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위한 사회적 정책에 대한 실증분석 : OECD 국가의 정책들과 한국의 영·유아보육료 지원을 중심으로

        고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Rapid rates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in Korea have caused a big change in the structure of population and labor markets. At a ratio of 1.15 children per woman, Korea's total fertility rate in 2009 was the lowest in the OECD. The decline in the fertility rate is mainly explained by married women having fewer children. In addition to the low fertility rates, the female employment rates have dropped to 52.2% in 2009, which is well below the OECD average of 59.6%. Therefore, Korea has to face up to the dual challenge of promoting female labor employment rates, as well as, increasing current fertility rates. In an attempt to boost the country's dropping birth rates and female employment rates, the government has to encourage married women to have more babies through institutionalized childcare policy. Social(family) policy and labor policy are the policies which enhance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Social policies include: childcare leave, family allowance, childcare benefit, day care and family service. First, I used and organized data from the Comparative Welfare States Data Set (CWS),’ ‘Social Expenditure(SOCX),’ ‘Comparative Family Benefits Database Version 3(CFBD)’ and World Development Indicator(WDI)’ from 1981 to 1999 for 20 years to examine the effects over 19 OECD countries to a set the model. As a result, expenditure of social policy, such as childcare subsidy, enhances women's economic activities. However, increasing expenses of passive labor policies lower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Unexpectedly, increasing expenses of active labor policy lower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but this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result has the limit as to treat only macro data here. Another estimation is the research which examines the childcare policy to boost Korean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hildcare plan, in participation with the government, states that approximately 7 trillion won was expected to be spent on the public childcare system in 2007. Since financing the public expenditures, such as childcare subsidy, is a controversial issue. Experimental review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expansion in childcare policy which serves families with infants over married women's labor supply. Empirical results from the differences-in-difference(DID) model, which includes married women with infants at specific income levels as the control group, suggests their labor market participation was increased; except the group of low-income and low-educated households. This implies that the increased expenditure for childcare subsid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babilities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s. However. it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labor participations in the low-income and low-educated married women with infant social bracket continually drops. Thus,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statistic actually differed through the sample composition. Finally, I suggest that the policies made by the government should give differentiated amounts to working mothers, which promotes married women to work more. Moreover, the amount of subsidy assistance has to be changed to a practical amount, to give married women actual assistance. 한국은 20세기 말부터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를 겪고 있다. 한국의 출산율은 OECD의 34 회원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된다. 한국의 현재 고령화는 OECD 회원국 가운데 28위로 낮은 순위를 나타내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노동 가능한 인력은 줄어들고 미래에 부양해야할 노인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의 1인당 부양해야할 노인인구비가 급격히 상승할 것으로 예견이 된다. 