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쓰기 활동물을 통한 유아의 쓰기 능력 분석

        성춘화 慶南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쓰기 활동물을 분석하고 유아의 쓰기 능력을 기술해봄으로써 5세 유아들의 쓰기의 개별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쓰기 교육을 위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쓰기 활동물에 나타난 5세 유아의 쓰기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에 위치한 만5세 유아 25명이며, 연구의 기간은 2003년 9월1일부터 2003년 12월19일까지 총16주 동안 유아의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일상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자는 내부자/참여자(researcher as participants) - 외부자/관찰자(researcher as observer)로서의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였고, 유아들의 다양한 쓰기 활동물을 활용하였다. 수집한 활동물들은 Lindberg(1987)의 그림.쓰기의 협응성(correspondence of picture & writing), 그림의 정교성과 통합성(integration and elaboration of picture), 글 내용의 복잡성과 통합성(complexity and integration of written message), 쓰기의 유창성(fluency of writing), 쓰기의 상세성(detail of writing), 관습적 쓰기 능력 -글자의 모양(graphic characteristics), 철자법(conventional spelling), 구두법(punctuation), 띄어쓰기(word boundaries) 등의 쓰기 능력 6가지 기준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과 그림의 협응성의 기준으로 구분된 유아들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면, 그림의 내용이 본문의 글과 일치하는 정도는 높지 않으므로 그림과 쓰기의 협응성은 부족하다고 하겠다. 둘째, 그림의 정교성과 통합성을 기준으로 구분된 유아들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면, 본문에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그림의 통합성과 정교성으로 더 구체적이고 관련되게 잘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쓰기의 복잡성과 통합성 단계로 구분된 유아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면, 유아의 글쓰기는 복잡성과 통합성을 나타나며 서로 관련되게 나타났다. 글 내용의 복잡성과 통합성 기준으로 분류된 유아들은 입학 초부터 글자를 읽고 간단한 단어는 보지 않고도 쓸 수 있는 유아들이 있었다. 넷째, 쓰기의 유창성 단계로 구분된 유아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글쓰기에서 동사를 다양하게 자주 사용하여 유창한 문장을 구성하였다. 다섯째, 쓰기의 상세성 단계로 구분된 유아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형용사를 많이 사용하였고 의성어, 의태어를 나타내는 부사를 여러 번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여섯째, 관습적 쓰기 단계로 구분된 유아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면, 유아들의 쓰기는 글자의 모양은 정확하였고, 철자법이 거의 정확하였다. 또한 구두법, 띄어쓰기 부분에서는 부정확하게 사용하는 부분을 찾아 볼 수 가 있었다. 관습적 쓰기 능력을 기준으로 분류된 유아들은 입학 초부터 글자를 읽고 보고 쓰거나 간단한 문장은 스스로 쓸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의 쓰기는 발현적 과정을 통해 발달하므로 동일연령의 범위에서도 쓰기의 개별적 이해는 중요하다. 글쓰기를 통해서 유아는 기억하고, 자신의 생각을 조직하고, 정보를 나누고, 의사소통하고, 상상하고, 느낌을 표현하는 상당한 수준의 지적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런 사고가 쓰기를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평가가 장기간에 걸쳐 심층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의 쓰기 능력을 6가지의 범주에서 기술하였지만, 후속연구는 개별 유아단위의 시간적, 심층적 쓰기 활동 분석을 통해 유아의 쓰기 능력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writing of age 5 and to provide various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writing works and described their writing ability.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ddressed as follows. What ar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writing of age 5?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children of age 5 in Jangyu-myun, Gimhae, Kyungnam. Data for this study were daily-based colledted writing works for 16 weeks,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9, 2003. The researcher had involved in as a participant and observer to collect data and used various children's writing work. All of the collected children's work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Lindberg's 6 criteria: correspondence of picture and writing, integration and elaboration of picture, complexity and integration of the context, writing fluency, writing details, and conventional style writ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children lack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image of picture and writing. Second, children in integration and elaboration of picture expressed their text messages and pictures more tangible and relevant. Third, children in complexity and integration of the context showed their writing complex, integrated and relevant. Fourth, children in writing fluency wrote sentences well using verbs. Fifth, children in writing details used more adjectives and adverbs like onomatopoetic words for vivid description. They used adjectives and adverbs in writing poetry more than telling about their weekends or after story activities. Sixth, children in conventional writing style wrote letters and spelling correctly. Punctuation and word boundaries were rarely observed as wrong. The children read and wrote without copying and even wrote their own short sentences at the beginning of schooling. Based on the research conclusions and discussion,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children's writing develops through revealing,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dividual writings within same aged children. Children shows children's intellectual action such as memorizing, thinking, sharing information, communicating, imagining, and expressing feelings through their writing activities, so in-depth and long-term evaluation of how children's thinking affects their writing should be done. Second, this described children's writing ability in 6 categories, but following studies should suggest the base of integrative understading about children's writing ability through analysis of long-term writing activities.

