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트라마돌 처방분석을 통한 오남용 현황 파악 및 관리방안 도출

        박송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배경 및 목적: 국내 트라마돌 처방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되는 이상사례 건수의 85%를 차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오남용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국가마다 관리체계가 상이하고, 오남용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에서도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 트라마돌 오남용에 대한 연구는 단일기관 부작용 보고자료 정도로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트라마돌 처방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트라마돌 오남용 우려 처방 가능성을 알아보고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4-18의 심평원 표본자료(HIRA-NPS)를 사용하여 트라마돌 처방현황과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외 허가사항과 문헌조사를 트라마돌의 오남용 우려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하고 영향을 미치는 변수(나이, 성별, 상병코드 C/D/F/R, 급여, 병용약물, 요양기관종별, 진료과목 등)를 설정하였다. 독립성 검정을 통해 트라마돌 처방 현황과 오남용 우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회귀분석과 성향매칭을 통해 관련된 변수들의 트라마돌 오남용 우려 처방에 대한 영향력 분석하였다. 최종 처방의 양적 오남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로렌츠 곡선을 구하여 트라마돌 처방의 편중도를 인구 상위 1%, 10%, 50% 대비 트라마돌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내 전체 명세서 약 10억건(원내 약 7.2억건, 원외 약 3.6억건) 중 트라마돌 처방 명세서는 6,674,031건이고, 환자는 2,146,829명이었다. 이중 연간 총 투여일수 120일 이상 처방을 받은 87,805명과 1일투여량 400 mg 초과 처방을 받은 218명의 처방에서 관련된 변수를 분석하였다. 트라마돌 원외처방을 받은 1,077,198명 중 연간 총 투여일수 120일 이상 처방 받은 76,913명(3.5%), 중복 60일 이상 처방 6,762명(0.61%), 중복 60일/연속 90일/연간 총 투여일수 120일을 모두 만족하는 5,357명(0.49%)과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성향점수 매칭 후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트라마돌 오남용 우려 처방이 여성에서, 65세 이상에서, C&D코드가 없는, 의료급여에 해당할수록 많이 확인되었다(p<0.0001). 또한, 성향점수 매칭 후 분석 시 경련 관련 R 코드 1.51배(CI=1.18-1.92), 정신질환 관련 F코드 1.25배(CI=1.22-1.29), 상급종합병원 1회 방문증가 시 2.16배(CI=2.12-2.19)로 오남용 우려 처방이 확인되었다. 로렌츠 곡선을 통한 트라마돌 처방 편중도 분석 결과 복합제에서 상위 1% 환자의 소비량이 19%, 단일제 내복제에서 13%가 산출되어 복합제에서 오남용 기준의 편중이 확인되었다. 고찰 및 결론: 트라마돌 처방 현황 분석 결과 중복, 연속, 연간 총 투여일수 등 부적절한 기간의 투여로 인한 오남용 우려 처방이 일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성은 특정 상병이나, 고령, 의료기관의 이용횟수 및 급여의 영향이 있었다. 특히, 복합제는 의원급에서 일부 환자에게 편중 처방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복합제의 처방에 대한 DUR 검토나 트라마돌 전체 처방에 대한 기간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 기반 경제성 평가 연구 :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 도입에 대한 비용효과분석을 중심으로

        김시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58

        본 연구는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 도입의 비용효과성 사례를 활용하여 환자 차원의 특성을 고려한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르코프 모델과 비교함으로써 경제성 평가 연구에서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세부목표 1에서는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 도입의 비용효과성을 추정하기 위한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 및 마르코프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대상자로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2.0DB에서 2010~2015년 동안 외래를 통하여 1회 이상 마약성진통제를 처방받은 비암성 환자 중 마약성진통제를 만성적으로 사용한 환자를 선정하였다. 마약성진통제 오남용은 마약성진통제를 90일 이내에 4개 이상의 서로 다른 병원에서 처방받은 경우 또는 동일한 주요 성분을 포함하는 처방전이 처방 기간의 25% 이상 겹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중독은 naloxone 주사가 처방된 경우로 정의하였고, 치료 중단은 마약성진통제의 마지막 사용일로부터 최소 1년 동안 새로운 처방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마약성진통제 사용 양상은 incidence density method로 추정하였으며, 마약성진통제 오남용과 기저 특성 간 상관관계는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용효과성 모델의 분석 관점은 사회적 관점이었으며 분석 기간은 30년이었다. 프로그램의 시행 효과는 미국의 마약성진통제 오남용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활용하였다. 전이확률과 건강상태 별 비용은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2.0DB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건강상태 별 효용은 선행연구를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시행 비용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맞춤약물치료 프로그램의 시행 비용을 활용하였다. 모형의 결과변수는 점증적 비용효용비였으며 지불의사금액은 2019년 한국의 1인당 gross domestic product를 적용하였다. 기본 분석의 불확실성이 비용효과성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부목표 2에서는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과 마르코프 모델 간 차이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및 양적 지표를 활용하였다. 질적 지표로는 두 모델의 특성 및 모델링 방식상 차이점을 기술적으로 고찰하였다. 양적 지표로는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2.0DB에서 6년간 관측된 오남용, 중독, 사망 발생률과 각 건강상태에 머무르는 분율을 두 모델에서 6년간 추정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두 모델의 차이점이 비용효과성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본 분석 및 민감도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세부목표 1의 연구 결과,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의 시행은 환자 1인당 발생 비용을 증가시키면서 질보정수명을 향상시켰으며 점증적 비용효용비는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2,598,259원/QALY, 마르코프 모델에서 5,354,220원/QALY로 추정되었다. 두 모델 모두 지불의사금액을 고려하였을 때 프로그램 시행이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분석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세부목표 2에서 두 모델의 차이점을 고찰한 결과,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은 환자의 개인 특성 및 이력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보였으며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마르코프 모델보다 모델링에 필요한 자원이 더 많다는 단점을 나타냈다.