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1세기 오피스 신개념을 적용한 창의적 업무공간의 공간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손지민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는 모든 경제 활동에 있어 정보가 핵심적인 기능을 담담하게 된다는 ‘정보화 사회’이다.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현대 업무는 방대한 지식에 대한 정보의 증가와 문화의 흐름에 따른 업무의 가치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업무는 점점 더 고도의 기술과 능력을 요하는 지적 작업이 많아졌으며, 업무공간에서의 작업이 더 이상 단순한 집계와 기록에 그치지 않고 산업형태의 분업화, 전문화에 따르는 업무정보의 처리와 전달이라는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업무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더 이상 이성이나 합리성만으로는 충족 될 수 없는 인간중심적인 디자인이 부각되었고, 시대적 흐름과 문화적 변화에 대처될 수 있는 현대인의 요구를 수용하고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업무환경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생겨난 업무공간의 새로운 개념의 특성과 지식기반 사회로서의 창조적인 업무가 주를 이루는 현 시대에 맞춘 창의적인 업무공간의 특성을 살펴본다.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사회변화 따른 새로운 개념의 업무공간에 적용가능한 창의적인 업무공간의 유형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오피스 신개념을 적용한 창의적 업무공간의 특성은 상징성, 연결성, 사회성, 유동성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다시 공간에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공간표현 특성으로 팀 환경, 기업문화 환경, 의사소통 환경, 친화적 분위기, 쾌적한 환경, 이동형 오피스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특성이 많이 대두되고 있는 2000년 이후의 작품 중에서 창의적인 업무가 주를 이루는 업무특성을 지닌 기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정체성의 특성이 반영된 공간은 유연성과 개방성을 부여하고 팀원 간의 업무교류와 협동작업,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강조된 공간이 중요하며, 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이미지나 오브제 사용으로 조직원에게 자부심과 신뢰감을 주고 아이디어 생성이 주를 이루는 창의적인 업무가 대두됨에 따라 조직의 문화와 업무특성이 반영된 공간이 요구되어진다. 둘째, 연결성 반영된 공간은 정보교류 및 지식 공유를 위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다면적 교류를 유도가 가능한 회의공간 및 공용공간의 배치가 중요하며 이는 현대 업무공간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보여진다. 셋째, 사회성이 반영된 공간은 그룹, 팀, 프로젝트별 업무가 많아지면서 의사소통의 상대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친화적 분위기의 다양한 분위기 조성과 우연한 만남의 동선계획으로 유희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편안함과 집중력 있는 분위기 조성과 자연소재의 사용으로 업무의 효율을 높이며 조직원들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유도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넷째, 유동성이 반영된 공간은 무선 업무지원과 이동식 가구 및 가변적 벽체 등의 사용으로 어느 장소에서든 업무가 가능해짐에 따라 하나의 공간에서 업무, 휴식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져 공간의 영역이 불분명해지고 조직원들의 자연스러운 비공식적 만남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창의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로 활용되고 21세기 오피스 신개념을 적용한 창의적 업무공간의 공간적 표현특성을 고려한 환경구축을 따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표준을 제시하여 좀 더 적극적인 창의적 업무환경 체계를 만드는데 일조하기 위함이다. Today, people refer where they live in 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which all the economic activities are being dominated by information. As the social structure has changed, work performance of today has been happened to have a new value which is mainly affected by increase of information and culture flow. People have become more involved in intellectual business which requires more high-technology and better abilities and, the working space, as a result, is no longer a place where people find the total of records. Now, people are processing and delivering work information in a working place as the field of business has come into departmentalization and specialization.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he business field, it became impossible to go with a space design which is only based on a sense of rationality and reasonability. Instead, a design which would think more of humanism has come into light and, a working environment which is able to deal with needs of today’s men in a more flexible way has been demanded in hope that the new working environment would quickly cop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and cultural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figuring out features of the new working space, created by social changes, and also examines how to design a creative working space in this time of era where almost every performance in the business is considered to be creative. Through advanced researches and literatures, types of creative working spaces which are appliable to a new working space in this changing society were looked at. What was learned from the pre-researches, it was found out that the creative working space in the 21st century could be summarized with a few key words – Identity, Connectivity, Sociality and Flexibility. In order to see how these key words could be applied to an actual working space, they were again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a division environment, corporate culture environm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friendly atmosphere, pleasant environment and movable office. Models since 2000, which were especially specialized in the above features and were actually designed for corporations that are mostly working on creative busines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space presentation in pursuit of showing identity of a business, the division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an open structure with many of transparent finishing materials. For the corporate culture environment, a space structure which could reflect the company’s identity, image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was definitely applied. This indicates that the space structure, designed based on flexibility and openness, would increase the chances of team members’ cooperation and smooth communication while the use of objects which present the company would give the employees a sense of pride and trust in where they belong to. The space structure based on such features would also emphasize that the company is dealing with a creative business and this proves that the working space design should reflect the corporate culture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Second, the space structure of connectivity was mostly used in conference rooms, break rooms and other common use spaces. When it comes to locating a conference room or a common use space in a today’s working space, how accessible the roo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since communication and all sorts of exchanges for shar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appened in such place, are significant. Third, a working space which mostly deals with sociability believes that the friendliness is primary. Finishing materials, colors and furniture which would give various atmospheres were used and traffic lines were carefully studied so that people could run into each other as frequently as possible. The pleasantness of a space was created by eco-friendly materials which would provide people with comfort and attention. People in the office always do group projects and team projects and this means that they need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The space of friendly atmosphere and unexpected traffic lines would realize pleasant working mood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In addition, the natural materials used in the design would offer comfort and attention to the employees which would, in return, improve chances of effective communication. Fourth, a working space which is expected a frequent mobility could be applied to a movable office. The space of this kind was not clearly divided and most of the parts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multipurpose and mobility. The space was equipped with wireless business support, movable furniture and changeable walls which would make the employees work and have meetings anywhere in the working place. The space of this design is supposed to be used for various reasons and the employees feel more comfortable to have any communication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pursuit of helping others to understand features of a more creative, effective working environment. By asking a question on specific space design features to realize a creative working space in the 21st office, the study is looking forwar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 more creative working environment system designing.

