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연구자들의 영어학과 영문학 논문 영문 초록에 대한 코퍼스 분석 : 주어-동사 연어를 중심으로

        김영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 초록이란 논문의 대표이자 얼굴로서 논문 내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요약한 문서이며 연구의 목적과 내용이 객관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영문 초록에서 사용된 주어와 동사의 연어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인 연구자들이 작성한 영어학 논문과 영문학 논문의 영문 초록 코퍼스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영어학과 영문학 연구의 영문 초록에 나타난 주어, 동사의 종류와 빈도수는 어떠한지, 두 집단의 영문 초록에 나타난 주어–동사의 연어표현을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두 집단의 영문초록에 나타난 주어, 동사의 언어적 특성이 각각의 학문영역의 특성을 나타내는지, 두 집단의 영문 초록에서 확인된 가독성과 어휘의 다양성 (Type–Token Ratio), 그리고 두 집단의 영문초록의 길이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영어학과 영문학 이 두 학문 분야는 학과 대분류에서는 영어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지만, 영어의 규칙 체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인 영어학은 자연과학적 학문 특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영문학은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문학적 학문 특성을 보인다. 두 학문들의 언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지 인용 색인 (KCI, Korea Citation Index)를 통해서 영어학 논문 50편과 영문학 논문 50편의 영문 초록 총 100개를 수집하여 온라인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사구조의 경우 연구 목적과 연구 결과 및 논의를 서술한 문장에 집중하여 영어학 논문과 영문학 논문의 영문 초록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영어학과 영문학 영문 초록의 전반적인 텍스트 가독성 (readability), 어휘의 다양성 (TTR) 그리고 초록의 길이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대조되는 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학 영문 초록은 영문학과 비교해 고빈도수의 주어-동사 연어표현이 나타났고 수동태가 많이 나왔으며 정형화된 표현들이 사용되었다. 반면에 영문학 영문 초록은 주어-동사 사이에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과 다양한 동사가 사용되었다. 영어학 영문 초록과 영문학 영문 초록의 가독성과 어휘 다양성(TTR)은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학 영문 초록의 평균 길이가 영어학 영문 초록의 평균 길이에 비해 다소 길었다. 끝으로 코퍼스 기반으로 영어학 영문 초록과 영문학 영문 초록 간의 특징 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가 이 분야의 향후 연구에서 참고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abstracts of journal articles summarize the contents of research simply and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pus of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focused on subject-verb collocat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ealt with. Firstly, what are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verbs and subjects in each abstract? Secondly, is there a difference in subject-verb collocation between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bstracts? Does the difference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ademic domain? Thir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readability, type-token ratio, and length of abstract between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bstracts?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both deal with English. English linguistics is a scientific study mainly focusing on the structure system of English, so it seems close to natural science. On the other hand, English literature, one field of the humanities, is the study of the production of literary works, so it show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50 abstracts from each academic domain are collected through Korea Citation Index and analyzed by analysis tools that are available onl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have higher frequencies of subject-verb collocation expressions, more passive sentences, and more formulaic expressions than those of English literature. Furthermore, abstracts of English literature have unconstrained and diverse expressions and use several types of verbs. The abstract readability and type-token ratio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The average number of words in abstracts of English literature was larger than that of English linguistics. Finally, considering that corpus based analys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has been conducted rar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referred by future researchers.

