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미치는 영향

        서수민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51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기질조화적합성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1-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조화적합성 차이는 어떠한가? 1-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화용언어능력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1.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2.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담화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유아 125명과 일반유아 12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Rothbart(1981)의 유아용 기질 척도(CBQ-VSF, Putnam & Rothbart, 1981)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은 오소정 외(2012)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hildrens'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로 측정하였다.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외향기질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외향조화적합성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유아가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화용언어능력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의사소통 의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일반유아에서는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의사소통 의도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담화 관리능력 간에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에만 영향을 주었고, 외향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그리고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도 주의통제기질과 마찬가지로 화용언어능력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및 변인 간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두 집단 간에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서 주의통제기질이 화용언어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능력이 낮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외향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양육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뜻하며, 기질조화적합성이론에서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연구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며 영향요인의 관계가 다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다양한 개인차 및 특성을 고려한 양육특성과 중재방향에 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라 기질조화적합성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 집단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혀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언어발달지체유아

      •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 및 화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35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group language therapy which includes explaining play activities on the vocabulary and pragmatic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researcher formed and carried out group language therapy. Three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hose chronological age was four and one researcher formed a group, and the program of explaining play activities was carried out for the group.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the inspection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hanges in the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ies and pragmatic abiliti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language therapy which includes explaining play activitie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from a test on the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throug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est showed that all the children displayed improvement i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Second, group language therapy which includes explaining play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expressive vocabulary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 test on the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ies throug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est, all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 i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ird, group language therapy which contains explaining play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linguistic pragmatic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guardians’ tests on the children’s linguistic pragmatic abilities through checklists of pragmatic ability, all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 in linguistic pragmatic ability. Fourth, group language therapy which contains explaining play activitie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non-linguistic pragmatic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from guardians’ tests on the children’s non-linguistic pragmatic abilities through checklists of pragmatic ability showed that all the children displayed improvement in non-linguistic pragmatic ability. All these results above proved that group language therapy which includes explaining play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vocabulary and pragmatic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uld be encouraged to explain their thoughts and feelings of play activities they can participate with interest in vocabularies which can be used in daily life. As explaining play activities is easy to be generalized, it can be used very effectively to improve vocabulary and pragmatic abilities. 본 연구는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 및 화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그룹언어치료를 구성하고 실시하였다. 생활연령이 4세인 언어발달지체 유아 3명과 연구자 1명이 그룹을 구성하여 그룹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수용․표현어휘력과 화용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표현어휘력검사를 통해 수용어휘력을 검사한 결과 대상자 모두 수용어휘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표현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표현어휘력검사를 통해 표현어휘력을 검사한 결과 대상자 모두 표현어휘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언어적 화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가 화용능력 체크리스트를 통해 언어적 화용능력을 검사한 결과 대상자 모두 언어적 화용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화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가 화용능력 체크리스트를 통해 비언어적 화용능력을 검사한 결과 대상자 모두 비언어적 화용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놀이활동 설명하기가 포함된 그룹언어치료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 및 화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입증할 수 있다. 