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자 도입에 관한 연구

        김정은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음성언어만을 다루고 있는 초등 영어 입문기인 3학년 과정에서 문자언어를 음성언어와 병행하여 지도하는 것에 대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의 다양한 의견과 실태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을 통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교육 여건을 고려한 세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영어 문자 인지 능력을 진단해 보았다. 둘째, 이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들의 영어 문자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도와 실태를 알아보았다. 셋째,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이 실시된 2001년 이후 3학년 영어를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3학년에서의 문자 지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영어 교육의 목표는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기르고 외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우리 문화 인식을 통한 올바른 가치관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교육부, 1999). 의사 소통 능력이라 함은 구두 의사 소통 능력과 문자를 통한 의사 소통 능력을 함께 의미하는 것인데 현재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구두 의사 소통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현행 제7차 초등 영어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4학년이 되면 알파벳 읽기가 시작되고 5학년에 되어서야 알파벳 쓰기와 간단한 단어 쓰기가 다루어진다. 3학년은 듣기와 말하기 위주의 수업으로만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시 강남구 A초등학교, 강동구 B초등학교, 원주시 C초등학교의 각각 2개 학급씩 총 6개 학급 3학년 학생들의 문자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 분석 결과 지역에 따른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거의 모든 학생들이 26개 알파벳을 모두 읽을 줄 아는 등, 정규 영어 교과를 접한 지 2개월이 채 안된 시점에서 조사해 본 학생들의 문자 인지도는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3학년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만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많은 교사들이 3학년부터 문자 언어가 음성 언어와 함께 지도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문자가 단원명이외에는 제시되지 않은 3학년 교과서에 대해서 과반수에 가까운 교사들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고 77.4%의 교사들이 3학년 영어수업 중 문자 지도도 하였으며, 문자 지도 병행이 다른 언어 기능 습득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82.8%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특히 현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시기보다 빠른 시기에 문자 지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 이유로는 학생들의 문자에 대한 인지도가 높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왔다. 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7차 교육과정에서도 3학년부터 음성 언어 위주의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학생들의 문자에 대한 인식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고 문자에 대한 호기심과 배우고자 하는 욕구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학년 영어를 지도해본 교사들도 대부분 3학년부터 음성언어와 문자 언어를 적절히 통합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 과정에서 문자 읽기 및 쓰기 도입을 앞당겨 학생들의 다양한 호기심과 욕구를 만족시키고 교사의 다양한 교실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The present thesis aim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n teaching literacy together with oral English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ere only oral English is being taught at present, and to propose some future directions for English teaching by collecting the opinions from the students an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irstly, this study measured the literal English competence of the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s, by testing 207 students whose schools were located in three different areas. Secondl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to check their interest level on the written form of English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tudents in the literal English lessoning. Finally, different opinions on teaching literacy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s who have an experience in teaching English to third-grade students since the Seventh English Curriculum was effected in 2001.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among the locations, but most of the students could read all alphabets. Even the students within three months after receiving the regular school English lessoning were highly recognitive in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teachers having the experience in teaching the students of the third grade under the Seventh Curriculum, they responded that literal English should be taught with phonetic English from the third grade. A majority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third-grade textbook without any English characters except the titles is not satisfactory; 77.4% of them had taught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ir classes, and 82.8% responded that teaching English characters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English language skill. Also, mos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eaching English characters should start earlier than the time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the reason that the students already have high recognitive power of the English characters. However,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gnitive power of the students on the English characters is very high and they have strong curiosity and desire to learn the English characters. The teachers who have taught English for the third-grade students proposed to mix the teaching of literal English with phonetic English.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is study suggests to satisfy the curiosity and desire of the students and to enable various class activities of the teachers, by advancing the reading and writing lessoning in Englis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s.

