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전문직 취업여성을 중심으로

        오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Modern society has undergone rapid economic change and subsequent human migration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open-door immigration policy. Korean society has also undergone a hectic transforma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an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Ethnic Korean women living in China hold similar dispositions in terms of language and way of life to Koreans in Korea, and account for a great proportion among immigrant wives. As ethnic Korean women from China who marry a Korean man can learn Korean language and adapt to life in Korea quickly, so they can also easily get a job in Korea and enjoy a variety of experiences getting them. Therefore, they were appropriate for subjects as this study. This study aims at decid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getting a job in Korea for ethnic Korean women from China who have married a Korean man and have been engaged in professional occupations. The study focuses on descriptions and analyses of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thnic Korean women from China who married a Korean man, and engaged in professional occupations liv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 motifs of path, significances and plans in the future as to getting a job in the manner of cas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ir reason for getting a job can be divided into economic reasons and non-economic reasons. An economic motif is to 'cover living expenses,''cover educational expenses for children' and 'prepare my home.' Non-economic motifs varied from 'escaping from stifling daily life,' 'helping others,' 'a rewarding work and fun' to 'adapting to the Korean society,' etc. Second, any analysis of categorizing the path of participants getting a job into those with career experiences in the manufacture/service industry and those without those experiences resulted in the former's boasting a good command in English to seek information to get a job for themselves and applying for a position, and they were engaged in a variety of occupations. In addition, those without any experience in the industries displayed relatively more experiences in the government authorities. Third, significa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getting a job varied in positive significances such as 'economic assistance,' 'self-development,' 'mental self-fulfillment and happiness,' 'expansion of social network', 'beneficial for child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position within the family,' and negative significance such as 'role conflict.' Fourth,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bias against foreigners, immigrant wives and married women under the process in getting a job or at workplace, and also experienced some discriminations in terms of their academic history and age in the job market. In addition, a negative perception of immigrant wives by Koreans made them uncomfortable and disrupted their sense of well-being. Fifth, their future plans related to getting a job were those in which they can make use of their linguistic ability. Suggesting some ideas that would somewhat be of help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First,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not proficient in Korean language, and have no high academic history. But they were seeking for a job and were engaged in a position nearly an expert though education and job-training they have participated in so that they could adpat to life in Korea. Thereby, we can analogize that those who went from the stage of early adaptation to settlement working with Koreans in the Korean society would work together with them in Korea and hold a great desire to get a job to enjoy economic stability and bountiful life. So, a study and policy to understand their desire for getting a job and discover types of profession they can be engaged in, which are at the stage of settlement, shall be pushed ahead. Second, several conflicts they have experienced while they were at home and their place of work at the same time were commonplace. Conflicts owing to situations in which they cannot raise their kids and educate them well were the most serious, so it seems that associating employment support policies for those women with raising their kids and supporting their education might be desirable in the future. Third, their future plans were concentrated on the positions in which they can make use of Chinese language. A variety of job success models shall be discovered, and success cases overseas can be introduced to diversify these women's professions, which would expose them to a number of occupations and be left for future reviews. This study is an in-depth research for some cases of ethnic Korean immigrant wives from China with experiences in professional posts, which includes several limits as follows. First, it has collected its subjects throug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o they could hold pride in their work as a practitioner and hold positive mind-s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periences at their work-pla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fession they are engaged in through subsequent researches aiming at immigrant wives in a number of professions.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moved to the cities or migrated to get a job for a better condition from their homeland before marriage. In addition, they hold a strong desire for getting a job based on managing their lives after entering Korea. Participants' plans for future professions were neither concrete nor diversified compared to their active application to establish their sense of existence. Therefore, holding a concrete plan for future life or discovering some cases to prepare for their future professions might be necessary in order to set plans that can support their getting a job in the future. Key-words: immigrant wives, ethnic Koreans in China, motif of getting a job, significance of getting a job, discrimination and bia 현대 사회는 세계화와 개방화에 따라 경제·사회적 인구이동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한국사회도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맞아 국제결혼 증가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 하고 있다. 조선족은 한국인과 언어와 생활습관이 비슷하고 민족의 동질성으로 인해 결혼이주여성들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조선족 결혼이주여성들은 결혼이주 후 한국어와 한국생활에 빨리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비교적 쉽게 취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취업경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대한 연구 대상으로서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이 적합하다. 