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2.0DB에서 관측된 결과와 두 모델에서 추정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는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추정된 결과가 실제 관측된 데이터에 더 가까운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델의 점증적 비용효용비는 마르코프 모델이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보다 약 2배 높게 추정되었으며, 지불의사금액을 고려하였을 때 프로그램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판단은 두 모델 모두 동일하였다. 결론적으로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은 환자 단위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차원의 특성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 모델링이 가능했으며, 마르코프 모델에 비해 실제 데이터에서 관측된 결과를 더 근접하게 얘측한다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었다. 두 모델을 통해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의 도입은 비용효과적인 대안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보건의료 연구 분야에서 환자 개별 자료의 활용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경제성 평가 연구에서도 환자 시뮬레이션 모델의 활용이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검찰권의 헌법적 의미와 통제

        김용태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2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prosecutional power and how to control it from constitutional persp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e prosecutional power is to ensur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However the prosecutional power has not work for the people who is the true source of the power. In our reality the prosecutional power is abuse for a political power and an economic power, and the benefit of the prosecution organization rather than the people.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aimed to devise how the prosecutional power control for the attainment of true purpose that is to ensur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The prosecution shall exercise its legal authority for a criminal investigation, commanding of judicial police officer, a public prosecution and a maintenance of a public prosecution, claim to exercise legitimate judical power and such. The core of exercising the prosecutional power is a criminal investigation and a public prosecution among others. This prosecutional power is strengthened by the direction authority to the police investigation, exclusive authority and discretion on a public prosecution that is called a anklagemonopol and principle of discretionary prosecution. But we can see that the prosecution’s powerful authority has abused in several cases. The sovereignt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reside in the people, and all state authority shall emanate from the people(Para 2 of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the authority of a public prosecution shall reside in the people, and the prosecution exercise it by delegation of authority from the people. In this perspective, the prosecution must accept the constitutional control of a prosecutional power. Because there can be no uncontrolled state institution in modern constitutional state. All state institutions of constitution are organized as a means to ensure a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institutions shall exercise their power which are granted by the peop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stitution and its own purpose. Therefore the Public Prosecution’s Office which is in charge of prosecution office work(typically a investigations and a public prosecution etc.) also shall be organized as a means to ensur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nd it must exercise the authority for the purpose. So it should be organized and exercise the authority in accordance with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which ar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onstitution. But unfortunately until now prosecution organization and its exercise of authority have not satisfy the principles of constitution. So we should strive to correspond prosecution organization and its exercise of authority with principles of constitution, especially the separation of powers, democracy and ensur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state func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particular our prosecution organization has extremely a tendency of the hierarchy with Supreme Prosecutor’s Office and Prosecutor General. And there are no effective control device to prosecutors exercise of authority and an illegal act. Thus, it is constantly being raised the necessity for undermining the power by decentralization of a prosecutional power. As such, a control and decentralization of a prosecutional power steer truly our prosecution organization to the goal which is prosecution for the people.

