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기정신증 대상자의 약물에 대한 태도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윤아 전남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치료를 이용하고 있는 조기정신증(Early Psychosis)대상자의 약물에 대한 태도와 약물복용이행의 관계에서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전구기를 포함하여 정신병적 증상의 첫 발현 후, 5년 이내의 치료를 유지하고 있는 조현병 범주 장애로 진단받은 20세 이상의 성인이며 총 166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06월 01일부터 2019년 08월 16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로 한국판 약물에 대한 태도 10문항, 약물복용자기효능감 8문항, 약물복용이행척도 7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분석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본 연구대상자의 약물에 대한 태도는 평균평점이 4.18(±4.31)점,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은 33.44(±5.16)점, 약물복용이행은 30.27(±4.56)점이었다. 본 연구도구 간 상관관계에 있어서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은 약물에 대한 태도(r=.393, p<.001)와 약물복용자기효능감(r=.697, p<.001)과 통계적으로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바론과 케니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약물에 대한 태도가 약물복용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설명력은 10.6%, 약물에 대한 태도가 약물복용이행에 주는 설명력은 14.9 %,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설명력은 50.9%로 나타났다.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은 약물에 대한 태도와 약물복용이행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 여부를 검증한 결과, 약물에 대한 태도와 약물복용이행 사이에서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LLCI=.114, ULCI=.356). 결론 : 이상의 본 연구를 토대로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은 약물복용이행을 높이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기정신증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 약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교육과 상담을 실시하고, 약물복용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전략들이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attitudes and Medicine Application of patients with early Psychosi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had been treated within 5 years after the initial onset of psychotic symptoms including prodrom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01th to August 16th, 2019. The research tools were Korean version of drug attitude inventory-10,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and Medicine Appli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edicine Application and Drug attitude (r=.393, p<.001), and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r=.697, p<.001).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attitude and Medicine Application. The Bootstrapping showed that the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was a significant partial parameter(LLCI=.114, ULCI=.35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firm that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is a partial mediator to improve Medicine Appli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 and counseling will be conducted to have a positive drug attitude to promote the medicine application of patients with early psychosis. And nursing strategies to enhance Medicine Application Self-efficac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 관상동맥질환자의 약물복용이행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계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6

        연구 목적 약물복용이행은 관상동맥질환의 관리와 이차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들의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근거 기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및 결과 본 연구는 IMB 모델(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을 기반으로 관상동맥질환자의 약물복용이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 중재 매핑(Intervention Mapping) 프로토콜 과정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개발 과정은 1) 요구도 평가(Need assesment), 2) 중재 목표 설정 및 변화 목표 매트릭스 구성(Intervention objectives), 3) 중재 방법 및 기술, 전략 선택(Methods and techniques), 4) 중재 내용과 자료 구성 및 사전 연구 수행의 4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로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현장의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 검색과, IMB 모델을 사용한 8건의 국내에서 시행된 중재 연구의 문헌고찰을 시행하였으며, 21명의 환자와 4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요구도 사정의 1단계를 통해 약물복용 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으로 질병과 지식에 대한 지식, 약에 대한 믿음, 사회적지지, 약물 부작용 경험, 자기효능감, 잊어버림, 약의 개수 및 복용 횟수 등이 도출되었다. 2단계에서는 비이행 행동 결과를 변화시키기 위한 실행 목표를 설정하고, IMB 모델의 구성 개념과 실행 목표를 결합하여 비이행을 개선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변화목표 매트릭스를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 할 중재 매체와 전달 방법을 설계하고, 연구 기간, 중재 전달 횟수 등을 구체화 하였으며, 「행동 결과의 자가 모니터링」, 「질환과 건강 결과의 선행 지식 제공」, 「신뢰성 있는 출처 사용」, 「행동의 장단점」, 「사회적(정서적)지지 강화」, 「습관 형성」, 「행동 촉진」과 같은 BCTs(Behaviour Change Technique)을 적용하여 전략을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실제로 제공할 프로그램의 내용과 자료를 제작하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프로그램의 초안을 완성하였으며 관상동맥질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사전 연구를 시행하여 중재 프로그램의 만족도, 실현성, 수용가능성 등을 확인하였다. 결론 IMB 모델을 기반으로 관상동맥질환자의 약물복용이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중재 매핑(IM)은 근거와 이론에 기반 한 유용한 방법론적 기틀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관상동맥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들의 약물복용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본 중재 프로그램을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Background It is important that coronary artery disease(CAD) patients adhere to secondary prevention medications in minimizing the risk of recurrent myocardial infarction and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theory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ho are newly diagnosed with CAD. Methods The program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was developed using the Intervention Mapping(IM) protocol. The first four stages of IM were used to guide the intervention development process: 1) Need assessment,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mong patients and health providers, 2)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 objectives and creating a matrix of change objectives with theory-based concepts, 3) Selected theoretical methods and technique and design implementation strategies, 4) Production of the program contents and piloting of the intervention to 12 patients with