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어휘력 향상 방안 연구

        박태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영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나 그 동안 다소 소홀히 다루어졌던 어휘 학습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어휘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습득케 함으로써 어휘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학습자들의 읽기, 쓰기, 듣기 그리고 말하기 능력 등 전반적인 영어 사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정에서 연구를 전개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본 연구자는 어휘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휘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우리 나라의 영어 교육의 현장에서는 어휘학습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가르치기보다는 독해를 하면서 모르는 단어의 사전적인 의미만을 가르치는 방법인 정의적 방법(definitional approach) 혹은 문맥을 통한 추론 방법(contextual approach)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어느 한가지 방법만을 이용하여 어휘를 지도하는 방법은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효율적이지 못한 어휘학습은 현재 대학입시 외국어영역에서 주로 측정하고자하는 독해 능력과 듣기 능력을 제대로 길러줄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가장 효율적인 어휘학습 방법을 지도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어휘 교육은 한가지 방법보다는 단어의 특성과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며, 여러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어휘와 여러 번 접촉(multiple exposure)을 함으로서 어휘를 용이하게 학습하고 오랫동안 기억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했다. 통제 집단에게는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이용하여 어휘 학습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한 후 실시한 어휘력 테스트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을 앞섰다. 어휘력이 학생들의 학기말 고사 영어 점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기말 고사 성적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일부의 문법적 지식을 요구하는 분야를 제외하고 어휘력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크게 앞선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more effective way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e can develop overall English abilitie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by the acquisition of enough vocabulary. In other words, it is based on the belief that vocabulary is one of the vital elements in learning English. It seems, however, that Korean teachers have not fully appreciated the effect vocabulary can have on students' English abilities despite the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Besides, vocabulary has been thought of as a part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methods they use to teach vocabulary are very limited. They usually rely either on the definitional approach in which a teacher gives students definitional explanations in Korean for the words students don't know, or on contextual approach in which a teacher encourages students to recognize clues to word meanings in context and comprehend the content of the reading material for themselves instead of explaining all the new words. I don't think using only one or two methods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English vocabulary. I have used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words and the contents of the reading material students have to comprehend, believing that making students exposed to words in various contexts is extremely important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a word's meaning. In chapter 1, the motivational backgrounds for the study is elaborated upon. Chapter 2 presents important and noteworthy theories related to vocabulary learning. In chapter 3, details on the experiment are given such as subjects, materials and procedures. Efficient models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theories of vocabulary development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vocabulary through listening, how to guess the meanings of unfamiliar words and phrases, a method by means of semantic mapping, how to teach polysemy, how to teach collocation, a method for teaching vocabulary through cross word puzzle. Chapter 4 presents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es that in stead of using only one or two methods, using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words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vocabulary and exposure to words in various contexts is extremely important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a word's meaning, I have trained the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chosen for the experiment for three months. I have given tests to evaluate the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pretests with those of the post-test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s that experiment group has improved a lot in mean scor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esides, regular final-term exam given one week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surprised me with unexpected result in the subject of English. The result shows that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is 74.40 and those of control group 67.14. which means there is a difference of 7.26 in mean scores. What is more surprising is that the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achieved far better results in areas which are involved in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those areas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11.42 and 11.12 in mean scores respectively. In chapter 5, summary and some suggestions are presented. In conclusion, I think teaching vocabulary by making students exposed to words in various context is one effective method and it can be applied in high school as a way of improving English.

