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 문법 평가 유형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

        허진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970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bout English grammar testing typ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172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mposed of 25 questions. The respondents needed to refer to 9 examples of English grammar tests to answer the questions. Suggested sample tests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4 types of response required of the learner. The survey questions were 9 items on respondents’ background, 1 item on their belief in the need of evaluating grammatical knowledge, 1 item on their judgment on the way the sample tests assessing learners, 2 items on the test effectiveness, 2 items on their preference of test use from a personal view, 2 items on their preference of test us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and 8 items on their evaluation on the test usefulness. The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hought that the one that measuring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four skills(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was written composition, which belongs to the free constructed response. Second, man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hos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s(metalinguistic judgments type) as the most effective one to measure learners' grammatical ability, while choosing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as the most ineffective one. From a personal view, most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o use gap-filling(constrained constructed response type) to test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likely to use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to test learners’ grammatical competence. Third,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evaluations on the sample tests’ usefulness were high in the order of written composition(free constructed response type), gap-filling ‧ sentence combining ‧ paraphrase, completion, cloze(constrained constructed response type), error identification(selected response typ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s(metalinguistic judgments type), and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The written composition(free constructed response type) was scored highest in construct validity, authenticity, interactiveness, and impact, but lowest in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Contrastively,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was rated highest in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whereas lowest in construct validity, authenticity, interactiveness, and impa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ve that the less controlled the test is, the more it assesses the examines’ grammatical knowledge in an integrative way. Second, taking account of the fact that respondents preferred to use gap-filling(constrained constructed response type) and regarded its test usefulness highly, it seems that they would like to use a test which they think to be useful. Third, however, there seems to be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ir personal beliefs and practical judgments. Fourth, it seems that the considerations of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take precedence over those of other qualities for them, and this tendency is often observed from those of test users as well. By strengthening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on the assessment and test development, we can improve their comprehension in the assessment process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tasks. Also, by providing qualified educational settings, we can reduce differentials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erformances. Further, by developing and offering test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and also have maximized test usefulness, we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esting students’ grammatical knowledge. 본 연구는 영어 문법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 유형과 문항에 대한 중등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평가 목적에 적합하면서도 유용한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평가도구의 난이도, 변별도, 측정 결과의 신뢰성과 같은 평가 문항 본연의 성격에 관해 분석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의 출제자인 예비 영어 교사들이 영어 문법 평가와 유형에 관해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평가 유형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졌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H 대학교에서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예비 영어 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후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확인을 위해 사용한 연구 도구는 설문지이다. 설문을 위해 영어 문법 평가의 네 가지 유형(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 선택형, 통제된 서답형, 제약 없는 서답형)에 속하는 아홉 가지 문항의 예시(문법성 판단 과업, 선다형, 오류 확인, 완성형, 빈칸 메우기, 바꾸어 표현하기, 문장 연결, 빈칸 채우기, 작문)를 제시하였다. 예비 영어 교사가 영어 문법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졌는지 확인 후, 예비 영어 교사들은 제시된 문항 중 통합적 언어 능력의 활용을 바탕으로 문법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 평가 문항으로서의 효과성이 높은 문항, 개인적으로 출제를 가장 선호하는 문항, 현실적으로 출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 문항의 유용성(신뢰도,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 실용성)이 높은 문항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해 빈도 분석과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영어 교사들은 영어 문법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지며, 제시된 영어 문법 평가 유형 중 통합적 언어 능력 활용을 통한 평가에 해당하는 유형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둘째, 예비 영어 교사들이 평가 문항으로서 효과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 개인적으로 출제를 선호하는 문항, 현실적으로 출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은 무엇인가? 셋째, 예비 영어 교사들이 시험 유용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문항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등 예비 영어 교사는 영어 문법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비 영어 교사들은 평가 시 언어의 통합적 능력 활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유형은 제약 없는 서답형, 언어 기능의 활용을 가장 제한하는 유형은 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이라고 판단하였다. 둘째, 가장 많은 예비 영어 교사들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 능력을 평가하기에 제일 효과적인 문항으로 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인 문법성 판단 과업, 비효과적인 문항으로 선택형인 선다형을 골랐다. 예비 영어 교사들이 개인적으로 가장 출제를 선호하는 문항은 통제된 서답형인 빈칸 채우기이며, 가장 선호하지 않는 문항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실적으로 가장 출제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문항은 선택형인 선다형이며, 가장 출제 가능성이 작을 것으로 생각하는 문항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이었다. 셋째, 제시된 문항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시험 유용성 평가 결과, 예비 영어 교사들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 통제된 서답형인 빈칸 채우기‧문장 연결‧바꾸어 표현하기, 완성형, 빈칸 메우기, 선택형인 오류 확인, 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인 문법성 판단 과업, 선택형인 선다형 순서로 시험의 유용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유용성 평가의 최고점을 받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은, 구체적으로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신뢰도, 실용성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최저점을 받은 선택형인 선다형은 신뢰도, 실용성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언어 능력의 활용을 유도하는 유형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판단을 통해 예비 영어 교사들은 시험의 통제도가 낮은 문항일수록 언어의 통합적 기능의 활용을 유도하여 문법적 지식을 평가한다고 여김을 알 수 있다. 둘째, 통제된 서답형인 빈칸 채우기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개인적 출제 선호도와 시험 유용성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을 통해, 예비 영어 교사들은 시험의 유용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문항을 개인적으로도 출제하기를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 영어 교사들의 출제 선호도와 시험 유용성 평가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예비 영어 교사들은 출제에 있어 신뢰도와 실용성을 중시하며, 이를 통해 타당도와 진정성보다는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출제자들의 경향이 예비 영어 교사들에게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개인적 출제 선호도 및 비선호도, 현실적 출제 선호도 및 비선호도 사이의 비율 차이가 꽤 큰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영어 문법 평가 문항 출제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개인적 신념과 현실적 판단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 및 문항 제작에 관한 예비 영어 교사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문법적 능력의 속성과 시험 과업의 속성에 대한 출제자의 이해를 증진하고, 교육 환경의 한계로 인한 교사의 신념과 수행 사이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 또한, 통합적 언어 능력 활용을 통한 영어 문법 평가를 위해 시험 목적에 적합하면서도 시험 유용성이 극대화된 문항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

