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육군의 안전교육과 안전의식이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전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천용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방부는‘국방안전훈령’을 제정하여 어느 때보다 국방 안전관리에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안전에 관련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국방 안전문화 정착에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잦은 군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손실과 전투력 저하는 물론 대군불신을 초래하고 있어 안전에 관련한 연구가 필요한 시기이다. 그동안 대부분의 안전에 관한 연구는 민간 산업체와 기업, 직장과 관련한 안전문화와 안전행동, 안전성과 등이 대부분이었으나, 군 조직의 안전문화를 다루는 실증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육군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인 안전교육과 안전의식이 안전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와 Mckinsey의 7S 모델의 변수를 안전문화에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안전성과를향상시킬 안전문화 정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의 안전교육과 안전의식은 안전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육군의 안전문화는 안전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안전교육과 안전의식은 안전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안전교육과 안전의식은 안전문화와 안전성과에 매개작용을 할 것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육군에 근무하는 초급간부로부터 고급장교까지로 하였으며, 2021년 8월 9일부터 8월 19일까지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도구는 SPSS 24.0과 AMOS 22.0을 활용하였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교육의 하위변인 중 안전교육에 대한 태도와 안전교육 프로그램 이행도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둘째, 안전의식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의식의 하위변인인 안전규칙 엄격성과 안전교육 이해도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안전교육이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교육의 하위변인 중 안전교육에 대한 태도와 안전교육 프로그램 이행도가 안전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안전의식이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의식의 하위변인인 안전규칙 엄격성, 위험처리방식, 안전교육 이해도가 안전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안전문화가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문화의 하위변인인 구성원과 리더십 스타일이 안전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안전교육과 안전의식이 안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안전문화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모두 매개효과가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의 안전교육 매뉴얼이 병과별 특성 즉 장비운용, 교육과정 등과 양성 및 보수교육을 구분하여 보완이 필요하고 학교교육간 과정별 안전문화 관련 교육시간이 증가되어야 한다. 둘째, 군 조직의 특성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적합한 내용이 모두 포함된 Mckinsey 7S 모델의 주요변수를 육군의 안전문화에 적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안전관련 투자와 안전예산 확충, 안전시설이나 안전장비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촉구된다. 넷째, 민간의 분야별 전문 안전기관과 연계된 상생 협력체계를 지역별‧제대별로 세분화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안전교육이 안전문화 형성으로 이어져 안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규명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상급부서로부터 전술적 제대까지 연계된 육군의 안전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육군을 대상으로 한정된 연구로써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 시에는 육‧해‧공군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enacted the‘Defense Safety Ordinance’and is more than ever striving to set a national defense safety culture by establishing medium- to long-term plans related to safety, such as lay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defense safety management. Nevertheless, frequent safety accidents in the military have led to not only the loss of lives and reduced combat power, but also distrust in the military. Thus, there is a need for safety-related research. Currently,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regarding the safety culture of military organizations, as existing research on safety has primarily focused on safety culture, safety behavior, and safety performance related to private industries, companies, and workplaces. Give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how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both of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in the army, affect safety perform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by applying the variables of the McKinsey 7S Model to safety culture. Through this, a plan for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was suggest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and to improve safety performance.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affect safety culture in the army? Second, how does safety culture affect safety performance in the army? Third, how do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affect safety performance? Fourth, will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erformance? A survey was con ducted from August 9 to August 19, 2021 among 266 subjects who were beginner to senior officers working in the army. SPSS 24.0 and AMOS 22.0 were used as analysis t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safety culture, attitude toward safety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safety culture among sub-variables of safety education.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safety awareness on safety culture, the rigor of safety rules and understanding of safety educa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safety awareness, had an effect on safety.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safety performance, among the sub-variables of safety education, the attitude toward safety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safety performance. Fourth, regarding the effect of safety awareness on safety performance, safety rules strictness, risk handling method, and understanding of safety educa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safety awareness, had an effect on safety performance. Fifth, regarding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safety performance, membership and leadership style, which are sub-variables of safety culture, had an effect on safety performance. Six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on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affecting safety performance showed that both had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safety education manuals in school education need to be separately supplemen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namely, equipment operation, curriculum, training, and refresher training, and training hours related to safety culture for each course between school educations should be increa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apply the main variables of the McKinsey 7S Model to the safety culture of the army, which contains all the cont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military organizations. Third, continued interest in safety-related investments, the expansion of safety budgets, and the securing of safety facilities and equipment is urged. Fourth, the win-win cooperation system with private safety agencies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sector by region and military uni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the results clearly identified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safety performance through safety culture. Therefore,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a policy that could establish the safety culture of the army linked from the upper department to the tactical discharg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in the army, so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to include the Army, Navy, and Air Force in future follow-up studies.

