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행정학의 연구경향 : 2008-2012 :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김성민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2008-2012년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에 게재된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의 주제와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자 속성, 기타 연구환경, 키워드 범주 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행정학의 최근 연구경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행정학 관련 주요 논의와 방향의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들은 행정환경 변화와 공공문제,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등에 대응하여, 연구의 관심과 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조직 내부적으로는 행정개혁과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가 많으며, 외적으로는 거버넌스와 갈등관리, 시민사회, 사회적 약자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대상의 확장과 새로운 이론 및 연구방법의 도입은 문제지향성과 연합학문지향성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학의 성격에 기인한 것이지만, 한국적 맥락에 부합하지 않는 이론의 무분별한 도입과 유행에 따른 연구주제 변화가 행정학의 정체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하기에, 엄격한 관찰과 이론의 형성 및 검증, 행정학 개념의 축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연구의 성격에 있어서 현실에 대한 처방과 이론적 검증 및 함의 제시를 동시에 하는 연구들이 많아 논문의 성격을 바탕으로 이론지향성과 문제지향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학계 내에서 연구방법의 엄격성과 연구결과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이론지향성과 문제지향성에 대한 평가와 비판, 토론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한편 행정철학, 가치, 이념 등을 통해 현상에 접근하는 규범적 연구가 부족하기에, 연구 비율에 있어서 설명과 처방, 규범에 대한 균형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이론을 검증하거나 이론을 통해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와 기준의 설정을 통해 현상을 평가하거나 개념을 측정하는 연구가 많은 것에 비해 현실에 대한 기술과 탐색을 통해 새로운 이론을 형성하는 귀납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질적연구방법에 있어서 2차인용자료를 통해 이론에 따라 현상을 설명하는 사례연구 비율이 높아, 민족지학적 연구방법과 내용분석 등을 활용한 질적자료의 분석 및 해석적 접근이 부족하다. 한편 양적연구의 경우, 설문을 통해 횡단면 연구를 하는 비율이 높아, 시간의 고려가 필요한 분석의 경우 연구자들이 장기적 연구설계를 통해 횡단면-시계열 자료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설문의 경우, 비확률적 표본추출과 표본 대표성 문제 등의 한계 속에서 표본오차의 발생가능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양적 분석기법은 자료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교화 되고 있지만, 무조건 최신의 분석방법을 활용하려 하기보다는 가장 적합한 분석방법을 선택하고, 기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결과 해석에 반영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연구자 특성에 있어서 공동연구와 3인 이상 저자 연구의 비율은 과거에 비해 상승하였으며, 연구자간 관계는 연구자 소속과 출신학교의 인적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구자의 소속과 학위수여 대학이 소수의 기관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타전공 학위수여자와 공공부문 소속 실무자 비율이 매우 낮아, 연합학문과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행정학의 특성과는 부합하지 않았다. 한편 정부(교육부)와 학교, 학회는 연구지원금과 학회발표, 학위수여 논문 등을 통해 행정연구자의 연구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계 내에 창의적 연구를 권장하는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정부, 학교, 학회의 연구자들에 대한 지원과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 한국 공적개발원조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이병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1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 20위 내의 경제력을 가진 국가로 발전하기까지, 그 배경으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이뤄진 공적개발원조(ODA)를 빼놓을 수 없다. 1963년 개발도상국에 대한 초청연수를 통해 공여국의 역할을 처음으로 시작한 우리나라는 2010년 OECD의 국제개발위원회(DAC)에 가입하여 주요 수원국에 인적·물적 자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해마다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연구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현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듯, 연구 또한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통해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의 함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아직까지 공적개발원조 연구를 종합하여 그 경향을 다룬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뤄진 공적개발원조의 연구를 분류하여 특정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공적개발원조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방향과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된 222편의 공적개발원조 연구를 분류하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주요 경향을 도출해내었다. 사용된 분류의 기준으로는 연구 외적 요소로 연구의 기본사항을, 연구 내적 요소로 연구 목적, 연구 영역,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본사항은 발행 연도, 연구자의 소속, 발행 기관, 연구비 지원 여부 항목으로 이뤄져있으며, 연구 목적은 연구 수준과 추구하는 가치 항목으로 이뤄져있다. 또한 연구 영역은 연구 분야, 연구 대상, 주제로 이뤄져있으며, 연구 방법은 연구 접근법과 관련된 항목을 사용하였다. 도출된 주요 경향으로는 시간이 지날수록 공적개발원조 연구의 양적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으며, 연구자의 소속은 대학에 편중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행정학 관련 기관에서 발행된 연구는 전체 중 20%를 차지했으며, 연구비 지원을 받은 연구가 전체 중 30%를 차지했다. 연구 목적 측면에서는 처방적 수준의 연구가 주를 이뤘으며, 설명적·이론적 수준의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적개발원조 구조의 개편이나 정비를 주요 가치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영역 측면에서는 현재 세부적인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절반 이상의 연구가 공적개발원조 총괄 분야에 대한 연구였고, 공여국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다룬 연구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적개발원조의 전반적인 발전을 주제로 한 연구와 외국사례 연구가 주를 이뤘으며, 분단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대북 공적개발원조 연구 또한 낮은 빈도지만 지속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정성적 연구에 편향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정량적 연구 중에서는 회귀모형을 사용한 인과분석이, 정성적 연구에서는 사례분석 연구가 다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경향을 토대로 개선방안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하자면 첫째, 대학에 치우친 연구 수행은 연구의 실용성, 현장 적합성 부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소와 정부 기관의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안으로 인센티브제(Invcentive system)와 쿼터제(Quota system)를 제안한다. 둘째, 연구자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연구비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에 대한 정부예산 확대를 통한 기금을 조성하고, 재단에서 공적개발원조 연구에 대한 지원 방침을 제시한다면 공적개발원조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 영역에 있어 연구 대상이 공여국에 편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수원국의 문화적·환경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원조를 수행하는데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 타당성 조사의 정밀화, 학자들의 현장 연수 및 파견 기회 확대 등을 제안한다.