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인권실사 제도화 방안

        최한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인권은 국가 공권력에 의한 침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하지만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국가만큼 기업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활동에 의한 인권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과 인권 또는 인권경영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제 기업이 인권에 책임이 있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다. 그렇다면 인권경영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인권경영에 대해 가장 영향력이 있고 대표적인 국제규범은 UN 사무총장 특별대표였던 존 러기가 2011년에 작성한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이다. 존 러기는 기업과 인권에 대해 국가의 인권보호의무, 기업의 인권존중책임, 구제에의 접근이라는 3대 원칙을 제시했다. 국가의 인권보호의무는 기업에 의한 인권침해를 막기 위해 국가가 정책, 법률, 규제, 판결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기업의 인권존중책임은 기업이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을 것과 자신이 개입된 부정적 인권 영향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제에의 접근은 기업에 의해 인권침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를 본 당사자에게 사법적, 비사법적 구제를 해야 함을 의미한다. 기업의 인권존중책임을 실현하는 핵심적인 수단은 ‘인권실사’(due diligence)다. 인권실사는 기업이 자신의 활동이 다른 사람의 인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는지 미리 살펴보고, 그럴 소지가 있으면 그 점을 고려해서 경영함으로써 인권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그러한 활동의 진행 상황과 결과를 공개하는 활동이다. 인권실사의 특징은 기업이 자신의 활동에 대해 스스로, 예방적으로 인권침해를 막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기업은 인권영향평가를 실시하고, 평가의 결과를 경영에 반영하며, 경영의 결과가 효과적인지 평가하며, 이런 일련의 과정에 대해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공개하고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인권경영의 주체는 기업이며, 인권실사를 비용을 들여 수행하는 것도 기업이다. 인권실사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사실 기업이 인권존중책임을 다하기 위해 인권실사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기업으로서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다. 따라서 기업은 인권실사를 자발적으로 시행할 이유가 부족하고, 실제로 확산속도가 매우 더뎠다. 국제사회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인권실사를 강제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왔다. 이미 EU를 중심으로 인권실사를 법률로 도입하고 있다. 프랑스는 2017년부터 실사의무법이 도입되었으며, 독일도 올해부터 공급망 실사법이 시행하고 있다. 외국의 인권실사법은 인권실사의 범위를 ‘공급망’까지 확대하고 있다. 공급망은 기업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원료와 자재를 공급해 주는 곳, 기업이 만든 제품을 사용하거나 판매하는 회사, 기업의 하도급 업체, 협력업체를 포함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권실사에 관한 법안이 제출되었다. 2022년 12월 발의가 된 ‘해외자원개발사업법 개정안’이다. 이 법안은 ‘분쟁 및 고위험 지역’에서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외자원 개발 사업을 하려면 인권과 환경에 대해 실사를 해야 한다는 의무를 담고 있다. 적용대상 기업의 범위가 좁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인권실사를 의무로 도입하는 최초의 법안이다. 더 나아가 모든 기업에 대해 인권실사를 의무로 도입하는 법안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인권실사법은 기업이 인권을 존중하고, 기업에 의한 인권침해 피해자들이 정의와 구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꼭 필요한 법안이다. 이 논문에서는 인권실사법이 조속히 도입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외국의 입법 사례를 참고하여 법안에 반드시 담겨야 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법안에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이 제시한 국가의 인권보호의무, 기업의 인권존중책임, 구제에의 접근이 명시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인권실사에 대한 정의나 내용을 정리한 법안이 없으므로 기업이 지켜야 할 인권의 기준과 범위, 인권실사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정의도 포함되어야 한다. 인권실사법의 적용대상 기업은 모든 기업으로 하되 기업의 규모와 인권침해의 위험성에 따라 다르게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인권실사를 제대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체계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그리고 인권침해 당사자에 대한 권리구제 방안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권실사의 이행을 강제하는 법률적 제재로 형사적 제재, 행정적 제재, 손해배상과 같은 민사적 제재의 방식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인권실사법이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지 못하는 종이호랑이가 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기업들이 지속해서 해를 일으키면서 이를 은폐할 수 있는 새로운 위장(green washing)의 수단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업의 EU 공급망 실사법 대응 방안 연구 - 철강 및 제약·바이오 업종을 중심으로

