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신은경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을 파악하고,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며, 마지막으로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6학년 368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 질문지, 양성평등의식 질문지, 진로발달 질문지, 진로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Scheffé),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살펴보면 양성성과 여성성을 가진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이 남성성과 미분화 유형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양성성을 가진 아동은 다른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아동에 비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아동일수록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양성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 학교, 사회가 함께 노력하여 양성평등한 사회문화 풍토를 조성해야 하며, 특히 학교에서는 다양한 양성평등 프로그램을 적용한 진로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양성평등 진로교육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성역할 문화 형성을 통한 양성평등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양성평등교육과 양성평등의식간의 관계 : 제주도 내 사회복지 종사자를 대상으로

        윤주영 탐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내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양성평등의식 수준을 살펴보고, 양성평등교육이 양성평등의식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종사자의 양성평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제주도 내 사회복지 종사자의 양성평등의식 수준을 알아 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여성복지 시설과 여성복지외 시설 종사자의 양성평등의식 수준과 양성평등교육의 수강정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모든 사회복지분야에서 양성평등의식을 제고 시킬 수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양성평등의식,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영역, 양성평등교육, 양성평등정책과 여성복지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조사연구에서는 제주도 내 사회복지기관 및 단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170부 중 163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근무하는 시설의 분야에서는 네 개의 하위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여성복지 시설 종사자가 가장 높은 양성평등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노인 및 재가복지 시설 종사자가 가장 낮은 양성평등의식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복지 종사자의 40.5%가 양성평등교육을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평등교육의 수강정도는 성별(p<.001), 연령(p<.001), 학력(p<.05), 혼인(p<.05), 직위(p<.05), 시설의 분야(p<.001), 경력(p<.05)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과 양성평등교육 수강정도는 가정생활 영역(p<.01), 교육생활 영역(p<.001), 직업생활 영역(p<.001), 사회문화생활 영역(p<.001)과 전체 양성평등의식(p<.001)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양성평등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사회복지 종사자보다 양성평등교육을 수강한 종사자가 양성평등의식 네 개 하위 영역과 전체의식 수준에서 모두 높게 나왔다. 또한 양성평등교육 수강정도와 양성평등의식의 상관관계는 가정생활 영역(p<.01, r=0.258) 교육생활 영역(p<.01, r=0.291), 직업생활 영역(p<.01, r=0.354), 사회문화생활 영역(p<.01, r=0.446)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평등교육 수강정도와 전체 양성평등의식(p<.01, r=0.370)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여성복지 시설과 여성복지외 시설 종사자의 양성평등의식 수준은 전체 양성평등의식(p<.001)과 네 개의 하위영역에서 모두 여성복지 시설 종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양성평등교육 수강정도에서는 여성복지 시설 종사자의 수강율은 80.3%, 여성복지외 시설 종사자의 수강율은 16.7%로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회복지 종사자에게 적합한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여성복지외 시설 종사자에 대한 양성평등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정기적인 양성평등교육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회복지 종사자들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양성평등의식 수준만큼 양성 평등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social workers in Jeju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the gender equity education of the social worke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ity education and gender egalitarianism. Also to furnish the elementary data to know the level of the gender equity education of the social workers in Jeju and to grope for the method raising the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social welfare fields as compare with the study of the gender equity education and the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social workers who work feminine welfare facilities and ot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ethod of the study run parallel literature and investigation study. Literature study were investigated such as the gender egalitarianism, the four lower areas of the gender egalitarianism, the gender equity education, the gender policy, theoretical background of feminine welfare, preceding study. The sample used for this study which replies submitted to 163 questionnaire from 170 are 200 people who work the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facilities in Jeju.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gender egalitarianism according to the gender,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female is higher than that of ma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 four lower areas which work the field of facilities(p<.001). The social workers who work in the field of female social welfare have the highest the gender egalitarianism while those who are involved with the old and domestic welfare facilities have the lowest level of the gender egalitarianism.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40.5% of the social workers were educated the gender equity education, The level of the education background of the gender equity educa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01), age(p<.05), scholarship(p<.05), marriage(p<.05), social position(p<.05), fields(p<.001), and career(p<.05). Third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the education background of the gender equity educa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uch as family(p<.01), education(p<.001), work(p<.001), social(p<.001), and gender egalitarianism. That is to say, the workers who were educated the gender equity education is higher than those who were not educated that both the four lower areas of the gender egalitarianism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total. Also the level of the education background of the gender equity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gender egalitarianism are close relationships in family(p<.01, r=0.258), education(p<.01, r=0.291), work(p<.01, r=354), social(p<.01, r=0.446).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ducation background of the gender equity education and the gender egalitarianism of total(p<.01, r=0.370). Finally, the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social workers who work feminine welfare facilities and others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 four lower area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otal(p<.001). And the social workers who work feminine welfare facilities were high the gender egalitarianism. These findings demand to develop that the social workers are a suitable the gender equity education. And it need the following study that the social workers think how they offer an equal welfare service as high as the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건강체력의 관계

