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國語 類義語의 生成要因 硏究

        김진식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박사

        RANK : 248717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make a study of the essence of synonym by the field-theory and the componential analysis-theory, provide the basic principles on the Korean synonym study, and at the same time it aimed to classify the generative factor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synonymy as a synchronic meaning-relation in connection with the diachronic meaning change. 1.In chapter II,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ssence of synonym and its generative factors were introduced and their problems were examined. (1) The views of the Korean academic world on the essence of synonym are divided into pros and cons about the perfectly same meaning. We took the latter here and used 'the similar meaning word' instead of 'the same meaning word' in the technical term. (2) The views of the domestic learned circle on the generation of the Korean synonym are divided into two: The generative theory centered on the etymology and the generative theory of the various points of view. The latter was taken here, but the generative factors of the Korean synonym were divided into the extralinguistic factors and the linguistic factors in connection with the meaning change. 2. In chapter III, we looked into the essence of the synonym as a preceding work in order to bring to light the generative factors of the Korean synonym. (1) In understanding the essense of the synonym, the approach of S. Ullmann type has a lot of difficulties not to compare the meaning differences, because it relates various names with one sense. (2) We invoked the E.Coseriu's field-theory and grasped the synonym as a meaning-relation among the lexeme more than two. And then although we regarded the synonymy as a 'overlapping' with the componential analysis theory of E.A.Nida or G.Leech, we regarded the parts of 'overlapping' as all of the conceptional meaning come to be supplied with the common components. 3. In chapter IV, we set up the extralinguistic factors as the first one of the synonymous generation in Korean and looked into the generative aspects in the Korean synonyms. (1) The Korean synonyms come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factors. ①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similarity in senses. And they were considered by metaphor, euphemism, analogy, and blending. ②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contiguity in senses. And they were considered by the metonymy( the temporal, special, casual contiguity). (2) The Korean synonyms come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ocial factors. ①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social institution. And they were considered by the terms for the family system, the marriage system, and the other social institution. ②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social stratum. That is, they were considered by infant languages, royal languages, high and low languages, argots, and technical terms. ③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local community. The regional dialects occur as a result of the diffusion of renovated waves and they have synonymy with the common words of the centural point of rayonnement(the focal area). 4. In chapter V, as the second factor for the generation of the Korean synonym, linguistic factors were set up and the generative types in Korean synonyms were looked over. (1) The Korean synonyms come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d contiguity in names. ①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similarity in names. And they were considered by the folk etymology, the Koreanization of the sino-Korean, and phonetic interferences. ②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contiguity in names. And they were considered by syllabic and lexemic ellipsis. The one were considered by the apocope and aphesis and the other by deletion of the modifier and the head. (2) The Korean synonyms come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foreign languages. ①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sino-Korean. And they were studied from the meaning differentiation and synonymy between the pure Korean and the sino-Korean. The latter were studied from the synonymy of the correspondence of 'one to many' in the pure Korean and the sino-Korean and the overlapping of synonym in the pure Korean and the sino-Korean. ② The Korean synonyms are generated by the other foreign language except for the sino-Korean. They were studied from the other foreign language except for the sino-Korean and the meaning differentiation or synonymy of the pure Korean including the sino-Korean. 5. In chapter VI, we made a conclusion by summarizing the contents that had been discussed thus far in the main subject and re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view in the future about the further study of the Korean synonym.

      • 초등 학습자를 위한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 내용 연구 : 기사문을 중심으로