      • 서울시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조윤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서울시 구청 25개의 자치구 중 11개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사례를 비교 대상 분류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전에 건립된 1996년 구청의 민원업무공간과 2000년 이후 환경개선사업이 실시된 민원업무공간 그리고 2000년 이후 새로 신축된 민원업무공간, 사례 규모는 연면적 기준으로 A사례 15,000㎡이하, B사례 20,000㎡이하, C사례 20,000㎡이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면Layout에 대한 공간유형 형태와 특성을 파악, 분석 민원업무공간에 있어 조사항목을 선정하고, 민원인과 밀접하면서 빈도수가 높은 항목을 선정하여 도면과 현장 조사 자료를 근거로 가구배치, 마감재 등의 변화를 분류 비교·분석 하였다. 최근 구청은 지역자치구사회의 중심시설로 권위적이고 위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을 위한 행정서비스 기관이라는 사고방식으로 변했으며 업무기능은 물론 정보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구청업무가 전산화·자동화되어 내부공간의 변화, 업무의 능률화로 과거의 전통적인 업무·행정 외에도 지역주민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변신을 꾀하고 있다. ‘원스톱 서비스(One-Stop Service)’로 고객만족경영 서비스를 내세우며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에게 친숙한·편리한 공간을 제공하며 주민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듯 행정서비스 환경의 변화는 구청민원업무 공간의 실내공간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행정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실내 공간구성이 어떻게 변화하였지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각 공간구성과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간의 계획적 측면에서 참고자료와 사회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나아가야할 구청 민원업무공간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변화의 흐름을 추출하였다. 사회적·시대적 흐름에 따라 구청사의 대지 면적이 조금씩 넓어지고 행정 조직의 개편과 인구의 증가로 구청 본관, 별관, 보건소, 등 3개 동이 신축·증축 되었다. 민원업무공간의 유형은 업무증대와 서비스의 향상으로 민원인이 자주 찾는 부서를 이관, 통합민원실로 여러 가지 업무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구청의 어느 한 층에 주 기능이 집약되어 있고 각 업무가 단위별로 분산되면서 연계된 업무를 서로 연결하는 집약형 유형으로 바뀌고 있다. 민원업무공간의 공간 구획은 투명한 행정을 부각하면서 OPEN, 투명유리를 사용 개방성과 친밀감을 주고 있다. 민원업무공간의 기능별 진입공간은 민원인의 편의, 동선의 효율성, 민원업무공간의 층별 변화 등으로 OPEN, 자동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을 설치하고 주 출입구와 부출입구를 구획하여 동선을 자유롭게 유도하였다. 로비공간은 자치구만의 특성화된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삽입,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업무공간업무의 분리로 공간이 세분화된 실의 배치가 이루어졌고, OPEN 낮은 파티션으로 시선을 차단하여 직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효율적인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대기공간은 민원상담, 취업정보, 정보검색, 건강 체크 등의 공간 형성,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이 제공되고 있다. 민원업무공간의 서비스는 퀵서비스 공간은 카운터의 개수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카운터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민원의자를 배치하여 민원인과 직원의 눈높이가 같아지고, 민원인에게 편리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다. 슬로우 서비스 공간이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1인당 점유면적이 늘어나고 파티션으로 구획,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질적 서비스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다. 퀵서비스공간은 24시간 개방하여 언제든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민원업무공간의 카운터는 형식은 열린 행정, 주민참여 등의 사회흐름이 변화에 발맞춰 곡선이 가미된 카운터의 형태, 곡선과 직선이 연결하여 공간에 변화로 편안하고 부드러운 공간으로 보여줬다. 민원업무공간의 마감재 천정은 ZONE별 마감재를 분리, 대기공간은 LEVER차를 두어 공간감을 주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 조명은 ZONE별 분리 LED조명과 형광등을 이용하여 효율이며 경제적으로 이용, 벽체는 부분을 유리로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개방성을 확보, 바닥은 ZONE별 마감재를 분리 업무공간은 실용적인 마감재와 대기공간은 고급스러운 마감재를 사용하고 패턴과 색채에 변화를 주어 영역을 구분함과 동시에 동선을 유도하였다. 관공서라는 획일적이고 딱딱한 재료의 사용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구의 상징물을 디자인에 적용하여 세련된 공간으로 민원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방향에 대한 예측과 더불어 공간 요소의 활용과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구성의 변화는 시민의 참여가 중요시되는 기능보다 업무의 증가량 업무의 변화에 대한 행정업무중심으로 계획되었다. 민원업무공간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기보다는 형식적인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주민의 참여가 미흡했다. 그리하여 사회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나아가야할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업무공간은 업무의 분리로 공간이 세분화, 오픈된 공간에서 낮은 파티션으로 시선을 차단, 직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 하였으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공간 주변에 상담실, 회의실 등을 배치, 근무자의 쾌적한 환경을 위해 직원휴게시설의 설치가 요구된다. 현재의 민원업무기능은 재택, 전자민원이나 FAX를 통해 신청하고 가까운 행정기관에서 찾아가는 형태,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동·주민센터나 구청을 방문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출퇴근 시간 등 편리한 시간을 이용하여 발급받을 수 있도록 전철역 등에 무인민원발급기를 설치, 전자민원G4C로 국민 누구나 행정기관 방문 없이 집·사무실 등 어디서든, 24시간 365일 인터넷으로 필요한 민원을 안내받고, 신청하고, 발급·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해 청사의 방문 횟수가 줄어들 것이다. 구청 민원업무공간은 더욱더 다양한 시민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률이 높은 기능의 시설이 설치되어야 할뿐 아니라 전시홍보 및 지역 특산품 판매시설, 교육시설, 휴게실 라운드, 문화공간 등 민원업무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여 주민 참여 중심의 민원업무공간의 기능이 더욱더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민원업무공간은 과거에도 그러하였듯이 사회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상호가 요구하는 가치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 물질적인 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 외적인 것을 모두 포함하여 욕구를 충족, 구현하기 위해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組織特性을 考慮한 業務空間 評價方法에 관한 硏究 : 사무소 공간환경의 유용성(serviceability)을 중심으로