      • 영소설을 통한 영어교육 연구

        최영은 중앙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외국문학으로서의 영문학 교육은 교육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 뿐만 아니라 영문학 교육의 연구와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영문학을 어떻게 연구하고 활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과제는 교육이 지닌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함께 문화 이론과 연계한 영문학 교육의 방향 제시 등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영문학의 다양한 모습들은 연구와 교육으로 구분해서 생각 해 볼 때, 기존의 영문학 교육은 교육보다는 연구 쪽에 무게를 두고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요즘 들어 많은 학자들은 영문학과 연계하여 영어 교육에 있어 영문학 작품을 이용한 영어 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더욱 비중을 두고 있다. 그 동안 영어교육과 영문학은 별개의 분야로 여겨져 왔으며 어느 정도 상반된 입장을 취한 면도 없지 않다. 특히 대학 교양 학부에서부터 출발된 영어교육은 영어의 기능적 측면이 강조 되다보니 영문학 교육은 영어교육에서 소홀히 취급되어져 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제 영문학 교육은 영문학 작품을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주제와 등장 인물, 그 작품 속에 담겨 있는 지적 어휘나 문체, 대화속에 나타나는 관용적 표현과 이데올로기적 측면 등의 다양한 특성 등을 통하여 영어의 특성은 물론 문학을 통한 문화와도 연계하여 새로운 영문학의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견해에 찬성하는 학자들을 살펴 보면, 문학은 모든 언어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고 작품내의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하여 그 언어권에 더욱 쉽게 접근 할 수 있다고 언어와 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문학은 특수한 문화적 시각을 반영하기 때문에 ESL학생들에게 있어 이해의 어려움은 다소 인정이 되지만, 문학공부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와 학생들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반면에 반론을 제기한 학자는 문학은 읽기 능력을 증진시킬 지는 모르겠지만, 듣기, 쓰기 능력에는 효과가 없고, 본문의 언어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언어를 더 잘 이해하고 배울 수 있다면 현지의 신문이나 잡지들이 더 유용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찬성하는 학자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하여 보았을 때 작품 내의 문장만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작품의 아름다운 언어들과 그들을 활용한 영어 교육 방법 제시와 작품들을 대함으로써 학생들의 생각의 폭이나 보다 넒은 문화 경험 등은 문학 작품 활용의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토우핑의 위와 같은 주장은 오히려 문학 작품 속의 어휘나 문장, 담론, 문화적인 것을 이해하는 동시에 활용을 하면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아드의 의견대로 문화를 이해하려면 현지의 신문이나 잡지가 더 나은 방법이라고 주장하지만 문화의 깊이를 더해주고 보다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것은 문학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이견을 살펴보면서 오늘의 영어 교육에서 영문학 작품을 어떻게 활용하면 영어교육에 효율적 방법이 되겠는가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중학교 영어교육에서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쓰기 활동 방안에 관한 연구

        박재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습자에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구체적인 쓰기 수업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어의 네 기술 중 듣기, 말하기, 읽기 영역은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많이 나와 있지만, 아직 까지 쓰기 영역에서는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쓰기 활동들을 모색하였다. 영문학 작품은 언어적, 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문학 작품을 통하여 어휘, 문법, 문체, 구조, 작가의 다양한 표현법 등을 익힐 수 있다. 문학의 배경이 되는 문화를 접하며 해당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르와 주제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 수 있으며, 다양한 활동으로 연계시켜 학습에 박차를 가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어학적 능력과 흥미를 기준으로 영문학 작품과 장르가 선택되어야 한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다양한 문학 장르 중 단편소설을 가장 선호하였다. 단편소설은 작품의 길이가 짧으므로 수업시간에 작품 전체를 학습할 수 있으며, 텍스트의 길이는 짧지만 학습자가 문학 작품의 언어적, 문화적 요소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단편 소설을 활용한 수업은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제시 된다. 읽기 전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수업에 흥미를 지니고 학습 동기를 가질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된다. 읽기 중 활동에서는 텍스트를 이해하고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읽기 후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쓰기 활동으로 연계시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들이 고안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어학적 수준에 맞추어 O. Henry의 단편소설 Witches' Loaves를 활용하여 다양한 쓰기 활동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하는 쓰기 영역 성취 기준에 중점을 두고 고안하였으며, 영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으로 연계시킬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영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어 수업 활동을 모색하는 것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 여겨진다. 문학을 통한 다양한 영어 수업 활동 모색은 통합적인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진정성 있는 학습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학습 목표에 대한 인식 후, 영문학 작품이 영어 교육 자료로서 충분한 효과를 얻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교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Dubliners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코퍼스 기반 연어 연구

