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적장애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및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적장애학생의 역사적 사고력과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중 의도적으로 학생 총 3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총 20차시에 걸쳐 연구자가 구안한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방법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역사적 사고력 검사와 수업참여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역사적 사고력 사후점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수업참여도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것 같이 역사적 사건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방법은 단순한 강의식 수업보다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과 수업참여도를 향상시켜 주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과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한국 장애인복지정책 성격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 배제와 포함 개념을 중심으로

        이아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배제와 포함의 개념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정책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애인복지정책의 도입역사적 맥락 속에서 장애인복지정책의 제도변화 요인과 경로의존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먼저, 장애인복지정책의 도입 및 확대와 같은 제도변화는 역사적 전환 요인으로 인해 나타난다. 그 결과 장애인복지정책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 포함, 배제라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가 형성된다. 또한 기존의 장애인복지정책과 이를 토대로 형성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는 제도적 맥락에서 장애인복지정책의 변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장애인복지정책의 성격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는 일정한 경로의존성을 갖기 때문이다. 2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한국 장애인복지정책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는 여전히 비가시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장애인의 욕구에 기반한 장애인 정책 형성이나 장애인의 사회에 참여하는 삶을 누릴 수 있는 권리들이 장벽에 막혀 좌절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장애인복지정책의 결과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정책이 형성되는 역사적과정과 제도적 맥락에 초점을 맞춰 해방 이후의 장애인복지정책의 토대가 되는 정책부터, 장애인관련 법안, 정부발표, 국무회의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에 도입되어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장애인복지정책과 한국 사회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 경로의존적인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 사회적 배제와 포함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향후 사회적 포함을 지향하는 장애인복지정책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적 제도주의, 장애인의 개념과 장애문제 해결에 대한 장애 패러다임, 사회적 배제와 포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다음으로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장애인복지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제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법과 비교사례연구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요인은 역사적 전환(제도 변화)요인과 경로의존성 요인이다. 특히 이 요인들이 역사적인 과정과 그 맥락 속에서의 상호영향을 보기 위해 정책형성기반기, 정책도입기, 정책확충기로 시기를 구분하는 시기화 접근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도적 유산을 기반으로 도입 및 확충된 정책의 역사적 전환요인에 대한 분석은 제도적 맥락, 행위자 요인, 중대한 전환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경로의존 요인으로는 장애인복지정책과 그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적 태도를 사회적 배제와 포함의 개념에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정책의 형성 이전의 정책들은 전쟁, 경제개발 과정이라는 특수한 요인에 의해 장애인이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중심으로 개인 기능의 회복과 치료를 중심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장애인을 명시적으로 차별하는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책형성기에 장애인 복지정책은 정당성 확립을 위한 정부의 의도적 요인 장애인 정책의 세계적 흐름에 따른 비의도적 요인. 그리고 장애인 운동의 조직적 요구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는 장애인의 사회적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장애인복지의 역사적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도입된 정책은 그 내용에 있어서 당사자의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장애인의 사회적 진입 장벽을 낮추지는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장애인에 대해 사회적 배제를 양산해 내는 성격을 가졌다. 셋째, 지금까지 한국사회에서 형성된 장애인복지정책은 역사적 발전과정을 거치며 변화하였다. 특히「장애인인권헌장」선언 이후 장애인에 대한 인권적 측면, 그 중에서도 시민으로서 사회에 참여하고 노동, 교육의 권리를 누릴수 있는 사회권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정책에 비해 대상자를 확대하고, 수준을 높이고 장애인의 차별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등의 정책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기존 정책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제도적 맥락 속에서 경로의존적 특징을 가지며 새로운 정책을 제약하였다. ‘발전주의 복지지향 정책사고’,‘권위주의적 정부’, ‘행정부와 국회간 균형형 권력관계’, ‘경제성장과 복지가치가 양립하는 장애인복지정책정향’등의 특징이 정책변화를 제약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 정책은 여전히 장애인에 대한 권리로서 비정상인과 함께 사회적 권리를 누리는 삶을 보장하지 못하고 배제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넷째, 그럼에도 장애인 당사자들의 영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가능성이다. 정책확충기에서 보여주었듯이 점차 행위자요인 중 장애인 스스로의 요구에 의한 정책 형성 시도가 잦아지고 있다. 이는 장애인 스스로 욕구를 반영하고 사회적으로 참여하는 삶을 보장하는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을 위한 정책으로 변화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라고 보인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e of Social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exclusion and incl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irst, it aimed to describe the factors and path‐dependent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changes i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the historical context. Specifically, institutions change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and extension of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ility caused by the factors of historical transition. As a consequence,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create social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such as social discrimination, inclusion, and exclusion of the disabled. Introduced existing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and resultantly formed social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influence the process of change i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the institutional context. Because the nature of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and resultant social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are in certain path dependency with each other. Korean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which have over 20 years’ history, appeared as a reaction to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but they have still induced invisible patterns of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In order to understand such outcomes of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and find solutions, we need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ocusing on the historical process and institutional context of policy making. Moreover, by analyzing what path‐dependent characteristic social policies created for the disabled and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in our society have with each other focusing on the concepts of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we may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that pursue social inclusio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ed theories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 concept of the disabled and disability paradigm for solving disability programs, and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Then,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in order to analyze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literature research and comparative case stud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factor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were