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일연령학급과 혼합연령학급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또한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2. 단일연령학급과 혼합연령학급에서 유아의 사회적 행동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단일연령학급과 혼합연령학급에서 유아의 사회적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영동군에 위치한 Y초등병설유치원과 5초등병설유치원 원아 60명(남:30명, 여:30명)이다. 단일연령 학급과 혼합연령 학급은 지역조건 및 인적, 물리적 자원과 유사하며, 연령별 유아 비율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송미선(1999), 이윤옥(1992), 고운정(1999)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행동 관찰목록을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실내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시간표집법으로 관찰을 하였다. 관찰시간은 10초 관찰, 10초 기록의 방법으로 한 유아 당 총 10분이었으며, 30회씩 관찰하였다. 자료처리는 단일연령 학급과 혼합연령 학급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고, 다음으로 학급구성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P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일연령 학급보다 혼합연령 학급의 유아들이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공격적 행동을 적게 하였으며, 비사회적 행동은 학급구성의 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2. 4세 유아는 단일연령 학급보다 혼합연령 학급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공격적 행동을 더 적게 하였으며, 그리고 비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없었다. 5세 유아 역시 단일연령 학급보다 혼합연령 학급에서 친·바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공격적 행동은 더 적게 하였으며, 그리고 비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단일연령 학급과 혼합연령 학급에서 유아의 사회적 행동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3. 남아는 단일연령 학급보다 혼합연령 학급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공격적 행동은 더 적게 하였으며, 그리고 비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없었다. 여아 역시 단일연령 학급보다 혼합연령 학급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공격적 행동은 적게 하였으며, 비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단일연령학급과 혼합연령학급에서 유아의 사회적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 본 논문은 2001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ocial behaviors in same-age and mixed-age kindergarten classrooms by infants's age and sex.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Are there differences of infants' social behaviors in same-age and mixed-age kindergarten classrooms? 2. Are there differences of social behaviors in same-age and mixed-age kindergarten classrooms by infants' age? 3. Are there differences of social behaviors in same-age and mixed-age kindergarten classrooms by infants' sex? The subjects were 60 infants(32 boys and 28 girls) who were attend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s of Y elementary school and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oung Dong, Chung-Buk province : 30 infants in same-age(15 four-year-olds infants and 15 five-year-olds infants) and 30infants in mixed-age(15 four-year-olds infants and 15 five-year-olds infants) classrooms. Social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seventy minutes in indoor free play periods with checklist based on social behaviors categories developed by Song(1999) etc. Observations for social behaviors were conducted by time-sampling method with 10 seconds observation and ,10 seconds recording. There were 30 observations and a total of 10 minutes per infant. Statistical analysis was by M, SD, one-way ANOVA and t-test. All were used by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Prosocial behaviors were more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Aggressive behaviors were less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social behaviors in two groups. 2. In the case of 4-year-olds infants, prosocial behaviors were more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Aggressive behaviors were less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social behaviors in two groups. In the case of 5-year-olds infants, prosocial behaviors were more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Aggressive behaviors were less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social behaviors in two groups. Therefore,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ocial behaviors in same-age and mixed-age classrooms by infants' age. 3. In the case of boys, prosocial behaviors were more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Aggressive behaviors were less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social behaviors in two groups. In the case of girls, prosocial behaviors were more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Aggressive behaviors were less observed in mixed-age classroom than same-age classroom.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social behaviors in two groups. Therefore,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ocial behaviors in same-age and mixed-age classrooms by infants' sex.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1.
