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복선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반 유아 각 각의 아버지와 어머니 353명이다. 부산광역시 소재 어린이집 16개소를 임의 표집한 후 우편 또는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 500부를 연구대상의 아버지, 어머니 각 각에게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418부의 설문지 중 무성의한 응답으로 판단되는 65부를 제외한 35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 한계설정 및 애정적이고 반응적인 양육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아버지의 양육참여 중 여가활동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학습지도능력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여가활동의 참여가 많을수록 어머니의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학습지도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외 아버지의 양육참여 중 생활지도, 가사활동, 학습지도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중 여가활동, 생활지도, 가사활동, 학습지도는 어머니의 하위영역별 양육행동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반응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The following prepositions were set to for this. First, how i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Second, how i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ird, what does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effe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Fourth, what does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53 fathers and mothers respectively who have 4 to 5 year-old kids attending kindergarten in Busan. After choosing 16 kindergartens in Busan randomly, I sent 500 questionnaires to those fathers and mothers by mail service or door to door. Only 353 answers except insincere 65 were exploited to the final analysis among 418 returned questionnaires. SPSS 17.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frequency, percentage,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and etc.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was significantly overall positive inte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It would mean the higher the degree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n care, the higher that of mother's confidence for parental role playing.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overall positive inte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 other words,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ca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maternal resonable direction, boundary setting, and affectionate and reflective parenting behavior. Third, it appeared that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would have significant impa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s the result of the effect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s to sub-factors, leisure activitie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could have meaningful accounts for overall parenting efficacy, capability of healthy parenting, and capability of learning direction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It would mean the higher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s leisure activities, the higher mother's overall parenting efficacy, capability of healthy parenting, and capability of learning direction. Furthermore, it appeared that paternal daily life direction, family activities, and learning direction does not have meaningful accounts for mother's parenting efficacy. Finally, it appeared that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would have significant impa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the result of the effect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to sub-factors, leisure activities, daily life direction, family activities, and learning direction does not have meaningful accounts for maternal sub-categorial parenting behavior. This would mean that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does not have impacts on reasonable direction, boundary setting, affection, and reflection respectively.

      •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부관계 인식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비교연구

