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 매뉴얼의 작성과 적용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 다섯 편을 중심으로

        정유경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99

        본 연구는 장애인 관객을 고려한 배리어프리 연극의 제작 방법을 담은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을 소개하고, 매뉴얼을 기반으로 연극 다섯 편의 사례를 살펴보며 배리어프리 연극의 제작 가능성과 매뉴얼의 효용성을 살펴보는 고찰을 담고 있다. 장애인 인권이 신장하며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당위성이 입증되며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관심과 사회적 움직임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실태를 살펴보면 그 참여율이 미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장애인과 문화예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작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향유 중심의 연구들은 시설 중심의 물리적 접근성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공연예술계에서 배리어프리 공연이 주목받으며 지원과 제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시점에서 창작자를 중심으로 한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을 위한 매뉴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발간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부터 공연 후까지의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고려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의 필요와 함께 배리어프리 연극에 대한 이해를 도울만한 패러다임과 정보를 공유하고, 실제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조건과 단계에 대한 안내를 제시하며,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유관 기관 연락처 및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진행한 연극 다섯 편을 중심으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을 기반으로 공연마다 나타나는 특징과 시도했던 배리어프리의 적용을 정리하고, 종합적으로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섯 편의 연극은 매뉴얼이 제시하는 내용을 대부분 실행했으며, 공연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시도도 엿볼 수 있었다. 배리어프리 연극 준비 과정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목표 설정과 예산 운용을 포함하여 객석 배치, 공연 후 의견 수렴에 대한 부분을 공통으로 실행하였다. 이외에도 대상 관객 설정에 따라 음성해설과 문자통역, 수어통역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매뉴얼에서 다루는 공연 내용 접근성 설계가 실현가능한 것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각 공연은 이뿐만 아니라 매뉴얼에서 제공하고 있는 요소들을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수행했다. 위의 연극 다섯 편의 제작과정 및 결과를 통하여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배리어프리 연극 실현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연과 장애 또는 배리어프리 관여 정도에 따라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관여도에 따라 공연을 분류하기도 하였다. 사례 연구의 한계와 발전을 위해서는 시설 접근성 점검을 제안하기보다는 교내 시설에 대한 접근성 상황을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외부 전문가와의 소통 방법과 홍보 및 모객에 대한 상세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또한 매뉴얼에서 한정하고 있는 대상 관객이 확대되어야 하며, 체크리스트의 효용성 문제를 대비한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매뉴얼은 다섯 편의 사례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공연의 특성을 살려 창의적인 연극 제작이 가능하다는 제작 가능성과 매뉴얼의 효용성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다섯 편의 사례는 개정과 증보를 통해 매뉴얼을 발전시킬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 사례를 지속해서 축적하여 추후 배리어프리를 시도하려는 창작진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되어, 문화예술 공연 관람 및 감상에 있어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동등한 예술 향유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which contains the production method of barrier-free plays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In performing arts, performances that focus on audienc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are called barrier-free performances. Nowadays, as barrier-free performances are drawing attention in the performing arts, and as support and production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the need for a manual for producing barrier-free performances centered on creators has emerged.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published by the School of Drama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ontains information on how to produce barrier-free plays,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audiences with disabilities from pre-production to post-performance. This study is centered around the five plays that have been performed at the School of Drama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based on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For each performance, the study shows how the barrier-free factors were applied using the manual.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results, and limitations of a barrier-free performance. Based on the five case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is effective in realizing barrier-free plays and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by accumulating additional case studies. The manual will not only be a useful guide for creators who want to try barrier-free in the future but also be a step towards providing both audiences with disabilities and audiences without disabilities with equal opportunities to enjoy and appreciate arts.

