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연구

        조혜숙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봄으로써 학업적 지연행동으로 부적응을 겪고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의 B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 MPS), 학생용 지연행동평가 척도(Procrastination Assessment Scale-Student: PASS), 실패공포 척도(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PFAI-R)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과 AMOS 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분석으로써 각 척도의 하위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와 척도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변인들(부적응적 완벽주의, 실패공포,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실패공포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였고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잠재변인간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실패공포 하위변인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부적응적 완벽주의 점수가 높을수록 실패공포 수준이 높아지고 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 부모기대, 부모비판이 많을수록 실패공포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낮은 정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지연 행동 점수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낮은 정도의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실패공포 점수가 높아질수록 학업지연행동 점수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실패공포를 경유하여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에 따른 학업적 지연행동과 관련하여 심리적 적응을 돕고 실패공포를 감소시키는데 통로로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여 상담과 생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find the metho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facing inadequacy by academic procrastination by confirming Mediating effect of failure f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objects of 385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in Incheon B elementary school.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 MPS, Procrastination Assessment Scale-Student: PASS and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PFAI-R a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data collected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regarding the sub-factors of each scale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scale using SPSS WIN 15.0 and AMOS 7.0 analysis program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research variables (Maladaptive perfectionism, failure fear,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ddition, parameter model of failure fear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and fit of research model and path coefficients among potential 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ub-variables of failure fea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higher score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the higher the level of failure fear and the higher concern about mistakes, doubts, parent expectations and parental criticism, the higher level of failure fea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t shows positive relationship of low degree. It means the higher score of failure fear, the higher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mediating effects of failure fear complete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of he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us, we can find that maladaptive perfectionism via failure fear influ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study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failure fear regarding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to academic procrastination for the targe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and helps psychological adjustment related to academic procrastination according to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counseling and life guidance by providing implications to decrease failure fear.

      •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업동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배대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dditional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levels of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For these aims of this study, a total of 560 university students from 2 different universities completed Procrastination Assessment Scale-Student,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Academic Motivation Sca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hen intrinsic motivation or amotivation was partialled out, the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still significant, but size of that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Pearson r carried out in 9 groups divided according to levels of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s a consequence, big difference of Pearson r was not showed in divided groups. Based on the finding, implications to understanding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offer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상관이 두 변인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의 대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학생용 지연행동 평가 척도, 실패공포 척도, 학업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동기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내적 동기 및 무동기의 효과를 배제하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실패공포의 효과는 여전히 유의미했지만 그 크기가 감소하였다. 즉,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내적동기와 무동기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내적동기 및 무동기를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의 수준에 따라 두 변인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변인의 수준에 따라 표본을 9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 내에서의 두 변인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변인의 상관은 설정된 집단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특정 집단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실패공포가 높은 고등학생의 진로선택과정에 대한 탐색

        김다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fear of failure in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fear of failure in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a high fear of failure? Second, what are the causes of fear of failure in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a high fear of failure? Third, what are the measures to deal with the fear of failure in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a high fear of failur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8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fear of failure scores were selected using the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PFAI-R),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is study used individual interview transcripts as the main data and formed a research team of 2 raters and 1 reviewer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QR)” to evaluate the data, develop domains, and extract key concepts. Afterwards, cross-analysis between raters was conducted several times, and the data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opinions of raters and reviewers, excluding the researcher.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3 areas and 21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 of fear of failure during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a high fear of failure, most students experienced anxiety in career selection situations and taked failure for gran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also avoided career choices and blamed themselves for their incompetence. They were afraid that if they failed, they would be criticized by those around them, and they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failure, felt left behind, and did not want to fail when choosing a career. Second, they had maladaptive perfectionism, had experienced failure in the past career selection process and thought their abilities were lacking. Criticism and expectations from others were also emerged. Additionally, worries about academics and an anxious personality caused fear of failure during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Third, students with a high fear of failure asked teachers, parents, siblings and friends for help or trying to overcome it on their own when they had a fear of failure during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Conversely, there were also students who said they would not ask for help. Some students actively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 by seek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or through interviews, but others responded in a passive manner by avoiding career choices. In addition, they were trying to escape the fear of failure during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by preparing alternatives in case of failure or thinking positively. 