        한현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5

        Dubliners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코퍼스 기반 연어 연구 영어교육과 한현미 최근 영어 교육에 있어 어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어휘의 뭉치인 ‘연어’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연어 연구에 있어 국내에서는 교과서 기반 연어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목표 언어권에서 사용되는 authentic materials를 기반으로 한 연어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authentic materials를 이용한 연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어 연구에는 두 가지 코퍼스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authentic materials 중 영문학 소설 속의 연어를 분석하여 이것을 교과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문학 소설이 가진 여러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현재 영어 교육에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영문학 소설의 영어 교육적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Dubliners’와 교과서 각각에 사용된 다빈도 단어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Dubliners’와 교과서 각각에 사용된 다빈도 연어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각 코퍼스의 주요 다빈도 단어를 서로 전환하여 분석(‘Dubliners’ 와 교과서의 최다 빈도 node words 중 서로 다른 10개의 node words를 최다 빈도 순으로 선정하여 서로 대입 및 분석)하였을 때 그 쓰임이 어떻게 상이한가? 넷째, ‘Dubliners’와 교과서 연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가 주는 영어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Dubliners’의 총 67,622개의 단어를 먼저 코퍼스로 구축한 후 이와 비슷한 코퍼스 사이즈를 위해 2009 개정교육과정 영어1, 2 교과서 중 본문만을 코퍼스로 선정하여 총 68,244개의 단어를 두 번째 코퍼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두 개의 코퍼스를 바탕으로 WordSmith Tools 6.0을 이용하여 다빈도 단어 및 연어들을 추출하고 그 특징들을 살펴 보았다. 또한 ‘Dubliners’의 연어가 교과서와 어떻게 다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Dubliners’의 특징적인 연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두 코퍼스 간 단어를 서로 바꾸어 대입하여 분석함으로써 단어 사용 양상의 다양화 또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 모든 결과에 따른 영문학 소설이 가지는 영어 교육적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Dubliners’에서 추출된 최상위 빈도 35개의 단어들을 살펴본 결과 19개의 단어가 교과서와 공통적으로 나타났지만, 교과서보다는 명사 종류의 단어가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room, house, street 등 장소와 관련된 표현, man, aunt 등 등장인물과 관련된 표현이 많이 사용됨으로써 소설의 구성요소인 장소, 인물 등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또한 동사 종류의 단어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said 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됨으로써 소설의 근간인 대화체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특히 ‘Dubliners’ 단어 분석에서는 등장 인물과 관련된 신체적 표현이 많이 추출되었는데, 이것은 교과서 코퍼스에서 보편적 영어 단어들이 주를 이루는 것과 대조적이라 할 수 있다. 연어의 분석 부분에서는 ‘Dubliners’에서 특징적으로 her face, her hand 등 [사람 + 신체 표현]으로 이루어진 연어가 많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the man, young lady 등 소설의 구성 요소인 등장 인물을 나타내는 연어들과 소설의 대화체의 특성을 보여주는 you see, very good 등의 연어도 추출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상위 빈도의 연어들은 주로 일상 생활과 관련되거나 인간의 삶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연어들(in the world, most people)이 주를 이루었다. ‘Dubliners’와 교과서의 상위 54개 다빈도 연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 14개의 연어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비록 두 코퍼스 에서 연어가 나타난 빈도와 쓰임 등은 각각 다르지만, a hanging face, green eyes 등 소설 속에서만 등장한 연어들은 교과서에서는 배울 수 없는 연어들이며, 이것은 새롭게 접할 수 있는 연어들일 뿐만 아니라 영어 표현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비유적 표현을 영어로 배울 수 있게 됨으로써 영문학 소설이 authentic materials의 진정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학습자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가 ‘Dubliners’를 코퍼스로 하여 여기에 등장하는 연어를 중심으로 교수한다면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지만, 앞서 제한점에서 ‘Dubliners’가 학생들에게 약간은 읽기에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BNC Ran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또 다른 영문학 소설의 전체적인 어휘 수준을 먼저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맞는 것을 제시한다면 학생들이 좀 더 친숙하고도 쉽게 영문학 소설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문학 소설 ‘Dubliners’에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연어가 많이 추출된 만큼 또 다른 예로 직업과 관련된 영문학 소설에서 연어를 추출한다면 그 분야의 연어적 표현을 배우기에 좀 더 용이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제언과 더불어 영문학 소설을 수업의 학습 자료(contents)로 하고, lexical approach를 수업 방법(method)으로 하는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고등학교 영어교육을 위한 영문학작품 활용방안