본 연구는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네 가지 쟁점(형사책임연령 하향 찬성, 낙인효과에 대한 우려, 범죄유형에 따른 형사처벌 여부 결정, 자녀대신 보호자 처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성인의 인식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 경험 및 비행행동 경험이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는지도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0~18세 청소년 6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청소년들은 형사책임연령 하향과 관련된 네 가지 쟁점에 얼마나 동의하는지와 학교폭력피해 경험 및 비행행동 경험을 묻는 설문에 응답하였다. 성인 자료의 경우, 본 연구와 동일한 척도로 2022년 법무부에서 실시한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인식조사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Chronbach‘s α)를 측정하였다. 두 번째로, 주요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 및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인식 차이와 청소년 집단과 성인 집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차이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의 학교폭력피해 경험 및 비행행동 경험과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더 찬성하였다. 만 14세 미만일수록 연령기준 하향으로 인한 낙인효과를 더욱 우려하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 성적이 높을수록, 가정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최종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범죄유형에 따른 형사처벌여부 결정에 더 찬성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범죄를 저지른 촉법소년의 잘못에 대해 보호자를 대신 처벌하는 것에 더 찬성하였다. 둘째, 청소년과 성인의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인이 청소년보다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해서 더 찬성하고, 범죄를 저지른 촉법소년의 잘못에 대해 보호자를 대신 처벌하는 것에 더 찬성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 경험과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관한 인식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덜 찬성하였고, 범죄유형에 따라 형사처벌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더 찬성하였다. 넷째, 청소년의 비행행동 경험과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관한 인식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행행동 경험이 많을수록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덜 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형사책임연령 하향의 직접 대상자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 의견을 조사하였고, 그 예측요인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형사책임연령 하향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이 주체가 되어 이뤄지는 입법 및 정책 설계과정에서 청소년의 입장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It focuses on four issues;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concern about the stigma effect, imposing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and punishment of guardians instead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were examined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It was also verified whether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t behavior were related to their attitudes towards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A total of 650 adolescents between 10 and 18 ages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dolescents were asked how much they agreed with the four issues related to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their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t behavior. For the comparison with adult data, the survey data on attitudes toward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22 using the same scale as this study were emplo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ternal consistencies (Chronbach's α) of scale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main study variables' general trend and relevance. A series of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s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between the youth and adult groups were also examined with t-tests.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t behavior and the attitudes towards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chool grades, the more in favor of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e younger, the more concerned about the stigma effect caused by lowering the age standard. Male students favored the decision on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over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school grades, the higher the family income level and the higher the parents' level of education were more in favor of the decision on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Female students favored the punishment of guardians instead of adolescents more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ttitudes toward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Adults favored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more than adolescents and punishing guardians instead of adolescents. Third, adolescents' experience of victimization by school violence predicte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e more victimization by school violence, the less in favor of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e more victimization by school violence, the more in favor of imposing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Fourth, adolescents' experience of delinquent behavior predicted their attitudes towards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e more conducted delinquent behavior, the less in favor of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adolescents, who are directly subject to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identified the predictive factor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attitudes between generations on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proposes the need to reflect adolescents' ideas and positions in designing legislation and policies on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adolescents.