        도유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nd their factors,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beliefs. Therefore, a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o study individual’s educational belief and its factor of formation in depth. Study process consisted of preliminary research and main research. Preliminary research included validity of questionnaire and feedback on revisions from interviewee’s perspective, and problems in actual interviewing process and correction of problems from interviewer’s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pproximately 43 minutes on 2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for music educatio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After the interview, corrections were made based on feedbacks about the interview contents and method. In main research, 5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for music educatio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were selected using purposeful sampling. Af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pproximately 47 minutes on their perception of educational beliefs, values, and attitude. At this time, the revised open-end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hich consisted of 9 questions based on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he 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nd significance of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115 notions were drawn regarding questions on 3 beliefs in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and the analysis of such notions established 9 higher categories and 29 lower categories. Therefore, results on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perceived belief in music education as emotional exchange with students, self-management to qualify as a teacher, and reinforcement of teaching competency to improve quality of class. In particular, they perceived encourag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proactively as an important factor in teaching competency improvement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class. Second,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usic teachers originated from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s a student in the past, significant educational field experience as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and perception on overall growth process. Therefore, all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experienced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ird,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usic teachers are important to establish desirable image of teacher, improve quality teacher’s life, and form proper values in education. In other words, belief in music education serves as the criteria in setting proper direction in all processes of education, and helps them maintain their initial resolution throughout long years of teaching life. Also, the satisfaction of occupation formed through this connects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affect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nd teacher and student as well.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beliefs in music education, its formation factors, and importance of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had been conducted quantitatively until now, in depth. In this perspectiv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useful data in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by suggesting its types and formation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 can be mad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formation factors, and significance of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but did not present the paradigm of its formation process. Therefore, a grounded theory approach-based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beliefs perceived by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may suggest a paradigm model to draw a theory. Second, it is important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training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deal with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hat influence educational beliefs, and therefore, studies on educational models may be conducted. Through this, significant help may be provided for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forming desirable belief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과 그 형성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신념형성의 중요성과 이에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개인이 개별적으로 지니는 교육신념과 그 형성요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예비연구와 본 연구의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예비연구는 면담자의 입장에서 질문지의 타당성 및 수정할 내용에 대한 피드백과 연구자의 입장에서 실제적인 면담과정에서의 문제점 발견 및 문제 수정 등을 위하여 진행하였다. 현재 음악교육전공의 양성과정으로 교사양성기관(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음악교사 2명을 대상으로 약 43분 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진행한 뒤 면담내용 및 방식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인 목적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현재 음악교육전공의 양성과정으로 교사양성기관(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학교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5명의 예비음악교사를 선정하였다. 그 후 이들이 인식하는 교육신념에 대한 생각, 가치관 및 태도 등에 대한 내용으로 평균 약 47분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정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반구조화 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예비 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 예비 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의 형성과정, 예비 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의 중요성의 3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총 9개의 하위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3개의 교육신념에 대한 질문항목 관련하여 115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범주화한 결과, 9개의 상위범주와 29개의 하위범주가 규명되었다. 이에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음악교사는 교육신념을 학생들과의 정서적 교류,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자기관리,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역량강화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역량강화에서의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을 유도하는 것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은 과거 학생으로서의 교육적 경험, 예비중등음악교사로서 의미 있는 교육현장경험, 전반적인 성장과정에서의 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어 형성되었다. 따라서 예비중등음악교사가 과거에 경험한 모든 교육적 경험이 교육신념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은 바람직한 교사상 수립과 교사 개인의 삶의 질 향상, 교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해 중요하다. 즉, 교육신념은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교육의 모든 과정에서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며, 오랜 교직생활동안 초심을 잃지 않도록 하는 뿌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형성된 직업에 대한 만족감으로 인하여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까지 연결되며, 교육신념에 따른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양적연구로만 진행되었던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에 대한 연구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행함으로 교육신념의 유형과 그 형성요인, 교육신념의 중요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알아보았음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의 유형과 형성요인을 제시하며 그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의 유형과 형성요인, 그리고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나, 그 형성과정에 대한 패러다임을 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신념에 대한 근거 이론적 질적 연구를 통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여 하나의 이론을 도출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둘째, 중등음악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교육신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교육내용이 다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이를 위한 교육모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예비중등음악교사의 바람직한 신념형성에 유의미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분석

