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남 일부지역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및 영양소 섭취량의 비교 연구

        김미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전남 동부지역에 근무하는 103명의 영양사와 166명의 일반 취업여성인 비영양사 총 269명을 대상으로 2005년 10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양지식의 전체 정답율은 70.2%였으며, 영양사의 경우 75.8%, 비영양사의 경우 66.7%로 두 집단간의 영양지식의 정답율은 유의적인(p<0.0001) 차이를 나타냈다. 영양지식 점수 또한 전체 평균은 14.04 이었으며, 영양사는 15.17, 비영양사는 13.34 로 유의적인(p<0.0001) 차이를 보였다. 2. 식생활 태도에서 규칙적인 식생활 부분에서는 여유 있게 식사하는 비율만 영양사들이 비영양사들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아침식사, 과식, 불규칙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균형잡힌 식생활 부분에서는 매끼 곡류를 섭취하는 비율(p<0.0001), 매끼 육류, 생선, 달걀, 콩을 섭취하는 비율(p<0.001), 매끼 김치를 제외한 채소를 섭취하는 비율(p<0.001), 균형 있는 식사를 하는 비율(p<0.01) 부분에서는 영양사들이 비영양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식용유와 우유 및 과일 섭취부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건강과 관련된 식행동 부분에서는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비율이 영양사에 비해 비영양사들이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고, 음식을 싱겁게 섭취하는 비율에서도 비영양사들이 영양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하는 비율에서도 비영양사들이 영양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p<0.0001)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태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66.17이었으며, 영양사는 69.58, 비영양사는 63.97로 유의적인(p<0.0001) 차이를 나타냈다. 3. 영양지식과 식생활 태도의 상관관계에서 영양사와 비영양사 모두 영양 지식과 식생활 태도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령에 있어서는 20대와 30대에서, 학력에서는 전문대학과 대학 졸업자는 상관이 있었고, 결혼 여부에서 미혼과 기혼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근무 경력면에서 2-5년과 10년 이상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신체계측과 체질량지수의 결과 신장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의 경우 영양사는 56.12 kg, 비영양사는 54.43 kg으로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체질량 지수의 경우 영양사는 21.82, 비영양사는 20.85로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01) 높게 나타났다. 체질량 지수의 분포도에서 25이상 비만에 속하는 사람은 영양사의 경우 5.8%, 비영양사의 경우 6.6%를 나타내어 영양사와 비영양사간에 유의적인(p<0.001) 차이를 나타냈다. 5. 아침식사 섭취빈도, 결식이유 및 식사형태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영양지식 또는 정보 공급원은 영양사의 경우 주로 인터넷인 반면 비영양사의 경우 인터넷이외 다른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제공받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001),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1) 높았다. 6. 월식생활비와 식품구매에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식단작성에서는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해 가끔 작성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0.01)차이가 있었다. 7. 식이섭취조사 결과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대부분의 섭취영양소에서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일부 식생활 태도를 제외한 영양사들의 영양지식 정답율과 점수, 식생활태도점수 모두 비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난 점은 바람직한 현상이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서 비교적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식생활태도에서 비영양사들에 비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항목에 대해서는 보수교육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좋은 습관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비영양사들에게는 영양교육을 통하여 지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여 실생활에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학교급식 정규직영양사와 비정규직영양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분석 : 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성기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ist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performing their jobs more efficient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etitians, the characteristics of feeding facilities, and the type of employment. In addition, by analyzing certain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between regularly and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ietitians' rational management of the workforce. 30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tween November, 15 and December,25 in 2007. 218 were returned, only 204 were used for analysis, because 14 lacked responses or sincerity(response rate : 66.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ollowing respondent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over 30 years of age, marriage, holding an advanced degree, and working in their career for more than 5 yea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ith the exception of satisfaction with work affairs and relationships, being marri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compared to other factors. In terms of final academic attainment, dietitians with bachelor's degre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alary and welfare as compared to dietitians with other levels of education. In addition, dietitians with over 10 years of career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satisfaction with salary and welfare and performance ratings. Finally, dietitians who were paid more than 2,000,000 won ha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salary and welfare than other dietitians. Next, the facilities in which the dietitians worked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ver 60% worked at facilities located in Gimhae and Changwon, and most had a city-type operation. More dietitians worked in 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 or high schools, and most of these were public schools in which the dietitians managed the foodservice by themselves. Many performed management and cooking duties on their own, and food was served in a cafeteri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effects of feeding facility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the dietitians working in Changwon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relationships, work atmosphere, and job as a whole. With the except of satisfaction with work atmosphere, the dietitian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from those in middle in high schools. As for the type of management and cooking, joint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atmosphere satisfaction, and joint coo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affairs and welfare. Finally, when comparing dietitia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ir type of employment, 