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관리지표 개발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상인 아주대학교 교통ITS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어린이 보호구역은 1995년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규칙이 제정되고 2003년 개선 사업이 실시된 이래 현재까지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 인 투입과 관리가 이루어졌다. 2011년 1월에 “도로교통법”과 “어린이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 례법”을 개정하면서 지정 주체가 경찰에서 해당 지자체(시·도 및 구·군)로 바뀌었으며 국고보조사업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최근에는 민식이법이 시행됨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 내 안전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법적인 제 재를 마련하여 어린이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적절 한 관리가 되지 못하고 있다. 현장 상황을 반영한 자료가 아닌 과거 사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에 현장과 괴리감이 발생한다. 이 에 이번 연구에서는 현장 데이터와 기존 자료를 융합하여 관리 지표를 작 성하였다. 정량적 데이터는 교차로 통과교통량, 중차량 대수, 사고건수를 수집하였으 며 정성적 데이터로 학생수, 시설물 유형, 통학로 주변환경, 안전시설 설치 유무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거쳐 사고건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 해 분석하였으며 사고건수와 통과교통량은 양의 상관관계, 사고건수와 중차 량 대수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통과교통량과 중차량 대수를 기반으로 예상사고건수를 추정하고 정성적 데이터는 각각 지표마다 등급화하여 위험도 점수를 매겼으며 실제 인천시 어린이 보호구역에 적용해보았다. 향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 추진시 예상사고건수와 위험도 점수를 매겨서 구역마다 적정성을 따져본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Children's protection zones have been continuously introduced and managed for the safety of children since the rules on children's protection zones were enacted in 1995 and the improvement project was implemented in 2003. In January 2011, the "Road Traffic Act" and the "Special Act on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Children's Protection Zones" were revised, and the designated entity was changed from the police to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city, province, district, and county), and the project is being promoted as a state-funded project. Recently, with the enforcement of the Civil Service Act, it is doing its best to protect the life and safety of children by mandating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and preparing legal sanctions. Although there is continuous interest and investment in child protection zones, it has not been properly managed. Since the project is being promoted based on past accident data, not data reflecting the field situation, a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field occurs. Therefore, in this study, a management index was prepared by fusion of field data and existing data.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raffic through intersections, the number of heavy vehicles, and the number of accidents, and analyzed the number of students, types of facilities, the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road, and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as qualitative data.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an equation was calculated for the variable affecting the number of accident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ssing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heavy vehicles. Based on the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heavy vehicles, the estimated number of accidents was estimated, and the qualitative data was graded by each indicator to score the risk, and it was actually applied to the Incheon Children's Protection Zone. In the future, if the number of accidents and risk scores are scor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each individual area,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 the child protection zone more effectively.

      • 어린이보호구역 보행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대상으로

        송영창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On March 25, 2020, the ‘Minshik Act’ was enacted due to a traffic accident among children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The 'Minshik Act' includes the 'Road Traffic Act Amendment Bill,' which mandates the installation of speed cameras and traffic lights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the 'specific specific punishment for the perpetrators who cause death or injury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due to negligence in the duty to drive safely. Amendments to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Crimes'. Accordingly, on January 1, 2020, the government will adjust the speed of vehicles on all roads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to 30 km/h or less, lower the speed to 20 km/h or less in areas without pedestrian spaces, and all vehicles must stop at crosswalks even if there are no traffic lights. 'Measures to strengthen traffic safety in children's protection areas' were announced, such as strengthening enforcement of regulations and parking vio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school help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walking in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in Eunpyeong-gu, Seoul.