historical transition (institutional change) and path dependency. Particularly to see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each other in historical processes and contexts, we used the periodization approach that divided time into the periods of policy formation, policy introduction, and policy extension. For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policies introduced and extended based on institutional heritages, in addition, the factor was divided into institutional contexts, actors, and important turning points. For the path dependency factor, moreover,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and resultant social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were analyzed in the concepts of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policies before the formation of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targeted people who got a disability during the war, or they classified the disabled into a special group. In addition the policies focused on the recovery of personal functions and treatment as solutions for disability problems, and in this sense, they discriminated the disabled explicitly. Second, in the period of policy formation,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were promoted intentionally by the government for its legitimacy, unintentionally by global trends in policies for the disabled, and by the organized demands of handicapped people’s movements. These changes were historical transitions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n that they attempted to lower social barriers against the disabled. However, the contents of introduced policies failed to reflect the interested parties’ needs or to lower social barriers against the disabled. Consequently, they generated many different patterns of social exclusion against the disabled. Third,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formed in such a way changed through historical development. Particularly after the declaration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ttention was paid to the disabled’s human rights and particularly their rights to participate in society as citizens and to enjoy opportunities for work and education. Compared to previous ones, accordingly, the policies covered a larger scope of subjects, raised the level, and prohibited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by law. Nevertheless, existing policies and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eing in a path‐depende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restricted the new policies. That is, the change of policies was restricted by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ist thinking of social policies,’ ‘balanced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the Parliament,’ ‘the trend of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where economic growth is compatible with welfare values.’ As a result, policies for the disabled excluded handicapped people, not guaranteeing them to enjoy their social rights together with ordinary people. Fourth, nevertheless, the influence of the disabled is growing gradually. As shown in the period of policy extension, policy making demanded by the disabled is being tried more fr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is study confirmed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of the formation of social policies for the disabled.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explanatory power of analysis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by explaining not only institutional changes but also the infl

      •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의 재검토와 행위자에 대한 이해

        임수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 students have experiences in which they can easily empathize with historical figures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V, movies, YouTube, historic sites, etc., and sometimes accept the images conveyed by the media uncritically. Therefore, history education research needs to examine how to use the emotional reactions of students in their lessons to understand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the concept of “historical empathy” has been established as a cognitive dimension that explains the motives and intentions of a historical agent based on the historian's work process. However, a problem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concept being realized in the classroom, and I explored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concept.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with the educational use of historical empathy revealed in the history education community in Korea by identifying discrepancies between the concept and its practical use in classes. In this study, I explore how to teach an emotional response to the past that occurs when students learn historical empathy. Learning historical empathy is a process of balance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text and actors using affective connections. I present the factors to consider i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divided into the context, which is the target of learning, and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I present a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 with four stages: introduction, investigation, display, and reflection. In particular, Lee Bong-Chang was presented as a class example, and alternative learning resources and inquiries were presented to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storical empathy. The reason for choosing Lee as the figure for the class example is tha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pecific image of Lee, which was already planted in students’ perception, I tried to present a teaching scheme so that students could judge Lee's decision making, motives, and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the time and as a human being who lived at that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a critical review, the concept of historical empathy in the cognitive-affective dimension was presented as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historical agent using affective connections.” Second,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sought to find practical ways to utilize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teaching devic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classroom. Thir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haracters, this study suggested a way for students to understand human actions in the continuity of time, not just in the context of the past. As a result of the foregoing, the process of historical empathy will not just end with the exploration of the past, but will als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will help the present and future of students and provide direction in their lives. History education should not only teach students how to get closer to the figures of the past, but should also be abl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lives of student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ast. This study focuses on theoretical research,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practical classes and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research. 역사교육에서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은 역사가의 작업 과정에 바탕을 두어, 사료를 바탕으로 과거인의 행위의 동기와 의도를 설명하는 인지적 차원의 개념으로 자리잡아왔다. 