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 체벌에 대한 유아의 지각과 공격성 연구

        한명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특정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와 특정상황에서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를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를 지역별로 동구, 진구, 북구, 해운대구로 구분하여 각 지역에서 2개 유치원씩 모두 8개 유치원을 선정한 후, 각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및 5세 유아 모두 391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는 성별간에 차이가 없다. 따라서 유아들은 성별과 관계없이 특정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을 지각하고 있다. 둘째,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는 연령간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만 4세 유아들은 5세 유아들에 비해 특정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셋째,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는 성별간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남자 유아들은 여자 유아들에 비해 특정상황에서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가 더 높다. 넷째,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는 연령간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만 4세 유아들은 만 5세 유아들에 비해 특정상황에서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가 더 높다. 다섯째,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와 특정상황에서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간에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다. 따라서 특정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 에 대한 유아들의 지각정도의 차는 특정상황에서 표출되는 공격성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섯째,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가 유아의 공격성 정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특정 상황을 전체적 유아를 대상으로 보면 노래를 잘못 부르거나, 그림을 잘못 그리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와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노래를 부르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을 높게 지각하는 유아들은 특정상황에서 표출되는 공격성 정도가 낮다. 일곱째,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가 유아의 공격성 정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특정 상황을 성별로 보면, 남아들은 노래를 잘못 부르거나, 그림을 잘못 그리거나, 방 청소를 하지 않는 상황이고, 여아들은 특정한 상황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남아들은 노래를 부르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방 청소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을 높게 지각하는 유아들은 표출되는 공격성 정도가 낮다. 그러나 여아들은 체벌가능성을 지각하는 정도와 공격성 정도간에 관련이 없다. 여덟째,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가 유아의 공격성 정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특정 상황을 연령별로 보면 4세 유아들은 자신이 챙겨야 할 물건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거나, 운동을 잘못하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와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5세 유아들은 노래를 잘못 부르거나, 그림을 잘못 그리거나, 친구와 싸우거나, 욕설을 하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에 대한 유아의 지각정도와 표출되는 유아의 공격성 정도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4세 유아들은 자신이 챙겨야 할 물건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거나, 운동을 잘못하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을 높게 지각하는 유아들은 표출되는 공격성 정도가 낮다. 그러나 5세 유아들은 노래를 잘못 부르거나, 그림을 잘못 그리거나, 친구와 싸우거나, 욕설을 하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가능성을 높게 지각하는 유아들은 표출되는 공격성 정도가 낮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만 4, 5세 유아들은 체벌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표출하려는 공격성간에는 몇 몇 특정상황에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을 뿐 정적 상관을 보이는 상황은 없다. 따라서 만 4, 5세 유아들에게 행해지는 어머니의 체벌에 대해서는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체벌은 흔히 유아들의 인성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나 동시에 공격적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기통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는 하나의 행동기준도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Freud가 어렸을 때 심어 주어야 한다는 양심은 모두 무엇을 하지 말라는 금지에 관한 내용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지에는 만일 그러한 행동을 했을 때는 벌이 가해진다고 하는 체벌이 내포되어 있다. 만 4,5세 자녀를 둔 부모들은 실제적인 체벌이 아니라 체벌 가능성이 비치는 꾸중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children's possibility of mother's physical punishment against their involved specific situations and in their aggressiveness in case of the same situa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ag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elected 2 kindergartens from each of Jung-gu, Jin-gu, Buk-gu and Haewoondae-gu districts in Busan, totaled 8. Then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391 children fully aged 4 and 5 from the 8 kindergarte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against them in accordance with their gender.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is perceived by both male and female children.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against them in accordance with their age. In relation to their involved specific situations, children who are 4 in full age perceive the possibility of mother's physical punishment against the situations higher than those who are 5. Third, children show differences in aggressiveness in accordance with their gender. In specific situations, generally, male children are more aggressive than female ones. Fourth, children show differences in aggressiveness in accordance with their age. In specific situations, generally, children fully aged 4 show a higher aggressiveness than those fully aged 5. Fifth, there are non-static but in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against their involved specific situations as a whole and their aggressiveness at the time of the whole situations. Thus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ived possibility of mother's punishment against their involved specific situations have no effect on their aggressiveness in case of the same situations. Sixth, for children as a whole, there are non-static correlations between their aggressiveness and their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when they fail to sing or draw properly. Thus children who perceive a higher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at the time of such specific situation as foresaid are lower in aggressiveness under the same condition. Seventh, regarding situations in which children's aggressivenes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in accordance with their gender include failure to sing or draw properly or clean a room in part of male children, but are not specific in part of female ones. Male children who perceive a higher possibility of mother‘s physical punishment in case that they fail to sing or draw properly are found lower in aggressiveness at the time of such specific situation. For female children, there are no relations between their perceived possibility of such punishment and their aggressiveness. Eighth, regarding situations in which children's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ggressiveness