이런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서 정부는 출산을 장려하고 유휴노동력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기혼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정책으로 자녀 영유아 보육료가 대표적이며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기혼 여성들의 노동공급을 높이기 위한 정책으로 사회(가족)정책과 노동정책이 있다. 사회정책으로는 모성휴가제도 혹은 가족수당, 아동수당 그리고 보육서비스 또는 가족서비스(현물급여)가 있다. 첫 번째로 OECD 19개 국가를 대상으로 위의 정책들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1981년부터 1999년, 약 20년간의 ‘Comparative Welfare States Data Set (CWS)’, ‘Social Expenditure(SOCX)’ ‘Comparative Family Benefits Database, Version 3(CFBD)’ World Development Indicator(WDI)’의 자료를 정리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보육서비스 지출과 같은 사회정책지출의 확대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였으나, 가족수당과 같은 현금지급은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정책으로 소극적인 노동정책은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을 낮추었고 적극적 노동정책은 예상과 반대로 오히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도가 크게 떨어졌다. 경기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실업률과 자영업자비율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에 음의 영향을 주었다. 두 번째 추정은 한국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을 늘이기 위한 정책의 효과로써 영유아 보육료에 대한 정책효과를 시험해보려고 하였다. 2004년부터 법정 저소득층과 차상위 계층에 한정되어 지원을 했던 ‘영유아 보육료 지원’이 2007년부터는 도시근로자가구 평균소득 100% 까지 혜택을 받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03년과 2008년의 한국노동패널(KLIPS)자료를 가지고 정책전과 정책 후, 두 해 년을 모두 충족하는 2명 이상의 가족을 가진 45세 이하의 기혼 여성을 표본으로 뽑아서 한국에서 육아 보육료 지급 정책이 어떤 식으로 여성의 노동공급에 실제로 영향을 주었는지 판단하고자 한다. 자연실험이나 사회실험 등 각종 준 실험적 상황(quasi-experimental situation)에서 정책효과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모형인 이중차분법(Differences-in-difference; DID) 모형을 사용하여 정책시행 이전은 통제집단으로 정책시행 이후는 실험집단(실험군)으로 구분할 수 있고, 또한 정책처방을 받는 실험집단과 정책처방이 없는 통제집단(대조군)으로 나누어 여러 가지 표본으로 모형을 구분한 후, 제도 확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을 구분하였다. 한국의 보육료 지원이 여성경제활동참가에 미치는 실증분석을 한 분석결과 유의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여성경제활동 참여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보육비용이 여성 노동시장 진출에 저해요인이 되며 보육비용 경감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모든 집단에 해당된 것은 아니다. 저학력이면서 저소득층인 경우는 이에 제외된다. 제도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저학력 가구의 영유아 자녀를 둔 저소득층의 기혼여성의 경제참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저학력이며 저소득의 여성들은 2003년 이전에 이미 보육료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확대 적용되었다 할지라도 그 집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 고학력인 여성들에 비해서 소득이 적고, 노동진입을 위한 접근성도 떨어질 가능성도 보이기도 했다. 보육료 지원을 받을지라도 취업으로 인한 기회비용이 더 들것이므로 취업을 차라리 포기하고 직접 양육을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보육료지원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보육서비스의 이용가능성과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보육료 지원의 확대는 일시적으로 보육료 비용을 낮추어 정책의 효과를 가시적으로 높일 수는 있으나, 끊임없는 노력 없이는 보육 서비스질의 상향평준화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국공립 보육 시설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대하여 다양한 수요층을 포괄할 수 있고 보육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정부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보육정책을 세워야 한다. 본 정책은 보육료 지원에 상당한 예산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집단에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검증하였다. 정책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 내 소득층별로 차별하여 지원하는 보육료를 취업한 기혼여성과 취업하지 않은 기혼여성으로 차별하여 지원해주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보는 바이다. 더불어 보육료 지원액을 실질적으로 높여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영유아를 가진 기혼여성이 차별지원을 받음으로 취업을 하는 행위에 인센티브를 주고 미취업 기혼여성에게 일을 하게 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정부는 끊임없이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양육 분담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2010년부터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보육료 지원이 되고 있다고 한다. 이 보육료 지원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은 차후 데이터가 쌓인 후 시행되어야 할 과제로 볼 수 있다.