        김민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와 건물의 유지, 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로 업무공간 평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제한된 일부 구성요인만의 평가방법과 평가 결과의 인과관계 규명에 대한 미비로 평가의 효과가 저하되고 있다는 비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아래 기존의 주거공간과 비교하여 업무공간 평가를 위해 변화되어야 하는 평가패러다임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업무공간 평가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평가 결과의 도출을 위해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비교하여 변화되어야 하는 평가 패러다임을 검토하므로서 업무공간 평가방법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그 첫 번째 특성은 비전문가 발주의 평가라는 점이다. 즉, 업무공간평가의 발주자의 대부분인 경영자는 건축분야의 비전문가로 비형식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평가의 진행방식이 연구 형식의 평가(Evaluation based on research)보다는 컨설팅 형식의 평가(Evaluation based on consulting)방식이 적합하다. 두 번째 특성은 평가결과의 대부분이 내부적 사용을 위해 사용된다는 특성이다. 특정건물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평가로 얻은 결과물은 대상 건물이라는 특정 상황에 국한이 되기에 방법론에 있어서도 상황주도 평가(Context-driven)가 적합하다. 세 번째 특성은 업무공간은 타 평가대상에 비해 유기적이고 복합적 공간임을 고려해야한다. 이는 생산성을 목적으로 생성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적 요소로는 물리적 환경(Office Environment), 조직(Organization), 정보기술(Informational Technology)을 기본적인 요소로 한다. 따라서 업무공간 평가 시 물리적 환경만을 고려하여 평가하게 된다면, 평가의 결과를 적용하는데 큰 제한점이 발생할 것이다. 둘째, 업무공간환경에 대한 요구도가 사용자의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에 의해 영향을 받는 평가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분석 이전에 조직의 특성분석을 선행하는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물리적환경의 형태적 측면과 쾌적성 측면에 대한 만족도를 조직의 업무행동패턴 및 정보 전달 패턴의 조사와 병행하였고, 물리적환경의 위치와 연계성의 만족도와 조직 내의 상호 인접요구도의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조직의 물리적 환경의 요구정도와 실제 물리적 환경 공급도의 일치도 분석을 통해 현황파악 및 쟁점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공간적 측면과 형태/쾌적성 측면의 결과는 상호 원인 규명과 대안제시에 효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세째, 평가결과의 내부적 사용뿐만 아니라 외부적 사용을 고려하여 결과의 인과관계 규명이 가능한 통계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체크리스트 형식의 업무공간 평가 방법은 복합적이고 유기적 구성체인 업무공간에 대한 대량정보는 획득할 수 있으나 내재된 공통의 원인 규명이 부재(不在)하다는 점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한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평가로 획득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인과관계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걸침으로서 비전문가인 평가의 발주자가 평가 결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조직유형별로 정보의 체계적 축적을 통해 일반화가 가능하여진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모델을 이용한 사례연구는 1단계 평가방법과 2단계 평각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사례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ㆍ1단계 평가의 조직 분석을 통해 조사 대상은 저 변화율에 관례적인 업무성향을 띄고 있고 있었으며, 대부분 그룹의 공통된 특성은 대면접촉이 중요하며, 조직에 따라 정보와 자산의 보호 등이 중요하였다. 물리적 환경분석에서는 공통적으로 업무지원부문과, 휴게공간부문, 정보통신관련부문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조직에 따라, 상담실의 크기, 접근용이도, 혼란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반면, 열환경/내부공기부문, 보안/보호부문 등은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내었다. 공간 특성 분석에서는 통합도와 집단계수의 2부분으로 나누어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통합도는 통로와 교차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 업무공간에서도 위치에 따라 다른 통합도를 보였으며 통합도가 비슷하게 나타난 유사한 공간특성을 가진 지역일지라도 조직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집단계수는 통로를 따라 낮게 나타났을 뿐, 개인업무공간의 전부분에서 집단계수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형태는 집중력이 필요한 개인적 업무가 필요한 조직에는 적당하지만 대면접촉이 중요한 조직에는 불리한 결과이며 이는 만족도 분석에서 회의실의 크기와 수에 대해 만족도가 낮은 것과 연관하여 본다면, 조직의 특성상 대면접촉이 가장 중요한 반면 물리적 환경에 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므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유추할 수 있다. 2차 평가를 통해 총체적만족도에 가장 큰 효과를 미친 용인과 그의 관계를 추출할 수 있었다. SM사업부의 경우, 회의실/상담실, 정보통신, 음환경/시각환경 순이었다. SM사업부의 경우, 자부서/타부서/외부인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의실이외에는 지원되는 공간이 없었으며, 따라서 회의실, 상담실에 대한 크기와 수에 대한 불만이 매우 높았으며,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분석결과에서도 