      • 안전문화 요소 중 학습이 기업의 안전 분위기 및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주영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재해는 시설과 장비 등의 물리적 요인보다는 근로자의 작업요인과 기업의 안전문화 및 분위기 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재해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 중에 하나인 근로자의 행동에 안전문화 요소 중의 하나인 학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에서의 안전문화 및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안전문화 요소 중에 안전교육(학습)이 각 안전문화의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안전문화 정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교육은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안전행동은 재해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산업재해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안전문화 확산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마련과 교육의 필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와의 연관관계에 관한 연구 : 안전행동몰입을 매개로

        김회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모든 국민이 각종 재난과 사고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안전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도록 대한민국 헌법에서도 국민의 안전에 대해 보장하고 있으며, 정부도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안전문화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 확대와 중요성은 점차 커져가고 있으며, 조직의 안전은 4차 산업 혁명시대의 필수적인 미래 경영요소가 되었다. 이제 기업의 안전문화 형성은 단순히 손실을 억제하거나 낮추는 것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신용도를 높이는 등 기업의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인 전략인 것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안전문화의 정착과 사고와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이를 매개하는 안전행동몰입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제조업, 서비스업, 체육시설업, 건설업 등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안전문화의 내부적인 측면인 기업의 안전동기, 안전규범, 안전절차 등이 조직 구성원의 안전행동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행동몰입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안전문화요소(안전동기, 안전규범, 안전절차)가 안전행동몰입과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두 변수 사이에서 안전행동몰입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안전문화, 안전행동몰입, 사고와의 연관관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려는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기업의 안전문화를 형성해서 안전행동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가설 1,2,3). 또한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의 관계에 있어서 안전행동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둘째, 기업의 안전동기보다 안전규범, 안전규범보다 안전절차가 조직 구성원들의 안전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안전규범을 충분히 숙지하고 안전절차를 최우선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안전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체육시설업, 제조업, 서비스업종별 순서로 조직 구성원들의 안전문화 인식 차이가 높음을 실증하였다. 업종별 다중비교 산출결과 체육시설업은 제조업보다 안전규범에서 평균 .59만큼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서비스업보다는 안전동기 및 안전절차에서 평균 .33만큼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체육시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순서로 기업의 안전문화 인식에 높은 결과를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그동안 부족했던 안전문화의 내부적인 측면인 조직 구성원들의 안전동기, 안전규범, 안전절차가 안전행동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고, 또한 안전행동몰입과 조직 구성원들의 사고 감소와의 연관관계를 밝힘으로서 안전행동몰입을 강화시킴으로서 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이어 기업의 안전문화를 이루는 구성요소 간의 중요도를 AHP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 안전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도입 이전과 도입 후 3년이 경과한 후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하길 바란다.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the safety of the people to ensure their safety rights who are exposed to a variety of disasters and accidents in the modern society. The government is also making their efforts to establish the culture of safety. As such,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expand the awarenes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wareness with respect to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has become a critical management factor to be considered in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ow, establishing the safety culture in a company is not only a matter of profit and loss but also is a mandatory strategy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gain legitimacy. Despite its import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e safety culture and occurrence of accidents has been understudied. Also,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safety behavior commitment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afety culture and occurrence of acci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 of a company’s internal safety factors — such as safety motives,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 — on the members’ safety behavior commitment by studying the employees working in manufacturing, service, sports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dustry. Also,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behavior commitment that affects the safety culture and reduces the accidents. To do so, a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was conducted, followed by an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a company’s safety culture factors (safety motives,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s)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and accidents. Moreover, the analysis included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behavio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e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s safety culture, safety behavior commitment, and acci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ntary efforts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establish safety culture have a positive impact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by creating safety culture (Hypothesis 1, 2, and 3). Also, there is mediation by safety behavio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accidents (Hypothesis 4). Second, the impact of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s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safety motiv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critical to establish safety culture in a way to encourage the members to fully be aware of the safety norms and prioritize safety procedures. Third, the within-organization variation in terms of the safety culture awareness is high in the order of sports facilitie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of the multi-comparison calculation by industry type, the sports facilities industry was .59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safety norms, and .33 higher than the service industry in safety motives and safety procedures. The overall results exhibits that safety culture awareness is high in the order of sports facilitie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safety motives,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s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which has been lacking