        정다빛나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renting efficacy, couple’s perception of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ress of Korean and American mothers of pre-school aged children and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problems previously set are as follow. 1. What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s parenting efficacy, couple’s perception of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ress? 1.1. What wa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s parenting efficacy? 1.2. What wa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s couple’s perception of relationship? 1.3. What wa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s parenting stress? 2. What were the correlation among Korean mothers’ parenting efficacy, couple’s perception of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ress? 3. What were the correlation among American mothers’ parenting efficacy, couple’s perception or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sampled included 164 Korean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 from Incheon, South Korea and 156 American caucasian mother of preschool-aged children from Minnesota, USA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bout parenting efficacy, couple’s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stress.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Meunier and Roskman(2009)’s Echelle Globale du Competence Parentals(EGSCP), translated by Sung Ji Hyun and Baek Jee Hee(2011),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from couple’s characteristics, Schumm, Nichols, Schectman and Grigsby(1983)’s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translated by Chung Hyun Sook(1997), was used. To measure mothers’ marital conflict, Markman, Stanley and Blumberg(1994)’s Relationship Dynamic Scale translated by Chung Hyun Sook(2004) was used. To measure mothers’ parenting stress, Abidin(1990)’s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translated by Lee Jin Hee(2009)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correlations using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at of American mothers’. Of the sub-categories, Korean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lower in playing and attachment. Second, Korea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at of American mothers’. Mothers’ marital conflic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others. Third, Korean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merican mothers’. Of the sub-categories, Korean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higher in parental distress. Fourth, in Korean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lso, in Korea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Fifth, in American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Of the sub-categories, play, attachment, daily life and education from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lso, in America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al distress which is subscale of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부관계 인식과 양육스트레스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부관계 인식과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부부관계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부관계 인식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부관계 인식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한국의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며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 어머니 164명과 미국의 Minnesota주에 거주하며 유아기 자녀를 둔 백인(Caucasian) 미국 어머니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Meunier과 Roskman(2009)의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EGSCP)를 성지현과 백지희(2011)가 번안한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K-EGSCP)를 사용하였고, 결혼만족도는 Schumm, Nichols, Schectman과 Grigsby(1983)의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KMSS)를 정현숙(1997)이 수정·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부갈등은 Markman, Stanley와 Blumberg(1994)의 Relationship Dynamic Scale을 정현숙(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을 이진희(2009)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전체와 하위영역 중 놀이와 애정에서 한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미국 어머니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부관계 인식 중 결혼만족도는 한국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미국 어머니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부부갈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전체와 하위영역 중 부모역할의 고통에서 한국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어머니의 부부관계 인식 중 결혼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부부갈등은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전체와 하위영역 중 훈육, 애정, 일상체계조직 및 교육에서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부모역할의 고통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부갈등은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박미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nd to find out how mothers’ parenting efficacy affect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Through this, the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what parenting efficacy the mothers had in parenting their children, and was able to discover its effect on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Concerning research subjects, the study targeted 326 children ages 3, 4, and 5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and their mothers. The questionnaires disseminated by the researcher totaled 500 copies. After exclud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not effective for statistical process, the study analyzed 326 copies as being qualified for the final research. As to research tools, the study employed three scales involving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scal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scale’ for a survey. With collected data,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percentile, Cronbach's α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back-test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 in parenting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general factors, in terms of parenting efficacy,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age; differences were shown in overall parent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teaching ability out of sub-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age.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verall according to gender and age. Second,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emotional regulation, all 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exhibi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regulation and the ability to regulate others, whereas overall parent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discipline ability variables significantly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ir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peer competence and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peer competence, parent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ity, prosociality, and initiative, whereas overall parent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variables were discovered to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analyzed sub-variable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which affect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variable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nd that it confirmed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s being influential on children’s psychological factors. Furthermore, by confirming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 this study may suggest the need for establish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positively and correctly, which extremely affects children’s psychology overall in order to help with children’s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ended up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nd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lso,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were insufficient, and the study did not consider the indirect or direct influence or effect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Thus, this aspe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ollow-up study. Given the latest tendency in which interest in and research into mothe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rather than the mothers’ behavioral factors exists, it would also be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to other psychological factors of mother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유아의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의 측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통해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어떠한 양육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고, 그것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조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326명의 유아들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배부한 질문지는 총 500부로 통계처리에 유효하지 않은 질문지를 제외한 후, 최종 연구 대상 질문지로 326부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척도’,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척도’, ‘유아의 또래 유능성 척도’, 즉 3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통하여 빈도, 백분율, Cronbach's α 계수, t-test, 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증, Pearson's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요인에 따른 양육 효능감, 정서조절 능력, 또래 유능성의 차이를 본 결과 양육 효능감에서 학력, 취업형태, 연령에 따라 하위변인 중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 능력, 학습지도 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전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양육 효능감과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양육 효능감의 모든 변인이 자기조절 능력, 타인조절 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 능력, 훈육능력 변인이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 효능감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양육 효능감의 모든 변인이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 양육능력, 의사소통 능력 변인이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또래 유능성에 대한 세 변인 간의 관계와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효능감의 하위 변인들을 분석하였고,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자녀의 발달을 돕기 위해 전반적인 유아의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이 긍정적이고 바르게 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양육 효능감, 정서조절 능력,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와 그 영향력의 확인에 그쳤고 이는 세 변인 간의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점과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이나 효과를 알아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것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점이고 최근 어머니의 행동적인 요인보다 심리적, 정서적 요인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에 이루어지는 경향을 미루어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다른 심리적 요인들에 대해서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순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있어 심리적인 특성인 양육효능감과 성격적 특성인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와 어머니 315명 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최형성과 정옥분(2001)이 국내외의 양육효능감 측정에 사용된 도구들을 참고 하여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성은 Glynn과 Webster(1992)가 제작한 ‘성인용 놀이척도’를 박현숙(2003)이 25문항으로 수정·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Salovey와 Mayer(1996)가 제안한 모형을 기초로 이병래(1997)가 수정·번안하여 사용한 정서지능 체크리스트 ‘교사용 관찰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효능감과 놀이성,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놀이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연구대상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놀이성, 유아의 정서지능은 모두 중간 값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어머니의 일반적인 특성중 연령에 따라 전반적인 양육효능감과 학습지도능력이 높았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은 집단 일수록 학습지도능력이 높았다. 또한 자녀와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어머니가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과 학습지도능력 훈육능력에서 더 높은 양육효능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와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어머니의 자녀는 자기인식 표현능력이 높았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는 쾌활성과 상상력이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훈육,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어머니의 기발성은 전반적인 양육효능감과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양육에 대한 심리적 특성인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놀이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밝혀냄으로써 부모교육 및 육아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유아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을 지원하고, 어머니의 원활한 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에 활용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ing whether the maternal efficacy of psychological traits for mother's character trait and playfulness are related to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young children from three years of age to five years of age and 315 mother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Mother's maternal efficacy was used of ‘mother's maternal efficacy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Choe, Hyung Sung and Chung, Ock Boon by referring used tools for measuring maternal efficacy internally and externally. Mother's playfulness was used of ‘play inventory for adult’ which was modified and adapted as 25 questions by Park, Hyun Sook (2003) from ‘play inventory for adult’ by Glynn and Webster (1992).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used of ‘observation inventory for the teacher’ as emotional intelligence check list which was modified and adapted by Lee, Byoung Rae (1997) based on suggested model by Salovey and Mayer (1996).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21.0. For investigating demographic factor for study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 for calculat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as analyzed. For verifying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investigating difference among maternal efficacy, playfulness followed by mother's general feature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relationship among mother's maternal efficacy, playfulnes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summary for result of this study, mother's maternal efficacy, playfulnes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end to be all higher than middle value. Defending on age of mother's general feature, general maternal efficacy and ability of class guidance were high. Also, the result was that the more academic ability group of mother have, the more ability of class guidance group of mother have. In addition, the mother who spend a lot of time with their children had high abilities for nurturing their children healthy, class guidance and discipline. The children who spend a lot of time with their mother had high ability of expression for self-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of mother's maternal efficacy and playfulness, cheerfulness and imagination were connected to positive relationship with ability of nurturing children healthy, general maternal efficacy, discipline, communication and class guidance. Mother's extraordinariness was connected to positive relationship with general maternal efficacy and ability of nurturing children health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maternal efficacy, playfulnes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result of study will be utilized for basic data of parental education and well-baby clinic.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the program to support healthy and happy growth for young children and to help smooth role performance of mothers.