총체적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S사업부의 경우 정보통신, 음환경/시각환경, 개인업무공간 순이었는데, 이는 모빌오피스를 사용하는 외근형 근무자가 많은 CS사업부만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current criticism about the inadequate workplace evaluation method, that is to say, partial composition factors and insufficiency in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results. These factors decline the effect of evaluation though the importance of workplace evaluation has stood out in bold relief following the trend of increased concern about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maintenance of building. I considered the evaluation paradigm which must be changed for workplace evaluation and I suggest a new method of workplace evaluation by means of comparing the existing housing space with due regard to such background. The proposed evaluation model is used as cas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suggest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evaluation through inquiry into the former evaluation paradigm comparing with appraisal of the housing space in order to deduce more effective evaluation conclusion. The first character is for users who have not stuff in building. In other words, because most of the applicants to the workplace evaluation are managers who have informal and experiential knowledge at the level of layme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e evaluation based on consult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evaluation based on research. The second character is that the result of evaluation is usually used for internal use. Context-driven is more proper on account that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quality for specific building. Thirdly, it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at a workplace is composed of more organic and more complicated causes than other evaluation objections because it is a place for productivity. The general structural factors to the office in hardware are office environment, organization, informational technology. In case that only physical circumstance is thought in workplace evaluation,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 will have limitation. Next, I suggest the antecedence of analyzing the organization's peculiarity before physical analysis since the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user's demand to the workplace. In other words, I perform the investigation of the fulfillment tendency in morphologic aspect and also in amenity aspect and the inquiry of patterns of work and pattern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simultaneously. Third, considering the external use as well as internal use, I present the statistic analysis because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 Checklist-formed evaluation methology is suit for collecting mass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ed structure like as workplace. But it is not sufficient to investigate immanent common cause. The statistic analysis by SEM is used to supplement this demerit, and it has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results for object. Finally, I applied the 1st step and the 2nd step evaluation methology in this case study as fully using the evaluation model. Please refer to the major result of case study as following. In, 1st step evaluation, the structural analysis shows the objects have tendency to routine work at low-changed rate. The common feature for most people's group is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and the protection of the information and properties. Office environment analysis generally shows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porting field, resting space field,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And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the size of meeting room, accessibility, confusion leads some degree of dissatisfaction but in the sound/internal air ventilation and security/ protection it gets the high degree of complacency. The 2nd step evaluation makes it possible to deduce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the total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factors. Though SM division is a very crucial organization, there is no supported space from company. The dissatisfaction with tiny conference meeting and the counsel office is strong and it came out to affect to the total satisfaction in SEM analysis.