in the previous literature. Also,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the reinforcement of safety behavior commitment would be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company b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behavior commitment and reduction of accidents. I recommend future studie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factors that consist safety culture of a company based on AHP analysis and analyze the effects by comparing between when the international standard was first introduced with three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 건설현장 안전문화향상을 위한 관리감독자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조환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fundamental solution to safety accidents is in the safety culture, which is the creation of a safe atmosphere in the workplac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culture formation because the management supervisor 's perception that the production is done by the members and the safety is done by the safety and health staff is widespread, and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s also uniform and the education is focused on regulati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is urgent for the creation of the safety culture of the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e role and motivation of the supervisor who is the center of safety and health. The role recognition and safety motivation of supervisors are essential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workers and the safety atmosphere of the workplace,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emotional safe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emotion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by stimulating the emotions of the supervisor,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safety education containing the contents of role recognition, motivation, synchronization, emotional technology, and emotional expansion model on safety cultur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afety culture for construction site supervisors, to verify its effects, and to provide a mechanism for emotional safety operation to help prevent disasters and apply them to other fields.  The experimental group of 10 and the control group of 10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the supervisors work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eriod was 5 months from February to June 2023, and the experimental study consisting of the equivalence control group pre-, post-, and follow-up (stage 3) was conduc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four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nd development,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necessary models were presented.     First, the components and cont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five elem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reconstructed and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site was developed.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6 sessions for construction site supervisors, and it was developed based on 4 stages of emotional intelligence utilization (self-awareness,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emotional technology, emotional expansion) and 5 elements of emotional safety composition (self-awareness, self-regulation, synchronization, management technology, social technology).     Second, the emotional safety culture scale was developed to confirm that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safety culture, the reduction of the stress, a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e developed Emotional Safety Culture Scale consisted of 21 items, including 4 sub-areas of self-regulation ability, safety culture level, risk-taking, and emotional index.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afety culture index, emotional index, and self - regulation ability, which are diagnostic items of safety culture improvement, and that it had an effect on reducing job stress.     Third, as for the mechanism of operation of emotional safety, the proce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Unlike the existing education, the safety motivation was delivered to the trainees through the safety education based on emotion,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paradigm of ‘self-reliance, empathy, and affirmation' It was analyzed that workers' voluntary safety behavior was manifested as disaster prevention. In addition, the concept of emotional safety, which was unclear in previous studies, was clearly redefined as emotional-based safety (EMBS), and the emotional safety was expanded to safety culture, and a concrete effect model for realizing disaster prevention was presented.     Fourth, the specific procedure model for the expansion of emotional safety is as follows.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However,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can be extended to other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 power plant, manufacturing, aviation, and railway beyond specific industries. To this end, based on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s a total of four stages of the procedure model,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each target industry or site was successfully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 of utilizing the emotional safety extension model.     Therefore, the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lf-regulation index, the emotional index, and the safety culture index of the construction site supervisor and reducing the job stress.,As practical implications, the developed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empirical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site to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safe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dustrial psychology and cognitive engineering, and a concrete effect model was presented through a mixed study using qualitative research of ‘program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research of ‘effect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at it presents the paradigm shift of emotional safety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highly recognizes that the safety based on emotion is valuable and reliable.  안전사고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사업장의 안전한 분위기 조성’인 안전문화에 있다. 현재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 교육은 대부분 안전기술과 안전지식 위주의 내용으로 구성되고, 안전동기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생산은 구성원이 하고, 안전은 안전보건 스태프가 하는 것'이라는 관리감독자의 인식이 팽배하고, 안전보건 교육 또한 획일적이고 규제 위주로 교육 여부만 확인하고 있어 안전의식과 문화형성에는 한계가 있다. 