      •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 여성노동 현실에 대한 고찰 : 가톨릭 사회적 가르침의 관점에서

        최승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 여성 노동자들이 처한 상황을 규명하고 비인간적 현실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성 노동자들의 현실적 조건인 노동시장의 변화와 이에 따른 여성의 노동조건을 밝혔다. 오늘날 고도의 경제 성장은 소수의 수익자에게는 소득의 증가와 부의 축적을 가져다 주었지만, 이로 인해 다수의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은 상대적, 절대적으로 빈곤화의 길을 걷게 하였다. 이러한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 가운데에는 노동자들, 특히 여성 노동자들이 있다. 교회는 1891년 교황 레오 13세의 <새로운 사태> 회칙을 시작으로 여러 회칙에서 노동을 하나의 중대한 사회 문제로 다루었다. 그러나 가부장제와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결합되어 더 열악한 상황에 처한 여성 노동 문제에 대한 언급은 미약한 편이다. 여성 노동자의 차별을 극복하는 문제는 단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 가족, 한 사회, 한 국가, 전 세계의 문제이며 인간의 구원을 책임진 교회가 함께 극복해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을 설명하였고, 제1장에서는 사회학적 분석자료들을 바탕으로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정부의 신자유주의 시장 경쟁 원리에 입각한 여성 노동력의 이용방식과 여성 노동력의 주변화, 차별화, 양극화에 대한 고찰과 경제활동인구 통계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직종별, 혼인상태별, 여성 노동력의 비정규직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사회과학 문헌과 자료를 바탕으로 여성 노동의 조건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서 자본의 주요한 노동전략인 노동의 유연화와 가부장적 자본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성별 분업과 성별 직종 분리 현상을 들 수 있다. 제3장에서는 1장과 2장에서 서술한 내용들을 토대로 현재 여성 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가톨릭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는데, 여성 노동 현황에 대한 가톨릭 사회적 가르침의 비판적 판단 근거로 하느님의 모습으로 고유하게 창조된 여성의 존엄성과 사회 문제의 핵심을 이루는 노동의 존엄성 그리고 노동의 주체인 노동자의 권리에 대한 가톨릭 사회적 가르침의 견해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 여성 노동자 문제의 극복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서 보조성에 따른 국가의 과제와 여성 노동사목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여성 노동사목 활성가들의 현실 활동상황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여성 노동자들이 인간의 존엄성과 노동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국가와 교회의 실천적 대안과 미래 전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을 하여야 하는 교회는 현실의 가난한 이들인 노동자들 특히 여성노동자들에 대한 사목적 관심과 실천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교회는 오늘날 변화하는 여성 노동의 현실을 파악하여, 위계적 가부장제 질서를 극복하고 더욱 가난한 상황에 처해 있는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사목적 차원에서 실천함으로써, 여성 노동의 존엄과 가치를 재발견하고 억압과 차별이 없는 하느님 나라 건설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Korean women workers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and to propose a way of overcoming the inhuman reality. Presently high economic growth rate provides greater income and more wealth for a minority, but the majority of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walk in relative and even absolute poverty. Among those poor and marginalized people are workers, especially women workers. Beginning with the encyclical Rerum Novarum of Pope Leo XIII in 1891, the Church leadership, through various encyclicals, considered the issue of labor as one of the important social issues of our time. However, due to patriarchy and present-day neoliberal capitalism, the attention paid to the more serious situation of women workers has been relatively weak. The issue of overcoming discrimination towards women workers is an issue involving not just women, but also a family, a society, a nation and the whole world. Thus it is a problem that must be overcome with the help of the Church which has responsibility for the salvation of all humankind. The Introduction of this thesis explains the objective and method of this study. In Chapter One, through sociological analyses of relevant materials, I tried to research the change in the Korean women's labor market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in 1997. After this crisis, the government opted for a neoliberal competitive economic policy which uses women workers, and which polarizes, discriminates against, and marginalizes women workers. Also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Chapter One I studied gender, type of job, marriage status, and the increased use of women workers as contract labor (irregular labor). In Chapter Two,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studies and materials, I investigated women's labor condi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sic causes of change in the women's labor market, Chapter Two I investigated the main labor strategies of the neoliberal economic structure, namely flexibility of labor and patriarchal capitalism, which give rise to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and jobs. In Chapter Three,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dealt with in Chapters One and Two, I investigated from an ethical perspective the problems presently confronted by women workers.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judgement of Catholic social teaching concerning the situation of women workers, in Chapter Three I studied the perspective of Catholic social teaching concerning the dignity of women as person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e dignity of work which is a key to social issues, and the principle of the rights of workers who are the subjects of work. In Chapter Four, in order to consider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women workers, I studied the task of national assistance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women's labor apostolate. On the basis of materials concerning the activities of women's labor apostolate staff members, Chapter Four I investigated practical alternatives and future prospects for recognizing the value of labor and the human dignity of women workers. In conclusion, I tried to maintain that the Church, with its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must have a pastoral perspective and practice which is aimed at poor workers and especially women workers. The Church should understand the present changing reality of women's work, take practical measures on a pastoral level to show genuine concern for women workers, rediscover the dignity and value of women's work, and take a leading role in ending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and in building the Reign of God.