유아들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놀이활동을 일상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어휘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설명하도록 하여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놀이활동 설명하기는 어휘력과 화용능력을 향상 시키고자 할 때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최지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34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최지선 지도교수 박미화 이 연구는 교육환경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유아가 흥미로워하는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습득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이야기이해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있는 사립유치원에 재학 중인 종일반 유아 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동화역할극이 언어습득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3회, 중재 4회, 사후검사 2회를 실시한 후 각 유아별로 검사지를 사용하여 언어습득능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획득점수에서 총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도표와 그래프화 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이야기이해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재 단계에서 각 동화별 3회씩 총 12회로 구성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유아마다 이야기이해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획득점수에서 총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도표와 그래프화 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역할극을 적용시킨 결과, 대상 유아 모두 언어습득능력이 향상되었다. 동화 내용이 부분적으로 가미된 질문 내용을 주의 깊게 듣고 그 내용을 적절하게 표현하였으며 동화역할극을 통하여 적절한 언어자극이 제공됨으로서 유아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언어습득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역할놀이를 통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은화(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동화역할극을 적용시킨 결과, 대상 유아 모두 이야기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동화역할극이 진행 되어가는 과정에서 동화를 듣고 동화속의 인물, 사실, 인과관계(정보의 명료성), 장소 및 배경, 감정 상태에 대한 질문을 하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동화를 듣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알맞은 그림을 지적할 수 있는 능력을 길렀다. 동화역할극이 이야기이해력에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언어 이해력에 영향을 준다는 차금선(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그림책을 통한 극 놀이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이해력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홍현수(2006) 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사는 동화를 단순히 들려주는 것으로 끝내는 일반적인 수업형태를 벗어나 유아들에게 친숙한 상황이나 사건들로 구성된 동화역할극을 함으로써 또래간의 상호 주관성을 높이고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습득능력 및 이야기이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부모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위 및 의사소통단절에 미치는 효과

        조여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머니에게 부모중심 언어중재를 실시하여 유아와 어머니간의 의사소통행위 빈도 및 유형과 의사소통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 5명과 각 유아의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부모가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중재기술을 회기별로 구성하여 치료실에서 매회기마다 치료사가 직접 개입하여 실시하였다. 의사소통행위와 의사소통단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중심 언어 중재를 실시한 결과 5명 모두 유아의 의사소통행위 빈도와 유형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행위 빈도와 유형이 증가하거나 변화되었다. 셋째, 유아와 어머니의 의사소통단절 빈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고 어머니와의 의사소통행위의 증진을 위한 부모중심 언어중재는 효과적이며 주 양육자를 참여시키는 것은 유아의 의사소통 발달의 촉진을 가져온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gap of infant and mothers with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to mothers of infant with communication breakdown. Study Objects were 5 young children with communication breakdown who has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 and 5 of their mothers. Intervention skill which the parents could apply to the child was made up for every session and therapist directly involved to had parents education at treatment room to teach those skills in every session. Pre/post design was perform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gap. The study results are; First, with the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all of 5 children showed the increased in frequency and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 Second, frequency and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had increased or changed. Third, communication gap between the young child and mother decreased. Thus, we discussed that the parents-centered language intervention is effective to progress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 and also the communication behavior with mother so participation of major care giver would promote the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

      • 역할놀이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수민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역할놀이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어휘능력, 표현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수용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표현 어휘능력의 변화를 연구문제로 제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3세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4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로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역할놀이 언어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유아의 언어능력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직접 구안한 주제를 가진 8개의 역할놀이 언어중재 프로그램으로 주 3회씩 40분간 총 24회기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할놀이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은 언어발달지체 유아 대상자 4명 모두의 수용 어휘능력, 표현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수용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표현 어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적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동기가 부족하고 또래와 비교하였을 때 사용되는 어휘의 수가 제한적이며 습득한 어휘를 일반화하고 여러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데 한계를 보이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역할놀이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의 어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would like to know about what influences Enhanced Milieu Teaching applied in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child subject have 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For this research, targeting a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Enhanced Milieu Teaching was implemented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rt class, and lunch time among daily schedules of kindergarde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ere analyzed by recording the frequency of speaking goal language spontaneously. The experiment is that base assessment was implemented during four to nine sessions in each situation to know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before arbitration, arbitrations of eleven to fourteen sessions were experimented, and three maintain assessments were performed one week after terminating arbitration.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implement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since the study shows that the spontaneity frequency of child increases, as arbitration is performed, we can say that Enhanced Milieu Teaching increases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 subject. Second, even after terminating the arbitrati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 subject was maintaine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rbitration was implemented among kindergarden's daily schedules including young child, an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as improved as a result of performing on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plentiful in actual places. In addition, this will be a real help to kindergarden teachers.