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 was set. First, elementary school parents, teachers, and school helpers analyze the factors and risk factors that give satisfaction to th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Second, factors for creating a safe school route for children protec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literature study and survey were conducted and analyzed. In the literatur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definition,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basic statistics and a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a total of 370 people, including 258 parents, teachers, and school helpers,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Eunpyeong-gu, Seoul. As a result of this study, while enforcement and punishment for children's traffic accidents have been strengthened, I think that public services percei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actual child protection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the installation of consumer-oriented transportation facilities viewed from a ‘children’s perspective’ is insufficient. I think that the reality is that the model that protects and warns children has reached its limits when transport facilities centered on supplier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rackdown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level of the consumer. In the case of tasks transferred from local governments, I think the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due to the indiscriminate installation of individual smart transportation facilities for each depart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ek efforts to prevent accidents as well as create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by installing traffic facilities that integrate departments that integrate the Internet of Things and new IT technologies by receiving signals from existing traffic lights and speed cameras. 2020년 3월 25일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 교통사고로 인하여 ‘민식이 법’이 시행되었다. ‘민식이 법’은 어린이보호구역에 과속단속카메라와 신호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도로교통법 개정안’과 안전운전 의무 부주의로 인하여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사망, 상해사고를 일으킨 가해자에 대하여 가중처벌하는 ‘특정범죄 가중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정부는 2020년 1월 1일 어린이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의 자동차 통행 속도를 시속 30km 이하로 조정, 보행공간이 없는 구역은 시속 20km 이하 하향, 신호등이 없다 하더라도 모든 차량은 횡단보도에서 의무적으로 정지하여야 하는 규정과 주정차위반 차량에 대해 단속 강화 등의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대상으로 어린이보호구역 보행 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와 교사, 통학 도우미를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학부모, 교사, 통학 도우미가 어린이보호구역 내 설치된 시설물과 보행환경에 대해 만족을 주는 요인, 위험 요소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안전한 통학로 어린이보호구역을 조성하기 위한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한 정의, 도입 배경, 취지와 관련 법규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 258명과 교사, 통학 도우미 112명, 총 370명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통계와 단계적 회귀분석 분석방법을 활용,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어린이 교통사고에 대한 단속 및 처벌이 강화된 반면, 실질적인 어린이 보호 관점에서 체감되는 공공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어린이 시각’에서 바라본 수요자 중심의 교통시설물 설치는 미흡한 실정이라 생각된다. 수요자의 눈높이를 고려하지 않은 단속 목적의 공급자 위주의 교통시설물이 설치되고 어린이를 보호, 경고하는 모델은 한계에 봉착한 것이 현실이라 생각한다. 지자체에서 이관된 업무의 경우 부서별 개별적 스마트 교통시설물의 무분별한 설치로 실효성은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향후 기존 신호등, 과속카메라 등의 신호를 받아 사물인터넷과 IT 신기술 융합하는 부서를 통합한 교통시설물 설치로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과 더불어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모색해야 한다.

      • 어린이보호구역 내 제한속도 준수 방안 연구 : 과속단속 장비 운영을 중심으로

        노경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children protection zone has continue to expand since 1993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Meanwhile, it has been assessed as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decrease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traffic accidents, the government, the public institutions, non-profit civi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have made combined efforts to enhance children’s consciousness of the traffic safety through diversified educational programs and campaigns for the children.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children’s traffic accidents, the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the speed trap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 However, such speed facilities and traps not befitting the road conditions have the kangaroo effects of avoiding the trap, and drivers’ such driving pattern might lead to collision accidents, endangering children’s safety. Hence, it must be essential to maintain and manage the limited speed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s to have drivers observe the speed limit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3 points having the similar traffic conditions, and thereby, measured vehicle speed, distance between vehicles and frequency of their collisions. Then,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about the changes of the driving patterns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s and thereby, conducted a statistical test for a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peed bump on children’s traffic safe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bumps were installed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s, the vehicle speed was lowe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VOVA of the vehicle speeds depending on the speed bumps, it was found that the vehicle speeds 50 meters before and after the speed camer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driving patterns were similar at the points with the speed bum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ehicle distance by point, it was found that the distance was wider at the points with the speed bumps installed, and that the vehicles running faster kept a relatively long distance.