      • 회귀분석을 이용한 가임기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영향요인 연구 : 국내 보육 정책을 중심으로

        박정아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 및 국내/외의 고용・보육 정책들을 살펴보고, 가임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과 보육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육 정책의 문제점과 보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모델 검증에서는 상관관계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어린이집 수와 여성 고용률의 상관관계는 낮은 편이며, 해당 시도의 만 0-5세 아동의 영・유아 보육서비스 이용률과 가임기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율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어린이집 설치수와 보육서비스, 고용률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설치 수의 변화는 가임기 여성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이용률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어린이집 설치 수가 많다고 해서 해당 지역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현원수가 많다 말할 수는 없는데, 이는 해당 지역 내에 적은 정원의 소규모 어린이집이 많이 존재하거나 혹은 양질이 아닌 열악한 시설과 낮은 평가 점수로 원아모집이 어려운 어린이집 또한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이집 설치 수는 해당 지역의 인구수와 반드시 비례한다고 볼 수 없으며, 지표의 크기가 크다고 하여 해당 지역의 보육서비스 이용률이나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분별하게 어린이집 설치수의 확장에 집중하기 보다는 해당 시도의 만 0-5세 아동의 수와 지역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지역구의 출생 아동 수 대비 어린이집의 현원수가 증가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일본의 사례와 같이 맞벌이 부부 등과 같이 가정 보육이 어려운 보호자들이 우선적으로 보육서비스 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의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아버지 휴가를 법으로 보장하고, 근로자가 속한 기업규모나 근로형태에 관계없이 출산・육아휴직 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더욱 강력히 법제화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어린이집의 이른 하원 권유로 인한 양육 공백 발생 및 가산점의 사각지대를 이용하여 어린이집에 입소하는 사례들의 만연함을 방지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포털을 통해 매 학기마다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무기명 설문조사를 전산으로 실시하고,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대상 보육기관을 적극 관리 감독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스웨덴과 독일, 프랑스 등의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보육시설의 비중을 높여 어린이집의 교사들이 경영에 집중하기 보다는 아이 보육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가구 특성이나 양육 환경에 따라 어린이집 이용 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육시스템을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 패밀리 레스토랑의 여성인력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강재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외식산업은 전문화된 인적 서비스의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고 특히, 식음료를 생산하고 판매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종사원의 인적 서비스의 역할이 중요한 산업이다. 현재까지 패밀리레스토랑의 인력관리는 거의 생산 지향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간적 측면에서 접근되어지고 있어 인력관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외식업체에 종사하는 종업원의 60% 이상이 여성인력이며, 전 국민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인력의 활용은 거시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차원에서 미시적으로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에 따른 외식분야의 발달 차원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여성 고용이 비용만 들고 실익이 없다는 선입견은 잘못된 것이며 지금까지 우리 의식 속에 뿌리깊이 박혀있던 사회 구조적인 문제는 경쟁력 있는 생산 활동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여성 인력을 활성화하는데 저해가 되는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장기적 측면에서의 법, 제도 등이 사회 구조적으로 안정되어야만 경쟁력을 갖춘 여성 인력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으로 패밀리레스토랑에 종사하는 여성인력의 고용 현황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이론적 논거를 구축하고 연구모형에 따른 변수들 간의 관계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통계처리에 의거하여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증조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패밀리레스토랑에 종사하는 여성인력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218명을 설문조사(유효표본 198)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4개 항목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통계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 WIN 10.0v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주성되었으며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목적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은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본 연구의 대상인 패밀리 레스토랑의 여성 종사원에 대한 내용 및 현황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3장은 조사의 목적 및 조사 대상의 선정, 조사시기와 방법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자료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패밀리 레스토랑에 종사하는 여성 종사원의 고용현황과 관련한 요인을 가지고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요약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패밀리 레스토랑의 여성 노동자의 활용을 저해하는 문제점 및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연구의 요약 및 한계점,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패밀리레스토랑에 종사하는 여성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미흡한 모성보호제도 및 보육지원 제도, 직장 내 성차별적인 인사제도 및 관행, 여성의 신체적 능력 부족, 낮은 임금제도, 불규칙한 근무시간 제도, 고용의 비정규직화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 근거와 설문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패밀리레스토랑의 발전을 위한 여성인력의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방안으로는 사회의 인식 변화와 직업여성에게 만능을 요구하는 편견을 버리는 노력이 필요하고, 둘째 모성보호법(생리휴가, 출산휴가, 수유시간 제공, 육아휴직 등)의 강화와 출산·육아 휴직 기간의 급여, 그리고 보육비와, 보육교사 양성 등에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셋째 기업측면으로는 먼저 성(gender)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가족친화적인 조직문화로 조직 문화 자체의 변화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타 업종에 비해 열악한 고용환경(임금, 복지제도 등)의 변화가 요구된다. 