      •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분석

        박규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글초록:영어 교육의 최종목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즉,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분리된 기능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통합하여 효과적인 언어학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쓰기는 학습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쓰기 교육을 통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의식적으로 다른 언어기능들을 내재화하여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목표들을 교과서가 충분히 담아내고 있는지를 살펴보아 향후 교과서 연구와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기준으로는 쓰기 유형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와 제 7차 교유고가정의 쓰기 성취기준에 부합된 활동을 담아내고 있는지, 의사소통 기능으로서의 쓰기 활동이 다른 언어 기능과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지, 마지막으로 시각자료를 활동한 학습과 흥미유발 자료가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를 그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기준에 따른 결과를 보면 첫째, 교과서의 쓰기 유형별 활동을 살펴보면 분석 대상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으나 쓰기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평균 18.5-53%의 통제 작문과 24-63%의 유도 작문, 그리고 13-23%의 자유 작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 경험에 따른 다양한 쓰기활동과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율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서 내 쓰기 활동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들의 대부분이 제 7차 교육과정 쓰기 성취기준을 따르고는 있지만 일부 교과서는 기준에 부합하는 쓰기 활동의 형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된 쓰기 활동을 분석한 결과위의 분석 결과, 분석대상 교과서 10종 모두 각 단원마다 다른 언어기능과의 연계된 쓰기 활동들이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 마다 편중된 활동의 경향이 보였는데 적절한 수준으로 올려야 할 것이며 특히 두 가지 기능 이상의 통합된 활동을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시각자료를 활용한 쓰기 활동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마다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한 쓰기활동이 있었다. 그러나 분석기준에 의거한 많은 부분의 시각자료의 활용이 제시되지 않은 교과서가 많았다. 또한 타 언어기능의 자료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시각자료의 다양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a enhanc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t means that language English education is learning language through synthesis. Writing as a appliance of communication is enhancing expression and showing their idea or e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elping for their textbook study through analysis of writing activities in the thir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Especially, It contain to writing content to 7th national curricular standards of analysis is, First, Writing activity distributer of writing type in English textbook. Second, writing activity according to writing standard in 7th national curricular. Third, combination of other language function with writing. Last, showing of the visual material in English textbook.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is a controlled writing of 18.5-53%, guided writing of 24-63%, free writing of 13-23% in English textbook. It needs to increase of various writing activities of students' experience. Second, The are usually contained writing competence in 7th national curricular but there are textbooks these activities. Third, They show various activities combination of each language function. But there are textbooks with only one function language. Therefore, They need to increase various activities. Forth, there are many writing activities using visual material in English textbook but frequency of these things is low. Therefore, they need to increase visual material

      • 쓰기 부진 학생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지도 방안

        박상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쓰기 부진 학생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문자로 나타내는 행위이며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회적 행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쓰기는 학교 교육 측면에서, 교과 학습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쓰기를 통해 깊이 있는 사고를 하며 대부분의 교과 학습의 기초가 쓰기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는 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쓰기 부진은 학습 부진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주는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들은 많은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은 인지주의나 형식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도 방안을 마련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필자의 내면과 글의 의미보다는 과제나 형식에 맞는 글을 쓰기 위한 방안에 집중하는 측면이 강했다. 