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교감이 역할수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갈등 연구

        최지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importance of education has never been changed in all ages. Since parents have less children and higher education level than in the past, concerns for their child’s education and schooling are increasing, and the role of school administrators are being emphasized. Precedent studies, therefore, have been done on the role and leadership of principal who is responsible for final decision making and has the greatest authority in school. Whereas, too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vice-principal in comparison with teachers as well as principal. Existing precedent studies of vice-principal include their adaptation process;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job; and their perceived conflicts. However, those studies have limitations that the samples are localized in certain area and the studies focus only on role performances and conflicts of vice-principals. For this study, I selected samples among vice-principal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s well as regular schools in a wider range of areas, which would lead the limitations to be overcome. I also performed interviews with eight vice-principals in service from four different areas. Before the interviews, the questionnaires were finalized following the confirmation of the advisory panels, and each interview took place when and where interviewee wanted for 1 to 1.5 hour. All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and the data transcribed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subject over three sessions. Through this study, three main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ree major role of vice-principal were perceived by themselves. The interviewees answered one of their role was to take care of and embrace school staff and members just like mothers do to their child. They also regarded their role as being a first person who recognize and solve any potential problem from school. And the last thing perceived as a role was to be an influential leader who could contribute to school development. Second, there existed difficulties and conflicts that vice-principal experienced during their job performances. Most interviewees answered they had been or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and conflicts while starting or maintain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staff or members. They were likely to make efforts to resolve conflicts with master teachers an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ffice staff, Teachers Organization and students. Although they had difficulties and conflicts in the process, they also had skills for positive relationships. Difficulties and conflicts also included ones from structural problems. For example, they often had difficulties to do their job because they did not have as much authority as principal does. In addition, multiple vice-principal system which was adopted in order to reduce their tasks even caused conflicts between the vice-principals. I also identified problems of vice-principal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where there were not only teachers of general subjects but also teachers of specialized subjects. Another difficulty was to manage job descriptions and human resources whic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core task of school administrative works and evaluated as being distressed by vice-principals. Complaints from outside of school were generally handled by vice-principal, and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principal and teachers was another job of vice-principal as an intermediate manager, which also caused difficulties. Lastly, I identified what caused these problems which included lack of ties between vice principal and principal, lack of authority of vice-principal and lack of opportunitie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raining programs. In addition, lack of systematic support for relationships between vice-principal and other school staff and members was another cause. I,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uggest three of solution plans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of role performances by vice-principal. The first is to grant them appropriate authority; the second is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or workshops regularly which would help them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s; and the third is to clarify the role of vice-principal and build up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교육의 중요성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으며 자녀수가 줄어들고 학부모의 교육배경이 좋아지면서 자녀의 교육과 학교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학교관리자의 중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학교의 최종 결정권자이며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있는 교장의 역할, 교장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은 반면 학교의 살림을 도맡아 하는 교감에 대한 관심은 교장이나 일반교사보다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교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1) 교감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2) 교감 역할과 교감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3) 교감의 갈등에 관한 연구 등이었다. 하지만 많은 연구가 특정 지역 교감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일반 학교 교감들의 역할 수행이나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지역과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교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현재까지 진행되었던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해 보려 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4개 지역에서 근무 중인 8명의 교감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실시 전, 자문단의 확인과정을 거쳐 면담 질문지를 확정하여 면담 대상자가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1시간에서 1시간 반 씩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후에는 녹취한 자료를 전사를 통해 내용을 정리하였고 3차에 걸쳐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인식하는 교감의 역할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면담에 참여한 교감들은 학교구성원을 보듬어주고 구성원을 감싸는 어머니 역할을 교감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학교구성원이나 외부 사람들보다 가장 먼저 학교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교감의 역할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와 학교구성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영향력 있는 리더가 되는 것도 교감의 역할이라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교감 역할 수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갈등에 대한 경험이다. 