        이성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5

        1980년대 중반 이후 영문학작품은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라는 언어의 4가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학자들의 견해와 더불어 영어교육 자료로서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영문학작품을 활용한 영어교육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목표어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등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무미건조한 내용의 영어 수업시간에 영문학작품을 활용하여 수업을 한다면 학생들이 영어를 즐기면서 공부하는 새로운 교실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EFL 교실에서 영어교육 자료로서의 영문학작품의 활용가치를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시와 희곡, 그리고 소설 등 대표적 문학장르별 수업모델을 제안하고 그 활용방안을 검토해본다. 서론에서는 최근 시행되고 있는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영어교육 방안의 하나로 영문학작품의 활용 가치와 의의를 간략히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영어교육 자료로서의 영문학작품 활용의 타당성과 영문학작품의 활용이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토한다. 또한 영어수업에 영문학작품을 활용할 때 수업의 목표나 준비사항 등과 같은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모색해 본다. 이를 위해 문학작품의 본질과 특성, 영어교육 자료로서의 영문학작품 활용에 대한 다양한 견해 그리고 EFL 교실에서 영문학작품을 활용한 역사적 배경 등을 살펴보고, EFL 교실에서의 문학지도 목표도 설정해본다. 그 다음, 제3장에서는 시와 희곡, 소설 작품을 교실수업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수업모델의 형식으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장르별 영문학 작품의 활용은 다양한 영어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으로 대별되는 언어능력은 시, 희극, 소설 등 다양한 문학장르의 작품들을 활용함으로써 유기적, 통합적으로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EFL 교실에서 영문학작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교재개발과 교수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Nowadays English education pursues diversity escaping from standardization. Since the mid 1980's, literary texts as English teaching resources have been acknowledged along with new understanding that they can be utilized efficiently to improve overall range of skills,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Literary texts can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target cultur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students. The tiresome English class hours in high school might be refreshed by using English literary works. This thesis attempts to confirm the values of literary texts as language teaching resources in EFL classes, and to present effective and adequate models for high school English classes by using literary texts. Chapter 2 deals with some reasons literary texts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to an EFL situation. Some justifications for incorporating authentic literary text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es to pursue communicative fluency are also presented. And some consider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literary texts such as necessary preparations and aims are also provided. In more detail, it surveys the intrinsic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exts, diverse opinions about literary texts as reaching materials, and historic background of literary texts in EFL situation. Finally it also establishes teaching goals in an EFL situation. Chapter 3 presents appropriate and efficient teaching models for EFL classes, providing different models appropriate to each of three literary genres such as poetry, drama, and novel. Recently poetry has been regarded as a useful resource in a language teaching class. In this view, models are presented to show how poetic texts can be used as English teaching materials. A different model is suggested to show how to use drama for English teaching, since drama is regarded to be effective in speaking drills. The third model is provided to show an effective way to use short stories as English teaching materials. This model can be best utilized to improve the ability to read English. In conclusion, English literary texts can be acknowledged as valuable English teaching resources, and diverse ways of utilizing them are suggested for teaching English. It is not only earnest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but also the appropriate literary texts and teaching methods that are vital for successful language study.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literary texts in EFL classes, teachers should be better oriented to recogniz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English literary texts in EFL classes and make exhaustive efforts to practice such a class.