      • 고등학교 영어교육과정에서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에 관한 실험연구

        조혜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vocabulary learning from written contents. The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has not received as much attention as other aspects of reading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Indeed, many reading textbooks currently on the market promote the view that vocabulary is best learned incidentally as a by-product of reading for comprehension. EFL learners can guess new word meanings from context and acquire them incidentally. The method of guessing from context is a very useful method, in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can be easily guessed through the contents containing the word and then ‘naturally’ memorized in a ‘real’ situation. EFL learners tend to ignore a large proportion of the words they encounter while reading, however, when dealing with new L2 word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rate of success in lexical inferencing is low even when learners use the strategies and knowledge sources they have at their disposa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sked to read two texts under incidental or intentional vocabulary learning conditions and then take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two vocabulary post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was possible, although the amount of such learning was small but significant; b) giving the students an indication of the vocabulary test that would follow better facilitated the vocabulary inferencing process than did offering an incidental learning condition; c) the teacher's indication also facilitated the acquisition of the expanded meaning of some target words.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pedagogic implications regarding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vocabulary teaching.' 언어 습득 과정에서 어휘학습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들에 비하여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해왔다. 영어 교육 분야에서도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학습의 궁극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의 습득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어휘는 문법이나 독해를 위한 하나의 도구로써 여겨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어휘 습득은 언어 습득에 있어서 기본이 될 뿐만 아니라, 영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다고 해도 계속해서 더 높은 수준의 어휘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학생들에게 지도하는 것은 영어 교육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전통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쓰이는 어휘 학습 방법은 명시적인 어휘의 일정한 의미를 기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암기하는 의도적 학습(intentional learning)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와 대조적으로 우연적 어휘 학습(intentional vocabulary learning)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의사소통 과정이나 읽기 지문을 통하여 동일한 어휘에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노출이 되면서 학습자가 해당 어휘를 우연히 부가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는 이러한 주장 때문에 오히려 영어 교육에 있어서 어휘 교육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우리나라처럼 구두 의사소통에 노출될 기회가 많지 않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환경에서는 읽기 활동, 특히 다독(extensive reading)이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우연적 어휘 학습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우연적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문맥을 활용하여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추측하는 과정이 필수적이이며, 이를 위해서는 읽기 텍스트에 있는 기초 어휘를 대다수 알고 있어야 하며, 다양한 문맥 파악의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읽기 도중 모르는 어휘가 나왔을 때 문맥을 통해 추측을 하기보다는 그냥 넘어가거나 즉각적으로 사전을 찾아보는 등 외부의 도움을 구한다. 즉, 우연적 어휘 학습은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실제적 효율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읽기 과제를 수행할 때 문맥을 활용하여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추론해 보는 맥락적 어휘 학습의 전략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의도적 어휘 학습의 조건을 형성해주면 학습자는 모르는 어휘에 직면함에 있어 더 적절하게 대처하며 이는 효과적 읽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어휘 실력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 쓰인 ‘의도적 어휘 학습’이라는 용어는 교수자가 각각의 어휘의 의미를 명시적으로 알려주고 직접 지도, 암기하게 하는 전통적 의미보다 더 확대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가 우연적 어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도움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실제 교실 상황에서 학습자의 어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들이 다양하게 도출될 것을 예상한다.

      •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전략 연구

        Lika Marakvelidze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이 무엇인지, 어휘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 교육적 제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이며 결과를 통해 교사와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어휘 학습 전략 조사 도구로 Schmitt(1997)의 어휘 학습 전략 분류표를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마련하였다. 어휘력 평가 도구로 Read(1993, 2000)의 WAT(Word Associates Test)를 참고하여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력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끝낸 후에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들 및 조지아인 한국어 교사와 인터뷰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그리고 연구 절차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어휘 학습 전략과 어휘력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연구 도구인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 조사 도구와 한국어 어휘력 평가 도구를 마련하였다. 제4장에서는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의 양상을 조사하여 통계처리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검증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학습자들과 조지아인 한국어 교사와 어휘 학습에 대해 인터뷰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의의를 살펴보았다. 첫째, 조지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어휘 학습 전략 양상을 분석한 결과, 조지아인 학습자들이 단일의 어휘 학습 전략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전략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 학습 전략은 기억, 결정, 인지적 전략이었고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지 않는 어휘 학습 전략은 사회적 및 상위인지적 전략이었다. 조지아인 학습자들이 문화 배경과 학습 스타일이 다른 중국인 및 태국인 학습자들과 공통점이 많았다. 한국어 수준이 낮은 초·중급 학습자가 고급 학습자보다 어휘 학습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어휘력에 따라 나눈 두 집단간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므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와 교사를 인터뷰한 결과, 모두 어휘를 외국어 학습에 중요한요소로 인지하였으며, 교실 내 어휘 학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은 수업 시간에 정해진 어휘 학습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학습자들이 원하는 어휘 학습은 다양한 활동이나 게임을 통한 학습이었다. 조지아인 한국어 교사도 강의 계획서 수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수정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이 논문이 조지아인 한국어 교사와 조지아인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어휘 교수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Georgian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clarify what strategies they use the most, whether they are correlated with vocabulary knowledge, and derive educational suggestions. It is the first study of Georgian learners of Korean, and through the results, this paper aims to help both teachers and learners. First step was to develop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research tool and a vocabulary ability evaluation tool. Schmitt (1997)'s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classification table was used as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research tool, which was adjusted to Korean learners, and the vocabulary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Read (1993, 2000)'s Word Associates Test.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fter Quantitative research was completed. Chapter 1 introduc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Korea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pecific research purposes, research problems, and research procedures. Chapter 2 summarizes previous studies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vocabulary evalu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Chapter 3 were developed Korean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survey and vocabulary evaluation test. In Chapter 4, the aspects of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based on the collected statistical data, and were discussed sequentially. In addition, Georgian learners of Korean and teacher were interviewed about vocabulary learning. Chapter 5 summarizes this study and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used by Georg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 Georgian learners were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various ways without focusing on one. However, the most frequently us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ere ‘memory’, 'determination’, and 'cognitive’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learners' frequency of using ‘social’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the lowest. Surprisingly, Georgian learners had a lot in common with Chinese and Thai learners of Korean despit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learning styles. It was confirmed that elementary-intermediate learners with low Korean language level us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more than advanced learner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two groups vocabulary knowledg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econd, as a result of interviewing Georgian learners of Korean and teacher, they chose vocabulary as an important par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Georgian learner’s opin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vocabulary teaching in classrooms in Georgia. In particular, they underlined importance of changing syllabus. Also they talked about of learning vocabulary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games. Teacher also added that she believes that the Korean class syllabus needs to be revised and will be revised in near future. This paper will help Georgian Korean language teacher understand student more and make better environment not only for vocabulary learning but also Korean language in general.