        김소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글로벌 경기 침체로 국내 무역수지 악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EU를 중심으로 ESG 규제가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는 개별 기업을 넘어 기업 공급망 전반에 대한 실사 의무 법안으로 확대되고 있다. EU는 2022년 2월, 기업 공급망의 환경·인권 리스크 실사 이행 및 정보공시를 의무화하는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EU Corporation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초안을 발표하고 올해 하반기 의회 통과를 앞두고 있다. 해당 지침이 발효되면 EU 회원국은 2년 내에 이를 국내법으로 제정해야 한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 수출 기업은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 대응에 대한 시급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 대응 역량 및 계획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EU가 요구하는 공급망 실사 의무 요건에 국내 기업이 어느 정도의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고, 환경·인권 영향 관리를 잘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글로벌 선진 기업과 해당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차이점을 기반으로 국내 기업의 향후 대응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은 철강 업종과 제약·바이오 업종이며, 분석 데이터로는 기업의 환경·인권 경영활동 및 성과를 망라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활용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해 보고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단어빈도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토픽모델링 등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철강 및 제약·바이오 기업 모두 동일 업종의 글로벌 선진 기업 대비 ‘부정적 영향 관련 이슈 보고’ ‘공급망 실사 이행을 위한 지침 수립 및 내재화’ ‘공급망 리스크 평가’ ‘정보공시를 위한 환경·인권 데이터 관리’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철강 업종은 글로벌 선진 기업 대비 ‘친환경 제품 공정 및 개발’ ‘자원 재활용’ ‘온실가스 배출’ 관련 데이터 공시 및 관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약·바이오 업종은 ‘온실가스 배출’ ‘환자의 약물 접근성 등 사회적 책임’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농작물 관리’와 같은 구체적인 기후위기 대응 내용 등의 공시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은 해당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하며, 정부는 국내 기업의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과 함께 공급망 실사 의무가 강화되는 글로벌 추세를 고려하여 공급망 환경·인권 리스크 관리 의무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orea’s trade balance continues to deteriorate due to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the expansion of ESG regulations, especially in the EU. These regulations are leading to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requiring due diligence on the entire supply chain of companies. In February 2022, the EU announced a draft of the EU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requiring due diligence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risks in corporate supply chains. Once the directive takes effect, EU member states must enact it into domestic law within two years. Korean exporters recognize feel the urgency of responding to EU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guidelines. However, it has been was confirmed that actual response capabilities and plans we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evaluated Korean companies’ ability to respond to the EU's demand for due diligence in the supply chain and compared it to global leaders who are considered good in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risk management. The steel and pharmaceutical/bio industries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sustainability reports covering the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the company was used as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Korean steel and pharmaceutical/bio companies are relatively poor in ‘negative impact reporting’, ‘establishment and internalization of supply chain due diligence guidelines’, ‘supply chain risk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data management for information disclosure’. In particular, Korean steel companies are relatively poor in data disclosure and management related to 'Eco-friendly product processing and development', 'resource recycling' and 'greenhouse gas emission'. And Korean pharmaceutical/bio companies lacked information disclosure about 'greenhouse gas emissions',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patient accessment to medicin', and 'specific climate crisis response such as crop management for stable supply of raw materials'. Korean companies should actively improve and supplement these areas, a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 to strengthen their ability to respon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global trend of strengthening supply chain due diligence, a system for mandating supply chain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risk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must be established.

      •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과 지식축적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정선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6