        황재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93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educational content for learners to distinguish between facts and opinions effectively, thereby meeting its original purpose. The current education on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has insufficient linkage with critical reading and is less considerate of linguistic elements, thus the learners’ actuality is never really reflected well. Based on this reflective review, this paper aims to devise alternative educational content centering around news articles, the text which often requires capabilities to distinguish facts and opinions. In Chapter II, as a premise of demonst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the following ideas were reviewed. The concept of facts and opinions was turned into another concept - “fact sentence” and “opinion sentence” - to correspond to the education of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discerning truth and false. The core essence of distinguishing fact sentences and opinion sentences is not about clear criteria between fact sentences and opinion sentences. It is rather about finding opinion sentences and ultimately coming up with clues - or grounds for such judgment -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writer. Also, by criticiz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n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in the existing textbooks, this paper confirmed, 1) a lack of connection to critical reading in terms of purpose, 2) ambiguou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in terms of selecting the content, and 3) organization of chapters in a separate manner in terms of content organization. Moreover, this paper reviewed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in the current news article education. It also empha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and news articl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common ground between news article educa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cle genre – in particular, conte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anifestation of articles – and news article education focusing on linguistic elements. Based on this belief, the paper set the direction of education on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centering around news articles. In Chapter III, the paper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learners with regard to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As for the responses on the conceptual layer of facts and opinions, they were categorized into “judgment stemming from erroneous concepts of facts and opinions” and “judgment stemming from the possibility of discerning truth and false.” In terms of the form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come up with judgments based on whether they match the learners’ existing ideas, due to confusion between opinions and false ideas, and based on whether learners have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the given information. In terms of the latt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make judgments based on the time period when they can discern truth or false and based on concrete explanations. As for responses regard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it was classified into “judgment based on the authority of the article” and “judgment based on writer’s opinion.” As for the form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judge that news articles would only convey objective facts. As for the latt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judge articles to depict writer’s subjective ideas and that this is made from certain clues. Moving on, the responses related to the linguistic layer were classified into three - “judgment based on inherent values of words,” “judgment based on modality expressions,” and “judgment based on cited expressions.” In the judgment based on inherent values of words, it was confirmed that judgment was made based on whether words with inherent values exist and based on judging the values of certain words. In the judgment based on quoted expressions, it was confirmed that judgment was made based on verbal actions, the specification of a verbal subject, the authority of quoted sources, the value of quoted sentences, and the value of quoted predicates. In Chapter IV, educational content to distinguish facts and opinions was designed, based on learners’ perceptive characteristics noted in Chapter III. The educational goal was set to raise reading skills by improving the distinguishing capabilities of facts and opinions. The subgoal was demonstrated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distinguishing facts and opinions based on genre characteristics of articles and linguistic elements. The education content includes the followings: In the layer of fact and opinion concept -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fact sentence and opinion sentence” and “distinguishing fact sentence and opinion sentence based on the possibility to discern truth or false.” In the layer of news articles genre characteristics – “understanding that writer’s subjective opinions are inherent in articles and the need of critical reading” and “finding opinion sentences in articles and identifying the intention of a writer.” In the layer of linguistic elements - “distinguishing fact sentence and opinion sentence focusing on inherent values of words and explaining the grounds for such distinguishing,” “distinguishing fact sentence and opinion sentence focusing on modality expressions,” and “distinguishing fact sentence and opinion sentence focusing on cited expressions. Systematically connecting these layers in the order of fact and opinion concept-news articles genre characteristics-linguistic elements, each step was devised to build gradual learning process that encompasses the previous step, rather than in a unilateral direction. Also, there are certain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that can be aligned with organizing education on distinguishing truths and opinions. These include the critical reading of persuasive texts (reading), writing essays (writing), learning news article genres (media), and discovering grammatical elements (grammar). Lastly, the paper realized educational content centering around genre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elements of news articles with regard to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 mentioned so far. This paper ha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proposed educational content for learners to distinguish concrete facts and opinions based on learners’ actuality.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 proposed in this paper, a practical basis will be formed for elementary learners to be equipped with critical reading skills in the era where the need for critical understanding is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본고는 본래 취지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에 목표가 있다. 현행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이 비판적 읽기와의 연관성이 미흡하고, 언어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학습자의 실제성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반성적 검토를 바탕으로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가 주요하게 요구되는 장르인 기사문을 중심으로 대안적인 교육 내용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한 전제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사실과 의견의 개념을 참과 거짓의 판별 가능성을 기준으로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에 부합하는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의 개념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의 구별에 있어서의 핵심은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 간의 명확한 기준이 아니라, 의견 문장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필자의 의도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단서가 될 수 있는 판단 근거, 즉 필자의 주관성이 반영되는 요소임을 밝히었다. 또한 현행 교과서의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의 실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목표 측면에서는 비판적 읽기와의 연계성이 미흡함을, 내용 선정의 측면에서는 모호한 사실과 의견의 구별 준거를 제시하고 있음을, 내용 조직의 차원에서는 유기적이지 않은 단원 구성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기존의 기사문 교육의 내용 선정을 검토하고,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와 기사문 교육의 관계는 기사문의 장르성, 특히 기사문의 재현과 관련된 내용적 특성에 초점을 둔 기사문 교육과 언어적 요인에 초점을 둔 기사문 교육 간의 접점에서 설정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사문 중심의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Ⅲ장에서는 초등 학습자의 사실과 의견 구별 양상을 파악하였다. 사실과 의견 개념 층위와 관련된 답변은 ‘사실과 의견에 대한 오개념과 연관된 판단’과 ‘참과 거짓의 판별 가능성과 연관된 판단’으로 범주화하였다. 전자와 관련하여서는 자기 생각과의 일치 여부에 근거한 판단, 의견과 거짓의 혼동에 근거한 판단, 배경지식의 포함 여부에 근거한 판단을 확인하였다.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판별 가능 시점에 근거한 판단과 구체적 서술에 근거한 판단을 확인하였다. 기사문의 장르성 층위와 관련된 답변은 ‘기사문의 권위에 근거한 판단’과 ‘기자의 주관성에 근거한 판단’으로 분류하였다. 전자와 관련하여서는 기사문에는 객관적인 사실만 적시될 것이라는 판단을,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기사문에는 기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서술되며, 이를 특정 단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판단을 확인하였다. 언어적 요인 층위와 관련된 답변은 ‘가치 내재 어휘에 근거한 판단’, ‘양태 표현에 근거한 판단’, ‘인용 표현에 근거한 판단’으로 범주화하였다. 가치 내재 어휘에 근거한 판단에서는 가치 내재 어휘의 유무에 근거한 판단과 특정 어휘의 가치 판단 내용에 근거한 판단을 확인하였다. 양태 표현에 근거한 판단에서는 양태 표현에 주목한 판단을 확인하였다. 인용 표현에 근거한 판단에서는 발화 행위 자체에 근거한 판단, 발화 주체의 명시성에 근거한 판단, 인용 출처의 권위에 근거한 판단, 피인용문의 가치 판단 내용에 근거한 판단, 인용 술어의 가치 판단 내용에 근거한 판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초등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통해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 내용 구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학습자 인식 양상에 기반하여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교육 목표를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능력의 증진을 통한 비판적 읽기 능력의 신장으로 상정하고, 하위 목표로 기사문의 장르성에 기반한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능력의 증진과 언어적 요인에 기반한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능력의 증진을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사실과 의견의 개념 층위에서는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의 개념 이해하기’, ‘참과 거짓의 판별 가능성에 의거하여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 구별하기’를, 기사문의 장르성 층위에서는 ‘기사문에는 필자의 주관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고, 기사문에 대한 비판적 읽기의 필요성 이해하기’, ‘기사문에서 의견 문장 찾고, 이와 관련하여 필자의 의도 파악하기’를, 언어적 요인 층위에서는 ‘가치 내재 어휘에 주목하여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 구별하고 근거 설명하기’, ‘양태 표현에 주목하여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 구별하기’, ‘인용 표현에 주목하여 사실 문장과 의견 문장 구별하기’를 선정하였다. 사실과 의견 개념 층위, 기사문의 장르성 층위, 언어적 요인 층위 순으로 계열화하되, 각각의 단계는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라, 이전 단계를 포함해나가는 점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을 조직함에 있어 연계할 수 있는 국어과 영역의 내용 요소로 읽기 영역의 설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쓰기 영역의 논설문 쓰기, 매체 영역의 기사문의 장르성 익히기, 문법 영역의 문법 요소 탐구하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내용 선정 및 조직과 관련하여 기사문의 장르성 및 언어적 요인 중심의 교육 내용의 실제를 구현하였다. 본고는 비판적 읽기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실제성에 기반한 구체성을 지닌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교육 내용을 통해 비판적 이해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는 시대에 초등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의 실질적인 기초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 후보자 토론 스피치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 2002년 16대 대선 TV합동토론을 중심으로