또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휴 노동력인 기혼여성을 고용하고, 탄력적 근무 제도를 활용하여 인건비 절감과 동시에 인력난을 해소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 인력 자신의 인식 변화 및 자기개발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패밀리레스토랑의 효율적인 인력활용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Restaurant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specialized human services, and the role of human services, especially for those who directly/indirectly engaged in producing and selling food and beverag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is industry. Although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was considered to be production intentional until now, a recent trend indicat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required to have a new recognition since it is approached from humane perspective as well. More than 60% of the people engaged in the restaurant industry are women. Utilization of work force of women, comprises a half of a nat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society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from macro point of view as well as to develop the restaurant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world at large from micro point of view. Moreover, the preconceived idea that women work force has no real benefit but only takes cost of employing is a misconception and the social structural problem that is deeply rooted in our consciousness will not be helpful in competitive production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obstruct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 force and provide fundamental solutions while stabilizing law and policies from social construction perspective to utilize women work force that has competitive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employment of women work force that are engaged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and provide utilization pla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conduct this study, theoretical ground argument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analyses of preceding studies from both domestic and abroad and the survey was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study models. Measured data was verified based on actual proof of statistical analyses. The actu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the 218 women work force engaged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in Seoul and the collected survey result (valid samples of 198)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survey had 46 questions divided by four categories. The study used SPSS WIN 10.0v in analyzing the statistical data.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that provides th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methods, and the range of the study. Chapter 2 contains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content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omen work force engaged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the subject of this study,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Chapter 3 provides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the selection of the investigation subject, and the moment and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t also deals with the contents of the survey questions construction and suggests the method of the data analyses. Chapter 4 analyzes the difference in factors related to the current employment situation of the women work force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and summarizes the analyzed results. Also, the chapter suggests the problems that obstruct utilization of the women work force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methods. Chapter 5 is a conclusion that summarizes the study result and sugges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ppear to be the factors that obstruct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women work force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 lack in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and childcare supports, gender discriminative promotion and habitual practices in the workplace, insufficient physical ability of women, low salary, irregular working hours, and contractual employment system. Therefore,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result of survey analys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actors that prevent the utilization of the women work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ry not to have preconception that requires omnipotent from the working women and to change social recognition. Secondly, the maturity protection law (a special monthly leave for women, maternity leave, providing lactation period, and temporary leave for childcare) should be strengthened and more supports on allowance for child birth and childcare leave, childcare cost, and training childcare workers. Thirdly, the companies should recognize the 'variety' of gender and change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to the family friendly one. Moreover, the changes in employment environment (salary and welfare system) are needed for its inferior environment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o solve the man power difficulty, the industry should hire married women that are unemployed and use flexible working system to reduce wages and solve the man power difficulty at the same time. Finally, the analyses result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women work force to change their own recognition and develop their 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icient human resources utilization in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 韓國 女性勞動市場의 性別分節化와 南女 賃金隔差

