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離騷」에 나타난 屈原의 작가정신 : 그의 실존적 비극성과 저항성을 중심으로

        장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5

        이 논문은 「離騷」에 나타난 屈原의 작가정신을 실존적 비극성과 저항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내용은 기원전 4 세기를 전후한 楚 왕조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몰락해가는 楚 나라의 종말론적인 비극을 앞두고 하나의 영웅으로서 屈原의 인생역정이 담겨진 楚辭 작품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들은 독자로서 우리의 삶의 무대가 되고 있는 현대 사회 속에서 楚辭가 던져주는 삶의 의미를 읽어내고 우리 자신에게로 투영시킨다. 屈原이 활약하던 시대는 屈原 자신이 대변하듯 정치적이고도 개인적인 고통과 갈등이 존재하던 시기였고 여기에서 그의 고민들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屈原이 처한 시공간은 또한 중국의 중원에서 살다간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과 유사한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데 다시 말해서, 商鞅(? ~ BC 338), 申不害(? ~ BC 337 ?), 伍子胥(? ~ BC 484), 子張(BC 503 ~ ?), 百里奚(? ~ ?) 그리고 孔子(BC 551 ~ BC 479)와도 일정부분 삶의 궤적이 유사하다. 屈原은 자신이 처한 시공간에서 자신이 보았던 세계를 거울과도 같이 명징하게 인식하고 민중과 사회, 그 속에서의 개인의 운명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보여준다. 劉勰의 위대한 비평저작인 『文心雕龍』은 독립적으로 한 장으로 구성된 楚辭 비평 속에서 한 인간으로서 屈原의 비참한 모습과 그가 살았던 楚 나라의 시간과 공간성을 강조하며 그의 작가정신을 높이 평가한다. 특히 楚辭 전편 속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핵심으로 평가되는 「離騷」篇은 劉勰의 눈을 통해서 보면, 屈原이 가진 특수한 시공을 통해 그가 가진 국가와 사회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혼란된 정국을 바로잡아보려는 정신적 측면의 승화가 드러난다. 劉勰은 屈原의 인생 전체의 歷程을 통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해내는 읽기를 통해서 屈原의 창작정신을 드러낸 비평을 기획했다. 屈原과 그를 둘러싼 모든 논의는 아홉 번 꼬이고 중첩되어 엮어져 있으며 그러한 의미로서의 ‘九重天’은 楚辭 속에서 덧 씌워진 실존공간 속의 굴레이자 극복할 수 없는 운명을 암시한다. 屈原은 그의 작품 속에서 그가 가진 독특한 기획과 구상으로 자신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여러 가지 모습을 가진 인간으로 드러내며, 그 속에서 운명에 좌절하지 않고 전쟁에 대한 트라우마와 여성성, 그리고 개인이 가진 받아들일 수 없는 숙명에 대한 거부와 저항을 표시하고 있다. 屈原이 가진 그러한 원대한 문학세계 그리고 작가정신은 그 이후 중국의 운문 작품에 고스란히 내용적으로 반영되기도 하고, 작품의 체제와 형식에 한 전형성을 부여하기도 했다. 그만큼 屈原의 楚辭는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문학성을 지니고 후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屈原은 비극적인 자신의 실존공간 속에서 의지를 키워나가고 또 극복하려고 하지만, 점점 더 깊어가는 시름과 고뇌 속에서 불안한 심리를 가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그 속에서 屈原이 가진 실존주의적인 자각을 통해서 자신과 사회 그리고 자신과 타인의 문제를 하나의 주제로 통일시켜 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그가 가진 비극적 성격과 한 개인이 가진 저항성을 함께 읽을 수 있다. This Final Thesis is named that “Writer’s spirit of Qu Yuan(屈原) reflected in 「Lisao(離騷)」". and It's about at the time of 'B.C. 4 century in Chu(楚) Dynasty' so, we have to ask about what will be a Great Poet Qu Yuan's identity and his all existence's destiny in his literature and his life as a warrior, against appocalyps of Chu(楚) nation’s disintegration and what's the meaning to ourself in the present time of our Modern society. Qu Yuan’s ages, no other poet persist like a himself, by all sides suffering and persuing his political and ontological willingness to his mornach and the God and all the things to exist on earth each other society. Especially, In Qu Yuan’s space, there are many things of similary situation like Husserl’s spoken concept the Dual viewpoint, so to speak Shang Yang(商鞅), Zi zhang(子張), Bailixi(百里奚), and the Confucius(孔子) himself. In this viewpoint, such as Mirror, all kinds of crowds of man’s despair and as a man’s tragidies, in compare with France national poet Baudelaire’s saying- that poet’s clearness, like a concept of <Les Fleurs du mal>. If you search for and read that 『the Book of Odes(詩經)』 Xiao Ya(小雅)’s poems, you can see through, so the human of that time says why we must think about Chu nation’s language and why they human use that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why they use that the classical canon(經) to reveal that ancient chinese