in accordance with their age, children who are 4 years old show significant non-static correlations between their aggressiveness and their perceived possibility of such punishment when they fail to tidy things up or exercise well. While, children aged 5 show such non-static correlations when they fail to sing or draw properly or when they fight with friends or make abuses. Children aged 4 who perceive a higher possibility of mother's physical punishment when they fail to tidy things up or exercise well are lower in aggressiveness, while those aged 5 show a lower aggressiveness when they fail to sing or draw properly or when they fight with friends or make abuse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some specific situations, children fully aged 4 and 5 show non-static correlations between their perceived possibility of physical punishment by mother and their aggressiveness, but not static correlations. This suggests the need of more profound studies about mother's physical punishment of children who are 4 and 5 in full age. Though seemingly having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personal character development, mother's physical punishment may prevent children from doing aggressive behaviors, becoming a behavioral standard for which children control themselves. Conscience that Freud suggested should be raised in childhood focuses on what must be prohibited. It also implies punishment against the failure of the prohibition. Parents need to imply physical punishment when scolding their child fully aged 4 or 5, rather than practicing such punishment actually.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미진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불안의 관련성을 살피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내의 고등학생 376명이었으며, 심리적 통제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1.0와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및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불안은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예방과 치료적 개입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소조절전략과 사회불안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이한나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16명(남아 56명, 여아 60명)과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 중 두려움을 가장 높게 보였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보다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더 높은 수준을 보였고,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서 부적절한 문제해결 능력보다 적절한 문제해결 능력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형제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이 낮은 유아보다 높은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표현성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 자녀의 기질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according to the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For this purpose, 116 five-year-old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Incheon (56 boys and 60 girls) and children's mothers were surveyed. Data regarding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vestigation of the general tendency of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it was found that fear was the highest among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higher than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appropriate problem-solving ability was higher than inappropriate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when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negative emotionality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iblings. Third, when examining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according to the negative emotionality of children, mothers of children with higher negative emotionality also have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han mothers of children with lower negative emotional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confirms that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differ according to the negative emotionality of the chi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temperament aspe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construct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나타난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 분석

        이범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a Korean-language reading teaching method that targets both a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at the same time an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in actual less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planning and applying actual Korean reading lessons in which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participate together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The First chapter comprises of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roposes appropriate problem and methods of this study. The preceding research observed Korean reading less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and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ren and looked for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is study. Chapter 2 comprise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in Korean reading lesson. This chapter explores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mothers and children by looking a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mothers and children. Also this chapter seek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ren by looking at the concept of interaction an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ren. Chapter 3 defines the participants, procedures, and methods of data analysis of this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 female marriage immigrant from the Philippines and her 3 children. Reading lessons were planned of 3 sessions of preliminary examination, 3 sessions of main activity where reading lessons were designed to suit the process-oriented reading stage where 1 folktale was used for each activity. Also, the data analysis was planned in 2 ways; the amount of student’s verbal output analysis and interactive type analysis. Chapter 4 analyzes and discusses about the result of the research by observing results of the reading lessons betwee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observing the amount of student’s verbal output and interaction type analysis which are suggested in Chapter 3.