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화숙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 제고를 통해 활동보조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는 독립변수 집단(역할특성, 자기효능감, 소진)을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G광역시 일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 활동보조인이며, 2012년 5월부터 2개월에 걸쳐 편의표집 방식으로 조사대상자를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400부 가운데 385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331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등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인식하고 있는 직무만족은 5점 만점의 척도에서 3.46점(표준편차 0.80)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5점 척도의 중간값(3.00점)보다 약간 높은 상태이다. 또한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 독립변수별 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역할특성의 하위요인 가운데 역할과다와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가설 H-1.2(역할과다→직무만족)와 가설 H-1.3(역할갈등→직무만족)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채택되었다. 반면에,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인식하는 역할모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가설 H-1.1(역할모호→직무만족)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기각되었다. 둘째, 활동보조인이 인식하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노력(effort)만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도권(initiative)과 지속성(persistence)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 H-2.2(노력→직무만족)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채택된 반면, 가설 H-2.1(주도권→직무만족)과 가설 H-2.3(지속성→직무만족)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기각되었다. 끝으로, 활동보조인이 인식하는 소진의 하위요인은 3개 요인이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처 가설 H-3.1(정서적 고갈→직무만족), 가설 H-3.2(비인격화→직무만족), 가설 H-3.3(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직무만족)이 모두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채택되었다. 그러나 활동보조인의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가 심할수록 직무만족이 더 높아진다는 가설 검증 결과는 경험적 근거가 부족하며 논리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아마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의 변수들이 이 두 변수 사이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기능하고 있을 개연성이 높다는 점이 언급되었는데, 이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역할특성(역할과다와 역할갈등), 자기효능감(노력), 소진(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할과다와 역할갈등을 미연에 예방하거나 사후에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실천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활동보조인이 인식하는 노력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곧 직무만족을 높이는 첩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활동보조인의 정서적 고갈과 비인격화의 인식 수준을 낮추는 것이 곧 직무만족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방안이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상의 분석 및 검증 결과로부터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론적인 면에서 보면, 본 연구를 통해 활동보조인의 역할특성과 직무만족,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소진과 직무만족 사이의 인과관계에 관한 이론적 지평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활동보조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e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th in research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workers in the social work filed. However,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date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ly disabl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those personal assistants. A total of 9 hypotheses were propos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s such a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ole characteristics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role conflict), self-efficacy, and burnout(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 convenient sample was taken of the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in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85 were returned. Finally, 33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role characteristics factors, this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Second, regarding self-efficacy factors, eff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job satisfaction. However, initiative and persist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to job satisfac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actors relating to burnout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Implications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were discuss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variables which do not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s in this study.