      • 동화 듣기 후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어휘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서미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동화 듣기 후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도시의 특수기관에 있으면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들을 선별하기 위하여 K-WPPSI 검사,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여 선정하였다.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동화 8권에 나오는 어휘 50개를 선별하여 선정하였다. 어휘별 내용을 보면 어휘와 언어표현으로 구분하였으며 명사 31문항, 동사 5문항, 부사 8문항, 형용사 4문항, 감탄사 2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유아의 어휘 및 언어표현 검사를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어휘 카드를 사용하였다. 이야기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임영심(1994)의 연구에서 사용한 Morrow(1991)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홍여찬(2003)재인용. 본 연구는 사전 검사를 거쳐 6주 동안 매주 4회 총 24회 30분간 훈련을 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만4세, 5세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들려주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와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 변화에서 세 명의 유아가 향상을 가져 왔으며 A유아가 가장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다음으로 B유아, C유아 순으로 변화를 보였다. A유아의 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동화를 듣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기 전에는 책에 흥미도 많지 않고 질문에 대답을 구체적으로 하기보다는 “몰라요”라는 말로 자주 했으나 활동 후에는 동화책을 좋아하고 스스로 책을 가까이 하며 읽어달라고 하고 동화 속에 나오는 그림을 보고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고, 동작으로 표현하며 크레파스로 책속에 나오는 인물이나 동물 등 그리고 싶은 것들을 그림으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질문을 해도 좀 더 적극적으로 대답하려는 태도를 볼 수 있었다.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어휘, 언어 표현력 변화에서 세 유아 중 가장 많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B유아의 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이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동화 듣기 후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기 전에는 다른 유아들과 활발히 지내기는 하지만 의사소통이 어려워 다툼이 많았다. 스스로의 생각과 고집으로 이끌어 가려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활동 후에는 그림으로 표현하여 동화 속에 나온 ‘악어’, ‘새’를 말하며 동작표현을 아주 좋아했다. 예를 들면 ‘빙글빙글’,이라는 말과 몸으로 돌며 아주 잘 하였다. 그렇지만 언어로 표현 하는 것은 조금 발달을 보였다. 이야기 이해도의 변화는 아주 미약하게 발달 되었다. 계속적인 반복활동으로 이야기 꾸미기를 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C유아의 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동화 듣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기 전에는 수줍음이 많고 낯가림이 심하여 타인과 어울리는데 시간이 필요하였다. 연구 활동을 하기 전에 연구자와의 만남에서도 마찬가지였지만 동화 듣기 후 이야기를 꾸미는 활동을 할수록 친숙함이 생기면서 명랑해지고 질문에 자신이 알고 있으면 대답도 하였다. 특히 얼굴을 당기며 ‘쭈욱쭈욱’ 하는 표현을 아주 좋아했다. 유아의 어휘 와 언어표현 부분에서 조금 높은 향상을 보였고 이야기 이해도 부분에서도 사전검사에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였는데 사후검사에서는 빨간 부채와 하얀 부채의 이름을 말하며 이해도의 향상을 조금이나마 보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A, B, C 유아가 어휘 및 언어표현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B유아 C유아는 동사 표현의 몸동작 표현을 좋아했고 언어와 함께 시범을 보이면서 활발하게 표현을 하였다. A유아는 모든 부분에서 많이 향상이 되었고 동화책에 관심도가 현저히 높아졌다. B유아와 C유아는 어휘이해도 변화에서는 효과가 미약하였다. 특히 추론부분에서는 응답이 미흡하였다. 이는 B, C유아들이 어휘이해 과제가 조금 그들의 발달 보다 어려웠을 수도 있고 아직도 더 많은 활동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정영실(2001)의 연구에서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 활동이 언어 능력향상에 효과가 있음에서도 일치 한다고 할 수 있으며 김순자(2000)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험집단이 크게 향상된 결과와 일치 하였다. 유아들이 이야기를 꾸며보고, 인물을 선정하여 그들 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찾아보거나 변화시켜 봄으로써, 어휘력, 이야기, 감각, 쓰기와 짓기, 모국어에 대한 이해력 등과 같은 언어능력이 발달할 수 있다고 시사한 강문희 와 이혜상(1997)의 견해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윤혜진(1993)은 이야기 꾸미기 활동 방법에 있어 교사의 질문이 포함된 이야기 꾸미기를 한 집단이 유아의 언어와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 주었으며 신금호(1999)는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뿐 아니라 언어표현력을 신장시킨다고 하였다. 이미향(2002) 동화 듣고 이야기해보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태도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동화 듣기 후 이야기해 보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과 태도가 향상되었다는 것과 일치를 보여주며 홍여찬(2003) 동화 듣고 다시 말하기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및 이야기 이해도에 미친 효과에서도 향상되었음을 시사해주어 이 연구와 일치된다. 그러나 발달지체 유아들의 발달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주제가 정해지어 연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진다. 의사소통 문제가 있는 발달지체 유아에게는 본 연구 주제가 적절하지 못하거나 유아의 장애정도에 따라 그 결과를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기에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3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일반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보다 다양한 연구대상을 늘려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6주의 실험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장기간 실험기간을 통해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과 언어이해의 향상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 대상의 발달 장애정도를 고려하여 비교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며, 언어 연령이 같은 일반 유아와 비교 연구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 결론은, 발달지체 유아들이 동화듣기 후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시하는 중재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어휘를 선택지도 할 경우, 발달지체 유아들도 다양한 언어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달 지체유아들의 어휘와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는 동화듣기 훈련과 스스로 이야기 꾸미기 활동에 따라 향상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ffects of the story making activity after listening to fairy-tales on the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elected subjects were thre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were four or five years old and goingto the nursery in 'B' city. The screening tools of subjects were K-WPPSI and Social maturity scale. Vocabulary assessment of the subjects was performed by fifty proper