본 연구는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 경험을 분석하고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의 원인을 알아본 후 그 실패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하는지 알아보려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를 겪고 있는 학생들이 그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진로 상담 및 진로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의 실패공포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의 실패공포 대처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 고등학생들에게 실패공포척도(PFAI-R)를 사용하여 실패공포 점수가 높은 학생 8명을 선별한 후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면담 전사본을 주 자료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에 따라 평정자 2인과 감수자 1인의 연구팀을 구성하여 자료를 평정한 후 영역 개발 및 핵심개념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후 평정자들 간의 교차분석을 여러 차례 실시하였고 연구자를 제외한 평정자와 감수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정·보완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하여 3개의 영역과 21개의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 경험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진로 선택 상황에서 불안을 경험하며 상황에 따라 실패를 당연시하기도 했다. 또한 진로 선택을 회피하고 자신의 무능함을 자책하기도 했다. 실패하게 된다면 주변에서 비난받을 것 같아 두려워하였으며 실패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고 뒤처짐을 느끼며 진로 선택상황에서도 실패하고 싶지 않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있음이 나타났고 과거 진로 선택 과정에서의 실패경험이 있었으며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주변의 비난과 주변의 기대가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학업에 대한 걱정이, 불안한 성격이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를 유발하였다. 셋째,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이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가 있을 때 대처하는 방법은 선생님, 부모님, 형제, 친구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스스로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도움을 요청하지 않을 것이라는 학생도 있었다. 인터넷이나 주변 인터뷰를 통해 정보 탐색을 하며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는 학생도 있었지만 진로 선택을 회피하며 소극적인 태도로 대처하는 학생도 있었다. 또한 실패 상황에 대비하여 대안을 마련하거나 긍정적인 생각을 하며 진로 선택 과정에서 실패공포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진로 선택 과정에서 경험하고 있는 실패공포 경험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 내용을 바탕으로 진로 교육이나 진로 상담 시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에게 어떤 대처를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패공포가 높은 학생들이 진로 선택 과정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진로 상담 및 진로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이보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사람은 자라면서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점차적으로 성숙한 인격을 형성해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때로는 사람들과 갈등을 겪기도 하며, 어려움에 처하기도 하는 만큼 대인관계는 사람들의 주된 고민이 되기도 한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고등학교까지의 학급단위 친구관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고 동아리, 학과활동 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가게 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학생들은 과거와는 달리 자신이 주체적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안과 어려움을 호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대인관계문제를 돕고자,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실패공포를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3개 대학, 경기도 2개 대학 총 5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총 3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신뢰할 수 없는 16부를 제외한 총 33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실패공포,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실패공포와 강한 부적 상관관계(r = -.50, p < .01)를 보였고, 대인관계문제와도 강한 부적 상관관계(r = -.60, p < .01)를 보였다. 또한 실패공포는 대인관계문제와 상당히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 = .66, p < .01). 둘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 = -13.69, p < .001).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성은 모든 대인관계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성과 긍정성은 대인관계문제의 일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실패공포에도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 = -10.57, p < .001).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긍정성, 사회성은 실패공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통제성은 실패공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실패공포는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 = 15.82, p < .001). 실패공포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그 중 비주장성, 사회적 억제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p < .001).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실패공포,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상관관계와 영향관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에 입학하면서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지고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도 달라져 불안해하는 대학생들을 돕는 데 있어 그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이해하고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치료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한다.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역경 속에서 적응해 가는 능력이며 인간의 긍정적인 능력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개념이므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기보다는 그들이 가진 실패공포에 먼저 개입을 함으로써 실패공포를 경감시키는데 초점을 맞추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People live i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since they are born, experience various emotions and gradually build up mature personality. In this process, they sometimes have conflicts with people and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so interpersonal relations become their main concern. Especially, during college years, students form interpersonal relations, breaking away from friendships in the class unit they had until high school days, meeting various people and spontaneous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in the club and department. Due to this change, college students appeal anxiety and difficulty in that they should subjectively form the interpersonal relations unlike in the past.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resil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in order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elp them solve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To verify this,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freshmen and sophomores i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persons. Excluding 16 unreliable questionnaires with an scale item not responded or undependable response, 33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 analysis.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fear of failure,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silience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fear of failure (r = -.50, p < .01) and interpersonal problems (r = -.60, p < .01). In addition, the fear of failure had a considerab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r = .66, p < .01).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 = -13.69, p < .001). Of the sub factors of resilience, sociality had the biggest effect on all interpersonal problems, but control and positiv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a part of problems. In addition, resilience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ear of failure (t = -10.57, p < .001). Of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positivity and social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fear of failure, but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ear of failure. Lastly, the college students’ fear of failure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 = 15.82, p < .001). The fear of failure had significant effect on all interpersonal problems and especially ha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on nonassertive and socially avoidant problems above al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ear of failur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ollege students'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p < .001). To sum up,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relationships of influence among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fear of failure,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at the fear of failur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a direction understanding of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nd how to approach therapeutically in the scenes of counseling and education in help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nxious sinc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become broader and the ways of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change, entering college. Resilience is the ability to adapt in adversities and a concept that collectively deals with the human’s positive ability, so it takes time to deal with it. This study suggest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a measure for reducing the fear of failure rather than enhancing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ose who complain of interpersonal problems directly.