CAD. Result In order to identify the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adherence, the logic model of medication non-adherence was established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semi-constructing interviews’ with 21 patients and 4 health providers. In the second step,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IMB model) is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creating a matrix of change objectives with determinant factors and program outcome objectives. In the third step, the design of the program was specified and the theoretical technique and strategy to be applied in practice were selected. The fourth step is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assessment of content validity. Then, pilot testing of the implementation interventions program was produced. Conclusions The IM process useful framework for developing feasibl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s with CAD. In this study, following the IM process, the intervention was developed based on IMB model theory and evidence-based dat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linical field need assessmen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trategies to support medication adherence among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next step will ne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throug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the future.

      • 관상동맥질환자의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정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복용지속이행에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8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 일 대학병원 심장내과병동에 입원한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최소 1년 전에 관상동맥질환자로 진단 받은 자로 선정기준에 따라 102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은 Morisky, Krousel-wood 와 Ward(2008)가 개발한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MMAS-8) 8문항 자가 보고형 도구를 민신홍(2012)이 번역-역 번역 과정을 거쳐 수정한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질병의 특성, 질병지각, 자기효능감, 우울, 사회적지지, 약물신념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질병의 특성, 질병지각, 자기효능감, 우울, 사회적지지, 약물신념 정도에 대해 기술통계를 통해 확인하고,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과 약물복용지속이행과의 관계를 ANOVA와 t-test와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약물복용지속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율은 3.59±2.02점으로 같은 도구를 측정된 다른 연구의 약물복용이행보다 낮은 수준이었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결혼 상태, 학력, 월수입, 동거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수준은 약물복용이행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 만성질환, 복용횟수, 약물개수, 부작용 여부는 약물 복용지속이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약이행 은 질병지각(r=-.566, p<.001), 우울(r=-.39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r=.687, p<.001), 사회적지지 (r=.482,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위계적 회귀모델에서 약물복용지속이행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요인은 자기 효능감 β=.40, p<.01), 우울(β=-.31, p<.05)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 났으며, 월수입의 300만원 이상보다 300만원 미만(β=-.18, p<0.05)이 약물 복용지속이행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의 안 좋다 보다 좋다(β=.28, p<.05)는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총 5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자기효능감, 우울이 관상동맥질환자의 약물복용지속이행을 설명하는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약물복용지속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약물복용의 중요성을 환자에게 인지시키고 우울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정신건강 시스템 또는 교육 행동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약물복용지속이행을 증진 할 수 있는 중재방안이 필요하겠다. This paper present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check and analyze medication adherence for medicinal therapy among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Data was collected on July 1∼31, 2018. The subjects include 102 patients that were diagnosed with a coronary artery disease, took a medicine, were hospitalized in the cardiology ward at 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gave consent to the present study. Research instruments employed in the study include MMAS-8 based on eight items from the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MMAS) developed by Morisky et al., the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IPQ-R), ESSI(ENRICHD Social Support Inventory), Korean version of CES-D, the warfarin-related self-efficacy inventory developed by Kim Jae-hee(2003), and BMQ(Beliefs about Medicines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drug use rate of the study subjects was 3.59±2.02 points. It was lower than the drug use performance of the district,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ctivity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drug use performance. Gender, chronic disease, number of doses, number of medications, and side effects did not affect drug continuation. Medication adher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ease perception (r=-.566, p<.001), depression (r=-.390, p<.001), and self-efficacy (r =.687, p<.001), and social support (r=.482, p<.001). 2) Based o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actors for drug use persistence were self-efficacy β=.40, p<.01) and depression (β=-.31, p<.05) as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less than 3 million won (β=-.18, p<.05) than the 3 million won of monthly incom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continuation of drug use, and the health was poor (β =.28, p<.05)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ed use of the drug, showing a total of 58% explanatory power.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ppeared to be powerful factors in explaining the continued use of drug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controlled. Therefore,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self-efficacy is required to improve drug continuity,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ntal health systems or educational behavior interventions tha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rug use to patients and improve depressive symptoms A mediation plan is needed to promote the continued use of drugs.