그러나 역사적 감정이입이 수업 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문제점이 드러났고, 이에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와 새로운 교수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과 수업의 실천 사이의 부조화 현상을 통해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에 대한 한계점을 검토하고, 학생이 역사적 감정이입 학습을 하면서 생겨나는 과거인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어떻게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탐구를 활용하여 역사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울 것인지를 모색했다. 이에 본 논문은 학생의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이 사료를 바탕으로 과거 행위자의 동기와 의도를 탐구하고, 학생의 행위자에 대한 정서적 연결을 통하여 학생 자신의 위치와 역사적 행위의 결과를 판단하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이를 ‘정서적 연결을 활용한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균형적 이해’라고 제시했다.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학습의 대상과 주체로 나누어 제시했다.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균형적 이해는 먼저, 학생들이 과거 행위자가 당대를 살아가면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사고‧신념 체계를 맥락적으로 탐구하는 것에서 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은 과거의 행위자가 현재와 다른 사회문화적인 틀 안에서 능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했으며, 그의 행위는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시간이 흘러 현재의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행지식과 현재주의적 사고는 학습을 돕는 촉진 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은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에서 그들의 사고, 가치, 신념이 현재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깨닫고, 행위자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학습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와 미래에 어떠한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논문은 학생의 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도입-탐구-표현-반성 4단계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봉창’에 대한 수업 사례를 통하여, 학생들이 역사적 감정이입 학습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대안적 교재와 발문을 제시하였다. 수업 사례의 인물로 이봉창을 선정한 이유는 학생들이 역사적 감정이입 학습과정에서 그들의 인식 속에 심어진 이봉창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에 치중하기보다는, 그 시대적 맥락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서 이봉창의 의사결정과 동기와 의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봉창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남아있었던 점은 대안적 교재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인지적 차원의 ‘역사적 감정이입’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점, 인지적-정서적 차원의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을 ‘정서적 연결을 활용한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균형적 이해’라고 규정한 점,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장치로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행위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학생들이 과거인의 의사결정을 과거의 맥락에서만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인간의 행위를 이해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은 과거 탐구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를 판단하고, 삶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향후에는 이러한 개념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실제 역사수업에 적용한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 역사 수업 방안

        정선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역사 교육의 목적은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능력과 태도, 바람직한 역사 의식을 형성을 통하여 민족사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주적 실천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있으며, 역사 교육의 가치는 보다 지적이면서도 자유로운 안목을 가지고 세계를 바라보는 능력을 형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역사학습 방법상의 주된 흐름은 학생들의 요구에 보다 관심을 갖고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능동적인 면을 배려하고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 학습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학습 대상으로 하는 것인만큼 다양한 표현 매체를 통해 그들이 구조화한 역사를 자유롭게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할 것이다. 역사는 과거의 사실을 보고 알고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느끼기'와 '공감하기'가 필요하며 이것이 강조되어야 역사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의 행위에 대해 감정이입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내면, 즉 인간이 가지고 있는 믿음, 사고, 의지, 행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행위가 일어난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도 역사적 사건과 인물, 연대 등 역사적 사실을 단순하게 기억하도록 하는 수동적인 학습 활동보다 역사적 상황 속에 몰입하게 하는 재미있고 흥미있는 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과거 사람들이 했던 생각을 파악하고 그들이 했던 것과 비슷한 활동을 함으로써 역사에 대해 생생한 접근을 할 수 있다고 볼 때, 과거 사람들이 겪었던 것과 비슷한 시·공간적 상황을 설정한 다음, 그들의 생각을 미루어 짐작하여 활동하고 추적하는 학습 과정을 통해서 역사적 이해가 가능하게 되고, 역사적 행위에 대해 상상적인 의미재구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역사 수업방법으로 창의적 글쓰기와 연기활동을 활용하였는데, 창의적 글쓰기는 다른 시대나 장소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관점에서 특정한 역사적 상황이나 사건을 배경으로 한 역사를 소재로 다양한 글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역사적 행위자의 입장이 되어 역사적 감정이입을 통해 역사에 대한 상상적 이해를 돕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업방법이고, 연기활동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역사적인 인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해봄으로써 역사적 행위와 시대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추체험 학습형태로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더욱 증대시키는 수업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 주제로 학생들과 역사수업을 한 활동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수업에서 역사적 상황, 역사적 인물에 대해 접근할 때, 타임머신을 통해 과거에로 감정이입을 촉진하여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활용하므로써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상상적 이해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과거 행위자의 입장에 서서 그에 함축되어있는 의미를 파악하는 역사 이해의 주요한 이해방식인 역사적 감정이입은 역사적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증진시켜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효율적으로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역사적 상상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방법의 하나인 창의적 글쓰기 수업에 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사료를 활용하여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여 기존에 지니고 있던 역사적 지식과 함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의미재구성을 능숙하게 해 나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생들에게 역사적 감정이입에 의해 과거의 인물이 되어 그 역사적 상황에 나름대로 몰입하는 학습경험이 많아질수록 역사적 상상력이 신장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한계를 수용하면서 학생들이 역사에 대해 고정적인 틀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보다는 자신도 역사속의 주인공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창의적 글쓰기는 역사학습에서 활용가치가 높다. 셋째, 역사적 상상력을 신장할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 활용하였던 연기활동 수업에서 학생들은 설정된 역사적 상황속에서 과거 인물의 역할을 맡아서 과거인의 생각과 감정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극을 지켜보는 학생들도 직접적이든 대리적이든 상상적 경험이든 간에, 주어진 상황에 포함된 사람 또는 사물과의 동일시를 통해 상황의 내면을 파악하려고 노력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자신의 맡은 역할을 잘 해내기 위해서는 역사적 인물의 입장으로 감정이입하려고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문제 상황을 실감나게 느끼고 역사적 사건을 객관화시켜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준다고 본다. 넷째, 사회과 수업에서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해 다양한 역사 수업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점이 많다는 사실이다. 