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관련 변인 연구

        이준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ttachment stability between disabled children's and general children's, to find out related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and mother's sensibility and depression affect attachment stability of disabled children's and general children's. There were 76 subjects. Among disabl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whose chronological age is from 3 to 7 and 3months, were 40 disabled children and 36 general children who are at the age of 3-6 opted with their mother. Because of the special quality of the study, children who were possible to take tests of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were collected only. Social maturity scale was used to collect children who are at the age of 3 and more, K-WPPSI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nd PRES was used to assess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In addition, MBQ was used to measure mother's sensibility and BDI was used as the questionnaire. Attachment stability was measured by AQS. SPSS WIN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tendency of disabled children's and general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children-related variables and mother-related variables, although attachment stability between two groups did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general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had a little bit higher tendency than disabled children's. As children-related variables, tendency of two groups of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was investigated. Disabled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was 40.1 less than general children's. In addition, as considering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general children's CLA was 17 months more than disabled children's. As a result of considering tendency of mother-related variables, mother's sensibility and depression of both groups of children didn't hav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al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 attachment stability and the factors such as two groups of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mother's sensibility and depression. All the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had no correlation with attachment stability. However, the study showed mother's sensibility affected attachment stability. Therefore, there was strong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nsibility and attachment stability. Moreover, in cas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attachment stability, but mother's depression of general children's was not correlated with attachment stability. Third,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sensibility, mother's depression and disabled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disabled children's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categorized 4 groups,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th,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sensibility, mother's depression and general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general children's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classified 4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in this study, it has been proved that mother's sen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that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nd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didn't affect attachment stability.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that disabled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nd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would not be the culprit that causes attachment stability as the case of general children's.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을 비교해보고, 관련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지적능력과 언어발달 수준, 어머니의 민감성과 우울이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 아동 관련 변인, 어머니 관련 변인의 전반적 경향성은 어떠한가? 2.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 언어발달 수준, 어머니의 민감성, 우울은 애착안정성과 상관이 있는가? 3. 장애 아동의 지적능력, 언어발달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민감성과 우울에 차이가 있는가? 4.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 언어발달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민감성과 우울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생활연령이 만 3세에서 만 7세 3개월 사이의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중에서 발달연령이 만 3세에서 만 6세 사이에 해당하는 장애 아동과 그 어머니 40쌍, 일반 아동과 그 어머니 36쌍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특성상 아동이 지능과 언어 발달 검사가 가능한 경우에만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발달연령이 만 3세 이상인 아동을 선정하기 위해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를 실시하여 아동의 지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언어발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민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모성행동 Q-set(Maternal Behavior Q-set : MBQ)을 실시하였고, Beck의 우울증 척도 BDI(Beck Depression Index)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애착안정성은 애착 Q-set(Attachment Behavior Q-set : AQS)을 사용하여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안정성 규준 점수와 어머니가 분류한 점수간의 상관을 통해 구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 아동 관련 변인, 어머니 관련 변인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장애 아동의 애착안정성 평균은 -.20으로 나타났고,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 평균은 .22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애착안정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이 장애 아동의 애착안정성 보다 약간 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아동 관련 변인으로는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 언어발달 수준의 경향성을 알아보았는데 장애 아동의 전체지능 평균은 65.1이었고, 일반 아동의 전체지능 평균은 105.2로 나타나 장애 아동의 지적능력이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보다 40.1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발달 수준은 장애 아동의 통합언어연령 평균이 44.1개월로 나타났고, 일반 아동은 61.3개월로 나타나 두 집단간의 언어발달 수준은 17개월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 관련 변인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장애 아동의 어머니 민감성은 .01이었고, 우울 점수의 평균은 10.53점이었다. 