      • 초등학교 교원업무공간의 효율적 구성방안 연구

        김경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원의 업무특성 및 조직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원업무 공간의 환경 및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에 대응하는 업무공간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교원의 업무효율 증진과 근무여건 개선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방식과 실태조사 방법을 통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설문조사를 통해 현상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주와 군산관내 초등학교 6개교씩 12개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340부 중 수집된 289부를 대상으로 각 항목에 따른 문항을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개인업무특성상, 집중업무를 방해하지 않고 의사소통시 발생하는 소음을 고려한 학년단위 연구실에 대한 구체적인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교무실은 회의실보다는 상시 근무하는 교원의 업무공간으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모를 축소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시로 발생하는 비공식적 미팅이나 학년별 동료교사와의 대화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셋째,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식 및 편의시설 등의 복지공간에 대한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교무공간의 위치와 환경은 통합교무실이나 학년별 교사연구실 모두 학생접근이 양호한 위치가 적정하고, 충분한 사무기기 확보와 이동거리가 짧고 접근성이 좋은 위치로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 생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다섯째, 통합교무실 또는 학년별 교사연구실에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근무자 개인의 집중업무와 동료 교사들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업무집중도와 사생활 보호를 고려한 책상배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급교실에서 근무할 때 사무기자재부족, 학생들에 게 노출, 에너지 낭비, 소통부족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하였음에도 학생 생활지도나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학급담임교실에서 근무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많은 것은, 교사들이 만족할 만한 교원업무 공간이 마련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어 교사들의 인식전환과 더불어 그에 적합한 공간계획을 적용하려는 적극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 공간디자인회사 근무자들의 업무특성별 업무공간 레이아웃 선호에 관한 연구

        조성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더불어 국내 몇몇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무능률의 향상을 위한 오피스 환경 조성을 위한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령인구의 급증, 정년(停年)의 증가,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기대 등이 명확히 예측되어지는 추세로 볼 때, 업무공간이 건강하고 생산적이며 자율적인 업무를 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요구는 점점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업무공간의 설계는 기존의 전통적인 레이아웃보다 더욱 많은 과제를 제시한다. 과거의 전통적인 레이아웃에서는 서열이나 계층별로 워크스테이션을 계획에 옮기도록 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업무공간에서는 서열이 아닌 업무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레이아웃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사업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공간, 공유공간, 공간의 위치 등이 고민의 대상이다. 업무공간을 설계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졌고 디자이너는 이 작업을 명확하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본 연구는 디자인실무자들의 직종에 따른 업무특성에 다른 업무공간 레이아웃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건설회사, 실내디자인 관련사, 전시디자인 관련사, 실내 건축 사무실, 건축 설계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디자인실무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직접 설문지법으로 작성한 1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형태의 특성, 업무공간 레이아웃에 관한 특성, 업무공간 레이아웃에 대한 선호 조사를 실시하여 전반적 업무환경 만족도를 조사하고 레이아웃 결정의 주요인들과 개선사항들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과 던컨의 다중범위검정,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20대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3년 미만의 경력을 소지한 사람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계약직 및 임시직의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성 근무자의 입장을 반영한 레이아웃의 제시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업무특성의 질을 높이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업무환경의 제시가 요구된다.둘째, 디자인 실무자들의 업무특성상 자신의 업무공간에서 설계 및 도면 작업의 업무를 장시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시간이 길수록 재석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업무시간과 재석시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노동집약적 업무특성을 나타냈고 전문지식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모형작업과 같은 공동작업의 경우 회의실과 같은 타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별도 작업공간의 설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아웃 재배치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긍정적이었으며 직종과 소속부서에 따른 업무공간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셋째, 현재 업무환경 내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쾌적성의 보장과 업무공간의 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협소한 업무공간의 개선이 시급한 문제로 제시되었다. 또한 업무환경의 변화로 다양한 형태의 업무공간과 레이아웃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지만 디자인 실무자들의 경우 자신의 지정된 업무공간에서 집중형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시각적 프라이버시와 청각적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공간을 요구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디자인실무자들의 직종, 소속부서, 직위에 따라 레이아웃의 유형과 선호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근무자들은 집중형 업무공간과 함께 동료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레이아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동작업의 업무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디자인 실무자들의 공간은 차별화된 업무환경 계획이 요구되며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여 업무공간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업무공간 레이아웃을 계획할 경우 업무환경과 업무특성을 파악하여 디자인 실무자들의 업무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업무공간 레이아웃의 기준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life-style, new attempts are coming forth to create better office environment for work performance by several major enterprises.In consideration of the tendancy of the country toward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old ages, prolongation of retiring ages, and raising expect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he necessity of working place as the space carring out jobs in healthy, productive and autonomous conditions will increase in large number every year.Work space planning present much mor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compare with conventional layout. In the conventional workplace