vocabulary for this study in eight fairy-tal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tervention exercise toget 30 minutes, 4 times every week during six weeks after basicvocabulary count of pre-test and then post-test in the same way like pre-test. The evaluating items were vocabulary change, language expression change, and story comprehension chang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In children vocabulary change child A increased 56%, child B 42% and child C 38%.In language expression change child A increased 62%, child B42% and child C 32%.In story comprehension change all the children increased 19%. All the children improved significantly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nd showed poor improvement of story comprehension. Child A increased interest in fairy-tales. Conclusively the story making activity after listening to fairy-tales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ol to develop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lso teaching proper vocabulary t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roduce various language expression.Therefore vocabulary, language expression and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can be improved by training for story making activity after listening to fairy-tales.

      •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김정희 우석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67

        Abstract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s and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s vocabulary Woosu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Jung-hee, Kim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s and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s vocabulary and the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s on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s vocabulary through questionnaires. The data related with language control types and vocabulary was collected from 249 mothers with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 who attended handicap welfare centers,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kindergartens at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Jeollado. MCDI-K(So-young, Bae 2002) which had been partly modified for Korean children and Parents' language control types measures which had been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Hye-suk, Do(1997) and then modified for disabled children by Young-ran, Hong(2002) were used as instrument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Scheffe verification,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SPSS WIN 15.0, a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language control types according to mothers' ages and jobs were not significant. For academic background, the lower academic background was, the more imperative control and positional control was. For monthly income, the lower income is, the higher imperative control and positional control is and the higher income is, the more personality control is. Second, for language control types according to children's disability types, autistic children received the most imperative control and positional control and linguistic disabled children received the most personality control. For age, only the personality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for sexes boys received more control than girls in all the language control types. For birth order, over third born children received more personality control than first born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s vocabulary according to mothers' ages, jobs, monthly inco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higher mothers' academic background was, the higher their children's vocabulary was. Fourth, for the vocabulary according to children's disability types, mentally retarded(intellectual disabled) children were higher than autistic children in understanding vocabulary. Also as their ages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sex, boys showed higher score in understanding vocabulary than girls and for birth order, over third born children showed higher score in understanding vocabulary than first born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ifth,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s and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s vocabula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positional control was higher than the imperative one and the positional one was higher than the personality one. Six, while the imperative one among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s has negative influences on the vocabulary of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 the personality one has significant influence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closer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s become to personality, the higher their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s vocabulary becomes. Also it suggested that the linguistic interaction with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 is very important for their parents and that the usage of personality related language control is effective. 