        김수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의 수학적 신념과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고 수학적 신념과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요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 중등수학교사 교육에 시사점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특성은 어떠한가? 2..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교과 역량의 중요도 인식은 어떠한가? 3. 예비 중등수학교사가 가진 수학적 신념의 각 요인과 수학 교과 역량의 중요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커트 4점 척도 설문을 통한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사도구는 수학적 신념을 묻는 43문항, 수학 교과 역량의 중요도를 묻는 문항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권에서 1군데, 전라도권에서 2군데, 경상도권에서 2군데, 충청도권에서 3군데의 학교를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 3,4학년 학생들과 교육대학원 및 일반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한 245명의 연구 대상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3명을 제외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신념에 대한 문항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정관념 신념과 교사주도 신념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우세하였고, 나머지 신념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일부 문항에서는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둘째,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이 가진 수학적 신념 요인 중, 상관관계가 있는 신념 요인이 존재하였다. 자아 개념에 대한 신념인 자신감 요인이 다른 요인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뒤이어 수학 교과에 대한 신념인 유용성 요인,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인 활동적 참여 요인, 자아 개념에 대한 신념인 흥미요인과 선천적 능력 요인이 다른 신념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상관관계 중 유일하게 교사주도 요인은 모든 요인과 음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그 중 선천적 능력과는 비교적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성별과 학교급 간의 수학적 신념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평균비교를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전성, 흥미, 자신감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학교급 간의 수학적 신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문항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인 ‘협력적 문제 해결’과 태도 및 실천의 하위 요소인 ‘시민의식’에는 20% 이상이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나 나머지 역량에 대해선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다섯째,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의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대체적 긍정적이며, 성별 또는 학교급간의 중요도 인식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학 교과 역량 간 모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남녀간의 평균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학교급에 따른 중요도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이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수학적 신념과 수학 교과 역량의 중요도 인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활동적 참여 요인과 과정 요인이 모든 교과 역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에 반해, 교사주도 요인은 모든 교과 역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일곱째,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큰 영향을 주는 신념 요인은 활동적 참여 요인이었으며, 뒤이어 과정요인이 태도 및 실천 역량 외에 모든 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 외에 역량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신념 요인에 차이가 있었는데, 자신감 요인이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역량에, 끈기요인이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선천적 능력과 유용성 요인이 태도 및 실천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교사주도 요인 또한 창의․융합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은 일부 신념(교사 주도, 고정관념)에는 부정적이었으나, 대체적으로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과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과 가지고 있는 인식이 중요하며(최승현, 곽영순, 노은희, 2011), 인식 중 교사의 신념은 교수학적 전략과 말과 행동에도 반영된다. 또한 교사들이 가진 신념은 학생들이 가진 수학적 신념과 강한 상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Carpenter et al., 1989, 1999; Nathan & Koedinger, 2000a, 2000b) 예비 교사들이 가진 긍정적인 신념이 학생들에게도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예비 중등 수학교사들은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6가지 핵심 역량을 기를 것을 강조하면서 각론에는 핵심 역량을 반영한 교과 역량을 선정하였다(교육부, 2015a, 2015b). 이에, 예비 중등수학교사 교육과정 중 교과 역량에 대한 내용을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중 수학교육론시간에 주로 학습하게 된다. 수학교육론은 학부 2학년 1학기 ~ 3학년 1학기 사이에 설강되는데, 설문을 진행한 시기에는 이미 수업을 통해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해 학습이 되었던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교육대학원이나 일반대학원의 경우, 입시 시험에 “수학교육론”이 시험 과목 또는 범위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개인적으로 공부해서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거나 학부 때 개설된 수학교육론 수업을 듣고 준비를 한다. 이에 학부 또는 대학원 수업에서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학습이 잘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을 계속 양성해야 한다. 셋째, 수학적 신념 중 일부 요인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나 학교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성별이나 학교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성별, 학교급 외에 수학적 신념 요인과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있는지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이 학생들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지향하고 결과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념을 가질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학 교과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을 갖춘 학생들을 길러내기 위해선 교사 중심의 수업을 지양해야 한다. 분석 결과에서 활동적 참여 요인과 교사주도 요인이 서로 반대되는 응답을 보였고, 수학 교과 역량과의 상관관계도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교사 중심의 수업보다 학생 중심의 수업을 지향할 수 있도록 예비 교사 교육에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한국과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 신념과 교수 실제 인식 비교