본 연구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고 전문직에 취업한 경험이 있는 조선족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취업경험에 대한 의미를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며 전문직에 취업한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으로 수집한 자료를 사례연구법에 의해 취업의 동기, 취업경로, 취업의 의미와 미래계획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취업동기는 경제적 동기와 비경제적 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경제적 동기로는 남편의 낮은 소득으로 인해 이들이 취업함으로써‘생활비 충당’, ‘자녀교육비 충당’, ‘내 집 마련’을 하기 위한 것이다. 비경제적 동기로는 답답한 일상에서 탈피’, ‘다른 사람에게 도움’, ‘일의 보람과 재미’, 또는‘한국사회에 적응 등 다양한 동기가 표출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취업경로를 생산·서비스직 유경험자와 생산·서비스직 무경험자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생산·서비스직 유경험자의 한국어실력이 우수해 스스로 취업정보를 찾고 구직활동을 했으며, 다양한 일을 해온 경험이 있다. 또한 생산·서비스직 무경험자들은 정부 공공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취업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로는‘경제적 도움’, ‘본인의 발전’, ‘정신적 충족감과 행복감’, ‘사회연결망 확장’, ‘자녀교육에 도움’, ‘가족 내 지위 향상’등의 긍정적 의미와 ‘역할 갈등’과 같은 부정적 의미 등 다양한 의미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구직과정이나 직장생활에서 외국인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그리고 기혼자에 대한 차별적 언사와 편견을 경험했으며, 취업시장에서 학력과 연령에 대한 차별이 존재함을 경험했다. 또 한국인들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이들을 불편하고 힘들게 하는 경험이었다. 다섯째, 연구참여자들의 취업과 관련된 미래계획은 자신의 중국어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 중 일부는 한국어에 능통하지 못했고 학력이 높지 않지만, 그들이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참여한 교육과 취업훈련을 통해 스스로 직업을 찾고 전문직에 준하는 일을 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 적응단계를 지나 정착 단계에 진입한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에서 한국인들과 같이 일하며 경제적인 안정과 풍요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높은 취업욕구를 가지게 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착단계에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욕구를 파악하고 취업가능 직종을 발굴하는 연구와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 하는 역할을 하면서 경험한 갈등은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역할갈등 중에서도 자녀양육 및 교육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한 갈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지원정책은 자녀의 양육 및 교육 지원과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미래 계획이 중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일에 집중된 현상을 보였다. 이들의 취업 직종을 보다 다양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 성공모델을 발굴하고 외국의 성공사례를 소개하는 기회를 통해 다양한 직업에 이들을 노출시키는 방안들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직 취업 경험을 가진 조선족 결혼이주여성들의 사례에 대한 심층면접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을 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모집했기 때문에 이들은 전문직 종사자로서 일에 대한 자부심과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직종에 따른 취업경험과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결혼 전 모국에서 더 나은 조건의 취업을 위해 도시 이동 또는 노동이주를 감행하기도 했다. 또 한국에 입국 후 생활력을 바탕으로 강한 취업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던 것에 비해 미래의 일 계획은 구체적이거나 다양하지 않았다. 따라서 구체적인 미래 계획을 가지고 있거나 미래 직업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사례를 발굴하는 것도 이들을 위한 향후 취업지원계획의 수립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결혼 상태에 따른 취업여성의 건강 및 건강행위 비교

        김선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결혼 상태에 따른 취업여성의 건강 및 건강행위를 비교 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01년과 2007년~2009년 질병관리본부와 한국사회연구원이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혼 취업여성의 경우, 2001년과 2007년~2009년에 모두 미혼 취업여성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고(p<0.01), 교육 수준이 낮고(p<0.01), 월 평균 가계 소득이 높았으며(p<0.01) White-collar형 직업 형태는 다소 낮았다(p<0.01).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2. 신체적 건강의 경우, 기혼 취업여성이 미혼 취업여성에 비해 2001년에는 비만 이환율(p<0.01)과 근골격계 질환(p=0.03), 우울증 이환율(p=0.37), 요실금 이환율(p=0.45)이 높았으며, 2007년~2009년에는 우울증 이환율(p=0.17)과 요실금 이환율(p<0.01), 암 이환율(p=0.23), 중이염 이환율(p=0.26)이 높았다.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3. 정신적 건강의 경우, 2001년에는 미혼 취업여성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었고, 2007년~2009년에는 기혼 취업여성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이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4.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 결혼여부가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조사 결과, 2001년에는 미혼 취업여성은 기혼 취업여성에 비해 불충분한 운동을 할 확률이 0.6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I:0.35-1.36). 2007년~2009년에는 미혼 취업여성은 기혼 취업여성에 비해 불충분한 운동을 할 확률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CI:0.98-2.09),, 불충분한 건강검진을 받을 확률이 2.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I:1.42-3.35). 이는 최근 미혼 취업 여성의 건강행위가 과거에 비해 안 좋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5. 결혼 여부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혼 취업 여성의 정신적 건강중 우울증, 자살 시도는 감소하였고, 신체적 건강 중 비만, 근골격계 질환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신적 건강 중 스트레스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is to compar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female workers according to marriage status. The data used in this was from the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ed to unmarried female workers, married female workers is older in mean age(p<0.01) and low educational attainment(p<0.01) and higher family monthly income (p<0.01) and less number of white collar(p=0.01) in both 2001 and 2007~2009. 2. For physical health status, compared to unmarried female workers, married female workers has higher prevalence of obesity(p<0.01) and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p=0.03), depression(p=0.37), urinary incontinence(p=0.45), cancer(P=0.23) and otitis media(P=0.26). However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For mental health status, while unmarried female workers feel more stressful in 2001, married female workers feel more stressful in 2007~2009. However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for heath behaviors, in 2001, odds ratio of irregular exercise in unmarried female workers is 0.67(CI:0.35-1.26). In 2007~2009, odds ratios of irregular exercise in unmarried female workers is 1.5(CI:0.98-2.29) and odds ratio of insufficient physical health examination is 2.18(CI:1.42-3.35).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that nowadays, health behaviors of unmarried female worker got worse than before. 5.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mpared to 2001, in 2007~2009, odds ratio of mental health(melancholy and suicidal attempt) in married female workers decreased. However, odds ratio of physical health(obesity and musculoskeletal disease) in married female workers increased. For stress of mental heatlh, there is no change of odds ratio between 2001 and 2007~2009.