      • 코퍼스 기반 중등영어 임용시험 분석 : 2003~2022학년도 영문학 지문을 중심으로

        박수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의 목적은 2003학년도부터 2022학년도까지 중등 영어 임용시험 영문학 문항을 코퍼스 데이터로 구축하고 코퍼스 분석 도구를 활용해 어휘적 특징 및 구문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영문학 영역은 출제 범위가 방대하고, 출제 문항수가 적기 때문에 출제 타당성 여부에 관련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영문학 관련 문항은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고, 영어교사 자격기준에 따르면 영어교사는 문학적 장르를 이해하는 것이 기본이며, 영문학 소설, 시, 희곡, 에세이 등 영문학을 활용한 교실 수업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2014학년도를 기점으로 중등 임용시험 제도가 개편되었는데 2014학년도를 기점으로 중등영어 임용시험 영문학 문항의 지문이 개정 전과 개정 후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 개정 전과 개정 후에 따른 영문학 ‘시’ 영역의 어휘적 특성 및 구문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2014년 개정 전과 개정 후에 ‘일반문학(소설, 희곡, 수필)’ 영역의 어휘적 특성 및 구문적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영미 시, 소설, 희곡, 수필, 총 74개 지문의 코퍼스 데이터를 구축한 후, ‘시’와 ‘일반문학(소설, 희곡, 수필)’으로 분류하고 BNC/COCA 25K를 어휘목록으로 탑재한 후 AntWordProfiler 1.5.1w, AntConc 3.5.9, WordSmith Tools 7.0, Claws Tagger C7, SPSS프로그램 5가지 코퍼스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영어 임용시험 2014학년도 개정 전과 개정 후 '시’ 와 ‘일반문학’ 지문의 코퍼스 외형적 규모를 알 수 있었다. 둘째, 시 지문과 일반문학 지문의 text coverage 비교를 통해 지문의 난이도를 측정하였고, 2014년을 기점으로 개정 전과 개정 후의 난이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빈도 내용어(빈출 어휘)를 도출하였다. 넷째, 어휘다양성 분석 결과, 시와 일반문학 두 영역 모두 개정 전과 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두 영역의 개정 전과 개정 후 구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영문학 지문에는 개편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영문학 문항은 중등영어 임용시험에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분석된 어휘적 특성 및 구문적 특성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등영어 임용시험 예비 수험생 및 응시생의 어휘 학습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향후 출제 경향의 예상과 영어 지문의 수치로 확인되는 객관적인 분석이 코퍼스 분석을 통해 가능함을 알게 된 점이 본 연구의 긍정적인 영향일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 corpus-based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s (SETRE) in the years 2003 to 2022. The SETRE was reorganized in 2014.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lex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s and to seek improvement methods from the perspectives of examinees through the corpus-based analysis. In English literature, there is an extensive range of exam questions and a small number of exam question items. However, English literature exam questions are continually being made, and according to English instructor qualification standards, understanding literary genres is basic for English instructors, who should be able to design classroom instruction that utilizes English novels, poems, plays, essays and other English literature. With a corpus-driven approach, the research goals of this study are two-folds: First, what are the lex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of English Literature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in 2014? Second, what are the lex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Literature included in novel, play, essay’ of English Literature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in 2014? For this analysis, seventy-four texts that were made between 2003 and 2022 in English literature questions in SETRE were collected. Then the passages were analyzed by AntWordProfiler 1.5.1w, AntConc 3.5.9, WordSmith Tools 7.0, Claws Tagger C7 and SPSS program after loading BNC/COCA 25K as vocabulary l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pus size of ‘poems’and ‘general literature’ questions was analyzed. Second, in terms of text coverage of the poetry and the general literature par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fficulty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in 2014. Third, there were confirmed that the word difficulty, word diversity and high frequency content words presented in English literature passages. Fourth, i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vocabulary variation, the STTR(standardized Token/Type Ration)value was measured. I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ither domain before or after the revision. Finally, 'noun ' was used most frequently in both poetry passages and general literature pass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organization had no influence on English literature texts after 2014. However, because English literature questions are continually being made on the SETRE, the results of the lex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nd employed in English.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study will help to use and make authentic vocabulary material to achieve the goal of English acquisition for examinees of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s.

      •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총체적 영어 교육 방안 : 호손의 단편소설 「큰 바위 얼굴」 활용