        쩐 응우웬 응우웬 헌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 신념 및 교수 실제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베트남에 소재한 대학교와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과 4학년 예비 유아교사 총 322명으로 설정되었다. 측정도구는 예비 유아교사용의 설문지로 제작되었다. 설문지 내용은 임은정(2007)의 연구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적합한 신념에서는 3학년에 있어서 한국 예비 유아교사가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보다 높았고, 4학년에 있어서 한국과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가 같다. 한국에서는 3학년과 4학년 예비 유아교사는 적합한 신념이 같았고, 베트남에서는 3학년 예비 유아교사보다 4학년 예비 유아교사의 적합한 신념이 높았다. 둘째, 부적합한 신념에서도 3학년에 있어서 한국 예비 유아교사가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보다 높았고, 4학년에 있어서 한국과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가 같다. 한국에서는 4학년 예비 유아교사보다 3학년 예비 유아교사의 부적합한 신념이 높았고, 베트남에서는 3학년과 4학년 예비 유아교사의 부적합한 신념이 같았다. 셋째, 적합한 실제에서 3학년과 4학년에 있어서 한국 예비 교사가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보다 높았고, 부적합한 실제는 차이가 없었다. 한국에서는 4학년 예비 유아교사보다 3학년 예비 유아교사의 적합한 실제가 높았고, 베트남에서는 3학년과 4학년 예비 유아교사의 적합한 실제가 같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의 교육 신념과 교수 실제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과 베트남 예비 유아교사는 교사교육을 통하여 교사 신념을 형성하지만 그 이전에 이미 자신의 사회문화적인 가치에 기초한 신념체계를 배경으로 가진다는 것이다. 교수 실제에서 예비 유아교사가 교육에 의하여 형성한 교육 신념체계보다 사회문화적 가치에 의하여 이미 배경으로 가지고 있는 기존 신념체계에 의해 행동할 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과를 토대로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발달에 적합한 교육 신념과 교수 실제에 관한 더욱 깊이 이해 도모와 이의 실천적 적용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ducational beliefs and perception on teaching practices. The total objects of research are is 322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 in Korea and Vietnam. Research tools used survey sheets preserved, corrected and edited from survey sheets’ content of Lim, Eun-Jung (2007). SPSS 12.0 was used for data in order to analyze data, average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use two-dimensional variabl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n appropriate belief, with third year situation, Korean pre-service teachers are higher than Vietnamese pre-service teacher. But with fourth year situation, Korean and Vietnamese pre-service teachers are the same. In Korea, third and fourth year pre-service students have the similar appropriate belief, but in Vietnam, appropriate belief of fourth year pre-service students are higher than third year pre-service students’. Second, in appropriate belief, with third year situation, Korean pre-service teachers are higher than Vietnamese pre-service teachers, but with fourth year situation, Korean and Vietnamese pre-service teachers are the same. In Korea, third year pre-service students’ appropriate belief are higher than fourth year pre-service teachers. In Vietnam, third and fourth year pre-service teachers have similar inappropriate belief. Third, in perception on appropriate practices, with third and fourth year situation, Korean pre-service teachers are fully higher than Vietnamese pre-service teachers, but in perception on inappropriate practices have no difference. In Korea, perception on teaching practices of third year pre-service teachers is higher than teaching practices of fourth year pre-service teachers. In Vietnam, third year pre-service teacher and fourth year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same perception on appropriate teaching practices. From the research result, we can se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beliefs and perception on teaching practices are formed via teacher training process, but influenced by specific cultural social context of nation. From that, pre-service teachers' appropriate education belief and perception on appropriate teaching practices with the development will be firmly strengthened and positively applied in the teaching practices later.