성인의 연령군별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민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연령군별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3차년도(2009) 자료 중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결측치를 제외한 7,102명의 관측치를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성인의 연령군은 선행연구에서의 연령군 구분 및 성인의 생애주기 이론을 바탕으로 성인전기(19-39세), 성인중기(40-64세) 그리고 성인후기(65세 이상)로 구분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독립변수는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요인 그리고 신체적 요인이며, 종속변수는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지표인 EQ-5D index이다. SAS 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전기, 성인중기 그리고 성인후기 연령군 모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건강보험종류, 신체적 요인에서 골관절염 현재 유병여부, 요통 현재 유병여부, 우울증 현재 유병여부 그리고 구강건강의 씹기문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인전기와 성인중기 연령군에서는 교육수준과 결혼상태가, 성인후기 연령군에서는 소득수준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비만유병여부는 성인전기 연령군에서만, 말하기문제는 성인후기 연령군에서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성인후기 연령군에 비해 성인중기 연령군에서 더 많은 만성질환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성인의 연령군별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통적인 요인과 특이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각 연령군에 대한 세부적인 보건복지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혼합연령반 교사가 인식하는 권리존중보육과 실천을 위한 노력 및 어려움
박혜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연령반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권리존중보육과 실천을 위한 노력 및 어려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령반에서 이루어지는 권리존중보육의 실제 및 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혼합연령반 권리존중보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혼합연령반 교사가 인식하는 권리존중보육과 실천을 위한 노력은 어떠한가? 2. 혼합연령반 교사가 권리존중보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21년 5월 18일부터 10월 13일까지 혼합연령반의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심층 면담을 전사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면담노트,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저널, 어린이집 운영 안내 책자 등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아교육 전문가 1인, 연구 참여자 2인, 유아교육 석사 학위를 소지한 교사 2인에게 심층 면담 결과를 범주화한 자료를 보여주고 연구 내용을 검토받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권리존중보육에 대한 혼합연령반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생존권, 참여권, 발달권을 중심으로 권리존중보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혼합연령반 교사는 보육 속에서 유아의 생존권, 참여권, 발달권이 잘 실천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으로 노력하였다.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교사의 적극적인 보호와 실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서 혼합연령반 교사는 혼합연령반 특성을 고려하여 신체활동 시간을 운영하고, 유아들의 개별적인 요구가 반영된 급·간식시간과 낮잠 시간을 운영하였다. 또한,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 보장을 위해서 유아가 어린이집에서 자유롭게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고, 자율적으로 일과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서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과 장소를 점검하여 유아가 생활하는 공간과 일과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혼합연령 유아의 의사소통을 도우며 평등한 위치에서 유아 간의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발달권 보장을 위해 유아의 흥미와 발달 수준에 맞는 놀이와 교육을 통해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서 혼합연령반 교사는 혼합연령 간의 상호작용을 격려하여 서로의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지지자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각 연령의 발달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놀이와 활동을 계획하고, 교재교구를 제공하여 유아의 발달권을 실천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둘째,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생존권, 참여권, 발달권이 보장되는 보육과정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주로 부모의 요구와 관련되어 있었다. 특정 연령의 부모가 유아에게 낮잠 시간이 불필요하다고 여기거나, 자녀의 식사 습관에 따라 개별적인 식단이 제공되기를 바라는 경우에 교사는 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급·간식시간과 낮잠 시간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혼합연령반 교사들은 혼합연령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의 생존권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전반적인 이해와 배려가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 보장을 위한 실천 과정에서 교사와 원장의 다른 가치관과 교사 개인이 바꾸기 어려운 어린이집의 전통과 분위기, 유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특별활동 시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혼합연령반 교사들은 유아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기관 분위기와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혼합연령반 교사는 유아의 발달권 보장을 위한 실천 과정에서 유아의 발달을 고려한 수업 준비시간이 부족하고 보육 이외의 기타 업무가 많으며 혼합연령에 대한 교사 교육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느꼈다. 이에 따라 혼합연령반 교사는 혼합연령반 유아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질 높은 보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혼합연령반 교사가 참고할만한 지침서나 보육 활동 자료집이 제공되기를 바라고 있었고, 혼합연령 발달의 특성을 반영한 교수법에 관한 교사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였다.