주당 3시간이라는 한정된 수업속에서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사고로 교과서 재구성을 하여 시도할 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수업방안에 대하여 창의적 글쓰기와 연기활동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나,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해낼 수 있으며 수업에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역사적 상황에 관한 안내나 연기활동인 역할놀이와 극화학습 자료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and attitude to understand historical facts objectively, to promote a desirable sense of history so that the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istory and grow into independent and practical people. The value of history education lies in the creation of abilities to see the world with an intelligent and liberal view. The recent trend of history education methodology emphasizes that teachers must take more interest in students' demands, make efforts to stimulat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concentrate on developing the power of historical thinking. Considering that students will live the future society where history learning takes various form, they should be led to understand and express freely history that they structure through diverse expression media. History learning should not be limited to seeing, knowing, understanding and analyzing facts in the pasts, but requires 'feeling' and 'sharing' in order for students to have sound value systems and attitude as people living in history. To understand empathically people's acts in historical ev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events with interest in beliefs, thoughts, wills and behaviors that people in those days ha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need to have interesting learning activities that get them absorbed into historical situations rather than passively memorizing historical facts such as events, figures and dates. Assuming that students can approach vividly to history through understanding the thoughts of people in old times and having activities similar to what people did in the past, it is believed that students may have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imaginative restructuring of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acts through setting temporal and spatial situations similar to those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past and estimating, acting and tracking their thoughts. The present study utilized creative writing and drama activity as history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on emphatic understanding. Creative writing is very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to be in the position of historical actors and imagine history through historical empathy while writing various articles on subjects on the background of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s or events from the viewpoint of people lived in different ages or places. Drama activity is a teaching method to improve students' emphatic understanding, helping students understand historical acts and situations through participating actively in learning and thinking and acting in the position of historical figures. The results of having history classes with students on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ed that, in the history teaching of elementary social study education, students' imaginative understanding of history was affected by the use of teaching method that induc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promoted their empathy with the past using a time machine when approaching historical situations and figures. Historical empathy, which is an important method of understanding significances implied in past events from the position of the actors, was useful in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in historical subjects and active participating in learning for efficient understanding of history.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rough creative writing, one of learning methods to enhance historical imagination, students participated in learning with interest using various type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skillfully restructured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facts with historical knowledge they already had. As students, through historical empathy,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of being absorbed in historical situations in the position of figures in old ages,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was also enhanced. Creative writing is highly useful in history learning in that students come to recognize themselves as main actors in history rather than looking at the history in a fixed frame. Third, in drama activity class utilized as a learning method of enhancing historical imagination, students came to understand easily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people in the past by playing their roles in given historical situations, and students who watched the drama also made efforts to figure out the inside of the situations through identifying themselves with people or objects contained in the situation whether it was a direct, indirect or imaginative experience. Students tried to empathize with the position of historical figures in order to play their roles better and such an experience was considered to give students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t issue and opportunities for objectifying historical events. Fourth, several difficulties were found in having diverse history classes to enhance students' historical imagination in social study classes. To have various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limit of three hours per week given for history,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textbook with a flexible attitude. This study examined creative writing and drama activities as methods of history learning to enhance students' historical imagin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y education. However,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 on guides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drama materials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in class and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 한국사회 '기억공간'의 분석과 치유적 전환 : 역사적 트라우마-공간치유의 적용과 모색

        박솔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thesis is a study that systematically discusses the healing methodology for historical trauma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healing and proposes space healing as a media methodology for the actual performance of healing.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narratives embodied by the ‘memory space’ of Korean memorials and museums to perform space healing for historical trauma of Korean. Based on such an analysis, this discussion seeks ways to transform the spatial narrative of ‘memory space’ in Korean society into a healing one and how to apply space healing to historical trauma. Historical trauma means that traumatic memories generated when a social libido, which was formed at the time due to historical experiences, are frustrated, are passed on to following generations, and they appear as symptoms at the curr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 Therefore, historical trauma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ulture of remembrance in certain society which has historically traumatic experience and memory in common. Trauma itself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evokes the need for healing. That’s because trauma cause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making it difficult to live in the present. However, it was only possible in the 1980’s that trauma became a social issue and recognition that it was a psychological disorder caused by social structural violence and that it had to be a subject for healing. It was that antiwar movement of Vietnam War veterans who suffered from traumatic neuroses of war was in solidarity with psychiatrists, and those who had to suffer frompsychological disorders due to sexual and domestic assault were in solidarity with the women’s movement was possible. Meanwhile, study on historical trauma began to emerge in the 1980’s through academic debates surrounding ‘memory’. The Holocaust was a representative issue among those discussions.