일반 아동의 경우 어머니의 민감성은 -.01이었으며, 우울 점수 평균이 11.36점으로 나타났다.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머니 민감성, 우울은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 언어발달 수준, 어머니의 민감성, 우울과 애착안정성간의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아동의 지적능력과 언어발달 수준은 애착안정성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에서 어머니의 민감성은 애착안정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의 민감성이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 아동의 경우 어머니의 우울도 애착안정성과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일반 아동의 어머니 우울과 애착안정성과의 관련성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결과였다. 셋째, 장애 아동의 지적능력과 언어발달 수준에 따라서 어머니의 민감성과 우울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적능력을 중도정신지체, 경도정신지체, 경계선, 평균하로 나누고, 언어발달 수준을 20개월~36개월, 37개월~48개월, 49개월~60개월, 61개월 이상으로 나누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아동의 지적능력과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민감성과 우울은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과 언어발달 수준에 따라서 어머니의 민감성과 우울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을 평균하, 평균, 평균상, 우수로 나누고, 언어발달 수준은 37개월~48개월, 49개월~60개월, 61개월 이상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일반 아동의 지적능력과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애착안정성에 어머니의 민감성이 가장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아동의 지적능력이나 언어발달 수준은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이 밝혀졌다. 특히 장애 아동의 지적능력이나 언어발달 수준은 일반 아동과 마찬가지로 애착을 형성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정서성

        조문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 emotionality of the toddler against the mother and the teacher. subjects were family nurture facility of 25 places which are located in Inch'on area. The 1 year-old and 2 year-old toddlers 181 person and their mothers 181 person and charge teachers 66 person in the object it nurture investigated in question district. The date from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stability of the toddler whom it follows in the attachment object the mother was higher the nurture teacher than. Second, Sex of toddler, month possibility, attachment stability level the toddler of the working mother against the teacher from the attachment stability difference which it follows in employment yes or no of birth ranking and the mother appeared highly. Remainder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hird. It divided the social emotionality which it follows in degree of attachment stability of the mother of the toddler and with the working mother and the rain working mother toddler the group where the attachment stability of the resultant working mother whom it tries to observe and the toddler and is high whole 104 hit 44 person (42.3%) and, the group where the attachment stability of the rain working mother and the toddler and is high appeared whole 77 hit 38 person (49.4%) with. It appeared highly from the group where the attachment stability of the mother and is high commonly from the crisis non inside it is a external present enemy problem which is social emotional problematic conduct from the social emotionality which it follows in attachment stability of the mother and an inside area problem. Fourth, The toddler who with the resultant working mother toddler and the teacher who try to observe the social emotionality which it follows in attachment stability degree of the toddler and the teacher and accomplishes a high attachment stability whole 104 hit 56 person (53.8%) and, the group where the attachment stability of the rain working mother toddler and the teacher and is high were 33 people (42.9%) middle-school whole 77 people. From the social emotional frost from the crisis non inside imitation playing which is social emotional affirmation conduct, motive and sentiment are the mouth and inside area problem the working mother and rain working mother relationship it appeared highly from the group where the attachment stability is high without. Fifth, The result regarding the social emotionality which it follows in attachment shedding of blood of the toddler, the attachment shedding of blood of the case mother of the working mother toddler and is low from the complex attachment shedding of blood against the mother and the teacher the group where the attachment shedding of blood of the teacher and is high is highest ratio hold. The mother teacher all the low-end attachment group is highest ratio with case unexpected of the toddler of the rain working mother hold. The social emotionality which it follows in attachment shedding of blood from imitation glow or motive of case social emotional affirmation conduct of the working mother toddler the mother or the piece which it instigates it compared in the group where the