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원장의 현직교육 경험과 요구

        강순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dentify in-service trainings for the head teachers of nurseries. Appropriate In-service training for their experiences and needs was explored and reflected intensively.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r six months (from September 2011 to February 2012). The list of questions was asked to the participants and the audio-recordings were transcribed afterwar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0 head teachers of the nurseries and they had several in-service trainings previous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responses, the effective in-service trainings were investigated to support the demanding responsibilities of the head teachers in the nurse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provided initial evidence to improve current in-service training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head teachers of the nurseries had urgent needs for the in-service training which would help them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philosophies in the management of the nurseries, to provide inform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in the area of child-care, to effectively carry out their roles in the nurseries with professionalism, and to activ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society. They responded that the prime purposes of in-service trainings would promote professionalism in the management and obtain updated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econdly, in spite of the strong desire for the in-service trainings, the head teachers of the nurseries showed several constrains have limited the opportunities for the trainings such as distance problem, workload of management, lack of substitute staff, insufficient time, lack of suitable techniques and contents of the trainings. Thirdly, the head teachers in the nurseries applied their learning from the previous in-service trainings into practical child care settings. Also they used their knowledge into their own teacher training sessions and into establishing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the nurseries. Fourthly, although in-service training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management of the nurseries in general,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in-service trainings. They required the changes in the time assigned for in-service trainings. They also wanted various approaches and contents for the trainings, lectures with promoted qualities, particular training sessions for the child-care professionals and the guidance for differentiation and individualiza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현직교육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그들이 인식하는 현직교육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요구를 구체적인 면담을 통해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지금 현재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6개월 동안 반 구조화된 면담 방식을 채택하여 미리 준비한 질문 목록을 중심으로 질문을 하면서 녹음 수집된 자료는 즉시 전사하였다. 현직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남에 거주하는 10명의 원장들을 심층면담하고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현직교육의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은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확고한 철학과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폭넓은 지식, 보육의 정책에 대한 정확한 정보, 그리고 원장으로서의 전문성을 가지고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급변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직교육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다. 현직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크게 전문성 향상, 새로운 정보 알아가기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현직교육을 꼭 받기를 원하지만 먼 거리에 있는 연수 장소, 어린이집에 대한 걱정, 대체교사 부족, 시간 부족, 연수내용과 방법의 문제 등의 여러 가지 제약 때문에 현직교육을 받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현직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보육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영유아를 이해하는데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교육에 활용하고 무엇보다도 어린이집 운영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많은 부분에서 현직교육은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 있지만,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현직교육에 대한 아쉬움도 있었다. 그 내용으로는 교육시간과 시기 조정, 교육방법의 다양화, 교육내용의 변화, 질적 역량을 갖춘 강사, 보육교사 교육과 차별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에 관한 것이었다.

      •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박진례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After industrial info-age, It was increased a social advance of women. From the time that many infants spend with a parent by this, Time to spend while living in a child house increased. Thus, as for the importance of childcare service, it is increased more and more. In addition, in the government, child breeding and education escape from a domestic border and feel that it is a n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I thought a childcare business to be national core problem. And I do a parent of childcare charges support to stand and, While the government appealed for clean childcare, in the child house, administration and accounts and check according to a domain to be concerned with were strengthened. The duties stress of director child house was weighted by child house interference of the government, A duty and duties of director child house are very large and are complicated. A characteristic as for the study of a book by relations for duties stress of director child house about a population sociology family register factor and a career in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duties stress of the director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 was going to watch an independent variable and relations between dependent variables. There is a purpose to make a searching examination by 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for this. Help with understanding about duties of director child house through this, The duties accomplishment evaluation that is necessary at child house administration management time, Duties environment improvement, I am going to contribute to the administration management that is of a child house and quality improvement of preschool education by offering the basics document which is necessary for the in-service training direction establishment of the director. The issue of study that I set for a purpose of a study seems to be next. I am first, How much is duties stress of the director by an a population of sociology family register characteristic of a person of ancestors object? The second, As for the characteristic about a career of the director, how much is duties stress of the director? I described it