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탐구

        김유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은 어떠한지 들여다보고, 3~5세 혼합연령학급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3~5세 혼합연령학급을 지도하고 있으며, 3~5세 혼합연령학급 운영에 대한 고민을 활발히 공유할 수 있는 5명의 유아 교사가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기의 학습공동체 모임과 2회기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습공동체 협의회와 면담자료를 녹음 한 후 전사하였다. 자료의 해석은 연구기간 동안 자료의 수집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코딩으로 범주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3~5세 혼합연령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변화와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경험한 정서적 지원으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3~5세 혼합연령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학급 교사로서 겪는 딜레마 해결의 과정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혼합연령학급 교사들은 학급을 운영하며 여러 가지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혼합연령학급을 운영하면서 유아들의 놀이에 대한 고민, 연령의 차이에서 오는 고민, 전문성 신장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들의 고민은 혼합연령학습 공동체 구성원들과 협의회를 통해 소통하며 딜레마 해결의 과정이 되었다. 둘째, 혼합연령학급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정보교류의 시간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근무하는 지역과, 유아들의 수, 유치원의 위치, 환경 등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혼합연령학급이라는 특징은 공통적이었지만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기존에 알지 못했던 정보들을 교류하기도 하고, 혼합연령학급 운영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을 공유하며 혼합연령학급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교류하였다. 셋째, 3~5세 혼합연령학급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었다. 교사들은 학습공동체에 참여하기 전 혼합연령학급에 대한 인식이 각기 달랐다. 혼합연령학급을 지도하게 된 계기 역시 다양하였다. 그러나 학습공동체의 참여를 통해 혼합연령학급에 대한 이해도가 커지고 혼합연령학급의 장점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며 혼합연령학급에 대한 인식이 전환된 것이다. 다음으로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경험한 정서적 지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립감에서 벗어나 협력적 공동체 경험의 시간이었다. 학습공동체 참여자들은 경력과 연령이 다양한 구성원들이었다.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들은 단일학급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급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고민들에 대해 조언을 구할 수 없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들은 고립감을 느끼기도 하였고, 소통의 부재를 느끼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며 자신들의 고민을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나가벼 고립감에서 벗어나 협력적인 공동체 경험을 하였다. 둘째, 혼합연령학급 교사라는 공통점에서 오는 정서적 연대 경험을 하였다. 혼합연령학급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서로의 감정을 공감하기 쉬웠던 것이다. 교사들은 그 공통점 안에서 교육과정 및 행정 업무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심리적인 지지와 정서적 연대를 이룰 수 있었다. 셋째, 현재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자극이 되는 경험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경력은 비슷하였다. 비슷한 경력의 교사들이 모여 학습공동체를 이루며 지금까지 실행했던 교수활동을 되돌아 보기도 하고, 전문성 신장에 대한 새로운 자극을 준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그 안에서 교사들은 전문성에 대한 끊임없는 성장의 중요성을 느끼는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혼합연령학급 교사들은 열린마음을 가지고 끊임없이 소통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교사들은 동료교사들과 협력과 소통의 자세를 가지고 유아들의 놀이를 이해하고 협력하는 자세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혼합연령학급의 여러 가지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혼합연령학급은 유아들의 수, 학급의 위치, 주변 유치원과의 연계 여부 등에 따라 운영과정이 달라 질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혼합연령학급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혼합연령학급의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혼합연령학급의 놀이 특성에서 나타나는 장점을 유아들의 놀이에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혼합연령학급의 유아들의 개인차와 발달의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지원을 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연령에 따른 인스타그램의 인지된 마케팅 특성과 구매행동 차이 분석 : MZ세대 내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우동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마케팅 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행동 차이를 연령과 소비가치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MZ세대를 연령별로 20대, 30대, 40대로 분류하여 각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 대상자들의 인지된 인스타그램 마케팅 특성 및 소비가치와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20대, 30대, 40대)에 따른 구매행동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20대와 독립변수들간의 상호작용항이 투입하였을 때 사회성이 인스타그램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사회성을 높게 인지할수록 구매행동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30대는 독립변수들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을 때 사회성이 인스타그램 구매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항을 나타내었고, 정보성 역시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40대는 독립변수들간의 상호작용항이 투입하였을 때 인지된 마케팅 속성(신뢰성, 사회성, 정보성)이 모두 인스타그램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20대, 30대, 40대 연령별로 인스타그램의 인지된 마케팅 특성, 소비가치, 구매행동에 대하여 차이가 있음을 밝혀졌고, 영향관계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MZ세대라는 이름으로 묶이는 20대, 30대, 40대가 연령별로 특징과 차이가 명확하게 통계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MZ세대의 연령 구분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학계 및 기업에서는 20대부터 40대까지를 통칭하며 범위가 넓게 통칭되는 MZ 세대별 구분이 아닌 연령에 맞게 적절한 방법의 마케팅을 연구·이용하여 구매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stagram used by consumers and the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s in relation to companies that use Instagram for marketing, focusing on consumption valu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on Instagram,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aily access time to Instagram in the 20s is more than 1 hour to less than 2 hours, the number of accesses is more than 3 times to less than 5 time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products is that the 20s have a lot of recommended review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functional consumption valu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rketing informativeness and economic consumption value. In terms of perceived Instagram marketing characteristics by age, 20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liability, sociality, and informativeness than 30s and 40s, and 20s were higher in social consumption value, 30s were higher in economic consumption value, and 40s were higher in functional consumption value, indicating differe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value by age, and 20s had the highest purchase behavior.