        안성현 서울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건강체력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학생건강체력평가(PAPS)를 통해 건강체력 등급을 확인하고, 양성평등의식 설문지 문항에 응답하게 하여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실시했으며,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건강체력은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학생이 건강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체력 하위요인 중에서는 건강체력 등급,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네 가지 요인이 양성평등의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교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건강체력의 관계는 남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건강체력의 관계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양성평등의식에 민감하고,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여학생들이 신체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건강체력 또한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건강체력이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양성평등의식을 검사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초등학생의 양성평등과 건강체력을 조금 더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상담 등을 병행해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건강체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차별적인 요소가 존재했던 기존의 체육 수업에서 벗어서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동등하거나 비슷한 수준의 체육 수업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체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학교생활이나 더 나아가 사회생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전인적 발달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군인들의 양성평등의식이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종욱 한세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군대 내 복무하는 군인들의 성적 공격성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성폭력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군인들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적 공격성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표본은 육군 전·후방 야전부대의 간부와 병사를 포함하여 총 516명(간부 360명, 병사 1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이며, 조사 방법은 하급부대 조직문화를 탐색해 보고자 주로 병사 및 초급간부들을 무작위로 표본을 선정하여 군집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516부로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여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해당 부대의 협조하에 순회하면서 설문 목적 및 조사의 중요성을 충분히 교육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전부 회수하였다. 직접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군인들의 성적 공격성의 영향요인과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라는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기법으로는 SPSS 20 통계프로그램을 통한 기초분석으로 빈도분석, 기술 통계, T-test와 ANOVA 분석을 하였고 추가적으로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 공격성 평균값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 대처방식이 일방적으로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폭력을 가하는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차분하게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고 응답한 경우보다 성적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간의 의사소통 만족도는 매우 불만족 경우가 매우 만족하는 경우보다 성적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란물 이용 정도가 많을수록 성적 공격성의 평균값은 높아지는 것으로 본 연구 분석 결과는 보고하고 있다. 둘째, 성적 공격성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성평등의식(β=-.274, p<.001), 발전문화(β=.154, p<.05), 음란물 이용 정도(β=.151, p<.01)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군인들의 양성평등의식이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문화가 조절하는지 분석한 결과, 합리문화를 제외한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인들의 양성평등의식이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집단문화와 발전문화, 위계문화의 수준이 높을 때 양성평등의식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성적 공격성 감소에 더 큰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양성평등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군대 내 군인들의 성적 공격성을 낮출 수 있는 조직문화개선 등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태도, 성행동에 대한 연구

        오인숙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주요 배경 변인에 따른 양성평등의식과 성태도, 성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성행동에 양성평등의식과 성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 정립과 성 상담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양성평등의식, 성태도, 성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성태도, 성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의 성행동에 대한 양성평등의식과 성태도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인문계고등학교 8개교의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총 554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 다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에 관한 지식을 알게 된 출처는 ‘대중매체’가 가장 많았고, 음란매체는 79%의 학생이 한 번 이상 경험하였으며, 그 중 대부분의 학생이 고등학교 이전에 음란매체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교제는 63%의 학생이 경험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많이 이성교제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성관계는 3.8%(남: 5.8%, 여: 1.8%)의 학생이 경험했다고 응답하였다. 위와 같은 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기초로 연구문제를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성태도, 성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학교유형, 성에 관한 지식을 알게 된 시기, 성에 관한 지식 출처, 음란물노출 정도와 시기, 이성교제를 배경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성태도는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한편 성행동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관계와 같이 높은 수준의 성행동은 남학생이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남녀공학에 다니는 학생이 높으며,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 가장 낮았다. 