      • 급성관상동맥질환자의 장기적 약물복용이행 영향요인

        조미영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급성관상동맥질환자의 퇴원후 3개월과 1년 이내 약물복용이행 여부를 파악하고, 장기적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대상자는 2021년 9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일 대학병원 순환기내과외래에 내원한 19세 이상 대상자로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을 진단받고 퇴원 후 3개월과 1년 시점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약물복용이행여부, 약물신념, 우울 및 사회적지지 등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약물복용 이행 유무는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8로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에 독립적인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최종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는 총 173명이었고,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4.65±12.02세, 남자가 73.4% 이었다. 전체 대상자 약물복용이행군은 142(82.1%)명 이었고, 약물복용비이행군은 31(17.9%)명이었다. 급성관상동맥 질환으로 퇴원 후 3개월째 되는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도는 총 8점 만점에 평균 6.79±1.31점 이었고, 6점 이상의 약물복용이행군은 76(80.0%)명, 약물복용비이행군은 19(20.0%)명 이었다. 퇴원 후 1년째 되는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도는 총 8점 만점에 평균 7.03±1.20점 이었고, 6점 이상의 약물복용이행군은 66(84.6%)명, 약물복용비이행군은 12(15.4%)명 이었다. 3개월째 약물복용이행 유무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교육수준(χ2=11.78, p=.006), 진단명(χ2=6.60, p=.010), 자가 건강에 대한 인식도( t=2.676, p=.009) 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왔던 변수를 삽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심근경색증에 비해 불안정형 협심증을 가진 대상자에서 약물복용불이행이 유의하게 높은 것(OR=5.47, 95% CI, 1.40-21.35)으로 확인되었다. 1년째 약물복용이행 유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외래에 내원한 급성관상동맥질환자 중 퇴원 후 3개월과 1년의 약물복용이행률은 약 1/5 정도임을 확인하였고,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그 이행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외래에 방문한 환자에서도 규칙적인 약물 복용이 이행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약물복용이행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과 평가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그 중요성과 약물복용이행 방법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추후 이에 대한 중재 연구 및 효과평가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dherence to medication of 3 months and 1 year after diagnosis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long-term medication adherence. The study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unstable angina and myocardial infarction and were followed up at the cardiology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for 3 month and 1 year after discharge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Of a total of 173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was 64.65±12.02 years, and 73.4% were mal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items on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dherence to medication, medication belief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Medication adherence was measured using the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8.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s adherence to medication. The medication adherence rate at 3 months after discharge was 80.0% and 84.6% at 1 year after discharge. Factors related to medication adherence at 3 months were education level (χ2=11.78, p=.006), diagnosis (χ2=6.60, p=.010), and awareness of self-health (t=2.676, p=.00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iagnosis of unstable angina (OR=5.47, 95% CI, 1.40-21.35) was a significant factor in medication non-adherence at 3 months. In other words, compared to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 did not take the medicine well with an odds ratio of 5.47. In this study, about 20% of outpatients did not take medication well, especially in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 Therefore,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are required, such as educating patients discharged with acute coronary disease on the about importance of taking medication and monitoring actual medication adherence.