        윤원선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81

        논문요약 후보자 토론 스피치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 2002년 16대 대선 TV합동토론을 중심으로 - 21세기는 미디어선거 시대다. 기술 발달로 계속해서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가장 막강한 영향력을 자랑하는 매체는 여전히 TV이며, 매체선거를 위한 대비책으로 TV방송 경험을 가진 전•현직 아나운서 또는 기자 출신 스피치 전문가에게 속성 스피치 훈련을 받는 정치인도 늘고 있다. 그렇다면 후보자의 미디어 스피치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권자 입장에서 TV토론 스피치를 평가하는 가장 주효한 요인’을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고, 스피치 실력이 후보자에 대한 호감 형성에 기여하는지 등 함께 살펴봄으로써 미디어 스피치 훈련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후보자 스피치 실력이 좋으면 최종 호감도는 비례하여 증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콘텐츠 요인, 그 다음으로는 몸짓 및 공간 요인이었다. 따라서 언어 요소 중에서는 콘텐츠 요인이, 비언어적 요소 중에서는 몸짓 및 공간 요인이 비교 우위에 있을 때 더 높은 점수를 얻을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으며, 넓게는 피실험자가 언어와 비언어 요소를 모두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피실험자가 후보자의 스피치를 평가할 때, 지지 정당이나 정치 이념과 같은 정치적 성향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피실험자는 영상을 통해 순수하게 토론자의 스피치만을 평가했다. 그리고 스피치 평가 총점 순위는 응답자가 느낀 최종 호감도 순위와 일치했다. 따라서 스피치 실력이 뛰어날수록 정치 성향이 호감도를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은 그리 높지 못할 것으로도 보여진다. 한편, 일반 대중의 시각과 미디어 전문 트레이너가 보는 관점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검증도 진행했다. 총 60명으로 구성된 피실험자를 방송 & 스피치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과 비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답변의 차이와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두 그룹의 평가에는 특별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명의 토론자를 스피치만으로 평가했을 때 평가 점수 순위 결과가 일치했다는 사실로 본다면, 유권자가 스피치를 평가하는 기준은 전문성이나 경험과 무관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요인별 수치를 비교하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문성이 스피치를 심사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을 더욱 명확하게 만들어준다고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TV 토론에서는 논지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했다. 여기에 자연스러운 제스처와 따뜻한 시선처리가 더해진다면 실전 토론에서 호감을 얻기 쉬운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물론 스피치 실력의 순위가 선거 결과와 항상 동일하다고는 볼 수는 없지만, ‘후보자의 토론 스피치 실력이 호감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라는 명제는 본 연구에서 충분히 증명되었다고 본다. 주제어: 스피치 평가 요인, TV토론, 호감도, 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

      •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호칭어·지칭어 오류 양상과 원인 분석 : 언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현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78

        Both address forms and reference forms are crucial elements in social interactions, which define social relations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However, due to the vertical social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culture,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Korean language are much more complicated in its forms and usages compared to other languages. Therefore, along with relative honorification forms, most foreigners find it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when learning Korean. Especially for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who are placed in a unique social environment, it is even more challenging to understand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Korean languag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arriage-based immigrants become engaged in a variety of relationships as soon as they immigrate to Korea. In particular, the complex relationships with the relatives of their spouses make it more burdensome for them to learn and use such forms correctly. The number of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KIS (Korea Immigration Service), as of the end of December 2012, about 26.5% of the entir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re from Vietnam, which is the highest among all the other nationalities.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Korean Language need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promote fluent communication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correct usage patterns of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Korean language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such errors. Specific detail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Chapter 1 stat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explores other stud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similar subject. It also describes the methods and range of research used in this study. Chapter 2 analy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the order of theories, errors, and analysis of errors. In Chapter 2, I defined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on its forms and selecting factors. Then I stated the definition of error, described error patterns according to various causes, and provided 3 typical error analysis theories. Chapter 3 provides methods of research in the order of the subject of research, research procedures, criteria for errors, and error description methods. Medi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pursuance of investigating incorrect usages of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among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As for media analysis, 15 episodes of a show broadcast by KBS—LoveinAsia—were analyzed. I examined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used in the conversations among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Also, I interviewed 4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who resid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area, as well as people around them. In Chapter 4, I divided the errors found in the previous chapter into linguist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I then categorized linguistic factors into between-language factors and within-language factors. As for social factors, I specified it into intimacy determinants, age determinants, social status determinants, formality determinants, and relative relation determinants. Chapter 5 summarizes the overall contents of this study, and stat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it investigates the error patterns of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the actual conversation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and it also analyzes their causes from the points of linguist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Vietnam and the native Korean speakers around them, and with the assistance of medi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 were able to analyze the grammatical errors that Vietnamese immigrants make in their everyday life, which makes this study more realistic. We also analyzed the causes of the errors and specified them into linguist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I hope further studies on the address form and reference form in Korean language will continue to be carried out and be of much help to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improving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호칭어와 지칭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적 구성 성분으로 대화 참여자간의 사회적 관계를 규정한다. 또한 그 선택에 따라 대인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준다. 그런데 수직적 사회구조와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호칭어와 지칭어가 매우 발달하여 그 형태와 용법이 복잡하고 까다롭다. 따라서 높임법과 더불어 한국어 학습에서 많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 중의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까다로운 사회 환경에 놓이는 결혼 이민자에게 한국어의 호칭어와 지칭어는 특히 어렵다. 이는 결혼 이민자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특히 결혼과 이민으로 맺어진 배우자의 혈족과의 복잡한 인간관계는 호칭어와 지칭어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최근 베트남인 결혼이민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2012년 12월말 기준 통계자료에 따르면 결혼이민자(국민의 배우자) 147,591명 중, 베트남인은 39,004명(약 26.5%)으로 그 수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베트남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지칭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원활히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베트남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호칭어․지칭어 오류 양상을 알아보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각 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호칭어․지칭어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 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호칭어․지칭어 이론과 오류와 오류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선행 연구를 토대로 호칭어와 지칭어의 개념과 기능을 알아보고, 그 유형과 선택 요인을 한국어와 베트남어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다음으로 오류 이론에서 오류의 정의와 원인에 따른 오류 유형을 제시하고, 대표적인 오류 분석 이론 3가지를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오류 판정 기준과 오류 기술 방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고는 베트남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호칭어․지칭어 오류 양상과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미디어 분석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미디어 분석은 KBS 방영 프로그램 『러브 인 아시아』에서 베트남 결혼이민자가 출연하는 15편을 수집하여 인물들이 발화에서 사용하는 호칭어와 지칭어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은 광주광역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4명의 베트남 결혼이민자 및 그 주변 인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미디어 분석과 심층면담에서 나타난 오류를 언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정리하였다. 언어적 요인은 언어간 오류와 언어내 오류로 기술하였다. 사회적 요인은 친소 변인에 따른 오류, 연령 변인에 따른 오류, 지위 변인에 따른 오류, 격식성 변인에 따른 오류, 친족 관계 변인에 따른 오류로 세분화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자들의 실제 발화를 통해 그들의 한국어 호칭어․지칭어 오류 양상을 밝히고 그 원인을 언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베트남 결혼이민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인 주변 인물을 모두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디어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베트남 결혼이민자가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하는 호칭어와 지칭어를 분석하여 실제성을 높였다. 그리고 오류 양상에서 그치지 않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여 언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 결혼이민자들의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하여 한국어 호칭어․지칭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 몽골 유학생을 대상으로