노인과의 일상적 접촉과 아동의 연령차별적 태도: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의 비교
본 연구는 집단 간의 접촉이 편견을 완화시킨다고 보는 ‘집단 간 접촉이론(intergroup contact theory)’을 토대로 노인과의 접촉이 아동의 연령차별적 태도(ageism)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아동의 연령차별주의의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선행연구들이 사회적 바람직성으로 인해 개인의 편견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명시적 연령차별주의’의 예측요인만을 탐색했다는 제한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성에 대한 의식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암묵적 연령차별주의’의 예측요인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이 때 아동이 대상에 따라 노인과 맺는 관계 및 접촉 특성이 다른 점을 반영하여 이웃 노인과 조부모와의 접촉효과를 구분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6년에 집단면접조사방식(Collective interview survey methods)으로 수집된 「한국 아동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프로젝트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7개 초등학교 4-6학년 초등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하며 ‘척도, 설문문항, 검사지를 아동 맞춤형으로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최종적인 분석에 포함된 표본의 크기는 명시적 태도의 경우 479명이고 암묵적 태도는 486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특성과 변수간의 관계파악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노인과의 접촉이 명시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노인과의 접촉이 암묵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열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명시적 연령차별주의와 암묵적 연령차별주의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암묵적 연령차별주의와 명시적 연령차별주의에 대한 구분된 분석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지지하였다. 둘째, 아동의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상이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간 명시적 연령차별주의 척도를 종속변수로 한 예측요인들의 실제 효과는 연령차별주의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령차별주의의 표출의 정도를 완화하는 한정적인 효과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과의 접촉은 전반적으로 아동의 연령차별주의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암묵적 연령차별주의가 인구학적 특성을 불문한 대부분의 아동에게 팽배함에도, 이러한 연령차별주의의 표출을 완화하는 지점에 노인접촉이 있으며 내면의 연령차별주의 완화는 조부모 접촉의 양에 의해 미약하게나마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부모 접촉과 이웃 노인 접촉이 연령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다. 이웃 노인접촉 경험은 연령차별주의의 표현에 한정된 영향을 보인 반면, 조부모 경험은 노인에 대한 편견 표출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긍정적 인식 자체를 함양하는 것과도 미약하게나마 관련되었다. 본 연구는 접촉의 지속적 효과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노인에 대한 태도를 단면적인 의미로 측정하였다는 점, 자료 수집의 특성상 교실과 학교 단위 응답자의 상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지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아동의 노인에 대한 명시적, 암묵적 태도의 예측요인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두 수준의 태도가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설명됨을 밝혔다는 점, 그리고 노인과의 접촉의 연령차별주의 완화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개인화된 암묵적 연령차별주의의 측정이 요구되며, 또한 암묵적 연령차별주의의 예방법을 찾기 위해 노인을 긍정적인 이미지와 연합한 광고나 매체에 대한 노출이 갖는 효과 등, 문화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는 바이다.
연령추정은 법의 · 치의학적 개인식별에서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분야로, 지금까지 수많은 선학들이 신체의 여러 부위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왔다. 치아를 이용한 연령추정은 신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가장 유의한 방법으로 이중 Gustafson과 Johanson은 사후 치아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였는데 그 정확성과 체계성을 인정받아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방법에 대한 정확성의 검증은 외국에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희소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주질환에 이환되었거나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59개의 전치부 , 소구치부, 구치부 치아를 이용하여 1)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고유방법대로 우리나라 사람의 치아에 적용하였을 때 각 방법에 따른 추정연령과 실제 연령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2)실제연령과 Gustafson 방법 및 Johanson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 간 차이를 연령대별, 성별, 악궁별, 그리고 치아부위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치아를 레진 포매하여 절편으로 만들어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치아를 감정하고 연령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Johanson 고유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은 실제연령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응용 방법은 실제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중 Johonson 응용 방법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실제연령과 Gustafson 방법, Johanson 고유 방법, Johanson 응용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은 성별 및 치아 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실제연령과 Gustafson 방법, Johanson 고유 방법, Johanson 응용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은 연령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향후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고유 방법이 국내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보다 많은 치아를 이용한 연구와 Johanson연령추정 방법에서 기존 Johanson이 제시한 방정식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폭넓은 연구에 따른 새로운 방정식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ge estimation is fundamental and important in personal identification with forensic medicine and dentistry. Recently, a lot of studies using various part of the body have been done for age estimation. Age estimation with teeth is the most significant method comparing ones with other part of the body.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using postmortem teeth have been authorized in accuracy and systemization and us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verification of the accuracy in above methods had been tried many times but it is still rare in Korea. Fifty-nine teeth(incisors, canine, premolars and molars) which were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diseases or orthodontic problem were collected. Present study is to 1) compare the accuracy of estimated age in applying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to the teeth in Korea, 2)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results using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by age, gender, maxilla - mandible and anterior - premolar - molar. Teeth were embedded in resin and sliced and then examined each one using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tual ag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imated age by Johanson method. Actual ag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estimated age by Gustafson method and modified Johanson method. Modified Johanson method was more significant than Gustafson method. 2. In estimated age by Gustafson method, Johanson method and modified Johanson method, there was no significance with actual age by location and gender. 3. In estimated age by Gustafson method, Johanson method and modified Johanson method, there was significance with actual age by age group. Finally,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can be used in Korea. To make more accurate verification, however, it needs more specimen and postmortem teeth. Johanson equation proposed by himself has to be developed by further studies.