      • 한국 학생들의 methylphenidate 복용 행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

        최예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1

        Methylphenidate is a stimulant which is a first-line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However, there are concerns of potential misuse that students could use methylphenidate as a study aid, because it is known to have cognitive enhancing effects. This study thus aims to investigate (1)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methylphenidate use among students in Korea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tages, (2) How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fluences these patterns, and (3) the patient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discontinued methylphenidate right after the CSAT. This study utiliz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Database during 2016~202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DHD(F90.0) and prescribed methylphenidate in outpatient settings were included. The ‘Days Covered per Calendar Month’(per 10,000) during 2017~2020 we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days covered by the entire student population.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use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tages (elementary/middle/high/university) and high school grades.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3rd grade, a group mostly affected by the CSAT were also obtained. Patterns of their use according to the regions(Seoul(total), Seoul(educational districts), Major cities, Small cities, Rural areas) were analyzed. A dummy variable was created for every December to assess the impact of the CSAT on the pattern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urthermore, the patterns of specific cohorts were tracked from 1 year before the CSAT to 1 year after the CSAT. A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atient characteristics in those who discontinued methylphenidate right before and after the CSAT. Among the educational stages, both high school group and university group showed significant drops of methylphenidate use in every December(β[p value]; -1.82[<.0001]; -0.44[<.0001]). When examining specific high school grades, the 3rd grade and the 2nd grade showed significant drops(-3.01[<.0001]; -0.67[0.0112]). Further analysis of high school 3rd grade according to the regions indicated that Seoul(education districts) showed the biggest drop(-12.34[<.0001]), followed by Seoul(total), Major cities, and Small cities(-7.91[<.0001]; -3.34[<.0001]; -2.11[<.0001]). Tracking the patterns of specific cohorts revealed that the ‘Days Covered per Calendar Month’ sharply declined around the time of CSAT, persisting thereafter. Discontinuation right after the CSAT was high among those living in cities, or with high income, or without comorbidities. There are notable decreases in methylphenidate use especially among high school 3rd grade, and these patterns are more pronounced in regions with high passion for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methylphenidate could be used as a study aid among students.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its non-medical usage in practice, assess its effectiveness, and ensure its safety to provide an evidence supporting the safe usage of the medication. Methylphenidate는 중추신경 자극제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치료에 일차 약제로 쓰인다. 그러나 학생들 사이에서 ADHD가 아닌 사람이 복용해도 인지기능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왔고, 학습증진을 목적으로 한 오남용의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교육 단계별, 학년별 methylphenidate 복용자 특성과 복용 행태를 분석하고, 복용 행태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며, 수능 전후 복용을 중단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습증진 목적의 오남용 가능성이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맞춤형 데이터베이스(2016~2021년)이다. ADHD(F90.0)를 진단받고 methylphenidate를 한 번 이상 원외처방 받은 사람을 선택하였다. 2017~2021년까지 월 별로 각 복용자의 복용 일수를 합산하고 총 학생 수로 나눈 ‘Days Covered per Calender Month’(10,000명당)를 계산하여 복용 행태를 비교하였다. 한국 학생들의 methylphenidate 복용자 특성과 교육 단계별(초/중/고/대학생), 고등학교 학년별 복용 행태를 살펴보았고, 수능의 영향을 받는 고등학교 3학년의 복용자 특성과 지역별(서울(전체), 서울(교육특구),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 복용 행태를 살펴보았다. 