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amount of the verbal output of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verbal amount wa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age of the children from oldest to youngest. The reason wh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verbal output was the largest can be comprehended by 2 main factors. First, Women Immigrant was choosing to reiterate or elaborate her speech since she could not summarize the important contents, which abridged her speech. Second, ‘comparing stories’ activity from the 3rd session has provided much opportunity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to speak longer.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difference in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was caused by children’s age affected the amount of the children’s verbal output. As a result of a pattern analysis of interaction, the most frequent verbal interaction has appeared to be ‘naming and describing’ for ‘explaining’, ‘expanding’ for ‘feedback’, ‘correction’ for ‘identification’ whilst for the most frequent non-verbal interaction type was ‘laughing’, ‘nodding’, ‘pointing fing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in Korean reading lessons with a conduct of the post-student survey and interview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verbal interaction, students often used English for ‘explaining’ type, becaus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usually use English to communicate. The ‘feedback’ type was mainly reflected by two older children to help their mother, which could be assumed that the two older children have higher Korean language ability than their mother. Second, for the non-verbal interaction, ‘laughing’ and ‘nodding’ type was observed, which could be assumed that there were a lot of positive expressions due to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as it was a lesson that the mother and children participated together. Although less observed, ‘imitating’ and ‘acting on demand’ type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e mother and the youngest child, which was assumed that the mother had a higher Korean language ability than the youngest child, and also that mother wanted to keep her child’s learning attitude attention during lesson. Chapter 5 summarizes the research and defin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suggests the follow-up study measures. This research looked at the interaction that occur when a Korean language reading lessons are planned and actual lessons are conducted by setting up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her children together as class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a basic source of inform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learn Korean language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를 동시에 학습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읽기 교수 방안을 계획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실행했을 때 나타나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한국어 읽기 수업을 계획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수업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서술하고, 이에 적합한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 대상 한국어 읽기 교육과 어머니와 자녀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등을 살펴보고 본 연구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나타난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 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어머니와 자녀 대상 읽기 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와 자녀 대상 읽기 교육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또한 상호작용의 개념,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에 대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참여자,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필리핀 출신의 여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 3명이다. 예비 실험 3차시, 본 수업 3차시를 계획하여 각각 텍스트로 설화 1편씩 선정하여 과정중심적 읽기 단계에 맞게 읽기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발화량 분석과 상호작용 유형 분석의 2가지 방법으로 상호작용 양상 분석 방법을 계획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본 수업 3차시의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의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 제시한 학습자의 발화량 분석과 상호작용 유형 분석 방법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의 발화량 분석의 결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발화량이 제일 많았으며 자녀들은 연령순으로 발화량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발화량이 제일 많았던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반복적인 말을 사용한다거나 중요 내용을 간추려 말하지 못해 풀어 이야기하여 발화량이 많이 나왔다는 점이다. 둘째, 3차시 수업에서의 ‘이야기 비교하기’ 활동이 여성 결혼이민자가 발화를 많이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자녀들의 발화량이 연령순으로 많았던 요인은 연령에 따른 한국어 능력 차이가 발화량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측할 수 있었다. 다음 상호작용 유형 분석의 결과로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설명하기’의 ‘명명 및 묘사’, ‘피드백’의 ‘확장’, ‘확인’, ‘교정’이 제일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웃기’, ‘고개 끄덕이기’, ‘손으로 지적하기’가 제일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후 학습자 설문 조사 및 인터뷰 분석을 참고하여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의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상호작용 양상 분석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설명하기’ 유형에서 학습자들이 영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들이 평소 영어를 활용하여 의사소통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피드백’ 유형은 주로 연령이 높은 두 자녀들이 어머니를 돕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연령이 높은 두 자녀들이 어머니보다 한국어 능력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둘째, 비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웃기’, ‘고개 끄덕이기’ 유형이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참여한 수업이니만큼 학습자들의 친밀한 관계성으로 긍정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빈도는 적었지만 ‘모방하기’, ‘요구에 따라 행동하기’ 유형은 주로 어머니와 가장 연령이 어린 자녀 사이에서만 관찰되었다는 특징이 있었다. 어머니가 가장 연령이 어린 자녀보다 한국어 능력이 더 높기 때문으로 유추되며 또한 여성 결혼이민자가 어머니로서 자녀가 바르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한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를 함께 수업 학습자로 설정하여 한국어 읽기 수업을 계획하고 이를 실제 수업으로 실시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 결혼이민자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한국어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유형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장수연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on Children's Leadership Jang, Sooye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on children's leadership. The research questions of it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according to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2. How relationships do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have with children's leadership? 