trinity spirit. That is to say, use the 『Maoshi(毛詩)』 says that the Poem’s function that exhortating the empire by innuendo[insinuation] and an active role in political stage of the ancient China. As a literary critic, Liu xie(劉勰) and hero in our literature 『Chu ci(楚辭)』’s writer Qu-yuan have a consubstantiality. Especially, in the Biography of Liu xie in 『Liang shu(梁書)』, our readers as an old literary critics, easy understand tragedy in his own life. It’s what an prosperity and adversity as one man in the sea of lifetime. As a reader and a writer, Qu yuan and Liu xie have a consubstantiality, and as a media, the literary works 『Chu ci』also has a consubstantiality of Chu nation’s people and all of the human in after that Chu dynasty. In comparison, as a noun the Chu(楚) is meant that the world, the universe or the whole space in the work piece, but the Qu(屈), Jing(景), Zhao(昭) is meant that three requisites of round circle of the Sun and human construction like a steeple spire and the human space exist with that heaven and earth as trinity requisites of ‘the heaven is round and the earth is square(天圓地方)’. In here, the man Qu yuan as a writer, with the media master piece『Chu ci』share historicity and a piece of the length of the time being. and the reader Liu xie is also meeting eternity of the instant moment with the space of the 『Chu ci』. Of royal blood and got no any heritage of his parent and lived a paltry life as one monk, Liu xie's greatest masterpiece of the century, 『Wenxindiaolong(文心雕龍)』is reflected one man who was emphasised a space and time from Qu Yuan’s nation Chu and got a same homogeneity with Liu xie. We can read these two media works and also read that Qu yuan's suffered history as got a same homegeneity with Liu xie and his all life biography. So, when we read the 「Jiu Bian(九辯)」facing a situation of the come to an eclaircissement with a Qu yuan. The Chinese Character '辯' is meaning that the come to an eclaircissement and above all, before analysing the literature, the Han(漢)'s exegetist Wang yi(王逸) says that “「Jiu Bian(九辯)」is written by Chu's entertainer Song yu(宋玉)”. But the man, Song yu(宋玉) is student of Qu yuan(屈原) ‘s literary class. He can be explanated Qu yuan’s the very best closer man than any other person. So, we can come to an exact eclaircissment of Qu yuan and get the real figure and proof of analysing as a man, Qu yuan and his life. This ’Bian(辯)‘ Chinese character is also used Liu xie’s speciallized master piece on 『Chu ci』’s literary critics in chapter 5’s 「Biansao(辯騷)」in 『Wenxindiaolong(文心雕龍)』. So to speak, all kinds of eclaircissment that surrounded with Qu yuan, like a nine distorted and nine draped(九重九羅) heavenly place is a bridle which the 『Chu ci』has and can't get over. It's maybe a aspiration, that is so called by Jean Paul Satre. Satre said in his 『Qu’est-ce que la litt’erature? (What is the Literature?)』that "The environment situation creates the writer. On the contrary to this, the readers are recalled to writers. In other words, the readers presented of a problem, what is the liberty of the writers? Environment situation is a <vis a tergo> but the readers are waiting and the vacant ground to fill in and a aspiration between comparison meaning and essential meaning. That is to say, he is a <the Other>." It is meant that environment situation and the whole time being and factor of space are considered that just one thing as a trinity bounded together. And in this whole time being and factor of space as a 4 dimension's eliment is each meant that readers, writers, and the literature work piece and the human power on the public, same as in the present, actual man's 4 dimension.