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collision accident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a speed trap, it was found that the collisions were more frequent at the points with the speed bump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the traffic accidents was small for the points sampled, it was deemed difficult to affirm that the speed bumps had induced the traffic accident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of collision to suggest the specific causes for the accidents. The causes of collis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braking, passing and honk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s by point, it was found that more collisions occurred at the points with no speed bump. At the points with the speed bumps, braking occurred more, but at the point with the speed trap installed, the collisions were less frequ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milar 3 points comparatively, the points with no speed trap scored higher in terms of passing speed, inter-vehicle distanc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and collisions, which suggests that the speed bump or one of the speed limit facilities would be effective in having the drivers maintain the driving pattern and speed limit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s. Furthermore, in case the speed trap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children protection zone on the road of 60km design speed, it would be essential to install the speed limit facilities, while checking the over-speed of the vehicles to suppress the kangaroo effects and ensure children’s safety. 어린이보호구역은 어린이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1993년에 처음 제도가 도입되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동안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어린이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받았고, 어린이의 교통사고의 예방을 위해서 공공기관, 정부, 비영리 단체, 기업등에서 어린이 안전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캠페인을 진행하여 어린이 교통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서 차량의 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교통안전시설물과 속도위반단속장비를 설치․운영중에 있다. 하지만 도로 권역에 맞지 않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과속단속장비 설치가 단속을 피하기 위한 캥거루 효과를 발생하여 이러한 운전자의 통행패턴은 추돌사고 뿐만 아니라 어린이 안전에도 위험을 주기 때문에 어린이보호구역 내 제한속도 유지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제한속도 준수방안을 위하여 유사한 조건을 가진 세 지점을 선정하여 어린이호보구역 내 차량 통행속도, 차간간격, 상충횟수를 측정하여 차량들의 주행패턴이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집된 자료를 이용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검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지점별 속도저감시설(과속방지턱) 설치 유․무에 따른 비교분석결과 구간별 통행속도의 경우 어린이보호구역 내 과속방지턱 개소수가 많을수록 통행속도가 낮았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AVOVA) 통계법을 통한 과속방지턱 설치 여부에 따른 통행속도 분석결과, 세 지점 모두 과속카메라 설치지점 50m 전․후는 통행속도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지점들은 운전자의 주행패턴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점별 차간간격 분석결과,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지점이 차간간격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속도로 통행하는 차량의 경우 낮은 속도로 통행하는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차간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과속단속장비 설치 전․후 추돌사고에 대한 발생건수 비교결과 과속방지턱 설치지점이 미설치 지점 보다 추돌사고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조사된 교통사고 건수가 적은 관계로 과속단속장비가 교통사고를 유발하였다고 단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상충조사를 통하여 사고유발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추돌 가능성에 대한 상충유형을 제동, 추월, 경적 세가지로 나누었으며, 지점별 상충조사 분석결과, 교통량 대비 상충율은 과속방지턱 미설치 지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지점의 경우에는 과속방지턱 설치지점에서 제동이 많이 일어났으나, 과속단속장비 설치지점에서는 상충횟수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사한 세 지점을 비교분석결과 속도저감시설 미설치 지점이 통행속도, 차간간격, 교통사고 발생건수, 상충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속도저감시설인 과속방지턱이 어린이보호구역 내 운전자 주행패턴 및 제한속도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설계속도 60km이상인 도로에서의 어린이보호구역 내 과속단속장비 설치시에 제한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속도저감시설 설치 및 구간단속을 실시하여 캥거루 효과 억제 및 어린이 안전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카노모형을 이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변창윤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최근 도로교통공단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속적인 어린이 교통사고 줄이기를 위한 노력으로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이 감소라는 긍정적인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2018년도 기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435건 중 3명 사망 등 여전히 많은 어린이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법률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각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안전환경은 나아지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환경에 대해 항목별 데이터를 도출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환경 개선 시 우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카노모형을 이용하여 어린이보호구역 안전환경 요소별 품질속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매력적 품질 요소는 과속방지턱, 과속단속장비설치, 교통(보행)신호기, 보행볼라드, 주정차 단속장비, 노상주차장 폐쇄, 등하교 안전도우미였으며, 일원적 품질 요소로 나타난 것은 최고속도제한표지(서행표시포함), 어린이보호구역 통합표시, 횡단보도, 시선유도봉, 주정차 CCTV, 주정차금지표지, 운전자 대상 어린이보호구역 홍보 및 계도였다. 당연적 품질로 구분된 것은 도로적색포장, 고원식 횡단보도, 방호울타리, 옐로카펫 이었다. 혼재된 품질은 적합한 보도폭(보행공간), 보행자투광등, 주차단속, 어린이 대상 교통안전교육 이었다. 그리고 Timko분석을 통해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확인하였다. 만족계수가 가장 높게 나온 것은 노상주차장 폐쇄이며 그 뒤를 이어 등하교 안전도우미, 교통(보행)신호기 순이었다. 불만족계수의 가장 높은 것은 보행볼라드이며, 그 다음은 과속단속장비설치, 과속방지턱 순이었다. 이 결과를 가지고 만족계수가 높게 나온 것들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만족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해야 하며, 불만족계수가 높게 나왔던 것은 중점적으로 관리하여 불만족인 사항을 개선할 수 있게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어린이 보호구역내 안전환경 품질의 요소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토대로 객관적인 어린이 보호구역 품질을 구분하였다. 