      • 고등학교 일본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 고찰

        고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ある言語で意思疎通をするために音素、形態素、単語、文章など言語の全般的な要素についての理解が必要である。しかし、すべての文法構造を詳しく知っているとしても語彙の知識に欠けていると、円滑な意思疏通は不可能である。得に学習者が外国語を習う際、目標言語のすべての語彙を全部習うのは期待しかねる。従って教師にとってどの語彙を先に教えるかということは大変重要な問題になる。 そこで、本稿では思疎通能力の向上を目標とする6次、7次、7次改正案の基本語彙をテキストデータベース化して基本語彙の特徴を分析し、對照分析資料を利用して変化語彙の妥当性を検討することにした。また、7次改正案の基本語彙を中心に比較基準語彙との対照分析を通じてこれからの基本語彙選定に参考してほしい語彙を提示しようとした。その結果、次のような結論が出された。 1. 基本語彙を語種面、品詞面、意味項目面によって分類してみた結果、語種面から見られる特徴の中で得に目立つのは外来語の数の増加である。6次に比べて7次は16語、7次に比べて7次改正案は27語が増加されている。7次改正案で追加された外来語は「クラス、 クリスマス、 アドレス、 ㅡウォン、 カㅡド、 メㅡトル、 ボランティア、 コンビニ、 ホㅡムステイ」などである。また、品詞によって分類してみた結果、基本語彙が全般的に名詞を中心として動詞、形容詞、其他の順に構成されているが分かった。そのなかで、名詞に関する語彙が6次は 47.47%, 7次は 50.65%, 7次改正案は 53.91%へ 増加している。最後に基本語彙を意味項目によって分類してみた結果、一番高い比率を占めているのは抽象的關係で、 40~43%を占めている。これに続いて 人間活動-情神および行爲が 27~28%, 自然物および自然現象が 10~12%を占めている。 2. 各敎育課程における基本語彙の変化を比較してみた結果、6次敎育課程の基本語彙に提示されていたが、7次で省略された語彙は49語であり、7次に新しく提示された語彙は 110語であった。また、7次では提示されていたが、7次改正案で省略された語彙は86語であり、7次改正案に新しく提示された語彙は276語であった。また、6次では提示されていたが、7次改正案で省略された語彙は63語であり、7次改正案に新しく提示された語彙は319語であった。 3.比較基準語彙というのは對照分析資料7種の中、4種以上の資料に共通に出現する語彙として、使用頻度が高くて日本語の意思疏通能力の向上に役に立つ語彙だと思われる。したがって、 7次敎育課程改正案の基本語彙との比較․ 分析を通じて比較基準語彙にだけ出現する語彙に注意し、基本語彙選定に参考になってほしい 語彙を提示した。比較基準語彙にだけ出現する語彙は601語で、 名詞類 367語, 動詞類 154語, 形容詞類 69語, 其他類10語の順であった。そのなかで、得に「した(舌)、くび、ひざ、あご、つめ、ひげ、はら(腹)、むね(胸)、くちびる、しんぞう(心臓)」などの身體に関する語彙や「かなしい、くるしい、ねむい、にくい(憎い)、さびしい、ゆかい(愉快)」などの感情表現に関する語彙は日常生活で使用頻度が高い語彙だと思われるので、 基本語彙選定の際、参考になってほしい。 基本語彙を選定する際は学生が日本語の勉強に興味を持ち、日本文化や事情なども味わえるように細心の注意を払う必要性がある。

      • 중국 북방 지역의 고등학교 학생의 영어어휘 학습전략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Northern China