      • 경력단절 여성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취업지원 운영체계 분석

        배윤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bout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Center which supports vocational training and Job-seeking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These are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and Job-seeking Support needs four established steps. It starts with the in-depth counseling,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potentiality, the job mediation, and the continues employment stage. Especially those who were out of career for long period of time lack confidence and information of the labor market. Therefore in-depth counseling is very important for career support for them. Also post employment support is essential since many of them give up easily and need more time to adjust themselves to the new career. Second, the careful research on labor demands and the individual woman's need on the job should be done periodically in the local area. This research is the foundation of new care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s. The detailed information would help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job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men's work or newly arising occupations.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enough human power and budget are provided for the research. Third, vocational training and Job-seeking Support center for Women should put effort on finding 'decent jobs'. Also the center should consider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post employment training to help who participate lowly payed and unskilled works. Filnally, making women friendly industrial complex is important. this can be done by quantitative expansion of women laborers, making woman-fiendly work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rearranging spaces to create woman-fiendly places. 본 연구는 여성직업훈련&#8228;취업지원 전담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지원본부가 국가의 젠더균형발전 및 성평등실현에 기여할 수 있기 위하여 어떠한 운영방향과 운영체계를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친화적’으로 여성직업훈련&#8228;취업지원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성인지적 관점의 통합이 필수라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여성직업훈련&#8228;취업지원 전담 공공기관인 여성새일지원본부의 운영현황에 관해 기능적 측면&#8228;운영적 측면&#8228;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여성 직업훈련ㆍ취업지원기관의 운영체계와 개선방안에 대해 성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여성새일지원본부의 현황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기능적 측면에서 여성새일지원본부는 직업상담, 직업훈련, 취업지원, 복지서비스의 네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운영적 측면에서, 여성새일지원본부는 ‘맞춤형’ 여성특화 취업지원기관으로서 산업단지 내의 구인-구직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수요&#8228;욕구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운영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측면에서, 여성새일지원본부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설립된 ‘공단형’ 여성취업지원기관으로서 산업단지 내의 ‘괜찮은 일자리’의 개발에 지속적으로 주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여성친화적인 공단만들기 사업은 ‘공단 내 여성노동자의 수를 확대하기’, ‘여성친화적인 직장문화 만들기’, 그리고 ‘각종 편의시설 확충하기’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동시에 ‘여성친화적으로 공간 재배치하기’ 역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운영현황 분석을 통해 논의된 여성직업훈련·취업지원기관의 운영체계 및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직업훈련ㆍ취업지원은 운영체계를 심층상담지원, 전문능력개발지원, 노동시장진입지원, 취업지속지원의 4단계로 확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경력단절의 기간이 길었던 여성들의 경우에는 일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고 노동시장의 동향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으며 어떠한 일을 할 것인지에 관해 막연하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심층직업상담은 여성특화의 취업지원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심층상담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운영체계에 심층상담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취업 후 지원 역시 중요한데, 경력단절 여성들의 경우 재취업 후 또다시 재이탈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직장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기까지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는 노동시장 진입단계까지의 지원만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왔고 취업지속 지원단계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취업지속 지원단계를 위한 운영체계 확립 및 인력&#8228;예산확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직업훈련 및 취업지원에 관한 평가체계도 이와 같은 운영방향 및 운영체계에 맞추어 심층상담, 취업후지원 등의 노력이 적절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또 새로운 직업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좋은 성과를 보였을 경우에도 이러한 노력에 대해 충분한 평가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평가체계가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기관이 ‘맞춤형’ 여성직업훈련&#8228;취업지원 기관으로써 산업단지 내의 구인-구직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설립된 만큼, 지역 내 구직-구인에 관한 수요ㆍ욕구조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요&#8228;욕구조사는 생략되어오거나 간접적으로 정보를 구하는 수준에 머물러 왔다. 정확한 수요&#8228;욕구조사는 새로운 직업훈련프로그램의 활발한 개발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지역별로 연구기관·연구자 등을 지정하여 주기적으로 조사를 수행하게 하거나, 여성 직업훈련ㆍ취업지원기관에서 직접 조사할 수 있도록 인력 및 예산을 지원하는 등의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여성 직업훈련·취업지원기관은 ‘괜찮은 일자리’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여성들이 저임금ㆍ저지위ㆍ저숙련의 일자리에 함몰되어 빈곤의 늪에 빠지지 않도록 경력개발지원 및 취업후보수교육 등의 운영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주의적 노동정책은 남성생계부양자-여성가사책임자의 구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여성주의 정책의 핵심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인적자원개발은 경제발전와 함께 성평등의 고용실현을 통해 젠더균형발전을 함으로써, 여성들의 자아실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여성인적자원개발은 성주류화전략과 성인지적 관점의 도입을 통해 여성주의의 큰 흐름과 함께 나아감으로써 궁극적으로 성별에 따른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변화시켜 성평등 사회를 이루기 위한 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미취업·경력단절 여성의 회복탄력성이 창업의지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를 포함하여