        국 문 초 록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과 지식축적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정선화 지식기반경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따른 지리학적 연구주제로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산업 중 문화콘텐츠산업, 그 중에서도 영화산업의 공간 분포에 대해 보다 적실성 있는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영화산업의 공간 분포를 결정짓는 공간 경제 형성 메커니즘을 재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영화산업의 공간적 특성과 분포를 결정하는 산업 특유의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하여, 영화산업의 생산조직으로서 프로젝트 기반 생산조직, 영화산업의 핵심적인 생산요소로서 자본과 지식을 선정하고 자본조달구조와 지식축적과정을 유형화하여 한국과 미국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 각각을 대입하여 그 공간적 특성과 분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해 3가지 연구주제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구조, 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생산조직 및 지식축적과정,  구체적인 영화 프로젝트를 통한 사례 분석이다. 연구내용 및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산업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의 한 축으로서 자본조달구조를 분석하였다.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구조는 매 프로젝트마다 새롭게 자본을 조달하는 프로젝트 기반 자본조달로 이해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투자단계에서 조달되는 핵심적인 생산요소인 자본의 원천을 기준으로 외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와 내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유형에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을 대입시켰다. 한국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 그리고 미국 실사영화산업 일부에서 외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가 나타난 반면, 미국 실사영화산업 일부와 미국 애니메이션영화산업에서 내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각 산업의 공간 분포와 연계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자본조달 원천이 외부에 있고 다수의 투자자로 구성되는 외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의 경우에는 투자자 간 공간적 근접성이 요구된다. 실제 한국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 그리고 미국 실사영화산업 일부에서 투자자 간 공간적 근접성이 나타나고 있어 자본조달 측면에서 해당 산업은 집중형 공간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자본조달 원천이 내부에 있는 내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의 경우에는 투자자 간 공간적 근접성의 필요성이 없다. 실제 미국 애니메이션영화산업에서 투자자 간 공간적 근접성은 나타나지 않아 자본조달 측면에서 해당 산업은 분산형 공간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영화산업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의 또 다른 한 축으로서 생산조직 및 지식축적과정을 분석하였다. 영화산업의 생산조직은 프로젝트 단위로 생성과 해체가 반복되는 프로젝트 기반 생산조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작단계에서 영화산업의 프로젝트 기반 생산조직이 활용·동원하게 되는 핵심적인 생산요소인 지식의 원천을 기준으로 외부동원형 생산조직과 내부활용형 생산조직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유형에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을 대입시켰다. 한국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 그리고 미국 실사영화산업에서 외부동원형 생산조직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미국 애니메이션영화산업에서 내부활용형 생산조직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각 산업의 공간 분포와 연계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인적자본인 제작 인력을 생산조직인 제작사의 외부에서 동원하고, 제작사가 기술 개발에 직접적으로 투자하지 않는 외부동원형 생산조직의 경우에는 제작사와 제작 인력, 제작 관련 업체 간 공간적 근접성이 높게 요구된다. 실제 한국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 그리고 미국 실사영화산업에서 제작사와 제작 인력, 제작 관련 업체 간에 공간적 근접성이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지식축적 측면에서 해당 산업은 집중형 공간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제작 인력을 제작사 내부에서 활용하고, 제작사가 기술 개발에 직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내부활용형 생산조직의 경우에는 공간적 고립이라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어 지식축적 측면에서 해당 산업은 분산형 공간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앞서 밝힌 영화산업의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을 프로젝트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론틀에 대한 이해를 보완하고 그 설명력을 검토하였다. 외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와 외부동원형 생산조직이 결합하여 제작되고 흥행에도 성공한 한국 실사영화산업의 <국제시장>(2014) 프로젝트는 자본조달 측면에서 투자자들 간의 조직적·공간적 근접성이 높게 나타났고, 지식축적 측면에서 기술 개발은 거의 일어나지 않은 반면 인적자본 동원 측면에서 제작사-제작 인력-제작 관련 업체 간 조직적·공간적 근접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와 내부활용형 생산조직이 결합하여 제작되고 흥행에도 성공한 미국 애니메이션영화산업의 <Rio 2>(2014) 프로젝트는 자본조달 측면에서 제작사 내부자금으로 투자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투자자들 간의 공간적 근접성이라는 개념이 성립하지 않고, 지식축적 측면에서 제작사 내에서 기술 개발이 대규모로 진행되고 인적자본은 제작사 내부 인력을 재배치하여 활용함으로써 제작사-제작 인력-제작 관련 업체 간 공간적 근접성을 검토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게다가 역사적으로 제작사인 Blue Sky Studio의 경우 영화산업의 집적지이자 모회사인 Fox Studios로의 이전을 거부하고 교외 지향의 공간 선호를 보임으로써 공간적 고립을 그에 대한 공간적 전략으로 선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영화산업과 같이 문화콘텐츠산업을 대표하면서 동시에 산업적으로도 가장 성숙한 산업의 공간 분포의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고 영화산업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의 두 축인 자본조달구조와 지식축적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그 공간적 특성을 이끌어 낸 것에 의의가 있다. 그 과정에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조직 연구의 대상을 조직 외부에서 자원을 동원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조직 내부에서 자원을 재배치하는 경우를 포함시킴으로써 확대하였다. 또한 프로젝트의 일시성을 단순한 시간적 개념에서 조직의 시작-진행-완료를 관찰할 수 있는 사건으로 확장시켜 가치사슬 측면에서 연구의 틀을 설정하였다. 또한 방법론에 있어서 그동안 비판을 받아온 단일 사례 연구를 지양하고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러한 비판의 요지를 살펴보면, 산업집적론에서는 산업집적이 이득을 가져다준다는 사전적 가정을 설정하여 성공적인 집적지만을 단일 사례로 분석함으로써 산업의 공간적 집중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이론을 심화시켜 왔으며 그 결과 산업집적을 모든 지역문제의 해결책으로 간주하게 되는 학문적·정책적 편향을 노정해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을 해결하기 위해 성공한 산업집적지와 산업분산지의 비교를 시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산업집적론 나아가 경제 공간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주요어 : 영화산업, 실사영화산업, 애니메이션영화산업,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 가치사슬, 자본조달구조, 지식축적과정, 공간적 근접성, 공간적 고립