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stagram marketing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e behavior, while the control variables of number of Instagram purchases (per month), total expenditure on Instagram purchases (per month), gender, and total monthly income (real income) did not show differences. To check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age, we conducted a moderated effect analysis and found that perceived marketing characteristics (sociability) * 20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stagram purchase behavior,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bility, the lower the purchase behavior. For 30s, we found that perceived marketing characteristics (sociality) * 30s and perceived marketing characteristics (informativeness) * 30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stagram purchase behavior. For those in their 40s, perceived marketing attributes (trustworthiness) * 40, perceived marketing attributes (sociability) * 40, and perceived marketing attributes (informativeness) * 40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stagram purchas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arketing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e behavior among people in their 20s, 30s, and 40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is also differ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marketing methods should be used to lead to purchase behavior.

      • 노인의 차이연령과 노화불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한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고령화시대에 살고 있는 한국의 노인들은 의학, 과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80세를 넘어섰다. 그러나 아직도 활력있고 건강한 노인들은 자신들의 연령을 대부분 중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노화를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처럼 자신의 나이를 어떻게 인지하느냐는 노인들의 삶의 태도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에 고령화 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들의 연령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이들의 활력을 높이고 삶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인 노후를 보내는 데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실제 연령과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연령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차이연령과 노화불안이 노년기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에 출석하는 노인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주관적 연령은 평균 67.03세로 역 연령보다 7.67세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차이연령은 관심사 차이연령이 10.1세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행동 차이연령이 8.9세, 감성 차이연령과 외모 차이연령이 5.9세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노화불안을 살펴본 결과 노화불안의 요인 중 심리적 불안정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노인에 대한 두려움, 외모에 대한 걱정, 상실에 대한 두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불안정이 다른 요인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김정희, 2013)와 같은 결과이다. 다음으로 조사 대상자의 생활만족도는 현재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생활만족도는 여자노인이고, 나이가 많을수록, 자녀와 함께 살고, 주관적 경제수준이 좋을수록,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미래 생활만족도, 과거 생활만족도 순이었다. 다음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 1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모델 2에서는 차이연령을 추가하였고, 모델 3에서는 노화불안의 요인을 투입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경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감성 차이연령과 행동 차이연령이 크고 외모 차이연령은 적을수록,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경제수준이 좋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과거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감성 차이연령과 행동 차이연령이 크고 외모 차이연령은 적을수록,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감성 차이연령이 크고 외모 차이연령은 적을수록,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외모에 대한 걱정은 클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자신의 노화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인정하며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노화에 대비한 교육과 다양한 노년기 향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하고, 노년기에 진입하기 전 노화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노년 준비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쉽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average lifespan of elderly in Korea living has surpassed 80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science. However, the elderly who are still active and healthy, perceive their ages as middle age, and do not want to admit their aging. Because how one perceives his or her age influence attitude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iguring out the eighth recogni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an aging society will increase their vitality, have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achieving successful senescence. The study has its purpose in investigating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the chronological age and subjectively perceived age in the elderly and analyzing what kind of effects this ‘difference age’ and anxiety about aging ha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31 elderly to attend an elderly general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ubjective age of the subjects was 67.03 which was 7.67 lower than the chronological age, and in difference age, the largest difference was in interests with 10.1 and then it was in the order of behavior difference age 8.9, and emotional difference age and appearance difference age 5.9. Second, in the