stable attachment one group is not like that the social emotionality appeared highly. The social emotionality which it follows in case attachment shedding of blood of the rain working mother toddler imitation playing which is social emotional affirmation conduct, motive and sentiment with the toddler of the working mother together the mother or the piece which it instigates the stable attachment one toddler appeared highly from the mouth. The research result which it sees the toddler from the family and nurture agency a place questionable matter which presents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advancement which more efficient information the place than and the toddler is healthy will observe the advancement of the toddler whom it follows in attachment stability of the mother and the nurture teacher and at spring bitterly it will understand under the map there will be. 본 연구는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정서성을 알아보고자 인천지역에 위치한 25곳의 가정보육시설에 재원중인 만1세와 2세의 영아 181명과 그들의 어머니 181명 그리고 담임 보육교사 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변인들의 빈도분석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특성인 성별, 개월 수,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애착안정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영아의 성별, 개월 수, 출생순위는 어머니나 교사와의 애착안정성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취업모 영아가 비취업모 영아에 비해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그리고 애착대상에 따른 영아의 전체 애착안정성을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보육교사보다 더 높았다. 둘째, 어머니와의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성을 취업모와 비취업모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취업여부와 관계없이 어머니와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에서 사회 정서적 문제행동인 외현적 문제와 내면적 문제인 분리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취업모와 영아가 높은 애착안정성을 이룬 경우는 전체 104명중 44명(42.3%)이고, 비취업모와 영아가 높은 애착안정성을 이룬 경우는 전체 77명중 38명(49.4%)이였다. 셋째, 영아와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사회정서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관계없이 교사와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에서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인 모방놀이, 동기, 감정이입과 내면적 문제인 분리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취업모 영아가 교사와 높은 애착안정성을 이룬 경우는 전체 104명중 56명(53.8%)이고, 비취업모 영아가 교사와 높은 애착안정성을 보인 경우는 전체 77명 중 33명(42.9%)이였다. 넷째. 영아의 애착유형에 따른 사회정서성에 대한 결과,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복합애착 유형에서 취업모 영아의 경우 어머니와 애착안정성이 낮고 교사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비취업모 영아의 경우 어머니 교사 모두에게 낮은 애착안정성을 이룬 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애착유형에 따른 사회정서성은 취업모 영아의 경우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의 모방놀이나 동기에서 어머니나 교사 한쪽이라도 안정 애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사회정서성이 높게 나타났다. 비취업모 영아의 경우 애착유형에 따른 사회정서성은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인 모방놀이, 동기, 감정이입에서 취업모의 영아와 같이 어머니나 교사 한쪽이라도 안정 애착한 영아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에 따른 영아의 발달을 파악한 본 연구결과는 부모 및 보육기관의 교사가 영아를 이해하고 지도하는 데 있어 보다 효과적이며 가치 있는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

        김영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curity of attachment by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teachers and their adjustment behavior, and the effects of attachment on childrens adjustment behavior in care giving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169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6) attending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ir mothers and 35 teachers in the institutions. The tool used in the study was Attachment Scale, and Questionnaire on Childrens Adjustment Behavior’ was also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to have them evaluate childrens behavior. The data collected was analysed in various statistical ways, such as percentage, item internal coherence, t-test,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boys showed difference in one of the sub-domains of adjustment behavior, positive emotion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to their mothers. Therefore, the boys who have formed secure attachment with their mothers seem to have more positive emotions than the boys who have not. Secondly, girls did not show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adjustment behavior regardless of the attachment to their mothers. Therefore, it seems that their adjustment behavior is not influenced by the attachment to their mothers. Third, boys showed difference in one of the sub-domains of adjustment behavior, sociable behavior, depending on the attachment to their teachers. Therefore, the boys who have formed secure attachment with their teachers seem to show more sociable behavior than the boys who have not. Fourth, girls showed difference in many sub-domains of adjustment behavior, such as positive emotions, peer adjustment, work and adjustment, degree of adjustment, and degree of perception. Therefore, it seems that the girls who have formed secure attachment with their teachers show better adjustment behavior than the girls who have not. Fifth, when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the attachment to mothers and the attachment to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ere was neither interactional effects, nor main effects on boys adjustment behavior. However, in girls adjustment behavior, interactional effects were found, but not main effect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boys adjustment behavior was not influenced by the attachment to their mothers or to their teachers. On the other hand, girls adjustment behavior was not related to the attachment to their mothers, but was influenced by the attachment to their teachers.