for a problem statement and a purpose of a study with one piece by constitution of a study of a book and, I carried out documents study about duties stress with two pieces and did study analysis for duties stress of director child house with three pieces. And it was derivation hello by a result in a base with the document which became proof analysis with four pieces. Age of an a population of sociology family register characteristic of a person of investigation object, Income, Set a career and specialty in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a characteristic about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career, I try to have been going to set relations of duties stress of the director with a dependent variable. I used 120 SPSS Package programs for document analysis of a study of a book and, For general characteristic and study problem analysis of a person of object to investigate by a concrete analysis procedure frequency, Percentage, I calculated average. And I made a level of significance for hypothesis inspection 5%. I studied the child house director who worked at Seoul City and Gyeonggi Do to examine it about duties stress of director child house in a study object in an object. Guidance of the administration government where the reason that established a regional limit is equal, Supervision acts and, The reason is comparatively because there is a duty environmental homogeneity. In choosing Seoul City and director Gyeonggi Do location child house in an investigation object again, Grasp duties stress factor of director metropolitan area child house, In preparing for a policy plan I take duties stress factor, and to remove, The reason is because it raises a standard of quality of childcare environment by affirmative interaction with the infant whom it is more realistic, and is Education. A result by an a population of sociology family register characteristic seems to be next in a study of a book. I am first, The director with much age shows much difficulty by difficulty of computery administratively and, The director with a little age a kindergartener and relations of study parents, It can be watched the technical lack that is a stand of a teacher-related back a lot of stress. In addition, income of director child house appeared under influence by income because an institution and stress for facilities management rose so that there was little many. The second, Because plowback for child childcare consists when the standard that is always appropriate income of director as for the result that I can make duties satiability of the director consists simply because reasonable income makes ends meet, it is done an idea. The third, The duties stress rank by educational background did not have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 study of a book. Director child house as an infant and a family and a person in charge of an engine sponsoring integrated service in an object in a community diversity duties by post of group administration, In other words I administer the education philosophy presentation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plan establishment, Evaluation, Infant protection, Education, Management, Staff of a school appointment, Training, Cooperation with home and a community and interchange, A budget plan and the execution, provide equipment, Facilities, I accomplish duties such as the purchase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management. It may be said that director child house digit for duties recognition and duties stress and a job satisfaction degree are big factors in duties factor of the director who can have an influence on quality of baby education Office work duties of the form that duties of director child house are various mainly on childcare information system recently, A desire of study parents, Security and hygiene, I am compared with child education and take duties stress of various forms. The high director of age in particular experiences much stress for computation to perform administrative duties. There is the case that I give up child house administration hereby, and lose employment. In addition, the stress of the director became higher while various desires of a mother were strengthened in the days of by reinforcement of personal attention thought. A factor to let duties stress weight director child house which is a purpose of a study of a book helps understanding for duties of director child house all the time and, Duties accomplishment evaluation, Duties environment improvement, In offering the basics document which is necessary for duties support system, Advance pawn of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the childcare that are of director child house, I put significance of the article that I read while hoping that it can be contributed to the basics document which I minimize duties stress and can make a job satisfaction degree. 산업정보화 시대를 거치면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증가 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영유아들이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보다,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며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그래서 보육서비스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 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자녀 양육과 교육은 가정의 경계를 벗어나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라고 느끼고, 보육사업을 국가 핵심과제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부모들에게 보육료 지원을 하고, 어린이집은 클린보육을 정부가 외치면서 운영과 관련된 회계와 영역별 점검이 강화되었다. 정부의 어린이집 간섭으로 인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는 가중되었는데, 어린이집 원장의 역할과 직무는 매우 광범위하고 복잡해졌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관계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경력에 관한 특성을 독립변수로, 그리고 원장의 직무 스트레스를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변수간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에 관해 이해를 돕고, 어린이집 운영관리 시 필요한 직무 수행 평가, 직무 환경 개선, 원장의 현직교육 방향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집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와 영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상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원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원장의 경력에 관한 특성은 원장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느 정도인가? 