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Per- formance based on the Individual Learning Ability of the Chinese employees and to examine if this has any moderating effect on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o see if any regulating effect exists when it comes to the only-child and non-only-chil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What kind of effect does the Individual Learning Ability of the Chinese employees has on Person-Organiz- ation Fit? 2. What kind of effect does the Person-Organization Fit of the Chinese employees has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3. What kind of effect does the Individual Learning Ability of the Chinese employees has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4. Does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Learning Ability, Turnover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has a regulating effect on only-child and non-only-child employees? Amos 18.0 and SPSS 20.0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model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Learning Ability of the Chinese employe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Job Performance, an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Person-Organization Fit has a moderating effect on Individual Learning Ability,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Even though a big difference was not visible in the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Ability on Job Performance among the only-child employees and non-only-child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only-child Chinese employe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ritical points a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외동아 어머니와 다자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애착에 관한 연구

        장준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Based on the discussio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with multiple children is more autonomous and receptively nurturing than the mother with an only child, while the mother with an only child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the child more. However, both only and multi-child families have a loving parenting system. This reflects the current society, which is because every single child, even in a multiple household, is valued in an era of low birth rates. Second, the mother of an only child is more in contact with her children, more compassionately sacrificing and protective than a mother of a multidisciplinary child. Mothers with multiple children are more cold-hearted in treating their children than mothers with only children. Because it has more than one child, attachment to a mother is less required than an only child because it i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Third, although mothers of only children are generally believed to be more protective, positive, and contactable than mothers of multiple children, the mother's upbringing is more relevant to the formation of attachments than the number of children. In other words, the mother's nurturing attitude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attachment. Finally, the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the limitations and follow-up of this study. First,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others living in D-c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t is necessary to target mothers from different walks of life. Second, although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s method that responded to the mother,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mother will need to be carried out in combination with the in-dept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method so that the relevant research continues. Third, in order to measure the mother's upbringing more accurately, data should be studied to take into account the mother's upbringing attitude that the child recognizes and the mother's own reactions.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다자녀 어머니가 외동아 어머니보다 자율적이며, 수용적으로 양육을 하고 있으며 외동아 어머니는 보다 자녀의 독립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외동아나 다자녀 모두 애정적 양육방식은 지니고 있다. 이는 현 사회를 반영한 것으로 저출산 시대에 다자녀라 할지라도 한 아이 한 아이가 모두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둘째, 외동아의 어머니는 다자녀 어머니보다 자녀와 많이 접촉하고, 온정적으로 희생하며, 보호적이다. 다자녀 어머니는 외동아 어머니보다 자녀를 대함에 있어 보다 냉정하게 대한다. 이는 두 명 이상의 자녀가 있으므로 자녀간의 상호작용에 있으므로 어머니와의 애착은 외동아보다 덜 요구된다. 셋째, 일반적으로 외동아의 어머니가 다자녀 어머니보다 보호적, 긍정적, 접촉적일 것으로 여기고 있으나 자녀의 수 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착형성에 더 관련이 있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착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D시에 살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제기되며 다양한 계층의 어머니를 대상을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응답한 설문지법을 활용하였으나 추후 연구 방법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과 설문지법을 병행되어 지속적으로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유아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머니 자신이 반응한 내용을 고려한 자료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朴賢珠 水原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를 밝혀보고 성격 특성과 양육 태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의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아동의 어머니들이였으며 조사를 위한 측정도구로서 질문지를 사용 하였다. 총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여 그중 256부가 회수되었고 228부(외동이 92부, 형제아 136부)가 분석 처리 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분석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 F-test, Pearson 적률 상관 관계 등에 의해 통계 처리 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이와 형제아에 따른 성격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동이는 여아보다 남아가 더 활동성과 충동성이 높았고 형제아는 유의차가 없었다. 외동이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지배성이 높게 나타났고, 형제아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성격 특성은 외동이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형제아는 직업을 갖지 않은 어머니를 둔 형제아가 사려성이 더 높았다. 둘째, 외동이와 형제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동이의 어머니는 여아에게 더 민주.자율적이고 과보호적이었고, 형제아의 어머니 양육 태도는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외동이 어머니의 경우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민주.자율적이고 애정.수용적이었으며 형제아의 어머니는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애정.수용적인 양육 태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태도는 외동이와 형제아 양집단 모두 유의차가 없었다. 셋째,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있어서 권위.통제적-민주.자율적 영역에서 외동이는 활동성, 충동성, 사회성이 낮게 나타났고, 형제아일때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적대.거부적-애정.수용적 영역에서 외동이는 지배성이 높게 나타났고, 형제아는 활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과보호 자유방임적 영역은 외동이 집단에서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고 형제아는 사회성이 낮게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nly-child's and sibling-child'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Mothers' Attitude. The differences in the only-child's and sibling-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mothers' attitudes between two groups and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sex of child,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mothers' occupa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a total of 228 children's mothers'(only-child 92, sibling-children 136) were selected from children between 4 and 7 years of age. Of 350 questionnairs sheets, 228 sheet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They were done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t fallows; First, do the only-child's and sibling-children's personality traits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relational variable factors? According to Children's sex; A only-brother was liable to the more impulsive and activity than a only-daughter.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 only-child's was dominance and sibling-children's were sociability.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s; sibling-children's were reflectiveness. Secondly, do the only-child's mother's and sibling-Children'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relational variable factores? Only-child's mothers' showed their a only-daughter was more democratic-autonomous and overprotective child-rearing attitudes. Only-child's mothers' showed the higher education a mothers' recieved, the more democratic.autonomous, affectionate.acceptant child-rearing attitude. Sibling-childen's mothers' showed, the higher education a mothers' received, the more affectionate-acceptant child-rearing attitude. Third, do the relationship between only-child's and sibling-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make any differences? When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as regulative,control-democratic.autonomous; only-child's activity, impulsiveness and sociability were negative relation. When her attitudes was antagenism.rejection-affectionate.aceptance;only-child's dominance was positive relation. sibling-Children's activity were negative relation. When her attitudes was overprotection-non interference; only-child's emotion stability was positive relation. Sibling-children's sociability were negative 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