      • 호텔직원의 불완전취업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중심으로

        홍성남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서울소재 특1급 호텔직원들을 대상으로 호텔산업에서 연구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호텔직원이 지각하고 있는 불완전 취업, 직무 스트레스의 대표적인 세 가지 요인들이(역할모호성, 역할충돌, 역할과다) ‘자기효능감’ 이라는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나타나는 그들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대한 구조적 영향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기간은 2014년 5월 8일부터 8월 14일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설문지 500부 중 회수된 473부 중 불성실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58부를 최종 유효한 설문지를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AMO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실증적 방법으로 연구가설을 규명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역할모호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H2)라는 가설2를 제외한 불완전 취업(H1), 역할충돌(H3), 역할과다(H4) 변수들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 가설3, 가설4는 모두 채택으로 나타났다. 요인들의 영향력 순서를 살펴보면 불완전 취업, 역할충돌, 역할과다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며, 역할모호성은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로 나타난 점은 역할모호성 변수가 다른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보다 훨씬 낮은 결과의 값으로 나타난 점이다. 이것은 체계화된 메뉴얼, 반복적인 업무, 특1급 호텔의 여러 가지 제반 여건 등이 우수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결과치가 나왔다고 판단된다. 특히, 특1급 호텔의 경우 직무 전문화, 부서화(departmentalization), 권한위임(patterns of authority), 통제체재(span of control), 협업체계(methods of coordination)가 명확하여 역할모호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Aldag & Stearns, 1987)를 지지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역할모호성에 대한 기각은 외국과 한국의 문화적인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외국에서는 직무에 대한 정확한 메뉴얼이 주어지므로 역할에 대한 모호성을 덜 느끼게 되고 감소하는 실정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직무에 대한 다양한 역할수행을 요구하며 타 부서와의 협력체계를 너무나 당연한 관계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역할모호성에 대한 지각된 인지가 약해져 있는 문화에 익숙하다고 볼 수 있으며 역할모호성에 대한 개념이 불명확하고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값도 낮게 나타나면서 기각의 결과로 설명되는 것이다. 둘째, 매개변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 변수와 직무성과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매우 큰 영향력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성과에 대해서는 직무만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하여 자신과 호텔조직을 동일시하거나 추구하는 가치가 유사하다고 판단한다면 호텔에 대한 충성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며 직무만족에도 큰 영향을 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호텔조직의 가치, 신념, 규범, 경영이념, 목표, 조직에 대한 충성심이나 자부심이 직원들 자신의 이러한 성향들에 대하여 유사하다고 느끼는 내부만족도를 중시하는 경영으로 호텔기업이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종속변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직무만족 변수는 직무성과 변수에 대해 매우 큰 영향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호텔기업과 같은 서비스산업군은 인적관리 측면이 기업의 성장에 직결되므로 고용상황 개선이 더욱 중요하다. 호텔직원들의 직장생활 환경과 삶의 질이 개선되고 좋아진다면 직원들의 직무만족이 고객만족 및 고객지향성으로 나타나 개인의 직무성과와 기업성과로 반영될 것이다. 결국, 직무만족에 대한 직원들의 불안한 심리나 우울, 결근 및 이직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직의 기업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가지는 호텔에 대한 동일시정도, 조직가치의 내재화정도,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는 조직몰입이 선행되어야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호텔기업과 같이 서비스를 생산․판매하는 환대산업에서는 직원들의 이러한 가치들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들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otel employee's perceived under-employment, job stres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deals with under-employment of five-star deluxe hotels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Korea. Job stress is composed of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and Self-efficacy is used of mediator variabl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of five star deluxe hotels in Seoul from May 8 to August 14 2014. The study sample was randomly selected from the employees working at 10 top-tier five-star hotels in Seoul, Korea. Out of 500 surveys distributed to the hotel employees (50 surveys per hotel), 473 employe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458 completed responses were obtained for data analysis. The survey measured the respondents’ opinions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The endpoints for scales used were “very unlikely” to “very likely” or “strongly disagree” to “strongly agree”.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order to simultaneously measure the impacts of three determinants of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two-step approach recommended by Anderson and Gerbing(1988). A measurement model was first established via a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and then, using AMOS program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path coefficients were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t shows that all hypotheses are supported except Hypothesis 2,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ambiguity and self-efficacy. This means that under-employment,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which were confirmed by interpreting the path coefficients, are a negative factor on self-efficacy. In this research, role ambiguity was statistically less significant at p < 0.001 than other role str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five star hotels have more systematic manuals and better conditions than other hotels. Specially, five star hotels make every effort to decrease role ambiguity through role specialization, departmentalization, patterns of authority, span of control, and methods of coordination(Aldag & Stearns, 1987). Above all, the low result of role ambiguity can be explained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Hotel employee’s perceived understandings of role ambiguity are falling with Korean culture because various roles and cooperations with other departments are required.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was more influenced by self-efficacy than job performance in detail. Employee’s perceived high self-efficacy improves hotel’s loyalty and has a good effect on job satisfaction. Further, self-efficacy is in close connection with hotel’s value, belief, norm, philosophy, and goal. Management of hotel corporations think about how to increase their loyalty and internal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influencing job performance. It exerts a favorable influence upon the delicate psychology, the gloom, the absence and the turnover of hotel employees. As a service industry, a hotel is thoughtfu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hotel is to create the maximum commitment effect with the value and the loyalty of employees to achieve their goal. If a hotel gives better treatment and quality of life to employe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s reflected by job satisfaction. In consequence, job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reflected. The relationships among under-employment, job stresse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may provide a clue regarding how hotels can promote job and role culture to boost their performance.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 대처 조절효과 검증