        이은주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들의 회복탄력성이 창업의지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사회적 관계망의 결속력에 따라 사회 경제활동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해당 영향관계 내 네트워킹의 조절효과 역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2월 16일부터 2020년 3월 24일까지 미취업 여성 및 경력이 단절된 여성 1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먼저 각 변수를 구성하는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이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미취업경력단절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취업경력단절여성의 회복탄력성 역시 경력계획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킹은 미취업경력단절여성의 회복탄력성과 창업의지 및 경력계획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미취업경력단절 여성을 지원하는 방식이 자금이나 공간제공 등의 물질적 지원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는데, 향후에는 도움이 필요한 여성들의 심리적 측면인 회복탄력성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해 창의성 및 자신감 제고를 위한 교육, 멘토링, 감성삼당 등의 도입을 고려 해 볼만 하다. 둘째, 미취업경력단절 여성들의 네트워킹 활동의 중요성이 입증된 바, 여성회관, 여성인력개발 센터 등의 시설을 구축하여 미취업경력단절 여성들이 네트워킹의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e primary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resilience of unemployed and career-interrupted women can influenc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career planning.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variables, as the level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can vary according to the degree of network cohes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62 unemployed and career-interrupted women from 16th February 2020 to 24th March 2020.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first carried out, follow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resilience of unemployed and career-interrupted wome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It also has a positive corelation with career planning.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career plann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 when supporting unemployed and career-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psychological aspect, especially, resilience. In fact, to date, the governmental support for unemployed and career-interrupted women has overly been focused on providing financial aid and affordable spaces only. In this regard, other methods to boost creativity and confidence, for instance, training, mentor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should be developed and adopted much more. Second, as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was verified in this research, by establishing sufficient infrastructure such as women’s centers and wome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s, it is also imperative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n which unemployed and career-interrupted women can have quality networking opportunities.

      • Comparative study of female employment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Jing, Yong-shan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여성의 취업문제는 예전부터 국내외 학술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중국의 경제와 사회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경제수준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하에서 여성 취업문제를 연구하는 것은 중국 사회정책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 여성 취업문제를 해결하는데 실증적 참고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중국과 미국 정부가 발표한 인구 센서스 통계 수치로 간단한 설명을 하고 그 다음 Heckman-2단계 모델로 중국과 미국의 2000년~2009년data를 실증분석하려고 한다. 자세한 분석과 비교를 거쳐 중국과 미국의 여성들전반적인 취업상황 및 양국 취업 여성들의 연령구조, 문화 수준, 혼인과 출산 상황, 자녀수와 가정 규모 등 방면의 차이를 알아보고 새로운 세기에 들어선 후 중국 여성의 취업 현황 및 존재하는 문제를 탐구하려 한다. 그리고 정부와 사회 차원에서 중국 여성취업에 존재하는 문제의 해결책 및 제안을 제출하려고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미 양국의 취업 여성은 연령구조, 문화 수준, 혼인과 출산 상황, 자녀수와 가정 규모 등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 차이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중국과 미국의 영향에 따른 여성 취업률 무두 역 U자향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여성의 직업 경력은 미국보다 짧고 하강 포인트도 미국보다 빠르다. 2.여성의 학력이 높을 수록 취업기회는 더욱 많고 월급도 더 높다. 높은 학력을 가지고 있는 중국 여성의 취업기회는 미국 여성보다 많다. 3.배우자의 수입이 많을수록 여성은 더욱 쉽게 취업한다. 이 특징은 중국에서 더 뚜렸하게 나타났다. 4.혼인과 자녀수는 모두 여성 취업율과 월급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 중국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미국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5.가구 원수가 많을수록 미국 과 중국 모두에서 여성 취업율과 월급 수준을 떨어뜨리는 경향을 나타났다. 미국과 비교시, 중국은 이 요소의 영향을 미국보다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이중역할부담 연구