      • 명시적 영어 문법 교수 후, 입력중심, 출력중심 문법 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선호도 및 신념에 관한 연구

        황지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33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fs and preferences about post grammar activities (input-based, output-based) after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fs and preferences about post grammar activities when the level of grammar items and students' level are used by variables for the study.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a total of 88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ho are students of Hankuk University participate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s made by referencing Valeo and Spada (2015) and Lee (2014). The data which are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22.0. The major findings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refer doing mixed activity(input-based + output-based activity) rather than just doing input-based activity or output-based activity after teaching explicit grammar. Second, when doing research abou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fs in applicability of class of three activities (input-based activity, output-based activity, and mixed activity), they show their preference in this order, mixed activity > input-based activity > output-based activity. Third, as the variable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grammar,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level of grammar item separated into two, more difficult level and easier level. On the assumption tha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each more difficult level of grammar item, they shows preferences as follows, mixed activity > output-based activity > input-based activity. While suppose that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each easier level, they prefer mixed activity most and preference of the rest of two activities are the same. Lastly, with the variable setting the students' level, when students' level is divided into higher level, lower level, and mixed level, pre-service English teachers shows their preferences as the follows. In the case of lower level students, they prefer input-based activity and mixed activity to output-based activity. Next, in the case of higher level students, they prefer to use mixed activity best, and then output-based activity and lastly input-based activity. Whereas, in the case of mixed level students, they are more preferred to use mixed activity than the rest of two activities. Consequently, the results can be inferred from the stud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cognize each of grammar activities well and they seems to try to adapt thes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of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 영어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명시적 영어문법 교수 후 실시할 수 있는 문법 활동인 입력중심, 출력중심, 그리고 입력과 출력중심 혼합 활동에 대한 예비 교사의 선호도와 실제 수업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신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목표 문법항목의 난이도와 학습자의 수준을 변수로 하였을 때의 각 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먼저 각 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예비 교사의 선호도와 수업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상대적으로 쉬운 문법항목과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법 항목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각 문법항목을 지도할 때 선호하는 문법 활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수준이 낮은 학습자일 경우, 높은 학습자일 경우, 수준이 혼합된 경우로 나누어, 각 경우일 때 선호하는 문법 활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재학 중인 사범대 학부생 25명과 대학원생 63명 총 8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설문지와 인터뷰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개방형 문항(이준규, 2014)과, 교사의 신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의 동기가 된 Valeo와 Spada(2015)의 설문지를 참고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하여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반복측정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시적 영어문법 교수 후, 실시할 수 있는 입력중심, 출력중심, 입력과 출력중심 혼합 활동 세 가지 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본적인 선호도에 대한 조사 결과, 입력, 출력중심 혼합활동 > 출력중심활동 > 입력중심활동의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명시적 영어문법 교수 후, 실시할 수 있는 입력중심, 출력중심, 입력과 출력중심 혼합 활동 세 가지 활동에 대한 실제 수업 적용가능성에 대한 예비교사의 신념을 조사한 결과, 입력, 출력중심 혼합 활동 > 입력중심활동 > 출력중심활동의 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영어문법 교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문법 난이도로 설정하여, 난이도가 쉬운 경우와 어려운 경우로 나누었다. 예비 교사는 명사와 대명사, 동사의 기본시제, 그리고 조동사를 상대적으로 쉬운 문법 규칙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법 규칙으로는 가정법, 분사와 분사 구문, 현재완료를 생각하고 있었다. 먼저 상대적으로 쉬운 문법 규칙을 교수할 경우, 예비교사는 입력과 출력중심 혼합 활동 > 출력중심활동 > 입력중심활동을 선호하였다. 반면,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법 규칙을 교수할 경우, 입력과 출력중심 혼합 활동 > 출력중심활동 = 입력중심활동의 선호도를 보였다. 넷째, 영어문법 교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습자 수준을 설정하였고, 학습자 수준을 수준이 낮은 경우, 입력중심활동 = 입력, 출력중심 혼합 활동 > 출력중심활동의 선호도를 보였고, 수준이 혼합된 경우, 입력, 출력중심 혼합 활동 > 입력중심활동 = 출력중심활동의 선호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수준이 높은 경우, 입력, 출력중심 혼합 활동 > 출력중심활동 > 입력중심활동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이 목표 문법항목의 난이도와 학습자의 난이도에 따라 선호하는 문법 활동이 다르게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들이 각각의 문법 활동에 대해서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목표 문법의 난이도와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 수준이 문법 교수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이를 잘 고려하여 수업에 적용하려고 하는 노력이 보인다.