      • 원어민 보조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영어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안지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하여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연수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사항 및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분석하여,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 구성의 발전 방향을 제안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어민 보조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원어민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원어민 보조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원어민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40명, 원어민과 협력수업의 경험이 있는 한국인 교사 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각각 다른 해의 연수에 참여했던 원어민 교사 5명과 한국인 교사는 협력 수업의 경력에 따라 3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25.0을 통해 빈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윤미진(2007)의 논문을 참고해 1차 설문을 작성한 후, 동료 교사와의 문항 검사 과정을 통해 완성되었으며, 면담지는 설문에서 다뤄진 핵심 문항들이 포함되어 제작되었다. 설문지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진행하였고 면담은 반복되는 중요 개념을 파악하여 범주화 하는 내용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에 참여했던 원어민 교사들이 연수 프로그램에 대하여 내용이 실제 수업의 내용을 반영하며 체계화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던 이유는 연수에서 배운 내용과 실제 수업 현장이 유리되어 있고 구체적이지 않아 내용이 비교적 유용성이 떨어지는 점에서 기인하였다. 둘째, 원어민 교사들은 연수 내용 중 수업 실연 및 수업 계획이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수에서 실제 수업 실연과 계획을 위한 기회가 많이 주어지지 않고 있었다. 셋째,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국인 교사 간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는데 원어민 교사들은 연수를 다른 교사와 소통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기회로 인식하였다. 반면 한국인 영어교사는 연수를 통해 원어민 교사들이 실제 학교에서 교수활동을 펼치기 전 사전 준비 및 예비 교사 교육의 시간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원어민 교사 활용 시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도 두 교사 집단 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원어민 교사는 자신들이 학생들의 영어 발화시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하며, 발음 교육에 있어 자신의 역할은 매우 적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국인 교사는 원어민 교사에게 정확한 발음교육 등 영어교육의 전문성을 갖춘 수업을 기대하고 있었으나 실제 원어민 교사가 갖춘 요건에서 가장 보완되어야 할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연수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그 영역을 분류하였는데 첫째, 교수·학습 능력 신장 영역, 둘째, 한국 적응을 위한 교직 및 일상생활에 관련된 내용 영역이며 마지막으로 기타 및 연수 전반 커리큘럼에 대한 요구사항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교수·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다양한 활동과 수업 기술을 안내해주기를 요구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협력수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영어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업 운영 전략 및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기를 희망하였다. 특히 연수에서 최근 2년 간 삭제된 생활지도와 학급 경영 방법에 대하여 다뤄주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하여 한국인, 원어민 교사 모두 연수에서 교직문화 및 교직 사회에 대한 안내, 한국 적응을 위한 생활기술의 내용들이 구체적으로 언급되기를 희망하였다. 특히 원어민 교사들의 한국어 강의 내용 및 운영 방식의 보완에 대한 목소리가 커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커리큘럼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네트워크 구축, 수업 계획 및 실습 실연 기회의 확대, 다양한 현직교사의 초청 등 프로그램의 시수 및 운영방식에서 변화를 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통해 바람직한 연수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수업에 대한 연수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원어민 활용 영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교육과정의 목표를 명확히 제시한 후, 이를 반영한 교재가 구성된 방식 및 활용 방법에 대한 정확한 안내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연수 중 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 실연의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 즉, 연수에서는 교수법과 목표, 소재 등 다양한 변인들을 적용해볼 수 있는 시간이며 수업 실연을 하는 과정에서 현직 교사들로부터 얻은 유용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교사로 준비시키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 적응을 위한 한국어 강의 내용 및 운영 방식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준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행 3단계의 수준을 4단계로 세분화하여 한국어 수업이 유의미한 학습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내용 선정 측면에서는 이를 선정하기 위한 끊임없는 문헌 연구가 필수적이다. 다섯째, 교직 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와 한국 초등학교의 학사 일정을 안내함으로써 원어민 교사의 교직 사회에의 적응도를 높일 뿐 아니라 동료 교사들과 원만한 관계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여섯째,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한 기본 지식이 실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체화되어야 한다. 또한 원어민 교사가 이러한 내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연수 주관 기관에서는 실생활 문제 해결 방법을 책자로 제작하거나 매뉴얼을 제작해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전 연수에서 후에도 원어민 교사에게 지속적인 파닉스 지도 방법과 영어 의사소통 기능별 지도의 단계 등 영어교육학을 기본으로 한 적용 가능한 연수를 제공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이를 의무화해야 한다. 원어민 교사들이 비록 원어민들이라 할지라도 파닉스와 같은 발음 교육 및 수업 운영 전략에 대해서는 전문적 식견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한정된 지역 및 제한된 수의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기에 앞으로 연구 참여 집단의 규모와 지역을 확대해 일반화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제도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아닌 교사교육의 내용이 유의미한지 검토해보는 미시적 접근의 중요성을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영어 원어민 교사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초등영어 원어민 교사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에 나타난 조기 영어 교육의 영향