        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ase of Russia exemplyfies how women’s launching into social labour resulted in the problem of double role, in spite of the contribution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to the gender equal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burdens of double role experienced by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and to explore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family role and work role are manifested in their lives. This research focused on 300 highly educated women married with pre-school children, working full-time in Moscow.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with a questionnare in Russian, which was completed by the respondents themselves.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m are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of domestic role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The traditional division of gender-role still strongly remains in their home. Their husbands’ help exists, but women’s work is not equally shared with their husbands. In terms of the social services, most of the respondents use day care facilities, but they use services for domestic labour little. 2. The disparity of expectations of gender-role between spouses and marriag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More women have the equality-oriented expectations than their husbands.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general marriage satisfaction is the one consisted of the satisfaction at a husband’s help for domestic labour, for child care,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pouses. 3. Job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The psychological reason is greater than the economic reason for their working.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is the one related to the satisfaction at the achievements in the job, compared with the satisfaction at the working hours. 4. The burdens of double role perceived by the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cities of Russia: The degree of perceiving double burden is generally high, with the need for the spare time highest. Most of them regard having a part-time job and a family as their ideal. For the alleviation of double burden, they suggest the reduction of the working hours,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society, and the socialization and mechanization of the domestic labour. 5. Th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question: the degree of the double burde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pondents’ degree of marriag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their husbands’ degre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degree of double burden ar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he number of children(+), the husband’ degre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the age(+), and the degree of marriage satifact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implicaions for Korea are as follows. The case of Russia shows us that women’s social employment without sufficient measures for relieving women’s domestic responsbilities would only result in double burden. The measures include the social services for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the substantial redefinition of gender-role, and more possibilities for the part-time jobs and flexible working schedules for both men and women. For the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 of women’s double burden and to make a social issue of the problem not leaving it within the personal realm, as well as the social work practices and education oriented to gender equality. 여성의 직장 진출이 여성의 지위향상에 공헌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이면에 이중역할이라는 다른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를 잘 보여주는 예로서 러시아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 여성이 경험하고 있는 이중역할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이 그들의 삶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가정영역과 직장영역에 걸쳐 그 관계를 기술하조자 함이다.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하여 문헌고찰에서는 우선 제 1절에서 사회주의의 여성관을 알아본 후, 제 2절에서는 러시아의 여성 및 가족정책을 여성의 이중 역할과 연관시켜 고찰한다. 그리고나서 제 3절에서는 가사 및 육아의 수행 양상을 공적 서비스 이용과 부부간의 역할분담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그 다음 제 4절과 제 5절에서는 각각 이중역할의 양 측면인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에 이중역할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제 6절에서는 이중역할의 해결책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모스크바에 사는 기혼여성으로서 전일제로 취업하고 있으며 학령전 자녀(0세-6세)를 하나 이상두고있고 고등교육을 받는 여성이며, 표본의 추출은 모스크바 사회학 연구소의 기업명단에서 직장을 무작위로 추출한 후 각 직장에서 조사대상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 300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본 연구목적에 맞게 고안된 질문지를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식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조사질문 및 이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가사 및 육아 수행의 현황: 가사와 육아에 애하여 성역할의 전통적 구분이 아직도 강하게 존재하며, 남편이 돕기는 하지만 여성의 일이 균등부담되지 않는다. 또한 탁아 서비스의 이용은 어느정도 확립되어 있으나 가사 서비스의 이용은 경미하다. 2.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이 지각하는 가사 및 육아 분담에 대한 기대의 부부간 차이와 결혼생활 만족도: 부부간에 일치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아내가 더 평등지향적인 경우, 남편이 더 평등지향적인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반적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용인들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용인은 가사에 남편도움, 육아에의 남편도움, 남편과의 상호이해에 대한 만족도의 세 변인이 이루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3. 러시아 도시 기혼 취업여성의 직장생활 만족도 및 취업 동기 : 직장 만족에 관련된 용인 중 개인의 직업적 성취에 관한 요인이, 근무시간에 관련된 용인보다 만족도가 낮으며 전반적 직장생활 만족도에 보다 영향력이 크다고 나타났다. 