또한, 어린이 교통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정부기관, 도로 및 시설 담당하는 지방자치정부에서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환경 정비에 필요한 자료가 제시되었다. 둘째,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Kano분석과 Timko계수를 활용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정비를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필요한 객관적 정보를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데이터를 단순하게 하나의 방법으로 분석을 하지 않고 학부모들의 연령, 성별, 학력에 따라 Kano모형 그리고 Timko계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Kano모형과 Timko분석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환경 품질을 파악한 후 안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안전행동의도에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다섯째, 어린이 보호구역 품질에 대한 구체적인 구분을 통해 후행 연구자들에게 어린이 보호구역 품질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According to the data presented by the Road Traffic Authority(2018), although some efforts to reduce continuous traffic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have led to the positive outcome, the decrease of mortality caused by such accidents, a lot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still occur in school zones (435 accidents and 3 cases of death in 2018). Therefore, in this study, by deriving itemized data on the safety environment of children's protected areas and applying it preferentially when improving the safety environment of children's protected areas, children's transportation within the protected areas of children It will help prevent accidents. As a result of classifying based on quality attributes of children's protected area safety and environment elements using the Kano model, the attractive quality factor is speed bump, speeding enforcement device installation, traffic (walking) signaling, walking bollard, parking and parking. A crackdown device, a street parking closure, a safety helper for commuting to and from school, and the unifying quality factor showed the maximum speed limit signs (including slow signs), integrated indications of child protection areas, pedestrian crossings, and line-of-sight guidance bars. It was a stop and stop CCTV, a stop and stop sign, and a public relations system for the protected areas of the children being driven. Naturally demarcated were road red packaging, plateau pedestrian crossings, protective fences, and yellow carpets. The mixed quality was appropriate vodopok (walking space), pedestrian floodlighting, parking enforcement, and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Then, the satisfaction coefficient and the dissatisfaction coefficient were confirmed through Timko analysis.The highest satisfaction factor was the closure of the on-street parking lot, followed by school safety helpers and transportation (walking) signaling. The highest dissatisfaction factor was walking bollards, followed by speeding enforcement devices and step pavement. If the satisfaction coefficient is high with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atisfaction level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the high dissatisfaction coefficient is focused on management. You must try to improve your dissatisfaction.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drew core outcomes for maintaining the safety environment in school zones from government agencies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being in charge of roads and facilities, by categorizing the objective quality of school zones, based on parents' perceptions on factors of safety environment quality, suggested by this study. Second, it provid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for maintaining school zones, by using a Kano analysis and Timko coefficients for school zones. Third, it analyzed the data of participants responding to questionnaires by not merely using single method, but using a Kano model and Timko coefficients according to age,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s of parents. Fourth, it examined the quality of school zones, by using the Kano model and Timko coefficients and what factors have effect on safety behavior intention. Fifth, it provide information about high-technologies (yellow carpets, illegal parking monitoring equipment and speed enforcement equipment), which should be build within school zones, to related groups which plan to apply them to school zones. Finally, it provided valid and theoretical grounds for the quality of school zones to the following researchers, by specifically categorizing the quality of school zones.

      • 어린이보호구역내 횡단보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울란바토르 중심으로

        바야르사이항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몽골 인구가 2020년 기준으로 총 인구 3,322,560이며 63.77%가 35세 청춘이다. 자세히 보면, 총 인구 30.94%이 1.002.052은 0-14세 어린이, 62.4% 은 2,020,696은 15-59세 청춘이들이고, 6.66%은 215,731은 60세 이상 고 령화이다. 여기서 우리 나라는 앞으로 어린이들이 많이 탄생할것으로 추측 되며 현재 어린이 , 미래 어린이들 보호하기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확대 및 강화 정책 , 교통안전시설, 횡단보도 개선을 위한 연구이다. Mongolia has a total population of 3,322,560 by 2020, 63.77% of whom are 35 years old. In detail, 30.94% of the total population is 1.002.052 for children aged 0-14, 62/4% is 2,020,696 for those aged 15-59, and 6.66% is 215,731 for those aged 60 and over. Here it is speculated that our country will have more children in the future, and today's children will study to strengthen policies,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improve pedestrian crossings to protect future children. Is.