      • 복합만성질환 노인의 약물복용이행 관련 요인

        이은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5

        현재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만성질환의 유병률 또한 매우 높은 편으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두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지닌 복합만성질환 노인은 다약제 복용의 빈도가 높고, 약물복용이행의 실태는 중간수준에서 그 이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약물복용이행의 실태를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약물복용이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 J시, K도 C시에 소재한 2곳의 중소병원을 내원한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 148명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20일부터 2월 1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3.2세였으며, 남성 67명(45.3%), 여성 81명(54.7%)이었다. 만성질환의 개수는 3.57±1.39개였으며 고혈압 97명(18.4%)이 가장 많고, 고지혈증 80명(15.2%), 당뇨병 71명(13.5%), 골관절염 50명(9.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일복용약물개수는 6.80±3.89개로, 하루약물복용횟수는 ‘하루 1번’ 62명(41.9%)이 가장 많았다. 부작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62명(41.9%)이었고, 부작용 경험으로는 ‘소화기 장애’ 29명(26.6%)이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약물복용에 대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점수는 40점 만점에 26.72±5.59점, 복약자기효능감 점수는 39점 만점에 29.80±6.77점, 사회적 지지 점수는 84점 만점에 59.43±13.19점, 약물에 대한 신념은 –20~20점에 1.93±4.32점, 약물복용이행 평균점수는 48점 만점에 20.06±6.35점이었다. 4. 대상자의 특성 중 연령(F=4.151, p=.018), 교육수준(F=2.811, p=.042), 약물 부작용 경험(F=3.313, p=.001)에 따라 약물복용이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은 건강정보이해능력(r=-.32, p<.001), 복약자기효능감(r=-.55, p<.001), 사회적 지지(r=-.34,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복약자기효능감(β=-.39, p<.001), 건강정보이해능력(β=-.21, p=.016), 사회적 지지((β=-.16, p=.034), 약물 부작용 경험(없음)(β=-.15, p=.024), 교육수준(대졸)(β=.22 p=.006), 교육수준(고졸)(β=.17, p=.042)으로 나타났다. 그 중 복약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복합만성질환노인의 약물복용이행을 총 38.8% 설명하였다(F=11.35,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복약자기효능감이 좋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좋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약물 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수준을 고려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 강화 및 복약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대상자가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세심하게 모니터링하고, 일상에서 약물복용이행을 실천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Currently, the Older Adult population aged ≥ 65 years is continually increasing in Korea,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s also extremely high; therefore, their management is necessary. Among the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with two or more chronic diseases, the prevalence of polypharmacy is high, and medication adherence status varies from middle to higher leve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medication adherence in the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and to devise strategies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8 elders, aged ≥ 65 years, who visited two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located in J City in C Province and in C City in K Province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0 to February 11,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3.2 years, with 67 men (45.3%) and 81 women (54.7%).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was 3.57±1.39, with 97 people with having blood pressure (18.4%), followed by 80 people with hyperlipidemia (15.2%), 71 people with diabetes (13.5%), and 50 people with osteoarthritis (9.5%). 2. The number of medications taken per day by the subjects was 6.80±3.89, with taking medication once daily being the most common in 62 people (41.9%). Sixty-two people (41.9%) had experienced side effects; gastrointestinal disorders being the most common of the side effects in 29 people (26.6%). 3. The subjects scored 26.72±5.59 out of 40 for Health literacy, 29.80±6.77 out of 39 for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59.43±13.19 out of 84 for social support, 1.93±4.32 out of the scale of -20 to 20 for belief about medicines, and 20.06±6.36 out of 48 for mean medication adherence. 4. Among the attributes of the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edication adherence by age (F=4.151, p=.018), an education level (F=2.811, p=.042), and the experience of side effects (F=3.313, p=.001). 5. The subjects’ medication adher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r=-.32, p<.001),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r=-.55, p<.001), and social support (r=-.34, p<.001). 6.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were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β=-.39 p<.001), Health literacy (β=-.21, p=.016), social support (β=-.16, p=.034), experience of side effects (none) (β=-.15, p=.024), an education level for (college graduate) and (high school graduate), (β=.22 p=.006) and (β=.17, p=.042), respectively. Among them,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medication adhere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a total of 38.8% of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F=11.35, p<.001).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Older Adult who ha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Health literacy, social support,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has the better the medication adherence, plus, If they don't experience the side effect, It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hus,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education on strengthening Health literacy and improving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 level of the subjects, should be provided. While the subject is taking the medication, A system that can carefully monitor the side effects of the medications and continually maintain social support programs is required for maintaining and practicing medication adherence in their daily life.