      • 동화원작의 애니메이션 및 실사영화의 : 디즈니 애니메이션《겨울왕국》과 실사영화《말레피센트》를 대한 분석 중심으로

        탕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모두 예술이 영상으로 시각화된 산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상을 반영하며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모두 가치의 방향성 가진다. 최근 몇 년간 동화원작의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는 표현 방식에 있어서 변화를 보였다. 그 중, 페미니즘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다. 페미니즘 작품의 서사구조에 반영되는 사상과 같은 개념으로 캐릭터의 표현방법에 많은 영향을 준다. 최근 동화를 원작으로 하는 영상이 제작되면서 페미니즘 변화가 작품의 서사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따라서 동화원작 영상작품에 반영된 페미니즘에 대한 분석은 영상작품의 서사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수 있다. 본문은 2014년 디즈니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및 실사영화 《말레피센트》에 표현된 페미니즘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 표현기법 특징을 확인하였다. 특히, 표현방식에 있어서 오늘날 영상작품의 중요한 부분의 페미니즘 변화 특징과 차이점을 잘 파악하여, 영상작품의 사회적 특징과 페미니즘 변화의 구체적인 방식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다른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에게 일정한 가치관적 특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와 鄧小平의 實事求是論

        임해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5

        These days, china grew up to be the second global economic powerhouse 30 years since Deng Xiaoping carried out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and tries leaping into a powerful state in fields of politics, military forces, and culture. But the disputes were raised that china gave up socialism and was on the road to capitalism because Deng Xiaoping'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abandoned socialist market economy and adopted capitalist market economy. As Deng Xiaoping guided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according to his own theory of shilsagushi, the theory of shilsagushi was known as the theoretical basis of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of which he speaks is that through shilsagushi we should find the truth in things that is actually, and search for the line of right policy. Guiding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in this way, with the theory of shilsagushi he raised 'the theory of black and white cat' that a cat catching mice nicely is good cat, whether it is a black or white cat. This is the reason why he is misunderstood that he gave up marxism and adopted pragmatism. But Deng Xiaoping, Jiang Zemin, Hu Jintao, and lots of scholars have insisted that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is for building socialist powerful state, and that the theory of shilsagushi is the kernel of marxism and maoism. In this reason, this study first considered modern society after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Deng Xiaoping thought that according to the theory of shilsagushi chinese societies at that time remained at the primary stage of socialism, and needed to develop productive forces rapidly for the sake of turning into the higher stage of socialism. To realize it, he thought that we needed to induce market economy. By the way, this market economy was called socialist market economy because it did not receive capitalism as it is, but accepted it within scopes of socialism. He said that this is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which is unique in china. As soon as the gulf of between poor and rich in individuals, individual and collect, especially among provinces, occurred during 10 years after accepting market economy, he urged china'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by justifying it through 'the theory of permitting getting rich first'. But when the gulf increased still more and many side effects occurred, he insisted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mental culture. Hu Jintao's theory of social reconciliation was raised under this background. Then, after examining traditional philosophies and Mao Zedong's theory of shilsagushi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the basis of Deng Xiaoping's policy on reform and opening was the theory of shilsagushi, this study analyzed his theory of shilsagushi. Concretely,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ions of theory and practice, truth utility, truth relativity, ideal society in shilsagushi. Deng Xiaoping insisted consistently that the theory of shilsagushi was not only the active succession of marxism-leninism and maoism, but also the essence of their thoughts. As far as the disputes are raised ceaselessly that his theory of shilsagushi included many contents of pragmatism, first this study arranged comparing marxism-leninism with pragmatism, then analyzed his theory of shilsagushi in the view of them. The resemblances between marxism-leninism and pragmatism consist in respects that both theories regard practices as of great importance in the process of knowing the truth, judge the truth according to utility, therefore understand the truth as potentiality and relativity. But both philosophies in concrete contents of practice, utility, and relativity have differences, ultimately have great differences in the viewpoint of ideal society. From this viewpoints, this study also analysed his theory of shilsagushi.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end that to define chinese societies as socialism or capitalism from a one-sided view, from political, ideological standpoints isn't right, and also to decide the theory of shilsagushi which is their philosophical basis as marxism or pragmatism isn't right.