        장영숙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69

        국 문 초 록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 대처 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장영숙 지도교수 조춘범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인 요양시설에서 대상자 어르신들께 전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매개효과인 자기효능감과 조절효과인 직무스트레스대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남부지역에서 분포도가 높은 부천, 안산, 시흥, 안양, 군포, 화성, 의왕에 소재하는 71곳의 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0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366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31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의 분석방법을 근거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이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및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및 역할과다는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의 조직헌신 및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제언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인식의 제고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조직헌신 강화 방안, 직무스트레스 대처 고양 방안,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외에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성, 조직헌신,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

      •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시설 및 행정기관에 근무하는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이은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3

        이 조사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어느 정도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으며,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조사연구에서 설정한 두 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현장의 사회복지사는 어느 정도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가?(연구문제 1) 둘째, 사회인구학적 요인, 직업만족도 요인, 역할특성 요인, 클라이언트 폭력 요인 가운데 어느 것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연구문제 2)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만족도, 역할특성, 클라이언트 폭력을 독립변수로, 소진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연구모형과 그에 따른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및 행정기관(구청, 동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은 체계적 표집으로 23개소의 조사대상시설을 선정하여 해당시설의 1년 이상 경력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행정기관은 G광역시의 5개 구청을 모두 조사하였으며 구청 사회복지사의 협조를 받아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년 7월부터 8월 사이에 이루어졌는데, 사회복지시설과 행정기관(구청 및 동사무소)에 배포된 설문지 500부 가운데 262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에서 25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소진의 정도는 그리 심하지 않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직업만족도와 소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직업만족도의 정도가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낮아지며, 반대로 직업만족도가 낮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셋째, 역할특성과 소진과의 관계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역할과다 변수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행정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특히 역할과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클라이언트 폭력과 소진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이언트 폭력 요인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것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본 조사연구에서는 당초에 제기한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보면, G광역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의 정도는 그리 심하지 않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히려 소진은 개인변수보다는 직업만족과 역할특성과 같은 직무관련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사회복지조직을 경영하는 관리자 집단이 유념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본다.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보면, 직업만족도와 역할특성 변수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사회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 직업만족도 및 역할특성 점수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진에 대처하는 전략을 마련할 경우에도 기관 유형이라는 변수를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즉,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관별로 대처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Burnout is emerging as the occupational hazard of the helping professions including social work practice.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burnout refers to a syndrome which occurs in the care provider as a response to chronic emotional stress and which arises from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a care provider and the recipient of ca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burnout on the part of social workers working for both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local governments in "G" Metropolitan City and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social workers. Following previous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500 questionnaires were then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in the subject area, and 2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nally, 25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ers experienced relatively low level of burnout. No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burnout.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was also identified. That is,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role conflict was considered as a variable influencing negative impact to burnout. More specifically, social workers working for the local governments had the highest score on the role conflict scale. Final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burnout. A number of recommendations were made, including reactions to burnou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provided.