      •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 신념형성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김재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해 형성되는 예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신념형성에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서의 동작교육과 유사한 과목인 체육이나 무용을 통해 형성된 직전경험의 영향, 그리고 대학교의 동작교육 수업과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동작교육 신념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2학년도 1학기 G대학교의 유아동작교육을 수강하는 유아교육학과 3학년 학생 5명과 교육실습을 다녀온 4학년 학생 3명, 총 8명을 대상으로 유아동작교육 수업과 교육실습기간 중 시행된 실습생의 동작수업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들과의 면담 및 관련 문서 수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대학교육을 통한 교사의 신념형성에 직전 교육의 영향이 크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예비유아교사들은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주변교과목으로 파행 운영되거나 스포츠 위주의 엘리트 교육으로 진행되었던 율동이나 체육과 아동중심교육철학이 강조되는 유아동작교육을 다른 교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직전교육이 유아동작교육의 신념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둘째, 대학교육에서의 유아동작교육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초반에는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과 몸을 움직여 표현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꼈으나 수업시연 활동을 통하여 유아동작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유아교사직에 관하여 회의감을 가졌던 예비유아교사마저도 동작활동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실천은 힘들 것이라는 예상에서 예비교사들이 막연하게나마 유치원 현장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예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이론에서 추상적으로 배운 유아들의 수준 및 특성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었으나, 잘못된 전이 활동과 같은 현장에서의 잘못된 관행까지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동작교육 특성 상 표현활동 성격이 강하여 사전경험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진행되지 않은 동작수업을 경험하며 좌절하는 등, 교육실습 경험이 학부 동작수업에서 형성된 자신감을 지속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방해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작교육 신념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임을 알 수 있고, 이는 대학교육이 교사의 신념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 과학사 기반의 유전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지식, 과학학습, 과학교수 상황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변화