      •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차이

        전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차이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자아개념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자아개념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 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양육신념, 양육 효능감, 유아의 자아개념은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학력 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 A , B유치원 두 곳의 5세 유아 200명과 그들의 어머니들이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영(1983)의 '자녀 교육관', 김지신(1996)의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그리고 Segal(1985)의 'Maternal Beliefs and Values Q-sort'등의 문항 가운데서 선택한 문항 등을 통해 안지영(2001)이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측정은 Floyd, Gillion과 Costigan(1998)의 'Perceive Parenting Competence'를 우리 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안지영(200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 유아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송인섭(1993)이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해서 t-test, 상관관계, ANOVA, 사후검증으로 LSD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인성↔지적신념집단과 성숙주의↔환경주의 신념은 유아의 자아개념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적 신념집단의 어머니의 유아들보다 인성을 강조하는 어머니의 유아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주의 신념을 가진 어머니의 유아들보다 성숙주의 신념을 보이는 어머니 집단의 유아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은 차이가 있었다. 즉,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은 집단어머니의 유아가 낮은 어머니의 유아보다 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인성↔지적신념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사이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인성을 강조하는 신념을 가진 어머니일수록 양육효능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변인에 따라서 취업을 하지 않은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신념을 보였으며, 학력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성숙주의를 지향하는 양육신념을 나타냈다. 또한, 여아의 어머니, 취업을 한 어머니, 학력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양육효능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relation is in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efficacy, and children's self concept. For this purpose, there are set-questions to study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self concept by maternal parenting beliefs? 2.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self concept by maternal parenting efficacy? 3. What relationships are there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efficacy? 4.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efficacy, and children's self concept by children's sex, mother's status of employment or unemployment, and education? Targets of the study are 200 children with 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of private A and B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o find out maternal parenting beliefs, it us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n, Ji-young who selected questions from 'View of education to foster children' written by Lee, Won-young(1983), 'Maternal traditional-modern view of value' by Kim, Ji-shin(1996) and 'Maternal Beliefs and Values Q-sort' of Segal(1985).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it used An, Ji-young's scale(2001) which modifies 'Perceive Parenting Competence' of Floyd, Gillion and Costigan(1998) with our situation. Also, to gauge children's self concept, it used a testing tool for the self-concept by Song, In-sub(1993). To analyze questions of the study, it conducted t-test, interrelation and ANOVA and LSD analysis as a post-verification.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on humanity ↔ maternal parenting beliefs on intelligence and beliefs on maturity↔ beliefs on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 concept. It's disclosed that children of mothers who emphasize humanity have more positive self concept than children of mothers who emphasize intellectual beliefs. Also, children of mothers who have beliefs on maturity have more positive self concept than children of mothers who have beliefs on environment. Secondly, there is a difference on children's self concept by maternal parenting beliefs. Namely, it's found that children of mothers who have higher parenting efficacy have more positive self concept than children of mothers who have lower parenting efficacy. Thirdly,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on humanity ↔ maternal parenting beliefs on intelligence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It means mothers with more beliefs to emphasize humanity feel more maternal efficacy. Lastly, mothers with unemployment showed more beliefs to emphasize humanity and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 have beliefs toward maturity. And also, mothers of girls, with employment and higher education feel more parenting efficacy.