        이성옥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 3학년 이전 어린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 영어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이루어지는 조기 영어 교육의 실태를 조사해 보고, 둘째,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이루어지는 조기 영어 교육을 조기 영어 교육 유·무, 조기 영어 교육 시작 시기, 교육 기간, 주당 영어 공부 시간, 조기 영어 교육 기관, 조기 영어 교육의 흥미도로 세분하고 이러한 변인에 따라 현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에 보이는 선호도, 흥미도, 자신감, 교육 내용에 대한 난이도, 단어의 난이도, 내용 이해도, 4학년 수업에 대한 기대감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304 명이다. 조사 도구는 조기 영어 학습 실태와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 현황에 관한 2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수를 백분율로 환산, 셀 카이스퀘어(cell x²)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3학년이 되어서 처음으로 영어를 배우게 된 아동보다 3학년 이전에 영어 교육을 시작한 아동이 훨씬 많았으며, 대다수의 아동이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해 높은 흥미를 보였고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조기 영어 교육을 받은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영어에 대한 선호도, 흥미도, 내용에 대한 난이도, 영어 단어의 난이도, 자신감, 내용 이해도, 4학년 영어 수업에 대한 기대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를 배우기 시작한 시기에 있어서는 초등학교 3학년에 영어를 시작한 경우가 영어에 대한 선호도, 자신감, 단어의 난이도, 내용 이해도에 있어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적었으며 유치원 이전에 영어 공부를 시작한 아동들의 경우에는 영어에 대한 선호도와 자신감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가장 많이 보였고 흥미도와 4학년 수업에 대한 기대감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응답을 가장 적게 했다. 마지막으로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흥미도에 따라서는 ‘아주 재미없었다’는 응답을 제외하고 조기 영어 교육에 보이는 흥미도가 높을수록 영어 선호도, 영어 흥미도, 내용에 대한 난이도, 영어 단어의 난이도, 자신감, 내용 이해도, 4학년 수업에 거는 기대라는 항목의 긍정적인 응답도 더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이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 영어 교육은 이미 보편화된 교육 현실이다. 따라서 조기 영어 교육을 지금처럼 방치할 것이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이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이루어진 조기 영어 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조기 영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장기적인 계획 하에서 효율적인 학습지도를 한다면 조기 영어 교육의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조기 영어 교육의 흥미도에 대한 연구에서 보여주듯이 조기 영어 교육의 흥미도가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육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조기 영어 교육은 아동의 영어에 대한 흥미를 충분히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당수의 어린이가 영어에 대한 선수 학습이 이루어진 상태로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을 받게 되는데 이렇게 선수 학습이 이루어진 아동들을 초등학교의 영어 교육 과정 안에서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대상으로 초등학교 3학년 이전의 조기 영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전국적인 실태조사와 조기 영어 교육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 동안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던 탓에 초등학교 이전 아동들의 조기 영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국내의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행 조기 영어 교육 정책이 필요로 하는 개선책이나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조기 영어 교육 이외에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 환경 변인 등에 관한 조사도 함께 병행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조기 영어 교육에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재와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the third grade English education. The following procedure was used: A questionaire containing 23 items was given to 304 third grader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Chongju and Chongwon. Along with the ratio analysis and the cell qui-square test,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responses.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Early English education is now common. Therefore in early English education carried out in such an opportunity, a desirable educational direction needs to be suggested by the government instead of being indifferent as now. Second, Early English education before they became third gra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i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ly we will be able to obtain a desired result from early English education if we admit the necessity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each efficiently under a long-range plan. Third,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hird grade English educa1jon. Therefore, early English education must use methods which can keep students interested in English.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How to satisfy third graders with prior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within the curriculum for third grade English education. Second, A nation-wid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effects of early English education. Third, Studies on variabl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affect third grade English education as well as early English education. Forth, A study on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hat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 미취학 어린이의 영어 어휘와 문법 습득 : 초기 단계