반면 성태도는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남녀공학에 다니는 학생이 높으며, 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학교유형에 따른 성행동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 지식을 알게 된 출처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성 지식을 서적을 통해 알게 된 학생이 가장 높았고 대중매체를 통해 알게 된 학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태도는 성 지식을 대중매체를 통해 알게 된 학생이 선생님을 통해 알게 된 학생보다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성태도 하위요인인 미래지향, 부모가치와 성행동에서는 성 지식을 알게 된 출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란매체 접촉경험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접촉경험이 적을수록 높았고, 성태도와 성행동은 음란매체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음란매체를 처음 접한 시기가 어릴수록 양성평등의식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성태도와 성행동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음란물 접촉시기와 접촉빈도가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성태도, 성행동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성교제 여부에 따른 차이는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학생이 성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고,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양성평등의식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성태도는 이성교제 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태도는 높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행동과 성태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으면 성태도 허용성 수준은 낮아지고, 반면에 고등학생의 성태도 허용성 수준이 높으면 성행동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성행동과 양성평등의식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행동에 성태도 하위요인인 또래압력, 미래지향, 부모가치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들은 같이 어울리는 또래가 성적으로 허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성에 대한 미래의 가치관이 허용적일수록, 성행동을 많이 하고, 부모의 성적가치관이 보수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성행동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성평등의식이 성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오늘날의 고등학생에게 이성교제와 성행동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인간관계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적절한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성과 성관계를 갖는 행동에도 허용적인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부모나 교사들이 청소년의 성과 관련된 행동을 일탈로만 규정지을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이러한 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올바른 선택을 하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가 연계하여 양성평등에 기초한 성 가치관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고교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따른 MMPI(다면적 인성검사) 특성

        변지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ies its characteristics in the concrete and scientifical manner by applying the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test that has been known as an objective personality test. To perform this goal, this study arbitrarily selected a total of 290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ju Gyeongbuk, 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alitie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igh school students, girl students showed a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rat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Also, girl students were saved from certain stereotypes in sexual activity, but boy students still not saved from such stereotypes in traditional sexual activity relatively. The highest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girl students was home and family life,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s an order of school life, social and cultural life, and occupational life. The highest level in boy students was home and family life, and others were school life, social and cultural life, and occupational life. In both student groups, the occupational life showed the lowest scor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t can be seen that this result reflects the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present time to the occupational life.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 levels and occupation types. It was evident that there was no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 and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ird, the MMPI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igh school students represented certa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scales, such as Hy (Hysteria), Pd (Psychopathic Deviate), Ma (Hypomania), and Si (Social Introversion), among 10 analogue scales. In the Hy (Hysteria) scale, it represented a high distribution level in the student group that showed a low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14.625, p<.01). They showed excessive exposed, extrovert, superficial, simple, and egotistical characteristics even denying such problems. It seemed that they may show unmatured natures and lots of requirements, and they represent certain strongly oppressed conditions. In the Pd (Psychopathic Deviate) scale, it represented a high distribution level in the student group that showed a low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15.425, p<.01). They tended to present raged, impulsive, emotional superficial, and unexpectable characteristics. It meant that they may present some non-adaptive manners in social aspects and rejective attitudes in social canons. In the Ma (Hypomania) scale, it represented a high distribution level in the student group that showed a low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12.929, p<.01). They tended to present impulsive, competitive, talkative, self-absorptive, and socially superficial characteristics. Also, they may demonstrate some problems in the control of activities and angers even though the usually represent happy mind. In the Si (Social Introversion) scale, it represented a high distribution level in the student group that showed a low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15.109, p<.01). They showed some social introversive manners and tended to escape from the realities. Also, they may feel comfortable when they are in a single or few closed friends, and may dislike the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can be denoted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entire high school students due to the