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Korea was essential for the developing process from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to one of the top 20 countries in terms of GDP. Korea, a member of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since 2010, supports developing countries wi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the scale of aid is getting bigger year by year from 1963 when it started to play a role as a donor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 studies on ODA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on the trend of Korea’s OD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trend of Korean ODA by classifying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 ODA and to suggest the way forward for future researches and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found some trends of Korean ODA,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fter classifying 222 stud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basic information of study as external components and the goal, scope, and method of study as internal components. In specific, the basic information consists of publication year, organization of researcher, publisher, and whether the study was funded or not. Also, the goal of study consists of the level of purpose and the pursued value while the scope of study is comprised of field, subject, and topic. As a result,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studies on Korean ODA is increasing as time goes by. The organizations of researchers are mostly university. Twenty percent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by the institutions related to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irty percent of the studies were funded. Second, regarding the level of study purpose, the majority is prescriptive study whereas the minority is explanatory/theoretical study. For the pursued value, the structural reform of ODA was mainly pursued. Third, in terms of the scope of study, the field of study is founded to be account for more than the half even though the types of field are varied. Also, most studies have dealt with donor country as their subject while the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the general improvement of ODA and foreign cases as their topics. Fourth, the method of study has been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found that causality analysis is majority among quantitative approaches while case analysis is majority among qualitative approached. This study has three suggestions. First, it is required to raise the number of the ODA studies conducted by non-university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university-driven researches could bring about the lack of practicality. For example, an incentive system and a quota system would be useful. Second, more financial supports are needed to motivate researchers to study ODA. In specific,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could provide financial supports for researchers by demanding an increase in its budget allocation. Third, the recipient country–tailored assistance is needed because the excessive inclination of studies towards donor country could prevent researchers from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ipient country into account. Therefore, preliminary feasibility survey should be detailed and precise, and the opportunities for field survey should be expanded.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연구 경향 분석 연구 : 2000년부터~2019년을 중심으로

        허문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9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uggest ways to further develop this field, and provide detailed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a research trend analysis. To do so, 262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2000–2019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by period,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nd research conclusion, and analysed through a qualitative meta-analysis.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by period. First, the research results on this topic have increased quantitatively since 2009, when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Second, the average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per year is 0.85, which indicates tha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is area of research.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most universities do not have a long history of doctoral programs, suggesting insufficient training of professional researchers in this field.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academic journal articles is 12.25. I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08. This seems to be due to the revitalized discussion 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music curriculum in 2007. Third, the number of researchers analyzing this topic is small, so it is necessary to foster specialists in this area. Fourth, as the proportion of creative music in education has increased since 2009, the research on this area seems to be changing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In addition, studies on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small children have also recently emerged. Fifth, with the curriculum revision,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5 to expand the scope of special-purpose and web-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Sixth, quantitative studies based on positivism are on the rise. Seventh, since 2009, research that had focused on Western-style teaching/learning methods has changed to studies 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lthough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with Western teaching/learning methods as a theoretical basis, a new research strain began emerging with the 2009 curriculum reform focusing on the original purpose of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teaching/learning methods between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200 articles (76.3%). Mos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s focu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calls for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It is also expect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on preschoolers, including toddlers will increase.