본 연구의 구성으로 1장에서는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3장에서는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연구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실증분석 된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 소득, 학력과 경력에 관한 특성을 경력과 전공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원장의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 Pack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절차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문제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을 5%로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지역적 한계를 둔 이유는 동일한 행정당국의 지도, 감독이 작용하며, 비교적 근무환경의 동질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원장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 원장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제거하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영유아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으로 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다. 본 연구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많은 원장은 컴퓨터의 사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행정상 많은 어려움을 보이고 있고, 연령이 적은 원장은 원아 및 학부모의 관계, 교사 관계 등의 대인 기술의 부족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 많이 보일 수 있다. 또한 소득에 따른 영향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소득이 많거나 적을수록 시설 및 설비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정한 소득이 이루어 져야만 원장의 업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는 원장의 소득이 언제나 적절한 수준이 이루어 져야 아동 보육을 위한 재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통계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어린이집 원장은 영유아와 가족 및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책임자로서 조직 운영에 따르는 제반업무, 즉 교육철학 제시 및 교육운영계획 수립 운영, 평가, 영유아보호, 교육, 관리, 교직원임용, 훈련,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교류, 예산계획 및 집행, 시설, 설비, 교재의 구입 및 관리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유아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장의 직무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인식에 대한 정도와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어린이집 원장의 업무는 보육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사무업무, 학부모의 욕구, 안전과 위생, 아동교육에 대한 등 다양한 형태의 직무스트레스를 받는다. 특히 연령이 높은 원장은 행정적 업무를 실행하기 위해서 전산에 대한 많은 스트레스를 겪는다. 이에 따라 어린이집운영을 포기하고 이직을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자녀 시대와 개인주의사상의 강화에 따라 어머니의 다양한 욕구가 강화되면서 원장의 스트레스는 더욱 높아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에게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직무수행평가, 직무환경개선, 업무지원 체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집 원장의 효율적인 운영관리와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며,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기여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

        김숙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직무수행인식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어린이집 원장의 업무 및 전문성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정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 정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원장 174명이었고, 설문지 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직무수행인식과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차선미(200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Jorde-Bloom(1989)이 제작한 유치원교사 직무만족도 검사도구 중에서 송유진(1993)이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하위변인들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전반적인 직무수행인식 정도는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원장 모두 높은 수준이었고, 직무수행 하위변인 중 고유업무를 가장 많이 수행하였다. 기관 유형별 직무수행인식 정도를 비교한 결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국공립과 민간어린이집 원장에 비해 고유업무, 지원업무, 교사활동 모두 직무수행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가정어린이집 원장,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순이었다. 기관 유형별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한 결과 민간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고유업무, 지원업무, 교사활동 모든 하위변인에서 국공립어린이집 원장보다 직무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 정도는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도가 민간 및 가정어린이집 원장에 비해 높았고, 하위변인에서는 기관 유형별 어린이집 원장 모두 전문지식 및 능력과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보수와 직무자체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 정도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상관성에 있어서는 고유업무는 직무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원업무와 교사활동은 직무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들이 자신의 고유업무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반면 지원업무와 교사역할까지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과중한 문서처리 업무로 인해 어린이집 원장의 고유업무가 소홀해질 개연성이 있으므로 어린이집 운영․유지 및 보관에 필수적인 문서처리만 수행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행․재정관리 업무가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직무스트레스 경감 대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행정 간소화를 위한 과감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그리고 고유업무 수행 비중을 높이면서 직무만족도도 높일 수 있는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헌신 매개효과

        정영자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5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in the child-care facility organization. Towards that end, teachers in some child-care facilities in Seoul and part of Gyeonggi-do were visited and interviewed.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Research tools used herein included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measurement questionnaire, the teacher's job dedica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and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Questions used Likert's 5-point scale. Statistical analysis tools used herein included SPSSWin 22.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To examine whether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Also,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herein, explorativ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uitability were verifi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us are described below. First, it was analyzed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varied according to teacher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revealing that higher-career teachers, rather than lower-career teachers, and teachers in smaller-size child-care facilities rather than teachers in larger facilities, perceive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 exercised more servantship. Second, it was analyzed how the teacher's job dedication varied according to teacher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revealing that teachers' job dedication was generally high, and that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 level, but that it was perceived as higher with higher-career teachers than with lower-career teachers. It was verified that job dedication was perceived as higher with teachers in small child-care facilities than with teachers in large child-care facilities. Third, it was analyzed how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nd child-care facility variables, revealing that, generally,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high, and that i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career only. Higher-career teachers had bigger job satisfaction than lower-career teachers. Fourth, this study verified the