3. How do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influence relatively children's leadership? As the research tools, the study utilized mothers' parenting efficacy scale (Toddler Care Questionnaire) developed by Gross and Rocissano (1988; 1998) but translated and produced by Lee Gyeong-ha (2009), and the scales of types of language control (commanding control, standing control, affective control) produced and used by Lee Gyeong-hui (1994) based on the definition established by Bernstein (1971) and Gumperz (1973) but revised complementarily by Lee Jin-seong (2006) in order to measur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 types of language control. 'Children's leadership scale for teachers (developed by Jang Yeong-suk and Hwang Yun-sei (2009)'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leadership scale. To do it, the study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infants at the age of 4 and 5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at Incheon city, and their mothers. In order to measure infants' leaderships, teachers caring for infants at the age of 4 and 5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tal 250 copiers of questionnaire were handed out to parents of infants in each childcare center, and 217 copies out of them were collected. But except for 7 copies considered insufficient data, 210 copies were utilized as the research data. The research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regard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according to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mothers' age and educational level have nothing to do with infants' leadership, while mothers' vocations (employment status)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skills as a sub-factor of parenting 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regarding the relationships with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childcare and parenting ability to rear children healthily as the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hav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manding control among types of language control;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affective control. There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st sub-factors. Lastly, it was identified that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ypes of language control on infants' leadership,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s the relatively important influence on infants' leadership.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infants' leadership is developed and influenced positively when mothers show their parenting attitude to give children much discretionary roles and rights according to motives, intentions and circumstances, and to have children develop naturally responsibility to cognize and control their behaviors on their own, rather than showing the attitude to make communications with children by coercive and controlling means. Key Words : Mothers' Parenting Efficacy, Types of Language Control, Infants' Leadership 국문초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개인 변인에 따라 양육효능감과 언어 통제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 리더십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양육효능감과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 도구는 Gross와 Rocissano(1988; 1998)의 걸음마기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Toddler Care Questionnaire)를 이경하(2009)가 번안하여 제작한 설문지와 언어통제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Bernstein(1971)과 Gumperz(1973)의 정의에 근거하여 이경희(1994)가 언어통제유형을 명령적 통제, 지위적 통제, 인성적 통제의 유형으로 나누어서 제작, 사용한 것을 이진성(2006)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장영숙과 황윤세(2009)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4, 5세의 유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리더십 측정을 위해 만4-5세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각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의 부모와 담임교사에게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17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 결측 자료 7부를 제외한 210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효능감과 언어통제유형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나이, 학력은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이 없었으나 어머니의 직업(취업유무)은 양육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의사소통능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교육과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에서 언어통제유형 가운데 명령적 통제는 부적, 인성적 통제유형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하위요인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언어통제유형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리더십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양육행동의 만족도와, 강압적이고 통제하는 대화방식 보다는 자녀에게 동기, 의도, 상황에 따라 많은 역할재량권을 제시해주고 유아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인지하고 차단하는 책임을 자연스럽게 배우도록 하는 것이 유아리더십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언어통제유형, 유아리더십

      • 어린이집 영아반의 어머니와 교사의 놀이신념 비교분석

        강진명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영아기 어머니와 - 교사 두 대상의 신념을 조사하고 그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아의 놀이를 지원하고 교육하는 주요한 환경체계로서 어머니와 교사가 놀이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지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놀이에 대한 가정-기관의 상호 신념에 대한 조화와 공유 속에서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여 영아의 놀이를 보다 적합하게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기 어머니와 교사의 놀이신념의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의 발달과 놀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위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신념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영아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신념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영아 어머니와 영아 교사의 놀이 신념 간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영아기 어머니와-교사의 놀이신념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0세반, 1세반, 2세반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거된 어머니 질문지 218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내용이 누락된 질문지 19부를 제외하고 총 199부를 본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영아 교사용의 경우 수거된 질문지 188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내용이 누락된 25부를 제외하고 총 163부를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아기 어머니와-교사의 놀이신념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는 Fogel(2003)이 제작한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유미(2008)가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 보완한 것이다. 