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옵셋 인쇄시 습수액의 경도 및 pH변화가 인쇄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종흥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35

        1. The data using underground water and distrilled water show the following. It is more effective to add the solution standard Hydroplus 10 to distrilled water, because hardness value is remarkably low and it is much stable. In the case of underground water, the volume is varied along the season and the location. 2. Here are the following results of 10%∼20% isopropyl alcohol contained in dampening solution No2 and No3. - 10% and 20% of pH volume were the same. In other words, the first volume of pH were decreased and the next volume of pH were increased. - Percent of transfer was decreased at 10% or 20%. - The characteristic graph of Percent of transfer doesn't comply to the density of isopropyl alcohol. But it is lower than the volume of the solution contained in 10% of isopropyl alcohol. 3. The contact angle doesn't vary in dampening solution which has multiple elements. The potential error comes from the measurement.

      • 現代版畵와 옵셋(offset)印刷의 關係硏究 : 技法을 中心으로

        박명렬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8718

        Reaching modern ag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 woodblock print including two factors of science and beauty contains the meaning of pluralistic art. Besides, woodblock print which can be granted its value as plural art of a field of independent, art, has been developed with speciality. The woodblock print got off from the limitation as the traditional duplicating techniques, and has great meaning as a field of independent art. The woodblock print appeared a long time ago, and it was originated by the necessity to produce a large number and same copies as the reproducing techniques, at first. The woodblock print in early age on the assumption itself of plurality like modern ones was not conceptive, but the necessity of reproduced articles became the motive power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woodblock print. The appearance of photography became the moment for the woodblock print to turn to pursue creative feature of peculiar woodblock print just like in other pictures, and the new materials and technology offered development on the technical aspect to the woodblock print. Many makers devoted themselves in woodblock print work, which can be understood that they found strong fascination which only woodblock print has. That is, because not only woodblock and paper are separated, but the peculiar atmosphere owned by the woodblock print together with diversity of techniques, it can solve difficulties which other medium can not solve. In spite that, we feel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in the woodblock print, because setting aside the difficulty of facilities required for the work different from other expressive medium, it can be said that the difficulty is due to indirect expression to pass the intermediate medium of woodblock compared with oil painting or water-color painting of direct expression, used as meaning of term of the expressed by the medium of woodblock, in spite of strong charm of the woodblock print, we face the technical problem of colors and rough drawing. Thus, compared with the woodblock print which is produced by manual work, the printing depending on the mechanical civilization can plan working efficiently in various aspects, and reaching modern age, the printing technology has highly developed together with the scientific civilization. And, by inducing such technical aspect of printing to the woodblock print, materials and techniques can be expanded freely. This thesis aimed to observe the speciality of the woodblock print techniques which has its value as a field of formative expression and materials and techniques following production of woodblock, and to study the technical aspect of printing, and to overcome the technical variety and limitation in the woodblock print. The method of study was, first of all, to consider the originated background of the woodblock print and printing, and to study the process from the woodblock materials and ink, paper, plate making to printing on the technical aspect. The printing techniques and the woodblock print being accomplished by manual work which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modern scientific development have very similar points on the materials or technical aspect, and it, is considered that taking this opportunity, it may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woodblock print and printing, and to re-establish the relations between them, and by apply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highly developed. printing to the woodblock print, the limitation in the woodblock work can be overcome.