        홍성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영어에 대한 어린이, 학부모 및 사회적 요구는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이러한 영어에 대한 관심으로 영어를 시작하는 연령이 미취학 어린이들로 더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열된 영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열의는 어린이들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부작용을 초래하여 어린이 영어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만을 키워왔다. 또한 이러한 미취학 어린이에 대한 과열된 영어 교육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곧 취학하게 될 초등학교에서는 1-2학년을 제외한 3학년부터 영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영어 교육의 단절을 초래하고 있다. 많은 연구 결과(Bley-Vroman, 1988; Broen, 1972; Krashen, 1982; Lenneberg, 1967)를 통해서 보면, 어린이는 생리적인 특성 이외에도 인지적인 면에서 그리고 정의적인 측면에서 성인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며, 언어적인 측면에서 제2언어를 습득하기에 유리한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제는 어린이 영어 교육 자체에 문제를 제기할 것이 아니라,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 환경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에 적합한 효율적인 어린이 영어 교육을 위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어린이에게 영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가 영어를 어떻게 습득하는지의 습득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학습자의 영어 발달 단계와 과정을 알고 학습자의 자연 발달 순서에 부응하도록 교육할 수 있기 때문에 습득 과정에 대한 이해는 전반적인 영어 교육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계획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EFL 환경의 4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언어 습득 순서와 발달 단계의 보편성이 외국어로 영어를 습득하는 어린이에게도 타당한가를 살펴보고, 영어를 접하는 것이 제한된 환경에서 모국어처럼 자연스러운 영어 습득의 가능성을 함께 찾아내어, EFL 환경에서의 어린이들이 영어를 습득하는데 필요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미취학 어린이들이 취학하게 되는 초등학교의 영어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영어 동화책, TV 어린이 영어 방송 등의 미디어를 이용하여 어린이에게 영어에 노출을 시켰으며, 였으며, 상호작용을 위해 연구자인 엄마와 대화를 시도하여, 어린이가 실제로 영어를 습득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기술한 자료를 근거로 어휘와 문법습득을 중심으로 언어습득 순서와 발달 단계의 보편성이 그대로 적용이 되는지 그리고 자연스런 언어 습득이 가능한 지를 살펴보았다. 관찰 기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모국어에 노출이 된 어린이도 뇌기능이 유연한 4세가 외국어에 노출되면 모국어 습득자와 유사한 습득 순서와 발달 단계를 거치며 발달하였다. 둘째, EFL 환경이라 해도 4세 어린이에게 영어에 노출을 시키면 모국어 습득처럼 자연스러운 영어 습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 습득의 보편성이 이미 모국어에 노출된 어린이가 외국어를 습득할 때에도 그대로 적용이 되며, 아직 뇌기능이 유연한 4세 어린이의 외국어 습득은 환경적 제한이 있더라도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추론할 수 있다. 미취학 어린이에 대한 외국어 교육은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한 학습 과정이 아니라, 외국어에 접할 수 있는 환경만 만들어 주면 어린이 스스로가 모국어를 습득하듯이 자연스럽게 외국어를 습득해 나가는 개방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미취학 어린이들이 영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미취학 어린이가 영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국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영어 동화나 활용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TV 영어 방송 등 대중매체의 질적 개선을 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언어 습득의 효율적인 시기를 감안할 때 미취학 어린이를 위한 자료 보급 등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아이들이 어릴 때 모국어를 습득하게 되는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영어를 접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환경을 부모가 만들어 주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엄마가 건네는 짧지만 사랑이 담긴 I love you, my baby. 등과 같은 말과 쉬운 영어 동요 그리고 동화책에 녹아있는 아름다운 표현을 통해 영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런 부모의 작은 실천으로 우리 어린이들이 영어를 완벽하게 구사할 수는 없지만 어릴 때 영어를 접했던 기억은 커가면서 학습이라는 이름으로 무겁게 다가올 영어의 존재감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즐겁게 접해왔기에 친밀감도 느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를 정규과목으로 배우고 있는데, 본 논문을 분석한 결과 영어 습득의 시작 시기가 뇌기능이 유연한 6세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임이 나타났으며, 요즈음 거의 모든 유치원에서 영어를 배우고 있으므로(김소희, 1999) 초등학교 1∼2학년동안 영어 학습의 단절을 초래하지 않도록 초등학교 1학년으로 낮추어서 실시하여 영어 교육의 극대화를 꾀하여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atural English acquisition by a preschool child through exposure to English at home in Korea. The key criteria used to determine whether acquisition is natural, were based on whether the child follows the same orders and the same stages as in the case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The language developmental forces, as well as several theories for the advantage of young children in acquiring a language over adults were considered as the basic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is thesis. In addition, the order and the stages of language acquisition were introduc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ang-woo, the researcher's son.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he was 4 years old. He has had exposure to English through story books, TV program and conversations with his mother. His English acquisition process was observed for 14 months,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process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The results and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der of vocabulary acquisition including morphemes and the stage of grammar development were similar to those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Second, it proved possible for a preschool child to acquire a second language through natural orders and stages without conscious effort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a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y a preschool child is not a learning process which requires conscious efforts but it was rather a natural acquisition process. Therefore, we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a preschool child is exposed to English.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a preschool child's English acquisition process of every morpheme and every grammatical aspect, as well as phonological and semantic acquisition processes in the EFL situation in order to improve language learning methods.