      • 실존적 공간으로서의 주거공간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혜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인간은 생활 속에서 어떤 형태로든지 공간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며 공간을 만들고 펼치는 존재로서 공간의 중심에 있다. 공간이 단순히 물체로서 존재할 때는 어딘가에 위치해 있거나 물리적인 구조에 지나지 않지만 인간의 삶이 결합되면 의미 있는 공간으로 변모한다. 이 공간은 자신을 중심으로 하여 벌어지는 경험과 의식, 그리고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특성까지 더해져 실존적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실존적 공간을 통한 주거공간 표현을 주제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제작된 작품들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의 삶과 가장 밀접히 연관된 주거공간인 ‘집’이라는 곳에서 불안이라는 심리적 특성을 통해 바라 본 공간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 있다. 제 2장은 공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집안 각각의 공간에 대한 의미와 특징을 설명하여 주거공간이 어떤 의미인지 살펴본다. 또한 공간의 지각과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실존적 공간론에 대해 알아봄으로 연구의 이론적 배경들을 제시한다. 제 3장은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주거공간에서의 경험과 그곳에서 발생된 의식과 감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들을 문과 방, 부엌과 화장실, 계단과 통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낮과 밤에 의한 공간의 분위기, 시선과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의 모습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주체적 경험의 표현방법으로 사용되어진 색채를 심리학적 근거와 연결 지어 설명하였고 본인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보여 지고 있는 매끈한 붓질의 의미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본인 작품의 연구 결과와 함께 한계점, 의의 등을 기술하였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품 연구를 통해 본인이 다루고 있는 실존적 공간으로서의 주거공간 표현이 어떻게 객관적 논지를 가지고 설명되어 질 수 있는지 고찰해 볼 수 있었고, 이는 작품의 내용정립에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앞으로의 작업 전개방향에 대한 근간을 모색하게 된 것에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Human beings live in a relationship with space in every aspect of their lives, and humans play a central role among all living beings who create and have the ability to maintain upmost control over any given space. When space exists simply as an object, it has a specific location or is only a physical structure, but when human life interacts with it, the object becomes significant. This space, combined with the experience, consciousnes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characteristics that are centered on oneself, have significance as an existential space. This study anlayzes the works produced from 2013 to 2016 with the subject of the expression of that which is residential in manner within existenti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grasp the space which I observed throug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xiety in ‘homes’, which are the residential spaces that are most closely related to my life. Chapter 2 explains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within a hous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ace,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residential spa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y exploring the existential space theories which have been obtained through commo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pace. Chapter 3 is an analysis of my own work. The works were produced based on the experiences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consciousness and emotions generated there are classified into a door, room, kitchen, toilet, stairs and passage. Additionally, I researched different atmospheres which a space might hold depending on whether it is day and night, and different views according to perspectives and positions of a space. Lastly, I explained the colors selected as a method of expression of subjective experiences in connection with psychological grounds, and also summar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mooth brushing that consistently appears in my work. In conclusion, I have stated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my work along with the results of my research,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I was able to contemplate how the expression of residential space as the existential space can be explained through objective arguments, which provided me with a more progressive direction for setting the content of the work. In addi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I have found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directions for my future work.