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s in terms of their age, marital status, career as a school dietitian, average salary, and the final academic attainment than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Also, in analyz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 feeding fac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employment, the 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examining the effects of employment type (regular/irregular) on whole job satisfaction revealed that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work affairs and relationships influenced their whole job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was influenced by work affairs and salary satisfaction, whil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included satisfaction with work affairs and work atmosphere. Therefore, these data reveal that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the whol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dietitians were different from those affecting the whole job satisfaction of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rregularly employed dietitians had low levels of satisfaction in terms of work salary and welfare, indicating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These salary and welfare aspects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to ensu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school foodservice workforc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경상남도 일부지역(김해·마산·진해·창원)의 학교급식 영양사의 개인적 특성과 급식소 특성,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학교급식 영양사가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정규직영양사와 비정규직영양사 간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영양사의 합리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2007년 11월 15일부터 2007년 12월 25일까지 총 305부를 배포하였고, 이중 218부가 회수되었으나 무응답을 한 것과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총 20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회수율 : 66.8%).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은 30세 이후 기혼으로 학사 이상의 높은 학력과 5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결혼유무에 따른 직무만족요인은 기혼이 업무만족과 인간관계만족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의적이었으며,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를 졸업한 영양사가 임금만족, 후생복리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영양사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영양사가 임금만족, 후생복리만족, 인사고과만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월평균 급여에서는 ‘200만원 이상’을 받는 영양사들이 임금만족과 후생복리만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둘째, 급식소 특성에서 근무지역은 김해시와 창원시가 60% 이상을 차지하며 학교분류상 도시형이 대부분이었다. 근무학교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가 중·고등학교 보다 많았고, 대부분 공립, 직영급식을 하고 있었다. 관리 형태와 조리 형태에서는 단독관리 및 조리를 하고 있었고, 대부분 식당배식을 하고 있었다. 급식소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요소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근무지역은 창원시에 근무하는 영양사가 인간관계만족, 직장분위기만족과 전체직무만족도에서 유의적이었다. 근무학교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가 업무만족과 전제직무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관리 형태에서는 공동관리 영양사가 직장분위기만족에서 차이를 보였고, 조리형태에서는 공동조리가 업무만족, 후생복리만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에 따른 직무만족도 비교에서 임금만족, 후생복리만족, 인사고과만족이 전체적으로 비정규직보다 정규직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과 급식소 특성에서 정규직영양사가 비정규직영양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에 따른 직무만족요인이 전체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한 결과, 학교급식 영양사의 전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만족과 인간관계 만족으로 나타났다. 정규직영양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요소는 업무만족과 임금만족이었으며, 비정규직영양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요소는 업무만족과 직장분위기 만족으로 나타났다. 즉, 정규직영양사와 비정규직영양사의 전체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무만족요소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비정규직영양사의 임금과 후생복리 수준이 정규직영양사보다 낮게 조사되었으며, 향후 비정규직 학교급식영양사의 효율적인 인적관리를 위하여 이들의 임금 및 후생복리의 개선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임상영양사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연구

        박지영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임상영양사의 정체성에 관하여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써 임상영양사로 경험되어진 의미 있는 생각, 가치, 동기, 의견 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 또는 기타 영양상담 분야에서 임상영양사 경력 2년 이상인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기간은 2013년 10월 15일부터 2013년 12월 3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을 일관성 있게 이끌어가고 질문 내용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기 위해 면담가이드를 작성하였고, 연구 참여자에게는 진술의 포화상태까지 면담을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의 새로운 글쓰기 방법인 크로스오버(crossover) 글쓰기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의미단위를 재구성하여 6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요소로 범주화 하였고 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영양사 업무에 대한 인식에서 참여자들의 업무는 다양하였다. 참여자들은 급식과 임상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으며, 영양사의 소속이 위탁소속인지 직영소속인지에 따라 임상업무 수행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위탁소속일 경우 임상업무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타 직종에서는 임상영양사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임상영양사 자격 취득의 이유를 임상영양사에 대한 꿈을 이루기 위해서, 지금보다 나아질 미래를 위한 준비, 그리고 근무조건에 따라서 취득하였다고 진술하였다. 셋째, 임상영양사에 대한 의료진의 인정을 통하여 밝혀진 의미를 살펴보면 임상업무를 수행하는 영양사에 대해 의료진의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임상영양사를 영양교육을 수행하는 전문인으로서의 인식보다는 급식업무를 하면서 영양교육도 진행하는 영양사로 바라보았다. 넷째, 정체성 확립과정에서 혼란의 의미를 통하여 임상영양사의 역할, 위치, 인식 등 정체성이 불분명하여 영양사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이 있었고, 급식업무와 임상업무 중 한쪽이 우월하다고 진술하였다. 다섯째, 전문인으로서의 보람의 의미를 살펴보면 임상영양사로서 임상초반에 자질 부족, 준비 미흡 등의 이유로 환자들에게 미안함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전문인으로서 실력을 갖추고 난 뒤 임상영양사 업무를 통해 보람과 감동이 있음을 진술하였다. 여섯째, 임상영양사 양성제도의 나아갈 방향은 임상영양사 교육기관을 지정해 주기에 앞서 임상영양사로의 진로를 안정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법률적 제도 개선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영양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영양사 집단 내에서 먼저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대외적으로 활동의 범위를 넓혀가야 할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급변하는 보건의료분야의 전문가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 법률적 제도 개선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임상영양사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여 본다.