조직의 안전문화 조성은 구성원 모두의 자발적인 참여를 절실히 요구하기에, 현장을 가장 잘 알고 안전보건의 중심이 되는 관리감독자의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사업장의 안전분위기 조성에의 역할인식과 안전동기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감성 기반의 안전교육으로 강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안전문화향상을 위한 감성기반의 안전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리감독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감성지능을 높이며, 역할인식과 동기부여, 동기화, 감성기술, 감성확장모델의 내용이 담긴 감성안전교육이 안전문화조성,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안정감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더불어 건설현장 관리감독자를 대상으로 안전문화향상을 위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감성안전작동 메카니즘을 제시하여 재해예방과 타 분야에 적용에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의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관리감독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고, 프로그램 개발 및 5개월의 실시를 통해, 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추후(3단계) 시차로 구성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내용은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감성지능의 5요소를 재구성하고 건설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은 건설현장 관리감독자를 대상으로 6차시로 구성되어 있고, 감성지능활용 4단계(자기인식, 감성이해와 표현, 감성기술, 감성확장)와 감성안전구성 5요소(자기인식, 자기조절, 동기화, 관리의 기술, 사회적 기술)를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안전문화 향상, 스트레스 감소,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감성기반 안전교육이 안전문화향상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감성안전문화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감성안전문화 척도는 자기조절능력, 안전문화수준, 위험감행성, 감성지수의 4개 하위영역, 총 2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제안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안전문화향상의 진단항목인 안전문화지수, 감성지수, 자기조절능력에 효과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로 감성안전의 작동 메커니즘 모델 제시를 통해 제안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발현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기존 교육과 달리 특히 안전동기(positive affectivity)가 교육생에게 전달되어, 내부적으로 '자립, 공감, 긍정'의 변화를 일으켜, 근로자의 자발적인(autonomous) 안전행동이 재해예방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감성안전의 개념을 감성기반안전(EMBS)으로 명료하게 재정립하였고, 감성안전이 안전문화로 확대되어 실질적으로 재해예방의 실현까지 이어지는 구체적인 효과모형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로 감성안전의 타 분야 확대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은 건설분야의 감성안전교육에 집중하였지만, 그 골격은 특정 산업을 넘어 반도체, 발전소, 제조업, 항공, 철도 등 타 산업군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총 4단계의 절차모형으로 개발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감성안전 확장모델을 활용하는 과정을 거쳐 대상 산업 또는 현장별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실시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은 건설현장 관리감독자의 자기조절지수·감성지수·안전문화지수를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개발된 감성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증적으로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산업심리학과 인지공학적 접목을 통해 감성안전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의 질적연구와 ‘효과검증’의 양적연구를 활용한 혼합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효과모형을 본 연구는 또한 제시하였다.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향상의 발전된 대안으로 감성안전교육 전과정 설계와 더불어 감성기반 안전의 효과성과 구체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기에 본 연구의 성과는 확대 적용을 통해 건설산업 재해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안전보건문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정종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evaluation tools that can be applied sustainedly in establishing safety and health culture in the workplace through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and health culture of oil refineries. Workplace risk factors,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al structure, presence of labor union, oper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 documentation i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er safety behaviour, communication, operational excellence were 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do influence safety and health culture where worker's safety behavior is noticed influenced by the appropriateness of the organization's safety system documentation while presence of chemicals or physical hazards and unions in a workplace affect the organization's operational excell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al assessment conducted on G Company, leader group regard safety awareness as important while technical group prioritize site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al maturity got the highest score in safety culture maturity assessment while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s essential for a sustainable safety and health culture in oil refineries. Introducing and building an appropriated safety culture program is helpful in preventing occupational accident in workplace. Besides, the study remind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 culture improvement program through safety and health culture status evaluation with pilot studied safety and health culture maturity model, behavior based safety observations, pre-work risk assessment, workplace inspection and potential hazards elimination, help in sustaining a positive safety and health culture effectively. 본 연구는 정유공장을 대상으로 한 안전보건문화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향후 사업장에서 안전보건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작업장 내 위험요소, 안전보건 조직구성, 노동조합의 유무,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안전보건관리 문서화이고, 근로자의 안전행동,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 운영강령을 종속변수로 하여 안전보건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안전보건문화 영향요인으로는 사업장 내 안전보건관리 조직이 구성되어 있고, 안전보건관리 문서화가 적절한 기업일수록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사업장 내 화학물질이나 물리적 위험요소가 존재하거나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가 운영강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G기업을 대상으로 한 안전인식 및 행동수준 평가결과에서 리더그룹은 안전에 대한 인식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반면에 기술직군은 현장에서의 안전관리 활동에 대해 더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안전보건문화 성숙도 수준에 대한 평가에서는 조직 성숙도 수준이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의사소통 항목은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정유공장의 안전보건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사업장에 적합한 평가도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수적이며, 조직문화에 특성화된 안전문화 프로그램의 도입 및 구축이 이루어져야만 안전문화 정착을 통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은 안전보건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비슷하고, 실행이 중요함을 일깨어 주므로, 시범사업장 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안전보건문화 성숙도 설문을 이용하여 안전보건문화에 대한 현 수준을 평가하고, 행동기반에 초점을 두는 안전관찰 실시, 작업 전 작업위험성 평가 실시, 철저한 시고조사를 통한 사업장의 위해·위험요인 등의 제거 등의 활동 요소들을 감안하여 안전보건문화 향상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행한다고 하면, 상호보완적인 안전문화정착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철도기반 공공서비스업종의 조직안전문화 수준측정 및 불안전한 행동 확률에 관한 연구