취업동기를 경제적 동기(경제적 필요성)와 심리적 동기로 분류해 볼 때, 단순히 경제적 이유 때문만이 아닌 심리적 이유가 취업동기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러시아 도시 기혼취업여성의 이중역할의 부담 : 이중부담정도는 전반적으로 상위에 속하며, 여가시간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다. 대부분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삶의 형태는 가정과 시간제 직업을 병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역할 부담의 경감책에 대한 제안 중 근무시간의 감소가 가장 많으며, 그다음으로 현재 러시아가 처한 경제적 위기상항의 개선, 그리고 사가노동의 사회화와 기계화에 관한 제안이 나타났다. 5. 조사질문들간의 관련성 : 이중부담 정도는 남편의 가사육아참여도, 아내(조사대상자)의 결혼생활만족도, 직장생활 만족도와 다 부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부담 정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관해 보면, 직장에 만족할수록 이중부담을 덜 느끼며, 자녀수가 많을수록 이중부담을 더 느끼고, 남편이 가사 육아에 많이 참여할수록 이중부담을 덜 느끼며,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이중부담을 더 느끼고, 결혼생활에 만족할수록 이중부담을 덜 느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한 우리나라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가정역할의 경감 혹은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여성의 취업은 이중역할부담만을 야기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혼 여성의 취업이 증가일로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여성의 이중역할에 대한 문제의식을 더욱 확고히 해야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여성의 경제활동이 여성에게 이중역할의 어려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여성에게 심리적 만족감 및 자신감을 부여하는 중요한 용인이 되고 있으므로 여성의 삶을 전업주부라는 규범에만 한정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우리에게 시사해준다. 셋째, 러시아에서 여성의 이중역할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가정은 여성의 책임이라는 인식에 기반을 두어왔다는 데에 근본적 문제점이 있으므로, 가사와 육아에 대한 성역할의 재규정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의 이중역할 문제는 많은 부분 사회의 여성에 대한 양면적 기대, 즉 전통적 역할과념과 양성 평등의식의 혼재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남녀를 막론하고 각 개인에게 어떠한 생활방식의 정형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자기의 취향이나 인생의 주기에 따라서 가사와 취업을 융통성있게 선택할 수 있는 생활방식의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다섯째, 러시아의 경우 최소한 탁아 서비스의 양적 확대만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이는 문제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 차원으로 이전될 때 해결책이 모색된다는 예가 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공적 서비스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쟁점화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섯째, 여성의 이중 역할 문제 및 평등한 부부관계를 위하여 사회복지사업 실천 분야에서도 임상서비스 및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성역할에 대한 재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 여성들의 이중역할을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종합병원 취업여성의 양육스트레스 및 직장보육시설의 요구도 조사

        김미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의 급속한 발전 및 경제성장 등의 사회적 변화는 가족구조의 변화와 개인의 가치관 및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여성의 역할이 가사와 육아에만 전념하던 전통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사회활동 및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정과 사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이중 부담을 안게 되었다. 여성의 경제참여가 보편화 되면서 자녀 양육문제가 가정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적인 과제로 부각 되면서 여러 가지 대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여전히 취업여성들은 자녀 양육문제로 인해 취업을 유지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취업여성의 경우 대부분 고학력의 전문직으로 오랜 경력을 필요로 하는 직업특성을 가지고 있어 출산과 육아로 인해 취업을 유지 하지 못할 경우 개인적인 측면에서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더군다나 병원의 특성상 규칙적이지 못한 근무형태로 인해 타 직종에 비해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일․가정의 양립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녀 양육스트레스는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인 아동기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인 발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자녀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해 시급한 보육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취업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육실태와 양육스트레스의 집단 간 특성을 분석하여 보육실태의 개선과 양육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로 제시하였다. 더불어 연구대상자의 직장보육시설 운영형태 요구도 및 제안 사항을 조사하여 병원취업여성을 위한 직장보육시설의 설치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K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만 7세 미만의 미취학 자녀를 둔 26세 이상의 기혼여성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23일부터 2014년 4월 26일까지 3일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및 카이제곱검정, Fisher's Exact 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조사 결과 직장생활을 하면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을 자녀 양육 및 교육문제라고 대답하였으며 종합병원취업여성이 가장 많이 선택한 보육형태는 자녀의 조부모 또는 친인척에 의한 가정보육이었다. 특히 어린 자녀 일수록 가정보육을 선택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믿고 맡길 수 있다.’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보육은 100만원 이상의 과중한 보육비로 부담을 떠안고 있었다. 현재 선택한 보육형태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거나 보통이라고 대답하였으며 근무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막내자녀의 나이는 자녀가 어릴수록 보육형태의 불만족이 2배 이상 높게 분석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부부와 자녀로만 이루어진 핵가족의 가족유형을 가지고 있었으며 확대가족의 경우 오히려 보육시설에 맡기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가족유형은 보육형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평균이 3.12(±0.97)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3.17(±0.84)점으로 가장 높았다. 보육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이 직장 어린이집의 설치와 지원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직장보육시설이 설치되면 ‘이용하거나 생각해 보겠다.’ 라는 응답이 95.2%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보육시설 이용 시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어지는 점으로 교사 및 교육내용이라고 대답해주었다. 