      • 옵셋 인쇄공정 작업자의 정상작업과 뒷정리작업별 톨루엔 노출특성과 일간변이에 관한 연구

        강덕진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31

        본 연구는 2016년 12월 23일부터 30일 사이에 6일, 그리고 2017년 1월 2일부터 12일사이에 7일 등 총 13일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소규모 옵셋 인쇄 공장에서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과 인쇄 종료 후 인쇄기판을 닦아 내는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동안 주로 노출되는 톨루엔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측정하였다. 옵셋 인쇄 공정에서 1일 평균작업시간은 490분이었다. 톨루엔 1일 노출농도는 98.2±21.1 ppm으로 우리나라 노출기준(50 ppm)을 약 2배, 미국 ACGIH의 TLV(20 ppm)의 약 5배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 작업만을 따로 측정한 4개의 시료의 평균은 89.8±18.0 ppm이었다.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시간은 26±12.3분이었고 톨루엔 노출농도는 453.3±313.9 ppm이었다. 옵셋 인쇄공정에서 인쇄작업과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동안의 톨루엔 농도와 노출시간을 곱한 노출량(dose)을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마무리 닦음작업의 노출량은 인쇄작업시의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옵셋 인쇄 공정에서 이소프로펠 알코올의 1일 노출평균은 73.4±47.7 ppm이었으며, 마무리 닦음작업은 309.2±381.4 ppm이었다.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농도는 실측한 4일 동안은 34.3±15.1 ppm이었고, 그 외 1일간 측정치와 마물 닦음 작업의 측정치로부터 추정한 것을 모두 포함한 13일 동안의 노출농도는 61.2±30.8 ppm인 것으로 나타났다. 옵셋 인쇄공정에서 마무리 닦음작업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노출량(dose)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티커 인쇄 공정의 톨루엔 노출농도는 1일 평균이 23.6±10.3 ppm였고, 인쇄 작업은 22.6±10.1 ppm, 마무리 닦음작업이 42.7±24.9 ppm이었다. 스티커 인쇄공정에서 마무리 닦음작업의 노출량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8%정도로 나타났다. 스티커 인쇄 공정에서 측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농도는 1일 평균이 23.4±9.4 ppm, 인쇄 작업시가 22.7±8.9 ppm, 마무리 닦음작업은 74.2±102.0 ppm이었다. 스티커 마무리 닦음작업에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12%정도로 나타났다.