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as the flow of democratization of authoritarian regimes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progressed, the issue of performing ‘transitional justice’ emerged. In that flow, the discussion of historical trauma began to draw attention. ‘History’ as a master narrative dominated by the state and the issue of ‘testimony’ and ‘memory’ of victims of violence against it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topic and subject of study. However, just as trauma had to go through an arduous process before it was formally recognized as a subject of medical diagnosis, it is also difficult process that define the historical pain and sacrifice of a society that occurred in structural violence as a historical trauma. Above all, the reason why this process is difficult is that it inevitably has the character of a memory struggle against the memorization of the state, which performs ‘nation-making’ by utilizing the psychological core of historical trauma. There is another difficulty with the problem of historical trauma. Although historical trauma is different in nature from personal trauma that occurs from individual biographical experiences, that it does stay the way of treatment or rhetorical consol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in discussing the problem of analyzing and healing trauma. This is a problem that arises because the perspective of social healing is not connected with the trauma and its healing method. Healing historical trauma does not mean treating disease medically. That means working to remove triggers that cause problems in curr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s as traumatic memories that have not been healed and their psychological core become present.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means through the process of ‘remembrance-mourning-reconnection’, remembering what the historical trauma was and under what structural circumstances it had to occur, mourning the pain and sacrifice. And It means the process of ‘working through’ which is to form a new relationship that can create a structure and culture that will no longer repeat the same violence as in the past. In other words, it is the social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that citizens, the subjects of memory, go through ‘working through’ that changes the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through attempts to change the culture of remembrance. Therefore, for social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rough memory media that transmits and mediates collective memories. This study discusses social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and its application through spatial media, among various memory media. ‘Memory space’ that is the subject of discussion in this study is the storage medium of collective memory. ‘Memory space’ refers to places that evoke concerns about how to remember ‘us’ in the present. In addition, the ‘memory space’ is a place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membering’ while arousing the multi-layered social and historical memories that produce the space. ‘Memory space’ that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is a space is divided into three. There are space like the border area of the DMZ where a historical event takes place and daily life goes on, space that contains history but now remains as a historical sites, such as the old Seoul Station, and space like memorials and museums which are produced separately from the historical site. This study stands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of spac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through the healing conversion of ‘memory spac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take as the object of analysis here, among various spatial media, what can reveal the study of the healing transition of ‘memory space’ in general. Memorials and museums are the space that most typically represents the way of memory of a society formalized by the state.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space that shows that this space will change when the society goes through democratization, the capacity of citizens grows, and the way of memory of the nation state changes accordingly. In this respect, memorials and museums can be said to be the best study subjects to determine how a society is currently dealing with memories of historical trauma and how likely they are to heal. Thus, this study analyze memorials and museums. Chapters 2 and 3 discuss historical trauma healing methodology and space healing theory.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means a process of social healing that deconstructs the current triggers that stimulate trauma and transforms the cultural soil. Chapter 2 systematizes the healing methodology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Judith Herman and Dominique LaCapra. In order to deconstruct cultural trigger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the dominant discourse, and based on this, there must be a performative body that creates a culture of remembrance based on a new relationship. Chapter 3, Media Methodology, is to discuss the space as a medium for transition and healing work for that purpose, and to reveal the contents of space healing. In the following chapters 4 and 5, based on the methodology discussed in chapters 2 and 3, along the flow of Korean historical trauma, colonization, separation, division, and division in connected with division-(war), the spatial narrative of trauma. As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narrative of memorials and museums among various ‘memory spaces’. The specific objects of analysis are memorials and museums in Korea that are memorizing memories of Korean colonization, separation, and division-(war). And, among them, the space that serves as a trigger of historical trauma and the space where an attempt to heal it appears are the objects of analysis. The narratives of these spaces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emories of colonization and separation in Chapter 4 and memories of division and war in Chapter 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rauma of Koreans. In Chapter 6,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s 4 and 5, we review cases in which Korean society is implementing a spatial narrative by a healing method. Furthermore, based on this, we seek a direction for how the spatial narrative of memorials and museums in Korea as well as other ‘memory spaces’ can be transited in a healing way. Through it, we propose what space healing for historical trauma means and how to do it. Spac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does not mean to ‘overcome’ or ‘end’ the past through a one-time visit to the space itself, such as a memorial or museum. Space healing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historical trauma exists in us and is spatially woven, and that it continues to ‘be wrote’ as a layer that forms a culture of remembrance through spatial media. Space healing starting from there is a way to form a citizen as a subject who creates a transition in the cultural soil that triggers historical trauma, that is, creates ‘healing’. In this discussion, ‘healing’ means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obstructed relationships of ‘bodies’ that are in a relationship through the field of memory, and also for that purpose, the current grammar that regulates the field of memory must be dis-constructed to make it different from before. It means creating a different way of ‘self-understanding’ and ‘sense of self’. And through this process, citizens voluntarily carry out ‘citizen-making’ that contradicts the state’s intention of ‘nation-making’ by utilizing traumatic memories. ‘Healing’ is not completed in a specific form at a specific point in time. Some knots may exist in between, but they are permanent tasks and can be bound again in a state of regression and suppression at any time. However, this study suggests space healing with the prospect that we can create a culture of remembrance for a better society by repeating the attempts of ‘working through’ for healing in our society despite such failures and difficulties.