      • 식품영양학과 영양사 현장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

        이현주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식품영양학과 영양사현장실습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의 이론적 고찰과 질적 연구를 통해 영양사 현장실습 교육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구·경북지역의 식품영양학 전공 영양사현장실습교육을 이수한 대학생 및 졸업생, 영양사를 대상으로 전공에 대한 인식과 현장실습의 실태를 파악하며, 선행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영양사 현장실습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책이 의미 있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현장실습 사례를 통한 개선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장실습은 구성요소 간 준비 및 상호협조 부족으로 실습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이 체계화 되어 있지 않아, 실습생이 현장에 투입되어 실습의 원래 취지였던 현장교육과는 달리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정부와 실습기관에 관련한 구성 요소간의 상호 협조를 이끌어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업에서는 현장실습생을 받지 않으려고 하며, 학교에서는 실습을 보낼 실습기관이 부족하여 실습기관의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며, 학생들은 실습할 장소가 제한되어 있어 한 곳으로 몰려 실습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습기관의 영양사는 많은 인원의 실습생으로 인해 업무능력 저조와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상황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영양사 현장실습이 가장 많은 곳은 산업체이며 병원과 급식학교이 주요 대상 업체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현장실습을 기업체에 의뢰하면 대다수가 꺼려하며, 일부 현장실습을 허용한다 해도 대학에서 배운 실기 및 이론을 기업체의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하고 견학실습이나 기타 잡무 등에 종사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많은 실정이다. 영양사현장실습의 실습지 교섭은 대체로 식품영양학과에서 주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 실습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곳은 16.7%였으며, 단순히 실습지의 실습프로그램만 의존하는 학교가 70.7%로 상당하였다. 2학년 학생의 약 절반 정도가 현장실습에 참여하며, 한 가지 특이한 사항은 식품영양관련 연구소에도 15개 대학에서 영양사 현장실습 교육으로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한다고 나타났으며, 식품영양학과 출신의 진로가 다양하게 확대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대다수의 대학에서 교과과정을 선택한 학생에 한하여 현장실습을 시키고 있었으며, 재학 중 영양사 현장실습교육을 이수한학생은 현재의 영양사 실무에 도움이 된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질적 연구에서는 실습현장에서는 체계적인 실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다는 인터뷰 내용과 급식 유형이 다른 실습기관은 현장실습 기간을 길게 하더라도 모두 실습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의견도 조사되었다. 이런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영양사 현장실습 교육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와 대학교 및 상호실습기관의 구성 요소간의 상호 협조를 요구하며, 구성 요소간의 준비 및 상호 협조를 이끌어 실습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이 체계화 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n the fieldwork education for dietitians by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theoretical investig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 fieldwork education for dietitian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With the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s and dietitians that finished the courses of fieldwork for dietitian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in Daegu and North Gyungsang Province, they were analyzed whether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fieldwork education for dietitians had been applied meaningfully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improvement areas were sought by the cases of fieldworks. Since the educational programs were not systemically organized for the trainees due to the lack of preparations on the organizational elements and cooperation in the fieldworks, the trainees were sent to the fields directly which did not meet the original goal of the program, and also they did not entail the cooperation among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government and practice institutions. In the companies, they were hesitant to accept the trainees while the university had difficulty in securing the practice institutions due to insufficiency of the institution availability.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the practices gathering limited places due to limited availability, and the dietitians in the institutions complained the stress and lowered working capacity due to overflown trainees. As seen in the previous studies, the industry was the most needed place of the fieldwork for dietitians, and the hospitals and the schools were the major targets. If the universities requested the fieldwork to the companies, most of them were hesitant to accept them and the trainees were sent not to the fields but to the observation practices or other miscellaneous works without applying their learned lessons and theories to the practices though some were allowed. Most of the negotiation on the practice institution for the fieldwork of dietitians were organized by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16.7% of them prepared the fieldwork programs and 70.7% of them relied on the practice program by the institutions. About half of sophomor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ieldwork courses demonstrating one remarkable feature that the students in 15 universities practiced fieldwork of dietitians in the research labs related to food and nutrition, which reflects the expansion of the careers variously among the graduates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 Most of the universities provided with the fieldwork only for the students who selected the specific courses and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course of fieldwork for dietitians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were helpful for the current practices of dietitians. Up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there were opinions that no systemic practice education was provided at the sites and it would be better to practice all the institutions even for longer period to practice if their types of meal services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se problems, the education of fieldwork for dietitians did not achieve the original goals requesting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the practice institu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systemized for the trainees with preparations and cooperation among the organizations.