      • OTFT-backplane용 게이트 전극 제작을 위한 리버스 오프 셋 인쇄공정

        박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14

        기존의 진공 증착과 포토리소그라피를 이용한 전극제작 공정은 고가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를 인쇄공정으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쇄공정은 플라스틱과 같이 고온의 열처리를 할 수 없는 기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가장 적합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RFID 태그, 센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전자 종이 등의 전극 제작에 다양한 인쇄공정이 활용되고 있다. 인쇄기술로 오프셋, 플렉소, 다이렉트, 잉크젯, 그라비아, 리버스등이 있으며 각각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전극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그라비아 옵셋 인쇄에 사용하는 인쇄판은 금속의 원통에 크롬 도금을 한 후 다양한 방법의 식각을 통해 패턴이 새겨지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하더라도 패턴이 변하지 않고 인쇄가 가능하다. 최종 인쇄되는 기판의 재질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에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쇄판인 금속 원통 전체에 은 잉크를 코팅해야하고 형상화에 사용되지 않은 은 잉크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고가의 은 잉크가 대량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 원통의 형상 안에 채워진 잉크가 기판으로 완전히 전이되지 못해 전면 전이가 불가능하여 연속 인쇄의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 인쇄공정과 리버스 오프셋 인쇄공정을 결합한 대면적 미세 전극 인쇄공정을 개발하였다. 특히 스크린 인쇄와 리버스 옵셋 인쇄를 결합하여 전극의 두께를 수 십 nm부터 수 um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선 폭은 리버스 옵셋 인쇄의 한계 (수 um)까지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은 잉크를 스크린 인쇄공정으로 기판에 균일한 두께의 은 박막으로 전면 도포하고, 이어서 리버스 오프셋 인쇄공정으로 etching resist(ER) 잉크를 블랑켓 롤을 사용하여 그 기판 위에 전극 형상으로 인쇄한 후 불필요한 은 박막을 식 각 하고, 마지막으로 ER 잔 막을 제거하여 전극을 제작한다. 잉크 조성과 공정조건 예를 들면 은 잉크의 점도, ER 잉크의 용제 및 첨가제 선택, 그리고 블랑켓 롤의 압력과 회전속도 등을 각 공정단계 마다 적합한 조건을 도출하였다. 이 공정을 적용하여 6인치 크기의 전자종이 용 유기박막트랜지스터 하판(OTFT-backplane)의 게이트 전극 제작에 적용하여 해상도 320 x 240, 최소 선 폭 30 um, 그리고 면 저항 1 Ω/□의 전극을 제작하였다. There are increasing researches on Printed Electro-Mechanical System (PEMS) which uses printing process to produce cheaply in the large area and with large volume. Printing method reduces markedly semi-conduct process such as existing addition, photo lithography, and etching, processes cheaply by reducing the use of expensive vacuum equipment, and satisfies the precision degree required in electrode. Printing processes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low cost and high compatibility with plastic substrate. OTFT-backplanes for flexible displays are a suitable application of printing process because the organic materials can be a good candidate for printing process. In OTFT-backplane the gate electrodes and scan bus line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s, require high conductivity and high resolution and thin enough for the good step coverage of the subsequent gate dielectric.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printing process for the large area gate electrode and scan bus lines by combining screen printing and reverse off-set printing with Ag ink as a conducting ink. It draw a conclusion from suitable condition every phase of proess that ink create and process condition. For example viscosity of silver ink, choice of ER ink solvent and additive, pressure of Blanket roll and roll speed and so weiter. For example, ink composition and process conditions are the viscosity of the ink, ER solvents and additives for ink selection, and the blanket roll and the roll speed and pressure conditions suitable for each process step are derived. First, Ag ink was uniformly printed over the entire area of substrate by screen printing. And then etching resist (ER) was deposited and patterned by reverse off-set printing over the Ag ink layer. Subsequently the opened Ag ink was etched off and then the ER was stripped off to obtain the final patterns. The reverse off-set printing consists of three steps; coating step of ER on blanket by slit coating, patterning step by transferring ER on blanket to cliche, printing step by transferring the remaining ER on blanket to substrate. In coating step it is important to uniformly coat ER on blanket without pinholes. In patterning step the ER on blanket should be completely transferred to cliché without the residual ER on the selected areas of blanket. In printing step the remaining ER should be completely transferred to Ag ink layer on substrate.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important requirements it is essential to find out an appropriate solvent. Thus we examined the contact angle and surface tension of ER when mixed with the various solvents and found out the coating ability on blanket. The final gate electrodes were obtained through etching Ag ink layer in the exposed areas. By using this process the line feature of 30 um was easily obtained with the sheet resistance of 1 W/square over 6” (320 x 240) substrate.