      •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약물복용지속이행 영향요인

        김은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의 항호르몬제의 복용지속이행에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7월 24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일 대학병원 유방암센터에 내원하는 항호르몬제 복용중인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유방암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항호르몬제 복용한지 3개월 경과된 환자로, 선정기준에 따라 164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은 Kripalani et al.(2009)이 개발한 자가 보고식 복용이행도 측정도구 Adherence to Refills and Medications Scale(ARMS)를 Kim et al. (2016)이 번역한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질병의 특성, 약물의 특성, 우울, 증상경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질병의 특성, 약물의 특성, 우울, 증상경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의 기술통계를 통해 확인하고,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과 약물복용지속이행과의 관계를 ANOVA와 t-test와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약물복용지속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율은 14.39±2.35점으로 같은 도구를 통해 측정된 다른 연구의 약물복용이행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약물복용이행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고, 질병의 특성에서는 유방암의 병기에 따라(F=2.60, p=.04), 유방암의 수술명에 따라(F=2.47, p=.05) 약물복용이행이 높았고, 약물의 특성에서는 항호르몬제의 종류에 따라(F=2.32, p=.04), 항호르몬제의 치료기간에 따라(F=2.30, p=.04) 약물복용이행이 높았다. 항호르몬제로 인한 증상경험(r=-.205, p<.008)과 약물복용이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부적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에 증상경험은 항호르몬제의 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으로 보았다. 자기효능감(r=.266, p<.001)과 약물복용이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β=.21, p=.01)도 역시 항호르몬제의 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았다. 2)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증상경험(β=-.22, p=.02), 자기효능감(β=.21, p=.01)이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있어 자기효능감(t=2.59)은 가장 긍정적 영향력이 있고, 증상경험(t=-2.42)은 가장 부정적 영향력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유방암환자의 항호르몬제의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 3.67, p=.00), 이들 요인의 약물복용지속이행에 대한 설명력은 42.0%였다.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약물복용지속이행에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증상경험, 자기효능감이 관련요인이었고, 본 연구결과에 따라 항호르몬제를 복용중인 유방암환자의 약물복용지속이행정도는 증상경험, 자기효능감에 따라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의료진은 유방암 환자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통해 약물 복용이행을 높이고, 항호르몬제로 인한 증상경험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약물복용의 중요성을 환자에게 인지시켜, 약물복용이행을 증진 할 수 있는 중재안 방안이 필요하다.