이 도구를 기초로 수정보완 한 후 유아교육전공교수 1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내용 타당한 검증을 받은 후 부모와 교사 각 15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검토 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놀이신념의 신뢰성 검정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어머니 각각 일반적 배경별 놀이신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평균 차이검정(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F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아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 신념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평균 차이검정(T-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신념 중 영아의 개월 수, 어머니의 학력 및 취업형태는 어머니의 놀이신념의 긍정적 놀이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의 월령이 어릴수록 긍정적 놀이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놀이신념과 성인중심 놀이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전일제 및 시간제 등의 취업을 한 어머니가 전업주부인 비 취업모 보다 놀이신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어머니의 자녀성별, 형제순위, 어머니 연령, 어머니 가정의 가계수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아 교사의 놀이신념은 어린이집 유형별, 교사의 연령, 교사 학력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다. 즉 어린이집 유형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보다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영아에 대한 놀이 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긍정적 놀이신념과 성인중심 놀이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 교사의 학력은 고졸의 학력을 가진 영아 교사가 성인중심 놀이신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반면 영아 교사의 교직경력, 담당하고 있는 학급종류, 교사의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기 어머니-교사의 놀이신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놀이신념의 하위항목 중 긍정적 놀이신념과 부정적 놀이신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성인중심 놀이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인중심 놀이신념에서 어머니 보다 교사가 평균적으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아 부모-교사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성인중심놀이신념의 3문항을 항목별로 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영아와 함께 노는 것은 나에게 중요하다’라는 문항에서는 어머니의 성인중심 놀이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나는 영아와 놀이 할 때, 정말 즐겁다.’,‘영아와 함께 노는 것은 내가 좋아하는 일 중의 하나이다.’라는 문항에서는 영아 교사의 놀이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영아기 어머니와 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별로 놀이신념에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교사 간 놀이신념에서는 놀이신념의 유형 중 성인중심놀이신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의 놀이와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기관의 인적 환경인 어머니, 교사의 놀이신념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영아 놀이에 대한 바람직한 신념 정립 및 적절한 놀이 지도를 위해 기관-가정의 협력과 조화가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 어머니와 旣婚딸의 家庭資源管理 類型.能力 및 效率性에 관한 硏究

        지금수 淑明女子大學校 199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과 능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유형 및 능력과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과 능력 및 효율성의 관계를 규명하며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으로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 거주지 일치도, 교육수준, 직업유무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성역할 태도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가정자원관리 유형과 능력 및 효율성을 택하여 그에 관련된 척도를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887쌍의 어머니와 기혼딸을 표집하였으나 그 중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633쌍만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χ² 검중. Cronbach의 α, 요인분석, Pearson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성역할 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그들 상호간에 관련이 있을 것이다. 2)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성역할 태도, 가정자원관리 유형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그들 상호간에 관련이 있을 것이다. 3)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효율성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성역할 태도,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과 능력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 1)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유형은 분리형이 가장 많았고 과업중심형, 인간중심형, 통합형 순이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역할 태도 변인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은 분리형이 가장 많았고, 통합형, 인간중심형, 과업중심형 순이었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에서 교육수준에 따라서만 유의차가 있었다. 분리형과 과업중심형은 교육수준이 중졸이하인 경우에 높은 분포를 보였고, 통합형과 인간중심형은 대졸인 경우에 분포가 높았다. 3)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은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통합형인 경우 기혼딸의 30.7%가 통합형이었으며 어머니가 과업중심형, 분리형인 경우에는 기혼딸도 각각 과업중심형(33.3%), 분리형(55.5%)이었다. 다만 어머니가 인간중심형인 경우, 기혼딸은 분리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인간중심형(29.7%)이었다. 2.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 1)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총 15점중 평균 9.99점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영역별로 볼 때 가사작업능력, 창의능력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계획능력, 평가능력은 낮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중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통합형과 인간중심형 집단이 분리형 집단에 비해 전체적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았다. 2)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15점 중 평균 10.7점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볼 때 가사작업, 소비, 인간관계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획능력, 평가능력은 낮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더 높았다. 또한 이들 집단은 기혼딸 자신의 가정자원관리 유형에도 영향을 받았는데 통합형, 인간중심형 집단이 분리형 집단에 비해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높을수록 기혼딸의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도 높았다. 3) 어머니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은 상호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3.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효율성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효율성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자신의 연령, 직업유무, 거주지 일치도 그리고 자신의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과 어머니의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기혼딸의 전체적인 가정자원관리 능력이 효율성에 가장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유형과 능력은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유형과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기혼딸의 가정자원관리 효율성은 사회인구학적 변인들보다 자신의 가정자원관리 능력과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를 볼 때 가정내에서 세대간에 전수되는 가정생활이 자녀의 삶에 직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딸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은 실제 생활의 질과 가정복지 향상에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방교육이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가정자원관리 능력의 질적 향상을 모색함으로써 딸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mother's influence in married daughter in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yle, ability and efficiency and the related factors in it. For the study, age, socio-economic status, the number of children, accordance of home, education, job and sex-role attitude were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family resouce mangement style, ability and efficiency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lated scales were made to measure them. The respondent were 887 pairs of mother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in Korea, and 663 pairs of them were statistically analys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for destription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s.