      • 리버스 오프-셋 인쇄공정을 이용한 대면적 전극인쇄공정

        박윤종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81

        리버스 오프-셋 인쇄공정을 이용한 대면적 전극인쇄공정 Large-area Gate Electrodes Printing using Reverse Off-set Printing process 전자공학과 박 윤 종 지 도 교 수 송 정 근 전극을 제작하기 위한 진공 증착과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기존의 방법을 인쇄 공정으로 대체 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쇄 공정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 이 외에도 플라스틱과 같이 고온의 열처리 할 수 없는 기판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flexible 디스플레이에 가장 적합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RFID 태그, 센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전자 종이 등의 전극 제작에 다양한 인쇄공정이 활용되고 있다. 인쇄기술로는 오프셋, 플렉소, 다이렉트, 잉크젯, 그라비아, 리버스 오프-셋 방식등이 있으며 각각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전극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방식은 사용하는 인쇄판이 금속의 원통에 크롬 도금을 한 후 다양한 방법의 식각을 통해 패턴이 새겨지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하더라도 패턴이 변하지 않고 인쇄가 가능하다. 그리고 최종 인쇄되는 기판의 재질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폭넓은 피인쇄체에 적용이 가능 할 뿐만 아니라 패턴인쇄 공정 과정이 간단하고 공정속도가 빨라서 현재 다양한 인쇄물 제작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방식을 전자소자 제작공정에 적용하기에는 인쇄 해상도가 낮고 인쇄되는 패턴의 두께가 두꺼운 단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인쇄판인 금속 원통 전체에 은 잉크를 코팅해야하고 형상화에 사용되지 않은 은 잉크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금속 원통의 형상 안에 채워진 잉크가 기판으로 완전히 전이되지 못해 전면 전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속 인쇄에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사용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법은 그라비아 인쇄법이 가진 낮은 해상도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된 방식으로서, 이 방법은 수 마이크로미터의 정교한 패턴을 대면적으로 인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 인쇄공정과 리버스 오프-셋 인쇄공정을 결합하여 대면적 미세 전극을 인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크린 인쇄와 리버스 오프-셋 인쇄를 결합한 이 방식은 전극의 두께를 수 십 nm부터 수 um까지 조절이 가능하고, 마이크로미터의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먼저 스크린 인쇄공정으로 균일한 두께의 은 박막을 기판에 전면 도포하고, 이어서 리버스 오프-셋 인쇄공정으로 Etching resist(ER) 잉크를 블랑켓 롤을 사용하여 그 기판 위에 전극 형상으로 인쇄한 후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해 불필요한 은 박막을 식각하고, 마지막으로 ER 잔막을 제거하여 최종적인 전극을 제작한다. 전극을 제작하면서 연속적인 인쇄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블랑켓의 팽윤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블랑켓 팽윤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문제 발생 원인을 규명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인쇄 공정의 블랑켓 팽윤 문제을 해결하여 6인치 크기의 전자종이 용 유기박막트랜지스터 하판(OTFT-backplane)의 게이트 전극 제작했다. 제작된 전극의 해상도 320 x 240, 최소 선폭 30 um, 그리고 면저항 1 Ω/□로 전극으로 사용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주요어 : 리버스 옵셋 인쇄(Reverse off-set printing), OTFT, Gate electrodes, 에칭레지스트 잉크(Etching resist ink), 블랑켓 팽윤(blanket swelling)

      • A Study on the Roll to Roll Reverse Offset Printingusing Nickel Roll cliché

        정연호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51

        인쇄전자는 프린팅 공정에서 전자 잉크를 소재로 사용하여 제작하는 전자 소자 혹은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정은 전자 잉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패턴을 찍어내고 이를 소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인쇄전자 기술은 전기, 전자분야 등에서 회로, 배선 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공정인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원하는 회로만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Additive process 공정이며, 대면적 인쇄가 가능하고, 기존의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어 설비 및 투자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쇄전자 기술 중 수 마이크로 사이즈의 패턴을 인쇄할 수 있는 리버스 옵셋 인쇄 공정은 공정 환경 변화에 둔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쇄 시 공정 step 별로 적합한 조건을 주는 등의 불연속 인쇄 공정이므로 인쇄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리버스 옵셋 인쇄를 롤투롤 공정과 접합하여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리버스 옵셋 인쇄에서 필요없는 잉크를 떼어내는 cliché는 silicon, glass 등과 같은 hard한 평판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롤투롤 연속 인쇄 장비에서는 새로운 roll 형태의 cliché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속적인 사용을 위한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ink off를 위한 고종횡비 패턴을 제작하기 위해 니켈 전주도금을 이용하여 cliché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cliché를 roll to roll reverse offset printing 장비에 적용하여 인쇄실험을 진행하였고 cliché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공정을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OTFT-backplane 게이트 전극 인쇄