      • 바이오모픽 개념을 적용한 유아교육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김대웅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8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유아교육시설은 유아의 학습목표에 맞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진 과거와 달리 질 높은 교육은 물론이고 시설의 구성원의 관계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아이들에게 물리적으로 장기간 노출되는 교육공간으로 유치원은 아이들이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모습이어야 한다. 인간의 한 순간은 최종적 성장단계가 아니라 발달과정의 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의 변화에 발맞춰 개정된 교육과정을 반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하는데 현재의 유치원의 모습은 과거에 머물러 있다. 연구의 배경을 통하여 유아교육시설의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놀이를 통해 성장하고 관계를 형성한다. 바이오모픽은 증식과 번식을 반복하는 자율적 생존구조를 지닌 생명현상의 발달과정을 표현하는 형태적 예술표현으로 발달과정을 담아내는 물리적 형태의 특징을 고찰하여 유아교육시설에 반영한다. 또한 교육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교사중심의 교실에서 학생중심으로 교실의 모습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존적 공간이란 개념은 사람을 중심으로 공간을 인식해 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데, 유아교육시설에서 실존적 공간의 인지과정은 과거의 주입식 교육의 물리적 공간과 다르게 아이들이 중심이 되는 교실환경을 구성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성장과 관계의 개념을 표현하는 바이오모픽과 실존적 공간이 아이들 성장 및 관계형성에 물리적, 심리적으로 주요하게 연결하여 관계를 분석하고 두 가지 개념을 통해 유아교육시설을 새롭게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 범위로 첫째, 바이오모픽 건축은 모더니즘 건축부터 현대건축까지 포함하고 현대건축에 해당하는 건축가들 중 찰스 젱크스의 저서를 통해 바이오모픽 건축으로 분류한 건축가들과 유기체의 생명현상에 관련된 작품활동을 하는 작가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둘째, 실존적 공간은 근대 이후 장소론의 전개과정을 통해 현대건축의 장소성에 대한 철학적 이론가들을 바탕으로 실존적 공간에 대한 장소적 의미와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바이오모픽 건축과 실존적 공간의 이론적 고찰과 바이오모픽 건축의 작품 및 유기체 예술작품을 작품사례로 분석 및 정리하고 이와 관련된 참고문헌, 선행논문 등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바이오모픽 건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바이오모픽의 정의 및 건축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방식을 파악하였다. 제3장에서 실존적 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장소개념과 현대건축에서 장소적 의미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실존적 공간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제4장에서 바이오모픽 건축의 사례를 선정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 바이오모픽에서 3가지의 특징을 알 수 있었고, 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특징에 실존적 공간의 특징을 대입하여 바이오모픽 건축에서 실존적 공간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분석 및 정리된 특징을 바탕으로 해외 유치원 사례 8개의 분석을 통하여 작품사례에서 표현된 바이오모픽 건축과 실존적 공간의 특징을 보이는 건축적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시설 건축 계획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바이오모픽 건축에서 실존적 공간의 특징이 적용된 건축계획공간을 제안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아교육시설에서 필요한 프로그램 공간들에 역할 및 성질에 따라 기본적 공간과 이와 연계성이 높은 공간을 연결 및 배치를 통해 기본적 공간은 개별적이고 소규모 영역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연결과정을 통해 공동의 영역으로 확장한다. 두 번째, 위의 연결과정은 모호한 성격과 분명한 성격으로 나눠지는데 공동의 영역은 모호한 성격이 공간의 영역을 확장하였고, 분명한 성격은 경계를 뚜렷하게 만들어 확장을 억제하였다. 종합적으로 공간의 성격 중 기본적 공간, 연계적 공간이 소규모에서 공동의 영역으로 확장하고 더 나아가 확장하거나 억제하였고, 독립적 공간은 외부로 돌출 및 독립되어 위치하여 별개의 성격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외부 공간과 유아교육시설의 연결을 형성하는 중의적 역할로 새로운 소통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건축의 한 부분인 바이오모픽 건축의 물지적 형태에서 실존적으로 이용자가 느끼는 체험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시설을 계획하였다. 성장의 과정에서 유아교육시설은 아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는 공간적 환경으로 거주성과 다양성이 표현되고 실현될 수 있는 유아교육시설 건축계획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Unlike in the past, whe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were created as spaces to realize curriculums that fit the learning goals of young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the facility as well as high-quality edu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Kindergarten is an educational space that is physically exposed to children for a long time, and it should help them build relationships. One moment in human life is not the final stage of growth, but a state of develop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reflect the revised curriculum in line with changes in the curriculum, but the current kindergarten remains in the past. Through the background of the study, the environmental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was recognized. It grows and builds relationships through play. Biomorphic is a morphological artistic expression that expres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life phenomena with an autonomous survival structure that repeats