면담에 참여한 교감은 구성원과 긍정적인 관계 맺기 및 유지하기에서 어려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일반 교사와의 관계 형성, 수석교사와의 갈등, 행정실 및 교직단체와 긍정적인 관계 맺기, 학생들과 관계 맺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어려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원만한 관계를 맺는 노하우도 가지고 있었다. 구조적 문제에서 오는 어려움과 갈등도 존재했다. 교장만큼의 권한이 없어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교감의 업무를 덜어주기 위해 도입된 복수교감제가 오히려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일반교과와 전공교과 선생님들이 함께 근무하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만 경험하는 교감의 어려움과 갈등도 볼 수 있었다. 역할분담과 역할수행 과정에서도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는데 학교의 가장 크고 중요한 ‘업무분장과 인력관리’는 교감이 고통스럽게 수행하고 있는 업무였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민원은 교감이 대부분 담당하여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 많았고 중간관리자로서 교장과 교사 사이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현명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경험했다. 셋째, 교감이 역할 수행에서 경험하는 갈등과 어려움을 확인하였고 이를 야기하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교장과의 유대 부족, 교감의 권한 부족, 교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등의 교육 콘텐츠와 기회 부족이 있었다. 구성원과의 긍정적인 관계 유지를 위한 제도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원인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감 역할 수행 상에 어려움과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교감에게 적절한 위임과 권한부여가 필요하며 교감이 문제없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수나 워크숍을 주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교감 역할의 명확화 작업과 제도적 지원체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조직 내 역할요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되어 있는 한국전력기술(주)(이하 ‘한기’)를 대상으로 한다. 한기의 주요 기능인 원자력 및 플랜트발전소 종합설계는 고도의 기술·지식 집약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타 산업 대비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성 및 중요도가 월등히 높다. 따라서 한기의 경우,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 또는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이 인사관리 정책상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며,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이 가장 대표적인 직무스트레스 예방 또는 조절변인으로 연구되어 왔다. 또한, 발전소 종합설계는 다양한 기술분야 간 긴밀한 연계성과 산출물의 상호의존성이 높아 해당 기술분야 간의 유연한 정보교환과 기술조정 등을 위한 자발적 협력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런 측면에서 한기로서는 작업단위 간의 상호의존성을 관리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그 결과 집단적성과(collective outcomes)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고자 하는 높은 유인동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한기 종업원이 지각하는 조직 내 역할요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사이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혀냄으로써, 향후 한기의 인사관리를 위한 정책개발 및 적용에 있어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2016년 1월 1일 현재 한기에 재직 중인 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12부를 회수하고 불성실 응답지 16부를 제외한 후, 396부를 최종 실증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한 도구로서는 범용 통계패키지인 SPSS(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를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과 Cronbach’s α계수를 활용한 내적일관성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성과 다중공선성 식별 등을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인 조직 내 역할요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역할갈등·역할모호성·역할과부하)와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과의 인과관계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그리고 사회적 지원(상시지원·동료지원)의 조절효과는 위계적 조절회귀 분석방법으로 검증하였으며,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직급, 직종, 근속기간 등 7개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변수를 통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기 종업원들의 경우 최종학력은 높을수록 그리고 개인주의 성향은 낮을수록 조직시민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독립변수로서는 역할모호성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역할갈등·역할모호성·역할과부하 3개변수 모두가 상사지원의 수준이 특정 임계값 이하인 상황에서는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그 이상인 상황에서는 부(-)의 조절효과를 보여주었고 한편, 동료지원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원에 관한 주된 선행연구 결과와 대치되는 것으로서 직무스트레스의 순기능적 측면과 상사지원의 역완충효과를 지지하는 실증분석 사례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문엔지니어링 공기업인 한기에 있어서 인사관리 정책상의 시사점과 그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관리방안 수립 시 특히 종업원들이 지각하는 역할모호성을 낮추기 위한 특화된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종업원들로 하여금 자신에게 기대되는 역할범위, 수행방법, 권한과 책임의 정도, 관련 비용과 편익 등에 대한 충분하고 명확한 정보전달과 피드백이 제공되어야 하며 목표관리제(Management By Objectives, MBO) 등을 활용하여 종업원 각자의 역할수행이 조직에 어떠한 기여를 하게 되는지에 대해 인식과 공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둘째, 상사의 과도한 개입과 지원노력이 역할요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우선, 상사지원이 종업원의 고유한 전문적·기술적 판단과 자율성을 제약하거나, 복수의 지휘명령체계 하에서 다른 상사와의 지휘명령계통에 대한 위협요인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 지휘명령계통을 최소화하고 한명의 종업원에 관계된 복수의 상사 간의 사전적 역할조정, 간섭사항 해소 등을 통해 역할요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사전에 예방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요구되며 그 외에도 상사지원이 조직·상사에 대한 신뢰와 정서적 친밀감 또는 감정적 애착을 갖도록 하는 촉매제로서 기능하도록 기업문화적 측면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와 그 결과 등에 대한 연구대상을 전문엔지니어링 공기업으로 그 외연을 확대 하였다는 점과 특히, 한기와 같이 그 역할의 수행에 있어 전문적 지식이나 높은 수준의 기술적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사회적 지원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의 주된 결과와 달리 상사지원의 역완충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우선은 연구의 대상이 한기 1개 기관으로 한정되어 실증분석 결과를 민간 및 공공영역 내의 전체 엔지니어링 업체로 확대하기는 곤란하다는 점과 설문문항의 구성에 있어, 조직시민행동을 제외한 변수의 측정은 국외연구자가 민간영역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를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공기업의 특수성에 따른 조직행태 등에 대한 차별적 지각요인 등을 제대로 반영하는 데에는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정변인 또는 매개·조절변인 등을 체계적으로 통제하는데 있어서의 부분적 미흡함이 독립·조절변수의 면밀한 영향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일정한 제약조건이 되었음을 밝힌다.