suitability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shows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eacher's job ded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revealing that the suitability was relatively fit. Fifth, it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influence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revealing that i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is order. Thus, servantship influenced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direct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mediating variable teacher's job dedication also direc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indirect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Also,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high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a mediator, suggesting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as bigger when involving the mediating variable job dedication, than it had direct effects, and proving that job dedication was import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child-care teachers responded that child-care house presidents properly exercised their servantship. In particular, of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components, servantship was more exercised in terms of support for growth and sharing of leadership, rather than stewardship and forming a community. Higher-career teachers rather than lower-career teachers, and teachers in smaller-sized facilities perceived that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exercised more servantship. Second, teachers were very dedicated to education, and of job dedication components, regardless of regular working hours, compared to voluntary participation passion for child education, the factors of love for education, including the basic education factors, norms, and roles, were found higher. Also, higher-career teachers rather than lower-carer teachers, and teachers in smaller-sized facilities rather than teachers in larger-sized facilities were found to be more dedicated to their teaching job. Third, there was found to be a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here was also found to be a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measurement variables of teacher's job dedication. Also,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measurement variabl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measured how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and teacher's job ded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fit, and thus was accepted. Fifth,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boosted teacher's job dedication and accordingl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s servantship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teacher's job satisfaction but also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job dedication. As such, since teacher's job dedication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e child-care house president should work out measures to exercise servantship to boost the teacher's job dedication, and should operate the child-care facility to allow teachers to have job satisfaction.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on the differentiation of diverse leaderships needed for child-care facilities, along with servantship, and to expand the model involving mediat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from diverse persp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활동 조직의 구성원인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직무만족은 교사변인 및 보육시설변인(기관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그리고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직헌신의 매개효과로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은 교사의 교직헌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교사들이 자기직무에 만족하는 보육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지도력발휘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보육교사변수와 어린이집변수에 따라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직무만족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했다. 그리고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구조방적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것은 척도의 신뢰성과 집중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일이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거쳐 도출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차이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은 경력이 적은 보육교사보다 경력이 많은 교사가, 소규모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규모가 큰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어린이집원장이 서번트리더십을 더 많이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분석결과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직접효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헌신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로 나타난 반면에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전체효과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중요성은 어린이집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본질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는 보육교사로 하여금 보육교사의 적응능력을 높임으로서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초기연구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반편견 (Anti-bias)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실태 조사

        김희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4

        본 연구의 목적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실태가 원장의 교육경력, 시설유형, 반편견 교육받은 경험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원장 204명이며, 연구도구는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준하여 χ2 검증, t 검증, F 검증을 실시하였고, 범주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é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대다수의 어린이집 원장들은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정도, 관련지식,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의 증진을 강조하였고, 교육목표는 ‘공동체 속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협동하는 역할’을, 교육내용은 ‘가족구성’을, 교사의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교육활동에 따른 주제는 ‘가족과 이웃’을 꼽았고,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많아 만족도가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를 알아본 결과,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반편견 교육에 대해 어린이집 원장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의 실시정도는 ‘필요시마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실시방법은 반편견 교육을 모든 영역과 전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실시하기 보다는 ‘특정 주제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수매체는 ‘시각매체(도서자료 등)’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참고자료는 ‘상업적 지도 자료집’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연수 참가정도는 경력이 높은 원장일수록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수방법은 ‘관련서적․잡지 등의 자율적 연수’가 주로 이루어지며, 국․공립 어린이집과 반편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원장일수록 활성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문제점으로 ‘워크숍 또는 폭 넓은 연수기회부족’을, 보완점으로는 ‘구체적인 수업방법’을, 활성화 방안으로 ‘교재 및 교구의 보급’을 강조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반편견 교육자료 개발’과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 제공’을 현장에서 요구하였다. 