        리웨이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영어공부는 세가지 중요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어휘는 그 중에서의 일부분이고 영어공부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어휘는 제2외국어공부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1990년에 McCarthy가 말하다시피 한 사람의 문법이 얼마나 좋고 발음이 얼마나 똑똑하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어휘로 자기의 감정과 의사를 나타날 수 없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할 수 없으면 언어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다. 본 논문은 현재 중국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어휘공부에 대한 관념과 학습방법을 조사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레벨이 아닌 영어학습자들이 영어공부에 대한 관점과 영어학습방법의 같은 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영어를 공부하는 상대적인 요인(학습자의 관념과 학습방법, 또한 공부하는 시간)과 어휘양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한다.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고등학교 학생들은 실천과 응용에서 어휘를 배울 것을 주장하였다. (2)같은 레벨이 아닌 영어 학습자들은 어휘학습방법에 대하여 명확한 차이가 있었다. (3)영어공부에서의 상대적인 요소는 어휘 양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조사결과를 통하여 효과적인 어휘학습방법을 알아봄으로써 고등학교학생의 영어어휘공부에 도움을 주고 영어 교육자들에 시사점을 주는데 있다. Vocabulary is one of the three major components that constitute English language knowledge (the other two are phonetics and grammar), and is the foundation of all English language skills, so vocabulary plays a crucial role in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Just as McCarthy (1990) claims that no matter how good one’s grammar is and how beautiful one’s pronunciation is, but if one has no adequate vocabulary to express one's own feelings or to understand others’ opinions, one still cannot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is language. Harmer (1990) also points out that if we compare language structure as the sketch of the language, vocabulary is the thing that provides important organs as well as blood and flesh. The present research aims at providing an empirical study about various kinds of vocabulary learning beliefs and strategies used by senior high school learners in China. In addi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of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in their views and practic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re explored as well. The relationships between vocabulary learning-related factors (vocabulary leaning belief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ime of learning) and vocabulary size are displayed. This paper examines 103 senior students from BaoQing Senior High School through one questionnaire survey and one vocabulary size test. Detaile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yielded the findings as follows: 1) The senior students dwell on the beliefs that “words should be learned through application and acquired through context”. They respond negatively to Rote-learning belief. In practice, they tend to adopt a variety of cognitive strategies especially Self-evaluation, Dictionary, Context, and Guessing being the most favored. In contrast, the metacognitive and social/affective strategies are not much adopted by senior high students. 2) Subject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ome special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Compared with LPS, HPS are more mature in organizationally planning and monitoring their learning process. Although both groups took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belief of application, HPS incline to adopt application learning strategies in practice. 3) There exists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learning-related factors and vocabulary size. The belief of rote-learning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vocabulary size. By contrast, the belief of applic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vocabulary size.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Organizational Planning and the cognitive strategies of application strategy turned out to be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ocabulary size. On the other hand, Time was the most significantly related with vocabulary size. In terms of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practice of various kind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s well as a combination of these strategies be strongly advocated and widely enforced in the context of Chinese EFL learning.

      •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문화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김준모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원활한 한국 내 생활을 하면서 한국 문화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체류 기간 동안에 원활한 직장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필요한 ‘문화 어휘’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화’를 ‘전통 문화’와 ‘당대 문화’로 대분류하고 다시 당대 문화 중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직장 내에서 필요한 ‘문화 어휘’를 선별 작업하였다. 이러한 ‘문화 어휘’의 분류는 외국인 근로자만을 위한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며 외국인 근로자들이 고용허가제의 제도권 내에 관련된 ‘어휘’와 각 산업 분야별 공통적이고 기초적인 작업장에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필요한 ‘어휘’를 ‘직장 정보 어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전통 어휘’는 국립국어원이 제시한 문화 어휘를 외국인 근로자들과 한국어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통하여 최종 어휘를 선정하였다. ‘당대 문화 어휘’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EPS-TOPIK 『표준교재』와 『아자 아자 한국어』의 교재 분석을 통하여 문화 어휘를 선정하였으며, 기존의 논문 중에서 외국인을 위한 문화 어휘 선정 논문을 참조하였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와의 면담을 통하여도 어휘를 추가 혹은 삭제하였다. ‘정보 생활 어휘’ 역시 교재 분석과 학생들의 면담과 설문으로 설정하였다. ‘어휘’ 선정은 필자가 한국어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인천외국인력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실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기초로 삼았고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는 인천지역 사업장의 한국인 관리자 및 동료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요구 사항 역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문화 어휘’ 선정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문화 항목’을 설정하였는데 문화항목 설정은 1차 객관식 문항을 통한 근로자들의 문화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2차적으로 한국어 교사들의 문화 항목 교수 필요성 설문을 기초로 하였다. 문화 항목은 전통 문화 6개 항목, 당대 문화 7개 항목, 직장 정보 문화 3개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각 ‘전통 문화 어휘’ 122개 어휘, ‘당대 문화 어휘’ 258개 어휘, ‘직장 정보 문화 어휘’ 223개로 총 603개 어휘를 선정하게 되었다. 603개의 ‘문화 어휘’는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 동안 한국에 입국하여 16시간의 취업교육, 외국인 등록, 보험 가입 및 신청, 수령, 급여 및 직장 내 인건비 수령, 근로 조건, 사업장 변경, 만기 출국과 재입국 등 일련의 외국인근로자로 생활하기 위한 고용허가제와 관련된 ‘어휘’와 사업장에서 근로자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사용이 예상되는 제조, 건설, 농축산업, 어업 분야의 공통된 기본적인 작업장 내 잡업에 관련된 문화 어휘, 그리고 사업장 안전을 위한 산업 안전표지 등의 어휘를 포함시켰다. 또한 ‘당대 문화 어휘’는 교재분석, 근로자 설문, 면담 등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문화 어휘를 선정하였다. 당대 문화 어휘는 외국인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고려하여 ‘의식주’, ‘예절/호칭’, ‘교통/지명’, ‘경제/쇼핑’, ‘놀이/여가’, ‘관념’, ‘제도/관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 어휘’는 우리 문화의 전통적 가치를 담은 전승 문화와 현대적 가치를 지닌 문화를 소개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문화 어휘’ 603개는 미흡하지만 외국인 근로자들이 각종 자생단체나 공공단체의 교육과정에서나 혹은 자발적인 학습을 통해서 숙지하여 아무쪼록 체류 기간 동안 한국 내 생활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외국인 근로자 본인에게 한국 문화를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 어휘교수법에 따른 중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연구