      • CEFR 준거에 기반한 초등영어 교육과정 재구조화 : 언어재료, 의사소통 기능,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전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을 유럽언어공통기준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이하 CEFR) Basic User 단계와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을 세 단계(Pre-A1, A1, A2)로 세분화하여 재구조화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CEFR의 어휘목록인 EVP(English Vocabulary Profile), 문법 목록인 EGP(English Grammar Profile) 그리고 언어능력기술안(illustrative descriptors)을 각각 2015 교육과정의 어휘, 언어형식, 의사소통 기능, 성취기준과 비교․분석한다. 둘째,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 CEFR 단계를 반영한 교재를 비교․분석하여 언어재료 재구조화의 준거를 마련한다. 셋째, 교육과정, 교재,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어휘, 언어형식, 의사소통 기능, 성취기준의 단계를 세분화하고,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반영하여 재구조화된 어휘, 언어형식, 의사소통 기능, 성취기준을 최종확정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언어재료는 교육부(2015)의 교육과정 [별표 3] 초등권장어휘와 [별표 4] 언어형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근거하여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다양한 문헌과 이론을 고찰했고, CEFR과 2015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할 분야와 방안을 도출했다. Basic User 단계 어휘, 언어형식, 언어능력기술안과 우리나라 초등영어권장어휘, 언어형식, 의사소통 기능,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단계별로 기술했다. CEFR Basic User 단계를 반영한 Starlight 교재 6권과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활용 중인 우리나라 3-6학년 교과서 1종을 선정했다. 교재와 교과서 단원은 주제별로 분류하여 어휘, 언어형식, 의사소통 기능 및 성취기준을 단계별로 기술된 교육과정으로 비교․분석했다. 어휘와 언어형식은 교재와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 세분화했다. 본 연구는 언어재료, 의사소통 기능, 성취기준을 Pre-A1, A1, A2로 세분화하고, 전문가 집단 평가를 거쳐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했다. 어휘 세분화 기준은 교재, 교과서의 학년과 사용 빈도(frequency), 친숙도(familiarity) 및 가용성(availability)이다. 교육과정 권장어휘, 교재, 교과서 어휘 중 상위단계 및 미분류 어휘는 세 가지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Pre-A1, A1, A2 단계로 분류했다. 언어형식은 교육과정 목록에 없지만, EGP에 기술되고 교재, 교과서에 사용된 항목을 A2 단계로 기술했다. 교육과정 세 단계별 항목에 교재, 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해, 적용 가능한 주제를 추가했다. 언어재료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과 성취기준은 영어교육 전문가 4인의 평가에 따라 주제와 연계하여 세분화하는 방안을 포함했다. 또한, 교과 역량과CEFR의 연계성을 포함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아래와 같다. 이 연구의 세 가지 주요 결론은 학습자의 언어능숙도 정의, 초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지침 제공과 영어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CEFR의 활용 방안 제시이다. 첫째, 본 연구는 CEFR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학습자 언어능숙도를 정의했다. 본 연구에서 CEFR Basic User를 준거로 기술한 초등학교 학습자의 언어능숙도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습자는 단계별 분류 어휘를 언어형식에 맞게 사용하고, 일상적이며 친숙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여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육과정 단계 세분화를 통해 초등학교 학습자의 목표를 구체화하여, 교수․학습의 지침을 제공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구현 자료인 교재, 교과서를 준거로 어휘와 언어형식을 단계 세분화했고, 주제별 기술을 통해 교수․학습 설계 및 활용에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셋째, 본 연구는 영어과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CEFR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CEFR은 언어적, 사회문화적, 화용적 의사소통 언어능력과 의사소통 언어 활동, 전략 등을 포함하여 학습자의 언어능숙도를 기술하고 있으므로, 영어과 교과 역량을 함양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교육과정 입안자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언어능숙도를 구체적으로 기술할 수 있고,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을 인식하여 이에 맞는 학습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교사는 단계에 맞는 교수․학습 및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초등영어 교육과정을 CEFR 언어능숙도에 따라 재구조화하여, 초등학교 학습자가 구사하는 언어 수준을 명료화했기 때문에 교육과정 입안자 및 교사, 학습자 모두에게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영어 그림일기 쓰기에 대한 연구

        김웅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영어 그림일기 쓰기에 대한 연구 김 웅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그림일기 쓰기가 영어 학습 능력의 발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24개의 그림일기 주제를 선택하였다. 이들 주제들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모든 학습기능은 분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시에 사용될 때 언어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초기 영어 학습자가 글을 쓰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영어 그림일기 쓰기’ 라는 일기 쓰기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 영어 그림일기 쓰기에서 학생들은 그림과 글자 모두를 사용하여 일기를 쓸 수 있다. 영어 그림일기 쓰기를 위하여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예를 들면, 그림, 낱말, 마인드맵, 그림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그림 한 장을 묘사하는 글쓰기, 그림 한 장이나 일련의 그림을 가지고 이야기 쓰기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그림일기 쓰기가 학생들의 영어 사용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영어 그림일기 쓰기가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그림일기 쓰기는 학생들의 영어 사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어 그림일기 쓰기는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이 그들의 영어 그림일기에서 학습의 발달과정상에서 과거시제의 자연스러운 사용, 주어와 동사의 일치, 형용사의 적절한 사용,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 등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쓰기에서 나타난 특징들로부터 일기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글로 쓴 것과 그림을 활용한 것이 훨씬 더 실제적인 의미가 강화시켜 주어 교육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어 그림일기를 쓰는 것은 학습자들의 영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고 영어를 학습할 때 학생들의 흥미, 자신감, 그리고 발달을 강화시켜주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우리는 다양한 방법(그림이나 사진 활용 등)을 통해서 쉬운 것부터 시작하여 차츰 차츰 단계를 높이는 점진적인 방식으로 영어 쓰기를 가르쳐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더욱 더 많은 흥미와 자신감을 줄 수 있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긴 문장들을 쓰게 할 필요가 없다. 때때로 단지 하나의 그림과 하나의 낱말이면 충분할 때도 있다. 