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방법론을 사회적 치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치유의 실제적인 수행을 위한 매체방법론으로 공간치유를 제안하는 연구다. 특히 이 연구는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공간치유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의 기념관과 박물관이라는 ‘기억공간’이 구현하고 있는 공간 내러티브에 대해 분석한다. 그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이 논의에서는 한국사회 ‘기억공간’의 공간 내러티브를 치유적으로 전환하고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공간치유를 어떻게 적용해 갈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한다. 역사적 트라우마는 특정 집단이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당대에 형성되었던 집단의 사회적 리비도가 좌절되면서 발생한 트라우마적 기억이 후세대로 전승되고, 그것이 현재의 정치·사회·문화적인 차원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역사적 트라우마는 그 트라우마적인 경험과 기억을 역사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특정 집단의 기억문화와 긴밀한 관계 속에 놓여있다. 트라우마는 그 자체로 치유의 필요성을 환기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것은 트라우마, 즉 외상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일으키면서 현재의 삶을 살아가는 것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라우마가 사회적 화두로 전면화되고 그것이 사회구조적인 폭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장애이자 치유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인정은 1980년대에 들어서야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것은 전투신경증을 앓던 베트남전 참전군인들의 반전운동이 정신의학자들과 결합하고, 성폭력과 가정폭력으로 인한 심리 장애를 겪어야 했던 이들이 여성운동과 함께 연대하면서 비로소 가능해진 일이었다. 한편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에 ‘기억’을 둘러싼 학적 논쟁을 거치면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홀로코스트는 그 논의 중에서도 대표적인 사안이었다. 비슷한 시기, 다른 한 편으로 세계 각지에서 권위주의 정권을 민주화하는 흐름이 진행되면서 ‘이행기 정의’ 실현의 문제가 떠올랐다. 그 과정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의 논의가 주목되기 시작했다. 국가가 장악하는 거대서사로서의 ‘역사’와 그에 대항하는 폭력의 희생자들의 ‘증언’과 ‘기억’의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화두이자 연구의 대상으로 떠오른 것이다. 하지만 트라우마가 하나의 의학적 진단의 대상으로 정식 인정되기까지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구조적인 폭력 속에서 발생한 집단의 역사적인 고통과 희생을 그 자체로 역사적 트라우마이자 치유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규정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과정에 놓여있다. 무엇보다 이 과정이 어려운 이유는 그것이 역사적 트라우마의 심리적 중핵을 활용해 ‘국민-만들기’를 수행하는 국가의 기억화에 대항하는 기억투쟁의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역사적 트라우마의 문제가 갖는 난점은 또 있다. 그것은 역사적 트라우마가 개인의 생애사적 경험 차원에서 발생하는 개인 트라우마와는 그 성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트라우마의 분석과 치유의 문제를 논하는 데 있어서 개인 차원의 치료나 수사적인 위로를 하는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적 치유의 관점이 트라우마와 그 치유의 방식에 결합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문제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한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질병을 치료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치유되지 못한 트라우마적 기억과 그것의 심리적 중핵이 현재화되면서 지금의 정치·사회·문화적인 관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트리거를 제거하는 작업을 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는 ‘기억하기-애도하기-연결의 회복’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집단이 가진 역사적 트라우마가 무엇인지, 어떤 구조적 상황 속에서 그것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기억하고 그 아픔과 희생에 대해 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거기에서 나아가 더는 과거와 같은 폭력이 반복되지 않도록 새로운 관계에 기반한 구조와 문화를 형성하는 ‘성찰적 극복하기’의 과정을 의미한다. 즉, 기억의 주체인 시민들이 집단의 기억문화를 바꾸는 시도를 통해 정치·사회적인 구조를 바꾸는 ‘성찰적 극복하기’를 해나가는 것이 곧 역사적 트라우마의 사회적 치유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적 트라우마의 사회적 치유를 위해서는 집단의 기억을 전승하고 매개하는 기억매체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양한 기억매체 중에서도 공간 매체를 통한 역사적 트라우마의 사회적 치유와 그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기억공간’은 바로 그 논의의 대상이 되는 집단의 기억매체다. ‘기억공간’은 지금의 ‘우리’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환기하는 곳들을 의미한다. 또한 ‘기억공간’은 그 공간을 이루는 사회·역사적인 다층적 기억들을 불러일으키면서 ‘기억하기’의 내용과 방식에 대해 논의하도록 어떤 계기를 제공하는 곳이다.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한 ‘기억공간’은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현장이면서 일상이 진행되는 DMZ 접경지역과 같은 곳, 역사를 품은 현장이지만 지금은 하나의 유적으로 남은 옛 서울역과 같은 곳, 그리고 현장을 벗어나 별도로 기억화를 위해 조성된 기념관과 박물관 같은 곳으로 나뉜다. 이 연구는 ‘기억공간’의 치유적 전환을 통한 역사적 트라우마의 공간치유라는 연구의 출발점에 서 있는 논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여러 공간 매체 중에서도 ‘기억공간’의 치유적 전환 연구를 총론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었다. 기념관·박물관은 국가에 의해 공식화된 한 사회의 기억방식을 가장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면서, 동시에 그 사회가 민주화를 거치며 시민의 역량이 성장하고 이에 따라 국가의 기억방식이 변화하면 이곳 역시 변화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기념관·박물관은 현재 우리 사회가 역사적 트라우마의 기억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으며, 그것의 치유적 전환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연구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념관·박물관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2장과 3장에서는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방법론과 공간치유론을 다룬다.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는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현재의 트리거를 해체하고 문화적 토양을 전환하는 사회적 치유의 과정을 의미한다. 2장에서는 주디스 허먼과 도미니크 라카프라의 분석틀을 통해 치유방법론을 체계화한다. 문화적 트리거에 대한 해체를 위해서는 지배적인 담론과의 관계 맺기를 전환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계에 기반한 집단의 기억문화를 만들어가는 수행적 신체가 있어야 한다. 3장 매체방법론은 바로 그것을 위한 관계 맺기의 전환과 치유작업을 위한 매체인 공간에 대해 논의하고 공간치유의 내용을 밝히는 것이다. 이어지는 4장과 5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논의된 방법론을 바탕으로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의 줄기를 따라 식민, 이산, 분단, 그리고 분단과 연속성에 있는 분단-(전쟁) 트라우마의 공간 내러티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앞서 밝혔듯이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억공간’ 중에서도 기념관·박물관의 공간 내러티브를 분석한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코리언의 식민, 이산, 분단-(전쟁)의 기억을 소재로 기억화를 하고 있는 한국 내의 기념관·박물관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역사적 트라우마의 트리거로서 역할하는 곳과 그것을 치유하려는 시도가 나타나는 곳이 분석의 대상이다. 이들 공간의 내러티브들은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기준으로 각각 4장에서 식민과 이산의 기억으로, 5장에서는 분단과 전쟁의 기억으로 나뉘어 분석된다. 6장에서는 4장과 5장의 분석을 토대로 현재 한국사회에서 그나마 치유적인 방식을 접목하여 공간 내러티브를 구현하고 있는 사례들을 검토한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기념관·박물관은 물론 다른 ‘기억공간’들의 공간 내러티브가 어떻게 치유적으로 전환될 수 있을지 그 방향을 모색한다. 그것을 통해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공간치유가 의미하는 바와 그 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공간치유는 기념관·박물관이라는 공간 그 자체의 전시교체나 그 공간의 일회적 방문을 통해 과거를 ‘극복’하거나 ‘청산’을 하자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공간치유는 역사적 트라우마가 우리에게 존재하며 공간적으로 직조된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공간 매체를 통해 집단의 기억문화를 형성하는 겹으로 계속 ‘쓰인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거기에서 출발하는 공간치유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트리거가 되는 문화적 토양의 전환을 만들어가는, 즉 ‘치유’를 만들어가는 주체로서의 시민을 형성해가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여기서 ‘치유’는 기억의 장을 통해 관계를 맺고 있는 ‘신체’들의 가로막힌 관계성을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하고, 또한 그것을 위해 그 기억의 장을 규정하고 있는 현재의 문법을 탈구축해서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자기 이해’와 ‘자기감’을 만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트라우마적 기억을 활용해 ‘국민-만들기’를 수행했던 국가의 의도와 배치되는 ‘시민-만들기’를 시민 스스로 해나가는 것이다. ‘치유’는 특정 시점에 특정 형태로 완결되는 것이 아니다. 