      •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 교통사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시내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School zone was introduced in 1993 and kept expanding until now continuously. In the meantim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evalua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raffic accidents.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improvement project was overly costly per unit school zone in terms of the number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reduced. Furthermore, despite the continuing improvement project, the number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in the school zones nationwide for the past three years has increased from 427 cases to 541 cases. Faced with this situation,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to review and re-evaluate th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up until now.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 among traffic safety features that are newly installed or improved when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is implemented, school zone traffic environment of roads involved, and children accidents. Target for the analysis was children accident black spots within the school zones that were selected by KoRoad TAAS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of KoRoad) for the past 5 years. The range of accident data was limited to the past 6 years. As for target unit of analysis, each school zone was not selected as a target unit. Instead, each school zone was divide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the resulting units were selected as target of analysis. To analyze impact relations among children accidents, school zone traffic environment of roads involved, and traffic safety features, an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of children accidents was constructed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Instead of taking entire roads of a school zone divided as target, two separate models were constructed for block inside and arterial road group. As a result of model construction, in the case of block inside, minimum sidewalk width, speed bump, and elevated crosswalk turned out to be impact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children accidents. But in the case of arterial roads, speed limit, roadside barriers, and red pavement of road surfaces turned out to be impact factors. In addition, regarding impact factors derived by group, priority order was graded for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arrying out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and school zone repair projects based on Wald statistics and odds ratio valu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whereas existing studies placed an emphasis on school zone traffic environment of roads, road traffic safety features, and speed reduction effect in the main, it examined their impact relations with children accidents. It is hoped th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can be of some help to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and school zone repair projects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data. 어린이보호구역은 1993년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그동안 국내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어린이 교통사고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사고감소실적에 비해 단위 개소당 사업비가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또한 전국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사고가 지난 3년간 427건에서 541건으로 증가하는 등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이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사고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황에 따라 지금까지의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시 설치 또는 개선되는 교통안전시설물과 해당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교통환경과 어린이사고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 5년간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선정한 보호구역내 어린이사고 다발지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사고자료 범위는 최근 6년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점의 어린이보호구역을 한 단위로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지 않고, 각 지점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각 도로들의 특성에 따라 분할하였으며 이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어린이사고와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교통환경과 안전시설물들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어린이사고발생확률모형을 구축하였다. 분할된 어린이보호구역 도로들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블록내부와 간선도로 그룹으로 각각 나누어 두 개의 모형을 각각 구축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블록내부의 경우 어린이사고 발생에 있어서 최소 보도폭 확보 유무, 과속방지턱 유무, 고원식횡단보도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간선도로의 경우 제한속도, 방호울타리 유무, 노면 적색포장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각 그룹별로 도출된 영향요인에 대하여 Wald 통계량과 Odds ratio값을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또는 보수 사업시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순위를 만들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어린이보호구역 내 도로교통환경 및 안전시설물에 대한 속도저감효과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어린이사고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가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이나 보수사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어린이보호구역의 가로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기선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Street is utilized well by the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street furniture. In other words, people make use of the street through street furniture according to their purpose. Accordingly, the design of street furniture needs the consistent design principles for the unified image of street landscape like the furniture within the building. Street furniture should be installed in the appropriate location in order to support various activities of people and create the comfortabl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location that has the particularity like the school zone, the excessive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and unlimited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in quantity, headed by the public good, bring about congestion of the street. After all, street furniture hinders the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zone and the creation of comfortable street environment. This thesis puts the purpose in examining the space formation principle of the street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concept of school zone, and presenting the design guideline which can enhance the walking safety of children within the school zone in terms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r system, operation, users, and facilities.