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20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significance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find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significance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find solutions and specific information to provide understanding of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The subjects to reach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between sex?
      Third,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Fourth, How much does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Fifth, Is self-regulated learning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parents and peers?
      Objects of this study ar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five elementary school(about 1,110) located in Seoul, Kyon-ggi, Dae-jeon, Chon-nam, Chon-buk. Parents and friends' attachment scale(revisal, IPPA-R) designed by Armsden and Greenberg(1987) and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children that is standardized by Jung Mi-Kyung(2002) are used for this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operated to measure the sex-differences of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relation of both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it shows meaningful difference of only the same age in attachment security by sex and cognition regulation among three low-ranking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otal score of self-regulated learning, girls have higher competence than boys during socialization. Also, in terms of different grade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children to father's, mother's and parents' attachment. Among three low-ranking factors, analysis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motivation regul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ince most low-ranking factors of attach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how highly positive correlation(p<.001), it seems that fat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for fostering.
      Thir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explains self-regulated learning most(10~15%). For the same age attachment security, trust and familiarity explain it most(15~17%).
      Fourth, as a result of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groups of the low-ranking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parents', father's, mother's and peers' attachment security, it show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significance level= .001).
      Consequently,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regulated learning have close relation and it significantly affects self-regulated learning. Futhermore, it tells us that the formation of children's positive attitude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not fragmentary and shortsighted perspective for study, has continuously positive effects on child's development.
      This study helps those people who work for children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parents' education and relationship-improvement between the same age as they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at affects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in each specific stage of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애착안정성이 자기조절학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애착안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

      본 연구는 아동의 애착안정성이 자기조절학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애착안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기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일반적인 경향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넷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은 자기조절학습에 어느 정도의 설명력이 있는가?
      다섯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의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은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대전, 전남, 전북에 소재한 5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1110명을 대상으로,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의 개정본(IPPA-R)과 정미경(2002)이 표준화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지를 설문조사에 사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성별에 따른 차이와 두 변인과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기술통계량, Pearson 상관분석, t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애착안정성에서는 또래 애착안정성에서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학습 전체 점수와 자기조절학습의 3개 하위 요인들 중에 인지조절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회화 과정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년에 따른 애착안정성에서는 부 애착과 모 애착, 부모 애착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 전체 점수와 자기조절학습의 3개 하위 요인들 중 동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의 하위요인들과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들은 대부분 정적인 상관(p<.001)으로 높게 나타나 부에 대한 실제적인 양육의 역할 비중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조절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10 ~ 15% 정도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래와의 애착안정성은 신뢰감과 친밀감이 15 ~ 17%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차지하였다.
      넷째, 아동의 부모 및 또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t 검정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요인들과 부모, 부와 모, 또래 애착안정성 하위 요인들의 상·하 집단에 따른 두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모두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들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에 따른 단편적인 부분만이 아닌 자기조절학습과 같은 아동의 능동적인 삶의 태도의 형성이 그 이후의 발달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영향력을 지닌다는 점에서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부와 모, 또래와의 관계가 아동기 자기조절학습의 어느 부분에 영향을 주는 지 살펴봄으로써 부모 교육 및 또래 관계 개선의 중요성에 대해 재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애착안정성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애착안정성 = 6
      • 2. 자기조절학습 = 13
      • 3. 선행연구의 고찰 = 19
      • Ⅲ. 연구방법 = 22
      • 1. 연구대상 = 22
      • 2. 측정도구 = 23
      •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26
      • Ⅳ. 결과 및 해석 = 27
      • 1.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일반적 경향성 = 27
      • 2. 성별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 = 29
      • 3.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상관관계 = 32
      • 4.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아동의 애착안정성의 설명력 = 40
      • 5. 아동의 애착안정성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 46
      • Ⅴ. 논의 및 결론 = 61
      • 1. 논의 = 61
      • 2. 결론 및 제언 = 65
      • 참고문헌 = 67
      • ABSTRACT = 78
      • 부록 =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