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extbooks through literature reviews, specifically on academic-centered textbooks that form the basis of teaching/learn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search on instructional plans and curricula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econ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The scarcity of quantitative research shows the limitations of research methods for experiments and surveys.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discontinuity of subsequent studies due to the lack of prior research. Third, studies are observational and center on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ractical field purposes. The research conclusions were also analyzed. First, “describing phenomena”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accounted for 18.3% (48 articles). Since the 2015 curriculum reform, research record have emerged the most, and are continuously expanding in quantity. Studies on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reforms in 2009 and 2015 have increased, and studies on instructional plans using storytelling and visual thinking methods have also emerged. Second, the largest proportion, 168 articles (64.1%), covered “finding alternatives.” Third, there were 46 articles (17.5%) focusing on “field applicability.” Since the 2009 music department curriculum revision, the proportion of experimental quantitative research as a whole has increased, and a change in research methods is clearly visibl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trend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a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thus establishes the academic foundation in this area. A research analysis framework and detailed analysis model were presented to derive the research trends of this topic based on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In addition, a new foundation wa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more clearly present the scope of research and research topics.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xisting body of studies on the tre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It suggests the need to chang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is topic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 Furthermore, it recogniz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and describ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also advocates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think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분야의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 경향 분석을 토대로 향후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분야의 발전 및 세부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 간행된 박사학위 논문 및 학술지 262편을 선별하였고, 질적 메타분석을 통하여 시기별, 연구 방법별, 연구 내용별, 연구 결과별로 분류하여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분야의 연구 경향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시기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국악교육 교수-학습법의 연구 실적은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진 2009년 이후 양적 증가가 이루어졌다. 둘째, 박사학위 논문의 간행 수는 연평균 0.85편으로 논문의 수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대학들의 박사 과정의 역사가 길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되며,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분야의 전문 연구자의 양성이 미흡함을 시사한다. 학술지 간행 수는 연평균 12.25편으로 2008년부터 연구 실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2007년부터 시행된 음악과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다양한 학술지에서 국악교육 교수-학습법에 관하여 논의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관련 연구자의 수가 적어 향후 다양한 연구자의 육성이 필요하다. 넷째, 2009년을 기점으로 교육 내용에서 창작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국악교육 교수-학습법에 대한 연구 내용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창작 국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들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2015년 이후 특수 목적 및 웹 기반의 교수-학습법 등에 대한 외연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여섯째, 실증주의 기반의 양적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곱째, 2009년 이후 서양의 교수-학습법 기반의 연구에서 국악교육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서양의 교수-학습법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교육과정이 개편된 2009년 이후 국악교육에 대한 본연의 목적, 국악과 양악 간의 교수-학습법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문헌분석’은 200편(76.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질적연구에 있어 대부분의 연구가 문헌분석에 치중되어 있어 연구 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 향후 유아 및 미취학아동 대상의 양적연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내용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문헌분석을 통한 교과서 위주의 질적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악교육 교수-학습의 근간인 학제 중심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지도방안과 교육과정 내용 연구가 연도별 편차 없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둘째,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에서 비중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적연구 비중의 희소성은 실험 및 설문에 대한 조사 방법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부족으로 인한 후속 연구의 연속성 단절에 따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연구 내용이 현장적용적 측면에서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 위주의 관찰연구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연구 결과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 결과에 대한 연구경향에서‘현상도출’은 48편(18.3%)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연구 실적이 가장 많이 출현하며 지속적인 양적 확대를 이루고 있다. 2009년도와 2015년도 개정을 반영한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증가되었고, 스토리텔링 및 비주얼싱킹 등을 활용한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등이 새롭게 출현하였다. 둘째,‘대안도출’은 168편(64.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현장적용’은 46편(17.5%)으로 나타났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이후의 연구부터는 양적연구의 실험연구 비중이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연구 방법 측면에서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연구 경향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 논문으로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국악교육 교수-학습법 연구 경향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분석틀 및 세부 분석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경향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국악교육 경향에 대한 기존 연구 흐름에 기여하였으며,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국악교육 교수-학습법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국악과 양악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국악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법 개발의 중요성을 서술하였고, 창의적·융합적 사고에 따른 교수-학습법의 중요성 등의 연구적 함의를 갖는다.