multiplication and re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form that contains the development process ar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changing educational policy, you can see that the classroom's appearance changes from a teacher-centered classroom to a student-centered one. The concept of existential space specifically shows the process of recognizing space centered on people, a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existential spa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s important in constructing a classroom environment centered on children, unlike the physical space of cramming education in the past. Therefor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y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linking biomorphic and existential space, which express the concepts of growth and relationship format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propose a new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y through the two concepts. First, biomorphic architecture included modernist architecture to modern architecture, and among the architects of modern architecture, Charles Jenks' books focused on architects classified as biomorphic architecture and writers working on organic life phenomena. Second, existential space analyz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existential space based on philosophical theorists on the locationality of modern architec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lace theory after modern times. As a method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and existential space and the works of biomorphic architecture and organic art are analyzed and organized as examples of works, and the analysis is conducted using related references and prior pap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were examined, and through this, the expression method of biomorphic architecture was identified. In Chapter 3, the concept of place and the meaning of place in modern architecture were examin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xistential space,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space were identified. In Chapter 4, cases of biomorphic architecture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space were identified by substitu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space into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In Chapter 5,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alyzed and organized in Chapter 4, architectural elemen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and existential space expressed in the work case were derived, and through this, the construction pla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tudy, an architectural planning space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space are applied in biomorphic architecture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basic spaces and highly connected spaces are connected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ir roles and properties in program spaces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and through this connection process, basic spaces form individual and small areas. Second, the above connection process is divided into an ambiguous personality and a clear personality, and in the common area, an ambiguous personality expanded the area of space, and a clear personality made the boundaries clear to suppress expansion. Overall,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basic space and linked space expanded from a small scale to a common area and further expanded or suppressed, and independent space protrudes and is located independently to show separate characteristics, creating new communication as an intermediate role in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external spac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Through this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were planned based on the existential experiences users feel in the physical intellectual form of biomorphic architecture, which is a part of modern architecture. In the process of growth,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are a spatial environment that greatly affects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a plan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can be realized and expressed in terms of habitability and diversity.