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important for the girls between the ages 3 and 6 to be able to adjust in care giving institution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ttachment to teachers in care giving institutions may have great influence on children, particularly on girls. 본 연구는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측정하여 안정적인 애착관계형성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유아의 보육기관에서의 적응행동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3세에서 6세까지의 169명의 유아와 그 어머니, 그리고, 참여 교사는 35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는 애착안정성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보육기관에서는 유아의 적응행동 질문지로 참여 교사에게 유아의 행동을 평정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백분율, 문항내적합치도,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에 따라 남아의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 중 긍정적 정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은 남아는 애착안정성이 낮은 남아보다 긍정적 정서가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둘째, 어머니와의 애착안정성에 따라 여아의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애착안정성이 높은 여아와 애착안정성이 낮은 여아의 적응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에 따라 남아의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 중 남아는 친사회적 행동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와 애착안정성이 높은 남아는 애착안정성이 낮은 남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넷째,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에 따라 여아의 적응행동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정서, 또래간 적응, 일과 적응, 적응정도 및 인식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에 대해 애착안정성이 높은 여아는 애착안정성이 낮은 여아보다 적응행동 전체가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다섯째, 유아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애착안정성과 교사의 애착안정성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본 결과, 남아의 적응행동에는 상호작용효과와 주효과 둘다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여아의 적응행동에는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아의 적응행동은 어머니와 애착안정성과 교사의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아의 적응행동은 어머니와 애착안정성과는 관계는 없었지만, 교사와의 애착안정성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3세에서 6세까지 유아는 어머니와 애착안정성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보육기관내에서의 교사와의 애착안정성이 성별에 따라 특히 여아에게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 영아의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사회ㆍ정서능력과의 관계

        권인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영아의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보육교사-영아 애착안정성, 영아의 사회. 정서능력은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어떠하며, 애착안정성은 사회. 정서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경북과 대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12-36개월) 2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보육교사-영아 애착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Q-set 설문지는 영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 50명이 그 담당을 맡은 영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Waters 와 Deane(1985)이 개발한 애착 Q-set의 개정판(version 3.0; Waters, 1987)을 번안한 것을 애착 Q-set(AQS)의 한국판(이 영, 박경자, 나유미)으로 번안하여 나유미가 사용한 것(1997)을 본 연구자가 예비조사를 거쳐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부록) 영아의 사회. 정서적 능력은 영아의 사회ㆍ정서적인 유능성과 문제행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Briggs-Gowan과 Carter(1998)가 개발한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ITSEA)을 나양균, 이영환, 한지현(2006) 연구에서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나양균의 선행연구(2006)에서 한국문화유형에 맞는 문항내용으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류하여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 사회ㆍ정서 능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이의 성별에 따른 차이와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영아 애착안정성과 영아의 사회ㆍ정서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평정한 영아의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점수의 평균이 0.27이었으며, 점수범위는 -0.41~ .72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성별에 따라 출생 순위에 따라 사회ㆍ정서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의 애착안정성이 높으면 사회. 정서적 능력은 유능성 하위영역에서는 또래상호작용에서만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아-보육교사의 애착안정성과 영아의 사회ㆍ정서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능성 영역에서는 친사회적 또래상호작용에서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형적 문제 행동 영역에서는 활동성을 제외한 공격성/반항, 또래 공격성, 부정적인 정서표현, 외형적 문제 행동 전체에서 안정성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 영아의 성별에 따른 애착안정성은 여아가 남아보다 애착안정성점수 평균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ants' attachment security score for their nursery teacher on infants' socio-emotional ability. The degree of infants' attachment security score and their socio-emotional ability was analysed according to their sex and birthday.