수능 직후의 복용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매년 12월을 더미변수화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정 연도 출생 복용자들의 수능 전후 복용 행태를 추적관찰 하였고, 수능 직후 복용을 중단하는 자들의 특성 비교에는 카이 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교육 단계별 methylphenidate 복용 행태를 살펴보면 고등학생과 대학생에서 12월의 Days Covered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β[p value]; -1.82[<.0001]; -0.44[<.0001]), 고등학교 학년별로는 3학년과 2학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3.01[<.0001]; -0.67[0.0112]). 고등학교 3학년의 지역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서울(교육특구)의 감소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12.34[<.0001]) 이후 서울(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순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7.91[<.0001]; -3.34[<.0001]; -2.11[<.0001]). 특정 연도 출생 복용자들의 수능이 있는 해 전후 1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수능 전후를 기점으로 Days Covered가 급격하게 하락 후 유지되었다. 수능 직후 복용을 중단한 자의 비율은 도시지역, 고소득, 동반 상병이 없는 경우에 높았다. 고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methylphenidate 복용이 12월에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교육열이 높은 지역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수능이 있는 11월 부근에 수험생의 학습 부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는 methylphenidate가 학습증진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해 실제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비의료적 목적으로 사용 시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를 통해 향후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 高等學校 學生의 藥物 誤ㆍ濫用實態 및 豫防對策에 관한 硏究

        최현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580

        A.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repid changes of Moderm society, without morality, in the midst of confusing one's sense of value, high school students increasingly go to the bad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ing, examining and analyzing about the durg abuses of the youth, I would like to see the relationship of durg abuses and students' bad activities. So I'd like to indicate ways of measures ofor proper guida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B. The processes and ways of this study. 1. The object of this study. Posing questions to 400students (260 boys and 140 girls) i n 8 schools located at Go Heung Gun in chulanam Do, I analyze 385 papers except bad ones. 2. Examining materials 1) Question papers are made not only by a bibliography and former studying, but also by an academic adviser. 2) These materials are divided into 10 fields and 40 questions in order to examine activities of the drug abuse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3. Treating Materials Indicating percentage about the results of questions,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C. The results of this study 1. Most of the boy students have the first drug abuse experience from 16 years old to 17 ages. 2. Boys of drug abuse experience are much higher than girls. But we must pay much attention to increasing smoking and drinking alcol in the girl students. 3. The problem of the drug abuses is inclined to get again and again. Namely light things such as smoking, I and drinking alcol, etc are gradually developed into a strong inhalant, stimulant, sedative, sleeping drug, nervous sedative, and hallucinogen, and so on. So many students are indulged into doing bad things. There fore these repeative drug abuses must be cutted. 4. The drug abuses awaiting solution except a simple drinking and smoking appear a bond, pep pill, sleeping drug, and nervous sedative etc. Though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re a narcotic, hallucinogen, helobon, cocainism, in the light of a korean reality,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get them. Without the knawledge of svarious kinds of medicine, students might be confused. So we can't conclude the kinds of drug, and a experienced drug abuse 5 .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controlling the drug abuses, the government must continue teaching teachers or the persons concerned about them. Also he teaches students very carefully about them.