      •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육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서지유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focus on how parenting stress affects four are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living environments with parenting efficacy as a parameter and considering it as distress, parents' natural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The target audience of the questionnaire is consignment agency workers and housewives living in city of Suwon, married and have kids. Research questions are to evaluate the results assuming that when parents' parenting stress rises and rises on high level, parenting efficacy has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depends on sub-factors of distress,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the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Data processing methods include; using of Cronbach's a for reliability test of testing tool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determine demographic variables'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n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depednent variable,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was found significant which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as the variable gets lower, the parents' recognized quality of life is higher. Also,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nthly income and the education levels were significant to recognize the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s a parameter variable, the efficacy was found higher than the stress which helped us to find out that when parenting efficacy is high, quality of life is higher even if the parenting stress is on a high level. Even though this study failed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of parenting stress' impact on quality of life under the condition; unable to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residence area of the target audience, it was good enough to find out that when parenting efficacy is high, it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to mitigat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 Key terms: parenting stress, distress, dysfunctional interaction,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parenting efficacy,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자녀양육에서 발생되어지는 양육스트레스를 디스트레스, 부모자연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로 보고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생활환경의 4가지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기혼이며 자녀가 있는 수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위탁기관 종사자들과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을 통한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부모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하위요인인 디스트레스, 역기능적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따라) 그리고 자녀양육스트레스가 높을 때 양육효능감이 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보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의 처리 방법으로는 검사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α를 사용하고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의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사용하였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독립변수인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이 낮을수록 부모가 인지하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월소득과 학력 수준이 삶의 질을 인지하는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양육스트레스와 매개 변인인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는 양육효능감이 자녀양육스트레스보다 높게 나타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높더라도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으면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거주지역의 제한성과 조사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여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지만, 자녀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는 연구였다. * 주요용어 :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디스트레스, 역기능적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삶의 질

      • 코로나19 상황에서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김인서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8.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Macro V 4.1을 통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탄력성과 우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네 개의 변인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모의 우울은 양육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양육효능감과 가족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즉 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그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모의 우울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탄력성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모의 우울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탄력성과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양육스트레스가 모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양육효능감을 통하여 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족탄력성이 조절해 주었다. 이에 양육효능감을 증가시키는 개입과 노력 및 가족탄력성의 증진을 위한 개입을 한다면,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모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고 본다.

      • 부모의 사이버양육참여 수준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문정은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이버양육참여와 부모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고 사이버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울 수 있는 사이버양육참여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이버 양육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의 사이버 양육참여 수준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270부를 배부하여 25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24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부모들은 사이버 양육참여가 비교적 높지 않았으며, 사이버 양육참여 중에는 사이버 양육의 능동적 참여가 가장 높았다. 둘째, 부모들은 양육효능감이 높았으며, 양육효능감 중에는 사랑이 가장 높고, 통제가 가장 낮았다. 셋째, 부모의 사이버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이버 양육참여 수준이 높은 부모가 낮은 부모보다 양육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사이버 양육참여 수준에 따라 양육효능감 정도가 다르다는 것은 부모가 사이버 양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부모 자신도 자녀양육을 잘 할 수 있고, 양육과 관련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효능감을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부모의 사이버 양육참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기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인터넷 활용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부모들의 인터넷 활용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모(母)의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이 매개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정서표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가족건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은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따라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총 550부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48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결측치 50부를 제외한 430부를 SPSS Ver. 26.0을 활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母)의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전반적 효능감은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은 정서표현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은 가족건강성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통제는 유의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은 모(母)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통제, 교육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 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母)의 의사소통, 통제, 교육을 높여야 한다. 둘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은 정서표현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母)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의 영향관계에서 모(母)의 양육효능감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이 정서표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모(母)의 양육효능감은 가족건강성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母)의 양육효능감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교육, 전반적 효능감은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母)의 통제는 자녀에게 지나친 간섭, 억압이 아닌 가족들 간의 소통이나 의견을 무시하지 않은 가족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가족환경의 바람직한 조성을 위하여 부모자녀 간의 상호존중과 친밀한 관계와 자율성이 요구된다. 자녀에게 자율성을 가지고 스스로 선택하며, 선택한 것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독립된 존재로 성장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분석결과는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이 높아지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모(母)가 가정에서 긍정적인 정서표현을 많이 하게 되면, 유아는 이를 관찰하고 모방하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게 되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은 모(母)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전략은 모(母)의 양육효능감을 높여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함이다. 모(母)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모(母)의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을 높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어머니의 교육철학과 신념 등을 접할 수 있는 부모 참여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infant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and thereby find ways to help the development of infants' self-regulation.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study aim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ffect their infants' self-regulation? Second, how doe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ffect emotional expression? Third, how doe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ffect family health? Fourth, how do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affect their infants' self-regulation? Fifth, how do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infants' self-regulation? To verify the study hypotheses, this study surveyed 550 mothers having 3-5 year children in preschool or day care center at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received 480 questionnaires, and finally analyzed 430 answers without incomplete responses by SPSS Ver. 26.0. The results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efficacy partially significantly affected infants' self-regu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e general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Seco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Third,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health.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control did not reach the significance level. Fourth,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significantly affect infants' self-regulation. Fifth,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s' self-regulation.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communication, control, an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fants' self-regulation but the general efficacy did not. Therefore, we should improve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control, and education skills. Seco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mong the subfactors, communication had the strongest impact on emotional expression;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s, the better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is. Third,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health. Among the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general efficacy affected family health but control did not. Mothers' control should not be excessive interference or suppression, but we should create a family environment where mothers do not ignore communication between the family or the opinions of other family members. To foster a desirable family environment, mutual respect between parents and chil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autonomy should be required. Children should have autonomy, make decisions by themselves, have responsibility for the decisions, and thereby grow up as independent human beings. Fourth,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significantly affected infants' self-regulation. Enhancing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would result in their infants' self-regulation. When mothers increase positive expressions in the family, their children can increase self-regulation by observing, imitating, and learning how to control their thinking and feeling. Fifth,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that mothers' parenting efficacy affects infants' self-regulation. Improving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is fulfilled by improv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finally develops their infants' self-regulation ability. Various attempts to enhance parenting efficacy,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are needed.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participatory programs for parents that can not only improve parental efficacy,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but also teach mothers desirabl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inciples to finally improve infants' self-regulation.