하나의 낱말이나 짧은 문장을 우리는 하찮게 여길 수도 있지만 이것이 발전하여 긴 문장이 되고 글이 되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쓰기에 어려움을 느낄 때 그림(또는 사진), 낱말, 마인드맵, 그림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그림 한 장을 묘사하는 글쓰기, 그림 한 장이나 일련의 그림을 가지고 이야기 쓰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우리는 학생들에게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교육내용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아이들은 그들과 관련된 어떤 것에 대하여 학습할 때, 교육에 대한 더 많은 흥미를 갖게 될 것이다. 셋째, 우리는 그들의 생각과 감정들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것은 학습을 더욱 더 의미가 있고 활기차게 만들어 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f English Picture Diarie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Kim, Ung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nglish picture diaries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learning skills. To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elected 24 picture diary topics. These topics are related closely to the elementary students' daily lives. Language learning is effective when all function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used simultaneously because they cannot be separated. However some people say that it is difficult for early English learners to write. Therefore I chose the English picture diaries to compensate for this defect. In these English picture diaries, the students can use both pictures and words. To lessen the burden of writing, I allowed students to choose various methods (eg. picture, word, mind map, rebus writing, guiding description with pictures, guided narration with pictures and so forth on) for keeping English picture diarie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1. Is keeping English picture diarie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English language skills? 2. Is keeping English picture diarie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interest and confidence when it comes to learning Englis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general, keeping English picture diar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skills. 2. Keeping English picture diar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interest and confidence. 3. As the student's made their diaries, I could see the natural use of the past tense, the use of subject and verb agreements, the proper use of adjectives, the ability to express one's self, and so fort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eeping English picture diaries is a useful way to improve one's English, and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a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and development when it comes to learning English. Here are the implications for English picture diarie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irst, we have to teach English writing gradually through various methods. It can lessen the burden for students and it can give them more confidence. The teacher doesn't need to make learners write long sentences. From time to time, just a picture and a word is enough. When learners have difficulty writing, they can use a picture(or photo), word, mind map, rebus writing, guiding description with pictures, guided narration with pictures and so forth. Second, w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that the students can relate to. When children are learning about something that they can relate to, they will be more excited about education. Third, we need to give learners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ideas and feelings. This will make learning more meaningful and active.

      • 문화교육을 위한 중학교 영어교과서 시각자료 분석

        김규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국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그에 대한 문화를 습득한다는 말과도 같다. 이러한 문화교육이 교실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적절한 자료들이 실려야 한다. 특히 교과서에 글과 함께 배치되어 있는 시각자료는 내용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흥미를 향상시키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중요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문화에 대한 요소를 글로 묘사하는 것 보다 그 문화를 나타내는 시각자료를 같이 접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학습이 된다. 그러므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언급된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따라 효율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교과서 내 시각자료의 다양한 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어 교과서 내 문화교육을 위한 시각자료에 대한 인식과 실태, 개선점에 대하여 중학교 영어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가 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나 문화수업에 대한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생 모두 가장 추상적인 문화 유형인 ‘정신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으며 이에 대한 학습을 시각자료로서 접하기를 원하였다. 시각자료의 기능적 측면에서도 학습적 기능을 하는 시각자료와 장식적 기능을 하는 시각자료 중 대다수가 학습적 기능 시각자료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과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Bierstedt(1970)의 문화 3분법을 상위범주로 하여 하위범주로 분류한 표를 이용하여 시각자료의 문화 유형을 분류한 결과 8종 교과서 내 시각자료가 물질문화와 행동문화를 나타내는 데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정신문화의 경우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나있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았던 문화 유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교과서 내 시각자료의 문화권 배경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영미 문화권과 한국 문화권을 나타냈으며 그 밖의 문화권은 묘사되지 않았거나 극소수가 묘사되었다. 셋째, 시각자료를 학습적 기능과 장식적 기능으로 분류한 경우 대부분의 교과서가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학습적 기능을 가진 시각자료가 교과서에 더 많이 실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시각자료가 효율적인 문화교육을 위하여 다양한 문화 유형과 문화권을 제시해야 하며 학습적 기능을 하는 시각자료를 잘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교사가 문화교육을 위한 시각자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교육의 빈도를 늘려 학생에게 다양한 문화지도를 해야 한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자료의 문화적 분석