      • 영양사의 기호도에 따른 전통음식의 학교급식에서의 이용실태와 활용증대 방안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안기덕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학교급식의 적용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를 통하여 자가 기입 방식으로 198명에게서 자료를 조사하여 사용하였고,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정도, 전통음식과 비전통음식의 사용실태, 전통음식에 대한 학교급식 활용방안 및 전통음식에 대한 학생 교육 실태, 전통음식의 활용을 증가시키는 사례조사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기호도에 따라 상군과 중군 및 하군의 3군으로 표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1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고, 조사대상자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와 사용실태 및 활용도의 군 간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통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영양사는 자신이 동년배와 비교하여 전통음식에 대해 ‘조금 더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p>0.01), 전통음식 활용에 대한 연수의 참여여부에서는 ‘의무교육이 아니어도 업무에 필요하므로 참가 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p<0.05), 외부에서 제공하는 전통음식에 관련된 개발 프로그램이나 책자를 ‘적극이용’ 하겠다고 하였다(p<0.001). 전통음식에 대한 학교급식에서의 사용실태 또한 '전통음식을 고수해야 한다'는 생각과 함께 급식에 제공되는 식단을 '전통음식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하려는 성향이 높았고(p<0.001), 학교급식에서 ‘전통음식의 재료와 조리법을 고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p<0.001). 이렇게 전통음식을 식단에 사용하는 이유는 요즘의 주요 관심사인 ‘건강식이어서’ 라고 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전통음식을 계승’하려고 한다는 응답이 차지하고 있었다(p<0.05). 그러나 이러한 영양사의 노력과 사용의지에도 불구하고 학교급식에서 전통음식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생기는 이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아서’라고 생각하였고, 학생의 인식을 교육을 통해서 전환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영양사들의 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할 만한 시간과 공간의 제한'과 교육에 필요한 '자료의 부족' 및 교수활동에 필요한 '관리자의 인식 및 업무에 관련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서'라고 응답하였다(p<0.05). 또한 조사대상자가 생각하는 학교관리자(교장, 교감, 교무부장, 행정실장)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었고, 관리자들에 대한 전통음식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유의적으로 많았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기호도가 높은 학교급식 영양사가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도 높고 연수와 자료에 대한 요구도 많았으며, 전통음식을 고수해야 한다는 의견을 지니고 전통음식의 활용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낮은 기호도로 인해 학교급식에 이용의 어려움이 있는데 이를 극복하고 전통음식에 대한 활용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하는 데 있어 기호도가 높은 영양사는 전통음식을 기본으로 한 새로운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과 학생들의 교육을 기호도가 낮은 영양사보다 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므로 전통음식에 대한 활용을 높이기 위해 기호도가 낮은 영양사의 기호도를 높이려면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한 전통음식의 체계적인 교육과 연수활동을 통하여 인식의 전환과 지식의 제공을 도모하고, 급식에서 전통음식을 활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전통음식에 대한 표준 조리법의 개발을 대한영양사회나 정부기관 등의 단체에서 조속히 시행하여 학교급식 영양사들에게 자신감을 주고, 전통음식을 제공하는 데 대한 관리자의 협조와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전통음식과 올바른 식습관의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foods of school dieticians and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their perception and usage status and to develop the strategies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school lunches.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the subjects, which were 198 dieticians in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do. According to the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the subjects were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High, 54; Medium, 128; Low, 16). The significancie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determined using SPSS 12.0 at p<0.05. Compared to the dieticians with lower (medium an low) preferences, those with high preference answered that they had better knowledge (p<0.001) for traditional foods and served them more in school lunches (p<0.01). Also, more dieticians in high preference group not only felt the need to train school administrators (p<0.01) as well as themselves (p<0.05) but also were currently providing students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on traditional foods (p<0.05). The results were based only upon the information self-reported by the dieticians and it is not clear whether the higher preferences resulted from or in the better knowledge for traditional foods. However, this study presented the evidence to suggest that the production of promising school dieticians to have higher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can be one of the best strategie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foods by schoolchildren. The difficulties in serving traditional foods in school lunches and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as well as dieticians' needs for the support from government and association were discussed.

      • 수도권 지역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 행동 비교연구

        한순옥 全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s the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of dietitian and non-dietiti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dietitian and 195 non-dietitian who are working in Metropolitan are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dietitian group (16.61±1.8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compared to non-dietitian group (14.60±2.17). In score of nutrition attitudes, dietitian group (36.66±6.91) was a little higher than non-dietitian group (36.21±7.95),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Dietitian group (61.52±9.37) and non-dietitian group (62.50±11.25)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behaviors.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nutrition attitudes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etitian and non-dietitian grou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eating behaviors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ietitian r=0.40829, non-dietitian r=0.51914). The result of anthropometric data and body mass inde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etitian and non-dietitian but 25% of dietitian and 32.8% of non-dietitian belonged to under weight. From these results, we could see the necessity of emphasis that nutrition knowledge by the medium of mending education is necessary to enable dietitian to apply that in real life. Also it is important to guide non-dietitian to adjust their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는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행동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인 서울, 경기, 인천에 근무하는 148명의 영양사와 195명의 일반취업여성인 비영양사 총 343명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1. 영양지식의 전체 정답율은 77.3%로 나타났으며, 영양사의 경우 83.0%, 비영양사의 경우 73.1%로 두 집단 간의 영양지식의 정답율은 유의적인 (p<0.0001) 차이를 나타냈다. 영양지식 점수 또한 전체평균은 15.47이었으 며, 영양사는 16.61, 비영양사는 14.60으로 유의적인 (p<0.001)차이를 보 였다. 2. 영양 태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36.40이었으며, 영양사는 36.66 비영양사는 36.21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 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30대, 50대, 20대 순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p<0.05) 차이를 나타냈다.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 여부에서 미혼자의 영양태도 점수는 기혼자에 비해 유의적으로(p<0.0001) 낮게 나타 났으며, 직업경력이 많을수록 영양태도 점수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태도를 비교한 결과 ‘나의 잘못된 식습관은 고치 려고 노력한다’ 등 일부 문항에서 영양사에 비해 비영양사의 영양태도가 더 좋게 나타났다. 4.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식 행동에서 규칙적인 식생활 부분에서는 하루 3끼 식사하는 비율(p<0.0001), 아침식사를 항상 하는 비율(p<0.0001)이 영양사 들에 비해 비영양사들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규칙적인 식사부분에서는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비율은 비영양사에 비해 영양사들이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p<0.001)차이를 나타냈다. 여유 있는 식사, 과식 부분에서는 유의적인 차 이가 없었다. 균형 잡힌 식생활 부분에서는 매끼 육류, 생선, 달걀, 콩을 섭 취하는 비율(p<0.001), 매끼 김치를 제외한 채소를 섭취하는 비율(p<0.05), 매끼 식사에서 조리할 때 식용유를 사용하는 비율(p<0.05) 부분에서는 영 양사들이 비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매 일 우유를 섭취하는 비율(p<0.01), 매일 과일을 섭취하는 비율(p<0.01), 균 형 있는 식사를 하는 비율(p<0.001) 부분에서는 영양사들이 비영양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매끼 식사 시 곡류를 섭취하 는 비율은 영양사와 비영양사가 비슷하게 나타나 차이가 없었다. 