      • 시각장애인의 시각예술아카이브 접근성 연구

        박성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16062

        시대적 변화로 인해 뮤지엄의 접근성 개념이 점차 확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의 뮤지엄 접근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한국에서는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 중장기계획(2019~2023)」과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을 거치면서 관련 논의와 연구가 급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주로 뮤지엄 내 전시, 교육, 혹은 담론 형성을 위한 시도와 같이 눈에 띄는 부문이거나 추상적인 부문에 관하여 집중되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각예술아카이브에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연구하는 것은 예술계나 기록계에서 그동안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어쩌면 고려할 수 없었던 지점이었다. 장애 접근성 확보를 위해서는 제도, 기물, 인력 등 다양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아카이브라는 특성 자체가 뮤지엄 내 전시, 교육 등의 부문과는 달리 눈에 띄지 않는 영역으로 구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막연한 일이며, 당장 눈앞에 놓인 시각예술아카이브를 운영하고 기록물을 다루는 것만으로도 벅찬 상황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를 발표하는 것은 국내에서 정책적으로 장애 이슈를 다루고, 뮤지엄에서도 장애 이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며, 아카이브의 기능과 가치가 주목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시각장애인의 시각예술아카이브 접근성’을 논하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적용이나 물리적, 심리적 장벽 없애기(Barrier free)만을 해결 방안으로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비장애 중심적인 시각예술아카이브 운영에 대한 반성 및 시각장애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아카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배리어컨셔스(Barrier conscious) 개념을 주축으로, 시각장애 당사자의 접근성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 부문의 기록접근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개발함으로써 소수자의 자료 접근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작업이 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시각예술아카이브의 존재를 알고, 시각예술기록에 관한 필요성을 조금씩 파악해가도록 돕는 것도 ‘모두’를 위한 공간을 지향하는 현대 뮤지엄에서의 중장기적 아카이브 역할 및 운영에 유의미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With gradual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useum accessibility over time, the accessibility of museu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brought up as a topic of discussion. In Korea, there has been a surge in related discussions and research following the “Mid to Long-Term Plan for Museum and Art Gallery Promotion (2019-2023)”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9 and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However, these prior attempts have been mainly limited to visible or abstract sectors including exhibitions in museums, education, or attempts to form discourse. There have been som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considering the examinations on the accessibil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to visual art archives, which is attributable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systems, equipment, and human resources, required to be met in order to secur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and the nature of the archive representing an area built inconspicuously, unlike areas as exhibitions and education within museums. Despite the issue being fairly vague, and daunting situation just by running a visual arts archive and handling records, the present author determined that it was an appropriate time to discuss due t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disability issues are being addressed through national policies, museums are actively discussing disability issues, and the function and value of archives are also being recognized. In this study, the solutions presented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were not just limited to applying universal design or remo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Rather, it is aim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improve accessibility condition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y focusing on the reflection on the operation of a non-disability-centered visual arts archive and concept of barrier consciousness, which can be applied to archives by viewing visually impaired people as they are.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minority access to materials by raising the topic of developing new ways to access records in the field of arts. Additionally, helping the visually impaired to become aware of the existence of visual art archives and to gradually understand the needs regarding visual art records are expected to present meaningful direction for the mid- to long-term role and operation of archives in contemporary museums that represent a space for ‘everyone’.