investigation about anxiety about aging in the subjects, among the factors of anxiety about aging, the most prominent was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then it was in the order of fear of aging, worries about appearance, and fear of loss. This result corresponds to a previous study (Kim Jeung-hee, 2013) where psychological instability was more prominent compared to other factors. Third,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current life satisfaction was the most prominent. Current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f the subject was female, older, living with children, had better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had bett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the next was in the order of future life satisfaction and past life satisfaction. Next, the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ocio-demographic variable was added in Model 1, difference age was added in Model 2, and anxiety about aging variable was added in Model 3.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better subjective economic level,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larger emotional difference age and behavioral difference age, smaller appearance difference age, and lower fears of loss, fears of aging,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s factors influencing past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past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better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lower psychological instability. As factors influencing current life satisfaction , it was found that current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bett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larger emotional difference age and behavioral difference age, smaller appearance difference age, and lower fears of loss, fears of aging,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s factors influencing future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futur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lower age, higher education, better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physical health status, larger emotional difference age, smaller appearance difference age, lower fears of loss, fears of aging,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bigger worries about appear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혼합연령 학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김다해 신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multi-age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ers' recognition of an educational effect, and to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of multi-age classroom and single-age classroom about educational effect and job stress. Following subjects are established for such study purpose. 1. What is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multi-age classroom management?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multi-age classroom teacher and single-age classroom teacher on educational effect of multi-age class?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single-age classroom teacher and multi-age classroom teacher in their job stress?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infants age of 3 to 5, multi or single aged class. So, 400 copies of a questionnaire about teacher's recognition on multi-age class and job stress were distributed 200 children's houses located in Busan. Among 400 copies, I reclaimed 327 copies but made use of 317 copies for the research. Collect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s via standardization and encoding process. The result is like this; First, produc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multi-age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educational effect. Second, execute t test to verif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about educational effect of multi-age classroom, and the difference in teacher job stress multi-age classroom and single age classroom.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s result.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about multi-age classroom management, most people think multi-age classroom is necessary because of the 'Educational effect', but isn't necessary because of difficult preparation recognized based on difference of development level. Teachers recognize that work activity and storytelling is the hardest part of the class operation, and taking a rest and a nap is the hardest habit making in everyday life. They recognize small group activity is the most effective professor strategy, and downsizing the class and teacher's expert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mostly needed in operating a multi-age classroom.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cognition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multi-age and single-age classroom on educational effect of multi-age classroom,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negative effect on older infant and positive, negative effect on younger infant. It appeared as that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multi-age class recognized more positively about educational effect of multi-age class than the teachers in charge of single-age class, and on the contrary negative effect is les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job stress between multi-age classroom and single-age classroom teachers, job stress about teachers' homeroom class (multi-age class, single age class) appeared high to multi-aged class teachers on the whole. Also, everybody were shown meaningful difference in activity, business connection, students' parents relationship that are job stress's low rank factor. Through this study, multi-age class teachers think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multi-age class is higher than the other one, but their job stress is higher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 I suggest we need administrative support and investment that can develop teacher's expert knowledge and experience such as suitable teaching material, teaching tool expansion and instructional method and tips for teaching plan and workshop for small group activity by age etc.