layout, workstations were designed and executed in the order of ranks and classes of the staffs. However, in the present work space planning, designers should take much pains for developing various forms of layout adequate to the job requirement and not for the rank of staffs.For attaining companies objects, planning of individual spaces, common spaces and arrangement of spaces are the subject of study to be settled, planning of workplace have come to a more difficult work and the designer have to perform the work in right path.The object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r grasping the situation and meaning of the work space layout of designing staffs in accordance with the job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s. The study was formulated by refering the literatures and questionnaire method in paralled.The object of this study, who were set up as the population of this questionnaire, were the designing staff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interior design related companies, exhibition design related companies, interior design offices, and construction design offices located in seoul and it''s outskirts. the survey results of the direct questionnaires from 173 respondent were put to use for analysis.The questionnaires have carried out into effects including inquiries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characteristics of service form, characteristics of work space layout, and preferences of workspace layout etc. for surveying satisfication level of their working environment.The questionnaires also have tried to find out the essential factors of layout design and room for improve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applying statistic package of SPSS 12.0 for windows. And as for the statistical method, applied frequency, percentage,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omen in the age of 20s and less than 3years experienced persons are occupying high proportion. Short term and temporary employees are also sharing relatively high ratio.Thoughtful considerations for women employees in layout designing is to be reflected and applied upon. Furthermore, reforming office environment is required for improviding work efficiencies and communications each other.2. It was found that, due to their specific job character, design staffs are usually spending long time in their workplace for designing and drawing. And persons who are working longer time, they are spending more time for sitting. There are indicating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in working time and sitting time. It shows also labor intensiv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 of high level specialized knowledge. Since most of the joint works, for example, model making works, are carried out in the places provided for other purposes, like meeting room etc, it is highly required to prepare suitable workplace for those works.Most of the company members have positive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rearrangement of workplace layout and so careful study and execution of efficient workplace layou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work character is to be take place.3. It is found that under the existing work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matter at moment is to extend confined workplace for improviding efficiencies and securing pleasantnes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work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workplace and layouts become to appear and the designing staffs prepare a workplace in where they can perform works concentrately and exclusively secured from visual and auditory obstacles.Judging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layout forms and types in accordance with designers staffs classification, position and rank.However, most of them prefer a concentrated workplace with communication provision to their fellow workers and this state of things affirm the specific character of joint work in designing procedures.Therefore in the work space layout planning procedures, for improving productivity,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basic yardstick of work space layout which could fulfill job requirement by analysing specific charactor of work environment.

      • 공공청사의 대민업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정부 지방합동청사를 중심으로

        문영학 高麗大學校 工學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부 지방 합동청사는 지방에 소규모로 산재 되어 있는 특별 지방행정기관을 대상으로 한다. 그 특별지방행정기관은 정부 수립 후 신축되기 시작하여 상당수 노후화 되어 있어서 재건축이 필요한 사항이다. 특별지방행정기관이 그러한 물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 동안 사회의 문화적 욕구나 정치적 욕구도 변화 하였다. 국가 간 시장경제의 벽도 허물어져 우리는 대한민국에 소속되어 있지만 Global한 세계의 문화에 속해있으며 정보화 사회의 속도도 빛처럼 빠르다. 그러한 변화 속에서 특별지방행정기관을 통합하여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고 대국민 One Stop Service를 실현하기 위해 특별지방행정기관의 합동화 사업이 시작 되었다. 또한 합동화를 통해 지역발전의 경제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합동화 사업은 1982년 원주지방 합동청사를 시작으로 7개의 합동청사가 제주,광주,원주,춘천,대구,마산,서울등지에 설립되었고 향후 지속적으로 설립될 예정이다.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구청사나 시청사 등의 공공청사 공간구조는 많은 변화를 이루어 왔다. 해방 후 상징성에 무게를 둔 공간구조는 점점 방문객의 편리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의 복합화로 쌍방향의 의사소통 공간으로 전환하였다. 그에 비해 정부지방합동청사의 공간구조는 입주 공무원이 우선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공공청사의 공공성이 떨어지고 국가와 국민 상호간의 적극적인 소통이 부족하다. 중앙행정기관의 정부 정책업무 위주 보다는 지방의 일선에서 대민업무를 다루는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업무는 지자체의 공공청사처럼 국민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실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소통을 실현하는 방안으로 지방정부합동청사의 대민공간을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재구성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 공공청사의 공간구조 체계와 특별지방행정기관, 또는 지방합동청사의 공간구조 체계를 분석하여 합동청사의 대민업무공간에 적용하였다. 소통을 위한 대민업무공간의 미흡한 제안이 향후의 합동화 사업에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워케이션을 위한 레지던스 호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포도호텔을 중심으로