특히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의 경우, 반편견 교육받은 경험이 있는 원장일수록 더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국․공립어린이집 원장과 반편견 교육받은 경험이 있는 원장일수록 전체적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교육활동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어린이집에서 반편견 교육활동이 좀 더 현실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들이 연수교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정책차원의 제도적 규정이 마련되어야 하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 반편견 교육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반편견 교육이 유아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정과 연계하여 부모들도 반편견 교육에 참여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what kind of influence the level of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f the director of child center has on the status and cognitive level of directors on anti-bias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204 directors of child center in Chung cheong buk-do, and the notion ‘the domain of anti-bias’ formulated in the studies of Hall and Rhomberg (1995) was used as the primary research tool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erformed the χ2 validation, t validation and F validation tests as the main analytical tool of the research. Furthermore, it implemented the Scheffé verificatio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groups classifi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analysis on the directors of child center on anti-bias education showed that large majority of direc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as well as acquiring related knowledge.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anti-bias education is to foster ‘reciprocal interaction of emotional feelings’, education goal was to impose a ‘role of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as a member of a community’, contents of the education was ‘constructing and composing a family’ and the role of the teacher was to ‘encourage reciprocal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One of the key topics covered in anti-bias education was ‘Family and Neighbors’ and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average’ to the question of level of satisfaction of current anti-bias education, thus showing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was below satisfactory.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anti-bias education showed that majority of the directors of child center were neither content nor satisfied with the current level and practice of anti-bias education. Concerning the frequency of anti-bias education, most respondents believed that suc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henever necessary, and they preferred the education to be focused on particular topic ‘rather than covering a general topic across all domains and programs.’ Most of the respondents incorporated ‘visual media (literary materials, etc)’ as the primary teaching tool, supplemented by other related ‘commercial teaching materials’ as reference material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nti-bias education was higher as the participation level of directors in the field of anti-bias education increased. Concerning the method of training, autonomous training methods like related books and magazines were the most commonly found types, and directors having received anti-bias education or having experiences in state/public child center tend to be more active in promoting anti-bias education. One of the major issues and problems found in the research was the ‘insufficient number of workshops and opportunity to receive the concerned education’, and ‘specific teaching method’ was raised as a subject of supplementation, and ‘distribu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were proposed as a mean to solve thes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nti-bias education materials reflecting the needs of our society’, and ‘providing diverse and detailed teaching methodology’ were also raised by the participants. In particular, in case of develop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is was more necessary for directors with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s, showing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s a conclusion, directors with higher education background, and directors with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r state/public child center tend to have a higher recognition of the need of anti-bias education, and provide more active teachings in this field.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and actualize anti-bias education in more and more child center across the country, the government must provide policy oriented system to guarantee higher participa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of child center to participate in anti-bias education related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 opportunities. In addition, these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able to foster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provide specific and fundamental anti-bias education to children in wide range of topics. Finally, these anti-bias educations should simply not be limited to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but rather should be developed in a direction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provided to the children at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종윤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15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의 전반 상태를 기초통계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개인별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개인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검정을 실시하고,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절차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특성 (경력, 기관원아 수, 보육교직원 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국공립어린이집원장 경력에 따라 회복탄력성 중 감정조절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경력 5년 미만인 경우보다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 10년 이상 15년 미만인 경우, 15년 이상인 순으로 감정조절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충동통제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보다 10년 이상 15년 미만인 경우와 15년 이상인 경우의 원인 분석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공감능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소진에서는 