      • 윤동주 시에 나타난 공간 형상화 연구 : 실존적 사유를 중심으로

        이지연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5935

        abstract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space in Yoon Dong-Ju’s poems — Focusing on existential thoughts —   Yi, Ji-Ye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ang, Man-Ho The time and spatial background of Yoon Dong-ju, born in Myeong-dong, Bukgando Island, an exotic land, and died at the Fukuoka Prison in Japan, the enemy's land, was a dark colonial spa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1930s and early 194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Yun Dong-ju's existential thoughts on self, others, and beings in the world by examining the spatiality of pain and despair in the colonial spac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by examining the biographical facts of Yun Dong-ju who experienced such reality. Until now, many studies on Yun Dong-ju's poem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In addition, the space and consciousness of existence discussed in this paper have been addressed in separate studies. However, relatively few studies have dealt with space and existential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aking previous studies and this problemtic awarenes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analyzes Yun's poems based on Heidegger's existential spatial theory, that is, beings-in-the-world have spatiality. To this end, this paper includes three chapters which deal with the main topic. First, this paper have divided the space in Yun Dong-ju's poems into two categories: closed space and open space. The closed space refers to the colonial era itself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open space is related to the desire to move from a desperate reality to a more fundamental and ideal space. The closed space elicits Yun Dong-ju's perception of the colon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his willingness to respond to the call of the times, and " huge rocks" and "hills" act as mediating spaces. In addition, these experiences of anxiety and fear are transformed into wishes for comfort and hope, which are embodied through "forest" and "stars"'. In addition, the negative consciousness of the hometown as a damaged place is expressed with a desire for a more fundamental ideal world of "another beautiful hometown." While the ideal world means a space of peace and coexistence, that is, the "primitive hometown," the space of Japan, which invaded his hometown, can be analyzed as a space where Yun Dong-ju, who has become a self-help and contemplative gaze due to loneliness and loneliness, identifies his place of existence and his desire for a new era appears as his agony.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at public spaces such as wells, roads, fields, mirrors, and hospitals, are embodied as private spaces where the speaker's individual existential reasons are made in Yun Dong-ju's poems. In the public space of roads and fields, existential reasons for the loss and the existence of others are made, and the past and present times coexist. In the space of mirrors and wells where the "self in imagination" exists, the true ethical self who restored the original self through reflection and penance is embodied. In addition, in the public space of hospitals, it is analyzed that Yun Dong-ju's humanistic reason to convey warm "comfort" to beings in the world suffering in the dark space of a colonial state, including Korean people and even Japanese is achieved. Third, this study analyzes Yun Dong-ju's poetry by classifying it into a horizontal space and a vertical space. The horizontal space refers to the earth on which the poetic speaker stands, and the vertical space refers to the sky in which the gods reside, which include stars and crosses. In Yun Dongju’s work, the horizontal space appears as the shade of trees and hills where the poetic speaker exists, and the surface of the lake at dusk. It is a space where despair and hope coexist. These spaces serve as catalysts to express the will of the poetic speaker and at the same time to express the aspect of a true