      •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약물오남용예방사업에 대한 연구 : 로컬거버넌스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덕숙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51

        지역사회중심의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을 실행하는 작동원리는 로컬거버넌스에 토대를 두고 보다 자율적이고 친주민적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여기서 로컬거버넌스는 지역주민, 보건소 등의 약물오남용 예방기관, 이와 관련된 관공서 등이 협력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예방정책의 수요와 개발, 결정, 실행 등의 전반적인 정책과정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예방사업을 위해 어떠한 정책방안이 필요한 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약물오남용 예방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 약물오남용의 의의, 원인과 예방대책모델, 지역사회중심의 약물오남용 예방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통해 연구의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분석기준은 실태조사와 인식조사를 실시할 때 활용되었다. 제3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약물오남용예방사업 실태조사로 약물오남용 변화추이와 주요국가의 약물오남용예방사업의 현황 및 시사점과 더불어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약물오남용예방사업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실태조사와 인식조사의 평가를 종합하여 각 연구의 분석기준에 따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의 실태조사에 대한 평가를 요약하면, 대표적인 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에서의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은 건강증진사업과 결부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지역사회중심이라기보다는 관주도나 중앙정부의 재원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을 지속적으로 늘이려는 계획을 가지고는 있으나 투입인력은 지역의 전체인구를 생각할 때 충분한 인력이라고 볼 수 없으며, 예방교육도 민간단체에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저조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의 인식조사에 대한 평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방정책개발 분야에서는 예방인식 및 중요성의 제고를 위해 지역주민 건강과 연계된 지역사회중심의 예방사업을 전개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예방사업을 위해 금연 및 마약류 예방사업을 통합하는 형식으로 정책개발의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방활동의 제도적 조성을 위한 통합성 차원에서는 주민 가까이에 있는 보건소 중심으로 예방사업 추진체계를 개편하고 전담직원과 전담부서 및 기구를 확보하여 전문성을 함께 제고하며, 나아가 보건정보망을 구축하여 일관적이고 통합적인 관리체계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예방교육과 관련한 전문성 차원에서는 예방교육의 횟수를 증가시키고 지역주민의 곁에 항상 존재하는 전담전문가를 충원하여 예방교육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학교-가정-보건소 등과 연계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언제 어느 때나 예방의식과 문화를 활성화하는 정책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출한 개선방안에 대해 요약하면, 예방정책의 개발과 관련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증진과 연계된 약물오남용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시뮬레이션 체험 등),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맞춘 통합적인 예방프로그램의 개발(금연과 마약류 통합관리 등), 지역주민의 예방의지 고취 및 자율적인 예방활동 참여(지역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예방캠페인 등) 등을 제시하였다. 예방활동의 제도적 기반조성과 관련하여서는 보건소 중심의 전담기구(가칭 약물오남용예방센터)의 설립, 이에 따른 전담인력의 확충, 지역주민 및 전문가간 보건정보망의 구축 등을 우선적인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예방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예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상담사와 교육자의 확보, 예방문화의 정착을 위한 예방 캠페인과 예방교육의 횟수 증가, 학교-가정-보건소 등의 공공기관간 연계교육 실시 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차원에서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중앙정부의 마약류 통제정책 중심의 선행연구와 구별되며, 청소년 중심이 아니라 지역주민 및 시민을 중심으로 예방사업의 실태와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도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약물오남용 예방과 관련된 실무자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함으로서 일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방 프로그램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고 실효성이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그 실태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와 같은 실증연구들이 보다 활발히 실시되어 약물오남용 예방사업을 추진하는데 풍부한 정책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mechanism of the Prevention Programs for Drug Abuse is based on local governance which is autonomous and democratic. The local governance is a cooperative network among citizens, prevention organization like public health care center and related public agencies which formulate, implement, and evaluate the policies about drug abuse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drug abuse prevention policy was carried out, and to suggest more effective prevention program for drug abuse in local government.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chapter 2 reviewed the literature about definition, cause, anti-abuse policy and earlier studies about local government's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The case study and the empirical survey were based on the criteria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In the chapter 3, it deals with the case study of prevention programs for drug abuse by the local government followed by the issues and problems. Through analyzing the drug abuse prevention practices in the U.S., Japan, and Korea, the policy implications of prevention program were explored. In the chapter 5, the policy alternatives are suggested by the lessons from the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he survey about the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is summarized as follows. 1) In prevention policy development, it is needed to develope local government centered prevention progra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sidents for improving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awareness, and to change its anti-drug and anti-smoking policy development methods by integrating between anti-drug and anti-smoking for efficient prevention program. 2) For the integration of the preven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revention programs by the public health care centers which are close to residents, to enhance the expertise by employing highly qualified people, and to operate a integrated system by building a health care network. 3) For professionalism in prevention education, it is needed to guarantee its quality by increasing education frequency and health consultants who are close to residents, so that it can effectively perform the cooperative education system among school, home, and public health center. The alternativ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prevention policy development for drug abuse(or misuse), it is need 1) to develop the various prevention programs for enhancing the health of residents, 2) to develop the integrative preven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life-cycle of residents, and 3)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will by letting the residents participate in self-control prevention programs. The local governments need to 1) build a public health center to deal with the drug abuse matter like Drug Abuse Prevention Center, 2) have more specialist(exclusive working staff and expert for drug etc.), 3) establish a health information system and network in local government. Finally as for the preventi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drug abuse, it is needed to expand special consultant and educator for the improvement of prevention educa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campaign an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drug abuse prevention culture, and to carry out prevention education operated by school-home-public health center network.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ould provide useful guidelines to develop an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for drug abuse in local governments.