국 문 초 록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김정희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도 내 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전담어린이집, 특수학교 유치부에 다니고 있는 발달지체유아를 둔 어머니 24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언어통제유형과 어휘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도혜숙(1997)이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측정도구를 홍영란(2002)이 장애유아에게 맞게 재수정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척도와 한국 유아들에게 맞게 일부 수정한 유아의 어휘력 측정도구인 MCDI-K(배소영, 2002)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Scheffe검증, 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연령과 직업유무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력에 있어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수입에 있어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인성적 통제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장애유형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에서는 대체적으로 자폐성장애 유아가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언어장애 유아가 인성적 통제 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인성적 통제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의 경우 모든 언어통제유형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출생순위에 있어서는 인성적 통제에서 유아가 셋째 이상인 경우가 첫째인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연령⋅직업유무⋅월평균수입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만,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어휘력 부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장애유형에 따른 어휘력은 이해어휘력 부분에서 정신지체(지적장애)유아가 자폐성장애 유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해어휘력, 표현어휘력 모두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있어서는 이해어휘력 부분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출생순위에서는 이해어휘력 부분에서 유아가 셋째 이상인 경우가 첫째인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명령적 통제보다는 지위적 통제에서, 지위적 통제보다는 인성적 통제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중 명령적 통제는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성적 통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인성적 통제에 가까울수록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해 발달지체유아의 부모에게 자녀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인성적 통제 언어유형의 사용이 효과적임을 알리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김영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67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치료기관에서 발달지체유아와 그 가족 구성원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인 복지관, 의료기관, 사설기관, 재활원 등에서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치료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본 결과 가족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치료기관이 실시하고 있지 않은 치료기관보다 더 많았다. 실시하고 있는 가족지원의 방법으로는 개별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부모의 치료계획 참여, 참관, 강연회, 가정통신문, 학부모소모임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는 지원시설 또는 장소의 부족, 치료사의 시간 부족, 발달지체유아 가족의 관심과 이해 부족, 기관장의 지식과 이해 부족, 치료사의 지식과 이해 부족 순이다. 둘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 실시방법 및 내용에 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발달지체유아 및 그 가족에게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지원의 방법으로는 1순위에서는 개별상담, 2순위에서는 부모의 치료계획 참여, 3순위에서는 참관 및 참여수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를 위한 장․단기 목표를 세울 때 부모참여 여부 결과는 부모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다. 부모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부모의 시간 부족, 부모의 관심 부족, 치료사의 시간 부족, 치료사의 협력 촉진 기술 부족, 치료사의 이해 및 노력 부족 순이다. 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 간⋅언어치료사와 부모 간의 협력체제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언어치료사들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교육의 내용은 1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 현행수준에 대한 교육, 2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적인 의도 이해 교육, 3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상호작용 방법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모교육 지원, 가족상담 지원, 비장애 형제 지원, 지역사회 연계 지원은 전체 문항이 3점에서 4점 이상의 점수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관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알아본 결과 협력체계의 어려움에는 언어치료사와 부모 간⋅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 방법에 대한 어려움, 부모의 이해 부족 및 참여 부족에 따른 어려움, 언어치료사의 시간 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들었다. 행정적 지원에는 부모 참여 지원, 치료사의 시간 부족문제 지원, 장소 지원, 경제적 지원, 협력체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재정적 지원에는 고용문제 지원과 가족지원에 대한 보수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가 발달지체 유아의 언어표현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심선보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66

        이 연구는 유아들이 흥미를 갖고 즐거워하는 리듬과 시각적인 자극이 주어지는 그림책이 합쳐진 리듬 그림책을 듣고 다시 말하기 중재를 실시하여 발달지체 유아의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가 발달지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가? 1)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가 발달지체 유아의 다른 낱말 수(NDW: number do different words)신장에 효과가 있는가? 2)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가 발달지체 유아의 평균발화길이(MLU : Mean Length of Utterance) 신장에 효과가 있는가? 2.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가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에 효과가 있는가? 3.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로 습득된 언어표현과 주의집중이 중재 후에도 유지 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G구에 위치한 유아특수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발달지체 유아 3명이었다. 실험 기간은 2007년 3월 6일부터 2007년 5월 22일까지로 대상 유아의 선정 및 사전 검사는 2007년 3월 6일부터 2007년 3월 16일까지였으며 기초선 측정 및 중재는 2007년 3월 19일부터 2007년 5월 4일까지, 유지 검사는 중재 종료 시점으로부터 2주 후부터 각각 3회씩 실시하였다. 중재 후 유아들이 리듬 그림책을 보면서 표현한 내용을 비디오카메라의 녹화 · 전사를 바탕으로 대상유아의 언어표현을 분석하여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주의집중은 비디오카메라를 보면서 매 회기(15분)를 30초로 나누어 동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하여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는 발달지체 유아의 다른 낱말 수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는 발달지체 유아의 평균발화길이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는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을 증가시켰다. 넷째, 리듬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로 습득된 언어표현과 주의집중은 중재의 조건이 소거된 후에도 활동의 효과가 지속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