      •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

        조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머니 유관조절행동의 경향을 알아보고 자녀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유관조절행동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인식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3.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은 유관조절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 3. 유아의 인지 능력과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인지 능력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2. 유아의 인지 능력은 유관조절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 4.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와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4-1.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2.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는 유관조절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 5.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 중 유관조절행동을 가장 많이 예측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와 어머니 40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을 살펴보기 위해 Pratt 외(1988)의 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Allen(1993)의 도구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인지 능력은 KISC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인지 능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을 살펴보기 위해 KISC검사 문항을 설문지 형식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를 측정하기 위해 Clark와 Ladd(2000)의 연구에서 사용한 결합성(connectedness)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어머니와 유아는 각 가정에서 블록 쌓기와 상자에 조각 넣기 과제를 수행하였고 이것은 비디오로 촬영되어 전사하였다.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과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조절행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는 비유관조절행동보다 유관조절행동을 훨씬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별로는 블록 과제보다 조각 넣기 과제에서 어머니의 조절행동이 많이 일어났다. 조절행동 중 유관조절행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변화크기가 0인 유관조절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변화크기가 1인 유관조절행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 및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인식과 양육효능감은 유관조절행동,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과 양육효능감이 유관조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관조절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이었다.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과 양육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능력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유아의 인지 능력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유관조절행동과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 능력이 유관조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인지 능력은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는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는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 중 유관조절행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유의한 변인을 살펴보았다. 유관조절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이었으며,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 양육효능감,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 of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the variables: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elf-efficacy,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child mutual affec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trend of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2.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3. Do mother's perception and parent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3-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3-2. Do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significantly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mutual affect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4-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mother-child mutual affect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4-2. Does mother-child mutual affect significantly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5. Which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mong the variables? Participants consist of 40 pairs of 5 years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Taejeon.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s were analysed by the categories of Pratt et al.(1988). Parenting self-efficacy were analysed by the revised scale of Allen(1993).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analysed by the KISC(KIRBS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Mother's correct perception on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investigated by the revised KISC. Mother-child mutual affect was analysed by the 5 point scale for connectedness of Clark & Ladd(2000). To collect the data,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during building-block task and putting the pieces in the box task at their h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Mothers showed more contingent shift behavior than non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mothers showed the most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level difference 1 was the next. 2. Mother's perception on their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Parenting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Mother's perception was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Mother's perception and parent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3.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shift contingent behavior and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4. Mother-child mutual affec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Mother-child mutual affect was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in 0 and 1 level difference. 5. Mother's percep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other's contingent behavior. The order of effective predictor to the mother's contingen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was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child mutual a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