표현적 글쓰기는 필자 개인을 강조하고 글의 내용과 의미를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쓰기에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현적 글쓰기를 통해 쓰기 부진을 해결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로 지도하여 이들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쓰기 부진의 개념과 표현적 글쓰기와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쓰기 부진 학생들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지도 방안을 구성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쓰기 부진의 개념과 원인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쓰기 부진을 학습 부진의 하위 영역으로서 학습 장애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인지·심리학적 결함보다는 학습 과정상의 결손이나 정서적 요인으로 인해 평균적인 쓰기 능력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쓰기 부진의 원인을 학습자 내적, 외적 원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쓰기 부진의 특성을 쓰기 내용, 쓰기 과정, 쓰기 태도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쓰기 부진의 특성에 따라 표현적 글쓰기의 필요성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표현적 글쓰기는 쓰기 능력 발달의 출발점으로, 쓰기 부진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비추어 볼 때 적합한 글쓰기 방법이다. 쓰기 능력은 표현적 글쓰기에서 시작하여 교류적 글쓰기, 시적 글쓰기로 발전해 나간다. 둘째, 쓰기 부진 학생들의 부정적인 태도를 해소하기 위해서 표현적 글쓰기가 필요하다. 표현적 글쓰기에서는 필자를 존중하기에 형식보다는 자유로운 글쓰기를 추구하여 글쓰기를 즐겁게 한다. 셋째, 표현적 글쓰기는 쓰기 부진 학생들의 인지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자신의 삶과 경험, 감정을 쓰기에 내용 생성에 대한 부담이 낮고 형식 또한 자유롭다. 넷째, 표현적 글쓰기는 의미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해 쓰기 능력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쓰기에서의 의미는 경험을 기반으로 자신과 주변에 대해서 쓸 때 찾을 수 있다. 이어서 쓰기 부진 학생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지도 방안을 구성하였다. 먼저 쓰기 부진 학생의 특성에 따른 지도 활동으로 자세하게 쓰기, 마음 표현하기, 주제 명료화하기, 글감 고르기, 글 공유하기, 고쳐쓰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표현적 글쓰기 지도 원리로 개별성의 원리, 주체 의식 강조의 원리, 나눔의 원리, 균형 지도의 원리, 흥미의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를 지도하기 위해 활동으로는 연상하기, 생각 그물 만들기, 자유 글쓰기, 감정 탐색하기, 관찰하기, 순서 정하기, 중심 단어 엮어 쓰기, 공유하기로 표현적 글쓰기프로그램에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을 설정하고 세부적인 연구 절차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먼저 충남 논산시의 S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해 사전에 쓰기 능력 검사와 쓰기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총 11차시의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지도한 후 쓰기 능력 검사와 쓰기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적용한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크게 쓰기 능력의 변화와 사전·사후 글의 변화, 글의 변화 과정과 쓰기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현적 글쓰기는 쓰기 부진아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쓰기 태도에서 역시 쓰기 인식, 쓰기 반응, 쓰기 수행 과정·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표현적 글쓰기 지도가 쓰기 부진 학생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쓰기 부진을 해결하고자 이를 위해 쓰기 부진 학생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생활 경험을 토대로 자유롭게 글을 써 보는 경험을 통해 만족스러운 쓰기 경험을 겪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태도와 쓰기 능력의 향상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하위 학습자를 위한 영어 쓰기학습의 연구 : 통제작문을 중심으로

        한명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의 영어쓰기는 학교에서보다 사회에서 더욱 필요한 언어일 것이다. 이런 쓰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고등학교에서는 쓰기통합수업을 실시할 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자는 영어 학력수준이 낮은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의 통합지도를 통하여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쓰기와 나머지 세 영역과의 통합적 기능을 연구하고, 쓰기학습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학습을 실시하여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이 쓰기능력 향상과 성취도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영어수업에 쓰기지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실험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눈 후, 실험반에서는 영어수업에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을 실시하고 통제반에서는 이해 중심의 분리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의 실험처치과정에서는 쓰기와 듣기의 통합수업, 쓰기와 말하기의 통합수업, 쓰기와 읽기의 통합수업, 쓰기강화수업이 실시되었다. 또한 실험반과 통제반 모두에서 영어능력 사전평가, 사전 설문지평가, 쓰기1차 평가, 쓰기2차 평가, 쓰기3차 평가, 영어능력 사후평가, 사후 및 결과 설문지평가를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쓰기의 통합수업을 하고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은 영어 쓰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연구 결과, 실험반과 통제반의 사후 쓰기 평가의 결과의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므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가설2.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은 영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연구 결과, 실험반과 통제반의 사후 성취도 평가 결과의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므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가설3.