      • EU 공급망 실사 지침에 대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대응방안 연구 : 반도체 소재기업을 중심으로

        김상곤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EU의 공급망 실사 지침이 발효됨에 따라 국내 반도체 소재 중소중견기업이 이에 대비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째, 반도체 소재기업이 공급망 실사에 관련해 외부에서 요구되는 사항과 관리해야 할 항목을 파악하고, 둘째, 이를 기반으로 한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관리체계와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도체 소재 기업이 직면한 외부 요구사항을 글로벌, 국내 법규, 그리고 반도체 산업 수준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업은 주로 RBA(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행동규범을 중심으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에 걸친 ESG 이슈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이슈관리에서는 유해물질 관리,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활용, 에너지 절감, 폐기물 최소화 및 자원순환 등 환경 측면의 문제에 대한 강화된 관리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외부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관리가 필요한 항목을 선별한 결과, 사회 영역 관련 항목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며, 환경 영역 관련 항목이 가장 높은 관리 필요수준을 나타냈다.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관리체계와 추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RBA 행동규범의 경영시스템 항목을 기반으로 한 조직 및 운영 관리체계를 제안하였으며 단기, 중장기, 실행 유보 등의 단계적 추진방향을 결정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노동 인권, 윤리경영, 환경안전보건 인허가 획득, 유해물질 관리, 산업재해 예방과 관련한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및 온실가스, 작업환경 개선, 공급망 관리 및 책임 있는 조달, 대기오염 및 물 관리, 다양성 및 양성 평등, ESG 경영시스템, 지역사회 공헌과 관련한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실행 유보 과제로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 고객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공급망 실사 법제화로 인한 변화에 대비하여 반도체 소재 중소중견기업이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경영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EU 공급망 실사 지침, 중소중견기업, 반도체 소재기업, RBA, 공급망 실사 대응방안