      • 자기자비가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 :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장우승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충청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 538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기자비 척도, 실패공포 척도, 학업지연행동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기자비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패공포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는 실패공포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패공포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자비 증가할 때 실패공포가 감소함으로써 학업지연행동이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or this study, 538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ere surveyed from different universities in the Seoul capital area and Chung-Cheong province with the measures of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and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fear of fail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confirmed.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when self-compassion increases, fear of failure would be decreased, leading academic procrastination to decreas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성인애착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박민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인불안에 대해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에 성인애착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실패공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대인불안, 실패공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에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대인불안, 실패공포의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였다. 둘째, 각 변인 간의 영향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애착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불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성인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실패공포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애착의 하위 요인인 회피애착이 불안애착보다 실패공포를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패공포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불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공포의 하위요인 중 수치와 당황에 대한 경험, 중요한 타인의 관심 상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공포가 대인불안과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인애착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패공포는 성인애착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애착이 대인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성인애착이 실패공포에 영향을 미치고, 실패공포가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대인불안이 더욱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anxiety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to verify whether fear of failur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anxiety, and fear of failure targeting 380 college students over the age of 18.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of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anxiety, and fear of failure was significant. Seco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adult attachment level,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anxiety, and the higher the adult attachment level, the higher the fear of failure.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had an effect on fear of failure in that order. Also,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ear of failure,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anxiety. Among the sub-factors of fear of failure, fear of losing the interest of important others, fear of experiencing shame and embarrassment, and fear of having an uncertain future were foun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on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anxiety,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This means that interpersonal anxiety is stronger when adult attachment affects fear of failure, and when fear of failure affects interpersonal anxiety, rather than adult attachment directly affects interpersonal anxiet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실패공포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안주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실패공포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부터 만 29세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423명(남 204명, 여 2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에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실패공포 척도가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에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 변인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실패공포 간에 모두 정적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실패공포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였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정도가 높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실패공포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Fear of Fail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3 college students aged between 18 to 29(male 204, female 219). They were assessed by the Covert Narcissism Scale(CNS),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PFAI-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0 to examin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failure. Second, internalized shame mediated part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fear of failure. This means high covert narcissism positively affects internalized shame, thereby enhancing fear of failure.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한영철 동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 전남, 전북에 위치한 대학생 364명을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 방식으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지연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실패공포간의 정적상관을 이루었고, 실패공포와 지연행동의 상관관계 또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패공포는 부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지연행동을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패공포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지연행동을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실패공포에 영향을 주고, 실패공포가 다시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지연행동을 이해함에 있어 시간관리 능력 부족, 게으름 등과 같은 드러나는 행동적 접근 보다는 실패공포와 같은 정서적 요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연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연행동 자체를 다루기보다는 그 이면에 있는 인지적, 정서적인 요인들을 확인하고, 실패공포 수준을 낮추는 것과 같은 프로그램이나 상담으로 심리적인 요인을 개선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실패공포 매개효과 중심으로

        허경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Unlike academic high school, where most high school students aim to go to college,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a wide variety of career paths after graduation, such as students who want to get a job, students who want to go to college, and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become civil servants by recruiting high school graduates. Therefore,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hink about the future for themselves in choosing a career path, but sometimes this diversity prevents students from deciding on a clear career path. The sad rea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s that there are many students who worry about going to school and getting a job until just before graduating from high school, and eventually graduate without having properly prepared or decided on anything. Most of the students who enter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a clear intention of getting a job in a specific field, but most of them are students who want to learn skills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studying or to do economic activities quickly due to difficult family circumstances. In addi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feel that they are not living up to their parents' expectations are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in making career decisions. Due to these issues, studies on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parental expectation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are mostly college students or adults. is focusing on Considering the fact tha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re given opportunities to choose their careers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unlike other liberal arts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on career decision-making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after identifying the level of meeting parental expectation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parents' expectations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actual