religious person. The sky, a representative vertical space, especially the starry sky, is a space where nostalgic names and beautiful names exist in the desperate reality of the Change of Name Act, skepticism about one's faith, and fear and despair of the absence of the original name. space that exist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sky is a space where the narrator expresses his refusal to change his family name, and a space where his desire for martyrdom to save those living in dark times is expressed, allowing a human self to change into a religious self. As discussed above, natural spaces and their elements sky, star, sea, forest, wind, etc. and artificial spaces and their elements school, well, road, street, cross, room, mirror, etc. in Yun Dong-ju's poems have been explored in terms of three criteria: openness vs closedness, publicity vs individuality, and horizontality vs verticality. By examining these poetic spaces, this paper identifies he existential thinking of Yun Dong-ju's self and the other, as well as beings in the the world. 국문 초록 이국땅인 북간도 명동에서 태어나 적의 땅인 일본의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사망한 윤동주가 그 삶을 영위한 시간과 공간적 배경은 1930년대와 1940년대 초 일제 치하의 암울한 식민지 공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제 식민지 공간이 내포한 고통과 절망이라는 공간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러한 현실공간을 체험한 윤동주의 전기적 사실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시적 공간들을 살펴봄으로써 윤동주의 자아와 타자, 나아가 전 세계의 존재자들에 대한 실존적 사유를 확인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지금까지 윤동주의 시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왔다. 그리고 본고에서 다룬 공간과 실존의식에 대해서도 각자의 주제로 다수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간과 실존의식을 함께 주제로 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앞선 연구자들의 성과를 그 토대로 하되 세계 내의 존재는 그 자체로 공간성을 가지며 이는 곧 실존을 의미한다는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공간론을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본론을 세 개의 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비 본래적’ 닫힌 공간에의 절망과 ‘본래적’ 열린 공간에의 염원’에서는 윤동주 시에 나타나 있는 당시 일제치하 조선의 식민지 시대 자체를 ‘비 본래적’인 닫힌 공간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비 본래적’인 공간성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를 희망하는 근원적인 공간, 즉 ‘본래적’공간을 열린 공간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공간은 이에 대한 윤동주의 현실 인식과 시대에의 참여의지를 이끌어내며 여기에는 ‘반석’과 ‘언덕’이 그 매개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불안과 공포에의 경험이 위안과 희망에의 염원으로 전환되고 이는 ‘산림’과 ‘별’이라는 공간을 통해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훼손된 곳으로서의 고향 공간에 대한 부정의식은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이라는 보다 근원적인 이상세계에의 염원으로 표출되고 여기서 이상세계는 평화공존의 공간, 즉 ‘태초의 고향’을 의미한다. 또한 적국인 일본 공간에서의 외로움과 고독감으로 인해 자조自照와 관조적인 시선을 갖게 된 윤동주가 자기 실존의 자리를 확인하고 새로운 시대, 즉 ‘본래적’인 열린 공간에 대한 염원이 그의 고뇌로 나타나 있다. 둘째, ‘공동체 공간의 사적 공간화와 윤리적 실존’에서는 우물, 길, 장, 거울, 병원 등의 일반 대중이 함께 사용하거나 이용하는 공동체 공간들이 윤동주의 시에서는 화자 개인의 실존적 사유가 이루어지는 사적인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길과 장이라는 공적 공간에서는 잃어버린 것에 대한 사유와 타자의 실존에 대한 사유가 이루어지며 과거와 현재의 시간이 공존하여 나타나고 ‘상상 속의 자아’가 존재하는 우물의 표면과 거울에서는 반성과 참회를 통해 본래적인 자신을 회복하고 참된 윤리적 자아가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병원이라는 공적 공간에서는 식민지 국가라는 암울한 공간 속에서 고통 받는 우리 민족과 나아가 일본인들까지도 포함하는 전 세계의 존재자들에게 따뜻한 ‘위로’를 전하고자 하는 윤동주의 휴머니즘적 사유가 이루어지는 등 이들 공간은 윤동주만의 사적인 공간으로 나타난다. 셋째, ‘절대적 존재의 거소로서의 수직 공간과 인간적 고뇌로서의 수평 공간’에서는 시적 화자가 딛고 서 있는 땅을 수평 공간으로, 그가 올려다보는 신이 거주하는 하늘과 별 그리고 십자가등이 위치해 있는 공간을 수직 공간으로 나누었다. 수평공간은 시적 화자가 존재하는 나무 그늘, 황혼이 비치는 호수의 표면, 언덕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 공간들은 윤동주의 의지와 진정한 종교인으로서의 면모를 발현시키는 촉매로서의 공간이며 절망과 희망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수직공간인 하늘과 별은 창씨개명이라는 절망적인 현실에서 자기 신앙에 대한 회의와 본래의 자기 이름이 부재하게 될 것에 대한 두려움과 절망, 그리고 그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하는 공간이며 그리운 이름과 아름다운 이름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또한 어두운 시대를 구원하고자 하는 윤동주의 순교자적인 의지를 이끌어내는 공간이자 인간적인 자아에서 신앙적인 자아, 즉 종교적인 자아로 나아가는 공간이다. 윤동주의 시에는 하늘, 별, 바다, 산림, 바람 등의 자연 공간과 학교, 우물, 길, 거리, 십자가, 방, 거울 등의 인위적인 공간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적 공간들을 살펴봄으로써 윤동주의 자아와 타자, 나아가 전 세계의 존재자들에 대한 실존적 사유를 탐구할 수 있으며 그의 정신적 깊이와 통찰력 그리고 그의 시편들이 어떤 정신적 바탕 위에서 씌어진 것인가에 대해서도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