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know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mily resources management styles, abilities, and efficiency, also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χ²-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hierachical regression were don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yles, abilities, and efficienc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styles are mothers' and their daught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sex-role attitudes and their correlation will show something significant. 2. How are famil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of mother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sex-role attitudes and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yles and their correlation will show something significant, 3. Efficiency of married daughter's management will be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sex-role attitude and her mother's and her own style and ability in family resource manage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1. The nother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yles. 1) The styles of the Moth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were in the rank of the seperated, the task-centered, the person-centered and the integrate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according to sex-role attitudes 2) The styles of married daught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were in the rank of the separated, the integrated, the person-centered and the task-centered. Among demographic variables, only level of education was significant: percentage of the separated was highest in the level of below the middle school graduation, that of the integrated and the person-centered was in the level of college graduation, and that of the task-centered was similar but relatively high in the level of below the middle school graduation. 3) Similarity was shown in the mother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yles: when the mothers' was the integrated, their daughters' was the same(30,7%), and the mothers' was the task-centered and the separated, the daughers' was the task-centered(33.3%) and the separated(55.5%) respectively. But when the mothers' style was the person-centered, the most style of the daughters' was the separated and the next was the person-centered. 2. The mothers' and their married dauth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1) The moth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was generally high enough to get 9.99 points among 15 points. Their ability was high in the field of household work, creativity, consump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but low in the field of planning, evaluation, and leadership.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job was influential: The working housewives' famil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was lower than the ability of jobless houswives. Among the management styles, group of the integrated and the person-centered showed more ability than the separated in the management ability. 2) The married daughters' management ability was average 10.7 points among 15 points: their ability was high in the field of household work, consump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but low in planning and evalu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influential: the younger their age and the higher their socio-economic status were, the higher their general ability of the management appeared. They were influenced by their own management style: the integrated and the person-centered style showed higher ability than the separated generally. And the higher mother's general ability of the management was, the higher daughter's ability of the management was, too. 3) The similarity between the mother and the daughter was appeared rebarkably in the management ability. 3. Married daughter's efficiency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The married daughter's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was influenced by age, job, and accordance of residence, and her own and her mother's management ability, but among them, the married daughter's own management ability was most influential to the efficiency.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yles and the abilities were influential to their daughters'. The efficiency of daughters' family resource management was more influenced by mothers' ability of the management than by any other demographic variables. This means family life initiated between generations is influential to children's life. So mother's education for daughter at home is very important for quality of practical life and improvement of home welfare. In this sence, Education for mother through life time education or open education, etc. i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family resource management.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의 관계

        김인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정서지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7곳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50명과 그 어머니 150명을 대상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정서지능은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83)이 개정한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김현미(200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최형성과 정옥분(2001)이 개발한 양육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정서지능과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유아정서지능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은 유아정서지능 하위요인인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아동의 행동특성은 자기 정서의 이용,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또래와의 관계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하위요인과 유아정서지능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하위요인 중 전반적인 양육능력은 유아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 정서의 이용과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건강한 아동 양육능력은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학습지도 능력은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훈육능력은 자기 정서의 이용과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또래와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는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양육효능감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 부모의 역할수행,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아동의 행동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하위요인 전반적인 양육능력, 건강한 아동 양육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 훈육능력과 부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