        박이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업무공간은 고정되지 않고 어디서든 원격으로 일하는 형태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이에 업무와 휴식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워케이션이라는 새로운 업무 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업무 방식은 COVID-19와 MZ 세대의 등장으로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단기적으로 숙식이 가능한 레지던스 공간과 업무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레지던스 호텔들은 워케이션의 근무 환경 조건을 충족하기에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워케이션을 위한 레지던스 호텔을 디자인하는 데 있다. 원격 근무자가 장․단기간 편안하게 삶을 유지하며 업무와 휴식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지는 휴양과 관광에 최적화되어 있는 제주도의 포도호텔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콘셉트는 포도호텔의 설계 의도에서 도출하였다. 주요 기능은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워케이션 공간의 특징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 디자인 콘셉트는 ‘열림과 닫힘 그리고 자연’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도호텔의 리노베이션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업무의 생산성과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하는 공간을 설계하고, 자연과 계속해서 이어지는 구조로 일상의 휴식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워케이션을 위한 업무공간이 반영된 레지던스 호텔의 설계안을 자연경관이 좋은 제주에 위치한 포도호텔에 접목하여 업무와 휴식을 동시에 경험하며 참여자들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어질 수 있는 공간 계획을 제안한다. In today's technologically advanced world, workspaces are transforming from traditional, fixed locations to flexible, remote formats accessible from anywhere. This shift has led to a fusion of work and leisure, giving rise to the concept of "workation."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rise of th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have further propelled this trend. To accommodate this evolving work style, there's a growing demand for both short-term and long-term accommodations that cater to workation needs. Traditional residence hotels, however, often lack the necessary amenities to support this hybrid work-leisure environment. Addressing this gap, this paper proposes designing residence hotels specifically for workation purposes. The objective is to create spaces where remote workers can seamlessly blend their work and leisure activities, whether for brief stays or longer period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Grape Hotel in Jeju, a location ideally suited for leisure and tourism. The design approach is inspired by the original vision behind the Grape Hotel. This research identifies essential elements by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workation spaces. The spatial design philosophy is articulated as a balance of 'openness, closure, and nature.' Under this framework, a renovation plan for the Grape Hotel is outlined. The proposed design enhances productivity and creativity by fostering natural interactions and daily relaxation, connecting the structure with the natural surroundings. The result is a comprehensive design for a residence hotel that integrates workspaces suitable for workation, harmonizing with the scenic backdrop of Jeju's Grape Hotel. This concept aims to craft a venue where individuals can engage in both professional tasks and relaxation, promoting organic interactions among its users.

      • 업무공간에서 창의성 지원을 위한 환경심리요소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정현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rigin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may be the result from the pursuit of novelty. Moreover, modern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core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society" to all societies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reative ability to solve high-level issues for individual self-fulfill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is required in the broader field. And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s function through the creation of new ideas and should rely solely on creativity. Thus, in terms of individual creativity is a function of personal factors that personality, cognitive styles and abilities, motivators, and knowledge, and personal factors interact with social factors or situational factors. In other words, personal factors are important, but also the creativity of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at can radiate a creative work environment is also important as well. Creative businesses understand the value of this work space and emphasizes a more active and creative spaces. In this study, to support for creativity in work space, Francis Duffy (1997), Dignan (1965), Amabile (1988), Evered & Selman (1989), Abbey & Dickson (1990), Shalley (1991), Gwon seongjin & Cha soran (2001) and many scholars in their research, 4 important environment-psychological factors in performing creative work such as autonomy, sociality, amenity and identity were extracted.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advertising agencies, game and animation firms where the creativity are most required in work process. The result of case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irst, individual workers increase the creative thinking and idea when they have the autonomy such as control and ownership of their business. To have a way to support the autonomy of space, the space is composed by variable structure to transform on user's self. Second, smooth sociality such as participatory management and the environment of organizations and businesses, the sharing ideas and decision-making between members and enabling informal social communication are induced creative ideas. Spatial factors are that consists of overall open structure and compose variable small meeting space, friendly atmosphere to facilitate sha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and the informal communication-friendly atmosphere can actively help to facilitate the exchange ideas. Third, the environment introduced amenities by adapting unstructured curve, line, exaggerated object, colorful and play space which causes curiosity, imagination and interest. and that is to form a flexible atmosphere and free communications and encourage ideas. Last, identity formation in process of self-realization is related to individual's creativity deeply, this increases through self-process in work space. Therefore, to compose personal spaces to adjust their own privacy and to decorate the space according to personal in work space can support the identity. The foundation for spatial alternatives about 4 environment psychological factors for supporting creativity in office space has been studies in this study and in response to changing movements, this expected to in-depth research to be continued for further. 