        윤영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75

        본 연구는 영문학 교재가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해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총체적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문학 교재의 활용이 학습동기와 집중도를 자극하여 학습자의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4장으로 구성된다. 제 1장은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입부분이다. 제 2장에서는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을 토대로 총체적 영어 교수법의 정의와 특징 및 교육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재료로써의 영문학 교재에 관해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교육을 위한 교재 선택 시 고려해야 하는 결정적인 요소들을 언급하면서 나다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을 총체적 영어교육 지도를 위한 최적의 읽기 자료로 선택한 것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이 장은 「큰 바위 얼굴」을 활용하여 계획한 수업 안을 제시하고 교육현장에 적용 후 그 효과를 나타낸다. 3장에서는 또한 수업 안을 바탕으로 한 교실수업 후, 시행했던 설문조사와 그 결과를 분석하고 선행연구들과 비교한다. 제 4장에서는 조사결과에 관한 내용요약과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적인 제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으로 부터의 연구내용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58.18%의 학생들이 영문학 작품을 읽은 경험이 있으며,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문학작품에 흥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의 총체적 영어교육 후 시행된 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단편소설이 총체적 영어교육 상황에 쓰여 졌을 때, 더욱 강렬한 학습동기와 반응을 나타낸 걸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료가 풍성한 읽기 재료로써 영문학 교재가 학습자들이 그들의 읽기 단계에 있어서 더욱 적극적이고 집중력 있게 읽기를 수행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rgues that English literary works are resourceful textbook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It also suggests that English literary texts used in the whole English teaching situation help the learners to be more motivated and concentrated on their reading processes. This study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ory part that explains the purpose, the necessity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introduces the defin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the whole English teaching, followed by the discussions on the existing theoretical views about this teaching approach. It also discusses a literary text as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Chapter 3 delineates the rational for this study's choice of Nathaniel Hawthorne's “The Great Stone Face” as a primary reading material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lesson plan by introducing a list of determining factors for the choice. In addition, the same chapter includes a lesson plan based on “The Great Stone Face” and shows how it worked in classroom teaching. Chapter 3 also analyz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after classroom teaching based on the lesson plan,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of the pre-survey. Chapter 4 combines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nd conclusive remarks on this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paper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pre-survey shows that 58.18% of the students have had an experience of reading English literary works, which signifies that they are basically interested in literay texts. Thus, as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classroom teaching suggests, the students were more strongly motivated by and responsive to the short story, especially when it was used in the whole English teaching situation. Another implication of such results is that a literary text as a resourceful reading material helps the learners to be more actively and attentively engaged in their reading processes.

      • 고등학교에서의 영문학 수업의 실제 적용

        임창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758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practical method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 Now, the English texts used in high school do not give students fun, interest, and satisfaction. It deals with current events and many separated topics. It cannot give students continuous interest and fun. Students have difficulty in being moved by and interested in English.Literature is a meaningful and authentic material. It is the work of imagination and the whole reflection of its own culture. Language learning is not just training or memorizing useful expressions. It is also a creative process and means to understand each other''s opinion and express one''s feeling. Students can be encouraged to understand culture at larg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literature and motivated to study English.Most students have no chance to express their thought freely in the class. Teacher-centered and text-oriented class cannot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English class. English literature class can give students the opportunities to expand their linguistic ability and motivate themselves.By analyzing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novels written in English,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by Lewis Carroll, the teacher can introduce and activate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word chart, cloze puzzle, writing, describing the pictures, story mapping, guessing, and so on. As the students take active parts in a group activity, they can discuss the given topic according to their own points of view and learn many things through correcting their errors by themselves.Teacher is a designer for the class. Through elaborate analysis and dissection, he can create ideal language class. Literature is the creative work. Students can give full play to their imagination in English literature class. It is time to introduce English literature to a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in high school. 본 논문은 고등학교의 영어수업에서 영어학습의 가치 있는 자료인 영문학을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현실에서 영문학 자료를 실제로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교육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수업 방법들을 연구하였다.고등학교 영어교육은 아직도 많은 부분들이 암기하고 반복 훈련하는 과정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교과서의 내용은 학생들의 언어발전을 의한 재미있고 의미 있는 자료가 아닌 시사적이고 단편적인 내용들로 분절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흥미와 동기부여를 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영문학을 이용한 영어 수업을 제시하였다. 영문학 자료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문장이 아니며 의미 있고 믿을 만한 자료들이고 영미문화가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자료이다. 또한 학생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수업자료로서 영어수업에 반드시 필요하다.교사 중심적이고 틀에 박힌 영어 수업은 더 이상 학생들에게 감동을 줄 수 없을 뿐 아니라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없다. 학생 중심적이고 스스로 동기를 부여받으며 영어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흥미 있고 의미 있는 영어 자료를 학습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의 어휘 수준과 정서 수준에 맞는 영문학 자료에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노출 되어야 할 것이다.고등학교의 영어수업에서 실제로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작품을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각 장(chapter)을 분석하여 음성자료와 함께 구성하여 학생들이 조(group) 별 활동을 통해 읽고, 쓰고, 듣고, 말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법들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영문학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창의적 재량시간이나 도서관 수업과 연계된 영문학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학교 현장에서 가능할 것이다.문학의 생명은 상상력이며 언어학습에 필수적인 이 상상력은 문학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교사는 영문학 작품을 철저히 분석하고 해체하여 수업에 알맞은 형태의 자료로 디자인하여서 학생들의 언어적 상상력과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고등학교 영어교과 과정에서도 영문학 과정의 도입을 심도 있게 연구해야 할 때이다.