중간 중간 어떤 매듭점은 존재할 수 있지만, 그것은 영속적인 과제이고 언제든 퇴행과 억압의 상태로 다시 결박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그런 실패와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 사회에서 치유를 위한 ‘성찰적 극복하기’의 시도를 반복함으로써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집단의 기억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전망 하에 공간치유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 일시적 내부자의 관점으로 표현한 역사적 장소의 의미와 재현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이희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undance and convenience to people, but the phenomenon of emphasizing only practicality and efficiency has derived various problems. This is also evident in terms of places, where historically important places are destroyed due to urban redevelopment and indiscriminate site demolition, and the identity of the place eventually fades. The attitude of treating historical places simply as things in the past and finding historical places with beautiful scenery are also things that further lose meaningful historical places. The historical place where the tragic event occurred in this era is neglected and alienated, and eventually disappearing. Since the existence of painful historical sites is an important cornerstone that reminds us of past errors and becomes a milestone in the future to come, many people should pay attention to ensure that the historical sites that are lessons exist correctly. The landscape of a place is an element of the place that is most directly affected when experiencing a private place.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the right place landscape, you must have a true sense of place and constantly interact with the place. The historical place he dealt with was the place where the tragic event took place,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place where the architecture and landscape of the time remain to this day. After visiting the actual historical places in person, he became a temporary insider and interpreted the place. Prior to that, I would like to verify through Edward Relph's theory how to interpret and deal with historical places, where separate events have occurred, and how the process of becoming a temporary insider proceeds. Edward Relph explained the attitude of experiencing a place in the 'external-internal' stage, which he refers to not simply a physical inner and outer distinction from a location, but to how emotionally deeply a person is involved in the place when experiencing it. Before starting the work, I visit the place in person, examine the appearance, and take pictures to prepare for the work. This is an attitude belonging to the first step of internality among Relph's theories, 'actional internality'. The process begins by carefully paying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place and looking at the scenery of the place. If you put your emotions a little deeper in the behavioral internality stage, you can have the second step, the attitude of 'emotional internality'. As interest in places gradually shifts from appearance characteristics to empathy, active efforts of observers are needed. This includes collecting information on events and real people in this place that cannot be known only by the landscape, and actions to understand the actual victim's situation. When the 'emotional empathy' is reached, which is the pre-existing stage of internality, it can temporarily become an insider in the place, After repeating the act of "visit-expansion of emotions" and becoming a temporary insider, I interpreted the historical place and observed the place mainly with a private perspective of "finding traces" and "doubting." This was carried out by periodically visiting a place to reveal the doubts and doubts commonly obtained in the work, and focusing on the scenery clearly visible from historical places or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A total of five historical sites, including Seodaemun Prison, Protest Movement Memorial Hall, Gwanghwamun Square, DMZ, Japanese Underground Bunker, and Jeju Seotal Oreum Massacre, were dealt with to study the existence of historical sites. I visually expressed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historical places in the work, personal doubts, and questions on the canvas. 이 논문은 한 개인이 역사적 장소의 실존적 내부자가 될 수 없는 상황에서 일시적인 내부자가 되어 그 장소를 주관적으로 경험하고 해석하여 장소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인은 한국에 남아있는 비극적 역사 장소와 치욕스러운 역사 장소들이 현재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고 있는지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아픈 역사 장소들이 방치되고, 세트장같이 변화하는 역사관의 존재 방식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직시하고 해결점을 찾기 위함이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발달은 사람들에게 풍요와 편리함을 가져다줬지만, 실용성과 효율성만 강조하는 현상은 다양한 문제들을 파생시켰다. 이는 장소의 측면에서도 명백하게 드러나는데 도시재개발과 무분별한 장소 철거로 인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장소들이 파괴되고, 그 장소의 정체성은 희미해져 무장소성으로 그곳이 채워지게 된다. 역사 장소를 단순히 과거 속의 일들로만 취급하는 태도와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역사 장소만을 찾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역사 장소를 더욱 상실해나가게 하는 것들이다. 현시대에서 비극적 사건이 일어난 역사적 장소는 방치되고 소외되어 결국 사라지고 있다. 아픈 역사 장소의 존재는 과거의 오류를 상기시키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이정표가 되는 중요한 초석이 되기 때문에 교훈이 되는 역사적 장소가 올바르게 존재할 수 있도록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장소의 경관은 한 개인 장소를 경험할 때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장소의 요소이다. 그렇기때문에 올바른 장소 경관을 만들기 위해 진정한 장소감을 가져야 하며, 끊임없이 장소와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본인이 다룬 역사적 장소는 비극적 사건이 이뤄진 장소로서 당시의 건축이나 경관이 현재까지 남아있는 곳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실재하는 역사 장소들을 직접 방문한 뒤 그곳의 일시적인 내부자가 되어 그 장소를 해석했다. 그에 앞서 본인은 역사적 장소에서 내부와 외부 중 어디에 있는지, 본인과 별개의 사건이 일어난 역사 장소를 어떻게 해석하고 다룰 수 있는지, 일시적 내부자가 되기 위한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의 이론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에드워드 렐프는 장소를 경험할 때 가지는 태도를 ‘외부성-내부성’의 단계로 설명하였는데 그가 말하는 외부성과 내부성은 단순히 위치에서 오는 물리적인 안과 밖의 구분이 아니라 한 인간이 장소를 경험할 때 얼마나 감정적으로 깊이 관여하여 그 장소에 감정을 이입했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본인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그 장소에 직접 방문하여 외관을 살피고 사진을 찍고 드로잉하는 준비 자세를 갖는다. 이는 렐프의 이론 중 내부성의 첫 번째 단계 ‘행동적 내부성’에 속하는 태도이다. 그 과정은 신중하게 그 장소의 모습을 주목하며 장소의 경관을 살핌으로써 시작된다. 행동적 내부성 단계에서 조금 더 깊이 감정을 이입하면 두 번째 단계인 ‘감정 이입적 내부성’의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장소에 대한 관심이 외관상의 특성에 관한 것에서 점차 감정이입적인 것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관찰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경관만으로 알 수 없는 이 장소의 사건, 실존 인물들에 관한 정보들을 모으는 것과 실제 피해자의 상황을 이해하려는 행동 모두를 포함한다. 실존적 내부성의 전 단계인 ‘감정이입 내부성’에 도달하면 일시적으로 그 장소에 내부자가 될 수 있다. 본인은 이와 같은 ‘방문 - 감정 확장’의 행위를 반복하여 일시적 내부자가 된 뒤 역사적 장소를 해석하였고 주로 ‘흔적 찾기’와 ‘의심하기’라는 사적인 시각을 가지고 장소를 관찰하였다. 이는 한 장소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공통으로 얻어지는 의심과 의문을 작업에서 드러내며 역사적 장소에서 뚜렷하게 보이는 경관이나 건물의 외관을 중점을 두어 작업을 진행하였다. 서대문형무소, 대공분실, 광화문 광장, DMZ 일제 지하벙커, 섯알오름학살터 등 총 5가지의 역사 장소를 다뤄 역사 장소의 존재 방식을 연구하였다. 본인은 작품에 다양한 역사적 장소의 경관에서 나타나는 피상적인 특징과 본인의 사적인 의심과 질문들을 캔버스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행위는 그림 작가가 한 장소의 본질을 연구하는 방식이며, 이 행위는 장소 정체성의 보존과 육성으로 이어진다.