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선호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처럼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은 영어에 대한 자신감, 쓰기와 관련된 태도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반과 통제반 학생들의 응답을 비교해 볼 때, 실험반의 학생들이 좀 더 수업에 적극적이 되었고 쓰기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고 판단된다. 더구나 쓰기 학습에 더 큰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위 수준의 경우에 수업 집중도가 향상되었고 그로 인하여 자신의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느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쓰기 평가가 상위 수준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수준의 경우에는 쓰기중심의 통합지도가 학생들로 하여금 모르는 것을 질문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쓰기중심의 통합수업은 영어쓰기능력 뿐 아니라 영어성취도 향상에도 도움을 주었다. 또한 영어에 대한 선호도와 자신감이 향상되어 수업참여도가 높아졌고, 특히 영어 학습에 있어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쓰기와 나머지 세 영역과의 통합지도는 실제로 학생들의 쓰기 능력과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영어 쓰기교육의 중요성이 제7차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고는 하나, 아직까지 수업 현장에 적용하는 데는 많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어려운 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영어 쓰기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준비와 노력이 제일 필요하다고 본다. 즉, 주어진 환경 속에서 효율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영어 쓰기수업을 철저히 계획하고 실천하도록 하여야 한다.

      • 중국인 학부생을 위한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 내용 연구 : 한·중 학습자의 텍스트 분석과 교육 내용 설계를 중심으로

        형재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적 배경에 따라 쓰기 텍스트가 영향을 받는다는 대조수사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과 중국의 쓰기 텍스트와 양국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쓰기 특성을 반영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대학의 글쓰기 강좌(교양국어)는 내국인과 외국인을 분리해서 개설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들 강좌는 성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양국어 강좌의 쓰기 교육은 학술적 쓰기 양식보다는 언어적 표현이나 한국어 숙달도에 비중을 두고 있다. 교양국어의 목적과 전공에 진입한 이후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도 단순히 한국어 문장과 표현과 관련된 지식보다는 학술 담화 공동체의 요구와 학문적 담론과 관련된 쓰기 지식의 차이를 인식하는 데 중점을 두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인 독자 입장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제출한 글을 보면 표현이 어색하지만 오류를 분석할 수 없는 내용이 자주 발견되는데 이러한 상황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문제를 학습자의 언어능력 부족으로만 간주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쓰기 능력이 어떤 것에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모국의 쓰기 교육 내용이 학습자의 쓰기 지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은 사회 문화적 배경과 환경의 차이로 인해 쓰기 교육 내용에 간극이 존재하며 이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 그 방향을 모색하려는 입장에서 연구를 전개하였다. 위의 연구의 문제와 방법을 논문의 각 장과 관련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선행연구로 대학 내 쓰기 강좌인 ‘교양국어’에 대한 경향과 교육 목표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의 주된 흐름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학문 목적 쓰기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대조 수사학적 관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의 흐름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대조 수사학 연구와 쓰기 연구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고, 쓰기 지식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쓰기 텍스트에 반영된다는 대조 수사학적 이론적 전제를 하고 쓰기 지식을 살펴보았다. 쓰기 지식의 개념 및 성격 그리고 쓰기 능력의 논의를 통해 쓰기 지식은 사회 언어학적 지식의 기반을 이룬다는 전제하에 중국인 유학생이 대학에서 쓰기를 수행할 때에 필요한 지식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전제를 분석의 준거로 삼아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의 쓰기 텍스트와 양국의 고등학교 쓰기 작문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지식을 분석하였다. 쓰기 텍스트는 대학교의 교양국어 강좌를 수강하는 한국인 대학생 글 100편과 중국인 유학생 글 41편으로, 총141편을 수집하였다. 쓰기 텍스트 분석 틀은 내용 지식, 맥락 지식, 언어 체계 지식으로 구분하였다. ‘쓰기 과정 지식’, ‘장르 지식’은 양국의 작문 교과서를 검토함으로써 쓰기 교육에서 나타나는 쓰기 지식의 차이를 추론하였다. Ⅳ장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필자는 같은 목적을 지닌 장르의 글을 쓰더라도 글의 구성 방식이나 논거의 객관성, 표현 방법 등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의 학습자 대상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한 후에 Ⅲ장의 한국인과 중국인 쓰기 텍스트와 양국의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의 거시적인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미시적인 측면으로 학문 목적 쓰기 지식의 요건 및 쓰기 지식에 대한 내용 요소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서로 다른 언어에서 관찰되는 쓰기 텍스트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들에게 자신의 모국어인 중국어와는 다른 한국어 쓰기 텍스트 구성 형태에 대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효과적인 학문 목적의 쓰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중국인 유학생의 글에 나타나는 사회 언어학적 지식의 차이를 한국인 교수자 입장에서 바르게 평가하고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윤나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1개 반 27명(남 14명, 여 13명)을 연구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집단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10차시 수업 후 환경일기 쓰기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우선 수업 처치 전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대한 사전 검사지를 시행하였고 10차시의 수업 후 사후검사지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을 한 후 학생들의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다른 교과에서 환경 관련 주제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스스로의 생활 습관 변화를 통하여 기후 변화 문제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높아졌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환경에 대해 알고 환경을 위한 마음으로 친환경 행동을 실천하는 시민을 양성하는데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판단된다.