비인간화, 정서적 고갈, 개인성취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 심리적 소진 전체적으로 경력 5년 미만인 경우가 10년 이상 15년 미만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가 10년 이상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어린이집 원아 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직무스트레스에서는 교직원관리 스트레스, 시설관리에 대한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변수는 교직원관리 스트레스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원아 수가 20인 이하인 경우가 원아 수 40인 이상 80인 이하의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설관리에 대한 스트레스는 21인 이하 39인 이하인 경우가 40인 이상 80인 이하인 경우나 81인 이상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복탄력성에서는 자아낙관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0인 이하인 경우가 21인 이상 39인 이하인 경우와 40인 이상 80인 이하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수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 먼저 직무스트레스에서 교직원관리 스트레스는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관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는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복탄력성에서는 소통능력에서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적 소진에서는 비인간화, 정서적 고갈, 심리적 소진 전체에서 5인 이상 10인 미만인 경우가 10인 이상 20인 미만인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심리적 소진도 높은 경향을 보이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심리적 소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사람은 회복탄력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직원관리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 부모관리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 재정관리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 시설설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경로에서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매우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임을 감안할 때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고 개인별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함으로써 보육시설 운영 전반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생애사를 통해본 유아교육자의 삶

        김정화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과 어린이집 원장의 교직 생애를 통해 그들의 교육적 경험과 삶의 의미를 이해하며 한국 유아교육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길을 걸어왔는지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두 원장이 초임 교사부터 원장이 되기까지 어떠한 교직생애를 거쳐 왔는지를 알아보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두 원장은 원장으로서 삶의 경험과 유아교육에 관한 견해는 어떠한지를 연구 문제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현장 교육 경력이 20년 이상 되는 원장으로서 유아교육에 대한 소신과 열정을 가지고 살아온 공립 유치원 원장 1명과 직장 어린이집 원장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3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개인면담은 2시간∼4시간으로 각 8회, 집단면담 2회에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자료 이외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의 저널쓰기, 참여자의 이메일을 통한 저널쓰기, 전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참여자와 면담 후 내용을 전사하여 해석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도 교수와 박사 과정 선생님의 내용 분석과 해석을 검토하는 과정을 밟았다. 이후 연구 참여자로부터 결과 해석의 의미를 검토 받고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거쳤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원장의 생애과정 및 그 경험과 유아교육에 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원장 모두 책임감이 강하다는 점이다. 어려운 교육 환경 속에서도 원장으로서의 직무에 소홀함이 없었으며 책임감을 가지고 유아들의 교육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정원장은 19년 무결근 교사 생활을 하며 유아교육 환경 및 제도 개선, 학부모님을 비롯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통하여 유아교육자로서의 맡은 바 소명을 다했다. 황원장은 교사의 역할과 능력에 따라 책임을 함께 나누는 민주적 운영방식을 통하여 교사 스스로가 책임감을 가지고 소신껏 일 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었다 둘째, 두 원장 모두 배움에의 열의가 높았다는 점이다. 정원장은 전문가로서 자신의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더욱 배우고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대학원 진학을 하게 되었고 그런 배움에 대한 열정이 공립 단설 유치원의 원장으로 자리매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황원장은 유치원에 적응하기 힘든 초임교사 시기에 배움에 대한 목마름으로 대학원 진학을 하였다. 또한 보육정보센터장을 역임했을 당시 전문지식의 필요성을 느끼고 박사 과정에 도전했다. 두 분 원장의 배움에 대한 열의는 전문가로서 성장의 디딤돌 역할을 하였다. 셋째, 유아교육에 대한 두 원장의 견해를 살펴보면 정원장의 교육 철학은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존감이 높고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자라도록 하며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 피력하였다. 황원장의 교육 철학은 ‘인성에 바탕을 둔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황원장은 무엇보다 인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모든 바탕의 근본은 인성에서 나온다고 본다. 황원장과 정원장의 교육 철학은 ‘인성’이라는 큰 테두리에서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정원장이 생각하는 원장의 중요한 자질은 교사의 능력을 키워주고 교사의 수업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원장이다. 특히 황원장은 원장의 경영능력 즉, 경제적인 것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어린이집 원장으로서 예∙결산 등 회계의 중요성을 경험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넷째, 2016년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이하 유보통합)에 대한 견해는 두 원장 모두 찬성하고 긍정적이다. 유아교육의 큰 흐름은 이미 유보 통합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다만 어떠한 방식으로 내용을 담아내느냐가 관건이다. 유보 통합에 관한 생각이 정원장은 유치원 입장에서 황원장은 어린이집 입장에서 생각 하므로 관점의 차이가 있으나 담당기관이 교육부로 통합하는 것에는 일치를 하였다. 다섯째, 두 원장의 20여 년 간의 유아교육자로서 생의 과정은 삶은 다르면서 같았다. 정원장의 교직 입문은 어린이집에서 시작하여 초창기 병설 유치원의 출발과 함께 공립의 역사를 살아온 산 증인이다. 황원장은 초임 유치원 교사 3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현장을 지키며 보육인의 삶을 살아온 원장이다. 초임교사 시절 각기 다른 기관의 경험은 두 원장에게는 다른 한 쪽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언뜻 보면 다른 길을 걸어 온 두 원장이지만 그 삶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두 원장은 같은 유아교육의 길을 걸어왔다.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시대 상황에서 시작하여 변화무쌍한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의 격변기를 살아오면서 어렵고 힘든 좌절의 시간을 아이들에 대한 사랑과 교육에 대한 열정으로 버텨내며 오늘날 원장에 이르게 되었다. 두 원장은 20년 가까이 수행해온 유아교육자로서 삶의 태도와 유아교육에 대한 애정은 닮아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좋은 인성과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유아교육자의 삶을 살아온 두 원장은 다른 듯 닮아 있다. 공립 유치원과 직장 어린이집이라는 기관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큰 틀에서