      • 役割葛藤, 役割模糊性과 職務態度와의 關聯性 硏究 : 職位變數의 役割을 中心으로

        전병하 忠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807

        Role conflict and ambiguity exists Where employees are Confronted with expectations in their Jobs. Role conflict, by definition, involves an in Compatibility between Job tasks, resources, rules or policies, and other people. Conversely, role ambiguity encompasses a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job role for the individual with regard to uncertainty between role requirements and sel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performance. that is,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s an obvious source to strain and frustration and can create poor employee attitude, in turn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job attitude: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has an each positions : And to evaluate how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job attitude varies among position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theis wa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RI- ZZO to analyze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n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ODAHL and KEJNER, BRAYFIELD and ROTHE to analyze job attitude. The data was translated into Computer. Input using the SPSS package and analyzed using Simple Frequency, Person Correlation, ANOVA TEST, t-TES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business occupation. Business occupation is divided into subgroups which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They are sex, age, education level, types of occupation, Tenure of Present job, position. In result, the study could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ole conflict, ambiguity and job attitude. Secondly, the low position is related to the hig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Thirdly, in the study, Correlations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he low position is related to the high negative correlation. also, according to cor- relations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the high position is related to the high negative correlation. While every job has the inherent potential for stress and conflict, Managers must be their best to minimize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order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long run, Some of methods are commonly used to solve the problems. They are Role Playing, Sensitivity Training, Team-Building, M-B-O, Self Management, and Career Development.

      • 역할과 직무 특성이 직무 만족과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종임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성 역할 지각과 직무의 성 특성 일치수준, 그리고 양성성 이 직무만족 수준과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J시의 G 대학병원 간호사, 시청 공무원, 초등학교 교사 및 교육청 직원, 공기업 및 S시의 대기업에 종사하는 사원들을 포함하는 전체 600명이었다. 조사를 위해서 제작된 질문지를 이들 600명에게 배부하여 510부(회수율 85%)를 회수했다. 회수된 질문지 가운데 반응이 잘못되었거나 쓸 수 없는 것을 제외한 466부를 분석자료로 삼았다. 이 조사연구를 위해서 성 역할 지각, 직무의 성 특성, 직무만족, 경력태도, 그리고 응답자의 인적사항을 묻는 문항들을 포함하여 총 192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질문지 문항들에 대한 반응을 요인분석하여 질문지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했다. 이 요인분석에 의해서 추출된 요인들을 구성하는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ronbach의 Alpha계수를 산출했다. 질문지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한 검증 결과는 만족스러웠다. 요인분석결과 직무만족은 회사의 제도와 운영, 보수, 개인 성장과 발전, 상사의 지도력의 4개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었다. 경력태도는 경력관리에 대한 정적 태도, 업무 부담, 작업 동기, 역할갈등, 경력관리에 대한 부적 태도의 5개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통계프로그램 SAS 8.0 for Win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정리했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기초자료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산출했다. 질문지의 구성의 타당도 및 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요인분석 및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했다. 요인분석은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했고, 축 회전은 Varimax법을 적용했다. 그리고 개인의 성 역할 지각과 직무의 성 특성 일치도는 성 역할 문항과 직업 특성에 대한 각 대응문항에 대한 반응차이의 절대값을 이용하였다. 성 역할 지각과 직무의 성 특성 일치 도를 상·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또한 이 집단들에 따른 직무만족과 경력태도에서의 차이는 Student의 t-test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성 역할 지각과 직무의 성 특성이 일치될수록 직무에 대해서 더 만족하고 경력태도 역시 더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로써 연구가설 1이 지지되었다. 둘째, 성 역할과 직무특성이 일치되는 남성성이나 여성성 보다는 양성성을 지닌 개인이 직무에 더 만족하고 경력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를 얻었다. 결과에 의하면 성 역할과 직무특성의 일치도가 높은 남성이나 여성보다는 양성성을 소유한 개인이 직무에 더 만족했고 경력태도 역시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양성성을 지닌 남성에 비해서 양성성을 지닌 여성이 직무에 더 만족하고 직무태도 역시 더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양성성 남자집단과 양성성 여자집단을 비교했을 때, 다른 직무만족 측정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남자집단에 비해서 여자집단이 작업동기 수준은 더 높았고, 경력에 대한 태도는 더 부정적이었다. 이 결과에 따라서 개인의 직업선택이나 경력개발 및 직장조직 인사실무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들을 모색했다. 그리고 이 연구의 한계성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들에 대해서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congruity between individual's perception of sexual role and sexual characteristics of job, and the social desirable type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600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participated. They were nurses of G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municipal office work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 department staff, and employees working for public enterprises and major corporations in S City,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these 600 subjects and 510 were collected with answers (85%). Among those collected, except the ones with inappropriate responses or unusable, 466 were used as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92 items including sexual role perception, sexual characteristics of job, job satisfaction, career attitude and the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was constructed. By factor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these items, the constructive validity was inspected. To test reliability(or internal consistency) of items measuring each factors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The constru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satisfactory.