      • 초등학생의 긍정적·부정적 쓰기 경험에 대한 인식 연구

        태선미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쓰기 활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인식을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8개 학교 8개 학급 6학년 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쓰기 경험을 기록한 자료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학교 내외에서 경험하는 쓰기 활동을 조사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과를 포함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쓰기 활동과 학생들의 쓰기 경험은 저학년에서 고학년이 되면서 점차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술이나 음악과 같은 교과에서도 교육과정에 제시된 것과 동일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들이 쓰기 활동으로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남녀 성별의 차이가 쓰기 경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긍정적인 경험에서 남학생의 경우에는 일기나 독후감과 같은 학습보조쓰기활동이 가장 높은 응답 수를 보였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생 자발적 쓰기 활동이 가장 높은 응답 수를 보였다. 부정적인 경험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학습보조쓰기활동에 가장 높은 응답 수를 보였다. 또한 매체를 활용한 쓰기 경험에서 남학생은 휴대폰과 컴퓨터에 상관없이 매체를 고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나 여학생은 컴퓨터보다는 휴대폰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체의 활용이 학생의 쓰기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매체를 활용한 쓰기 응답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컴퓨터보다는 휴대폰과 관련된 경험이 더 많았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매체 활용 쓰기를 긍정적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에서 학년과 지역에 상관없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쓰기 활동이 존재하였다. 일기, 독서록, 받아쓰기 활동이 학년에 상관없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활동으로 교사에게 인식되고 있으며 학생들 역시 가장 많이 접하고 있었다. 대회 및 행사 글쓰기 역시 학년과 지역에 상관없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자발적 쓰기를 비자발적 쓰기에 비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의 응답에서 동일한 자발적 글쓰기가 이후 학년에 반복되는 것으로 보아 자발적 글쓰기의 긍정적인 경험 자체가 후속 활동의 동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e students go through academically, and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nstitute such experiences. For the study, 192 6th grade students from 8 different schools around the capital city area submitted reports of their writing activities. These reports were then analyzed to interpret the students' experiences both within and outside of school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riting competence gradually improved to match that of the goals set by the elementary curriculum as they moved from lower to upper grades.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students understood writing in art, music and PE as writing activities, as per curriculum. Second, gender played a role in writing experience of students. For boys, activity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got the most votes as a positive activity, whereas spontaneous writing activities was voted the most by girls. Activity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was also voted the most as a negative activity by both boys and girls. In writing with electronic devices, boys seemed to use both smartphones and computers indiscriminately, but girls seemed to rely on smartphones more than computers. Third, electronic devices played a role in students' writing activities. Data showed that more students experienced writing with smartphones, rather than computers. Most students had positive experiences writing with electronic devices. Fourth, all elementary schools, regardless of grades or region, shared some writing activities. Teachers perceive journals, book reports, and dictation as universal, compulsary writing activities. Various writing competitions were held as compulsary events regardless of grades or region. Fifth, students responded better to voluntary writing than involuntary writing. It can be deduced that positive experience gained from voluntary writing acts as motivation for later activities, as is evident from recurring positive responses from the upper grades.