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case study in relation to the plan and operation of the children's school zone inside and outside the nation was conducted, and application feasibility of the precedent case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mplement of the deficiency in the enforcement of school zone.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the causes for the danger of children's accidents and other problem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hildren's features in walking behavior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street environmental furniture in the school zone. As a result of study, we found that foreign nations operated various traffic calming techniques and systems in order to create the comfortable street environment, and they have endeavored to enhance the pedestrian safety. Also, traffic calming technique of foreign advanced cases provides the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safety involved accident as physical and institutional methods and fosters reduction of traffic volume and the deceleration of traffic speed. As mentioned ahead, the coverage of enhancing the pedestrian safety is broad and its effect is great.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traffic policy and the forma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that put priority on the vehicle have aggravated the traffic problem in the cities of Korea, while the traffic safety measures for the pedestria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quality have been turned aside. The street environment of school zone as well as the downtown area is not an exception. Poor street environment results in several problems such as common traffic congestion and parking disturbance. Especially, it works as a dangerous factor in the safety of pedestrians, causing the traffic accident of children. Korea places the lowest rank in the occurrence rate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 within the school zone among the OECD member nations. Accordingly, the design guideline of the street environment that systematizes the design application standard is required, which is ba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raffic calming technique, enhancing the pedestrian safety of children within the school zone and corresponding to the street environment of school zone. The function and safety should be the top priority in the considera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the school zone. The presentation of design guideline in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system which can be practically used as a guiding principle for the rational design development from the design plan stage of the street environment. The summarization of the design guideline for the school zone is as followings: 1. Put the priority on the walking safety of children in the school and plan the street environment furniture reflecting children's behavior and physical traits. 2. Maintain the clarity of simple figurative beauty in traffic safety facilities, road safety facilities, guide sign, etc, and make a design for improving the original functionality of each facility and guide sign. 3. Make a design which can trigger the attention for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 of school zone, and pay attention to the safety with the installation of lighting for helping a driver improve the visibility at the time of night. 4. Install lighting fixtures for creating the brighter illumination than other areas in the crosswalk, a turn, and places for the common passage of residents and children. 5. Make driver easy to distinguish boundary stone and stop line with the finishing and differentiation of the adjacent sidewalk in the finishing of the crosswalk and the boundary surface of the road. 6. Maintain the flatness in the sidewalk, minimize surface roughness in the connecting spot of the crosswalk and node point of sidewalk, and plan for the continuation of material, color, and quality. 7. Apply pedestrian preference to the crossroad along with the creation of flower bed in case of road width, more than a two lane road, and prevent jaywalking and hasty walking of children by providing safety zone. 8. Call attention to the driver by installing a serial of the belt on the surface road or using different pavement material, and foster the deceleration of vehicle speed by installing speed cushion, and applying traffic calming technique such as the linear curvedness of the road and the limitation of the roadway. 9. Designate the expansion of school zone with over 300m∼500m radius under the standard of elementary school or recommend the flexible operation with separate safety zone of the school. 10. Plan the master plan that secures the continuity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walking movement, walking behavior, and comprehensive context in the school zone. The direction of design guideline, based on the summarization above, can be applied as guiding principle of the street environment. It is commonly said that children are the treasures and future of the nation.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a lot of children lose their precious life every year because of traffic accident. Accordingly, street environment design of the school zone which can readjust irrational zone should be planned and school zone should be substantially and systematically operated. In addition, the approach of the street environment design that can provide children with safe road is required. 우리의 도시는 아름답고 쾌적한 도시로 조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더 크고 더 신속하게 성장하는 도시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는 교통수단에 의존해야 했고, 그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원활한 교통을 명분으로 자동차 위주의 도시계획, 교통계획에 치우친 행정으로 보행공간이 잠식되었다. 보행환경은 여러 불편 요소를 지닌 채 보행인들의 안전과 편리를 외면하였다. 이러한 가로환경의 복잡하고 심각한 교통문제는 도심은 물론, 안전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도 역시 예외가 아닐 수 없다. 어린이에게 안전한 도시는 모두에게 안전한 도시다. 어린이는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소중한 보배이다. 