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60 infants ranging between 12 months old and 36 months old, who attend daycare centers in Daegu and Geyongbuk provi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nursery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ose 260 infants. A Q-set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attachment security score between infant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aters & Deane's Q-set version(1987) was modified for this study to measure attachment security score between infants and their nursery teachers. Also,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ITSEA) By Briggs-Gowan & Carter(1988) was adapted to assess infants' socio-emotional capability and problematic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14.0 program and Cronbach α figur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ir reliability. Furthermor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r statistics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degree or attachment security score and socio- emotional ability between infants and their teachers. Lastly, t-test was run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score between infants' sex and birthd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infants' attachment security score assess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was average 0.27, ranging between -0.41~ 0.72.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o-emotional ability according to infants' sex and birthday. Third, the test showed that whe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score was high, socio-emotional ability was meaningful in interactions among the peer group. Fourth, as for capability, meaningful correlation existed in interactions among the peer group. However, in the aspect of problematic behaviors littl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curity and aggression, defiance, or other negative emotion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ttachment security score according to infants' sex though female infants' score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 애착안정성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김선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두 요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5월 실시된 모의 연합고사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모의 연합고사는 전 과목이 실시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다섯 과목의 점수를 측정변수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과 AMOS 17.0에 의해 처리되었다. 먼저 SPSS를 이용하여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 자기조절, 학업성취도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고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검증하였다. 먼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학생의 자기조절 능력과 관련이 있는 유의미한 변인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조절이 학생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지 살펴보았으며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학생의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인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자기조절이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지를 구조방정식을 구축하여 알아보았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이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가설 2에 제시되었듯이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매개모형을 통해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 및 학업성취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애착안정성은 자기조절 경로에서 유의적이었고 자기조절에서 학업성취의 경로도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후속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하는 애착안정성에 대한 조사에서 부모님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애착안정성에 대한 연구에서 청소년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교사나 또래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에 대한 애착안정성의 하위요인인 신뢰감 요인의 신뢰도가 낮게 나와 신뢰감 요인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신뢰도에 문제가 있는 신뢰감 요인의 문항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이 전주시로 한정되어 있으며 대상학생의 수가 적은 편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중학생 전체를 일반화해서 해설할 때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 지역과 대상학생 수를 확대하여 추후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일반화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영아-아버지와 영아-어머니의 애착안정성 비교

        안미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아-아버지와 영아-어머니의 애착안정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류층 가정의 11개월에서 19개월 사이인 남아 20명, 여아 20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였다. 애착안정성은 이영·박경자·나유미(1997)의 한국판 애착 Q-se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백분율, 표준편차, t 검증 그리고 paired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아버지와 영아-어머니의 애착안정성 점수는 영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아버지와 영아-어머니의 애착안정성 점수는 영아의 출생 순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아-아버지와 영아 어머니의 애착안정성 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즉 영아-어머니의 애착안정성 점수가 영아-아버지의 애착안정성 점수보다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fant-father attachment with infant-mother attachment. The subjects were 40 11-19 month old infants, 20 boys and 20 girls with father and unemployed mother from middle-class families residing in Seoul and Ilsan. Attachment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attachment Q-set(Young Lee·Kyung-Ja Park·Yu-Mi Rha, 1997) based on Waters and Deane(1987)'s attachment Q-s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 test and paired 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birth-order difference i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scores of father and mothe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infant-mother and infant-father attachment security scor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fant-father attachment security scores and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scores. That is,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scores is higher than infant-father attachment security scores.