      • EBS 인터넷 영어교육방송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장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문장 단위의 글쓰기에서 간단하고 짧은 글쓰기로 내용이 확대된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쓰기 능력 신장 방안으로 EBS 인터넷 영어교육방송(이하 EBSe로 지칭함)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학습자 52명을 대상으로 재량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12주에 걸쳐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 평가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EBSe 콘텐츠로 e-클래스와 Writing 프로그램을 활용한 쓰기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전통 적인 쓰기 학습 방법인 학습지를 활용한 쓰기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 쓰기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 검사와 실험 수업에 대한 사후 설문을 통하여 쓰기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e를 활용한 쓰기 지도는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후 쓰기 능력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쓰기 지도가 통제 글쓰기부터 유도 글쓰기, 나아가 자유 글쓰기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EBSe 콘텐츠가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둘째, EBSe를 활용한 영어 쓰기 수업은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가운데 특히 문장쓰기 능력 신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쓰기 연습 유형을 통해 일정한 문장 패턴을 익히고 자신이 학습한 문장을 실시간으로 활용해 보는 게시판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많이 가진 결과로 판단된다. 셋째,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 결과 EBSe를 활용한 쓰기 수업이 영어 학습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문장 패턴을 연습하는 단계에서 컴퓨터 생성 피드백으로 인하여 영어 문장 쓰기에 대한 불안감이 자연스럽게 감소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학습지 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인터넷 게임형 프로그램으로 학습하면서 영어 학습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론에서 볼 수 있듯이, EBSe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특히 영어 문장쓰기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EBSe를 활용한 쓰기 지도는 효과적이었으며 현장에서 이를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쓰기 동기와 쓰기 수행의 상관 연구

        문광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쓰기 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 중 하나는 학생들이 글쓰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쓰기는 인지적으로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더욱 동기화되기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글쓰기를 시작하게 하고 유지시켜주는 원동력인 쓰기 동기는 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쓰기 동기는 쓰기 수행과도 관련된다. 그간 쓰기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지적 측면에만 관심을 두었지만, 동기와 같은 정의적 측면이 인지작용에도 영향을 미치며 수행과도 관련을 맺는다는 점에서 쓰기 수행에서 동기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었다. 이처럼 쓰기 동기가 행복한 필자가 되게 할 뿐 아니라 쓰기 수행과도 관련된다는 점에서, 쓰기 동기가 쓰기 수행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는 쓰기 동기와 쓰기 수행의 상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쓰기 동기의 요인이 쓰기 능력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쓰기 동기 수준에 따라 쓰기 수행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도 확인해 보고자 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남여에 따른 차이도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전국 4개 시·도의 중학생 남녀 207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3일부터 7월 17일 사이에 걸쳐 쓰기 동기 검사와 쓰기 수행 검사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쓰기 수행 검사지는 국어 교사 3인이 평가자 회의를 거쳐 평가하였으며, 이렇게 수집된 동기 검사와 수행 검사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쓰기 동기와 쓰기 수행 간의 상관계수는 .4이하의 약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쓰기 동기의 네 요인 별로 쓰기 수행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쓰기 효능감과 경쟁적 노력에서 약하지만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반면 도전심과 협력적 상호작용은 상관이 거의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녀 모두에게 도전심과 경쟁적 노력 두 요인은 약하지만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학생들에 비해 남학생이 동기와 수행 간의 상관이 높았다. 이처럼 상관이 낮은 이유는 쓰기 수행에 동기 이외에도 다양한 변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동기가 수행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다른 변인들과의 영향 관계 속에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쓰기 동기 요인 중에서 수행과 상관을 맺는 요인이 달리 나타난다는 점에서 동기가 다변인 복합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쓰기 동기 수준에 따른 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준별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쓰기 효능감과 경쟁적 노력이 상인 집단과 중·하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이 두 요인에서 상집단과 중·하 집단 간에 수행의 차이가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쓰기 효능감과 경쟁적 노력 수준이 상인 집단이 중·하인 집단에 비해 더 나은 쓰기 수행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이가 인과관계까지 나타내 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동기와 수행이 서로 영향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에서 동기에 차이가 생기면 수행에서도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이다. 