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was consisted of 4 factors such as 'system management of the company', 'compensation', 'individual growth and improvement' and 'leadership'. 5 factors of work attitude were extracted such as 'positive attitude towards career management', 'work load', 'work motivation', 'role conflict', and 'negative attitude towards career management'. Statistical program SAS 8.0 for Win was used for data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sed 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Basic data for responses to items were calculated by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And for congruity of individual's sexual role perception and sexual characteristics of job, absolute value of differences in responses to each corresponding items regarding sexual role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used. The congruity level of sexual role perception and sexual characteristics of job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Students t-test was used to test differences of means between two group in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Hypothese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Upper group in congruency of the individuals sexual role perception and sexual characteristics of job was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had more positive career attitude than the lower. Thus, research hypothesis1 was supported. Second, Hypothesis 2 which supposes that higher masculine or feminine in upper group of congruity between sexual role and job characteristics than social desirable type will be more satisfied with job and positive in career attitude, had gained support. Third, Hypothesis 3 for this study was that female with social desirable type than male will be more satisfied with job and have more positive career attitude. By results of this study, hypothesis3 was partly supported. Social female with social desirable type than mal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of job satisfaction. However, compared with male, female had higher level of work motivation but ha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career management. From these results, suggestion points were presented for individual's choice of a job, career development, and personnel selection for organizations. Also,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 한국 뮤지컬 음악감독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정민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1950년대 말 이후 50여년 가까이 새로운 뮤지컬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는 한국 뮤지컬은 2000년 이후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급성장을 이뤄내고 있다. 계속해서 빠르게 성장하던 한국 뮤지컬 시장은 2008년 주춤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을 많은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와 더불어 그동안 과잉 경쟁으로 치솟았던 거품이 빠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뮤지컬 시장이 발전되면서, 소수의 인원으로 작업이 진행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모든 분야에서 팀을 이루고 있는데, 음악 분야 또한 각 음악감독들이 각자 자신의 팀을 구성하여 작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국 뮤지컬의 작업 초반, 음악감독에 대한 개념조차 인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역할을 세분화 시키지 않고 음악에 관련된 모든 일들을 음악감독이 혼자 처리 해 왔던 것처럼, 현재도 한명의 음악감독이 한두 명의 자신의 팀원들과 모든 일들을 나누어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논문은 뮤지컬 시장이 과도기로 여겨지고 있는 현재, 한국 뮤지컬의 제작 중심에 서서 작품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 음악감독들이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현재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음악감독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짚어보았다. 한국 뮤지컬 음악감독은 초반 작업인 대본과 음악을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작품 분석과 구상, 배우들의 음악 연습과 오케스트라 연습 과정을 거쳐 작품이 무대에 오르고 막이 내리는 그 순간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한다. 외국은 음악감독 이외의 음악 슈퍼바이저나 보컬 코치, 지휘자 등의 다른 음악 스텝들에 의해 나뉘어 일이 진행되는 것에 비해, 한국 뮤지컬 음악감독은 한두 명의 음악 조감독, 리허설 피아니스트와 팀을 이루어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음악감독은 작곡가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일한 음악 스텝이기 때문에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수들을 대처하고, 또한 이러한 상황들을 혼자 책임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라이센스(License) 작품 작업을 많이 하는 한국의 상황 상, 오리지널 외국 스텝과 함께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각색 작업 등은 한국의 현지 음악감독이 참여하고 있으며, 짧은 한국 뮤지컬 역사로 인해 전문 뮤지컬 작곡가나 작가의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국의 뮤지컬 음악감독은 그 누구보다 주도적으로 모든 과정의 작업을 진행해 나간다. 이러한 음악감독의 역할은 예를 들어 댄스 뮤지컬의 경우, 안무를 더 중요시해야하는 이러한 작품의 스타일에 따라서 결정되기도 하고, 또는 작가, 작곡가 그리고 연출가가 누구냐에 따라서 결정되기도 한다. 신인 작곡가나 작가의 경우는 음악감독이 대본과 음악을 완성해나가는 단계부터 더 많은 역할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음악감독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 작곡, 편곡, 가사 작업 등의 참여들로 음악감독의 역할이 결정지어지기도 한다. 현재 한국의 뮤지컬 음악감독들은 작업 상황에 맞추어 자신의 영역을 주로 넓혀 나가며 작품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국 뮤지컬이 더 발전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는 음악 분야도 더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감독들의 창조적인 역할에 대한 저작권의 개념과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역할의 세분화에 따른 분업화가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는 뮤지컬 음악감독을 비롯하여 뮤지컬 음악 분야에 대한 서적이나 자료들조차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전문 인력 조성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앞으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들이 조성되는 데에 본 논문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역할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일반학생을 중심으로