        백혜숙 淑明女子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 First, it indicate that the low wage of women is not explained simple by results of low education and career. Second, it properly characterizes the women's labor for explanation of total labor market structures. Human Capital theory overlooks the systematic and structual factors that male and female cannot compete equally. Therefore with a point of the labor setgmentation theory, this thesis explains that the labor markets are segmented and this is the cause of wage differentials. From the changes of structure of women's economic activity in chapter 3, we know that the degree of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has been increased and we expect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more, and the share of women in labor markets will be increased. And we know that the supply of youth labor has been decreased by the width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he decrease of total labor supply and the labor market has been elder the before by the increase of elder labor. But because the most parts of elder labor is skilled women labor in production sector by reemployment, the labor for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Therefore to solve efficiently the problems of labor supply changes, we must have the proper policy for efficient use of women's labor. From the analysis of male-female and occupational differential, the labor makrets are segmented by sex. Although the women's participation for economic activity is increased, this point indicates that male-female segmentation is the prior condition of low wage of women. We know that the occupation that the women's shares are low has the low wage relatively. This means that the women's shares are the more explanatory factor than the career and educations. And also this indicates that by means of male-female and occupational segmentation, male and female have different compensation system. College-bred women tend to have occupations which have the relatively little discriminations against women. These are the teaching professions, nurse, nutrition technician. And that tend to have the occupations which have no organizational system. Those are parmaciest and artise. Hibh-school-bred women tends to have occupations such as typist, accountant, key-puncher, librarian and store clock, etc. Women's jobs are charicteristic of non-organization jobs or subordinate agency official posts which are not able to be linked with promotion ladders. From the structural analysis of wage differentials, we know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tial of rate of return in equal educational level by sex, and of employment opportunity for equal educational level by sex. This indicats that there exists differentials in labor markets. Therefore we have to erase these differentials via width of educational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From this analysis we know that shorter period of continuce service is the cause of low wage of women. We think that this is from the outcome of participation pattern for labor markets that only women have. In general women's economic activities tend to be influunced by no economic factor such as bunden for household and the role of reproduction, and gives discountinuous pattern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s. Because these decrease the women's productivity and had been the cause of low wages, even in the case of occupations which have equal wage determination principles, to decrease the wage differentials, we must have economic policies such that enforce the women's competitions. Finally we know the male-female wage differential by mariatal status. In case married women reentered after exit labor markets the wage levels of those are the same that of wage unmarried women receive when they begin jobs. Expecially the shares these married women are low, this is from customary prejudices and the less employment opportunities in labor markets.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of high educational and married women's labor forces, we must erase retires customs after they married, and increase the opportunities that the married women enter to the labor markets. We concluded this thesis by giving an policies which solve the problems of male-female wage differentials. first, we increase productivity by increase of levels of women's human capital wage level and via this we must increase women's wage level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Second, we have the principles of equal pay for comparable worth of labor. Finally we must erase employment differentials for women.

      •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의 근로생활의 질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하은희 부산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Working Life(QWL) components of the contingent women workers. Secondly, it is to analyze the QWL component difference as an individual, working type and organization circumstance characteristic. Thirdly, to seek to measures for improving the QWL of the Contingent Women Workers.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and empirical survey. For empirical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8 companies. Total 160 us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to test hypotheses. The findings of analysi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QWL components of the Contingent Women Workers investigate organization administration, pay, human relations, benefits, job, intensity of labor. Secondly, the QWL component as an individual, working type and organization circumstance characteristic make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QWL of the Contingent Women Workers in the corporation include personnel & labor management(job redesign, flexitime and alternative benefits etc.), labor practice security(enlargement of participation in management), CEO's decisive QWL improvement intent, and harmony with private life,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