self-performing ab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eeting parents' expectations perceived by students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fear of failur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Parental Expectations Responsiveness Scale(LPEI), the Career Decision Level Scale, and the Fear of Failure Scale, targeting third-yea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in Gwangju. A total of 232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8.0. In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major variables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eting parental expectations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erceived response to parental expecta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decision level,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ear of failure. Also, the fear of failur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cond, the higher the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the less difficulties related to career decis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fear of failure significantl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eting parents' expectations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whe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do not live up to their parents' expectations, they have fear or fear of failure when they perform a certain task, which lowers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is can make it difficult to decide on your career pa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meeting parents' expectations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n be an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fear of failure. level can be aff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expectations and career decisions. 대다수 고등학생이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 고등학교와는 달리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취업을 원하는 학생,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 고졸채용으로 공무원을 준비하는 학생 등 졸업 후 진로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진로 선택에 있어 학생들로 하여금 미래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는 다양한 기회가 많지만, 때로는 이 다양성이 학생들에게 뚜렷한 하나의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직전까지 진학과 취업을 고민하다가 결국 무엇 하나 제대로 준비하거나 결정하지 못한 채 졸업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이 특성화고등학교의 슬픈 현실이다. 특성화고등학교에 입학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특정 분야에 대한 취업의 뜻이 뚜렷한 학생들도 있지만, 가정형편이 어려워 빨리 경제적인 활동을 하기 위함이나, 공부를 잘하지 못해 기술을 배우려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부모의 기대에 자신이 그 기대에 부응하고 있지 못한다고 느끼는 학생들 대부분이 진로결정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이슈로 부모기대부응에 대한 진로결정수준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선행연구 대부분은 대상이 대학생이나 성인인 경우가 많고, 고등학생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있더라도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성화고등학생들은 다른 인문계 고등학생들과 달리 고등학교 시절에 진로를 선택하는 기회가 주어지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생이 스스로 지각한 부모의 기대 수준과 실제 자기수행 능력의 차이를 통해 부모기대부응 정도를 파악한 후,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기대부응 정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가 어떠한지, 그리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실패공포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한 특성화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부모기대부응척도(LPEI), 진로결정수준 척도, 실패공포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32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Statistics 28.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시 주요 변인의 기술적 통계 분석과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부모기대부응은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실패공포와 부적상관을 나타났다. 또한, 실패공포는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모기대부응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 진로결정과 관련된 어려움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실패공포가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어떤 일을 수행했을 때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심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가 어려워 질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성화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기대부응 정도가 진로결정수준과 실패공포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부모기대부응 정도에 따라 실패에 대한 공포를 유발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성화고등학생의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에 대한 이해와 진로상담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라인댄스 참여자의 선택속성과 실패공포가 지속적 참여의도와 스포츠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장경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다양한 생활스포츠 종목 중 라인댄스 참여자의 선택속성과 실패공포가 지속적 참여의도와 스포츠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지도자들이 동호회원들을 지속적으로 참여유도 할 수 있는 여가 프로그램으로 라인댄스의 저변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목적으로 S특별시에서 라인댄스에 참여하는 라인댄스 동호회 5곳의 참여자 중 395명의 설문을 실시하여 SPSS ver. 20.0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최종 결론을 얻었다. 첫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선택속성은 연령대와 월소득 수준, 하루 이용시간, 지속참여의사, 월스포츠지출비용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실패속성은 연령대와 학력, 참여기간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지속적 참여의도는 참여기간과 운동강도, 지속참여의사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은 월소득 수준과 참여기간, 하루 이용시간, 참여빈도, 운동강도, 지속참여의사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선택속성과 실패공포, 지속적 참여의도, 스포츠가치관의 각 하위요인간 상관관계에 있어서 실패공포의 요인을 제외한 각 요인별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선택속성 중 프로그램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접근성이 스포츠가치관 중 품성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프로그램과 비용, 접근성이 스포츠가치관 중 신체적과 사회적, 오락적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지도자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실패공포 중 불확실한 미래는 지속적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지만 자기평가절하는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불확실한 미래는 스포츠가치관 중 신체적과 사회적, 오락적에도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반면 자기평가절하는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ection attribute and feature of failure of line dance participants, among various sports activities, on intent for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on sports value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 policies to expand the pool and promote line dance as a leisure program so that instructors can continuously attract participation from group members. Surveys were conducted on 395 people participating in line dance clubs at S City. SPSS ver. 20.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us obtain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election attribute of line danc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 in terms of age group, monthly income, daily usage hours, intent for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monthly sports expenses. Second, failure attributes of line danc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 in terms of age group, education, and period of participation. Third,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of line danc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 in terms of period of participation, exercise intensity,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Fourth, sports values of line danc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 in terms of monthly income level, participation period, daily usage time, participation frequency, exercise intensity,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Fifth, for correlation of the sub-factors of selection attribute, fear of failur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and sports outlook for line dance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each factor excluding the fear of failure factor had mutually positive correlations. Sixth,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line dance participants,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accessi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character among sports values, and program, cost and accessibility had positive impact on the physical, social and entertainment factors among sports values. Meanwhile, it was found that instructors had a negative impact. Seventh, among the fear of failure for line dance participants, uncertain futures had a positive impa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but self-underestimation had a negative impact, while uncertain future had positive impact on physical, social and entertainment elements of sports values, while self-underestimation had negative imp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