        체벨마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65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중 몽골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반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적응을 위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몽골 유학생 중 어학연수생과 교환학생, 학부생, 대학원생을 모두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효한 212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SPSS for Windows 20.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몽골 유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종교, 건강상태, 동거가족, 한국어 능력, 영어능력, 학업과정, 등록금 및 생활비 조달방법, 체류기간) 중 5개의 특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몽골 유학생의 문화적 요인(t=4.388, p<.001), 경제적 요인(t=3.378, p<.001), 언어적 요인(t=2.657, p<.001)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언어적 요인 외에 문화적, 경제적 요인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좀 더 좋은 유학 환경을 제공하고, 더 많은 유학생 유치를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following research is to understand wha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adapting to the campus life to mainly Chinese and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Along with finding out the overall factors of adjustment that will point out the direction for support. Data was collected by carrying out surveys by International Mongolian language course students, exchange studen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 final analyzed the 212 survey’s data by using SPSS for windows 20.0 vers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firstly, out of the man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Mongolian students (Gender, age, marital status, religion, health status, family living together, Korean proficiency, English proficiency, academic courses, tuition and living expenses, supply method of money, duration of stay) five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importance in adapting to the campus life. Secondly, International Mongolian student’s cultural factor (t=4.388, p<.001), economic factor (t=3.378, p<.001), language factor (t=2.657, p<.001) each affected a positive influence in adjusting to the campus life The following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tial factors to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dapting to the campus life, and researching how the research subject’s personal characteristic, language factor, culture and economic factor influences campus life itself has significance. Furthermore, to provide a better study environment and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consequently we must propose the importance of proceeding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daption of the campus life.