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연령 학급 운영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혼합연령 학급의 교육적 효과와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혼합연령 학급과 단일연령 학급 교사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혼합연령 학급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혼합연령 학급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혼합연령 학급 담임 교사와 단일연령 학급 담임교사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 혼합연령 학급 담임교사와 단일연령 학급 담임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이상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혼합연령 및 단일연령 교사이다. 그리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200곳을 무작위 선정하여 혼합연령 학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스트레스 질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설문하였으며, 총 327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와 일부문항이 누락된 설문지 10부를 제외하고 총 317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회수된 질문지는 표준화 및 부호화 과정을 거쳐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혼합연령 학급 운영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구하는데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혼합연령 학급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교사 간의 차이, 혼합연령 학급과 단일연령 학급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 학급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혼합연령 학급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육적 효과’가 가장 많았고, 혼합연령 학급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연령 간 발달수준의 차이로 수업준비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사들이 혼합연령 학급 운영시 가장 힘든 일과 운영으로 인식한 것은 작업활동과 이야기 나누기였으며, 가장 힘든 일상생활 습관지도라고 인식한 것은 휴식 및 낮잠지도였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라고 교사들이 인식한 것은 연령별로 나누어 소집단 활동을 운영하는 것이었으며, 혼합연령 학급 운영에 있어서 교사들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교사 대 유아 비율의 하향 조정과 학급운영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었다. 둘째, 혼합연령 학급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혼합연령 학급 담임교사와 단일연령 학급 담임교사간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나이 많은 유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나이 어린 유아에게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혼합연령 학급 담임교사들은 단일연령 학급의 담임교사보다 혼합연령 학급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부정적인 영향은 더 적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 혼합연령 학급교사와 단일연령학급교사 간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담임학급 (혼합연령 학급, 단일연령 학급) 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혼합연령 학급의 교사들이 단일연령 학급의 교사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원아들과의 활동, 업무관련,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일연령 학급 담당 교사보다 혼합연령 학급 교사가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반해 직무스트레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혼합연령 학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연령에 맞는 교재·교구 확충, 교수방법 및 교수계획안 작성법, 연령별 소그룹활동을 위한 워크샵 등 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개발할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80세 이상 고연령 위암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윤호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the safety of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for elderly patients. Between 2003 and 2008, 652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gastric cancer in Seoul Veterans Hospital.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age group(≤60 year, 61-79 years, ≥80 years) and patients aged 80 or older were classified as elderly.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thei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survival rates were analyzed. In elderly group, the proportion of symptomatic patients was significantly larger, and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The elderly group was related to more frequent comorbidities. While the time period until first flatus was longer in elderly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ostoperative fasting was significantly prolonged. The rat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group with pulmonary complications leading the list. The overall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should not be avoided for elderly patients. 고연령 위암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는 대상환자의 수가 적거나 연구 기간이 길어 실제 임상 적용에 제한점이 있다. 저자들은 고연령 환자 위주의 서울보훈병원에서 상대적으로 단기간 대상이 된 고연령 위암환자를 타 연령군과 비교하여 임상적 병리학적 항목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 후 경과 및 예후를 통해 고연령 위암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3 년 3 월부터 2008 년 2 월까지 5 년동안 서울보훈병원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수술한 652 명을 대상으로 60 세 이하를 저연령군, 80 세 이상의 환자를 고연령군으로 정의하고, 그 이외의 환자를 중간연령군으로 분류하였다. 의무기록을 참조하여 임상병리학적 인자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추적검사 기간의 중간값은 42 개월이었다. 고연령 위암환자에서 다른 연령군에 비해 동반 질환 및 위암과 연관된 증상의 빈도가 높았고, 신체질량지수가 낮았으며, 술후 첫 번째 flatus까지의 기간이 짧았다. 그 외의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수술 술식은 각 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합병증은 20 명(31.7%)의 환자에서 31 예 발생하여 다른 연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빈도가 증가하였고 호흡기계 합병증이 가장 흔하였으나 각 군 간의 전체 생존율 및 위암과 수술에 관련된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연령이라는 인자가 수술적 치료의 결정시 제한점이 되어서는 안 되며, 고연령 환자에서 발생한 위암은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연령집단구성의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소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동일연령으로 구성된 학급과 혼합연령으로 구성된 학급을 선정하여 각 교육기관의 자유선택 활동시간을 통해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동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집단간에는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동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집단간에는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동일연령집단과 혼합연령집단간에는 의존적 상호작용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30명으로 S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의 동일연령집단 1학급 16명(만5세)과 어린이집에 취원중인 혼합연령 집단 1학급 14명(만4세 7명, 만5세 7명)을 선정하였다. 