        최기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50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공정을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OTFT-backplane 게이트 전극 인쇄 Printed OTFT-backplane Gate Electrode of EPD For Gravure Off-Set Printing 전자공학과 최 기 성 지 도 교 수 송 정 근 인쇄전자(Printed Electronics)란 기존의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직접 패턴(Direct Pattern)을 형성하는 인쇄법으로 만들어진 전자소자 혹은 전자제품을 의미한다. 현재 대표적인 전자제품의 제조 공법이라고 할 수 있는 노광공정(Photo-lithograpy)과 이에 따른 후속 공정인 현상(Development)과정을 거치는 간접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인쇄전자 기술은 고가의 노광 공정을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신공법으로 주목 받으면서 노광공정의 반대 분류로의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기존의 노광공정을 사용하는 전자제품 제조법을 인쇄공정으로 대체하게 되면 소요 공정 수가 간단해 지면서 시설투자비, 재료비 및 유지비용을 약 80% 절감할 수 있으며 노광공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액, 에칭액, 박리액 등의 약액 폐기물 발생을 감소 시킬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플라스틱과 같이 고온의 열처리 할 수 없는 기판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flexible 디스플레이에 가장 적합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RFID 태그, 센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전자 종이 등의 전극 제작에 다양한 인쇄공정이 활용되고 있다. 인쇄기술로는 오프셋, 플렉소, 스크린, 잉크젯, 그라비아, 리버스 오프-셋, 임프린팅 방식등이 있으며 각각의 인쇄법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전극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방식은 원판으로 오목판을 사용하며 특히 그라비아(Gravure)제판을 이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원판은 원통형 금속에 크롬 도금을 한 후 다양한 방법의 식각을 통해 패턴이 새겨지는데 이렇게 패터닝된 인쇄판은 대량 생산을 하더라도 패턴이 변하지 않고 인쇄가 가능하다. 그리고 고무 재질의 블랑켓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인쇄되는 기판의 재질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폭넓은 피 인쇄체에 적용이 가능 할 뿐만 아니라 패턴인쇄 공정 과정이 간단하고 공정속도가 빨라서 현재 다양한 인쇄물 제작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량 생산에 부적합한 이유는 그라비아롤의 진행방향과 패턴의 방향이 90°가 되면 독터링시 닥터블레이드에 의해 패턴의 긁힘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대면적 인쇄공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과 6인치 크기의 OTFT-backplane 게이트 전극을 인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에 사용되는 장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은 잉크(Nano Ag ink)를 선정하고 독터링 공정, 오프 공정, 셋 공정의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실험으로써 정량화하여 최적의 인쇄 조건을 찾아내었다. 또한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공정의 단점인 가로선 패턴 긁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패턴을 각도별로 인쇄하여 그 인쇄 품질을 분석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라비아 롤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가로선 패턴 긁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6인치 크기의 전자종이용 유기박막트랜지스터 하판(OTFT-backplane)의 게이트 전극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전극의 표면 거칠기는 0.69 um, 최종 인쇄물의 두께 1 um, 면저항 1.57 Ω/□, 최소 선폭 20 um로 전극으로 사용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주요어 : 그라비아 옵셋 인쇄(Gravure off-set printing), OTFT-backplane 게이트 전극, 은 잉크(Nano Ag ink), 블랑켓(blanket), 가로선 패턴 긁힘, MD(Mechine direction), CMD(Cross Mechine direction)

      • 옵셋 인쇄용지의 섬유 조성비에 따른 잉크 전이율 변화에 관한 연구

        이정숙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303

        As result of percent of ink transfer that follows composition rate of offset printing paper, in a case that mixture ratio of 5:5, density is the lowest, and at this point, it confirms the phenomenon that porosity to be most increased. The smoothness of paper tends to be decrease as content of soft wood fiber downs, and the opacity tends to be most increased as the mixture ratio 5:5, soft wood fiber and hard wood fiber. The percent of ink transfer is the highest as mixture ratio of 5:5. in this case, it confirms the result following penetration of ink by enlargement of the porosity inside the paper for consider variation of the ink viscosity and print density. On the other hand, in this particular case, 70% of soft wood fiber and 30% of hard wood fiber is mixed, it confirm the lowest the percent of ink transfer and print viscosity. It is a result following the difference of the density of the paper. So, in the case of off-set print paper to be mixture ratio of 5:5, soft wood fiber and hard wood fiber, it is an advantage of the percent of ink transfer and prin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