인류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발전을 거듭하여 온 원천은 새로움의 추구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현대는 모든 사회, 경제 활동에 있어 정보가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는 ‘정보화 사회’이다. 이러한 정보사회에서 개인의 자아실현과 국가 발전을 위한 고차원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은 더욱 광범위한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생성을 통해서 가능하며, 전적으로 창의력에 의존한다. 이렇듯 중요한 창의력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성격, 인지 스타일과 능력, 동기부여 요인, 지식 등 개인요소들의 함수이며, 이러한 개인요소들은 사회적 요인 또는 상황적 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개인적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조직 및 기업의 창의력을 발산할 수 있는 창의적인 업무환경 역시 중요하다. 따라서 창의적인 기업은 이런 업무공간의 가치를 이해하고 중시하며 더욱 적극적인 창의적 공간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업무공간에서의 창의성 지원에 관한 Francis Duffy(1997), Dignan(1965), Amabile(1988), Evered&Selman(1989), Abbey&Dickson(1990), Shalley(1991), 권성진&차소란(2001) 등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창의성 제고를 위한 환경심리요소인 자율성, 사회성, 유희성, 정체성의 네 가지 요소를 추출하고, 업무수행에 있어 창의성이 가장 중시되는 광고대행사, 게임회사, 애니메이션회사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근로자 개개인이 그들의 업무나 아이디어에 대해 통제권 및 소유권 등의 자율성을 가질 때 창의적 사고가 높아진다. 이러한 자율성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공간을 가변적 구조로 조성하여 사용자의 자율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간 간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공간의 기능을 유동적으로 하여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따라 업무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공간의 자유로운 표현을 통해 보다 유연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둘째, 조직과 기업의 참여적 경영 및 분위기, 구성원들 간의 아이디어 공유 및 의사결정,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을 통한 원활한 사회성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유발한다. 공간적 지원요소로는 업무공간을 개방형 구조로 구성하고 다수의 소규모 회의공간을 조성하여 구성원들 간의 소통과 공유를 원활히 하고, 친화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아이디어 교류를 원활히 하는 것이다. 셋째, 정형화되지 않은 곡선, 사선, 과장된 오브제, 다양한 색채, 놀이공간 등을 통해 유희성이 도입된 환경은 호기심, 상상력, 흥미 등을 유발하여 유연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자유로운 의사 교환이 이루어지며,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을 유도한다. 넷째, 자아실현의 과정에서 형성을 통해 형성되는 정체성은 개인의 창의성과 깊은 관련이 있고, 이는 업무공간에서 그 공간의 자기화과정을 통해 높아진다. 따라서 업무 공간 안에 개인적인 공간을 조성해주고, 스스로 프라이버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공간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체성을 지원해 줄 수 있다. 업무 공간에서의 창의성을 지원하는 네 가지 환경심리적 요소와 공간적 대안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하였으나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더욱 구체적인 공간적 대안과 그 실증적 결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비일상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진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wrought by the Information Age in the 21st century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workplace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need to reconceptualize it beyond a daily working space. To establish a study range for creative and efficient working-space design, express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non-daily working spa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e., Amusement, Communication, Amenity, Flexibility), and international cases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categories to analyz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non-daily working spaces. Based on the results, characteristics applicable to changing non-daily working spaces were derived. Non-daily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he most essential to be reflected in an establishment plan in that they promote more creative and efficient work by increasing workers’ interest in tasks. Thus, it is anticipated that the basic analysis of express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non-daily working spaces deriv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environments that encourage creative ideas and efficient work in Korean working spaces and to conducting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promotion of a higher level of non-daily working space design in Korea.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정보화 시대에 따른 사회 환경의 변화는 업무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일상적 업무공간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기반 사회로서의 창의적인 업무가 주를 이루는 비일상적 업무공간 유형을 통해 비일상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 도출하여 보았으며, 이와 같은 비일상적 디자인 표현 특성들이 업무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구성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공간 디자인을 위해 비일상적 업무공간을 위한 디자인 표현 특성을 4가지로 구분하여 유희성(Amusement),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쾌적성(Amenity), 가변성(Flexibility)을 기준으로 비일상적 업무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국외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변화되는 비일상적 업무공간에 적용 가능한 특성들을 도출하였다. 비일상적 특성은 근무자들에게 창의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업무를 지원하는데 있어서 업무의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구축안으로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비일상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들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 업무공간에서도 창의적인 발상과 효율적 업무 지원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여 비일상적 업무공간 디자인을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국내 업무공간의 진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바탕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