      • 초등사회과에서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임윤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표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고 있는 역사적 사고력의 개념과 특성 및 그 구성요소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역사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활용한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역사적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사고력이란 역사가가 역사를 연구하고 역사문제를 다룰 때 발휘되는 사고로서, 시간과 증거를 중요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직관적이고, 사건의 유사성 보다는 개별성과 다양성에 관심을 가지는 사고이며, 증거에 기초한 감정이입을 통해 과거인의 행위와 사상, 감정 등 상상적으로 재구성하는 상상적 이해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역사적 사고력은 네가지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 구성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 연대기에 대한 이해와 역사지식은 시간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역사적 사건, 인물, 장소 등에 대한 지식을 말하는 것이며, 역사적 탐구력은 역사적 의문점에 질문을 던지고 다양한 관점에서 숙고하며 역사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비판하는 능력과 선택된 자료로부터 문제해결에 필요한 내용을 해석하고 분석하며, 비교, 종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 상상력은 인지적 성격을 지닌 지적활동으로 역사적 자료에 빠져 있거나 명백하게 나타나 있지 않은 증거의 간격을 메워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다. 역사적 판단 및 의사결정력은 과거의 사건과 인물에 대한 판단은 물론 문제 해결 및 결정을 위한 대안들을 검토하고 결정과 행동의 득실을 평가하는 일련의 사고능력이다. 셋째, 역사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료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사료를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에 활용하게 되면 기억과 회상에 의존하는 기존의 평가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실들을 눈으로 직접 목도하고 그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며, 추론하고, 해석하며, 판단할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다. 넷째, 평가 영역과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도구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여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자극하고 그 성취 정도를 알아 볼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를 위한 각 영역은 역사적 사고력의 특성에 비추어 연대기에 대한 이해와 역사지식,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 및 의사결정력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구체적인 평가목표를 제시하여 성취기준으로 삼고 평가 장면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 목표를 토대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가문항 개발 절차에 따라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역사적 사고력이 역사교육의 중요한 교육적 목표라고 할 때, 역사교육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육성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를 연대기에 대한 이해와 역사지식,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 및 의사결정으로 재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기능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역사적 사고력 평가를 위한 평가 영역을 명확히 할 수 있었으며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기존의 평가에 대해 재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를 위한 구체적 목표를 제시하고 평가 문항의 개발 방향 및 사료를 활용한 평가도구의 개발 방법을 제시하여 평가문항의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였으며,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가 목표를 상세화하여 각 문항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를 위한 형성평가나 총괄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현장 교사들이 역사적 사고력 평가의 필요성 및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역사적 사고력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의 어려움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사료를 활용한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현장 교사들에게 역사 교육에서의 새로운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ncept, the features, and the components of historical thinking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history;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earch the effective way of assessment for the ability of historical thinking, using the historical documents, in the elementary level social study class. The development process of evaluation method including actual historical doucments will be presented; and the realistic sample also be suggested in this study.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al thinking is a way of thinking which historians use when they deal with historically important events. It focuses on time and evidence as well as intuition, individuality and diversity. The imaginative understanding of the past which is an ability to reconstruct past action, idea, and emotion through evidence based empathy is the main benefit from the manner of thinking. Second, the historical thinking consists of four categorie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chronology shows the comprehension level of historic time, events, and figures. Historical inquiry tells the ability to point out historic question, to consider it in various views, to collect data with keen criticism, and to synthesize it through reasonable analysis. Historical imagination is the intellectual cognition which tries to fill in the blank between written materials and obscure myths. Historical judgement and decision-making, lastly, indicates the capability for evaluating the historical decision and situation in the past as well as their present effects. Third, it is adequate to use the historical documents for the assessment of historical thinking. It helps learners to make questions for themselves, to infer on their own way, to translate it in their own words, and to decide the right direction by themselves instead of old-fashioned memorization and recollection test. Fourth, the practical sample test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can stimulate the learners' historical thinking and realistically assess the students' achievement while setting up the exact test area and goal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four categorie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chronology, historical inquiry, historical imagination, and historical judgement and decision-making, constituted the evaluation area with concrete achievement goals and test scene for each area. It also follows the standardized process of assessment questionnaire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given test goals and areas. Since the historical thinking is one of the essential aims of history, it is definite that more interest needs to be put in the assessment of historical thinking. In the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and the features of the historical thinking, therefore, four assessment categories were set up in this study. A proto-type assessment method with historical documents was also developed as an alternative for the earlier type test. The standard development procedure of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materialized during the process, which is easy to apply to formative or summative test in real classroom situation.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help teachers to solve the dilemma between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thinking assessment and the difficulty of origi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