      • 영문학 작품을 통한 인성교육 : 『주홍글씨』를 중점으로

        박태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학생들은 입시교육 위주의 사회풍토 속에 각종 시험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받으면 열등감, 패배감,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정체성과 자존감의 악화를 불러올 수 있다. 심하면 자살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한 방도로써 영문학 교육을 통한 인성 교육법에 관해 연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인성과 인성교육이 무엇인지, 또 왜 중요한지 살펴보고, 영문학을 통한 교수 학습을 제시하여 논의를 구체화하였다. 인성과 인성교육의 정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도 했지만, 인성은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 인성교육은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교육하는 활동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 가치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연구는 영문학 교육에 중점을 맞춘 것이다. 다양한 문학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상과 어떻게 바람직한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에 관한 것을 배울 수 있고,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할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특히, 영문학을 통해서는 인성교육뿐만 아니라 모국어 적 사고의 틀을 넘을 수 있게 하여, 다른 외국의 문화를 간접 경험할 수 있게 해 주어 창의적 사고를 발달시킬 수도 있다. 『주홍글씨』에서는 헤스터 프린의 모습을 통해 자존감에 대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헤스터 프린이 주변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자신의 할 수 있는 일을 통해 사람들에게 이전의 모습과는 다른 모습으로 인정을 받는 과정을 보며 자존감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정직의 가치 또한 주홍글씨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딤즈데일의 양면성을 통해 정직이란 남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속이지 않고 거짓과 꾸밈없이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그는 헤스터 프린과 같은 죄를 범했지만 헤스터 프린과 다르게 그 죄를 숨기고 살아간다. 딤즈데일은 이야기 내내 죄책감에 시달리며 고통받는다. 마지막에서도 만인의 앞에서 죄를 고하고 정신적 승리와 마음의 평화를 얻으며 세상을 떠난다. 정직의 가치가 진정한 심정 해방을 불러오는 모습이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홍글씨』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가치를 교육하기 위한 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교육부 2018 인성교육에서 확대하는 과정 중심 평가에 따라 총 5차시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1) 자세히 읽기 2) 학습자의 자기 비추기 3) 작품에 대한 토론 4) 자신에 대한 성찰 5) Before and After 발표이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총 5차시의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영문학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천하고자 시도한 이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진다. 먼저, 영어 텍스트의 난이도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주홍글씨』에 사용된 단어는 절대 쉽지 않다. 고2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야만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중·고교 영어교육 일선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결과 중심 평가가 아닌 과정 중심 평가였기에 학생들이 부담 없이 영문학 수업을 통해 인성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또한,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한 점도 한계라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지도안과 더욱 발전된 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진행, 효과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Students feel inferior, defeated, and alienated when they receive poor grades on various tests amid a social climate centered on university entrance exams, which can lead to deterioration of identity and self-esteem. Even worse, these feelings can lead to suicide.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 education law through English literature as a way to alleviate this phenomenon.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importance of and reasons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clarified our discussion with a pres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English literature. The definition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has changed over time, but the fact is that character education is an activity that educates human-like character and 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as a means of realizing this ideal. Through a variety of literature, the student can learn about the desirable components of human nature and how to become a desirable human being, and indirectly experiencing things that one does not experience in real life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cultivate a desirable personality. English literature encourages not only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a framework of thinking in one’s mother tongue, so that one can experience foreign cultures indirectly and develop creative thinking. In The Scarlet Letter,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value of self-esteem through the image of Hester Prynne. By witnessing what she can do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eyes around her,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confidence as people see her differently than they did before. The Scarlet Letter also emphasized the value of honesty. Dimmesdale's ambivalence shows the importance of being honest, not only to others but also to avoid being deceitful to oneself. He is guilty of the same crimes as Hester Prynne, but unlike Hester, he hides them. Dimmesdale suffers from guilt throughout the story. At the end of the day, he confessed his crime in front of everyone, gaining a spiritual victory and peace of mind. The value of honesty is what brings about the release of the heart. Based on the process-centric evaluation method that is distribu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 total of five classes were presented to English literature students. They involved: 1) detailed reading, 2) learner self-reflection and discussion of the work, 4) an announcement of "reflection on self," and 5) a before and after report presentation. This study, which tried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English literature, has some limitations.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due to the difficulty of English text. The words used in The Scarlet Letter are never easy. Only those high school students second-year or higher are believed to be able to achieve the desired reading level. In other words, it will not be easy to be use this lesson plan widely on the front lines of English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since character education is a process-oriented assessment, rather than a results-based evalua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create an environment wherein students can learn personality through English literature classes without any burden. In addition, the failure to apply the lesson plans to actual classes is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needs to apply this and more advanced maps to real-life classes to validate their progress and effectiveness.