      •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애착안정성에 미치는영향 :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종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이 직무만족도를 매개하여 교사-유아 애착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을 탐색하여 교사-유아의 애착안정성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141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유아 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Bowlby의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Waters와 Dean(1985)가 개발한 애착 Q-sort를 박차선(2006)이 재구성한 것을 조문순(2008)이 교사용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백은주, 조부경(2004)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평가 도구’를 수정・보완한 권미성(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보육교사 직무만족도는 신지음(1984), 이무경(1969), 오협봉(1993), 유혜정(1996), 채규정(1988), 최인순(1995), 최윤희(1997), 함윤지(1994)의 연구를 기초로 박미선(2000)이 제작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한 권영자(2009)의 도구를, 유아 기질은 Thomas와 Chess(1977)의 PTQ(Paren Temperament Questionaire)와 Carey와 Mccdevitt(1978)의 RI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aire)를 참조한 천희영(199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연구문제 1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 2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3.1을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3.2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애착안정성, 보육교사 전문성 수준,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급여수준에 따라 교사-유아 애착안정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교사-유아 애착안정성, 보육교사 전문성 수준, 직무만족도 간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level on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job satisfaction and explore the variables, and thus to provide a basis for seeking ways to improve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and implications for training teacher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141 infants aged 3 to 5 years and their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the Attachment Q-sort developed by Waters and Deane(1985) based on the attachment theory of Bowlby was used as a tool after its being reconstructed by Park Cha-seon(2006), and then modified and complemented for teachers by Cho Mun-soon(2008), and the tool of Kwon Mi-seong(2013) made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self-evaluation scale for developmental levels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ed by Baek Eun-ju and Cho Bu-gyeong(2004)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xpertis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In addition, the tool of Kwon Yeong-ja(2009) made by modifying and complimenting the questionnaire produced by Park Mi-seon(2000) based on the studies of Shin Ji-eum(1984), Lee Mu-gyeong(1969), Oh Hyeop-bong(1993), Yoo Hye-jeong (1996), Chae Gyu-jeong(1988), Choi In-soon(1995), Choi Yoon-hui(1997) and Ham Yoon-ji(1994) was used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tool of Cheon Hui-yeong(1993) made by referring to PTQ(Paren Temperament Questionaire) of Thomas and Chess(1977) and RI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aire) of Carey and Mccdevitt(1978) was used to identify the child temperament. For computatio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0.0. With respect to research question 1,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verification of research question 2,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conducted,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search question 3.1. Lastl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o verify research question 3.2, and a Sobel-test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meditating effect i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level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that according to teachers’ salary level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level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expertis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affect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and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was proven to have a partial medit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expertise level on teacher-child attachment stability.

      •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허정숙 全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infant attachment stability and temperament adjustment in day care. 2)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of infants to the institution. In order to achieve above goals, the following questions for study were set up : Question1.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attachment stability and adjustment in day care. Question2.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adjustment in day care. Question3. The influences of infant attachment stability and temperament adjustment in day car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80 infants of 13-24 months registered in 20 day care in the city of Y, Jeollanamdo. The methodology of the infant attachment stability applied 'Q-set' interpreted and adapted by Lee, Young, Park, Kyeong-ja and Na, Yu-mi(1997) which is created by Water and Deane(1985). The measure of infants temperament applied TTQ(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 interpreted and adapted by Choi, Yeong-hui which is created Fullard, McDevitt, and Carey(1984), and the measure of infant adaptation to the institution applied PAQ(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interpreted and adapted by Oh, Jong-eun(2001), modified by Lee, Eun-kyeong(2005) which is created by Jewsuwan, Luter, and Kostelnik(1993). The researcher used the modified version to fit infants of 13-24 months in this study. The methods for the analysis of data were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stability of infants of 13-24 months who are registered in the day care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ir sex, the age of the month, and the order of their birth. Adjustment didn't reveal significant correlation, either.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fant temperament and adjustment in day care, 1) infants of mild temperament were high in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degree of self recognition', and 'adjustment for daily task'. 2) Infants of sensitive temperament were higher than the others in anxiety. 3) Infants of middle temperament were higher than the others in aggression. Third, infant temperament influenced adjustment at the day care, while infant attachment stability didn't. 1) The higher temperament as sub-domain such as 'biological dailiness', 'adjustment', and 'feeling', the higher adjustment as sub-domain such as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and 'adjustment for daily task'. Also 2) the higher 'degree of response', 'feeling' and the lower 'biological dailiness', the lower adjustment as sub-domain such as 'anxiety'. 