        주찬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4

        이 연구는 유전학 분야의 과학사를 기반으로 한 유전 수업 프로그램을 예비교사에게 적용하여, 유전 개념의 이해 수준과 유전현상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전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유전학 분야의 과학사를 기반으로 한 네 가지 주제로 혼합설과 입자설, 멘델의 유전법칙, 중간유전, 세포질유전을 포함한 총 7차시의 유전 수업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전체적인 수업 전개 과정은 과학자의 연구 방법을 가시화하여 체험할 수 있는 모델제시형 모듈과 아이디어 산출형 모듈을 활용하였다. 각 주제별 수업에는 조별 토론 활동이 포함되었으며, 식물 소재로 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교배 및 자손 세대의 표현형 관찰 과정을 포함하여 유전 현상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이렇게 재구성한 과학사 기반의 유전 수업 프로그램은 충청북도 소재의 H 대학교 생물교육 전공 예비교사 12명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유전 개념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유전 개념검사와 유전 현상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필요한 경우, 사후 면담을 통해 추가로 자료를 수집하여 인식론적 신념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과학지식, 과학학습, 과학교수의 세 가지 상황으로 구분하였으며, 정당화 차원과 이론변화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세 가지 상황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일관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유전개념의 이해 수준과 인식론적 신념 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과학사 기반의 유전 수업 프로그램을 수행한 예비교사들은 유전 개념 점수의 평균 Hake gain 값이 0.34로 유전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둘째, 예비교사들의 사전 인식론적 신념 검사 결과에 의하면 과학지식 상황의 정당화 차원에 대한 순박한 견해가 과학학습, 과학교수 상황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았던 반면, 이론변화 차원에서는 과학지식 상황보다 과학학습, 과학교수 상황에서 순박한 견해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났다. 하지만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 후, 과학지식 상황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이 과학학습과 과학교수 상황보다 순박한 견해에서 세련된 견해로 더 많이 변화하였다. 셋째, 유전 개념의 이해 수준과 인식론적 신념 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유전 개념의 이해 향상의 정도에 상관없이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인식론적 신념의 세 가지 상황에 대한 일관성 분석 결과, 비일관적 신념을 나타냈던 예비교사가 프로그램 적용 후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 적용 후 세 가지 상황 모두에서 일관된 신념을 보인 예비교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인식론적 신념이 특정 과학 주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과학지식, 과학학습, 과학교수 상황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과학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남행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11

        한글초록 :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과정을 이수한 교육대학원 재학생 5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사전, 사후 면담을 실시하고 실습일지를 작성하게 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결과 직업으로서의 교직에 대한 신념이 긍정적으로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느꼈던 교사로서의 성취감과 보람 그리고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한 만족감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교사상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현장에서 직접 겪었던 수업운영과 학생 통제의 어려움 때문에 학생들을 이해하고 교과내용을 잘 가르치는 교사보다는 통제 능력을 갖춘 카리스마 있는 교사가 되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과지도 방법에 대한 신념은 현실적인 학급경영상의 어려움을 인식하면서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의 교과 교육 방법에 대한 구체적 변화는 각자가 겪었던 참관수업과 실습수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으로서 실습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즉, 예비교사 모두가 실습 전에는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이나 학생중심 활동 등 다양한 교수방법의 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참관수업과 실습수업에서 이들 방법을 적용해 고무적 학급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이러한 시도가 강화되었으며 반대로 학급 운영상의 혼란과 어려움을 초래한 경우는 새로운 교수법의 적용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실습 과정과 결과는 담임 지도교사의 성향과 교육관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동일한 실습 환경에 파견된 예비교사들의 경우에도 개인적 편차가 두드러졌다. 예비교사들의 참관수업과 실습수업의 횟수 결정, 수업운영 방법에서의 자율성 부여, 학생과의 교류의 양과 질 결정, 그리고 실습일지 등을 통한 피드백 제공측면에서 지도교사들은 실습지도에 있어 심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예비교사들의 실습과정의 특성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음은 물론 궁극적으로 그들의 교직이나 교과 교육 방법에 대한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실습에서의 지도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 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차 효율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예비교사뿐 아니라 지도교사가 효과적으로 실습지도를 할 수 있는 방법의 고안을 위해 실습관련 대학과 실습학교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영문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Korean pre-service teachers' field training experiences and to analyze how these experiences changes their beliefs regarding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Five student teachers were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the student teaching period and requested to write journals during the student teaching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 teachers' beliefs toward teaching profession were reinforced positively. As the result of their interaction with students, they reported, they realized the value of working as a teacher. However, their beliefs in the concept of ideal teachers changed remarkably from a capable and understanding instructor to an efficient student manager. As they realized the difficulty of classroom management, their beliefs about L2 teaching method were to be modified as well. Before the student teaching period, student teachers believed the importance of applying various methods or techniques such as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or student oriented activities in class. When the participants observed any communicative methods applied to class successfully, they were reassured of the effects of CLT and inspired to practice the same techniques or their plans. Yet, those who observed or experienced hardship of classroom management resulting from such activities came to doubt the benefits of newly accepted methods. In relation to these changes, the disposition and philosophy of the guidan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Guidance teachers decided the extent of classroom observation and teaching practices of the student teachers as well as the amount of freedom and authority in their teaching.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feedback each guidance teacher provided was different, too. Therefore, the process and effect of the training program was different even among the student teachers assigned to the same site schools. These different experiences determined by guidance teachers ultimately influenced the student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period and their beliefs in teaching profession and L2 teaching method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in a student teaching program and imply that further research and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various on-site support systems for more effective pre-service teacher development