      •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력과 약물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

        이선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48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rural elderly's health literacy, drug knowledge, and their drug abuse and misus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s study has been done on descriptive question lists and its subject is 103 rural elderly who understood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granted to participate, performed from 8 to 24 September, 2009. For linguistic health literacy, we chose the methods of REALM(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ne) by Davis et al. (1993) and the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literature of Seongsoo Kim, Sanghyung Kim, Sangyup Lee(2005) and Eunjung Lee(2008). For functional health literacy, we chose the method of understandability of taking drugs. For drug knowledge literacy, we modified the question lists of Dongyun Lee(2001) and Kyungsoon Han(2000). For drug abuse and misuse, we chose the question lists of Dongyun Lee(2001) and Junhwa Lee(2006). We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x²-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WIN 15.0 program, and summarized as follows: 1. Measurement of rural elderly's health literacy shows that 46.6% of the respondents has the literacy ability of six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53.4% for first or second grader of middle school. For functional health literacy, the measurement shows the low value of correct answers for taking medicine as every 6 hours, 4 times a day, with 1.09+/-0.99 as average value. 2.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ir health literac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ealth condition, such as gender(p=.014), education degree(p=.003), marital status,(p=.039), learning of taking medicine(p=.045). 3. The analysis shows that 100% of the respondents do not conceive the side effects, 92.5% do not conceive the forbidden food, 97% do not conceive the forbidden activities, when taking drugs. The average value of drug knowledge and drug misuse is 10.69+/-5.03 and 6.36+/-2.93 respectively. 4.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drug knowledge and misusing shows that the linguistic health literacy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rug knowledge (r=.255, p=.009)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r=.224, p=.023), and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drug misuse(r=-.170, p=.086); the functional health literacy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rug knowledge (r=.301, p=.002), and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drug misuse(r=-.180, p=.069). It also shows that drug misuse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drug knowledge (r=-.0281, p=.004). In conclusion, health literacy of rural elderly is relatively low and the individuals with higher health literacy have lower drug misuse.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develop health education materials or programs based on the health literacy of rural elderly.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력과 약물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를 파악하고 의료정보문해력에 따른 약물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락한 103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9월 8일에서 9월 24일까지 실시되었다. 언어적 의료정보문해력은 Davis 등(1993)이 개발한 REAL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을 김성수 등(2005)과 이은정(2008)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기능적 의료정보문해력 질문지는 이은주, 김수현(2008)과 이은정(2008)의 약물복용방법이해력 도구를 사용하였다. 약물지식도구는 이동연(2001)과 한경순 등(2000)의 약물지식 질문지를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약물 오남용 행위 도구는 이동연(2001)과 이준화(2006)의 약물 오남용 행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²-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력을 측정한 결과, 언어적 의료정보문해력에서 대상자 중 초등학교 6학년 수준의 문해력은 46.6%였고, 중학교 1, 2학년 수준이상이 53.4%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의료정보문해력에서 1일 4회 6시간 약물 복용 시간과 복용 요일에 대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으며, 평균 1.09±0.99점 이었다. 2.