3) The higher 'access' and the lower 'adjustment', the higher 'ag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fant temperament influenced adjustment at the day care better than infant attachment stability. And infants of mild temperament adapted to the day care better than sensitive and middle temperament. Therefore, the following proposals of the study are 1) to understand temperament of infants who respond in the different ways at the same situation. 2) to offer the information of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of infants to the institution.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보육시설 현장에서 영아들의 초기적응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보육시설에 취원하고 있는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적응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보육시설에 취원하고 있는 영아의 기질과 적응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Y시에 위치한 보육시설 20곳의 신입원아들로 1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있는 영아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영아의 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Water 와 Deane(1985)이 제작한 ‘Q-set'개정판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이영, 박경자, 나유미(199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Fullard, McDevitt와 Carey(1984)의 기질질문지 TTQ(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를 최영희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검사를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ter, Kostelnik(1993)이 개발한 유아용 적응질문지 PAQ(The Presckool Adjustment Questionaire)를 오종은(2001)이 번안하고, 이은경(2005)이 수정한 것을 본 연구자가 13개월에서 24개월 영아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2008년 3월 17일부터 4월 11일까지 4주 동안 1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영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아의 애착안정성 검사와 기질 검사는 영아의 어머니와 개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영아의 적응검사는 담임교사가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기질, 보육시설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과 보육시설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에 취원하고 있는 13개월~24개월 영아의 애착안정성은 성별과 월령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영아들의 기질에 따라 보육시설 적응에 대해 살펴본 결과, 순한 기질의 영아가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 감정’,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이 높았으며,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다른 영아보다 ‘분리불안’이 높았고, 중간기질의 영아는 다른 영아보다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애착안정성은 보육시설 적응에 설명력이 없는 반면, 기질은 보육시설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기질의 하위영역 중 ‘생리적 규칙성’과 ‘적응성’, ‘기분’이 높을수록 적응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 감정’,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아들은 ‘반응강도’와 ‘기분’이 높을수록, ‘생리적규칙성’이 낮을수록 적응의 하위영역인 ‘분리불안’이 낮게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높을수록 ‘적응성’이 낮을수록 ‘공격성’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영아의 애착안정성보다는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까다로운 기질이나 중간기질의 영아 보다는 순한기질의 영아가 보육시설에 더 잘 적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같은 상황에서도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영아들의 기질적 특성을 파악하여, 보육시설에서 초기적응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참고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는 것이라 하겠다.

      •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 어머니의 민감성과 장애아동의 애착안정성간의 구조적관계

        김은실 단국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의해 추론된 구조적 모형을 통하여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 어머니의 민감성 등이 장애아동의 애착안정성에 어떤 경로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장애유형과 발달연령에 따라서 애착안정성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세에서 7세까지의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장애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로 정신지체아동 73명, 전반적 발달장애아동 48명, 과잉행동 및 주의력 결핍장애아동 20명으로 전체 141쌍이였다. 자료는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는데, 결혼만족도, 주위의 도움, 양육스트레스, 우울 등은 설문지를 통하여 어머니에게 직접 수집하였고 어머니의 민감성(MBQ)과 애착안정성(ASQ)은 Q-sort방법을 통하여 어머니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고려하여 장애아동의 애착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한 최종모형으로 연구모형을 선택하였다. 최종모형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부적영향을 주었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는 어머니의 민감성에 부적영향을 주었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를 매개로 어머니의 민감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는 어머니의 민감성에 부적영향을 주었으며 어머니의 민감성은 애착안정성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아동의 장애유형과 발달연령에 따라서 모형의 경로차이를 검증하였으나 장애유형 및 발달연령에 따라서 모형의 경로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많이 경험하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는 우울이나 양육스트레스를 덜 경험하며, 어머니가 우울이나 양육스트레스를 덜 경험하며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민감성은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민감성이 높으면 아동의 애착안정성도 높았다. 그리고 이런 구조적인 관계는 전반적 발달장애집단과 정신지체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아동의 발달연령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support, mother's psychological status, mother's sensitivity how to effect the attachment stability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constructive model with the theoretical ground. The subjects were 141pairs, who were consisted of 73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eir mothers, 48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eir mothers, 20children with Hyperactivity and attention-deficit disordered children and their mother.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assess mother's marriage satisfaction(MS), social support(SS), mothering stress indicators(PSI) and Beck depression index(BDI). And mothers distributed by themselves to check out for mother's sensitivity(MBQ) and attachment stability(ASQ) by using Q-sor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y model was chosen to explain of the attachment stability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considering fitness and path coefficient. Social support had negative effects on mother's psychological status and mother's psychological status had negative effect on mother's sensitivity. Expecially soci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 on mother's sensitivity with mediating mother's psychological status. In addition, mother's psychological status had direct effect on mother's sensitivity and mother's sensitivity had direct effect on attachment stability. The difference of path was tes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y and child developmental 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f path by the types of disability and child development age. In conclusion, mother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s high social support experienced depression or mothering stress less, and mother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s low depression or mothering stress showed high mother's sensitivity. In addition, if mother's sensitivity were high, the attachment stability in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also high. This path didn'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ed and children with mentally retarded disordered and also the child developmental age.