      • 북한 학술지의 논문 분석을 통한 북한 영양학 연구의 특성

        정현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북한 학술지에서 영양학 관련 논문을 선별하고 이를 통해 북한 학술지의 특성과 영양학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북한의 영양학 연구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학술지 선정은 NK테크 사이트에서 “영양” 키워드 검색과 제목확인을 통해 영양학 관련 논문을 선별한 후 해당 논문이 많이 수록된『조선의학』과 『예방의학』을 연구대상 학술지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학술지에서 선별한 영양학 분야 논문 370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의 분류기준은「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이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의 일반적 특징은 논문이 주로 지도자의 교시를 문두로 하여 서론을 대신하였고,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성과, 맺는말, 참고문헌, 영문 summary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논문의 분량은 1∼3페이지 정도로 비교적 짧았으며 참고문헌의 수도 5개 이내로 적었고 논문에 인용표시는 거의 없었다. 논문은 대부분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었고, 키워드는 2017년부터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선별된 영양학 분야 논문의 연구경향은 기능성식품 분야 연구가 전체 선별논문의 60.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다음으로 영양조사/평가/모니터링(13.5%), 식품의 영양기능성평가(12.4%), 영양대사조절(7.6%), 임상영양(3.8%), 영양교육/상담(2.2%)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각 분야별 논문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연구를 보인 기능성식품 분야의 논문 수는 2001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능성식품 분야에서 연구된 기능성소재는 젖산균, 셀렌, 인삼, 순으로 많았으며, 연구에서 확인한 기능성으로는 면역기능, 지질개선, 항산화기능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영양조사/평가/모니터링 분야에서는 영양상태평가방법 및 영양기준설정에 관련된 논문과 질병과 식생활과 관련된 영양조사논문이 많았다. 식품의 영양기능성평가 분야에서 연구된 식품소재는 콩이나 콩제품, 바다나물, 감자 순으로 많았으며, 연구에서 확인된 기능성으로는 혈당조절, 간기능개선, 항산화기능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영양대사조절 분야에서는 주로 비타민과 무기질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임상영양 분야에서는 학술지에 따라『조선의학』에서는 경장(경구)영양, 『예방의학』에서는 식사요법 논문이 게재되는 특징을 보였다. 영양교육/상담 분야에서는 교육대상이 모두 환자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에서는 영양학 분야가 독자적인 학문으로 정립되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의 영양학 분야 연구에서 기능성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북한 주민의 영양상태조사나 영양교육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lected the articles related to nutrition from North Korean journa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journal and trend in nutritio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n North Korean nutrition studies. To find North Korean journals on nutrition, this study searched ‘Nutrition’ on journal search engine of NK Tech. Among the searched papers, this study re-selected papers related to nutrition studies. For the journal, 『Joseon Medicine』and 『Preventive Medicine』were selected as they contained the most papers about nutrition. Total of 370 papers related to nutrition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s for the study. Regarding the standard for classifying the papers, this study used 「National Science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journals generally replaced the introduction with the teachings of instructor. The papers were composed in the order of study subject, study method, study performance, conclusion, references, and English summary. Also, the papers were relatively short with 1∼3 pages and there were less than 5 references in average. Also, the papers hardly included citation mark for the reference. In addition, the papers generally demonstrated the successful results and the key words were suggested since 2017. Secondly, regarding the research trend for selected nutrition papers, papers on the functional food field took up 60.5% of the overall selected papers. The functional food field was followed by nutrition survey/evaluation/monitoring (13.5%), nutritional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food (12.4%), nutrition and metabolism control (7.6%), clinic nutrition (3.8%), and nutritional education/consultation (2.2%). The examination on characteristics of papers on each field demonstrated that number of papers for functional food filed rapidly increased since 2001. In the functional food field, lactobacillus was studied the most, followed up by selenium and ginseng. The most researched function was immunity function followed up by lipid improvement and antioxidant function. In nutrition survey/evaluation/monitoring filed, the papers focused on nutritional status evaluation method, nutritional standard setting, disease, and dietary life. Regarding the ingredients studied in nutritional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food, the papers focused on bean and soy products followed up by seaweeds, and potatoes. The papers examined the functions of glycemic control, liver function improvement, antioxidant function. Furthermore, in nutrition and metabolism control, the papers mainly covered vitamin and minerals. On clinical nutrition field, 『Joseon Medicine』mainly included papers about enternal nutrition (oral feeding) while『Preventive Medicine』included papers on dietic therapy. Also, in nutritional education/consultation field, the subjects for education were all patient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nutrition field is not established as the independent study in North Korea.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North Korean nutrition field is focusing on functional food while lacking research on nutritional status of North Koreans or nutritional education.