이 연구는 필자의 발달 단계, 수행 과제에 대한 사전 경험, 쓰기 과제의 화제나 유형 등을 달리하였을 때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수행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을 통제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쓰기 동기가 쓰기 수행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쓰기 교육에서 주목 받기 시작한 쓰기 동기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쓰기 동기와 쓰기 수행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밝히고 동기에 따른 수행의 차이를 보이는 동기 요인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Writing education has been facing a challenge that most students don’t like writing. Moreover, it is more difficult to motivate writing because it requires a complicate and cognitive process. In this regard, as a key factor in starting and keeping writing, writing motivation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writing education. It is also correlated with writing performance. Up to present, only cognitive part has been focused to improve the writing performance. Considered, however, that the motivation on the side of definition affects cognitive operation and is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as well, the significance of the motivation has been more emphasized in writing performance.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motivation contributes happiness to a writer. As a result,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is necessary. In this paper,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performance is presented. Specifically, the paper investigates what kind of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cause of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performance. Furthermore, it showed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motivation level and the difference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throughout the process. To this end, the survey of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performance have been carried out with 207 boy and girl student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four different cities and provinces from 3rd and 17th of July 2008. The writing performances have been evaluated by three teachers of Korean, and the collected data on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test have been analyzed.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is under 0.4 ·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f four motivation key factors and the performance, · The coefficients of writing self-efficacy and competitive effort are showing weak but steady correlation. · Likewise, the correlation between challenge and competitive effort is weak but steady. This result is equally applied to both of boy and girl students. · On the other hand, it is analyzed that challenge is barely correlated with cooperative interaction. · In general, boy students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rather than girl students. As seen in the result above, the study shows that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have a low level of correlation. Hence, it is believed that there are various kinds of other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rather than only the motivation directly does.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re is a different elementary motivation factor that is correlated with the performance, it is verified that the motivation is a complex with multi-factors.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the motivation, it is sh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different levels: the writing self-efficacy and the competitive effort have meaningful difference in between top class and middle-low class from both genders. It means that regardless of gender, top class that has a higher level of writing self-efficacy and the competitive effort shows better writing performance than middle-low class. It doesn’t indicate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However, this result supports that if there is difference beyond a certain point of level in the motivation, the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can mak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becaus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It is acknowledged tha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different result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author’s knowledge, previous experience of this kind of project, and type and subject of writing project. It is mainly because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performance are not easy to be defined and controlled. This paper, however, attains a meaningful achievement that the presented study results exte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motivation that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in the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in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proves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formance, and show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motivation level.