      • 초등 5~6학년 발달성 난독학생과 일반학생의 설명 담화이해력

        이정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347

        Introduction :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school age, understanding of discourse is achieved through listening and reading, and through this, the subject is learned.(McCray, Vaughn, & Neal, 2001). To successfully understand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entral contents of the processed text and connect them using one's semantic and syntactic knowledge(Kamhi & Catts, 2014). According to Chall's(1983) reading development model, elementary and upper grades are based on automated reading skills as the “reading stage to learn” to acquire new information, for learning, the process of reading and comprehending discourse comprehension becomes important. 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model, it explains that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both decoding abilit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hould be examined.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are specific learning disorders that show difficulty in accurately and fluently decoding words due to phonological defects despite continuous educati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model, even if there is no difficulty in listening comprehension, it may appear as a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due to difficulty in decoding. As a result of a preceding study targeting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students in word reading tasks that did not correspond to letters and sounds (Pae et al., 2017). For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decoding, providing texts with an adjusted discourse decoding difficult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help with reading comprehension. The length and structure of the presented text can also have an impact on successful text comprehen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ext needs to be adjusted from a long and complex structure to a short and simple structure (Fang, 2006; Lee, 2011). In particular, when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discourse, the longer the discourse becomes, the more it becomes an obstacle to listening and understanding (Chen, 2005; Demirkol, 2009). Recently, there is a study that prefers 346 characters as the amount of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era (Jung Research et al., 2016). This suggests that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ourse is a factor influencing discourse comprehension. Various linguistic factors such as vocabulary, syntactic ability, and working memory are factors influencing discourse understanding, and it is especially an important skill to have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understand a tex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it (Nagy & Scott, 2000), and the amount and depth of vocabulary are factors that affect the semantic understanding of the text (Quellette, 2006). In addition, processing of structural representations in sentences and sentence structure affects discourse comprehension, and difficulties in recognizing sentence structures and grammatical morphemes of texts can appear as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is the cognitive ability to temporarily remember and process given information (Danemen & Carpenter, 1980). While more vocabulary knowledge is required as the grade goes up,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have difficulty learning new words (Alt et al, 2019). Difficulties in vocabulary can be caused by difficulty understanding sentences and paragraphs by grasping the structure of writing and using syntactic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xt comprehension of developmentally dyslexic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 will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read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length of text, and language facto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5 people per group, total of 30 people. Both groups achieved an in the shape scale test of the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 Second Edition (K-CTONI-2; Park, 2014),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 with a publication index of 85 or higher, t=1.586 (p = 0.124), and childre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losure ability were selected. In addition, KOrean Lang-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Pae et al., 2015) were selected as children with no language difficulties with a standard score of 85 or higher in listening comprehension. Also, the students were reported to have no physical problems such as vision, hearing, or movement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 difficulty in reading with a standard score of less than 80 on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Reading Index 2 (decoding,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General students were selected as children who had no difficulty in reading with a standard score of 85 or higher.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produced by referring to Lee Joungmin et al. (2021). Eight the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xtbook topics for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the text of each topic is more than 40% of syllables with grapheme-phoneme mismatch, The difficulty level was less than 20%, and the amount of discourse consisted of 50 to 60 words for short texts and 100 to 110 words for long texts. Four types of texts were created by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and length of text by topic, and the same questions were asked to all types of texts. Each question consisted of 8 questions and was scored on a 0, 1, 2 point system. The linguistic factor test for text comprehension evaluated the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of the four items of the Korean-Clinical Evaluation of Language Fundamentals(K-CELF 5).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was conducted for group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general students)*discourse mode (reading, listening), group*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and group*length of text.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the four domains of language factors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on comprehension. Results & Discuss :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iscourse mode (reading, listening) of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0.718 p=.197), but the group (F=20.848, p=.000) and discourse mode (F=26.866, p=.000)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The developmental dyslex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children in both reading and listening tasks, and both normal and developmentally dyslexic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reading comprehen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hich must be achieved academically through tex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ead to a lack of language skills, which also affects listen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support is needed not only for reading comprehension but also for listening comprehension dur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between the two group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13.081, p=.001).