      • 국내 미디어교육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한경진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69

        한글초록: 현재에 와서 미디어교육이 사회적으로 주목받으며 구체화되어가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러한 때에 미디어교육의 방향을 올바로 설정할 수 있도록 그 간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연구의 토대를 만드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필요한 연구는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필요한 연구의 과제는 어떤 것인지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국내 미디어교육 연구의 경향’에 관해서는 그 연구가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가장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분석 유목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자료가 부족해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디어교육의 관련된 연구 논문을 수집하고, 그것들을 탐독한 후에 연구의 외형과 내형별로 구분지을 만한 의미있는 분석 유목을 직접 설정하였다. 대상 연구 논문은 국회도서관 학위논문자료 중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로 검색한 결과와 학회지 논문 중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로 검색한 결과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에서 학회지는 등재후보 이상의 것만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연구 기초사항을 비롯해 연구의 내용별로 총 11개의 분석유목이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분석 유목들은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분류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는 처음 소개된 1980년대 초를 기점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연구의 내용도 점차 세분화되고, 구체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 관련 분야에서도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을 많이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미디어교육의 연구가 특정 방법과 특정 대상, 매체에 한정되어 있는 것도 확인된 만큼 더욱 폭넓은 연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함께 연구를 해야 할 주변 분야, 예를 들어 정책과 관련된 분야 등의 연구가 다소 미흡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또한, 교육학 분야가 시도하는 연구가 ‘매체를 활용한 교육’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어서 미디어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합의가 도출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체로 특수대학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좀 더 심도깊은 학문적 연구를 위해 일반대학원의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연구를 위하여 학문적인 바탕을 위한 학위 과정의 개설, 서로 다른 전공 간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 합의, 다양한 대상을 포함하는 연구, 현실적인 주제 설정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의 필요, 시의적절한 이슈를 활용한 학술지 연구 활동, 현재 수행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필요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영문초록: Attracting public attentions in the current society, media education is in the process of its embodiment. At this point, it is highly significant to analyze the previous research trends,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nd provide the research ground in order to set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media education.Based on the above objective of this study, it aims to examine how the media educat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Korea, whether the necessary research is conducted appropriately, and what other research tasks are necessary from now on.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documents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There has been hardly any study on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media education. Thus, there was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useful materials for setting the categories of analysis, which is the most critical element of conducting this stu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theses related to media education, thoroughly read them and personally set the significant categories of analysis which are sufficient to classify external and internal categories of this study.The subjected research theses were obtained by entering the following key words in a search engine, 'media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for academic periodicals, and degree these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egarding the academic periodicals, articles above the registered reports were used a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Accordingly, together with the basic research points, total 11 categories of analysi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 each category of analysis was classified with a certain standar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made by SPSS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he number of researches on the media education in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80s, and the research contents tend to be more specialized and concrete. Meanwhile, there are more attentions on the media education in the education-related field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s on the media education are restricted to a specific method and specific subject and specific medium, so that a more diverse ranges of research should take place. In addition, the related fields of the media education, for example, the policy, are still insufficiently studied. Moreover, the research of the education field tends to focus on 'education using the medium,' thus, it is necessary to induce a general consensus for the media education. Researches are made mostly at the special graduate schools, however, the related research from the general graduate school should be made for a more profound academic research.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lternative solu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troducing a new degree course for the sound academic grounds, consensus of perception on the 'media education' among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a comprehensive research which includes various objects, necessity to set a realistic subject and present a specific plan, research activities on academic periodicals which utilize timely issues,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media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 국내 보건대학원 보건정책 전공자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하신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67