        강동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8년 12월 석탄화력발전 공기업에서 발생된 하청 청년근로자의 사망사고를 계기로 전면개정 산업안전보건법이 국회를 통과하여 2020년 1월 16일부터 순차적으로 시행되며, 2019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과도 관련이 깊은 공공기관의 안전강화도 시행되고 있다. 최근 5년간 통계자료에 의하면 공공기관은 전체 재해자의 1.8%, 사망자는 전체의 5.3% 비중을 차지하나 기관(회사)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매우 높은 수치이다. 또한, 서비스업종은 매년 재해율이 감소하는 제조업· 건설업과는 달리 재해율은 높고 증가하고 있고, 주로 인적자원에 의한 작업이 다수를 차지함에 따라 인적 ‘불안전한 행동’ 요인이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철도교통사고의 경우 열차사고 등의 전체사고는 연평균 12% 가량 감소하고 있지만, 여객·공중·직원에 대한 교통사상사고는 여전히 높은 수치로 발생되고 있다. 그 중 직원의 경우 ‘불안전한 행동’이 주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철도기반 공공서비스업종의 종사자들의 ‘불안전한 행동’ 또는 휴먼에러를 줄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 선행연구를 통해 휴먼에러와 관련 시스템적 접근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직(안전)문화와 안전행동 관련 선행연구들의 조사를 통하여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 신뢰의 조직문화와 안전문화와 상호 연계성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고, 결국 안전풍토와 안전행동의 영향과 관련하여 공공서비스업종 종사자(승무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 관리자 리더십의 안전풍토와 안전행동의 영향을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연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안전행동은 조직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 관리자 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분석시 경영시스템과 관리리더십은 별도의 요인으로 구분되지 않고 그 자체가 일체로서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경영시스템과 관리리더십의 상관관계는 0.01의 유의수준 내에서 91%의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직안전문화 구성요소의 영향관계를 밝히는데 국한되지 않고, 궁극적으로 인적 ‘불안전한 행동 확률’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화를 통해 재해율 감소를 위한 정책 수립시 고려되는 개선의 우선순위 등을 밝히려 노력하였고, 이를 위해 휴먼에러의 정량적 평가 및 저감기법(HEART)를 활용하였다. 이 기법을 제안한 Williams는 사고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경험칙으로 인간 비신뢰도에 대한 기준치와 다양한 에러발생조건에 대한 에러변화량을 정량화하여 제시하고 있지만, 최종 에러발생 확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또는 평가자에 의해 에러발생조건에 따른 0에서 1까지의 비 정량적인 영향비율평가를 거치게 되는데,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 사례를 검토한 결과 이러한 영향비율평가에 문제점을 제기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에, 조직안전문화적인 요소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불만족비율이라는 보다 정량적인 비율평가를 적용하여 보완하면서 결국 불안전한 행동 확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재해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수립에 보편적이면서 보다 정량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선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실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자부품 제조업 안전문화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A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직의 안전문화의 중요성과 기업의 안전문화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된다. 안전문화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식으로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하고 개인 또는 조직 전체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행동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전문화는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안전을 확보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수준의 안전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관점에서 안전문화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근로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성 수준을 평가하고 근본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의식, 제도(규제), 제도의 중요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고, A사 직원을 대상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3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인터뷰에서 설문 대상자들은 개인의 안전의식, 시스템(규제), 시스템이 이미 갖춰져 있지만 실제적인 태도나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는 기업의 안전문화가 아직 선언적 수준이며, 적극적으로 안전문화를 정착·발전시키기 위한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중요요인을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안전의식 측면에서 조직의 공통안전방침을 수립하고 준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규제해야 하며, 모든 구성원이 서로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둘째, 복잡한 법제도의 간소화를 통해 첨단기술에 대한 규제를 적시에 적용할 수 있고, 인력을 확충하여 법과 규제의 한계와 전문성과 공정성의 문제를 방지한다. 규제 기관 및 이를 집행하는 직원. 필요한 경우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행정 집행이 가능해야 합니다. 셋째, 조직의 안전보건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야 한다. 조직원들의 높은 안전의식과 이를 뒷받침하는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고 유지될 때 안전문화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stablish a plan to identify and improve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s safety culture and the current level of the company's safety culture. Safety culture is a consciousness that puts safety first, shared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refers to attitudes and behavior patterns that affect decision-making of individuals or the entire organization. Since this safety culture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securing safety throughout the company's activities, despite efforts to form a higher level safety culture, our reality is that it is no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afety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any,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workers, an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level of specialization and identify the root cause.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investigated to select important factors of safety awareness, system (regulation), and system that affect safety culture,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three aspects were investigated for employees of company A. In the interview, the survey subjects responded that the individual's safety awareness, system (regulation), and system were already in place, but it did not lead to actual attitudes or behaviors. This confirms that the company's safety culture is still at a declarative level, and activities to actively establish and develop the safety culture are not being properly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were identified with the focus on thre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afety culture,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could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afety awareness,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regulated for the establishment and compliance of the organization's common safety policy,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should be possible so that all members can shar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Second,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complex legal system, regulations on cutting-edge technologies can be applied in a timely manner, and the number of human resources is expanded to prevent the limitations of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problems of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 the regulatory agencies and personnel that enforce them. Administrative enforcement, including external experts, should be made available, if necessary. Third,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continuously monitored and improved so that the organization'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When organizational members' high safety awareness and supporting regulations and systems are prepared and maintained, safety culture can develop one step further,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aintain it.