        이민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three different vocabulary teaching methods in a classroom setting.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st used vocabulary discovery and consolidation strategies for 110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ame rate of gender. In addi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ree different approaches -the definitional approach, the contextual approach, and the morphological approach. To complete the study, three classes of the same level were selected. One class was taught with the definitional method, the second was with the contextual method, and the last was with the morphological method. After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gender difference, and inference ability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most used discovery strategies for vocabulary were 'Guess meaning from the context', 'Ask friends for the meaning', and 'Use bilingual dictionary'. The three most used consolidation strategies were 'Paraphrase words' meaning', 'Written repetition', and 'Verbal repetition'. In the discovery strategies, boys preferred the 'use bilingual dictionary' strategy while girls preferred the 'guess meaning from the context' strategy. In the consolidation strategies, boys used repetition strategies more than girls did. Second, in the experiment,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short-term memory among thre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However, morphological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one in long-term memory for both gender. Also, girls' general achievement was higher than boys, and long-term memory and contextual inference ability was much higher.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at first, teachers should introduce various kind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students, to help them find out the appropriate strategies for themselves. Second, it is more helpful to use not only traditional definitional method, but also many other kinds of vocabulary teaching method such as the contextual or the morphological method. Third,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to use many kinds of consolidation strategies rather than just repetition. Finally, teachers have to recognize that vocabulary learning style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so they need to apply appropriate teaching method to each student.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어휘 학습을 할 때 어떠한 방법으로 학습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 어휘를 지도할 때 어떠한 교수법으로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법과 현장연구를 실시하였는데, 학생들의 어휘학습 전략을 확인할 때에는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였고 효과적인 어휘지도법을 살펴볼 때에는 현장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대상은 경기도의 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로서 남녀 비율이 비슷한 110명의 학생들이다. 설문조사는 현재 학생들이 새로운 어휘를 접하였을 때 그 의미를 알아내는 방법과 의미를 알게 된 어휘를 암기하는 방법을 조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조사하였다. 현장 연구는 세 반을 선정하여 한 반은 전통적인 어휘교수법을 사용하였고 두 반은 형태소분석법과 문맥추측법을 사용하여 어휘 지도를 한 후 각각 단기기억능력과 장기기억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학습자들은 새로운 어휘를 접하였을 때 주로 문맥을 이용하여 추측하는 전략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친구들에게 그 의미를 묻는 방법과 영한사전을 이용하는 전략이 그 뒤를 이었다. 의미를 알게 된 단어를 강화하는 방법으로는 우리말로 그 의미를 번역해보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여러번 반복하여 써보는 전략과 말해보는 전략이 그 뒤를 이었다. 이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의미를 추측하는 경우 남학생은 사전을 찾는 전략의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여학생은 문맥에서 추측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강화전략은 남녀의 뚜렷한 구분이 없이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둘째, 어휘 교수법에 따른 현장연구의 경우, 정의사용법과 형태소 분석법, 문맥유추법이 단기기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태소 분석법으로 어휘를 학습할 시 장기기억에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에 비해 높았으며, 장기기억과 문맥유추능력은 남학생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교사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어휘 학습법이 있음을 소개하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전통적인 모국어와 목표어의 대응방식보다는 문맥 유추나 형태소 분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어휘를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순 반복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강화 전략을 이용하여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생의 성별에 따라 적절한 어휘 학습법이 다를 수 있음을 인지하여 각 학생들에게 맞는 어휘 지도법을 적용해야 하겠다.