관찰은 대상 유아당 3분씩 15회 관찰후 기록하였다. 연구도구는 Holloway 와 Erickson(1988)이 사용한 관찰기록부를 이관희(2000)가 적용하였던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관희가 적용한 5개(긍정적, 부정적, 규칙적, 의존적, 참여적) 행동성향중 3개(긍정적, 부정적, 의존적) 행동성향만 선택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하위항목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행동성향 3가지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연구문제별로 사회적 능력 점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중 긍정적 행동을 비교해본 결과, 3가지 긍정적 행동중 '대화나누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동일연령집단의 유아들이 혼합연령집단 유아들보다 t=2.170으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대화나누기를 더 많이 했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행동중 부정적 행동을 이해하는 능력은 2가지 행동특성 중 방해하기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 간의 하위요소별 검증결과 동일연령 집단에서 방해하기는 t=1.85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행동중 의존적 행동은 두 집단을 비교했을 때 동일연령 집단이 혼합연령 집단 보다 다른 친구의 도움을 자주 요청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소중 동일연령 집단에서 대화나누기, 도움요청하기, 방해하기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 Johanson 방법을 응용한 연령추정

        이원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령추정은 법의 · 치의학적 개인식별에서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분야로, 지금까지 수많은 선학들이 신체의 여러 부위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왔다. 치아를 이용한 연령추정은 신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가장 유의한 방법으로 이중 Gustafson과 Johanson은 사후 치아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였는데 그 정확성과 체계성을 인정받아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방법에 대한 정확성의 검증은 외국에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희소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주질환에 이환되었거나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59개의 전치부 , 소구치부, 구치부 치아를 이용하여 1)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고유방법대로 우리나라 사람의 치아에 적용하였을 때 각 방법에 따른 추정연령과 실제 연령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2)실제연령과 Gustafson 방법 및 Johanson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 간 차이를 연령대별, 성별, 악궁별, 그리고 치아부위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치아를 레진 포매하여 절편으로 만들어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치아를 감정하고 연령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Johanson 고유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은 실제연령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응용 방법은 실제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중 Johonson 응용 방법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실제연령과 Gustafson 방법, Johanson 고유 방법, Johanson 응용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은 성별 및 치아 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실제연령과 Gustafson 방법, Johanson 고유 방법, Johanson 응용 방법에 의한 추정연령은 연령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향후 Gustafson 방법과 Johanson 고유 방법이 국내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보다 많은 치아를 이용한 연구와 Johanson연령추정 방법에서 기존 Johanson이 제시한 방정식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폭넓은 연구에 따른 새로운 방정식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ge estimation is fundamental and important in personal identification with forensic medicine and dentistry. Recently, a lot of studies using various part of the body have been done for age estimation. Age estimation with teeth is the most significant method comparing ones with other part of the body.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using postmortem teeth have been authorized in accuracy and systemization and us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verification of the accuracy in above methods had been tried many times but it is still rare in Korea. Fifty-nine teeth(incisors, canine, premolars and molars) which were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diseases or orthodontic problem were collected. Present study is to 1) compare the accuracy of estimated age in applying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to the teeth in Korea, 2)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results using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by age, gender, maxilla - mandible and anterior - premolar - molar. Teeth were embedded in resin and sliced and then examined each one using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tual ag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imated age by Johanson method. Actual ag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estimated age by Gustafson method and modified Johanson method. Modified Johanson method was more significant than Gustafson method. 2. In estimated age by Gustafson method, Johanson method and modified Johanson method, there was no significance with actual age by location and gender. 3. In estimated age by Gustafson method, Johanson method and modified Johanson method, there was significance with actual age by age group. Finally, Gustafson method and Johanson method can be used in Korea. To make more accurate verification, however, it needs more specimen and postmortem teeth. Johanson equation proposed by himself has to be developed by further studies.

      • 「혼합연령(복식)학급 지도서」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배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개발되어 전국적으로 보급되는 교사용 지도서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혼합연령(복식)학급 지도서」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실태 그리고 어려움 및 요구사항을 조사함으로써, 국가 수준 누리과정이 혼합연령(복식)학급에서 효율적으로 실행 될 수 있도록 돕는「혼합연령(복식)학급 지도서」를 적극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한국인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제 2대구치 및 제 3대구치의 석회화정도