      • 안전성숙도와 기관성과에 관한 철도종사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조현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Since railways are transportation with the specific features of mass transportation, speed and accuracy are needed and above all, safety must be secured. Railways are designed and operated under complex regulations and multiple safety systems regarding safety, and are managed by changing from the existing post-active safety management method to a proactive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Because of these various efforts to improve railway safety, railway accidents and obstacles are steadily decreasing but still they are constantly occurring both at domestic and abroad, so it is hard to say that the anxiety and concerns of users are decreasing. While emphasizing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culture above all the others when it comes to railway management to prevent railway accidents and obstacles, practical research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ailway institutions and railway employees and checking the role of railway institutions’ safety culture and safety practice with a simplified and easy-to-access safety culture measurement metho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improving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operational performance,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criterion for improving safety culture, and to suggest the way how to make a mature safety culture. To achieve this goal, 471 people’s data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questionnaires and direct questionnaires, who are working in Korea Railroad Corporation and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Using PC Version Window Program SPSS Statics 25.0 and AMOS 22.0, research problem under seven factors; safety culture (safety responsibility, safety information,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 (safety response, safety behavior),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operational performance, were deducted and analyzed under scientific research methods and processing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fety culture (safety responsibility, safety information, and safety awareness) was extracted into three factors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factors inherent i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safety mastery of railroad workers. safety practice (safe response, safety behavior) were extracted as two facto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afety maturity was grouped as one factor and institutional operation performance was also grouped as one factor. Second, statistical tests suc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a railway employee safety culture(safety responsibility, safety information,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safety response, safety behavior),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correlation test display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upper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n variables all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safety culture (safety responsibility, safety information, safety awarenes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safety practice (safety response, safety behavior),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except for the effect of safety perception on safety behavior. Additionally, safety practice (safety response, safety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Third, structural equ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 structural model of seven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model of four upper variables for the role of the related structural model. This model involved railway Employees' perception of safety practice (safety response, safety behavior) and variables regarding safety culture (safety responsibility, safety information, safety awareness),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The route analysis of 7 structural models found that all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variables except for the effect of safety perception on safety behavior. The study found that railway employee safety practice played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maturity of railway employee, and also showed that the safety practice of railway workers also played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of path analysis with four structural models: safety culture, safety practice,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all paths significantly affect each variable.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afety culture (safety responsibility, safety information,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 (safety response, safety behavior),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safety according to affiliated institution according to railway institu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factors except safety awareness. I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Korea Railroad Corpo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igher than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in all factors except safety response. This study was highly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afety culture, safety practice, safety maturity, and institutional operational performance of a railway employee and showed their clos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role of practice, as well as deduced implications. The more the awareness of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practice of a railway employee is improved and the became more practical, the synergy effect will make safety maturity the more strengthened and will be contributed to improving institutional operational performance. 철도는 대량수송의 특수성을 지닌 교통이기에 신속성, 정확성이 요구되고 무엇보다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안전과 관련한 복합적 규제와 중첩적인 안전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기존의 사후적 안전관리방식에서 사전 예방적 철도안전관리시스템(SMS)으로 전환하여 관리가 되고 있다. 