      • 예술작품 감상 접근성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음악 매칭 솔루션 제안

        정하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15967

        현대 예술은 작품을 단순히 시각으로 감상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감상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문화예술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고 감상에 도움이 되는 청각 인터랙션의 사운드스케이프를 설계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의 회화와 음악매칭 솔루션을 제안하였다. 회화와 유사한 특징점 분포를 가진 음악 매칭을 위한 딥러닝 네트워크를 구현하였고, 회화와 음악이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에 대해 정안인을 대상으로 Likert 5점 척도의 적합도 평가와 멀티모달 평가를 수행하였다. 멀티모달 평가는 다중감각 예술작품 설계를 위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평가 결과는 제주 ‘빛의 벙커(Bunker de Lumières): 반 고흐’에 전시된 음악과 딥러닝이 선정한 음악이 어느 정도 대등한 결과가 나타났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회화와 음악 매칭 솔루션은 사운드스케이프 설계에 대한 방향성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시각을 넘어 다중감각을 통해 보다 풍부하고 새로운 미적 경험을 제공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매칭 기술을 통해 선정된 음악을 3D 촉각 그림에 적용하여 청각과 촉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작품을 설계하였다. 이후 시각장애인에게 어떠한 감상 경험을 주었는지에 대해 평가 항목에 따라 작품 감상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딥러닝 기술은 회화와 잘 어울리는 음악을 매칭함으로써 감상자에게 흥미를 일으키고 공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의 음악 매칭 솔루션을 통해 감상자에게 보다 풍부한 감성을 전달하고 시각 감상이 어려운 시각장애인에게 문화예술의 감상 접근성을 향상시켜 예술 분야에서 문화 향유권을 확대하고 정안인과 시각장애인 사이의 예술작품 감상의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Modern art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appreciating artworks by utilizing various senses beyond simply appreciating artworks through the ey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y has greatly influenced culture and artworks. This study proposed painting and music based on deep learning matching solution to design a soundscape of auditory interaction that enhances accessibility to appreciation of artwork and helps appreciation. We implemented a deep learning network for music matching with a distribution of feature similar to painting and for how well painting and music fit together, the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and evaluation in a multimodal aspect were conducted for sighted people. Multimodal evaluation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measure new user experiences for designing multisensory artworks. The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the music exhibited in ‘Bunker de Lumières: Van Gogh’ in Jeju island and the music selected by deep Learning were somewhat equal. Matching painting and music solution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presented directions and guidelines for soundscape design and it provides a richer and new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multisensory beyond vision. Furthermore, the music selected through the matching technology of this study was applied to a 3D tactile picture, and the artwork was designed to be appreciated with a sense of hearing and touch. Afterwards, we performed appreciation evaluation artwork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to see what kind of experience this artwork provided to visually impaired peopl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proposed in this study can induce interest and empathize with listeners by matching music that goes well with painting. Through music matching solution based deep learning applied in this study, we will deliver rich sensibility to viewers and expand the right to enjoy culture in the art field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art works to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It is expected that the gap in artworks appreciation between sighted people and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will be reduced.