        목적 : 보건정책 전공자 및 전문가들이 연구의 중복을 피하고 필요로 하는 정확한 연구 자료를 얻기 위해 지금까지 수행되지 않은 학위논문의 경향성을 파악, 연구 지표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보건정책분야 연구 경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건정책분야 연구자 및 학위 수여를 위해 수학하고 있는 전공자들에게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 2003년에서 2010년 사이에 국회도서관에 납본된 보건정책 전공 석·박사 학위논문 원문 575건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보건관리연구(HSR) 분류체계를 적용,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학위논문의 타이틀(논제)에 사용된 키워드(단어)를 추출, 보건복지백서, 대통령업무보고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건정책 전공자의 575건 학위논문은 전체 보건대학원 학위논문 대비 25%를 차지하였고 연도별 비율은 2005년을 기점으로 일시적을 증가하였다. 분류항목과 적용 결과 16개 분류항목 전 영역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6개 대분류 항목에서 논문의 73%가 집중되었다. 연도별 논문수는 6개 항목에서는 지속적 발행 증가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10개 분류항목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4개 대학에서는 16개 분류항목 전반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 졌고 상위 6개 분류항목에 연구가 집중되었다. 575건의 타이틀(논제)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단어) 2,823개의 분석 결과 31개 키워드(단어)가 23%의 점유율을 가졌고 ‘영향요인’, ‘노인’, ‘환자’, ‘영향’, ‘만족도’, ‘관련요인’과 ‘의료이용’이 최다 빈도를 보였다. 이 중 5개 키워드(단어)에서만 연도별 사용 빈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보건복지부 백서에서 추출한 4개 키워드(단어), ‘고령화’, ‘국민건강보장’, ‘국민안전보장’, ‘저출산’과 대통령연두업무보고에서 추출한 10개의 키워드(단어), ‘고령화’, ‘보건의료산업’, ‘건강보험’, ‘의약분업’, ‘저출산’, ‘장애인’, ‘보험재정’, ‘노인요양보험’, ‘오송생명과학단지’,와 ‘간병서비스’를 2,823개 키워드(단어)와의 일치 및 사용 빈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과 ‘보험재정’에서만 일치 및 다빈도 사용이 관찰되었다. 결론 : 연구대상 학위논문 575건은 보건관리연구(HSR) 분류항목 전 영역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특정 분류항목에 편중되고 있었고 연구자들의 학위논문이 정부의 보건정책 흐름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학위논문 연구자들의 현실 참여적이고 책임 있는 논제 선택 및 연구가 필요하며 정부의 보건정책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Objectives : In order to avoid study overlap and to find accurate data, we need to study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al theses which no one has studied in Korea and to suggest 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olicy and researchers for research indicato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ffer the preliminary data on research trends of health policy and to suggest 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olicy and researchers for the advisable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 575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from 2003 to 2010 that selected from a legal deposit National Library in Korea were analyzed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which were developed by a former researcher. The keywords that were extracted from 575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from 2003 to 2010 were compared with the White Paper and the beginning-of-the-year task report of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sults : 575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hold 25% of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rticles have increased with time and three main research areas are health fro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 Korea. The average annual rate of increase was observed since 2005. The study on 16 item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was conducted without exception and some studies focused too much on 6 items (73%)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SR. It finds that the annual number of theses showed a rising tendency in 6 categories except 10 categories. At 4 graduate schools in Korea Studies on 16 item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SR have conducted without exception and some studies focused on 6 top rank items. Results of analysis of 2,823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of 575 papers showed that 31 keywords hold 23% (641) and 6 words (‘influencing’, ‘old’,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factors’ and ‘using medical services’) were top ranke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t finds that the annual increasing use of words was observed in 5 word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6 words. Analyzing 4 keywords (‘aging’, ‘national health assure’, ‘national security assure’ and ‘low birth rate’) extracted from the White Paper and 10 keywords (‘aging’, ‘health care industries’, ‘health insurance’, ‘separation of dispensing and prescribing function’, ‘low birth rate’, ‘the disabled’, ‘fund insurance’, ‘Long-Term Care Insurance’, ‘Osong Bio-Health Science Technopolis’ and ‘nursing service’) extracted from the beginning-of-the-year task report with 2,823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of 575 papers indicated that ‘old’ and ‘fund insurance’ were used frequently. Conclusion :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y on each item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was conducted without exception but some studies focused too much on specific item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SR. And the paper found that theses have not reflected the Korean government’s health policy. These findings suggest 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olicy and researchers should find and study subjects reflecting fields of the government’s health policy and needs of Korean society.

      • 보건의료분야 연구주제 및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 -암유전체, 대장암, 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장혜란 충북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목적: 본 연구는 보건의료분야의 연구주제와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보건의료분야 연구주제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외 연구주제를 시계열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보건의료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영역과 전문연구자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는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MeSH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Oncogene’을 주제로 하는 논문을 추출하였고, 교신저자 소속이 한국인인 논문을 분리한 후 추출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소속기관을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Center for Disease Control,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of Korea로 제한 검색하여 추출된 논문의 키워드로 미국과 한국의 국가기관별 연구주제 네트워크를 비교하였다. 연구자 분석은 ‘Colorectal Neoplasm’과 ‘Influenza’를 주제로 하는 논문의 한국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사회네트워크 분석 기법 중 가중치가 부여된 연결정도 중심성을 적용하여 연구주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시기별로 나누어 연구주제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연결정도 중심성과 사이 중심성을 적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결과: 암유전자의 경우 ‘Genes, ras’와 ‘Apoptosis’, ‘Signal⃆Transdction’ 등이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은 핵심키워드이며, 시기별로는 ‘antineoplastic Agents’, ‘Prognosis', ‘Tumor Markers, Biological’ 등 암유전자를 대상으로 치료 및 진단, 예후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졌다. 연구기관의 경우 미국 CDC는 ‘Risk Factors’, ‘HIV Infection’이 미국 NIH는 ‘Risk Factors’, ‘Sequencing Analysis’ ‘Brain’ 등이 핵심키워드이나 한국의 경우 ‘Polymorphism, Single Nucleotide’와 ‘Sequencing Analysis’가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은 핵심 키워드였다. 시기별로 관찰하면 모든 기관에서 ‘Sequencing Analysis’는 중심성이 감소되나 미국의 경우 두 기관에서 ‘Risk Factor’의 중심성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었으며, NIH는 ‘SNP’ ‘Cell Line, Tumor’가 CDC는 ‘Prognosis, ‘HIV Infections’ 등의 연구가 활발해졌다. 