이러한 철도안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철도사고는 꾸준히 감소추세이나 철도사고 및 장애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이용객들의 불안과 우려는 감소하고 있다고 볼 수만은 없다. 철도사고 및 장애 예방을 위한 철도 안전관리에 있어 무엇보다 안전문화 정착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안전문화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철도기관과 철도종사자의 내적 특성을 이해하고, 간소화하여 접근이 용이한 안전문화수준측정 방법으로 철도조직의 안전문화와 안전실천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안전문화가 향상되는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안전성숙도와 기관성과의 제고를 위해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성숙한 안전문화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전자 설문지와 직접 설문지를 통해 총 47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PC Version Window Program SPSS Statics 25.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 안전실천(안전대응, 안전행동), 안전성숙도, 기관성과의 7가지의 변인을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그 중심으로 과학적 연구방법과 처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도종사자의 안전성숙도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안전문화, 안전실천, 안전성숙도, 기관성과에 내재된 측정항목 요인분석 결과, 3개(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 안전실천 2개(안전대응, 안전행동)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안전성숙도, 기관성과의 측정항목도 하나의 요인으로 묶인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 안전실천(안전대응, 안전행동), 안전성숙도, 기관성과 간에는 서로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에 대한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상위변인 간 관계, 그리고 7개의 변인 간의 관계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철도종사자의 안전인식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가 안전실천(안전대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가 안전실천(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는 안전성숙도, 기관성과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실천(안전대응, 안전행동)은 안전성숙도, 기관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철도종사자의 안전실천(안전대응, 안전행동)에 대한 인식은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 안전성숙도, 기관성과 등을 기반으로 한 안전성숙도 관련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7개 변인의 구조모형과 상위변인 4개의 구조모형으로 구분하여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7개 구조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경로분석 결과, 안전인식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p=.445)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가 유의하게 변인 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와 안전성숙도의 관계에서 안전실천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와 기관성과 간 관계에서도 철도종사자의 안전실천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안전문화, 안전실천, 안전성숙도, 기관성과의 4개의 구조모형으로 하여 구조방정식 경로분석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하게 변인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넷째, 철도기관에 따른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안전책임, 안전정보, 안전인식), 안전실천(안전대응, 안전행동), 안전성숙도에 대한 인식은 소속기관에 따른 안전문화의 안전인식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에서 안전실천의 안전대응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 안전실천, 안전성숙도, 기관성과 간 관계를 규명하여 이들의 밀접한 유의미한 관계성과 안전실천의 역할을 확인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와 안전실천은 각종 안전관련 정보와 안전을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을 통해서 관계가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종사자의 안전문화와 안전실천에 대한 인식이 향상된다면 보다 실천력이 높아지고 그 시너지 효과가 더해져 안전성숙도는 더욱 공고히 되고 기관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재난안전체험교육 시설을 중심으로

        김혁곤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bout promot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to establish a safety culture. Although many policies for safety culture have been implemented by central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o far, analysis of each one has shown that safety culture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Korea, leading to a series of major and minor national disasters. The safety culture movement, discussed in 1990 and implemented in earnest since 1995, was mainly focused on indirect safety cultural movement through promotional activities and campaigns. However, since indirect and passive activities are limited to establishing safety culture, this study will draw and present measures for activat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where each citizen learns and learns firsthand how to respond to disasters by type rather than indirect activities. First, we analyze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afety culture and the degree of settlement of the current safety culture. According to the nation's safety level, there are 61.6 deaths from safety accidents per 100,000 peopl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of 48.7. Despite the low safety sensitivity of the Korean people, the country has a very low level of safety-criticality, ranking 13th and 12th among 15 OECD countries, respectively. Statistics on obstacles to a safe society showed that safety awareness and cultural absence were 28.9 percent, lack of participation in safety activities 25.9 percent, lack of safet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16.4 percent, lack of supervision, etc. The top three items indicate a lack of safety education, such a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 As a result, 310 related fire service workers who planned and operated disaster safety education services at 34 fire departments in Gyeonggi-d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o analyze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culture settlement and disaster safety education. A total of 310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with 263 respondents, and the survey results were extracted with the SPSS 19.0 Window version and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 effective cumulative frequency (5).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Korea by compiling preliminary study data and survey results to draw up measures for activating the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order for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safety education, disaste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facilitie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now that it is only established and operated in seven cities across the country as a regional hub, it has been found that many people are not participating in disaster safety education.