        심우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치아의 발육 및 형성은 사춘기에 접어들어 소구치와 견치의 형성이 끝나면 오직 제 3대구치만이 발육을 계속하는 시기적 특성을 갖고 있다. 제 3대구치의 경우 개체간의 형태, 크기, 출현 시기, 발육속도 등의 개인차가 크며, 다른 치아에 비하여 선천적 결손 빈도가 높은 치아이다. 그러나 제 3대구치 외에 연령추정을 위한 다른 생물학적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3대구치가 중요한 연령추정의 대상으로 가치를 가지게 된다. 국내에서도 제 3대구치의 발육 정도에 대한 수종의 연구가 있었으나 치아의 발육 상태는 경년 변화, 영양 차이 등에 의하여 계속 변하므로, 시대적 변화에 따른 발육 정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갱신된 자료적 기준이 설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또한 법의학적 실무에 있어서 제 2대구치와 제 3대구치의 발육이 동시에 존재하는 연령층의 연령추정을 시행하는 경우, 제 2대구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와 제 3대구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추정연령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제 2대구치, 제 3대구치간의 발육 정도를 비교, 연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를 참고로 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한국인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제 2대구치 및 제 3대구치의 석회화정도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1999년에서 2003년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신체의 발육 및 건강상태가 양호하며 특기할 전신질환 병력, 치아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치과질환 병력이 없는 환자 중 7세에서 22세에 이르는 각 연령에 40명씩인 남자 640명, 여자 640명씩 총 1,280명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2명의 검사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의 제 2대구치, 제 3대구치의 석회화정도를 Demirjian 등이 제시한 기준을 Solari와 Abramovitch가 수정한 총 11단계의 기준에 따라 조사, 기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인에서 연령추정에 필요한 제 3대구치는 남성의 경우 98.3%, 여성의 경우 94.2%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출현하였다. 2. 치아의 석회화정도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검사자 2명간의 신뢰도는 모든 치아에서 높은 일치율을 나타내어 검사자간의 주관적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κ>0.75). 3. 동일악 좌, 우측 동명 치아, 동측 상, 하악 동명 치아의 발육정도에 있어서, 제 2대구치의 경우 모든 경우에 있어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동일악 좌, 우측 제 3대구치간의 상관도는 높았으나, 동측 상, 하악 제 3대구치간의 상관도는 낮았다. 4. 연령추정시 제 2대구치를 적용하기에 적절한 연령대는 16세 미만이며, 제 3대구치의 경우, 16세 이상에서 22세 전후로 사료된다. 5. 특정 발육 단계에서 만 18세 이상일 확률을 구한 결과, Stage F1부터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대략 50% 이상의 확률값을 나타내었으며, 동일 발육 단계에서 하악, 여성에서의 확률값이 보다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인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제 2대구치 및 제 3대구치의 석회화정도에 따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법의학적인 개인식별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연령추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ooth has a periodical characteristics that after complete development of canine and premolar at puberty, only the third molars continue development. And for the third molar, there are individual variations in morphology, size, eruption period, and rate of development, moreover, the rate of congenital missing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eeth. However, in the case that other biological references for age estimation are not present, third molar would be a valuable referenc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ird molar in Korea. However, since the state of tooth development varies with years and nutritional differences, renewal of reference data considering the development change of third molar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Additionally, variation of age estimation may be observed as to which tooth, second and third molar had been used when second and third molar develop simultaneously. Therefore,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developmental degree of second molar and third molar, clarification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wo molars is required to be used as reference. Hence, for the study of second and third molar calcification in relation to chronological age in Koreans, orthopantomograms of 1,280 healthy patients who visited dental hospital,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were examined and recorded by two examiners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reference were suggested by Demirjian et al., and modified by Solari and Abramovitch.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7 to 22, 40 people at each age with 640 males and females. The orthopantomograms of the patients who had the specific medical or dental histories which could affect tooth development are excluded in this study to avoid fals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male, 98.3% of the sample showed one or more third molars formation, and that of female was 94.2%. 2.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examiners showed high enough in every c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observer effect. 3. In the case of the same teeth bilaterally within the same jaw and the same teeth unilaterally in upper and lower jaw, every cases of second molar resulted in high correlation. For the third molar, within the same jaw resulted in high correlation but same teeth unilaterally in upper and lower jaw resulted in low correlation. 4. The range of age that is appropriate for application of second molar in age estimation is below the age of 15 years, and for third molar is 16 to 18-year-old. 5. In case of third molar, the probability that the age would be higher than 18 years at specific calcification stage is calculated. In every situation, at stage higher than stage F1, the value of probability was more than about 50%. The probability of mandible was higher than that of maxilla, and the probability of femal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data about second and third molar calcification in relation to chronological age in Koreans, and it will be applied more accurately in age estimation for human identification.