20대에서 7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령, 굴절이상도(처방굴절력), 동공크기, 동공중심 오프셋(off-set), 각막굴절력, 각막난시도와 고위수차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안과질환과 각막굴절교정술 경험이 없는 청년층(20-39세) 400안, 중년층(40-59세) 400안, 노년층(60-79세) 400안 대상으로 I-Profilerplus(Zeiss, Berlin, Germany)를 사용해 굴절이상도, 동공크기, 수평 및 수직의 동공중심오프셋, 각막굴절력, 각막난시도 및 고위수차를 측정하고, 고위수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모든 연령층 그룹에서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는 연령이 많을수록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p<0.05), 구면 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수평 및 수직코마 수차는 중년층, 노년층, 전체 연령층 그룹에서 연령이 많을수록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청년층에서 수직코마 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연령이 많을수록 굴절이상도는 플러스(+)의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굴절이상도가 마이너스(-) 방향으로 클수록 각막굴절력, 동공크기는 증가하였다(p<0.05). 근시안과 원시안 그룹에서 구면 수차는 굴절이상도가 마이너스(-)방향으로 클수록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p<0.05),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 수평 및 수직코마 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각막굴절력이 높을수록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 수평 및 수직코마, 구면 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동공크기가 클수록 구면 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 수평 및 수직코마 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동공크기가 작을수록 수평 동공중심오프셋은 귀 방향, 수직 동공중심오프셋은 위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수평 동공중심오프셋이 귀 방향으로 이동량이 클수록 수평코마 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p<0.05) 수직 동공중심오프셋이 위 방향으로 이동량이 클수록 수직코마 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청년층에서 중년층, 노년층으로 갈수록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 수평 및 수직코마 수차는 양(+)의 방향, 구면 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가장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굴절이상도가 마이너스(-)방향으로 클수록 구면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나, 안구의 전체 고위수차, 수평 및 수직 코마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청년층에서 중년층과 노년층으로 갈수록, 굴절이상도가 플러스(+) 방향으로 큰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코마 수차가 양(+)의 방향, 구면 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컸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코마 수차는 음(-)의 값으로 보정하고, 구면 수차는 양(+)의 값으로 보정하여 안경렌즈 및 콘택트렌즈를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주택수요 및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관한 연구 : 고연령 가구를 중심으로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hree independent essays on housing demand and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that deal with elderly household issues. Aging population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have rapidly increased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more than ever, while early retirement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ir economic pow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older households adjust their housing consumption, to determine whether implementation of a housing policy can lead to better equitable outcomes for low-income older households, and to examine what will be the appropriate housing policies to enhance the level of housing consumption for such households. The first essay analyzes the housing tenure choices and housing demand of older households by using the Heckit two-step estima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homeowners reduce the size of their homes when they retire in middle age (from 55 to 64) and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rental housing increases in their late elderly years (75 and above). Therefore, older homeowners try to maintain homeownership until the late elderly years, and are willing to compensate for this by reducing the size of their homes from as early as middle age. The analysis of households living in rental housing finds that from the early elderly years (from 64 to 74), the burden of rent relative to income increases and house downsizing begins. When people who rent reach their late elderly years, the downsizing slows down but when rent increases, downsizing becomes inevitable. The second paper evaluates the equity of long-term rental housing programs by analyzing their tenant benefits distribution and change in the welfare level of older tenants