        구애리스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교육부에 의해 검증된 초등학교 3-4학년군의 영어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자료를 통한 여러 나라의 문화적 양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분석이 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가 고시한 영어교과의 19개 항목 중 문화적 측면의 해당하는 4개 항목의 소재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그 나라에 해당하는 문화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의 접근 방식인 기여적 접근법, 부가적 접근법, 변혁적 접근법, 의사결정 및 사회적 접근법으로 분류한 Banks(1989)의 4접근법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영어의 사용에 따른 국가를 내부권역, 외부권역, 확장권역으로 분류한 Kachru(1985)의 3동심원으로 분석하였다. 위의 분석 기준에 의해 도출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교육부가 고시한 문화적 측면에 해당하는 소재의 비율은 3학년은 15.8%, 4학년은 24.4%로 도출되었다. 특히, 가장 높은 비율은 다양한 문화권의 일상생활 및 사회의 전반에 관한 내용에 해당하였다. 둘째, Banks(1989)의 4접근법에 의한 분석 결과 기여적 접근법 비율은 3학년은 9.4%, 4학년은 5.2%, 부가적 접근법의 비율은 3학년은 6.3%, 4학년은 4.9%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비해서, 변혁적 접근법과 의사결정 및 사회적 접근법의 비율은 사회적 이슈 배경에 관한 경험이 거의 없는 초등학생에게는 다소 접근 방법이 어려운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비율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Kachru(1985)의 3동심원 국가권역별에 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권역 분석의 비율은 3학년은 3.3%, 4학년은 3.4%, 외부권역 분석의 비율은 3학년은 1.2%, 4학년은 1.3%로 나타났으며, 확장권역 분석의 비율은 3학년은 7.4%, 4학년은 6.9%로 나타났다. 3동심원 국가권역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도출된 권역은 확장권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화적 측면을 기준으로 초등학교 3-4학년군의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의 여러 나라의 문화적 양상은 균등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육부는 영어 학습을 통한 외국 문화의 이해와 문화적 다양성의 관용 및 세계인과 소통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적 안목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포용 능력의 함양에 교육의 역량과 목표를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인 목표와 강조에도 불구하고 2018년 최근 영국 BBC 글로벌 설문조사에 의하면 다른 배경을 가진 문화 포용도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하위권 수준에 머무르는 결과를 나타냈다(BBC Global Survey, 2018). 이러한 현실적인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우리나라 공교육에 다양한 배경을 가진 외국 문화에 대한 개념과 형평성이 올바르게 확립 될 수 있도록 학습의 재검토 및 향 후 초등영어교과서의 개발에도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ltural aspects through the visuals which were presented in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o achieve this aim, fiv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of the third-fourth grade were selected which were 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criteria of analysis which are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our topics were selected among the 19 topics which are related to the cultural aspect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visuals were analyzed by Banks’(1989) four approaches which are categorized as an educational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pects of the country: the contributions approach, the additive approach, the transformative approach, and the decision-making & social action approach. Third, the visuals were analyzed by Kachru’s (1985) three circles which are classified by countries using English: the inner circle, the outer circle, and the expanding circ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ios of the cultural aspects were 15.8% for the third grade textbooks and 24.4% for the fourth grade textbooks based on the topic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highest ratio was regarding the daily life and social aspects. Second, the ratios of the cultural aspects were based on the Banks’(1989) four approaches as follows: the ratio of the contributions approach was 9.4% for the third grade textbooks and 6.3% for the fourth grade textbooks; the ratio of the additive approach was 5.2% for the third grade textbooks and 4.9% for the fourth grad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none of the ratio of the transformative approach, and the decision-making & social action approach were presented for the third-fourth grade textbooks. Third, the ratios of cultural aspects were based on the Kachru’s (1985) three circles as follows: the ratio of the inner circle was 3.3% for the third grade textbooks and 3.4% for the fourth grade textbooks; the ratio of the outer circle was 1.2% for the third grade textbooks and 1.3% for the fourth grade textbooks; and the ratio of the expanding circle was 7.4% for the third grade textbooks and 6.9% for the fourth grad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ultural aspects were reflected evenly in each unit of textbooks through the visuals which were presented in the third-fourth grad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foreign cultures, the tolerance of cultural diversities, and communications in the world through the English education were accentuated for the English educational goals. To achieve these goals, they highlighted in regards to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embrace the diverse cultures(Ministry of Education, 2015). Despite these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the BBC Global survey of Ipsos-MORI in 2018, the current cultural tolerance ratio of South Korea ranked at the lowest level rate in the world, that is, this result of reality suggest that the further research impartially will be needed to re-examine and understand the flow of diverse cultural aspects of countries in the education of South Korea.