      • 학습선호도에 따른 스마트폰 앱 활용이 영어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학생 중심으로

        문서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 the learning. First, Reid (1987)'s perceptual learning preference questionnaire is used to divide the group into a group of learners who like visual learning and a group of learners who like auditory learning. As a tool for this study, the smartphone app uses Classcard, which presents a picture and spelling of the vocabulary and plays back the pronunciation at the same time. As for the selection of vocabulary, we selected common words among the required words for education revision in 2015 and the 1,000 words for Nation (2013) and sorted them from words with high frequency by publishing company in the revised high school textbook in English, 1 in English, respectively. After two weeks of learning this vocabulary with the smartphone Classcard app, we conducted a post-test. This is to find out what groups are more useful in short-term memory. In addition, we conducted a delayed post-test a month after seeing the post-test to see which groups would be useful for long-term memory. The need for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learner's preference for learning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learning English vocabulary and that it has an impact on the learner's preference for learning,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he learner's preference. Secondly, there are a lot of research results that suggest that using a smartphone app in vocabulary learning is effective, bu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it can be effective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learning. Third,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e need for vocabulary learning was raised (Bae Du-bong, 1998).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research based on such research needs. First, wil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smartphone apps show a difference in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depending on your preference for visual and auditory learning? Second, do you see any difference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 visual and auditory preference after you learn vocabulary using a smartphone app?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30 high school learners in H tutoring room in Seo-gu, Daejeon, and used Reid's perfect learning style survey tool to collect data, and used Shin Ji-young's tool to conduct a vocabulary learning recognition surve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i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 an Excel is us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word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English vocabulary using smartphone apps, 100 words were selected in the order of 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to write the meaning of words. This is an experiment to learn the effects of short-term memory, and in line with expectations that learners who prefer visual learning will be more effective. Secondly, delayed post-test was to randomly present 100 words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long-term memory learning using a smartphone app.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no meaning in both learners who prefer visual learning and learners who prefer auditory learning. Thirdly, in order to study groups that prefer to learn English vocabular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we investigated the pre-recognition and post-recognition questionnaires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learners who liked visual learning style and a group of learners who liked auditory learning styles. As a result, teachers must actively utilize the effects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using a smartphone app for all learners who prefer visual and auditory learning styles. It was made clear that not only the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but also the learn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very eff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앱 활용이 영어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Reid(1987)의 지각적 학습선호도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 집단과 청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 집단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도구로 스마트폰 앱은 Class card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어휘에 관련한 그림과 스펠링을 제시해주고, 동시에 발음이 재생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휘선정은 2015년 교육개정 필수 단어와 Nation(2013) 1000개 단어 중 공통된 단어들을 추렸으며, 2015년 개정 고등학교 교과서 영어, 영어1, 영어2 출판사별 빈도수가 높은 단어부터 정리하였다. 이러한 어휘를 스마트폰 Class card 앱으로 2주동안 학습시킨 후 사후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는 어떠한 집단이 단기 기억에 더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사후테스트를 본 시점으로 한 달 뒤 지연사후테스트를 실시하여 어떠한 집단이 장기기억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학습 선호도가 영어 어휘습득 하는데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학습자 개인차가 학습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밝혀짐에 따라 각각의 변인이 학습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어휘학습에 있어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는 많지만, 학습선호도에 따라서도 효과가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휘학습이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였다(배두본, 1998).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어휘습득이 시각과 청각 학습 선호도에 따라 단기 및 장기기억에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어휘습득 후 시각과 청각적 학습 선호도에 따라 인식변화에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대전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H 과외방에서 고등학교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Reid의 perceptual learning style survey 도구를 사용하였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어휘학습 인식 조사는 신지연(201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요인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단어의 빈도수를 조사하기 위해 엑셀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습득이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빈출도가 높은 단어순으로 100개를 선정하여 단어의 뜻을 적는 사후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는 단기 기억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이었으며, 시각적 학습 을 선호하는 학습자들이 더 효과적이라는 예상과 일치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습득에 장기기억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학습한 100개의 단어를 랜덤으로 제시하여 지연 사후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는 시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와 청각적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 모두에게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를 밝혔다. 셋째,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습득을 보다 더 선호하는 집단을 연구하기 위해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영어 어휘학습에 대한 사전 인식도 설문지와 사후 인식도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이는 시각적 학습 스타일을 선호하는 학습자와 청각적 학습 스타일을 선호하는 학습자 집단 모두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시각과 청각적 학습스타일을 선호하는 학습자 모두에게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학습에 대한 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교사가 이를 적극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에 도움을 주어야한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 뿐 아니라 학습 능률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어 매우 효과적임을 밝혔다.