by the provi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Based on a Stone-Geary utility function, the Hicksian equivalent variation of consumer surplus has been estimated. The analysis raises some equity issues for 50-year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public rental housing (except permanent rental housing), where a higher income household receives more benefits than that with a lower income. In addition, ten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njoy more benefits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in comparison to younger households, older households received fewer benefits. Nevertheless, the welfare level of older households has shown a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to younger households after moving to public rental housing, proving that the programs have been very effective for older households. However, the poorest older households saw their consumption distorted and living expenses drop due to overspending on housing services. This is because the 50-year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rental housing are relatively bigger and better than permanent rental housing with higher rents. It is an indication that Korea is in dire need of affordable housing. The third essay compares the consumption enhancing effects of low-income housing policies which ar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income subsidy, and rental assistance program by analyzing changes in the consumption level of housing services and other goods of beneficiarie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most effective policy for low-income older households by comparing the consumption enhancing effects of each policy on older households and those on younger households. The study concludes that regardless of age, the poorest households saw a significant jump in consumption on other expenses under the income subsidy, allowing the assumption that they need income support. Meanwhile, older households saw an overall rise in their consumption level under all three policies, much larger than that of younger households. However,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nsumption level of the poorest three deciles in income bracket, and the households with fewer family members among older households. On the other hand, the rental assistance program was more effective for those that were either in the fourth or higher decile in income bracket and those older households with many family members. 본 논문은 주택수요 및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관한 독립된 세 개의 소논문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각각의 논문은 고연령 가구를 대상으로 한 논의를 함께 다루고 있다. 고령화 및 기대수명 연장으로 노인가구가 급증하고 노인기는 장기화 되는데 반해 은퇴 시기는 점차 앞당겨지고 있어 고연령 가구의 경제력은 급속히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고연령 가구의 주택소비조정은 어떻게 이루어 질 것인지, 주거취약계층으로서의 저소득 고연령 가구를 위한 정책적 지원은 형평성 있게 잘 전개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의 주거소비수준 향상을 도울 수 있는 적합한 주택정책 수단은 무엇일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소논문에서는 소득과 자산이 급감하는 노인기에 고연령 가구의 주택소비의 행태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Heckit 2단계 추정방법으로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수요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택소유가구의 경우 은퇴기인 장년기(55-64세)에 주택규모를 줄이고 비교적 늦은 시기인 후기 노인기(75세 이상)에 주택을 임차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주택소유는 가능한 유지하면서 비교적 이른 시기인 장년기부터 주택규모를 줄이는 것으로 소비조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주택소유 의지가 강한 우리나라 고연령 가구의 특성을 반영하며, 소유를 유지하는 대신 주택규모를 줄임으로써 발생된 여유자금으로 부족한 소비를 충당하거나 노후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임차가구의 경우 전기노인가구(65-74세)부터 소득대비 임대료 부담이 높아지면서 주택규모의 감소가 시작되고, 후기노인기에는 감소량이 둔화되긴 하지만, 소득대비 임대료 부담이 매우 높고 가격탄력성도 높아 임대료가 증가할 경우 주택규모의 축소는 불가피할 것이다. 