      • 중·고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와 2015 교육과정 핵심역량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최세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nalyze attitudes to Core Competencies of English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find the relationship with a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In the environment of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uch as Korea, the importance of creating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English is increased, and it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for learners to learn English successfull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attitudes toward core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start English learning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im to enter college. The research diagnoses the current level of quality and performance of the actual learners' core competency to improv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through effective English education and to operate substantially in this wa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analyzing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and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were surveyed by 96 middle school students and 72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condary school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four core competenc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the attitudes toward all four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willingness to communic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oup with a higher willingness to communicate was more critical in terms of a degree of importance to core competency than in the lower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 school student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erms of communication willingness, the higher group had a higher attitude score on communication competency than the lower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 the other three competencies. Based on these results, both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can see that learners with a higher willingness to communicate have a more critical attitude to communication competency. It is the primary ability needed to respond efficiently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age, and that learners also have an essential percep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Therefore, specialized education for high-quality education that can foster communication competency through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is needed. The direction to strengthen it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should also be explored. Besides, referring to how learners perceive the current curriculum's core competencies could be reflected to select core competencies in the next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to prepare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Also, this curriculum would enhance a willingness to communicate, which is a prerequisit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which is the English department's goal to guide them to learn English.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과 핵심역량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영어 의사소통의지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2 언어 의사소통의지는 학습자가 습득 중인 언어를 실제 사용하게 하는 직접적인 선행요인으로서 주목받아왔다. 우리나라와 같이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학습하는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의지 생성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며, 학습자의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꼭 필요한 연구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격적인 영어 학습을 시작하는 중학생과 대입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의지와 교육과정 영어과 핵심역량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21세기 사회에서 ‘역량’이 국민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로 크게 주목받으며 논의됨에 따라, 역량 중심의 교육에 대하여 초・중・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하 ‘2015 교육과정’)에서는 영어과 핵심목표를 학생들이 친숙한 주제 또는 일반적인 주제에 관해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으로 삼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공동체역량의 네 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영어 교육은 교육과정을 토대로 이루어지며, 핵심역량이 교육을 통해 함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국가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과 핵심역량이 실제 중・고등학생 학습자들의 만족도 제고 측면과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의지 향상 및 내실 있는 운영에 실효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질과 성과에 대한 현 수준을 진단해 보고자하며, 그 방법으로 실제 학습자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영어 의사소통의지를 분석하는 설문지와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공동체역량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지를 96명의 중학생 및 72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의지와 네 가지 핵심역량에 대한 태도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생 집단의 경우 의사소통의지에 따른 네 가지 핵심역량에 대한 태도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의사소통의지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하여 핵심역량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태도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의사소통의지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하여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세 가지 역량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위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의사소통의지 상 집단의 경우 의사소통역량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역량에 대한 중요성은 중학생의 의사소통 상 집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상 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반면, 의사소통의지 하 집단의 경우 공동체역량을 제외한 나머지 역량에서 고등학생 집단이 중학생 집단에 비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 집단의 의사소통 하 집단이 중학생 집단의 의사소통 하 집단에 비하여 여러 핵심역량에 대하여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모두 의사소통의지가 높은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역량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급변하는 세계화 시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데 필요한 주요 능력으로 학습자들 또한 의사소통역량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어 교육을 통하여 의사소통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질 높은 교육을 위한 전문화된 교육이 필요하며 학교 교육 현장에서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향 또한 탐색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핵심역량의 순서는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자기관리역량의 순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참고하여 교과 핵심역량을 선정하는 측면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정을 영어과의 목표인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는 의사소통의지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활용하여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교과통합 내용중심 영어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심영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CBI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국내에서 이루어진 138개의 내용중심 영어교육에 대한 개별연구물들을 수집,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물들을 일정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여 기초적인 통계자료를 만들고 효과성검증에 대한 양적연구물 52편을 토대로 효과크기에 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통합 CBI에 대한 기초통계자료와 다양한 기준에서의 효과성크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 할 수 있었다. 연구 분석 결과 나타난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첫째, 국내 CBI의 연구는 80% 이상이 초등학교가 대상이었고 메타연구 자료중 85%는 3~6학년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삼았다. 둘째, 국내 CBI의 연구는 70%이상이 교수학습모형 및 학습지도안 제시와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물이었다. 셋째, 국내 CBI 연구의 대상 단일과목에서는 미술, 과학, 수학, 체육 순으로 통합선호도가 높았고 이는 전체 과목에서 80%비중을 차지한다. 넷째, 국내 CBI 메타분석에서 영어능력의 효과성 크기는 어휘, 쓰기와 읽기의 혼합형태가 가장 높았고 단일 기능으로는 쓰기, 말하기 기능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국내 CBI 메타분석에서 교과 성취도의 효과성크기는 체육과 과학이 가장 높았다. 여섯째, 국내 CBI 메타분석에서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 크기는 만족도와 참여도가 가장 높았다. 일곱째, 국내 CBI 메타분석에서 연구기간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연구의 결과, 우리나라와 같은 EFL영어 교육환경에서 교과통합 CBI가 의사소통능력, 교과 내용적, 인지적 측면에서 모두 효과성이 있다고 검증되었다. 이것은 정규영어시간외에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우리나라 영어교실에서 노출의 양적, 질적 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는데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단위, 학년, 과목, 지역이라는 주요 변인들과 상관없이 일관된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국내 교과통합 CBI연구는 여전히 특정 주제, 대상, 과목 등에 편중되어 있어 연구의 다양한 범위를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어떠한 방식으로 CBI가 영어공교육으로 편입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교육과정 측면에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