        김성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다문화 사회에 살아가고 있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역할 놀이라는 방법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되는가」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적용되는가」 셋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학생에 다문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로 정하였다. 본 연구는 6차시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틀을 잡았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다문화 가정 자녀가 없는 일반 학급의 학생 6학년 2학급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영역은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개방성, 다문화적 공감 네 영역이다. 6차시 분량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마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으로 SPSS 12.0 (Ver.) 프로그램을 활용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의수준 0.000(p<0.0001)의 높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효과적인 역할놀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를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역할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기존에 개발되어 왔던 다른 교육 방법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소기의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역할놀이 방법이 초등학생에게 자발적이고 참여적인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하고 체험적인 활동을 통해 다문화적 역량이 증진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제 다문화교육은 소수자를 위한 적응 교육의 차원이나, 전시적이고 관념적인 수준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하여 적극적이고 체험적인 교육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6차시 분량으로 개발되었으나 6차시의 시간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다문화적 태도를 향상시키기에 매우 부족하다. 특히 다문화에 대한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개별화된 내용과 충분한 학습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역할 놀이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므로 역할 놀이 학습 방법에 대한 교사의 적절한 배경지식과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좀 더 나아가 다문화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효능감이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교실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교육과정에서 다문화 교육에 관한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커리큘럼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가적 수준의 활용 지침이 요구된다.

      •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We must pay attention to senescent marriage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elderly. The reason why the elderly depend on their spouses than anyone else is to satisfy their emotional desires like love or the meaning of life. The harmonious conjugal adaption can be a major factor that gives them individual satisfaction or ego-integrity in the last step of their life. And the quality of senescent conjugal relations will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senescent life as the continued extension of senescence. Under the perception of senescent conjugal problems in such modern society,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by verifying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escent conjugal relation factors. For this, i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attitude,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the namely, come up with measur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can improve senescent conjugal relations by inquiring into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jugal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analysis of the effects on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carried out, summarizing detailed results as follows.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sex for a hypothesis 1-1 -- Is there a difference in sex-role attitud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women have a higher perception of the sex-capacity and -role difference than men. Meanwhile, the preception of the elderly for sex-role attitude showed that for general sex-role attitudes,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under the age of 64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age of 65-69, and over the age of 70, which the high age decreases the understanding of sex-role attitud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nder 2 survival childr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4 survival children, and over 5 survival children, which the low survival children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sex-role attitud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3 cohabiting famil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2 cohabiting families, and 1 cohabiting family, which the many cohabiting familie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sex-role attitude, and the long marriage period decreased the general sex-role attitude and sex-capacity perception. The high academic background increased the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and the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who have a job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who have no job. Second,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leeping in separate bedrooms for a hypothesis 1-2 -- Is there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all groups such as general communication, the elderly of close relationship, the elderly of passive relationship and the elderly of exclusive relationship,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who don't sleep in separate bedrooms is more active than in the elderly who do sleep in separate bedrooms. For academic background,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 was most active, followed by middle school graduate, and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e. For the elderly of close relationship,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under middle school graduate was most active, followed by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 and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e. Third,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age for a hypothesis 1-3 -- Is there a difference in sexual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the general sexu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in the age of under 6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 the age of 65-69, and in the age of over 70. This phenomenon showed same results in all positive propensity, relationship retention propensity, passive propensity and dissatisfaction propensity groups, which the high age decreased the sexual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of 1 cohabiting famil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 the elderly of more than 3 cohabiting families, and in the elderly of 2 cohabiting families, which living together with a great number of children could improve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healthy elderly could have a high sexual satisfaction. Fourth,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leeping in separate bedrooms for a hypothesis 2 -- Is there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the general marital satisfac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ho don't sleep in separate bedrooms is higher than in the elderly who do sleep