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n both group (F=20.848, p=.000) and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F=10.207, p=.003). Normal students did not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but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exts with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difficulty than easy texts. In Hangeul,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s and sounds is regular, and decoding ability is relatively high (Landerl et al., 1997), and word decoding is said to increase in the upper elementary grades. (Kim, Pae, 2011, Yoon, 2015, Yoon, 2016). Nevertheles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ifficulty in decoding can lead to reading comprehension until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adjusting the writ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decoding performance can be a positive factor in text comprehen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ext between the two group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0.133 p=0.718). No main effect was found in the length of text (F=0.748, p=0.394), but a main effect was found in the group (F=20.848, p=.000). Although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ong text of this study is about 340 words, and it is not burdensome when 5th to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process it. I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that 346 characters are preferred as the amount of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age in a study on the article path in the mobile age (Jeong et al., 2016).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anguag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levels than the general children in all four areas of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It was found that although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are cognitively no different from general students, they show more difficulties than general students in not only vocabulary and syntactic structure, which are the basis of text, but also in repeating sentences to remember and process what they have memorized. It seems that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have less reading experience and as a result, they have difficulties in linguistic ability to acquire through text. This can be seen as the effect of the Matthew effect, which occurs when vocabulary and background knowledge a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due to reading difficulties proposed by Stanovich(2009).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various language abilities are also required by factors of vocabulary semantic,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서론: 학령기의 교실환경에서는 읽기와 듣기를 통해 담화 이해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교과내용을 학습하게 된다(McCray, Vaughn, & Neal, 2001). 성공적인 담화이해를 위해서는 처리한 텍스트의 중심내용을 파악하여 자신이 가진 의미, 구문지식 등을 활용하여 연결해야 한다(Kamhi & Catts, 2014). Chall(1983)의 읽기발달에 따르면 초등 고학년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배우기 위해 읽는 단계”로 자동화된 읽기능력을 기반으로 학습을 위하여 읽고 이해하는 담화이해의 과정이 중요해진다. 읽기 단순 관점 모델(Simple View of Reading)에서는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서는 해독능력과 듣기이해능력 두 능력을 모두 살펴보야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발달성 난독학생은 지속적인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운론적인 결함으로 인해서 정확하고 유창하게 낱말을 해독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학습장애이다. 읽기 단순 관점 모델에서 발달성 난독학생의 특성을 살펴보자면, 듣기이해능력의 어려움이 없더라도 해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읽기이해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초등 발달성 난독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 글자와 소리를 대응하지 않는 낱말 읽기 과제에서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배소영 외, 2017). 해독의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을 위하여 담화해독난이도를 조절한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읽기이해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성공적인 담화이해를 위해서는 제시되는 텍스트의 길이와 구조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텍스트를 길고 복잡한 구조에서 짧고 단순한 구조로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Fang, 2006; 이성영, 2011). 특히 담화를 듣고 이해할 때에는 담화량이 길어질수록 듣고 이해하는데 방해요인이 되며(Chen, 2005; Demirkol, 2009), 최근 모바일 시대 텍스트 정보량으로 346자를 선호한다는 연구가 있다(정연구 외, 2016). 이는 담화량을 조절해주는 것이 담화이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어휘, 구문 능력, 작업기억 등 다양한 언어요인들이 담화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특히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 갖춰야할 중요한 능력이다.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안의 어휘의 의미를 알아야 하며(Nagy et al., 2000), 가지고 있는 어휘의 양과 깊이는 텍스트를 의미적으로 이해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Ouellette, 2006). 또한 문장 내 구조적 표상, 문장의 구조에 대한 처리가 담화이해에 영향을 주며, 텍스트의 문장 구조 및 문법형태소의 인식의 어려움이 읽기이해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작업기억은 주어진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다(Danemen & Carpenter, 1980). 학년이 올라갈수록 많은 어휘지식이 요구되는데에 비해 발달성 난독 학생은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Alt et al, 2019). 이러한 어휘의 어려움은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구문구조를 활용하여 문장과 문단을 이해하는 것의 어려움으로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학생의 담화이해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읽기이해와 듣기이해에 따라 담화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담화해독난이도, 담화량, 언어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 5-6학년에 재학 중인 발달성 난독학생과 일반학생으로 집단별 15명, 총 30명으로 하였다.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제2판의 도형척도검사(K-CTONI-2; 박혜원, 2014)에서 지능지수 85이상으로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t=1.586(p=0.124)으로 인지능력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한국어읽기검사(KOLRA; 배소영 외, 2015) 듣기이해 표준점수 85이상으로 언어적인 어려움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부모 혹은 교사에 의해 시각, 청각, 운동 등 신체적인 문제가 없다고 보고된 학생이었다. 발달성 난독학생은 한국어읽기검사 읽기지수2(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표준점수 80 미만으로 읽기의 어려움을 보이나, 일반학생은 표준점수 85 이상으로 읽기의 어려움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이정민 외(2021)를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초등 3-4학년 교과서 주제를 바탕으로 8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각 주제의 텍스트는 담화해독난이도 측면에서 난이도 상은 자소-음소 불일치 음절 40% 이상, 난이도 하는 20% 이하로, 담화량은 짧은 글은 어절 50~60개, 긴 글은 어절 100~110개로 구성하였다. 주제별로 담화해독난이도와 담화량을 고려하여 4개의 타입의 텍스트를 제작하였으며, 모든 타입의 글에 같은 질문을 하였다. 각 질문은 8문항으로 0, 1, 2점 체계로 채점하였다. 담화이해에 대한 언어요인 검사는 한국어 핵심 언어 임상평가(K-CELF5, 배소영외, 출판준비중)의 4가지 항목의 어휘 의미, 문법 지식, 구문 의미 이해, 문장따라말하기 영역을 평가하였다. 집단(발달성 난독학생, 일반학생)*담화모드(읽기, 듣기), 집단*담화해독난이도, 집단*담화량에 대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담화이해에 대한 언어요인 4가지 영역(어휘의미, 문법지식, 구문의미이해, 문장따라말하기)의 집단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첫째, 두 집단의 담화모드(읽기, 듣기)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F=0.718 p=.197), 집단(F=20.848, p=.000)과 담화모드(F=26.866, p=.000) 모두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달성 난독 집단은 읽기와 듣기 두 과제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일반학생과 발달성 난독학생 모두 읽기이해에 비해 듣기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초등 고학년이 되면서 학업적으로 텍스트를 통해 성취해야 할 읽기이해의 어려움이 언어능력의 결핍으로 이어져 듣기이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달성 난독학생 중재 시에 읽기이해 뿐만 아니라 듣기이해에도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두 집단의 담화해독난이도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13.081, p=.001), 집단(F=20.848, p=.000)과 담화해독난이도(F=10.207, p=.003) 모두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학생은 담화해독난이도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발달성 난독 학생은 담화해독난이도가 어려운 글에서 쉬운 글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한글은 글자와 소리의 대응이 규칙적이고 해독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며(Landerl et al., 1997), 초등 고학년 시기에 낱말 해독이 올라간다고 한다(김미배, 배소영, 2011, 윤효진, 2015, 윤효진, 2016). 그럼에도 발달성 난독학생은 초등 고학년까지 해독의 어려움이 읽기이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학생의 해독수행력에 맞춰 글을 조절해주는 것이 담화이해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집단의 담화량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F=0.133 p=0.718). 담화량에서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F=0.748, p=0.394), 집단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F=20.848, p=.000). 발달성 난독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담화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긴 글 텍스트는 340자 내외로 초등 5-6학년 학생들이 처리할 때에 부담스럽지 않은 담화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모바일 시대의 기사 길에 관한 연구(정연구 외, 2016)에서 모바일 시대 텍스트 정보량으로 346자를 선호한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넷째, 두 집단의 언어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어휘의미, 문법, 구문이해, 문장따라말하기 4가지 영역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발달성 난독학생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이 인지적으로는 일반학생과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담화의 바탕이 되는 어휘, 구문구조 뿐만 아니라 기억하고 기억한 것을 처리하는 작업기억에서도 일반학생보다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은 읽기경험이 적어지면서 결과적으로 텍스트를 통해 습득해야 하는 언어적인 능력의 어려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Stanovich(2009)가 제안한 읽기에 어려움으로 인하여 어휘력 및 배경지식이 일반아동보다 낮아지면서 생겨나는 마태효과(Mattew effect)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어휘 지식, 문법, 구문 지식 및 작업기억의 요인들에 의한 다양한 언어능력 또한 요구됨을 확인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에 작용하는 유의미 요인 및 사례