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의료정보문해력을 살펴본 결과 성별(p=.014), 교육수준(p=.003), 결혼상태(p=.039), 약물복용방법습득(p=.04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지식에서 복용약의 부작용은 100%, 피해야 할 음식은 92.5%, 금해야 하는 활동은 97%가 모른다고 나타났다. 약물지식은 평균 10.69±5.03점이었으며, 약물 오남용 행위에서 평균은 6.36±2.93점으로 나타났다. 4. 의료정보문해력과 약물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언어적 의료정보문해력은 약물지식(r=.255 p=.009)과 기능적 의료정보문해력(r=.224 p=.023)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약물 오남용 행위(r=-.170 p=.086)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능적 의료정보문해력은 약물지식(r=.301 p=.002)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약물 오남용 행위(r=-.180 p=.069)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약물 오남용 행위와 약물지식(r=-.281 p=.004)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력은 낮은 수준이며 의료정보문해력이 높을수록 약물지식이 높으며 약물 오남용 행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수준을 고려한 건강교육자료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서울지역 약사의 약물 교육 실태와 약물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장경하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4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rug education around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problems with the process of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or drug education and to seek fo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Method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lanning documents and results of drug abuse and misus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reported by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from 2010 through 2011,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97 pharmacists participating in th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or the safe use of medicine, and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lements of possible obstacles in drug education. Results There already exist many education documents addressing the safe and appropriate use of drugs; however, most of them are unorganized and are not used properly due to lack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fter analyzing several drug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er found that 77%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students and no other important results were found. Among all the drug education instructors who co-work with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53% of them were pharmacists in th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and 11% were public pharmacist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197 pharmacists in th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or the safe use of medicine and 102 responses were received (52% response rate). The respondents, in the order of number of responses, were public pharmacists, hospital pharmacists, and community pharmacists. And they picked Medicaid patients and elderly people who rely heavily on medicine as the primary targets they need to educat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spondents with experiences in drug education are facing two main problems: lack of time and absence of unified standard of teaching. 97%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to fully involve in the drug education due to their load of current work, and 77.6% were uncertain about to what extent they should educate people on drugs.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responded that education contents about clinical pharmacy and social pharmacy, and effective instruction techniques (communication techniques)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As a method of improving instructor training, providing education to pharmacists with career break who are interested in education and linking certification with completion of the program are chosen, each with 98% of selection rate. And 95% of survey participants chose online program as the method.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is shown tha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must be done in order to improve the drug education and th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irst, it is necessary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pharmacists who are interested in education. Second, th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must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pharmaceutical colleges or 3rd party institution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Third, the education must be available online in order to maximize participation level.