in separate bedrooms, which the healthy elderly and the elderly who have a job can have a high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lderly of high academic background could have a high marital satisfaction. Fifth, basic models were designed for hypothesis 3 test to use Chi-square, CFI, TLI and RMSEA for the evaluation of the their fitness, which the their fitness was good. For the pa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factors and between each sub-factors(p<0.01, the sex-role attitude was p<0.05). The path coefficient test showed that a hypothesis 3 is suppor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f senescent marital lif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firming that it is important to perceive the male/female role and capacity caused by sex differences in their daily life for their happy marriage until senescence. The additional hypothesis test using modified mediation models for a hypothesis 3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is significant in the path coeffici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ogenous variables and endogenous variables in modified mediation models(p<0.05), while the sex-role attitude are not significant. A hypothesis 3-1 -- the marital satisfaction will depend on the sex-role attitude -- was rejected, and a hypothesis 3-2 -- the marital satisfaction will depend on the communication -- was supported. A hypothesis 3-3 -- the sexual satisfaction will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 was also supported. Sixth,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the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were come up with, and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which are finally applied to this study using the modified exponential models, were designed by additionally putting the parameters, sexual satisfaction variables into basic models to build the mode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tness of modified mediation models and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hi-square value, significance probability, CFI, TLI and RMSEA are 195.251, 0.000, 0.836, 0.757 and 0.120, respectively, which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are generally fit. In other words, the fitness of modified mediation models was more improved than that of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A hypothesis 4 predicted that the sexual satisfaction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 analysis of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0.724 and 0.482) is most important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sexual satisfaction(0.355). Analysis showed that the sex-role perception and conjugal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have an impa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sexual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And the communication had priority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which a conjugal active conversation was a top priority for their happy marriage through good conjugal relations in the twilight years of their life. Seventh, the effects such as the indirect, direct and total effects between variables showed that a dependent variable, marital satisfaction receives a direct effect of 0.891 from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0.143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05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and indirect effect of 0.019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737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And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received a direct effect of 0.021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827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Comparing the size of the total effect, the communication and sex-role attitude had an effect of 0.787 and 0.162 on the sexual satisfaction for the factors affecting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the communication of 0.787 had a bigger effect than the sex-role attitude of 0.162 for a dependent variable, marital satisfaction. There are limitations caused by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tools in the processes of this study,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by verifying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escent conjugal relation factors. First, in reference to sampling, there's a limit as to the generalization of findings for the total elderly of our country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Seoul area. Second, there's a limit that controls and explains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esides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effect by these variables could be produc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have a complete control due to the nature of a social survey; they were inquired into only in term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insignificant test values of som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may have an incomplete control of a survey. 노년기 부부관계는 노인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노인은 애정이나 삶의 의미 같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 누구보다 배우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조화로운 부부간의 적응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개인의 만족이나 자아통합감을 갖게 하는 주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노년기가 계속 연장되어짐에 따라 노년기의 삶의 만족은 부부관계의 질이 어떠하냐에 좌우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현대 사회에서의 노년기 부부간의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들에 대한 상호 역동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부부의 성역할태도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성생활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부부간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성생활만족이 노인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노년기의 부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성생활만족에 대한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대해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가설 1-1의 개인특성별 성역할태도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성별 능력 차이에 대한 인식 및 성별 역할차이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성역할 태도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인 성별 역할 태도는 64세 이하 노인연령대의 인식력이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65-69세, 70세 이상으로 조사되어 연령이 많을수록 성역할태도에 대한 이해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전반적 성역할태도에 대해 생존자녀수가 2명 이하인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3-4명인 노인, 5명 이상의 노인 순으로 나타나 생존 자녀수가 적을수록 성역할태도는 긍정적이라고 해석되어진다. 