      • 낱말퍼즐 학습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전은영 신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낱말퍼즐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 학생은 부산시에 소재하는 G여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3학년 정신지체 여학생이다. 이들 중 나이가 만 15세-19세, IQ 50-75 사이의 경도 정신지체이며 그림어휘력검사와 낱말퍼즐 학습에 필요한 기초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고 간단한 지시 수행과 대화가 가능한 학생을 가려 1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연구 대상 학생을 7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한 뒤, 방과 후 특기적성 시간을 이용하여 실험집단에게만 40분씩 주 2회 9주간, 총 18회기에 걸쳐 낱말퍼즐 학습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학습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 어휘력 검사를 두 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로 어휘력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낱말퍼즐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1-3학년 읽기 교과서를 분석하여 대상 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132개의 낱말을 선정하고, 한 회기 당 7-8개의 낱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학습지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사용되는 어휘력 측정 도구는 신헌재가 개발한 어휘력 검사에서 발췌, 수정하여 명사, 동사, 형용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사지선다형 10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낱말퍼즐 학습의 적용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사후검사 결과를 명사, 동사, 형용사, 총점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실험집단이 더 놓은 어휘력 점수가 나왔다. 그러나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의 차이는 아니었다. 그 이유는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낱말퍼즐 학습으로 높은 어휘력 점수를 나타냈으나, 반면 통제집단에서도 사전 검사를 통한 학습의 효과로 사후 검사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두 집단 내의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을 살펴보니, 실험집단의 어휘력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집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어휘력 변화량을 비교해 보아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낱말퍼즐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서 어휘력 변화량이 더 큰 폭으로 상승했으므로 낱말퍼즐 학습이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로부터 낱말퍼즐 학습을 어휘 지도에 적용하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퍼즐을 통한 놀이 형식의 학습 방법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주어, 자연스러운 가운데 어휘력을 습득하게 된 결과라고 본다. 앞으로 정신지체아들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낱말퍼즐을 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된다면 어휘력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d puzzle activity on the vocabular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tally retarded 1st to 3rd graders in G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Among them 14 subjects who fall under 15 to 19 years of age, who has light mental retard such as IQ 50-75, who have basic learning capabilities for picture vocabulary test and word puzzle learning and who can understand simple instructions and conversations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7 for experimental group and 7 for control group.To both groups, vocabulary was tested as a pretest.Using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fter school, total 18 sessions of word puzzl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Each session lasts 40 minutes and they were given two times a week for 9 weeks. After the sessions, post vocabulary test identical to the pretest were performed on both group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vocabulary improvement. The word puzzle program used for this study was produced by the researcher analyzing Reading textbook of 1-3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hoosing 132 word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the target students and enabling them to learn 7-8 words in each session. The vocabulary test for the pre and post test was composed of 100 multiple questions asking the meaning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abstracting and modifying the vocabulary test developed by Shin Heon-jae. To see the results of the word puzzle program application, the pretest and post test results of two groups were compared.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First,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wo groups by nouns, verbs, adjectives and total su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ight be because the experimental group could get higher vocabulary scores due to word puzzl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could have better scores because of the learning effects from the pretest. Second,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vocabulary of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change. When comparing the volume of vocabulary of the two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group that had word puzzle sessions showed bigger increase in vocabulary, it seems that word puzzles mad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word puzzles can mak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t seems that the learning through puzzle games may give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and they can learn vocabulary spontaneously. If we have more programs enabling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contact word puzzles in everyday life, we can expect to improve and enhance their vocabulary further.