건강과 관련된 식 행동 부분에서는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비율 (p<0.05), 음식을 싱겁게 섭취하는 비율(p<0.05), 동물성 지방을 자주 섭취 하는 비율(p<0.05)이 영양사에 비해 비영양사들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하는 비율에서는 영양사들이 비 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0.0001) 차이를 나타냈다. 식 행동의 전체 평균 점수는 62.08 이었으며, 영양사는 61.52, 비영양사는 62.50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 영양태도 및 식 행동과의 상관관계는 영양 사와 비영양사의 영양지식과 영양태도사이에 유의적인 상관(p<0.05)이 나 타나 영양지식이 높으면 영양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지식과 식 행동의 상관 관계는 낮게 나타나 유의성이 없었고, 영양태도와 식 행동 역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0.0001)차이가 있었다. 6. 아침식사 섭취빈도는 일주일에 거의 하지 않는 비율이 영양사와 비영양사 각각 37.2%와 25.8%로 영양사와 비영양사에 유의적인(p<0.0001) 차이가 있었다. 결식이유 및 식사형태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 며, 영양지식 또는 정보 공급원은 영양사의 경우 주로 인터넷인 반면 비영 양사의 경우 인터넷 이외에 다른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제공받아 유의적인 (p<0.0001)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비영양사들이 영양사 들에 비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기적으로 먹는 약에 대한 조사에서 본 조사대상 자들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44.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비타민, 무기질(철분, 칼슘), 보약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사는 먹지 않는 비율이 비 영양사에 비해 약간 높았고, 무기질은 약간 높은 반면 비타민과 보약은 낮 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01) 7. 월식생활비와 식품구매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식단 작성에 서는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해 가끔 작성하는 것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식품구매 시 구입은 꼭 필요한 것만 구입한다가 가장 높아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식품구입 시 유효기간이나 성분 등을 확인하는 비율은 영 양사가 비영양사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0.01) 차이가 있었다. 8. 신체계측과 체질량지수의 결과 신장과, 체중 모두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 었으며, 체중의 경우 영양사는 52.76kg, 비영양사는 53.58kg으로 영양사가 비영양사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체질량 지수의 경우 영양사는 20.16, 비영 양사는 20.36으로 영양사와 비영양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두 집 단 모두 정상범위에 해당하였다. 영양사와 비영양사의 체질량 지수의 분포 도는 18.5이하 저체중에 속하는 사람은 영양사는 25%, 비영양사는 32.8%, 영양사와 비영양사 모두 18.5~22.9의 정상에 속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 며, 25이상 비만에 속하는 사람은 영양사의 경우 0.7%, 비영양사의 경우 2.6%를 나타내어 영양사와 비영양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영양사들의 영양지식 정답율은 비영양사들의 영양지식 정답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영양태도 및 식 행동 점수는 비영양사들의 점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약간 낮게 나타나 영양지식은 높으나 실 생활에서 태도와 행동으로 제대로 실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근무조건 에서 실천이 불가능한 것은 이해가 가능하지만 영양교육을 담당해야 할 영양사 들이 영양태도와 행동이 좋지 못한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므로 정기적인 보 수교육을 통해서 이를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학교급식영양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 대전 및 충남지역 학교급식 영양사를 중심으로

        고화숙 公州大學校 産業科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학교급식영양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대전 및 충남지역 학교급식 영양사를 중심으로) 公州大學校 産業科學大學院 食品工學 및 營養學專攻 高花淑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과 충남지역 학교 급식 영양사의 직무만족도를 비교조사 연구하고 학교급별 및 지역별, 급식형태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대전과 충남지역의 학교급식(식품위생직)영양사 234명을 대상으로 2002년 4월 13일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급식영양사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백분율을 분석한 결과, 연령은 31~38세가 38.9%로 가장 많았고 결혼여부는 기혼가 미혼이 각각 64,1%, 35.9%였으며 초등학교 영양사가 기혼이 72.7%로 월등하게 많았다. 최종학력은 전문대+학사편입이 45.7%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재학 및 졸업의 경우가 3.4%로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로서의 경력은 6~10년이 48.7%로 가장 많았고 직급은 8급이 58.1%, 7급이 32.1%이며 고등학교의 경우 6급이 11.1%를 차지하였다. 2. 근무환경을 조사한 결과 대전 26.5%, 충남 73.5%에 초등학교 61.1%, 중학교20.5%, 고등학교 18.4%에 각각 근무하며 단독관리 60.3%, 공동관리 등 여러 학교를 관리하는 영양사가 39.7%이며 급식인원 400명 이하를 관리하는 영양사가 33.3%이고 400명 이상 관리하는 영양사는 66.7%를 차지하였다. 급식횟수는 1식이 86.8%, 2식 이상이 13.2%이며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는 고정직이 82.1%, 자모가 급식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학교는 17.9%였으며 조리종사원이 5명 이하인 학교는 40.2%, 6~10명은 35%로 조사되었고 배식 장소는 식당이 75.2%, 교실을 이용하는 학교는 24.8%였다. 3. 조사대상자 234명중 186명이 1개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조리관련(95.2%), 컴퓨터관련(17.7%), 식품제조관련(14.5%), 위생관련(11.3%) 순으로 소지하고 있었다. 4.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선호근무처를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54.3%), 중학교(35.7%), 고등학교(22%) 순이었다. 5. 개인별 직무만족도는 동료들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상사의 감독, 직무자체, 승진 순서였으며 급여에 대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6. 학교급별에 따라 전체적인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3.37), 중학교(3.46), 고등학교(3.35)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중학교영양사들은 승진과 급여에서 만족도가 낮았다(P<0.05). 7. 지역간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대전, 충남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8. 급식형태에 따른 직무만족 요소별 평균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공동관리에서 직무자체와 상사의 감독에서 다른 급식형태의 근무자보다 만족도가 낮았으며 단독관리에서는 급여와 승진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9. 직무만족 요소의 상대적인 순위에서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직무자체였으며 그 다음이 급여, 승진, 동료들의 순서였으며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직무만족 요소는 상사의 감독이었다. ABSTRACT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s (Focus On Daejeon And Chungnam Of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s) Hwa-Suk Ko Department of Foods Engineering And Foods Nutrients Industrial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Won-Joung Park)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s of school feeding dietitians with their duty by studying their self records through questions and analyse the correlation of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levels among school forms, areas and school feed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alysis of the percentage of dietitians' personal stations showed that the age range of 31-38 takes up the most distribution of 38.9%. As for marital status, the married ones occupies 64.1% and the single ones, 35.9%. Among elementary school feeding dietitians the married ones take up 72.7%. As for the maximum scholarship college graduates and transfer students of university take up the most distribution of 45.7% and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of postgraduate course take up the least of 3.4%. As for the total career as a school feeding dietitians 6-10 years takes up 48.7%. As for the official grades the 8th grades takes up 58.1%, the 7th grades, 32.1% and the 6th grade in high school, 11.1%. 2. The study of working conditions said that as for the working place, 26.5% of dietitians are working in Daejeon, 73.5% in Chungnam, 61.1% in elementary school, 20.5% in middle school and 18.4% in high school. 60.3% manages alone and 39.7% take the form of joint control. 