전반적 성역할태도 정도에 대해 동거 가족수가 3명 이상인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2명인 노인, 1명인 노인 순으로 나타나 동거 가족수가 많을수록 성역할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혼인기간이 길수록 전반적 성역할태도 및 성능력 인식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성역할태도 정도에 대해 학력이 높을수록 노인의 성역할태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업이 없는 노인보다는 직업이 있는 노인의 성역할태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1-2의 개인특성별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각방 사용유무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의사소통, 긴밀한 관계의 노인, 소극적 관계의 노인, 배타적 관계의 노인 모든 집단에서 각방을 사용하는 노인집단보다 각방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집단에서 의사소통이 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상인 집단이 가장 의사소통이 활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졸 집단, 초졸이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집단의 경우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의사소통이 활발한 가운데 고졸이상, 초졸이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1-3의 개인특성별 성생활만족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연령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성생활 만족정도는 64세 이하의 연령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65-69세, 70세 이상 연령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적극적 성향 집단, 관계유지형 성향 집단, 수동적 성향 집단, 불만족 성향 집단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연령이 많을수록 성생활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동거가족수가 1명인 집단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3명 이상인 집단, 2명인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수의 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것이 노인의 성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해석되며, 건강한 노인일수록 성생활 만족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2의 개인특성별 결혼만족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각방 사용여부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결혼 만족정도에 대해 각방을 사용하는 노인보다 각방을 사용치 않는 노인 집단에서 결혼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한 노인일수록 결혼 만족 정도는 높다고 해석된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결혼 만족 정도는 높으며, 직업을 갖고 있는 노인의 결혼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3의 검증을 위해 기초모형을 설계하고 모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카이제곱, CFI, TLI, RMSEA를 이용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성역할태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간의 관계 및 각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를 살펴보면, 모든 요인간 및 각 하위요인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성역할태도는 p<0.05). 이 경로계수 검증 결과 연구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 부부간의 생활 중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특성이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를 통해서 노년기까지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성별 차이로 발생하는 남녀별 역할 및 능력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가설 3의 경우에는 수정 매개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가설검증을 한 바, 수정매개모형에서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에서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성역할태도는 유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만족도는 성역할태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3-1은 기각되었고, 결혼만족도는 의사소통에 따라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3-2는 지지되었다. 또한, 성생활만족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3-3도 지지되었다. 여섯째,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초모형에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 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모형을 구축하여 기본 매개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수정지수를 이용한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사용한 수정 매개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정된 매개모형과 기본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195.251이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나타났으며, CFI는 0.836, TLI는 0.757, RMSEA는 0.120으로써 전반적으로 수정 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기본 매개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보다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4는 노인들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생활만족이 매개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측이었으며, 수정매개모형 분석 결과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0.724 및 0.482)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성생활만족(0.355)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노인들의 성역할 인식과 부부간의 의사소통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생활만족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황혼기의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부부간의 활발한 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일곱째, 변인간 간접효과 및 직접효과, 총효과 등 효과를 분해하여 살펴보았으며, 종속변수인 결혼만족도는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으로부터 0.891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고, 독립변인인 성역할태도로부터 0.143, 의사소통으로부터 0.05의 직접효과와 성역할태도로부터 0.019, 의사소통으로부터 0.737의 간접효과를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은 독립변인 성역할태도로부터 0.021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으며, 의사소통으로부터는 0.827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다. 총효과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이 0.787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역할태도는 0.162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속변인인 결혼만족도에는 성역할태도 0.162 보다는 의사소통 0.787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들에 대한 상호 역동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연구대상, 조사도구 설정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연구의 표집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 권역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노인에게 일반화하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이외에 노인의 성역할태도 및 의사소통, 성생활만족,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에 대하여 통제하고 설명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사회조사의 특성상 완전한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들 변인들에 의한 결과의 오염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개인적 특성 범주 내에서만 고찰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성생활만족, 결혼만족도 특성 중 일부 개인특성 변인들에 대한 검증 결과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도 설문조사의 불완전한 통제의 문제로 사려 된다.