      • 읽기·쓰기 학습 요소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김현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언어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의 학습 요소를 통합, 그 지도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언어사용 기능 영역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는 각각 세분화된 기능 면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언어는 총체적인 입장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동시에 발달하는 고등정신 기능이다. 그러므로 언어가 가진 이러한 기본 속성을 살려 언어사용 기능 영역을 분리시키지 않고 동시에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언어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언어 교육 운동으로 언어가 실제 생활에서 분리되어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언어 학습을 통합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언어 학습과 상황 맥락(context)과의 통합을 추구하며, 가정과 사회의 비형식적인 상황까지도 교실로 끌어들이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학교의 지도하에 시간적·공간적으로 각각 다른 학습 경험들이 상호 관련지어지고 의미있게 모아져서, 전체로서의 학습이 이루어지고 가치로운 인간의 성향 변화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통합언어 교육은 어떤 개인의 견해에 의해서 쉽게 규정될 수 있는 단순한 학습 이론이 아닌 학습자에 대한 관점, 교사에 대한 관점, 언어에 대한 관점을 묶어서 하나의 전체로 생각하게 하는 사고 방식이자 교육관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평생 교육의 차원에서도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읽기와 쓰기는 분석과 종합의 사고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읽기에 필요한 자료는 바로 쓰기의 소산물이며 쓰기를 위한 자료와 정보는 읽기를 통해서 얻어진다는 점에서 서로 상보적이다. 또한 독자와 작가가 사용하는 인지적 책략들과 읽기와 쓰기의 과정 역시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읽기와 쓰기는 서로 작용과 반작용의 관계로써, 읽기와 쓰기의 지도는 학생들이 독자와 작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지도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 7차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읽기와 쓰기 각각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이들 중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학습 요소들을 통합하여 통합 학습 요소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단원을 구성하고 시간의 연속적 운영을 통해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 방법의 실제를 보여 주었다. 읽기를 하면서 글 속에 표현되어 있는 연결관계를 판별하여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마찬가지로 독자의 의식을 고려하여 자신이 전달하려는 바를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하여 표현함으로써 학습자를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동시에 발달 시킬 수 있게 된다. 본고에서는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한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나, 말하기나 듣기와의 통합 지도 방법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고 이들 방법의 효과에 대해서도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An objective of this paper consists in finding out the integrative method of reading and writing. I studied an integrative language education in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I did the teaching method integrating the factors of learning in reading and writing on the basis of it.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of a language use skill educa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a respect of detailed functions, but they are higher mental function developing at the same time mutually in a general point of view. Therefore, in terms of those basic attributes of a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made simultaneously without separating a language use skill education. An integrative language education is a learner-centered language education, and it attempts to integrat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of a language learning, considering that a language is used without being separated practically. Furthermore, it seeks to integrate a situation context with a language learning, and it tries to apply to school even an informal situation of home and society. Under school instruction,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in time and space are associated mutually one another and collected significantly, and they seek valuable change of human-being's personality as a whole of learning. Consequently, an integrative language learning is not a simple learning theory to be prescribed easily by a personal opinion. It can be a thinking method and a view of education considering as a whole the points of view of learner, teacher, and language. It should be encouraged in a dimension of lifelong education. Reading and writing are achieved through a process of thinking of analysis and synthesis. Reading and writing are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at the material needed for reading is just a product of writing, and in that the information and material for writing are obtained through reading. Also the cognitive strategies used by reader and writer have a close relation with reading and writing processing. Therefore, reading and writing have a connection between action and reaction. In teaching of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performed so that students can play roles of reader and writer at the same time. Noticing this point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teach an integrative reading and writing. First, I extracted the factors of learning in reading and writing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I established the integrative factors of learning with the integration of the factors of learning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I composed the units based on them, and I showed the actual teaching method of reading and writing integration through a consecutive management of time. While reading, discernment of the connection represented in the writing helps understand writer's intention. Similarly,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learner can be developed simultaneously by representing what he intends to communicate using the method of contents organization, considering reader's consciousness. In this paper, I studied an integrative teaching method of reading and writing centering the factors of learning. The integrative teaching method, however, of speaking and listening should be studied, and its effect should be also ve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