따라서 우리 기성세대는 어린이들이 바르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현실은 급속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들의 생활공간인 이면도로에까지 자동차가 질주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상황에서 어린이가 교통 가로의 위험에 처할 가능성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도로 노출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이 교통사고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사상자수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어린이보호구역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의 가로환경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시행상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보다 안전한 어린이보호구역의 가로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어린이보호구역의 가로환경 분석을 위하여 내용적 측면으로 어린이의 행동특성과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로환경의 물리적 구성요소 중 어린이 보행교통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그리고 도로구조 및 제도 및 운영측면에서의 분석요소를 선정하였다. 공간적 관점에서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구조 및 운영의 문제로 보차 공존, 보차구분, 주‧정차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계적인 보행자공간의 가로 시설물의 미비와 관련 시설물의 부적절한 설치, 노상 적치물로 인한 안전성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관련 법규 및 제도, 운영측면, 이용자측면, 시설측면에서 살펴보고 안전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어린이보호구역의 문제점들은 본 연구뿐 아니라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이미 여러 차례 지적되고 그 개선방안이 제시된 바가 있다. 이미 제시된 많은 개선방안들 간단하게 정리하고,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어린이보호구역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어린이보호구역 디자인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실태분석에 따른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엄상미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2001년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14세 이하의 어린이 사망자 숫자는 점차 감소추세에 있으나, 아직도 하루평균 약 2.4명의 어린이가 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교통사고 유형에 있어서도 어린이 부상자의 70% 이상이 보행 중에 사고를 당하고 있으며, 보행 중 사고의 대부분이 도로횡단 사고이며, 특히 무단횡단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초등학교나 집주변 반경 1km 이내에서 약 80%의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이는 어린이들이 많이 있는 학교주변의 교통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학교주변 교통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 중 가장 높은 사고율을 보이고 있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에 대한 문제점과 교통안전에 대한 현황을 사고위험도 실태조사, 교통사고의 실태분석, 어린이의 교통안전 지식 등 각종 자료를 통해 비교·분석하여 어린이보호구역내에서 교통사고예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위험요인에 대한 의식에서 간선도로에 접한 통학로가 이면도로에 접한 통학로 보다 차량들의 주행속도를 빠르게 느끼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리고 통과 교통량 또한 간선도로에 접한 학교가 이면도로에 접한 학교보다 훨씬 많음을 확인 하였다. 둘째, 학교주변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신호 시 차량정지 형태에 대한 의식조사에서는 간선도로에 접한 통학로와 이면도로에 접한 통학로가 약 80%가 넘는 차량들이 횡단보도 정지선을 준수 하지 않고 있어 어린이들의 도로횡단 시 교통사고 위험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교통안전 및 횡단보도 이용행태에 관한 조사에서 보행신호가 녹색불에서 빨간불로 바뀔 때 도로횡단을 위해 '뛴다' 라고 답한 학생비율이 저학년에 비해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어린이교통사고 위험경험은 간선도로에 접한 통학로 학생보다는 이면도로에 접한 통학로 학생들이 더 많이 경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저학년일수록 사고위험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확인 하였다. 그리고 사고 위험장소로는 간선도로에 접한 통학로 학생들이 학교주변에서의 횡단보도에서 정지선 미준수 차량에 의한 사고위험을 많이 느꼈으며, 이면도로에 접한 학교의 학생들은 학교 앞에서 차도를 침범하는 차량의 위험을 많이 느끼는 것을 확인 하였다.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on traffic accidents in 2001, the number of children casualties is tending downwards, however about 2.4 children die every day due ta the traffic accident. For types of traffic accidents, 70% of childen casualties are reported to be involved in accidents during walking, and most of the accidents occur during crossing the road especially jaywalking. About 80% of the accidents happen within 1km radius of elementary school or home. This shows that the traffic enviromnent around schools where most students play for the most time is so poor. Therefore it is highly reouired ts improve the traffic environment around a school. This study is focused on looking into problems of traffic accidents in the children safe guard zone, where the highest rate of children traffic accidents is reported, to propose a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the accidents. In order to survey the present state of traffic safety, it has analyzed varied data on traffic accidents and children' knowledge of traffic safet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being aware of dangerous aspects in school zone, students have turned out to feel that running speed of vehicles is higher at the school zone close to the local road than main road. Moreover, traffic volume is even more around the school close to the main road than local one. Second, for being aware of how vehicles stop at a pedestrian crossing with pedestrian lights on, it has turned out that 80% of vehicles at least do not abide by the stop line before the crossing at the school zone close to both local road and main road, exposing students to traffic accidents at any time. Third, it has turned out that students in higher grades tend to disregard the traffic signal rather than in lower grades. They even cross the street against a red traffic light. Fourth, students at the school zone close to the local road have turned out to experience more traffic accidents than the main road, and students in lower grades felt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more often than ones in higher grades. Finally, students at the school zone close to the main road felt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by vehicles that violate the stop line before a pedestrian crossing around a school, while students at the school zone close to the local road felt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by vehicles that violate a sidewalk around a school.

      •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신호등 반사 배면판 설치에 따른 교통안전 증진 효과 분석 연구