연구자는 대장암의 경우 국립암센터를 포함하여 4개의 대형병원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인플루엔자는 국립보건연구원이 대학과 민간기관을 연결하며 공동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결론: 암유전체 연구주제 네트워크와 선행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연구흐름에 대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으로 각 질환의 연구단계가 확인된다면 다음 단계의 연구진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으로 질환별로 특성 있는 연구기관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중요한 연구개발사업이나 국가적 위기 대응 시 전문가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Health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is an important area to leading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trends for health technology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 network to deduce a research front. Researcher network is generated for exploring professional researchers. Method: Papers were extracted PubMed database using MeSH for studies on ‘Oncogenes’ and further categorized as papers published by Korean; Papers published by NIH, CDC and KNIH were extracted and compared nationally. Research network was analyzed by Degree centrality bas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ransition of research subjects was analyzed by the time series.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Colorectal Neoplasm’ and ‘Influenza’ were analyzed b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above. Results: On ‘Oncogenes’; ‘Genes, ras’, ‘Apoptosis’, ‘Signal Transduction’ were the high degree centrality and currently ‘Antineoplastic Agents’, ‘Prognosis’, and ‘Tumor Markers, Biological’ were widely conducted. High degree centrality keywords by institutes differed; CDC ‘Risk Factors’ and ‘Prevalence’; NIH ‘Risk Factors’, ‘Sequencing analysis’, ‘Brain’ and etc.; in Korea ‘Polymorphism, Single Nucleotide’ and ‘Sequencing analysis’. National Cancer Center and 4 major hospitals comprised of the researcher network in 'Colorectal Neoplasms'. In the case of Influenza, KNIH, universities, civillian institution form a communal network. Conclusion: Consistency of research trend pattern was found by analyzing oncogene network with compromised to previous ones. Analyzing various keyword networks in each disease will allow us to predict the research progress and propose rationalae of research & developmental Strategy. Analyzing researcher network, evidence based expert domain group was explored and action plan can be set up for public health crisis nationwide and R&D Strategy.

      • 재한 유학생에 대한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분석

        양효방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4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급속히 진행되어온 재한 유학생에 대해 전반적인 연구흐름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선행연구에서 보여지는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의 연구과제가 무엇인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데 후속적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주된 연구방법으로 하였으며, 현장인터뷰를 보조적으로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2001년에서 2010년 사이에 연구되었던 유학생을 주제로 다룬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들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논문 선정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사이트(RISS)를 이용하였으며, 검색 키워드는 ‘유학생’과 ‘재한 유학생’으로 정하였다. 문헌자료의 수집과 분석 기간은 2011년 6월 중이다. 현장인터뷰는 현재 대학에서의 유학생 실제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유학생관리인원 총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하게 된 이유는 유학생에게 존재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제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현장에서는 어떤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이를 참고로 대조·종합하여 향후 보다 실용성 있는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뷰는 2011년 8월 20일에 진행하였으며, 현장노트 기록의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 국내 무용상해 관련 연구경향 분석: 1982~2021

        이정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4

        본 연구는 198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 되어온 무용 상해와 관련된 연구물의 주요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연도별, (2)연구목적(상해경험과 발생요인, 상해예방과 대처, 재활과 치료, 복합, 상해의 영향), (3)무용장르(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혼합, 실용무용), (4)연구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4)-1.연구방법(실험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 문헌분석, 혼합연구, 미분류), (4)-2.연구대상(유형, 성별), (4)-3분석방법(양적연구 분석방법, 질적연구 분석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무용 상해 관련 연구물은 총 143편으로 조사되었으며 석사학위논문 83편(58%), 학술지 45편(31.5%), 박사학위논문 9편(6.3%), 미분류(4.2%) 순으로 나타났다. 상해를 다룬 논문은 1991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면서 1996년부터는 석사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연구목적을 보면 상해경험과 발생요인(42%), 상해예방과 대처(30.8%), 복합(14.7%), 상해의 영향(7.0%), 재활과 치료(5.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장르를 보면 혼합(47.6%), 발레(24.5%), 실용무용(13.3%), 한국무용(6.3%), 현대무용(5.6%), 미분류(2.8%)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목적별 무용장르에서 상해경험과 발생요인, 복합, 상해예방과 대처, 심리적 영향 순으로 모두 혼합(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재활과 치료와 관련된 연구물은 발레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에서 연구방법론을 분석한 결과 양적연구의 조사연구(65.7%), 실험연구(18.9%), 미분류(8.4%), 문헌분석(3.5%), 사례연구(2.8%), 혼합연구(0.7%)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목적별 연구방법에서 상해경험과 발생요인(42%), 상해예방과 대처(30.8%), 복합(14.7%), 상해의 영향(7.0%) 순으로 조사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재활과 치료는 실험연구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대상을 보면 대학생(43.4%), 중·고등학생(16.8%), 직업무용수(14.7%), 미분류(13.3%), 복합(11.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연구목적에서 대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대상의 성별을 보면 복합(46.9%), 여자(36.4%), 미분류(14.7%), 남자(2.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목적별 연구대상의 성별을 보면 상해경험과 발생요인(31편), 복합(15편), 상해의 영향(9편) 순으로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해예방과 대처(24편)는 여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재활과 치료에서는 복합(남녀)와 여자가 각각 3편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방법별 자료분석기법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한 가지부터 5가지 분석기법을 적용한 연구들이 나타났으며 전체 143편 중 미분류 21편을 제외하고 총 223개의 분석기법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서는 내용분석(3.3%)만 사용되었고 귀납적 범주분석은 사용되지 않았다. 