      •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가 시니어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시간조망과 추구혜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시니어 소비자의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가 시간조망과 기대된 화장품 추구혜택을 매개로 하여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시니어 화장품 제품 개발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시 기업 최고경영자 및 실무진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11일간 국내 만 55세 이상 남녀 총 224명의 조사 대상자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차이연령을 실제 나이로 나눈 비율지표를 새롭게 차이연령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시니어 소비자가 남들과의 비교를 통해 느끼는 외모만족도가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영향이 자신의 남은 인생에 대해 지각하는 개념인 미래시간조망과 화장품에 대해 기대하는 추구혜택에 의해서 매개가 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독립변수인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가 매개변수인 시간조망과 추구혜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4를 수행하고,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연령은 시간조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추구혜택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만족도는 시간조망과 추구혜택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조망은 화장품 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추구혜택은 화장품 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차이연령이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조망에 의해서 완전매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모만족도가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추구혜택에 의해서 완전매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시간조망은 차이연령과 화장품 구매 간의 관계와 외모만족도와 화장품 구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추구혜택은 차이연령과 화장품 구매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만족도와 화장품 구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기존의 차이연령을 실제 나이로 나눈 비율지표를 새롭게 차이연령으로 정의하였는데, 이 분석방법이 기존의 방식보다 더 변별력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는 확인하고 있다. 실무적으로는 고객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시 고객에게 일률적으로 차이연령을 제시하면 안되고 타겟 고객의 실제 나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간조망과 추구혜택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차이연령이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확장하였다. 실무적으로는 소비자에게 확장적 시간조망을 일깨우는 것이 소비심리를 긍정적으로 자극할 것이며, 화장품 추구혜택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상품의 효과를 정리해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차이연령과 동시에 외모만족도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다. 실무적으로는 외모만족도가 차이연령보다 중요한 역할을 것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존의 시니어 화장품 광고가 젊어보이도록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면, 앞으로는 예뻐질 수 있다고 강조했을 때 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차이연령이 시간조망을 거쳐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외모만족도가 조건부 간접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무적으로는 고객의 외모만족도가 높거나 낮은 정도에 따라 판매원이 적응적 판매기술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표본의 한계로서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실험이 수행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55세 이상의 시니어를 동일한 그룹으로 보고 차이연령과 외모만족도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세부 연령 집단에 따른 연구 결과의 변화 여부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온라인 조사방식이 전체 시니어들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구매행동이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연구하였지만 향후 화장품 카테고리별 품목에 관한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추후연구에는 본 논문의 여러 한계점을 보완하고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함으로써 후속연구의 발전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ag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f senior consumers on the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by mediation of time perspective and expected benefit sought on cosmetics, and intended to help to decision-making of the company's CEO and working-level staff when developing senior cosmetic products and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trateg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24 male and female subjects 55 years of age and older in Korea for 11 days from August 10 to August 20, 2020. In this study, the ratio index divided by the actual age was newly defined as the difference age.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that senior consumers feel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s on cosmetic purchases. A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is influence is mediated by future time perspective, which is the concept of perception for the rest of one's life, and the expected benefit sought on cosmetic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difference ag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time perspective and expected benefit sought on cosmetics, Process Macro Model 4 was performed, and th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were evaluated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ime perspective,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benefit sought. Second, it was found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oth the time perspective and the benefit sought. Third, time perspectiv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smetics purcha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 sough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purchase of cosmetic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difference age on cosmetics purchase was completely mediated by time perspective. Sixth,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cosmetic purchase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benefits sought. Seventh, time perspectiv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 age and cosmetic purchase and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smetic purchase. Eighth,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 sough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age and the cosmetic purchase, and di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cosmetic purchas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newly defined the difference age ratio as the ratio index divided by the actual age, and this study confirms that this analysis method has more discriminating power than the existing method. In practice, this suggests that when establishing a customer communication strategy, the difference age should not be uniformly presented to customers, but the actual age of the target customer should be considered. Secon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difference age o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were expanded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ime perspective and benefits sought. In practice, awakening consumers to an expansive time perspective will stimulate consumption desire positively, a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present the effects of products so that they can have faith in the benefits sought on cosmetics. Third, this study expanded the previous studies by adding the concept of appearance satisfaction to difference age as variables influencing the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In practice, it has been shown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an difference age, so if the existing senior cosmetics advertisements have emphasized that they make you look younger, it suggests that the effect can be greater when you emphasize that consumers can become prettier in the future. Fourth,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had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n the effect of difference age on cosmetic purchase by mediation of time perspective. Therefore, in practice, it suggests that salespeople should demonstrate adaptive selling skills depending on the degree of high or low customer's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s a limitation of the sample, the experiment was limited to some regions. Secon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ce ag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looking at seniors over 55 years of age as the same group, but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 study results change according to specific age groups. Thir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online survey method may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ll seniors. Fourth, although this study studi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of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detailed research on items by cosmetic category is needed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llow-up research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thesis and enhanc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