낮 고정 근무자와 교대 근무자의 경우 직장보육시설의 운영형태에 있어 운영시간, 운영일수, 급식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많은 종합병원취업여성들이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를 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관장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취업여성의 양육문제를 해결하고 일과 가정의 과중한 역할 수행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업주의 적극적인 관심 뿐 아니라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로 인한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확대시키고 직장보육시설의 설치기준의 완화와 설치를 위한 법적인 강제조항 등의 정부정책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근무형태의 근로자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일수 및 운영시간 등의 효율성 있는 운영과 36개월 미만의 어린 자녀들도 믿고 맡길 수 있는 영유아 전담 교사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자녀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높은 관심에 발맞추어 직장보육시설의 평가인증제도를 의무화 하여 교사의 자질과 교육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취업모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실태와 보육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미경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사회의 급진적 산업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 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여성의 산업 활동 참여와 사회활동의 기회가 확대되었다. 또한 경제의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이외에도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사회 진출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여성의 사회참여 욕구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보육수요가 증가하게 되어 보육시설의 기능이 단순한 보호적 기능을 넘어 교육적 기능과 부모교육기능 등 서비스까지 제공하게 되어 보육시설에 대한 요구는 양과 질의 양 측면에서 급팽창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취업 여성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 실태에 관한 실태를 보육시간 및 프로그램, 보육 만족도 및 요구를 파악하고 조사?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영·유아를 양육하면서 취업을 하고 있는 기혼취업여성들의 보육시설 이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양한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외국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간행물, 통계자료, 보육 사업에 나타난 정책목표를 토대로 자녀 보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보육서비스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원주시에 근무하고 있는 기혼취업여성 중 원주지역 어린이집에 자녀를 위탁하고 있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하여 기혼취업여성의 자녀 보육에 대한 이용 실태를 분석하게 되었고, 그에 따른 보육욕구가 잠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정부가 추진하는 보육시설의 확충 노력으로 보육 사업에는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아직도 보육관련 제도의 미비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미개발 등 개선할 여지가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취업여성에 있어 보육은 대단히 중요하고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보육시설이나 서비스 내용 등이 너무나 미흡한 실정이므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보육에 대한 연차적인 계획을 세워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다. 여성의 육아휴직제도와 세제상의 지원을 대폭 증가시켜 주고, 취업여성들이 자녀를 좋은 복지시설에 위탁하고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질 높은 보육프로그램 운영으로 영?유아를 둔 취업여성들이 만족한 환경에서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요청되며 앞으로 영?유아에 대한 보육 정책의 전면적인 계획과 개편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change of social-economic state, work participation of women and opportunity of social activities are expended through radical industrial development of Korea society.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high growth economy and growth of women's educational standards were increased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In the circumstances, The nurture demands were increased. The function of nurture facilities were provided for services of educational function of children and parents over simple protective function. The demands about a nurture facilities were rapidly expended in respect of quantitative and quality respect. So, this research understand demand and satisfaction of nurture period, program and nurture about a use condition of nurture facilities working women's children. This research analyze the problem and use condition of nurture facilities of working women who were married. And, this research search for a better plan about nurture service because of growth quality of a bring up of children by use of a publication, survey data and policy goal about nursery work through bring case of foreign into focus understanding demand about nurture servic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working women who are boarding-out children to nursery facilities in Won-ju.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understand the use condition about children nurture of working women who are married. and the potential nurture needs. Though the government try to expend of nursery facilities, nurture programs were improved. However, factors of improvement were fingered to weakness of policy related to nursery and undeveloped of various program. A nurture of working women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but nursery facilities and services context are very insufficient. A nation or local autonomous entity must maximal support about nurture according to a yearly plan. Those increase support of a childcare-retirement system and tax system of working women. Also, Those must make up the circumstance that is relieved to committing children to well-fare facilities. Active role of government for using nursery facilities in satisfac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high quality nursery program are demand. In the future, the full-scale plan and change of a nursery policy about infant?children need.