      •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및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과의 관계

        한경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5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to provide a basic data to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hypertension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The research subjects are 317 random samplings from the adult hypertensive patients who are diagnosed as hypertensive at a healthcare institution located in Cheonbuk province and taking antihypertensive drug. The study instruments were collected that health lifestyle practice(Park, 1995), medication adherence(Morisky, Green, & Levine, 1986), as a self-questionnaire and blood pressure taking and data collected from October 7 to October 30, 2008.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x²-test, t-test, ANOVA & Sheffe test.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KR-20 value. Major study result is as follows. : 1)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healthy lifestyle practice is 3.03±.52 (out of full 4) and in the score between the contentment regular eating is the highest with 3.38±.70 while self-regulation is the lowest with 2.56±.74. 2)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who perform medication adherence well is 59.6%. 3)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blood pressure control are 49.2% for the hypertension controlled group and 50.8% for the hypertension uncontrolled group.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lood pressur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and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and medication adherence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level depending on their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and whether or not there being family members with cardiovascular disease(p<.05).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ation adherence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p<.05), but blood pressure control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the hypertensive patients’ healthy lifestyle practic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shows that the patients’ self-regulation of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level is very low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are not performed well. Therefore the strategy to promote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shall include an intervention to promote self-regul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ctive and efficient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to induce a change in their behavior for a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for the patients who cannot control blood pressure well.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 정도를 파악하여 고혈압환자들의 혈압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J시 소재 보건의료기관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고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성인 고혈압환자 317명을 임의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건강증진생활양식(박인숙, 1995), 약물복용이행(Morisky, Green, & Levine, 1986)으로 이루어진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혈압측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10월 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와 혈압측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317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²-test, t-test, ANOVA &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와 KR-20 값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 실천정도는 3.03±.52점(4점 만점)이었으며, 건강생활실천 하위영역별 점수는 규칙적 식사 영역(3.38±.70점)이 가장 높았으며, 자아조절 영역(2.56±.74점)이 가장 낮았다. 2) 고혈압 환자의 약물복용이행율은 59.6%였다. 3) 고혈압 환자의 혈압조절 정도는 고혈압 조절군이 49.2%였으며, 고혈압 비조절군이 50.8%로 나타났다. 4)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과 혈압조절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고혈압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 혈압조절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생활 실천정도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직업유무, 가족 중 심혈관질환자에 따라, 약물복용이행은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혈압조절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에서 고혈압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에 관한 실태를 확인한 결과, 고혈압 환자들은 건강생활실천의 자아조절 정도가 매우 낮았으며,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이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환자들의 건강생활실천을 증진시키는 전략에는 자아조절을 증진시키는 중재와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는 중재를 포함하여야 하며, 혈압조절이 잘 안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행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 성인 전기 여성 정신질환자의 신체상, 병식, 정신건강자신감이 약물복용 이행에 미치는 영향

        이은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4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for disease self-care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body image, insight, and of early adulthood women psychiatric patients on medication adherence. Method: The present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20, 2018. The participants were 147 patients consenting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study, who were early adulthood women psychiatric patients receiving outpatient care at hospitals in Seoul or Gyeonggi-do or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day rehabilitation center, a halfway house). A self-report body image scale developed and standardized with mental patients by Kim Jung-bum & Park Young–nam (1995) was used to measure participants’ body image. The scale consists of a total of 23 items. insight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to Assess of Mental Disorder (SUMD-K),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Amador et al. (1991)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for schizophrenic patients by Song Jiyoung et al. (2006). The nine-item short foam version of the original scale, which consisted of 74 items, was used in order to reduce the interview time. The instrument is a semi-structured