      •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윤주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2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에게 가장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5가지 변수를 선정하여 이것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직무스트레스로는 역할갈등과 역할과다, 인간관계의 만족도, 의사소통의 원활함, 근무환경의 적정성의 5가지 하위척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정도, 현 근무지의 경력, 사회복지사자격급수,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한 근무기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빈도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요인에 관해서는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장 많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종사하고 있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여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마포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중량구 10개구를 다단계 집락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1개 동사무소에 1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그리하여 200개의 동사무소에 설문지를 발송하여 12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거된 자료는 200부의 설문지중 122부가 회수되어 61%의 회수율을 보였고, 회수된 자료는 SPSS for 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응답자는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한지 1년 미만의(41%), 대학을 졸업하고(82%),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을 소유하고 있는(85.2%) 미혼의 (60.7%) 여자(8.0)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반이상을 차지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직무 스트레스의 요인-역할갈등과 역할과다, 인간관계의 만족도, 의사소통의 원활함, 근무환경의 적정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역할과다의 상관관계계수가 -.420으로 상관관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의 적정성의 상관관계계수가 -.230으로, 인간관계의 만족도의 상관관계계수가 -.221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나 다소 낮음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의 5가지 하위척도중에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역할과다와 인간관계의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간관계의 만족도보다는 역할과다가 두배이상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로써 직무만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역할과다인 것으로 알 수 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반적인 사항을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에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성별, 연령, 결혼여부, 현 근무지의 경력,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한 근무기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를 집단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조사 ·분석한 결과 성별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만이 직무만족도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을 뿐 다른 요인들은 집단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성별로 여자응답자보다는 남자응답자가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로 특별한 목적의식이 있는 응답자가 목적의식이 없는 응답자보다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10개구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조사하였고, 전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전수조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표본의 동질성이 높기 때문에 연구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었다. 물론 본 연구로 입증하기는 어렵고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겠지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이 역할과다라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을 적정하게 조절하고 권익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연구가 다각적인 방면에서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bles related to public social worker's work stress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er selected five variable influencing public social worker and investigated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Five variable were as follows - role disagreement, role super abundance,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smoothness in communication, propriety of work environment. The question as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 sexuality, age, marriage, education level, working of career, social worker's rank, working hours, the reason to becoming a social worker,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o understand effect of work stres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 analysis. This study also used T-test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among target groups. For this study,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22 questionnaires and returned from town-block offices of ten districts in Seoul, which the most many social workers are employed. The researcher used stratified sampling for the study. The result of researcher were analyzed by SPSS for WIN program.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correlation factor role super abundance was .420, correlation factor of propriety of environment was .230, correlation factor of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was .221. The result showed that role super abundance and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 made the most sever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mong five stresses, role super abundance had an two times effect on work satisfaction than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Therefore, role super abunda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 stress affect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common factors related to social workers - sexuality, age, marriage, working career, working hours, the reason of becoming of a social worker, this study divided social workers into several groups and investigated how each group had a different work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mong each group. However in sexuality and the reason of becoming of social worker case, there were differences. On the basis of sexuality, male respondent's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female respondent's work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ason to becoming of a social worker job satisfaction of respondents with strong intention was higher than respondents with weak intentio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because it investigated social worker, in only to districts, but it has a strong point to understand easily features of target group, in selecting homogeneous target relating to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Further study needs to research the way to adjust social worker's role and increase their interests continually and variously.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지희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개인변인(직위별, 혼인여부별, 연령별, 학력별, 소득수준별, 근무시간별, 근무경력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를 형성하는 하위 요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교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더울어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직무스트레스의 해소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요인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12개 지역에 소재한 88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생활복지사, 아동지도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사용된 도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확보된 역할, 직업특성, 아동행동과 관련된 측정도구를 가지고 요인분석 한 후,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가 확보된 문항들로 재구성하였다. 총 3개의 변인(역할, 직업특성, 아동행동)과 11개의 하위요인(역할갈등, 역할모호, 역할과다, 교육활동, 보상체계, 동료관계, 학부모관계, 개인소진, 아동대인관계행동, 아동센터적응행동, 아동학습활동행동)으로 분류되었으며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각 변인별로 살펴보면, 역할 변인에서는 '역할과다 요인'에서, 직업특성 변인에서는 '보상체계 요인'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료관계 요인에서 가장 낮은 스트레스를 나타냈다. 아동행동 변인에서는 '아동의 대인관계행동요인'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연령과 소득수준이 낮고, 근무시간이 길며, 경력과 학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다. 또한 아동복지교사보다 생활복지사가 더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변인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역할변인과 직업특성변인(r=.72, p<.01), 직업특성 변인과 아동행동 변인(r=.32, p<.01)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카지노직원의 여가활동만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안나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6

        카지노 직원의 여가활동만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외국인 전용카지노에 근무 중인 카지노 직원을 대상으로 카지노 직원의 여가활동만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인 여가활동만족은 심리·휴식적 만족, 사회·교육적 만족, 신체적 만족, 시설환경적 만족 총 4개의 요인으로 나뉘며, 종속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양적과부하(역할과다)와 질적과부하(역할갈등)으로 나누어 여가활동만족의 4개의 요인 중에서 어느 변수가 두 개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총 302개의 연구표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지노 직원의 여가활동만족은 양적과부하(역할과다)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심리·휴식적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카지노 직원의 여가활동만족은 질적과부하(역할갈등)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심리·휴식적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여가활동을 통하여 심리적 만족과 휴식적 만족이 직무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카지노 직원의 여가활동만족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해소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여가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주제어: 여가활동만족, 직무스트레스, 양적과부하, 질적과부하, 역할과다, 역할갈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