        김은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47

        초기 문해력 발달 최저 수준의 아동 3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화 교육을 진행해 왔다. 그동안 관찰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요인들이 문해 발달에 작용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2019년~2021년에 걸쳐 개별화 교육으로 지도한 세 명의 아동들은 읽기 및 쓰기 능력에서 학년 수준에 현저하게 부족하다는 점에서 시작했는데 실제 지도 경험으로 볼 때는 차이점을 지니고 있었다. 각 아동이 지닌 특성 및 발달 지연의 원인을 주의 깊게 고려하면서 경험적 사례들에 대한 실천적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그에 답하는 작업을 지속할 수 있었다. 초기 문해에서 작용하는 다수 요인들을 범주화하여 주요 개념으로 수립해두고 이것을 개별화 교육에 순환적으로 되가져가서 적용하는 방식으로 성취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에서 주목하고 반영해야 하는 실행의 실제적인 면을 구체화해 보려고 했다.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에 작용하는 유의미 요인으로 (1) 언어적 요인, (2) 메타 인지적 요인, (3) 학습된 행동, (4) 정서적 요인 등으로 대별하였다. 각 요인은 초기 문해력 개별화 지도 과정을 디자인하고 실행하는 데 자산 요인과 촉진 요인으로 의미 있게 작용함을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낮은 문해력 발달을 보이는 아동도 자신만의 읽기 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언어적 요인 즉, 문자-음성·의미·통사 단서가 있다. 초기 문해력 개별화 수업에서는 그 단서들을 찾아내고 아동의 발달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타 인지적 요인은 문해력 발달이 더딘 아동들에게 가장 취약한 요인이다. 개별화 지도는 교사와 밀도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읽고 쓰기 과정에서 교차 점검, 자기 모니터링, 자기 수정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개별화 수업은 아동의 메타 인지적 발달을 가속화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를 검증받을 수 있는 것이며 본 연구 역시 이런 입장에 자리하고 있다. 자연스러운 문해 발달을 이루지 못한 아동들 중 일부는 ‘문자 중심의 교육’을 받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오류 반응을 반복하며 학습한다. 학습된 행동으로 터널 비전, 축자적 읽기, 비자소적 읽기 전략 지속의 사례를 보이는 것에 대해 개별화 지도의 조기 개입은 발달 지연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정서적 요인은 발달 지연을 가져올 수 있음을 사례에서 지켜보았다. 두려움, 문제 회피, 무기력 등의 정서적 요인들이 부정적 영향을 순환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아동 스스로에게 성공 경험을 통해 심리적 기반을 얻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윤연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346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교실 내에서 발견되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기피 현상을 의사소통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과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 내적 요인 중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학습자가 이들을 얼마나 자신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의 저해 또는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 외적 요인 중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학습자가 이들을 얼마나 자신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의 저해 또는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내면 성찰 연구인 학습 일지와 회상 자극기법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여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내적 요인은 정의적 요인, 언어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외적 요인은 주제 요인, 대화 상대자 요인, 교사 요인, 기타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적 요인 중 정의적 요인은 다양한 수업 관련 감정(자신감, 불안감, 책임감 등), 동기, 학습자 신념 그리고 피곤함과 배고픔과 같은 수업 외적 원인으로 인한 감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언어적 요인은 어휘력, 발음,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 그리고 언어 능력 부족으로부터 야기된 모국어 의존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요인은 체면과 과거 학습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학습자 내적 요인 중 어휘력과 자신감을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가장 크게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과업과 관련된 어휘를 모를 때 의사소통의지가 낮아지고 반대로 어휘를 알고 있을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지각의사소통능력과 불안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자신감의 정도가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외적 요인 중 주제 요인은 주제 친숙도와 주제 관련 지식, 주제에 대한 관심과 흥미로 분석되었고 대화 상대자 요인은 대화 상대자의 참여도, 대화 상대자의 언어 능력, 대화 상대자와의 친숙도, 대화 상대자의 모국어 그리고 대화 상대자의 태도와 반응 등으로 분석되었다. 교사 요인은 교사의 지지와 관심, 교사 언어, 교사와의 친숙도, 교사의 오류 수정 그리고 교사의 유머 등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기타 학습자 외적 요인은 수업 분위기, 교재 및 교수 방법, 언어 사용의 기회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다양한 학습자 외적 요인 중 한국어 학습자들은 주제 요인, 대화 상대자의 참여도 그리고 대화 상대자의 언어 능력을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주제 관련 지식이 있고 주제가 흥미로울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지고 주제 관련 경험이 없고 관심 없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때 의사소통의지가 낮아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하고 자신보다 언어 능력이 뛰어난 대화 상대자와 대화를 나눌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에서 총 1,473개의 정보 단위가 의사소통의지 관련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가운데 학습자 내적 요인은 625회(42%)였고 학습자 외적 요인은 848회(58%)였다. 그리고 어휘력(142회)은 저해 요인으로, 주제 친숙도와 주제 관련 지식(175회)은 촉진 요인으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가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가 성격, 학습자 신념, 언어 능력과 같은 성격적이고 고정적인 학습자 요인뿐만 아니라 주제, 대화 상대자, 수업 분위기 등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정의적 요인임이 밝혀졌다.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 기피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를 높이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 관련 요인을 더욱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보다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실 상황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class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cation avoidance of learners in language class is attributable to the WTC. This research has three study issues. The first one is 'what are Korean language leane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The second one is 'Of learners' internal factors, what impedes or promotes their WTC in class? and how much do the learners recognize the factors as the ones to impede or promote their WTC in class?' The third one is 'Of learners' external factors, what impedes or promotes their WTC in class? and how much do the learners recognize the factors as the ones to impede or promote their WTC in class?'. Therefore, this researcher applied learning journals and stimulated recall as introspection research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data, the learners'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were categorized into affective,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factors, and their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WTC in class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topic, interlocutor, teacher, and other factors. Of the internal factors, affective factors included various emotions related to class (confidence, anxiety, responsibility, etc.), motivation, learners' belief, emotions drawn from external class causes like fatigue and hungry and personality; linguistic factors included vocabularies, pronunciation,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mother language dependence caused by poor language skills;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d decency and past learning experi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d vocabularies and confidence as the factors that most impeded or promoted their WTC in class. The learners were reluctant to communicate when they didn't know the vocabularies related to a task, whereas their WTC was increased when they were aware of the vocabularies. A level of their confidence influenced by their perceived communication skills and anxiety greatly influenced their WTC in class. Of the external factors, communication topic factors included topic familiarity, knowledge of a topic and interest in a topic; interlocutor factors included participation of an interlocutor, language proficiency of an interlocutor, familiarity with an interlocutor, mother language of an interlocutor, attitudes and responses of an interlocutor; teacher factors included a teacher's support and interest, a teacher's language, familiarity with a teacher, a teacher's error correction, and a teacher's humor; other factors included class atmosphere, textbook and teaching method, an opportunity for language use, an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evaluation area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d topic factors as the ones that most impeded or promoted their WTC in class. Also, they recognized participation of an interlocutor and language skills of an interlocutor as main external factors that next most influenced their WTC in class. The learners' WTC was increased when they had knowledge of a topic and were interested in the topic, whereas their WTC was decreased when they had no relevant experience and were not interested in a topic. In addition, whe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d with an interlocutor with better language skills, their WTC was increased. In this research data, a total of 1,473 information units were analyzed as the factors related to the WTC. Learners' internal factors accounted for 625 (42%) and their external factors accounted for 848(58%). Vocabularies (142 units) was found to be an impediment factor, and topic familiarity and knowledge of a topic (175 units) worked as promotion factor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earners' various internal factors interacted with their external factors when their WTC was created.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was influenced by not only characteristic or relatively stable factors like personality, learners' belief and language proficiency, but situational factors such as a topic, an interlocutor, and class atmosp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in class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come up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understanding learners' communication avoidance in class and increasing their WTC. In order to define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factors more clearly,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a variety of class situations with the use of diverse learner groups.