      •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심민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on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258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used the PASW 18.0 statistical program for data analysis.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catagorized as follows: 1.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on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2. According to the director of the general background (age, institution, class of experience or whether piano technique, operating experience) to take advantage of the piano,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in terms of the piano utiliza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on the piano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 aware the necessity of piano utilization education becaus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utilizing piano is better than just the using standardized mechanical sound in the course of leading of music activities with children in joyful atmosphere. Regarding the question for the necessit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of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to the teachers, 52.7% agrees it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Regarding the question for the solution of improving the teacher's piano playing skill, most responses agree the necessity of the financial and time supports for teachers to equip the piano playing skills and the overhaul of the piano teaching program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llege. Therefore, considering that piano playing skills can not be impro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ttitude of the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llege must be transformed more aggressively to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Teachers of young children must have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ontinuing education for proper piano playing skills during their collegiate period. Second, the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 who has a piano playing skill aware(66.2%) that the active attention and effort of the teachers on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give a high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ies. Especially the response from the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shows higher response(91.7%) to the high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ies. The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 who have a piano playing skill and the directors with longer operating experience agree that piano accompaniment is good for the child's musical development of rhythm, harmony, and ear training skills. Also, the response from the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shows higher response(85.4%) on this issu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ing with a piano, the more operating experience as a director, the statistically higher satisfaction for teaching with the piano in music activity. But the director's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s music teaching technique show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and teacher's piano playing ability. In general, they do not satisfy with the teacher's music teaching technique. This result reflects that the piano utilization in children's music activity is quite limited only to singing but other activities such as free play activity and transferring activity as well. Thus, the teacher's piano playing skills must be enhanced and the in-service training through professional programs for teachers is requested. Third, regarding the question for the awareness of the status of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57.0% agrees to that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does not serve well due to the lack of piano playing skill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in the child care centers, responses to all question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or early child to have music a way of lif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must be planned in the daily routine in child care center. Respondents agree that piano utilization education can be used as means of communication (attention, transition activities) between teacher-child between, b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ield does not follow that. Following is directly related to the teacher's piano playing skills. Since transposition is possible in piano matching the child's voice range, children can have a confidence in singing and the singing practice can be repeated during the sing lesson. This response to the ques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can induce the children's activity transition naturally and introduce the theory of music such as the rhythm, pitch name and the progress of music. If there is an in-service training on piano utilization education, many directors are willing to let the teachers to engage the training program. But actual attendance rate to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is quite low. Therefor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status on this issue. This significant difference reflects the lack of teacher's piano playing skills. This confirms once again that for wider musical activities teachers need piano playing skills and must get in-service training through various approaches in fu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the directors in child care centers on the piano utilization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promotes the educational awareness to the directors and current teachers on the piano playing skills. Furthermor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c reference in creating musical environment which utilizes a piano in various ways in the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원장 2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원장의 일반적 배경(연령, 기관, 담임경험유무, 피아노연주기술유무, 운영경력)에 따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원장들은 피아노활용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한 이유를 정형화된 기계소리를 활용하는 것보다 생음악기인 피아노 반주를 하면서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즐거운 마음으로 음악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연수의 필요성에 관한 문항에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 52.7%를 차지하였으며 연수가 필요한 이유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유아교사가 피아노 연주기술을 갖추기 위한 방안에 관한 문항에서는 현직교사의 피아노 연주기술 습득을 위한 시간 및 경제적 지원과 예비유아교사 양성대학의 피아노 지도방법에 많은 응답률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적인 피아노 연주기술은 단기간에 향상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자의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유아교사의 피아노 연주기술은 교사가 되기 직전의 교육기간동안 체계적으로 제공되는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경험을 통해 피아노 연주기술에 대한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 변인에 따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피아노활용교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전반적으로 피아노 연주기술이 있는 담임교사에 응답률이 높았다.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인 관심은 유아의 음악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문항에 대하여 피아노 연주기술이 있는 원장들은 많은 영향이 미친다(66.2%)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관에 따라 국ㆍ공립 및 법인에서 많은 영향이 미친다(91.7%)로 높은 응답을 보였다. 