      •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n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 일-가정 갈등과 결혼만족이 기혼취업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기혼취업여성의 출산의도에 일-가정 갈등이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결혼만족이 일-가정 갈등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여성의 사회적 역할기대와 가정 내 역할기대 간 불일치, 관련 지원정책의 부재가 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국내 연구는 대체로 저출산 논의에서 비롯된 경향이 있어 저출산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일-가정 갈등의 중요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인식이 부족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일-가정 갈등과 출산의도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밝히는 심화된 연구도 소수에 불과하여, 결론적으로 국내의 일-가정 갈등 관련 선행연구는 해외의 연구수준과 비교해 볼 때 양적, 질적 측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혼취업여성의 결혼만족은 일-가정 갈등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 검증에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여성가족패널(KLoWF)’ 3차 자료가 활용되었다. 조건을 만족하는 기혼취업여성 321명을 대상으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출산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이 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기혼취업여성이 향후 자녀 출산을 계획할 가능성보다 계획하지 않을 가능성을 높이는 것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결혼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이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기혼취업여성의 낮은 결혼만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기혼취업여성의 결혼만족은 출산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결혼만족은 기혼취업여성이 향후 출산을 계획하지 않을 가능성보다 계획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기혼취업여성의 결혼만족은 일-가정 갈등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 특히 ‘가정이 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결혼만족에 관계없이 출산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알려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향후 출산의도와 결혼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정생활이 직장생활에 미치는 부정적인 전이가 클수록 향후 출산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이 기혼취업여성의 저출산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반박하고, 자료 분석을 통해 사회과학의 틀 안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의 자료를 통해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결혼만족, 출산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해외의 관련 연구와 국내 연구 간에 존재하는 상당한 지식의 격차를 좁히고, 국내의 저출산 논의의 초점을 현상 자체보다 근본적인 원인인 일-가정 갈등으로 전환시키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석에 사용한 자료와 분석방법의 제약 때문에 연구의 한계가 발생하여, 추후 연구를 통해 주요변수 간 인과관계의 확증 및 매개효과의 검증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일-가정 갈등 관련 다양한 자료 확보와 국내용 척도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work-family conflict affects fertility intentions, and further, if marital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The fertility rate of Korea is notably low on a global scale, which is presumably a result of a discrepancy between the role demands in work and family domains for working women and the current lack of policy support for women to balance those demands. Despite its importance, however, work-family conflict was insufficiently covered in domestic research since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theme were triggered by the fertility issue. Likewise, advanced studies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of work-family conflict and fertility intentions were limited. Consequently, there is a huge gap in terms of the volume and variety of work-family conflict research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Given tha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Question 1. Does work-family conflict affect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Question 2. Does marital satisfaction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fertility intention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KLoWF) Wave 3, a national survey condu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was used. The 321 respondents who fulfilled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tudy were included in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below. First, work-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Specifically, an increase of the occurrence of family interference in work decreased the likelihood of having children in the future compared to that of not having one. Second, work-family conflict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Higher work interference in family was correlated with lower marital satisfaction. Third,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Higher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having a baby compared to that of the opposite.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negativ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fertility inten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is result proved the significant effect of family-to-work interference on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when their marital satisfaction was controlled. Based on the analytic results, the current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negatively affects their fertility intentions and marital satisfaction. Particularly, the women were more likely to have a negative fertility intention as the interference occurred from family to work increased. The research aimed to refute a belief abou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xamining it through empirical data analysis within a social science framework. It also attempted to narrow the knowledge gap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 this area, especially by using national data in analysis. Moreover, it tried to catalyze a change in perspective of fertility discourse in Korea, moving from the phenomenon itself to the fundamental reason: work-family conflict. Nevertheless, the limitation of data and analytic method used in the research posited some restrict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Further research, therefore, is encouraged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the mediator. Accumulation of data and development of the accepted measurement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are of utmost importance.

      •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근로만족의 조절효과

        조미경 한세대학교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 요약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근로만족의 조절효과 - 오늘날 젊은 세대가 독립적인 성인의 삶을 성취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젊은 세대가 교육이 종료되는 시점에 취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이루어야 하지만 취업 기회를 얻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더불어 높은 주거비용과 막대한 결혼자금 등은 젊은 세대에게 높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렇듯 젊은 세대가 독립적으로 가정을 이루기보다는 점차 결혼을 미루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강유진, 2016). 이러한 젊은 세대의 만혼은 부모로부터 독립이 늦어지며 성인기의 전이 과정이 청년층 스스로 해내기 어렵게 만들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도움의 기간은 연장되고 있다(신경교, 2020). 이는 성인자녀의 독립이 늦어지게 되면 부모세대는 자녀양육 비용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고, 스트레스가 많아지며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이여봉, 2017). 이와 같은 배경을 근거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근로만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성인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부양인식, 스트레스, 근로만족이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에서 결혼 이전까지의 성인 자녀를 둔 취업여성 1,83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5.0,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첫째, 수집된 연구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분석을 위한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을 거쳤다. 셋째, 주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근로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양인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한 것이다(ß=-.381, p<.001). 둘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양인식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파악하였다(ß=.525, p<.001). 셋째, 취업여성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ß=-.585, p<.001). 넷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트레스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은 스트레스에 직접효과(ß=-.525, p<.001),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ß=-.585, p<.001)가 있다. 간접효과(ß=-.307, p<.001) 및 총효과(ß=-.688, p<.001)의 통계적 유의수준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근로만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ß=-.484, p<.001). 이는 통계적 유의수준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취업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