limited selection in Gyeongju area. Becaus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areas or the environments, studies on extend factors in such a topic become valuable tries to notify the rea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MMPI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the student group that showed a low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cause the application was performed in limited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fied studies on the individual analysis for the issu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certain programs that increas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boy students compared to that of girl students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girl and boy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students through not only in school, but also in home and local society. Fifth, it can be seen that a program that includes the education program for personality that compensates the problems in the MMPI characteristics, such as Hy (Hysteria), Pd (Psychopathic Deviate), Ma (Hypomania), and Si (Social Introversion), becomes an effective way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 남녀공학과 비공학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의식에 관한 비교 연구

        김의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공학과 비공학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및 성의식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교 유형에 따른 실질적인 양성평등 교육과 성교육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유형(남자중학교, 여자중학교, 남녀공학)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남녀공학과 비공학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남녀공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생의 성의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남녀공학과 비공학 중학생의 성의식은 학교유형(남자중학교, 여자중 학교, 남녀공학) 및 남녀공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E시 소재 중학교 3개교의 1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문항 24문항과 성의식에 관한 문항 1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수집된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t 검증, F 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 순으로 모든 영역에서 높았다. 둘째, 학교유형(남자중학교, 여자중학교, 남녀공학)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여자중학교 학생이 직업생활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사회생활, 학교생활, 가정생활 순으로 모든 영역에서 높았고 남녀공학 학생들은 남자중학교 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셋째, 남녀공학과 비공학에 따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전체적으로 비공학이 남녀공학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남녀공학생의 성별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의식이 개방적이었다. 다섯째, 학교유형(남자중학교, 여자중학교, 남녀공학)에 따라 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남자중학교 학생이 여자중학교 학생과 남녀공학 학생보다 성의식이 개방적이었으며, 남녀공학 여부별로는 비공학 중학생이 남녀공학 학생보다 성의식이 개방적이었다. 남녀공학 중학생의 성의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1세기는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성적 편견이 없고 유연한 사고를 지닌 양성평등형 인간을 필요로 하는 시대이다. 이를 위해 남, 여 학생 모두가 개성과 능력을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양성적인 성역할 체험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과 남녀 성에 관한 차이점 및 서로의 성을 존중하는 의식을 함양하도록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basic data for realizing the effective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sexuality educ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Sexuality between Co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n-Co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sex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chool(boys' middle school, girls' middle school, Coed Middle School)?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between Co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n-Coed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according to the sex between Co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n-Coed Middle School students? Fif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chool (boys' middle school, girls' middle school, Coed Middle School) and between Co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n-Coed Middl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E City, Kyeonggido. The questionnaire has 24 questions concerning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11 questions concerning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programs and verified through the t-tests and F-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he sex.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girls'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in boys' students in every area with the order of career area, home area, school area, and society area.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he type of the school(boys' middle school, girls' middle school, Coed Middle School).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girls' middle school was the highest in career area and the highest in every area with the order of society area, school area and home area.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coed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school students in every area. Third,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non-coed school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in coed-school but there wasn't any difference between them statistically. Girl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was higher than boys' that in the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sex in coed school. Fourth,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according to the sex. Boys' consciousness of sexuality was more liberal than girls' that. Fifth,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chool(boys' middle school, girls' middle school, Coed Middle School)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in boys' middle school was more liberal than that in girls' middle school and coed Middle School.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in non-coed school was more liberal than that in coed school, but there wasn't any difference between them statist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sexuality according to the sex in coed school.