33.3% takes care of less than 400 students and 66.7%, more than 400 students. As for feeding frequency 1 meal takes up 86.8%, more than 2 meals, 13.2%. As for the form of employment fixed employment takes up 82.1% and mother assistant, 17.9%. The school with fixed employment less than 5 takes up 40.2%, 6-10, 35%. 75.2% of school uses cafeteria as a feeding place and 24.8%, classroom. 3. 186 of 234 has more than 1 certificate and cookery was related certificate(95.2%), computer related one (17.7%), food production related one (14.5), sanitation was related one (11.3%) in order. 4. Examined prefer elementary school(54.3%), middle school (35.7%) and high school(22%). 5. As for the total satisfaction rate of was examined the satisfaction with co-workers took the highest place(2.77), supervising (3.08), work itself(3.12), promotion(3.86) and pay was the lowest(4.16). 6. The analysis of total satisfaction rate with work showed that no meaningful difference is found among elementary school(3.37), middle school(3.46) and high school(3.35).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work constitu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romotion in school(P<0.05) and pay(P<0.05). 7.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rate between working areas did not showed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Daejeon(P<0.05) and Chungnam(P<0.05). 8. The difference of average of the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feeding formation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romotion and co-workers bu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work itself and supervising(P<0.05). 9. As for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work satisfaction constituents work itself takes the first place and next was pay, promotion and co-workers in order and the supervising was taked the last place.

      •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군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현정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요약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군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현재 단체급식 시장의 성장과 식생활 양식등의 변화로 인해 학교, 산업체, 병원 등에서도 다양한 식사를 제공하고 이싸. 단체 급식은 단순히 식사를 한끼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건강한 식단과 균형잡힌 영양 서비스등 다양하게 공급되어져야 한다. 급식 구성원의 건강 증진을 토대로 단체 급식을 관리하고 있는 영양사들의 업무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업무중 영양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식의 책임자인 영양사들의 영양관리 수행 항목과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만족도에 따라 급식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또한 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실증 분석을 위해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조사설계와 실증분석을 위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연구 연구 결과 과정 요약은 다음과 같다. 산업체, 병원, 학교 세 집단의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하여 총 243부를 회수하여 spss22.0을 이용해 신뢰도 검증과 요인을 분석하여 기술통계를 하였고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서열프로빗 모형(OPM)으로 검증하였고, 우도비율검정을 통해 영양사의 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 보았다. 첫 번째로, 영양사의 영양관리, 위생관리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생활 습관병 예방 관리 수행 항목’, ‘위생관리 수행 항목’, ‘당류저감화 관리 수행 항목’, ‘ 영양교육관리 수행 항목’, ‘메뉴관리 수행 항목’ 총 5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검정결과 ‘생활 습관병 예방 관리 수행 항목’과, ‘메뉴관리 수행 항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학교 영양사 직군은 ‘샐활 습관병 예방 관리 수행 항목’과, ‘위생관리 수행항목’, ‘메뉴관리 수행 항목’에 영향을 미치었으며 ‘위생관리 수행 항목’ 은 계수값이 (-)값으로 HACCP등으로 인한 직무 량이 많을때 직무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 할수 있겠다. 또한 ‘생활습관병 예방관리 수행 항목’과 ‘메뉴관리 수행 항목’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급식 제공시 초등비만과 관련된 메뉴 편성과 저염식등을 제공하고 영양관리를 함에 있어 직무에 보람을 느껴서 직무 만족도가 높다고 말할수 있겠다. 병원 영양사의 직군을 보면 ‘당류 저감화 관리 수행 항목’에 유의한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병원영양사로서의 업무 수행시 식이 조절을 통해서 당뇨병 환자등 당류 조절 환자가 회복 되거나 환자의 병세의 차도가 나타나 영양사의 직업에 대해 보람을 느낌으로 직무에 만족할 수 있다고 하겠다. 산업체 영양사의 직군을 보면 ‘생활습관병 예방관리 수행 항목’과 ‘메뉴관리 수행 항목’, ‘영양교육 관리 수행 항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 또한 현대인의 성인병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그로인해 영양사들은 양질의 영양 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 습관병을 예방 할수 있으며, 피급식자의 선호도에 맞는 식단을 공급하고 영양 교육을 통해 양질의 영양관리를 함에 따라 전문인으로서 직무에 가치를 두고 직무에 만족한다고 할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양사들의 직무 만족도는 직무에 보람을 느끼고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 할때에 직무에 만족함을 알수 있고 그에 따른 영양사의 자부심과 긍지를 느낄수 있는 직무 역량 교육이 필요 할것으로 사료 되어진다. 또한 영양사의 근무 만족이 높을수록 능률이 향상되고 즐겁게 일할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교와 병원과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영양사들의 직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직무 만족을 높이고 업무 능률을 향상 시킴으로 인해서 양질의 음식을 제공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국민 건강 관리에 이바지 할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양사의 직무 만족은 국민 건강에 이바지 할수 있기 때문에 영양사의 직무 만족을 위해서는 급식 및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법적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며 영양사 스스로도 끊임 없는 자기 계발과 직무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 하다. 주제어: 단체급식, 영양관리, 위생관리, 직무만족, 건강한 식단 Abstract The Effect of Dietitians' Nutrition Management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group - Cho Hyun Jung Department of Hotel & Food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With the spread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at schools, industries, hospitals, etc. owing to the growth of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market, institutional foodservice is no longer limited to merely providing one meal but it has to provide healthy diet and nutritional service. As the interest toward health is increasing in the modern society, the health food fever toward menus has become a social issue. The tasks by the nutritionists who manage institutional foodservice are regarded as important and the interest toward nutritional management during duty is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s which could effectively implement institutional foodservice management tasks according to satisfaction levels by researching the nutri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items by nutritionists and the effects of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s on job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and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s on job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 organized the study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and derived hypothesis for research design and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process outline of the study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have been derived by using the SPSS 2.0 after collecting 243 questionnaire surveys from the nutritionists working at industries, hospitals, and schools,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and sanitary control items on job satisfaction have been verified through the Ordered Probit Model (OPM), and the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occupation group of nutritionists have been examined through likelihood ratio test.