      •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과 관람행동의 관계에서 관람의도의 매개효과

        전상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9631

        공연예술 분야는 다양한 장르가 있다. 잔잔한 선율을 제공하는 클래식, 정감있는 국악과 화려한 조명 아래 펼쳐지는 대중음악, 심오한 표현을 나타내는 무용과 삶의 애환을 그려주는 연극 등 있다. 이러한 여러 장르에 따라 선호하는 관객층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무엇이 사람들을 객석으로 이끌고 있을까? 공연예술 관람은 공연장소의 접근성이나 출연자의 지명도에 따라 관람의도나 관람행동이 각각 달리 난다. 또한 작품의 속성이나 공연장의 거리 또는 부대시설의 편의성 등에 따라 공연관람 참여도가 달리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첫 번째 목적은 공연예술 관람경험이 가치지각, 지각된 비용, 공연예술작품의 속성, 그리고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두 번째,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이 가치지각과 지각된 비용, 공연작품의 접근성,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첫 번째, 관객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공연을 기획하고 연주자 또는 배우입장에서도 보다 가깝게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두 번째, 응답자의 공연 예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시설의 확충 또는 주요 편의시설 개선 등 대중적인 공연예술 발전을 위하여 공적지원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강원도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관람경험, 가치지각, 작품접근성, 공연시설, 관람의도, 관람행동에 관한 설문조사(N=399)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먼저, 성별과 연령별 인식의 평균차이를 분석하였고, 변수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공연관람 경험, 가치 지각, 작품접근성, 관람의도, 관람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과거 공연관람 경험, 가치 지각, 지각된 비용, 공연작품 속성, 관람의도 그리고 관람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가 성인들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목적은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에서 관람의도의 매개효과 검증이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6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관람경험은 내적 가치와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적 가치와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관람경험은 달성 가치와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달성 가치와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관람경험은 유용성 가치와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유용성 가치와 관람의도는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네 번째, 관람경험은 지각된 비용과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달성 가치와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 관람경험은 작품 접근성과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작품 접근성과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람경험이 세 가지 가치지각과 지각된 비용, 작품 접근성 및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 수준이 공연예술에 대한 내적 흥미와 중요성, 유용성을 지각하는데 기여하고 공연예술의 관람을 위해서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투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접근 자체가 용이할수록 공연예술을 관람하려는 동기를 불러일으키며 이렇게 증가된 관람의도는 실제 관람행동을 높여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관람경험 수준이 지각된 가치요인과 비용, 작품 접근성 그리고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 연령별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많은 그리고 다양한 공연기획들이 구조적 한계(장소, 시간, 비용 등) 때문에 장기적 기획보다 단기적 또는 일회성 기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선호도와 장르를 고려하여 보다 심층적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예술가와 관람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공연기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연장소는 연주자와 배우 등 공연 관계자뿐 아니라 관객, 즉 시민들의 접근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공연장은 단순히 공연과 관람만 이루어지는 곳이 아니다. 관람을 위하여 참여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표소나 안내 데스크, 그리고 안내 표지판 등 공연을 위한 시설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에 필요한 편의시설(대화장소 등)같은 시설을 확충하여야 하며, 특히, 장애인에 대한 편의시설도 충분히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대중화된 공연예술 분야 발전을 위하여 공적 지원의 필요성을 적극 검토하여야 한다. The performing arts include the different types of genres. They range from rhythmically calm classical music, affectionate Korean music, popular music performing on the stage and theatrical lighting equipments, dance expressing our deepest feelings, and theater expressing hard life. For this, audiences participate in different ways in different kinds of performing arts. What does call the audience to stages? Viewing the performing arts and its relation to the intention to watch again depend on its accessible performance spaces or reputation of cast members. The characteristics of works, location of performance place,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also affect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performance vie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experience with performing arts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viewer perception of value, perceived cost, work accessibility, and intention for viewing them. The second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whether it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udy variables are invariant across gender.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managing various performances able to enhance viewer’s satisfaction and allow players or actors easy to get audiences. In addition, justifications for the public support of the performing arts based on audience’s attitude of performing arts were suggested in terms with expansion or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place facilities as a way for developing performing arts. Subject were 399 citizens residing in Kangwon-do and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visitors experience, perceived values, work characteristics, facilities of performance places, audience intention, and visitors behaviors.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mean difference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correlation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investigating a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st viewing experience of performance, perceived values,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works, audience intention, and visitors behavior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esting the invariance in its causal relationships across gender.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udience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and visitors behaviors. The results of analyzing six-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audiences’ past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has a direct and indirect on viewing behaviors through both intrinsic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as a mediator. Second, the audiences’ past visitors experience has a direct and indir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attainment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It shows that attainment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experience and visitors behaviors. Third, past visitors experience has only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usefulness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viewing experience and viewing behaviors did not mediate by usefulness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Fourth, past visitors experience has only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perceived cost and audience intention. This results implies that perceived cost and audience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experience and visitors behaviors. Fifth, visitors experience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work accessibility and viewing intention. this result shows that work accessibility and audience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experience and visitors behaviors. Lastly, the effect of visitors experience on visitors behaviors via three factors of values, perceived cost, work accessibility, and viewing intention was variant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tents of visitors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not only contributes to the perception of viewer’s intrinsic interest, importance, and usefulness, but also needs to invest in time and money in order to view the performing arts. Accessibility to performance place is essential for people who want to view the performing arts. This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audience intention toward performing arts helps enhance actual visitors behaviors because the extent of accessibility may increase one’s viewing motivation. Especial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visitors experience levels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perceived value factors, cost, work accessibility, and audience intention are different by gender. The following is a useful policy recommendation that can vitalize the performing arts programs. It is commonly known that most of the management for performing arts in Korea is prepared by short-term or disposable plans instead of long-term plans because of its operational limits such as place, time, and production costs. To solve this problem, performance planning needs a systematic and structured approach to successfully fulfill the viewers’ satisfaction through in-depth survey analysis considered their preferences and genres. Moreover, accessibility to performance places should be considered as fully comfortable all of players, actors, steps, and audiences. Performance place is not a mere space in which a performance and viewing takes place, but an area where different types of audience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ke meaning of its experience. Therefore, many facilities for performance including ticket box office, information desk, and guide sign, and conveniences (chat room for conversation, etc.) necessary to interact with others should be enlarged. Especially, some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s fully considered and installed. Finally, the necessity of public support should be closely examined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