      •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이정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variables influenc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useful for their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finding out variables influencing equal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Jeollabuk-do. A total of 1,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inally 1,201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Data collected was used to produce frequency, percent, standard deviation, an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s α)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t-test, one-way ANOVA, Duncan's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related variables and the general trend of the consciousness were examined in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mean subjectiv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was found as 3.78 in fathers, 3.89 in mothers, 3.48 in homeroom teachers, 3.70 in friends, and 2.85 in society, suggesting generally high level of all areas except society. Students strongly hope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in society, but they still found gender inequality in our society. Most students perceived the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school not positively and as ordinarily. For the perception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head system put in force in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more than a half of the students did not know. The mean valu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3.89 in the whole, 3.88 in home life, 3.92 in school life, 4.04 in the workplace, and 3.70 in social and cultural life, suggesting high value in all areas. While the workplace and the school life showe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e whole, the home life and social and cultural life showed lower consciousness. Second, the differenc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variables was examine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by sex, religion, sibling state, and mother's age. For the sex, girl students showe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ll areas such as home life, school life, workplace, social and cultural life, and the whole than boy students. For the religion, Roman catholic students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ome life, school life, workplace, and the whole. For the sibling state, the students having only sisters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For the mother's age, the students having mothers in their forties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ome life, workplace, and the who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variables by father's and mother'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r the parents' level of gender equality perceived subjectively by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found high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in the high gender equality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education variables by school types, school results, homeroom teacher'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ufficient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desired school type. Girls' schools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The students with higher school results showe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When students perceived their homeroom teachers' gender equality high,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found high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For the sufficient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hen students thought that the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not enough at all, not enough, and ordinary in school, society and culture, and the whole, they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r the desired school types to cultivat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oeducational schools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variables by friend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perception of abolition of family-head system, and social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hen students perceived subjectively friend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high, their gender equality was found high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Students knowing the abolition of family-head system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hen students perceived subjectively that society was gender-inequal,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In other w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hen they perceived subjectively that parents, homeroom teachers, and friends ha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society had gender inequality,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 Third, the influen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related variabl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sex, followed by the social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mother'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perception of abolition of family-head system, the level of homeroom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hool results, and desired school types. These variables explained 32%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came higher in girl students; when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society was higher; when mother'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er; when the perception of abolition of family-head system was higher; when homeroom teachers'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er; when school results was higher; and when students preferred a coeducational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home and social life was found as lower than the whole.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gender stereotype caused by old Confucian tradition affects students' consciousness through their parents, resulting in low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ome life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very necessary to provide parents with education which inspire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ir life. Also, the lowest level of social and cultura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uggests that there is strong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part related to sex behavior or cultural norms. Specifically, boy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lower in the whole and all subareas than girl students. Th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ducation which can enhance boy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r students to maintain broad personal relations both in the work and at home as maturer human beings in the future, school should provide more realistic and specific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lso, home, school, and society all should make efforts to achieve social empathy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steady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hould be provided to develop the ability to make a more gender-equal culture in daily life. 