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and sanitary control items on job satisfaction, five factors have been extracted. A total of five factors -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 'performance of sugars reduction management item', 'performance of nutritional education management item', and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 have been extracted a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and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whether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item and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 differed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school nutritionists group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anitary control item', and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Since the work amount was high due to the negative factor value of the 'performance of sanitary control item',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was low. In addition, when it came to the 'performance of lifestyl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and the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the job satisfaction level is high since the nutritionists were satisfied when organizing the menus related to elementary level obesity, offering low salt menus, and doing nutritional management. When it came to the hospital nutritionists group, the 'performance of sugars reduction management it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nutritionist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by being worthwhile when sugars control patient recovered after implementing dietary control or when patients' disease improved. The industries nutritionists group had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the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and the 'performance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item'. This also proves that nutritionists place value on their job as a professional and are satisfied with what they do by conducting high quality nutritional management through the prevention of lifestyle diseases by offering high quality nutritional services, the provision of the menus suiting the tastes of the public, and nutritional education. When referring to the study results, nutritionists are satisfied with what they do when they think that their job is valuable and the corresponding job capability education which enables them to feel proud is necessary. Furthermore, since efficiency increases as the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ists goes higher, high quality food and service can be provided by offering the materials which they can joyfully work with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through the creation of good work environment at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and contribution toward the public health management is made. Since the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is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can contribute in the public health, transformation of the perception toward institutional foodservice and education and legal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required to guarantee job satisfaction and nutritionists themselves have to endlessly make self-improvements and efforts to enhance work performance. Keywords: institutional foodservice, job satisfaction,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 학교급식 영양사의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 활용에 관한 연구

        김희나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인터넷을 통한 식품영양정보의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인지도와 접속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실시를 위한 전문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일부지역의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2007년 6월 ~ 7월 우편과 이메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6부 중 153부가 회수(회수율 68%)되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학교급식 영양사들이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에서 검색하는 정보에 대해 알아본 결과,'영양교육에 관련된 정보'가 5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식단 및 레시피 정보'24.7%,'최신 식품영양정보'12.7%,'조리원 위생교육에 관련된 정보'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25%가 인터넷상에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한 경험이 있었으며, 제공한 식품영양정보로는 '식단 및 레시피 정보'가 59.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영양교육에 관련된 정보' 19.0%, '최신 식품영양정보'9.5%,'조리원 위생교육에 관련된 정보'7.1%,'기타'4.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리커트식 5점 척도법으로 업무에 있어서 인터넷 식품영양정보획득의 필요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4.37점으로 조사되었다. 2. 영양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를 문헌조사와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13개 정도의 웹사이트를 주로 이용하였으며,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인지도와 접속도를 조사한 결과,'대한영양사협회','영양사도우미','재치영양사',인터넷 포탈사이트에서 90%이상의 매우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으며, 접속도는'대한영양사협회','영양사도우미', 인터넷 포탈사이트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영양사들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는 '영양사도우미','대한영양사협회', 인터넷 포탈사이트,'재치영양사'순으로 조사되었고, 가장 만족하는 사이트로는'영양사도우미','재치영양사','대한영양사협회'순으로 조사되어,'영양사도우미'를 가장 자주 이용하고 있었으며,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질적 만족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① 근무처에 따라서는 '영양사도우미'(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p<0.001), 구리시보건소'건강한 구리시아이들'(p<0.05), 보건산업진흥원'키디키즈'(p<0.05), 충북대'아이푸드'(p<0.01), 성북교육청'사이버튼튼교실'(p<0.05), 안양시 동안구'영양관리 홈페이지'(p<0.05)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들의 만족도가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② 경력에 따라서는 성북교육청'사이버튼튼교실'의 경우 4년미만의 경력자에서 질적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의 경우 8년이상 12년미만 경력자에서 질적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4.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내용충분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① 근무처에 따라서는 다음카페'경기 학교영양사회'의 경우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집단의 내용충분도가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의 경우 초등학교 영양사의 내용충분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5). ② 학력에 따라서는 안양시 동안구의'영양관리 홈페이지'(p<0.05)와 창원대 '짱이와 영양친구들'(p<0.05)의 경우 대학원재학이상의 집단이 전문대졸 및 대졸인 집단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③ 경력에 따라서는'영양사도우미'의 경우 4년미만의 짧은 경력의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의 경우 8년이상 12년미만의 집단에서 가장 높은 내용충분도를 나타냈고(p<0.01), 충북대'아이푸드'의 경우 12년이상의 경력자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④ 연령에 따라서는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경우 20대 집단에서 내용충분도가 가장 높았으며(p<0.05), 충북대'아이푸드'의 경우 40대 집단에서 가장 높은 내용충분도를 보였다(p<0.05). ⑤ 고용형태에 따라서는'영양사도우미'의 경우 정규직에서 더 높은 내용충분도를 나타냈다(p<0.05). ⑥ 영양교육실시여부에 따라서는 안양시 동안구'영양관리홈페이지'의 경우,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집단의 내용충분도가 더 높았다(p<0.05). 5.