        이영란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Numerous safety devices are being installed as a response to governmental action for strengthening traffic safety for children in school zones where logical verification is required on the assumption of additional safety devices induces positive effects. For example, the use of specific colored light used in traffic lights within school zones that is used in safety devices instead of traffic signals. Green and red lights are used in pedestrian "safety warnings," "light emitting signs," "variable information boards prohibiting parking," and "variable speed indicators." In addition, lights such as LED lights or neon signboards around commercial areas or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may hinder drivers from recognizing traffic lights with fast response. The consequence may increase the risk of accidents, such as an increase in the driver's "cognitive response" time. Currently, there is a "backplate" as a device used to increase the color contrast of traffic lights around traffic lights. This is a matte black opaque panel around the traffic light that allows drivers to recognize quickly the color of the traffic light. A plan to paint the two colors of traffic lights differently with contrasting colors, such as yellow (National Police Agency, 2020), is also being introduced but this method cannot prevent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lights. Practical and engineering alternativ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drivers on traffic lights. This study examines methods for improving drivers' concentration on traffic light sources where there are ambient lights, such as LED and neon sign, in school zones. To achieve this, data on the driver's dynamic visual behavior are collected and the effect is analyz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raffic safety by installing reflective backplate on traffic lights in school zon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ve analysis effect of drivers and the improvement of visibility. For the visibility of traffic lights in school zones, related regulations were established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special color (yellow) traffic lights, but the full replacement of traffic lights in all school zones involved a huge budget and time. (1) As a result of the visual attention software(VAS)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eflective backplat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concentration upon observing the driver's gaze. The driver's gaze concentration during daytime and night time increased by 7.3% and 4.3%, respectively, compared to a conventional backplate for traffic lights. This means that the installation of a reflective backplate increases the degree of drivers’ gaze and concentration on traffic lights first, that has an effect of identifying traffic lights faster and responding according to the light guide presented by the traffic lights. This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due to traffic violations. (2) As a result of brightness measurement software(BMS) analysis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reflective backplate,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ive performance increased by 3.23 cd. This study confirmed that traffic safety improvement effects such as improving driver's gaze, concentration and visibility through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reflective backplates in school zones. The results showed that devices in school zones can be impro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number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s and deaths is expected to decrease when the reflective backplate of these traffic lights is introduced into the school zone. 어린이보호구역 내 많은 안전 시설물이 설치되고 있으나, 안전시설의 추가가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설’에 대한 논리적 검증이 필요하다. 예로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등에서 사용되는 색상의 빛이 교통신호가 아닌 안전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다. 보행자 ‘안전 경고’, ‘발광형 표지’, ‘주정차 금지 가변정보판’, ‘가변속도표출기’등에서 녹색 및 적색의 빛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 상업지역이나 근린생활시설 주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조명이나 네온사인 간판과 같은 조명으로 인해 운전자들이 교통신호등 등화 상태가 신속하게 인지함에 방해를 줄 수도 있다. 이로 운전자 ‘인지 반응’ 시간이 증가하는 등 사고 위험이 오히려 증가할 수도 있다. 현재 교통신호등 주변의 신호등 색상 대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시설로 ‘배면판’이 있다. 이는 신호등 주변에 무광 흑색의 불투명 패널로 신호등화 색상을 운전자들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교통신호등두 색상을 황색 등 특수 색으로 다르게 도색하는 방안도 소개(경찰청, 2020)되고 있으나 주변 조명과의 간섭을 차단하지는 못한다. 교통신호등에 대한 운전자들의 집중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용적이고 공학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LED 및 네온사인 간판과 같은 주변 조명이 있음에도 교통신호등 등화 광원에 대한 운전자들의 집중도를 향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운전자의 동체 시각 행태 자료를 수집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등에 반사 배면판을 설치하여 주야간 운전자의 집중 분석 효과와 시인성 증진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통안전 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등의 시인성을 위해 특수색상(노란색) 신호등 설치가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이 마련되었으나, 모든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을 노란색 신호등으로 전면 교체는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수반되므로, 즉각적인 교통안전 효과를 위해서는 시설의 신속한 도입 및 가격의 우수성 비교가 필요하였다. (1) 반사 배면판 설치 전후 VAS 분석 결과, 운전자의 시선 집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 상황 시 운전자의 시선 집중도는 7.3%가 향상되었으며, 야간 상황 시 운전자 시선 집중도는 4.3%가 증가하였다. 이는 반사 배면판 설치로 주행 중인 운전자가 신호등을 먼저 응시하고 집중하는 정도가 높아져 신호등을 더 빨리 파악하고 신호등에서 제시하는 등화 지시에 따라 주행하며, 신호위반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반사 배면판 설치 전후 BMS 분석 결과 반사 성능이 3.23cd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등 반사 배면판 설치 전후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 집중 및 시인성 향상 등 교통안전 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규 신호등을 설치 또는 교체하는 비용보다 저렴하고, 시공이 간단한 반사 배면판 도입을 통해 짧은 기간 내 어린이 보호구역의 시설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 준 연구였다. 이러한 교통신호등의 반사 배면판이 어린이 보호구역에 도입될 때 어린이 교통사고 건수 및 사망자 건수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속도위반 단속 장비가 차량 통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범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통ITS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교통안전시설을 지방자치단체서 설치·관리하고 있고 국민안전처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에 국비를 매년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보호구역내 교통사고는 2014년부터는 증가 추세이다. 어린이보호구역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경찰은 이동식 속도위반 단속 장비를 이용, 단속하고 있어 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찰의 이동식 속도위반 단속 장비를 이용하여 어린이보호구역과 상류부를 동시에 통행하는 차량 속도 측정하여 차량들의 속도분포가 어린이보호구역과 상류부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였다. 평균속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오후 14:00~15:00에 어린이 보호구역 제한속도인 50km/h와 상류부 제한 속도인 60km/h 사이 구간에서 차량의 속도 분포가 확연하게 변화함을 커널밀도추정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는 어린이 보호구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이 제한 속도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교시간대에는 운전자들이 학생들을 도로주변에서 많이 관찰할 수 있어 운전자가 자신이 주행하는 지역이 어린이 보호구역임을 보다 쉽게 인지하여 하교시간대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차량들이 제한속도 이내로 주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교시간대 운전자의 어린이보호구역임을 보다 쉽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교통안전시설 개선이나 경찰의 교통단속 같은 집중적인 교통사고 예방 활동을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