interview scale for insight. Mental health confide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 (MHCS-K), originally developed by Carpinello et al. (2000) for psychiatric patients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for psychiatric patients by Kwon Ja-yeong (2014). It is a 16-item self-report scale. Medication adhere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edication Adherence Rating Scale (KMARS) originally developed by Thompson et al. (2000) for psychiatric patients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for psychiatric patients by Chang Jhin-goo et al. (2015). It is a 16-item self-re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A total of 147 patients, of which 110 (74.8%) we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average age was 34.65±8.20 year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single (124 participants, 84.4%), had educational level of high school graduation (79 participants, 53.7%), had a religion (94 participants, 63.9%), had a monthly family income between one and three million KRW (61 participants, 41.5%), and were living with family (114 participants, 44.6%). Participants who reported that they trust the medical staff were 103 (70.1%);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was 9.18±7.77 years, and 42 (28.6%) participants had four or more hospitalizations. A total of 56 (38.1%)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ir knowledge on antipsychotics is averag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weight gain after taking antipsychotics were 101 (68.7%) with the average weight gain of 11.07 kg, and 28 (27.7%)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voluntarily stopped taking medication due to weight gain. The average BMI was 25.23±5.33. 3) Correlational analysis of participants’ body image, insight, mental health confidence, and medication adherence showed that medication adher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dy image and insight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confidence.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image and medication adherence was the highest. 4)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ffected the medication adherence of the participants. fact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medication characteristics, body image, insight, mental health confidence, and medication adherence of the participants were factors that had 42.9% of combined explanatory power including body image (β=-.32, p<.001), insight (β=-.24, p=.002), and mental health confidence (β=.24, p=.004), of which body image had the greatest influ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body image, insight, and mental health confidence are important to increase the medication adherence of early adulthood women psychiatric patients. Particularly, measures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should be considered by identify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인 전기 여성 정신질환자의 신체상, 병식, 정신건강자신감이 약물복용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약물복용 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질병의 자가 관리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부터 8월 27일부터 2018년 9월 20일까지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의 소재의 병원에서 외래 치료를 받거나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정신건강복지센터, 주간재활센터,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성인 전기 여성 정신질환자 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환자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정범과 박영남(1995)이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하고 표준화한 신체상 척도, Amador 등(1991)이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Scale to Assessment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SUMD)을 송지영 등(2006)이 번역하여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화한 한국판 병식 평가 척도(SUMD-K) 단축형, Carpinello 등(2000)이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을 권자영(2014)이 번역하여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표준화한 한국판 정신건강자신감 척도(MHCS-K), Thompson 등 (2000)이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Medication Adherence Rating Scale을 장진구 등(2015)이 번역하여 조현병 환자에게 표준화한 한국판 약물 순응 척도(KMAR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총 147명으로 진단명은 조현병이 110명(74.8%), 평균 연령은 34.65±8.20세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124명(84.4%), 교육수준은 고졸이 79명(53.7%), 종교가 있는 대상자는 94명(63.9%), 가족의 월수입은 100~300만 원 미만이 61명(41.5%), 가족과 같이 사는 대상자가 114명(44.6%)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진을 신뢰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103명(70.1%), 평균 유병기간은 9.18±7.77년이었고, 입원 횟수는 4회 이상이 42명(28.6%), 현재 복용하는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지식 정도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56명(38.1%), 항정신병약물복용 후 체중 증가를 경험한 대상자는 101명(68.7%)이었고, 체중 증가를 경험한 대상자는 평균 11.07kg이 증가하였고, 체중 증가로 인해 28명(27.7%)은 약물을 자의로 중단하였다고 응답하였고, 평균 BMI는 25.23±5.33 이었다. 2) 대상자의 신체상 점수는 92점 만점에 41.80±16.16이었으며, 병식은 27점 만점에 16.29±4.58, 정신건강자신감은 80점 만점에 47.76±14.52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은 10점 만점에 5.79±2.59으로 나타났으며, 종교가 있을수록, 유병기간은 20년 이상이 1~5년 미만 보다, 항정신병약물 복용 후 체중 증가가 있을 경우, 체중 증가로 인해 자의로 약물을 조절하지 않는 집단에서 약물복용 이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과 치료진을 신뢰 정도가 약물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신체상, 병식, 정신건강자신감과 약물복용 이행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약물복용 이행은 신체상, 병식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신건강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신체상과 약물복용 이행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4) 다중 선형회귀 분석결과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β=-.32, p<.001), 병식(β=-.24, p=.002), 정신건강자신감(β=.24, p=.004)이었으며, 이 중 신체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 변인들은 총 변량의 42.9%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성인 전기 여성 정신질환자의 약물복용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체상, 병식, 정신건강자신감이 중요하며, 특히, 신체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파악하여 약물복용 이행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