      • AI로 재구성된 수준별 텍스트를 활용한 고등학교 영문학 수업 효과 연구

        김윤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727

        영문학은 언어적, 문화적, 그리고 개인 성장적 측면에서 영어교 육에 실제적인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문학 원작의 난이도 가 높아 외국어 학습자가 문학 감상에 집중하기 힘들기 때문에, 실제 수 업에서 활용이 제한적이다. 최근 AI의 지문 생성 기능이 발전하면서, 영 문학의 어려운 지문을 AI가 쉬운 난이도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12명을 대상으로 AI로 재구성한 수준별 문학 텍스트 독서 수업의 효과성과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 다. AI를 통해 난이도를 수정한 텍스트는 『원더』(Wonder)이다. 학생 들은 3주 동안 레벨북(level 1, 2, 3)으로 제작된 텍스트를 읽고 내용의 몰입성, 연결성, 난이도, 매력도에 대해 답했다.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레벨북이 많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AI가 생 성한 짧은 소설이 단점보다, 효용성과 장점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AI가 생성한 텍스트 줄거리를 따라가며 몰입과 재미를 느끼고, 더 어려운 난이도를 읽어보려고 노력했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르 게 레벨북을 활용했다. 상위 학습자는 레벨북의 쉬운 텍스트를 보조자료 로 활용했다. 중위 학습자는 소설을 좋아할수록 독서에 적극적이었지만, 소설에 흥미를 못 느끼는 학생은 의무적인 독서에 머물렀다. 하위 학습 자는 쉬운 수준의 텍스트도 어려워했다. 셋째, 참여 학습자들은 자기 효 능감과 동기 면에서 긍정적으로 답했으며, 레벨북을 통한 독서가 읽기학 습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요약 소설이 외국어 학습자의 독해를 돕는 보조지문 생성에 활용될 수 있으 며, 원작 소설이 어려운 학습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결론을 얻었다. AI로 재구성된 텍스트의 한계 또한 연구 결과 확인되었다. 주요어 : 영문학교육, 레벨북, AI활용 수업, 스마트 러닝, 탐독, graded reader 학 번 : 2021-25463 English literature can be utilized as learning material for English education in linguistic, cultural, and personal growth aspects. However, its application in EFL classes is limited due to the high difficulty level of literary works, making it challenging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focus on literary appreciation. With recent advancements in AI assisted learning, AI automatic text generation technique can be used to paraphrase challenging English literature into texts of easier difficul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potential of AI-reconstructed, level-adapted literary text reading classes for a 12 high school students.. The text that has been modified for language difficulty through ChatGPT in this research is Wonder. Over a period of three weeks, students engaged in pleasure reading of the text created as level books (level 1, 2, 3) and then they answered questions on the flow, coherence, difficulty, and attractiveness of the text. The key outcom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responded that level books were highly beneficial. The AI-generated short stories were observed to have more utility and advantages than drawbacks. Students experienced immersion and enjoyment by following the plot of the AI modified novel and made efforts to read texts of a more challenging difficulty. Secondly, the use of level books varied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s. Upper-level learners used level 1, 2 texts as supplementary materials. Middle-level learners who enjoyed novels were actively engaged in reading, while those not interested in novels remained involved in mandatory reading. Lower-level learners found even easiest-level texts challenging. Thirdly,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motivation, stating that reading through level books aids in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ed. Based on these results, AI-modified novels can be utilized to assist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reading comprehension. This approach also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learners who find the original novels too challenging to approach. However, the limitations of texts reconstructed by AI were also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