양적연구에서는 빈도분석(29.1%), t-검증(14.7%), 변량분석(12.7%), 회귀분석(9.0%), 교차분석(6.1%) 순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연구에서는 내용분석(8.6%)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research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dance injury that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from 1982 to 2021. It was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and purpose. (1) By year, (2) Research objectives (injury experience and causes, injury prevention and coping,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combination, impact of injury), (3) dance genre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mixed, (1) By year, (2) Research objectives (injury experience and causes, injury prevention and coping,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combination, impact of injury), (3) dance genre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mix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an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43 studies related to dance injury in Korea were surveyed, followed by 83 master's thesis (58%), 45 academic journals (31.5%), 9 doctoral thesis (6.3%), and unclassified (4.2%). The number of dissertations dealing with injury gradually increased from 1991, and the thesis for master's degree and thesis in academic journals began to increase rapidly from 1996. Second, a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jury experience and causes (42%), injury prevention and coping (30.8%), combination (14.7%), injury effects (7.0%), and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5.6%)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order. Third, in terms of dance genres, mixed (47.6%), ballet (24.5%), practical dance (13.3%), Korean dance (6.3%), modern dance (5.6%), and unclassified (2.8%) were in order. In the dance genre for each research purpose, mixed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occupied a high proportion in the order of injury experience and factors, complex, injury prevention and coping, and psychological influence. However, in research related to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ballet occupied a higher propor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65.7%), experimental research (18.9%), unclassified (8.4%), literature analysis (3.5%), case studies (2.8%), mixed research (0.7%) appeared in order. In the research method for each research purpose, injuries experience and incidence factors (42%), injury prevention and coping (30.8%), complex (14.7%), and the effects of injury (7.0%)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order of the research studies. However, experimental studies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of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Fifth, as for the study subjects, college students (43.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6.8%), vocational dancers (14.7%), unclassified (13.3%), and complex (11.2%)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order. For all research purposes,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was high. Sixth, the gender of the study subjects was in the order of composite (46.9%), female (36.4%), unclassified (14.7%), and male (2.1%). In terms of the gender of the study subjects by study purpose, the study of men and women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injury experience and causes (31 pieces), complex (15 pieces), and the effects of injury (9 pieces). Thatcher (24 episodes) was higher in women. In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there were 3 episodes of complex (male and female) and female each. Seventh, as for data analysis techniques by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ies that applied from one to five analysis methods were found, and a total of 223 analysis methods were used, excluding 21 unclassified pieces out of the total 143 pieces. In qualitative studies, only content analysis (3.3%) was used,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not used. In quantitative studies, frequency analysis (29.1%), t-test (14.7%), variance analysis (12.7%), regression analysis (9.0%), and crossover analysis (6.1%) were used in this order. In the mixed study, only content analysis (8.6%) was found to be used.

      • 일본군 종군위안부 연구경향 검토 및 평가, 2007-2016

        구본웅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article will examine and evaluate the Research Trends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Wianbu) through reviewing the article abou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Wianbu) among 2007-2016. Through this work, This article wants to achiev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derive attainment and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Supplement previous research result. Since 1990, There are only two studies about the trends. However, there are some shortcoming. One was only to analyze history sector and the other was published long a time ago. So, This study seeks to supplement insufficiency what previous study have. Second, Recently, the research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conducted based on political science. So, Need to prove how and why does it. Actually,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treated as current issue of diplomacy. At 2011,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p was adjudged tha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was not contained in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n, Either Japan and Korea government, until academic world, handle this issue as a political issue. So,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at is really is it. Third, Have to classify and systematize sector and theme. Recent studies were conducted by various researcher and were based on various sector. But, there are no one things which classify and systematize sector and theme. So, This study seeks classify and systematize sector and theme. Through this work, expected to suggest standard point about classification. Finally, To derive attainment and limitations, through tendency analysis. Tendency analysis have an advantage to suggest what is Direction and task. So, Through this work, expected to suggest what is our Direction and task. As a result, this article concluded it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 can classify them into 5 Main categories and 17 Middle categories. This classification will help for new researchers. Second, In the past decade,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examine this issue through view of actor-centered. This means that this issue be dealt with political issue. Third, Various research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Especially, There are many advanced in history awareness sector. Many Researchers explore actors inner side who civil campaigner, politician, etc, through interview and reviewing documents. Finally, We have to do new attempts in responsibility sector. For a long time, In these sector, there are a little advanced. Just, We repeated a similar argument that this issue should have been handled with hum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