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for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or drug education are only provided in the curriculum of pharmaceutical colleges in developed countries or in the training program curriculum of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The field of drug education is necessary to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practical training in the 6 year pharmaceutical college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harmacists with career break or public pharmacists who can plan and perform the work of drug abuse and misuse prevention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program. Also,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revamping the pharmaceutical laws and public health promotion laws in order to stimulate the health related support including fund support from the nation and a local government. 본 연구는 서울지역 보건소 중심으로 행해지는 약물 교육과 서울시에서 시행한 지역 약사 대상 약물 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기위해 수행되었다. 2010, 2011년 서울지역 보건소에서 제출한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 실적 및 계획 자료를 분석하고 2010, 2011년 서울시에서 실시한 의약품 안전사용 강사양성과정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사회에서 의약품을 포함하는 약물교육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고찰도 병행하였다. 부적절한 처방사례, 중복처방사례, 처방전당 높은 약품목수, 낮은 부작용 보고율, 보건의료제도 미흡, 환경중의 의약물질 노출, 온라인 판매 증가, 소비자용 의약품 설명서 미흡 등의 사유로 소비자 대상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이 필요하며 국민건강증진 및 의약품 안전관리 차원에서 약사에 의한 지역사회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사법, 국민건강증진법 등이 미흡하여 국가에서 만든 안전하고 합리적인 약사용을 위한 많은 자료들이 흩어져 있고 잘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서울지역 약물 교육 실태자료 분석결과를 보면 전체 강의 인원의 77%가 학생(만3세~만18세)이었고 학생을 제외하면 1년간 0.3%의 인구가 학교 밖에서 보건소를 통해 약물 교육을 받았으며 구체적인 교육성과 지표 등은 없었다. 서울지역에서 보건소와 연계해 약물 강사로 활동중인 분들은 2년간 245명이었으며 이중 130명(53%)이 서울시 강사양성과정 참여 약사였고 이중에 107명(82%)이 1개구에서 활동하였으며 27명(11%)의 공직약사가 강사로 활동했다. 서울시 의약품 안전사용 강사양성과정 참여약사 중 197명에게 설문한 결과 총 102부(52%)가 수거되었으며 근무지는 공무원이 41명(40.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병원 26명(25.49%), 약국 개설자 24(23.53%), 약국근무자 3(2.94%) , 기타 근무자8명(7.84%)순이었다. 이중 약물 교육 경험이 없는 자는 22% 였다. 약사가 교육해야할 우선순위 대상은 교육 경력자와 비경력자 모두 첫번째로 의약품 사용량이 많은 어르신, 의료수급자를 꼽았다. 교육 경력이 있는 응답자들의 애로사항을 보면 현안업무로 시간부족이 97%, 교안작성기술부족이 85.1%, 약에 관해 어느 정도 알려줘야 할지 통일된 기준이 없는 것이 77.6%였다. 차별화된 강사 양성과정 요구도가 매우 높게 나왔으며 응답자의 91%, 교육경력이 있는 응답자의 95.6%가 초보 강사 교육 과정에서 강의시연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강의시연이 필요한 경우 가장 적절한 방법은 응답자의 50.9%가 실제 현장에 참관하는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강사양성과정 교육내용은 약사연수교육계획서 상의 교육과목과 거의 겹치는 임상약학, 사회약학적 내용과 강의기술(의사소통)에 대한 것들이었다. 강사양성 발전방안으로 교육에 관심 있는 경력단절 약사의 교육, 수료와 인증의 연계를 선택한 비율이 각각 98%로 가장 높았다. 또 온라인 통신교육실시를 원하는 비율도95% 였다. 임상약학, 사회약학 분야 내용 강화 , 온라인 교육의 필요성이 높은 것은 최근의 약사 연수교육 개선방향 연구와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제도적, 경제적 여건상 지역사회 약사에 의한 마약류를 포함하는 모든 의약품의 안전사용 교육은 꼭 필요하여 약사에 의한 교육대상 1순위는 약사용이 많고 약에 대해 교육받은 적이 없는 어르신이나 의료수급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강사양성과정 및 약물 교육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시간부족을 호소하는 강사들을 위해 교육에 관심 있는 약사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홍보를 강화하여야 하며 두 번째 소비자 대상 체계적인 약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수료와 인증을 연계하고, 지역사회 주민의 약물 오남용 실태와 원인을 파악하여 성과지표를 만들어 거기에 적합한 차별화된 강사양성과정을 마련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약학대학 등 학계 혹은 의약품 적정사용을 위한 제3의 기관 등과 연계하여 강사양성과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세번째로 약사마다 부족한 과목의 차이가 있고 시간부족을 호소하므로 온라인 교육을 시도하고 초보자강사양성과정에서는 현장참관시간이 있어야 한다. 약물 교육 강사양성과정에 필요한 내용들은 선진국 약대 교육과정이나 대한약사회의 연수교육과목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의약품 안전관리 및 국민건강증진과 직결되는 내용들이므로 6년제 약대교육 중 실습과정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으며 약물 오남용 예방업무를 기획하거나 직접수행할 수 있는 공직약사나 경력단절약사들을 약사 연수교육 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 국민건강증진업무를 수행하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예산지원 등 사업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약사법과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검토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