      •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연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의 다각적인 변화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증대와 영․유아기에 대한 인식변화는 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을 실질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지각수준과 인구학적 특성(연령, 학력, 어린이집 유형, 경력)에 따른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의 차이, 역할갈등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을 해소시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남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4명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와 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보육교사의 역할갈등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며, 하위요인별로 보면 개인 내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 수준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하위요인 별로는 인간관계 만족도와 직무자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수 및 승진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연령, 학력, 어린이집 유형, 경력)에 따라 역할 갈등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결과 중 연령에 따른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역할갈등은 전문대졸 이상자보다 고졸자가 높게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대졸이상자가 고졸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역할갈등은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역할갈등은 3~5년 미만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보육교사가 지각한 역할갈등이 직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있어 r=-.609(p<0.1)의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갈등의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전체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전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므로 보육교사의 처우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겠다. 역할갈등은 외부 환경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측면에서 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해 교사로서 사명감과 올바른 교직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적절한 보수체계의 정비는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달리 적용되고 있는 보수기준과 학력, 경력에 따른 역할을 고려한 보수체계의 도입이 전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보육교사에게 적절한 업무량과 경력에 적합한 업무내용으로 업무에 대한 재량권을 부여하는 것은 역할갈등 하위요인 중 개인 내 갈등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를 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이옥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활동을 통해 교사가 제작한 스토리를 학생들이 모둠별로 재구성하여 역할놀이를 실연하도록 함으로써 암기한 대화의 재연이 아니라 보다 발전된 단계의 역할놀이 영어 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교사가 단원별로 스토리를 제작한 후 학생들이 모둠별로 협동하여 스토리를 재구성하여 역할놀이를 하는 방법으로 실험 연구를 16주 동안 적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듣기와 말하기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 설문지 및 자유 응답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듣기 능력 사전ㆍ사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전 평가와 비교한 사후 평가에서 듣기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ㆍ사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전 평가와 비교한 사후 평가에서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정의적인 측면에서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설문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을 신장시켰고, 흥미도에서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사후 자유 응답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활동이 영어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켜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영어 수업에 필요한 스토리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들 간에 학년별로 단원 마다 핵심 영어 표현과 연계된 스토리 자료의 개발 및 유용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수업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주어진 시간 안에 스토리를 재구성하고, 역할놀이를 연습하여 마지막 차시에서 모든 모둠이 성공적으로 역할놀이를 실연할 수 있도록 교사는 학생들에게 시간 안에 이뤄져야 하는 활동을 충분히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이 즐겁게 영어 수업에 참여하여 활발히 영어로 이야기를 만들고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교실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사전에 학생들의 영어 수준과 성향을 파악한 후 수준별로 이질 집단을 조성하여 적극적이고 영어 능력이 우수한 학생과 소극적이며 영어에 자신이 없는 학생이 모둠 내에서 서로 협동하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해야 한다.

      •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진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parental role, emotional competence contribute to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46 children of 3 to 6 year olds,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Seoul, Gyonggi and Cheona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depending on the children;s gender. Second, Mother's caregiving role, management role, nurturing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ir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rol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characterized by gender of children. For boys, Among parental role, management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girls, parental role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urt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higher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e more positively they respond to interaction to circumstances. Fifth, Mother's management role significantly explaine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In addition For boys, mother's caregiving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boy's emotional competence and for gilrs, mother's nurturing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girl's emotional competence. Sixth, Mother's caregiving role, management role, nurturing role significantly not explained girls's social competence. But mother's management role significantly explained boy's social competence. Seventh, The effect of parental rol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mediated throug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부모역할에 관심을 갖고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천안지역의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3-6세 아동 246명과 그들의 어머니 246명, 선생님 21명이었다. 어머니의 부모역할을 측정하기 위하여 현미숙(2004)이 제작한 부모역할 지능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수경(2002)이 관계문헌(Ashiabi, 2000; Bonello, 1998; Katharine, 1996; Saarni, 1990, 1999)과 관련연구(Eisenberg et al., 1996; Greener, 1998; Shield & Cicchetti, 1995)을 토대로 제작한 유아정서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se, Clark & Crase(1979)가 개발한 유아용 아이오와 사회적 유능성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 ISCS)를 박윤정(1997)이 우리나라 유아에게 적합한 문항들로 재구성ㆍ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t-test,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의 성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가 발달자극역할, 양육역할, 관리자 역할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정서능력은 높았다. 셋째, 남아의 경우 부모역할 하위변인 중 어머니가 관리역할을 많이 할수록 남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았다. 하지만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하위변인은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남ㆍ여아 모두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낸다. 즉, 유아의 정서능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관리역할은 유아의 정서능력 형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또한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가 발달자극역할을 많이 할수록, 여아의 경우에는 양육역할을 많이 할수록 정서능력이 높아진다고 평가되었다. 여섯째, 어머니의 발달자극역할, 양육역할, 관리역할은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 형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남아는 어머니가 관리역할을 많이 할수록 교사에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남ㆍ여아의 정서능력은 어머니의 발달자극역할, 양육역할, 관리역할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역할과 이들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정서능력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부모역할에 의한 어머니와 아동간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정서능력 및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밀접히 관계가 있으며 따라서 유아의 바람직한 능력향상에 도움을 주기위한 부모교육이나 상담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