두 번째 소논문에서는 저소득 가구를 정책대상으로 하는 장기공공임대주택 프로그램들의 소비효율성과 입주자 편익배분 분석을 통해 형평성을 평가하고, 주거취약계층으로서의 고연령 입주가구의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따른 후생수준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형평성 문제를 논의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대등변화(Equivalent Variation)기법을 이용하고 스톤-기어리(Stone-Geary) 효용함수를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구임대주택을 제외한 50년공공임대주택, 그리고 국민임대주택 프로그램은 입주자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편익도 크게 배분되었으며 서울지역 입주자의 편익이 월등히 높고, 고연령 가구는 젊은 가구에 비해 오히려 편익이 적게 배분되는 등의 형평성에 문제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연령 입주가구는 비고령 가구에 비해 오히려 공공임대주택 입주 후의 후생수준이 크게 향상되어 정책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년공공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극빈층의 고연령 가구는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와는 달리, 주거서비스의 과잉지출로 인해 오히려 생계비가 감소되는 소비왜곡의 문제를 보였는데, 이는 영구임대주택에 비해 50년공공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은 주택의 규모가 크고 질도 좋은 만큼 임대료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해서는 부담 가능한 주택(Affordable Housing) 공급이 절실함을 시사한다. 세 번째 소논문에서는 저소득층 주택정책 중 공공임대주택 공급정책, 소득보조 정책, 임대료보조정책 시행 하에서 수혜자의 소비증대효과를 분석하고, 고연령 수혜가구의 정책유형 별 소비증대효과의 차이를 비고령 가구의 경우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들에게 효과적인 정책이 어떤 것일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극빈층 가구는 연령구분을 막론하고 소득보조 정책 하에서 기타재화의 소비수준이 월등히 향상되어, 이들에게는 소득보조 방식의 지원이 필요함을 짐작케 한다. 한편, 고연령 가구는 비고령 가구에 비해 모든 유형의 정책수단 하에서 전반적인 소비수준이 더 크게 향상 되었으나, 고연령 가구 중에서도 소득1-3분위 계층 및 가구원수가 적은 가구는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정책이 그들의 소비증대에 더 효과적인 반면, 가구원수가 많은 가구와 소득 4분위 이상의 가구는 임대료보조 정책이 더 효과적임을 밝혔다.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의 교사역할 : 문화기술적 연구 :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 로서의 역할수행을 중심으로
김명숙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role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specially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 ciples.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was used to observe the teachers and to interview them. As a result, their experience about the mixed age group and team teaching could be analyzed and the special feature of the role as the 'loving authority' could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way of a effective class operation in mixed-age, team teaching classroom, For this, two issues of the research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mixed age grouping and team teaching,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teacher's role under this circumstance? 2. What is the teacher's role in mixed age, team teaching classroom, and especially what is their role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ciples? This research took place in at Haet-nim kindergarten in Songpa-ku, Seoul, Korea. It was mainly based on the 2 mixed age class called Dal-nim, Byeol-nim. The objects of study were 4 teachers and 48 children. To obtain the valuable data, 120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8 times of both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 had taken place in the tim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2007. The researcher had made a manuscript of voice recordings and video taping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is is how the study is summarized: First of all, the bringing up of children by mixed age grouping in Haet-nim kindergarten demanded the another teacher's role different from the same age group. The teachers must make contact personal the more individually moving children, because their discrepancy of age is 3-4 years. For this, the teacher's duty is to observe children individually better and to make an class atmosphere, where the personal difference of children can be respected. Second of all, the share of role and work, th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ers in Haet-nim kindergarten was demanded in order to observe each children with much circumstance. It became clear, that team teaching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process in mixed age group. Third of all,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 of Haet-nim kindergarten must carry out the task as an 'loving authority', that Rudolf Steiner had mentioned. This was related to Waldorf education principles, for example, a imitation and a model that were used as the education program of Haet-nim kindergarten. Lastly, as a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ience and the concrete task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the teacher's role as an 'loving authority' were categorized into the teacher, who respect the children's self, and the teacher, who support the children's activity, and the teacher, who give trust and stability to the children. As a result, the teacher's role as an'loving authority' was understood in a narrow sense as an educational guidance for children, who can learn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in a broad sense as an educational principle that is necessary to educate a human for a such free being, as R. Steiner had mentioned.