      •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최승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significance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find solutions and specific information to provide understanding of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The subjects to reach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between sex? Third,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Fourth, How much does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Fifth, Is self-regulated learning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Objects of this study ar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five elementary school(about 1,110) located in Seoul, Kyon-ggi, Dae-jeon, Chon-nam, Chon-buk. Parents and friends' attachment scale(revisal, IPPA-R) designed by Armsden and Greenberg(1987) and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children that is standardized by Jung Mi-Kyung(2002) are used for this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operated to measure the sex-differences of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relation of both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it shows meaningful difference of only the same age in attachment security by sex and cognition regulation among three low-ranking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otal score of self-regulated learning, girls have higher competence than boys during socialization. Also, in terms of different grade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children to father's, mother's and parents' attachment. Among three low-ranking factors, analysis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motivation regul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ince most low-ranking factors of attach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how highly positive correlation(p<.001), it seems that fat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for fostering. Thir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explains self-regulated learning most(10~15%). For the same age attachment security, trust and familiarity explain it most(15~17%). Fourth, as a result of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groups of the low-ranking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parents', father's, mother's and peers' attachment security, it show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significance level= .001). Consequently,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regulated learning have close relation and it significantly affects self-regulated learning. Futhermore, it tells us that the formation of children's positive attitude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not fragmentary and shortsighted perspective for study, has continuously positive effects on child's development. This study helps those people who work for children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parents' education and relationship-improvement between the same age as they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at affects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in each specific stage of development. 본 연구는 아동의 애착안정성이 자기조절학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애착안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기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일반적인 경향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넷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은 자기조절학습에 어느 정도의 설명력이 있는가? 다섯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의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은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대전, 전남, 전북에 소재한 5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1110명을 대상으로,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의 개정본(IPPA-R)과 정미경(2002)이 표준화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지를 설문조사에 사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성별에 따른 차이와 두 변인과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기술통계량, Pearson 상관분석, t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애착안정성에서는 또래 애착안정성에서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학습 전체 점수와 자기조절학습의 3개 하위 요인들 중에 인지조절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회화 과정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년에 따른 애착안정성에서는 부 애착과 모 애착, 부모 애착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 전체 점수와 자기조절학습의 3개 하위 요인들 중 동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의 하위요인들과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들은 대부분 정적인 상관(p<.001)으로 높게 나타나 부에 대한 실제적인 양육의 역할 비중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조절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10 ~ 15% 정도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래와의 애착안정성은 신뢰감과 친밀감이 15 ~ 17%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차지하였다. 넷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t 검정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요인들과 부모, 부와 모, 또래 애착안정성 하위 요인들의 상·하 집단에 따른 두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모두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들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에 따른 단편적인 부분만이 아닌 자기조절학습과 같은 아동의 능동적인 삶의 태도의 형성이 그 이후의 발달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영향력을 지닌다는 점에서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부와 모, 또래와의 관계가 아동기 자기조절학습의 어느 부분에 영향을 주는 지 살펴봄으로써 부모 교육 및 또래 관계 개선의 중요성에 대해 재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