본 연구는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실태를 파악하고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며 양성평등의식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을 찾아 양성평등의식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중 총 1,20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의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관련 변인과 양성평등의식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주관적으로 학생들이 인식한 양성평등 정도는 평균값이 부 3.78, 모 3.89, 담임선생님 3.48, 친구 3.70, 사회 2.85로 나타났다. 사회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성평등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사회 양성평등을 소망하고 절실히 바라는 것에 비해 학생들은 아직도 우리사회가 양성불평등 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의식 교육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긍정적이지 못하고 보통 정도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양성평등 차원에서 실시한 호주제 폐지 제도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는 반 이상이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평균값이 전체 3.89, 가정생활 영역 3.88, 학교생활 영역 3.92, 직장생활 영역 4.04, 사회문화생활 영역 3.70으로 모든 영역의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직장생활영역과 학교생활영역의 양성평등의식은 전체보다 높게 나타나고, 가정생활영역과 사회문화생활영역은 전체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변인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성별, 종교, 형제관계, 모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교에 따라서는 가정, 학교, 직장, 전체에서 천주교를 믿는 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형제관계에 따라서는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여자형제만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서는 학교, 직장, 전체에서 40대 어머니를 둔 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가족 변인 중 아버지 양성평등 정도와 어머니 양성평등 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으로 학생들이 인식한 부모 양성평등 정도가 높은 집단이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교육 변인 중 학교형태, 학교성적, 담임 양성평등 정도, 양성평등의식 교육 충분도, 희망하는 학교형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교가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성적이 ‘상’인 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으로 학생들이 인식한 담임선생님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 때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양성평등의식 교육 충분도는 학교, 사회문화, 전체에서 양성평등의식 교육이 전혀 불충분·불충분·보통이다는 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양성평등의식 함양을 위해 희망하는 학교형태는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남녀공학이 남녀분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 변인 중 친구 양성평등 정도, 호주제 폐지 인지, 사회 양성평등 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으로 학생들이 인식한 친구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 때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호주제 폐지에 대해 알고 있는 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으로 사회가 양성불평등하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즉,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주관적으로 학생들이 인식한 부모, 담임선생님과 친구는 양성평등하다고 느끼는 학생이 높고, 사회는 양성불평등하다고 느끼는 학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성별, 사회 양성평등 정도, 모 양성평등 정도, 호주제 폐지 인지, 담임 양성평등 정도, 학교 성적, 희망하는 학교형태 순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을 32% 설명해 주고 있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주관적으로 학생들이 인식한 사회 양성평등 정도가 낮을수록, 모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호주제 폐지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담임 양성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 성적이 좋을수록, 남녀공학을 희망할수록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정생활과 사회문화생활은 전체보다 낮게 나타났다. 즉, 아직도 오랜 유교적 전통에 의한 성 고정관념이 가정의 부모님을 통해서 학생들의 의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가정생활영역의 양성평등의식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성평등의식을 생활속에서 고취 시킬 수 있는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사회문화생활 영역의 양성평등의식이 가장 낮게 나온 것은 남녀를 차별하는 의식이 성행동이나 문화규범과 관련된 부분에서 강하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특히 남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전체와 모든 하위영역에서 여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남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을 높일 수 있는 양성평등의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미래에 학생들이 직장에서나 가정에서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서 폭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활발하게 실시하여야 하고, 또한 양성평등 추구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하며 일상생활에서 양성평등한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양성평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남녀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진로성숙과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방우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진로성숙과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양성평등의식과 진로성숙, 직업포부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4,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5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양성평등의식척도, 진로성숙척도, 직업포부척도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할 수 있도록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후에 양성평등의식과 진로성숙, 직업포부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인들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성숙과 직업포부 수준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진로성숙과 직업포부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남녀 학생을 비교해보면,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진로성숙, 직업포부 수준 모두가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형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경우 양성평등의식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의 경우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진로성숙 수준이 증가하는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포부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갖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남・녀 사관생도의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집단자존감

        노명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남생도와 여생도의 양성평등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양성평등의식과 관련된 요인으로 일반적 특성 및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존감의 관계를 분석한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육 해 공 사관학교와 간호사관학교 생도 총 423명이며 자료 수집은 자가보고로 양성평등의식 4점 등간척도 40문항, 자아존중감 5점 등간척도 10문항, 집단자존감 5점 등간척도 16문항, 일반적 특성 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 F 검증, 피어슨 상관계수와 사후 Scheffe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여생도의 평균이 133.59점으로 남생도의 평균 118.88점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p<.001). 양성평등의식의 총 4개 하위영역인 가정생활, 교육생활, 사회문화생활, 직업생활에서 여생도가 남생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양성평등의식은 여생도와 남생도 모두 학년, 출신 고등학교, 총 가족 수, 부모와 조부모 및 이성형제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부모가 어떠한 양육태도를 가졌든 여생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남생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양성 평등적 태도인 경우에 양성평등의식 점수가 평균 120.26점으로 남성 중심적 태도(115.11)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p<.038). 4. 여생도에서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는 0.33(p<.001),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존감은 0.65(p<.001), 양성평등의식과 집단자존감은 0.28(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남생도에서도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은 0.24(<.001),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존감은 0.49(<.001), 양성평등의식과 집단자존감은 0.18(<.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비추어 볼 때 여생도에 비해 양성평등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남생도의 양성평등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남생도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요인이며 성 차이를 인식하는 교육과 양성평등적인 문화 형성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관생도를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 교육을 실시한다면 양성평등의식 향상과 더불어 자아존중감과 집단자존감도 함께 증진시킬 수 있어서 군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사관생도의 역량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