      • Pictorial Typography를 활용한 Semantic-Pictorial Webbing (SPW) 영어어휘 수업 연구

        황인철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n a limited context, such as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requires a lot of memorizing due not only to the huge amount of English vocabulary but also to the diverse meanings of it,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naturally require a lot of cognitive processing to learn it. Therefore, materials and methods are very important for efficient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n this limited context. In this study, pictorial typography, which is both creative and recreational, was presented as a way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due to the fact that the material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curious about and also to captivate their attention in regards to learning English vocabulary. ‘Word World’, which is an educational English vocabulary TV program of PBS, was analyzed as the substitutional case of an actual classroom lesson, using pictorial typography to explain the effectiveness of pictorial typography. Based on the fact above, pictorial typography was applied to semantic webbing, which can pres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nings of vocabulary to make efficient use of it in the actual class, an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rough the Semantic-Pictorial Webbing (SPW) which was presented in the study. The case for teaching English vocabulary through SPW using pictorial typography was presented from the following. First, the lesson is initiated using pictorial typography to present the vocabulary which will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topic, to pay attention to learning, and to induce curiosity. Then, the amount of vocabulary is increased using semantic webbing in each group, and then by the whole class. Second, the first development stage of the lesson is the making of vocabulary pictorial typography cards by drawing and coloring of pictorial typography based on the semantic web generated by each group and by the whole class, as done in the introduction. Students are thus exposed to the vocabulary they should learn through the activity above, which they can visually memorize effectively. Third, the second development stage of the lesson is the making of the semantic-pictorial web dictionary from the SPW using the vocabulary pictorial typography cards which the students made in the first development stage. Students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through SPW, and can therefore memorize effectively. Lastly, the effectiveness of review, and the practical use of a semantic-pictorial web dictionary for English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reading classes are improved by posting it up on the bulletin board in the classroom. For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rough SPW, lessons of 3 periods were given, and the attitudes of students were observed at each stage and in each period. A survey for evaluating the organization of the lesson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it in the actual elementary class was don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rough SPW ha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affective aspects of students. Pictorial typography attracted students' attention with its recreational characteristics, and helped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vocabulary quickly and accurately with a high recognition rate. In the actual clas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sson very actively and understood the meanings of the vocabulary naturally with a positive attitude, curiosity, and interest i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econd, the sense of achievement was increased. Students had a higher sense of achievement by completing the making of the semantic-pictorial web dictionary and putting it up on the bulletin board in the classroom. Third, the students understoo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nings of the vocabulary. Students learned English vocabulary by understanding and categorizing each vocabulary item through SPW. Each pictorial typography in the semantic-pictorial web dictionary also helped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vocabulary quickly, and without any review. As a result,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rough SPW using pictorial typography gives students motivation by having a favorable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factors and enhancing a positive attitude to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nd is an effective English vocabulary teaching method, which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nings of vocabulary.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어휘 학습은 어휘의 방대한 양과 그 자체의 다의성 때문에 학습에 있어 많은 암기를 필요로 하고 초등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많은 인지적 부담을 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된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그 학습 자료나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습자가 영어어휘에 흥미를 가지고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 효과적인 영어어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이 새로운 어휘정보의 제시를 위한 어휘 학습 자료인 것에 착안하여 높은 인지효과와 독창성 및 유의성을 지닌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Pictorial Typography)를 영어어휘 학습 자료로 제시하였고 영어어휘 학습 자료로서의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의 효용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수업의 대체사례로서 미국 PBS 방송국의 영어어휘 교육 프로그램인 ‘Word World’를 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서의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어휘의 의미관계를 가장 장 나타낼 수 있는 의미망 만들기(Semantic Webbing)에 적용하여 Semantic-Pictorial Webbing (SPW) 영어어휘 수업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SPW 영어어휘 수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의 도입 단계는 어휘 제시 단계로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하여 어휘를 제시해 줌으로써 주제에 관한 이해를 하게 되고 학습자들의 주의 집중과 흥미 유발을 돕게 된다. 이와 함께 그룹 의미망 만들기 활동과 학급 의미망 만들기 활동을 통해 어휘를 확장 시켜 나간다. 둘째, 수업의 전개1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그룹 의미망과 학급 의미망을 바탕으로 어휘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 그리기 및 색칠 활동을 통해 어휘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 카드를 만든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학습 할 어휘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어휘를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셋째, 전개2 단계에서는 완성된 어휘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 카드를 가지고 SPW 활동을 통해 Semantic-Pictorial Web 그림사전을 완성해 나간다. 학습자들은 어휘의 의미를 개념화하여 어휘를 효율적으로 기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Semantic-Pictorial Web 그림사전을 학급에 게시하여 영어 듣기·말하기·쓰기·읽기 수업에의 활용도와 복습의 효과를 높인다. 이러한 SPW 영어어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총 3차시의 SPW 영어어휘 수업을 실시하여 차시별, 단계별로 학습자들의 태도를 관찰하였으며, 초등학교 3학년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의 구성과 실효성에 관한 평가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SPW 영어어휘 수업에서의 학습 자료로서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는 특유의 유희적 특성으로 학습자의 주목을 끌고 시지각 인지효과가 높아 의미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어휘의 의미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도와준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어휘 학습에 참여하였고 어휘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암기식의 어휘 학습에 비해 두려움이나 불안감 보다는 호기심과 흥미를 보여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휘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갖는다. 학습자는 SPW 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Semantic-Pictorial Web 그림사전을 완성하였고 이를 학급에 게시함으로써 자신이 무엇인가를 해냈다는 성취감을 가지게 되고 배움에 대한 기쁨을 느끼게 되었다. 셋째, 영어어휘의 의미관계를 이해한다.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의미망 만들기 활동인 SPW 활동을 통해 초등학습자들은 어휘의 의미를 이해하고 범주화하여 어휘 학습을 하였고, 어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시 기억해 내지 않아도 Semantic-Pictoiral Web 그림사전의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를 보고 의미를 바로 회상해 내어 어휘의 의미관계를 빠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SPW 영어어휘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가지게 하여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성취감 또한 가지게 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동기를 심어준다. 그리고 어린 학습자들도 어휘의 의미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영어어휘 학습 지도 방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