      •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신념 연구

        황규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10

        본 연구의 목적은 양적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신념이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학교수학에 대한 신념과 학문으로서의 수학에 대한 신념이 일치하는지 알아봄으로써 교원양성 과정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에서 수학하고 있는 중등 예비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신념, 대학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중등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수학교육의 목표인 실용성, 도야성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교육의 몇몇 주제에 대해서는 예비교사들의 신념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신념의 차이가 존재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지만 학년별 차이에서는 수학에 대한 신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여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중등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과 대학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에 대해 동일한 설문문항을 제시하고 응답결과가 일치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두 신념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모두 나타났다.

      •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 : 듣기 전 활동 유형별 효과성 및 선호도 인식 연구

        김준이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3330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liefs and preferenc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relation to nin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a few specific pre-listening activities, and on identifying and comparing their effectiveness, in this study, a variety of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utilized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Korea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ith regard to pre-listening activiti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88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in Seoul, Korea. The Survey is composed of 47 items, as well as open-ended questions in order to collect further opinions related to their answers. The pre-listening items a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y Chang & Read(2006) and consist of: Topic preparation, Vocabulary instruction, Preview the question, and Input repetition. These four items are divided into nine items, which are: watching visual materials regarding the topic of listening activity, reading a text in students' mother tongue or in English regarding the topic of listening activity,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listening text to students, studying vocabulary which is included in listening text, studying vocabulary with its pronunciation, teacher's reading questions aloud for students, students' checking questions by themselves, and listening to a simplified version of original listening text before the actual listening activ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2.0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most of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gree about the need for pre-listening activities, few have utilized them in the classroom. The most effective pre-listening activity chosen by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s watching visual materials, and teaching vocabulary with its pronunciation is the most preferable activity to utilize in class. Reading a text in Korean is chosen as the least effective and least preferable pre-listening activity. For both monologue and dialogue, th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chosen by teachers was the same, as was the preferred order in which they would be used.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tudent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they prefer. Activities which can provide direct information about the topic or vocabulary, or involve the teacher's intervention, are selected for low-level students. Whereas reading a text in English is chosen for high-level students as it aims to improve a different language skills while also supporting the students' listening sk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emphasis on pre-listening tasks which can be utilized without practical limitations, is required when teaching listening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teachers may require additional training as they often struggle to devise and design suitable pre-listening activities and therefore they hesitate to use pre-listening activities although they are well aware of the advantages of them. Also, if appropriate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more easily accessible, for example, by providing them as part of a teacher's guide, it is likely that listening activities could be taught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에 대해 조사하고 각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예비 영어 교사 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후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설문을 위해 Chang과 Read(2006)가 분류한 네 가지의 듣기 전 활동(주제 준비, 어휘 지도, 문제 미리 보기, 반복 듣기 활동)을 세분화하여 아홉 가지 듣기 전 활동(듣기 전 시각 자료의 제시, 모국어인 한국어로 작성된 독해 자료 읽기, 목표어인 영어로 작성된 독해 자료 읽기, 지문에 대한 정보의 제공, 들을 지문에 포함된 단어 공부, 단어와 발음 공부, 교사가 듣기 문제와 보기를 읽어주기, 학습자가 직접 문제와 보기를 확인하기, 원본보다 쉽게 변형된 지문을 먼저 들어보기)을 제시하였으며, 설문의 응답에 대하여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개방형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예비 영어 교사는 듣기 전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였으나, 실제 수업에서 듣기 전 활동을 사용해본 경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영어 교사는 듣기 전 시각 자료를 제시하는 활동을 가장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으나, 실제 교실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활동으로는 들을 내용에 포함된 단어와 발음을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활동을 선택 하였다. 한국어로 작성된 독해 자료를 읽어보는 활동을 가장 비효과적이고 선호하지 않는 활동으로 선택되었다. 셋째, 듣기 텍스트의 유형은 예비 영어 교사의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예비 영어 교사의 듣기 전 활동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