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disaster safety training facilities are that the safety centers in the area are located in Dongjak-gu, Seoul, Cheonan, Imshil-gun, Jeonbuk, Dongnae-gu, Busan, and Taebaek. While nearby residents are more likely to use the facilities to train disaster safety, the majority of residents in remote areas do not benefit from the disaste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majority of the public has difficulty participating in disaster safety education except those living in cities near safety centers in urban area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building safety centers around the country, which cost between 20 billion won and 50 billion won to set up one facility. Therefore, if 119 safety experience centers, which cost an average of 500 million won to 1 billion won to be installed,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at each fire station, the entire nation can benefit from disaste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Therefor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disaste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facilities, which are not yet under research, were analyzed. In conclusion, the safety-experience classrooms set up at fire stations across the country were identified as an efficient means rather than as safety centers in large c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stall a 119 safety center-sized saftety experience facilities, modeled after a safety-experience classroom installed and operated at a city and the country fire station. If 213 fire stations nationwide operate with one experience center, the expertise of accessibility and disaste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will be strengthened. Accordingly, it will be easy for the entire nation to participate in the disaste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and the public safety awareness will be strengthen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본 연구는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로 지금까지 중앙부처와 정부외의 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안전문화에 대한 많은 정책이 시행되어 왔음에도 중앙부처 등 각 종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보면 아직 우리나라에 안전문화가 정착되지 못하고 최근에도 크고 작은 국가적인 재난이 이어지고 있다. 1990년도부터 논의되어 1995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안전문화운동의 추진방향은 홍보활동 및 캠페인 등을 통한 간접적인 안전문화운동 위주로 운영되었으나 이러한 간접적이고 소극적인 활동으로는 안전문화 정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국민 한명 한명이 직접 참여하여 재난 유형에 따른 안전을 체험하고 배우며 재난사고 현장대응 및 대처방법을 직접 배우고 익히는 재난안전체험교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여 안전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안전문화의 도입과 전개 및 현재 안전문화 정착도를 분석하였으나 우리나라의 안전수준을 보면 10만명당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61.6명으로 OECD 평균 48.7명인데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국민의 안전체감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중시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OECD 15개 국가 중 각각 13위와 1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사회의 장애요인을 보면 안전의식 및 문화부재가 28.9%, 안전행동 참여부족 25.9%, 안전교육 및 홍보부족 16.4%로 나타났으며 지도층 무관심, 관리감독 점검부실, 법령 및 제도미비 등 순으로 나타났는데 상위 3개 항목은 안전의식, 안전행동 등 안전교육적인 측면이 부족하였다는 것이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안전문화 정착도 및 재난안전교육 현 실태와 활성화 방안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34개 소방서에서 재난안전교육 업무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관계 소방공무원 310명에게 구조화 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1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263명이 응답을 해왔으며 사회과학통계패키지 SPSS 19.0 Window 버전으로 설문결과를 추출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와 분포(%) 유효 누적빈도(5)로 분석하였다. 재난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자료와 설문조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현재 국내 재난안전교육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보다 많은 국민이 안전교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재난안전체험교육 시설이 전국에 고르게 분포되어 설치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거점식으로 전국 7개 도시에만 설치되어 운영되다보니 재난안전교육에 많은 국민들이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시·도의 거점지역에 설치된 안전체험관은 인근의 몇몇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에게는 안전교육의 수혜가 있지만 넓게 보면 재난안전체험교육에 모든 국민이 참여하기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연구가 미치지 않은 재난안전체험교육의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결론으로 전국 시·도에 거점식으로 설치된 안전체험관보다는 전국 시·군의 소방서에 설치된 안전체험교실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소방관서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안전체험교실을 모델삼아 소방서 119안전센터 규모의 미니체험관을 전국 213개 소방서에 1개소씩 설치하여 운영한다면 접근성 및 재난안전체험교육의 전문성이 강화되어 전 국민이 재난안전체험교육에 참여하기 용이해 질것이며 이에 따라 국민안전의식이 강화되어 안전문화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 to Midium Hospitals. 간호학과 이 미 정 지도교수 배 선 형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및 안전간호 활동 정도를 분석하여 환자안전 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추후 안전 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2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의 8곳의 중소병원 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편의 추출한 3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 15일부터 9월 12일까지 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총점은 5점 만점에 4.38점이었으며, 하 위 영역별로는 투약 영역의 활동 점수가 4.48점으로 가장 높았고, 소방영역 의 활동 점수가 3.97 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41 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로는 병동 내 팀워크에 대한 인식이 3.77점으로 가장 높았고, 인력에 대한 점수가 2.95점으로 가장 낮았다. 3.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점수는 일반적 특성 중 결혼상태, 직위, 총임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적 특성 중에는 병원설립유형, 보 상처벌 유무, 안전관리 위원회 유무, 안전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 다. 4.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 변수는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안전관리 위원회 유무, 총임상경력이었으며, 설명력은 22.7%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안전간호활동 을 증진시키는 데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길 기대한다. ~ 주요어: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안전간호활동, 중소병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