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활용편리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① 학력에 따라서는'재치영양사'의 경우 전문대졸 및 대졸의 집단이 대학원재학이상의 집단보다 더 높은 활용편리도를 나타냈다(p<0.05). ② 경력에 따라서는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경우 4년미만의 집단에서 활용편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③ 고용형태에 따라서는'대한영양사협회'(p<0.05), 충북대 '아이푸드'(p<0.05)의 경우 정규직 집단이 비정규직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활용편리도를 나타내었다. ④ 영양교육 실시여부에 따라서는 구리시보건소'건강한 구리시아이들'의 경우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집단에서 더 높은 활용 편리도를 나타내었다(p<0.05). ⑤ 영양정보를 제공한 경험유무에 따라서는 '대한영양사협회'의 경우 영양정보를 제공한 경험이 없는 집단에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the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to analyze the name-recognition, access frequency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websites providing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lso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demand for the special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ebsites for the nutrition training programs at schools. For the purpose, a survey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was done from June to July in 2007 via post and email, and 153 copies out of 22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response rate 68%) and used in the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can be present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question on the frequently used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websites, 54% of the respondent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said''informa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and 24.7% for''menu and recipe information'', 12.7% for''the latest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6.0% for''the information on the sanitary training of cooking employees''in the order. 5 point Likert type scale was introduced to evaluate the demand for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result turned out to be average 4.37point. 2. According to the name-recognition and access frequency of 13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ebsites, the survey result showed very high name-recognition of more than 90% in''KDA'',''KDclub'',''Jaechi dietitian''and internet portal site, and more than 90% of access frequency in''KDA'',''KDclub''and internet portal site. The most frequently accessed website by the respondents was ''KDclub''and''KDA'', internet portal site,''Jaechi Dietitian''in the order, and in the most satisfactory site,''KDclub''ranked the first followed by''Jaechi Dietitian'',''KDA''in the order. As a result,''KDclub''i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most satisfactory website. 3. According to the 5 point scal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13 website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①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schools where the respondents are working for, in the websites of''KDclub''(P<0.05),''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P<0.001), the public health center of Guri City ''Healthy Guri City Kids''(P<0.05), KHIDI''KHIDIKIDS''(p<0.05), ChoongBuk Univ.''ifood''(P<0.01), Seongbuk District of Education in Seoul''Cyber Healthy Academy''(p<0.05), AnYang City DongAn Gu''Nutrition Management Homepage''(P<0.05), the respondent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user satisfaction than those work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s. ②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in case of Seongbuk District of Education in Seoul''Cyber Healthy Academy''(p<0.05) the respondents with less than 4year work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and in case of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 the respondents with the working experiences between more than 8 years and less than year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4. According to the 5 point scale evaluation of the contents sufficiency of 13 website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①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schools where the respondents are working for, in case of Daum cafe''GyeongGi School Dietitians Association'', the respondents work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higher points of contents sufficiency than those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And in the website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 the contents sufficiency for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was higher than that for middle and high school dietitians. ②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of the respondents, in the websites AnYang City DongAn Gu''Nutrition Management Homepage''(P<0.05) and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P<0.05), the respondent group of higher than graduate school attendance showed higher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of the websites than the group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③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in case of''KDclub''the respondents with less than 4 year work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P<0.05), in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P<0.001), the respondents with the working experiences between more than 8 years and less than years showed the highest points (P<0.01), and in Chungbuk Univ.''ifood''the respondents with more than 12 years work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st points (P<0.01). ④ According to the age groups of the respondents, in case of internet portal sites, the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recorded the highest in the twenties(P<0.05), and in Chungbuk Univ.''ifood''the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recorded the highest in the forties (P<0.05). ⑤According to the types of employment, in''KDclub''resulted in the higher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for the regular employees(P<0.05). ⑥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case of AnYang City DongAn-Gu''Nutrition Management Homepage''the group hav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P<0.05). 5. According to the 5 point scale evaluation of the user convenience of 13 website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①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of the respondents, in the website''Jaechi Dietitian''the group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showed higher points in the user convenience than the group of higher than graduate school attendance(P<0.05). ②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s, in case of internet portal site, the group of less than 4 year experience recorded the highest points in the user convenience(P<0.05). ③ According to the types of employment, in case of''KDA''(P<0.05) and ChungBuk Univ.''ifood''(P<0.05), the group of regular employees showed higher points of user convenience t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