피아노 반주는 유아의 리듬, 화음, 청음능력에 효과가 있다는 문항에 대한 결과는 피아노 연주기술이 있는 원장과 원장경력이 높을수록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관에 따라 국ㆍ공립 및 법인에서의 응답이 85.4%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피아노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교사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항에서도 원장경력이 많을수록 피아노를 활용한 수업은 교사의 수업만족도와 관련이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교사의 음악지도 방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만족도는 기관유형과 피아노 연주기술의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음악활동에서 피아노의 활용이 매우 제한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결과이며 피아노활용이 노래 부르기에 제한되어 있음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피아노 연주기술은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재교육도 요청된다. 셋째,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피아노활용교육의 실태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피아노활용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응답이 57.0%로 나타났으며,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교사의 피아노 연주기술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인식과 실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피아노활용교육은 유아가 음악의 생활화를 위해 보육의 일과 속에서 매일 계획되어 이루어져하며,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 수단(주의집중, 전이활동)으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현장의 실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교사의 피아노 연주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피아노는 유아의 음역에 맞게 조 옮김이 가능해 유아가 노래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노래 지도 시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인식과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피아노활용은 유아들의 활동전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피아노를 이용하여 리듬, 음이름, 노래의 진행 등 음악이론에 대하여 쉽게 소개할 수 있다는 인식과 실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피아노활용방법에 대한 연수가 있다면 교사를 참여시키겠다와 연수를 받은 적이 있다는 문항에서도 인식과 실태 간의 통계적

      • 통합보육 운영실태 및 효과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의식과 관련변인

        이백설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8

        Directo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nd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nursery schools Back-Seol Lee Advisor : Seunghee Lee, Ph.D. Major i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research is about Directo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nd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national, corporate, and private nursery school. Total number of 502 directors of various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among those 502 directors 283 directors (56.4%) gave their feedback Various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ranking, and one way ANOVA (F variable) have been used respectively in order to analyze obtained data. This research tool is derived by modifying Lee Jeong Hwa (2002), Oh Mi Ok(2004), and (Lim Duk Ran(2005)’s questionnaires and consists of (3) sections. (A) basic elements (B) current operation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c)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s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s educational right for disabled children to be accepted by a nursery school, and the reason that nursery schools don’t provide inclusive education is that they don’t have right program. The best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to apply it through whole educational program. The most needed parts of the inclusive education is teaching sociality to the disabled children. Specially trained teachers are required as well as 24 hours open facilities. The reasons which hinders inclusive education are insufficient number of trained teachers, low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and in sufficien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In order to hav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mprovements of quality and right attitude of teachers, finding severity and types of disabled childern, and physical environments are needed. As per the teachers train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correcting problematic behavior, and curing disabled children are needed. Second, regarding variables (types of foundation and having experience/in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4 sections of out 10 questions which deal the reason of accepting disabled children,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al law of mandatory education of disabled person, and necessary training for inclusive education, both variables have similar answers. However, regarding 6 questions which deals the reason of not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 facility for disabled children, required teachers for inclusion, factors that hinders inclusion, and factors for a successful inclusion, two variables have different answers. Third, regarding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directors of nursery schools find that it gives positive effects to disabled children, normal children, and teachers. Forth, regarding variables (types of foundation and having experience/in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types of foundation don’t affect the perception on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however having experience or inexperience of inclusion shows difference. Those who are providing inclusion and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in inclusion have 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inclusion than those who have previously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 영유아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장윤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영향을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영유아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유아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연제구, 해운대구, 동래구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민간, 가정어린이집에서 보육 교직원으로 종사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상호작용, 임파워먼트, 조직몰입의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30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과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모든 하위변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즉, 감성리더십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이 모두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조직몰입 또한 높아진다. 둘째, 감성리더십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서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간접효과를 가진다. 부분매개효과를 가짐으로써 원장의 높은 감성리더십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감성리더십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서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효과를 가진다. 부분매개효과를 가짐으로써 원장의 높은 감성리더십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성리더십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이나 정서적 지지, 혹은 이직 의도 외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을 다시금 재확인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게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감성리더십에 대한 이해와 실천, 그리고 원장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