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의 현장에서 혼합연령학급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하여 혼합연령 집단구성 및 팀티칭에 의한 교수․학습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교사의 역할, 특히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로서의 역할수행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햇님어린이집 교사들과의 면접과 관찰을 통하여 혼합연령집단, 팀티칭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분석하였고'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역할수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유아보육기관에 혼합연령 집단구성, 팀티칭에 따른 효과적인 학급운영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보육과정에서 혼합연령 집단구성, 팀티칭 실행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하며, 그것이 교사역할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2.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의 교사역할, 특히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역할수행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송파구에 소재한 영유아보육기관인 햇님어린이집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혼합연령학급인 달님반과 별님반의 팀티칭 교사 4명과 영유아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설정하여 진행됐으며, 예비연구 기간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본 연구는 2007년 8월부터 11월 초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 기간에서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따른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일지 기록, 문서자료 수집, 영유아 및 학부모 면담, 사진촬영, 동영상 녹화, 오디오 녹음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예비연구 기간까지 합쳐 총 120회 이상의 참여관찰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총 8회 실시하였으며, 총 100회분 이상의 동영상을 촬영하였고 유아 및 학부모 면담을 수시로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보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보육기관 햇님어린이집에서 혼합연령 집단구성에 의한 학급편성과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현은 동일연령반의 교사역할과는 다른 교사역할을 요구했다. 햇님어린이집의 혼한연령학급에서는 3-4년에 걸친 영유아들의 연령차 때문에 보다 개별화되어 활동하는 영유아들을 개별적으로 접촉하고, 지도해야 하는 교사의 과제가 주어졌으며, 이를 위해 교사의 임무는 우선적으로 개별적 유아들을 잘 관찰하여 개인적 차별화를 존중해 가는 학급분위기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에서는 개별적 영유아들의 세밀한 관찰을 위하여 팀티칭을 실현하는 동료교사와의 업무분담, 역할분담, 긴밀한 소통 등이 요구되었다. 혼합연령집단이 적절한 교육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연령별 적정 인원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집단교수 형태로서의 팀티칭이 교육과정을 효율화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 팀티칭 교사들은 아름다운 협력을 실천하고, 보이지 않는 주도적인 교사역할을 위해 Steiner가 언급했던 바의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로서의 과제를 수행해야 하였다. 이는 햇님어린이집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이 갖는 모방과 본보기란 발도르프 교육원리와 관계하였다. 이때 영유아에게 모방의 대상은 교사의 내면임에 유의하여 교사 자신에게는 보육과정에서 본보기가 되는 언행일치적인 태도, 아이와의 깊은 관계 유지, 직무에 대한 자신감, 자기수양과 자기교육 등이 요구되었다. 넷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 팀티칭 교사들의 구체적 교수과제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영유아의 개별적 자아를 존중하는 교사, 영유아의 자발적 활동을 지원하는 교사, 영유아에게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범주화되었다. 아동 주도 방식의 교수․학습방법이 강조되는 혼합연령학급에서도 교육의 확실성, 교사로서의 사고의 명확함, 행동의 정확성, 내적 확신을 갖는 교사역할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과제를 수행하는 교사의 임무가 강조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 중, 혼합연령학급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선행연구의 지적과 일치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교육철학적으로 볼 때 교사의 임무란 직접적으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원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힘을 '이끌어내는 것'이라는 지적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난다. 흔히 교재가 없는 발도르프 학교에서 교사가 관찰을 통해 학생들의 지적 발전 수준에 맞게 창의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과정에서 안내자와 조언자와 같은 역할수행을 하는 것을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과제를 수행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즉,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좁은 의미에서 유아가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이를 교육적으로 안내해주는 역할로 파악되었으며, 넓은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R. Steiner의 언급처럼, 인간을 자유로운 존재로 교육하는데 필요한 교육원리로 간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