      • Chinese L2 learners'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earner variables

        순팅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33

        본 논문에서 중국 영어학습자의 어휘 지식의 깊이와 학습자 변수에 관한 요인을 연구하였다. 어휘 지식의 깊이와 관련된 학습자 변수 요인으로 언어적성,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습스타일이 연구되었다. 먼저, 동일한 어휘 크기를 가지는 영어학습자들의 어휘 지식의 깊이가 상이한가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SEM 모델을 적용하여 어휘 지식의 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수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실험에 총 231명의 대학생이 참가하여, 어휘테스트, 설문지, 언어적성테스트의 세차례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같은 어휘 크기를 가지는 영어학습자들의 어휘 지식의 깊이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어휘 지식의 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수 요인으로는 언어적성, 학습동기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습전략, 학습스타일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추후 연구에 이론적 모델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어휘학습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관련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 있는 교수자들이 학습자요인을 반영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 있는 제언이 될 것이다. 주요어: 어휘 지식의 깊이, 어휘지식의 크기, 학습자요인, 언어적성,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습스타일, SEM

      • 맥락 중심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영상 번역 활용 방안 연구 : - 중국어권 학습자의 모국어 드라마를 중심으로 -

        정지선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31

        This study presents a context-based grammar education plan to the Korean learners having them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scourse comparing to their native language and use grammar accordingly alongside the context. As an educational method, audiovisual translation activities were presented to learners living in the chinese speaking countries to convert the script of chinese TV series into Korean.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context and its constituent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mmar. And based on this, the principles of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context in a cycle of learner-context-use was presented. In addition,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learners are adults who have already established a cognition of native language, the role of i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translation that can utilize it strategically were investigated. Moreover, by exploring the equivalenc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communicative translation, the possibility that audiovisual translation can be used as a learning tool for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context was considered. Next, the audiovisual translation simulation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problems of learner's grammar use in the areas of linguistic, situational, sociocultural context factors in order to confirm the main focus of the audiovisual translation activity. In add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5 chinese-speaking learners on their perceptions and need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context, usage of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audiovisual translation activity to set the plan of the audiovisual translation activity.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two field studies, the audiovisual translation activitie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context was followed the procedure of the ASSURE model. The class using audiovisual translation consists of opening activities, main activities, and closing activities, and the details of each step of the clas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ning activities have learners recognize the context of discourse in detail through the video i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The activities consist of analyza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s and discourse in the video, and the question-and-answer activity to reveal the specific intentions and psychology of conversation on the surface of the language. Second, the main activities have the learners output and reinforce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language, focusing on the utterance intention of the video scene in the native language. The audiovisual translation activity for learners to explore Korean grammar on their own, the mutual evaluation activity among learners to expand and exchange grammar knowledge, and the teacher feedback to induce learner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are composed. Third, The closing activities have the learners complete the usage of Korean grammar based on the reconstructed grammar knowledge centered on the context. The role play of remaking scenes and the dialogue completion activity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are prepared. This study presents more compelling and easier approach to the learners to increase grammar and context awareness by strategically using learners' native language videos.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the diversity of grammar education plan centered on learners and contexts. 본 연구는 국외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에 기반한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맥락 중심 문법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영상 번역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과정과 그에 따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고 있던 맥락의 개념과 그 구성 요인을 모색한 후, 한국어 문법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맥락의 개념을 ‘의사소통 상황에서 담화의 표현과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적·논리적 관계’라 정의하고, 이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언어적 요인, 상황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을 설정하였다. 이어 한국의 언어문화에 기반한 문법의 특징과 사용 기제 및 담화 전략을 살피고, 학습자-맥락-사용 간 순환적 구조 속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한국어 문법 현상을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맥락 중심 문법 교육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이미 모국어 인지 체계가 성립된 성인 학습자라는 점과 학습자 모국어 지배 환경에서 학습하고 있다는 측면에 주목하여 외국어 교육에서의 모국어 역할과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번역 활동의 유용성을 살피었다. 이와 함께 번역의 문법적·텍스트적·화용적 등가 원리와 명시화로 대표되는 중한 번역의 전략 및 의사소통적 번역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여 영상 번역 활동이 맥락 중심의 문법 교육을 위한 학습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셋째, 영상 번역 활용 수업의 주안점을 확인하고자 학습자의 맥락 기반 문법 사용 양상을 진단하는 영상 번역 모의 실험 및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영상 번역 출력물의 언어적, 상황적, 사회·문화적 맥락 요인 영역에서 보이는 예비 학습자 집단의 공통적인 문제점을 확인하였으며, 학습자가 느끼는 맥락 중심 문법 교육을 위한 영상 번역 활동의 활용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영상 번역 활용 수업에는 메시지 전달 중심의 의사소통적 번역, 영상을 통해 맥락 정보를 감지하는 시청각 능력 및 주의력, 번역 과정에서 보이는 학습자의 인지적 양상 관찰, 맥락 확인을 위한 구체적이고 세심한 선행 절차, 한국의 언어문화와 의미-기능-상황 중심의 문법 해석, 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 역량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영상 번역 활동 방안의 구체적인 설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학습자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외 중국어권 학습자 105명의 학습자 집단 특성과 한국어 학습 현황에 대해 확인하였고, 맥락 중심 문법 교육과 학습자 모국어 사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 영상 번역 활용 수업의 구체적인 운영 방식에 대한 요구 사항들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맥락 중심 문법 교육과 영상 번역 활동에 대한 높은 학습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학습 목표 설정, 교육 내용 선정, 교육 자료 구성, 운영 방식 등 측면에서 맥락과 학습자가 중심이 된 수업의 설계 방향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 현장 조사에서 얻은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ASSURE 모형의 절차에 따라 맥락 중심 문법 교육을 위한 영상 번역 활용 방안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영상 번역 활용 수업은 크게 시작 활동, 본 활동, 마무리 활동으로 구성된다. 시작 활동은 학습자 모국어 영상을 통한 담화 인식 단계로 이를 위해 영상 속 등장 인물의 관계와 담화 상황을 분석하는 활동, 대화의 구체적인 발화 의도와 심리를 언어 표층으로 드러내기 위한 문답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활동은 이해한 메시지를 토대로 목표어를 출력 및 강화하는 단계로 이를 위해 학습자 스스로 문법을 탐구하는 영상 번역 활동, 문법 지식의 확대와 교류를 위한 학습자 간 상호 평가 활동,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교사의 피드백 활동을 구성하였다. 마무리 활동은 맥락을 중심으로 재구조한 문법 지식의 사용이 완성되는 단계로 이를 위해 드라마 장면을 재연하는 역할극과 문법 평가를 위한 대화문 완성하기 활동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모국어 영상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쉽고 흥미롭게 문법과 맥락의 자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와 맥락이 중심이 된 문법 교육의 다양성을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