      • 애니메이션과 영화 장르별 비교와 그에 따른 함축성 :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와 영화 <미녀와 야수>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민희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논문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를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장르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장르 간의 형태론적 서사구조 차이가 전체 의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 유사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어떤 재해석을 가함으로써 대중의 관심을 끌만한 기호학적 장치를 구사하였는지, 실제 사례에 대한 검증에 기반하여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분석의 방법론에 입각해 실사영화화 된 애니메이션의 서사성과 의미구조에 대한 분석적 고찰이다. 애니메이션과 영화 <미녀와 야수>의 서사성과 의미구조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개념 이외에도 프로프의 기능 분석을 적용하였다. 서사성 분석을 위해 시퀀스 분류에 따른 서사구조 분석을 진행한 뒤, 해당 서사구조를 프로프의 기능 분류에 의거하여 형태론적 요소로 분해하였다. 또한, 캐릭터 간의 긴장 관계 재현을 분석하기 위해 인물별, 속성별로 계열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그 재현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파악하기 위해 행위주 모델과 기호사각형을 적용하여 함의를 도출하고, 그것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분석하는데 주력하였다. 연구결과, <미녀와 야수>는 애니메이션과 영화 양쪽 모두 두 개의 중심서사와 이를 뒷받침하는 네 개의 보조서사로 구성된 중층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중심서사는 벨에 의한 모험서사로 진행됨을 확인했다. 이상에 프로프의 기능 분석을 적용한 결과, 영화와 애니메이션 모두 탐색형 주인공으로서 벨에 의한 탐색행위가 서사를 지배하는 가운데, 실사영화에서는 개스톤에 대한 행위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주인공과의 긴장관계를 강화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권선징악으로 이어지는 디즈니의 관습적 서사구조가 더 분명해지는 효과를 확인했다. 계열체 분석을 통해서는, 실사영화화 과정에서 별도의 공간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벨에 의한 야수의 변모를 강조하였음을 분석하였다. 행위주 분석에서는, 기능 분류에 따라 정의한 각 행위 요소들이 벨의 상황에 대한 선택과 판단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실사 영화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주도적인 현대 여성이라는 젠더 이데올로기를 재현했다는 판단에 이를 수 있었다. 또한, 기호사각형의 분석 결과, 벨과 야수의 비정상적인 만남이 로맨스 관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서사구조에 의해 적대자로서의 위상이 강화된 개스톤에 의해 선악 구도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실사영화화 과정에서 벨의 주도권을 강화하고 개스톤의 적대자적 위상을 강화하는 한편, 야수의 피동적 제약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현대적인 여성상을 그려내고자 했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이 장르적인 변용을 겪는 과정에서, 서사구조 상의 장치를 재조정함으로써 현대적인 사회변화상을 반영하려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하는 새로운 해석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프로프의 기능 분석을 통해 서사구조를 개별단위로 해체하여 재배열하는 과정이 실사영화에 대한 새로운 분석 틀을 제시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re difference on semantic structure by comparing morphological difference of narrative structure between the animation and the movie of Disney’s <Beauty and the Beast>. The analysis of the genre differences is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actual cases to see if any reinterpretation was carried out while keeping similarity, under semiotic approaches to make people become interested in the reproduced movie. In order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semantic structure of the animation and the movie of <Beauty and the Beast>, we applied Propp’s function of folktales, in addition to the semiotic tools of Greimas, which has commonly been used in the studies of semantic stucture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etailed sequence analysis, it is found that both the animation and the film of <Beauty and the Beast> have two central narratives and four auxiliary narratives supporting them, and that the central narrative is driven by an adventure of Bell, the female protagonist. As a result of applying Propp’s functions, it is found that the exploration conducted by Bell dominates the narrative in both the animation and the movie of <Beauty and the Beast>. What differentiate the movie from the animation is that, the domain action of ​​Gaston, the antagonist, is expanded to strengthen the strained relations among the major characters, Bell, the Beast, and Gaston. The difference strengthen Disney's customary story-telling, which results in a didactic drama. In the analysis of Greimas’s Actantial model, it is found that each actantial element is driven by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especially in the movie, so that Bell’s initiative is being magnified in the direction of giving her a choice upon every situation. As Bell’s initiative is strengthened, the female protagonist has been depicted as a dominant character, which results in the representation of a modern woman overthrowing the conventional gender ideology.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s of the movie <Beauty and the Beast> is so designed as to reinforce Bell 's initiative and strengthen Gaston' s antagonistic position, while trying to depict a contemporary feminine image. This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Disney's consecutive attempts to reflect modern social changes by reorganizing narrative structures in the process of undergoing genetic transformation.

      •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의 실사화에 따른 캐릭터의 성격 및 의상 색채 변화 연구

        홍민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4

        To examine how character personalities changed and how this was reflected visually, this study first compared and analyzed personality types, second, compared these with abstract associations of costume colors to see how clothing colors changed to suit elements of personality changes, and made presentations of the changes that Disney is attempting through their live-action films. First, among the 13 live-action films that were remakes of classic animations of Disney, film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with regard to costume colors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6 animations and live-action films were selected including <Aladdin>(2019), <Beauty and the Beast>(2017), <Cinderella>(2015), <Alice in Wonderland>(2010), <Maleficent>(2014), and <Mulan>(2020). Before the analysis, the selected films were watched and five main characters were selected for each film. First, roles of [The Seven Character Types of Vladimir Propp] were applied to the characters for personality type analysis and character types were deduced. Afterwards, character personality types were deduced through the [MBTI] and character behavior patterns were collected using [DISC]. Examination results of character personality types were organized into a visual analytic frame and compared.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abstract associations of costume colors, character costumes in movie scenes were captured, corrected with Photoshop, and shadows and sunlight were removed. Next, the RGB values of the corrected costumes were extracted and the RGB values were converted into HVC (Munsell) values using Munsell Conversion. HVC(Munsell) values were applied to the color ranges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and colors that apply attributive tones were deduced. Afterwards, abstract associations were collected using the Association Table of Attributive tones(Japan Color Research Institute, 2000) and the Basic Color Image Association Table (Moon Eun Bae, 2011) and categorizations were made, separating positive associations and negative associations. Lastly, change elements of personality types and positive/negative associations of costume colors were organized into tables and verifications were made of whether personality changes of characters were applied to costume colors. First,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 types in the classic animations and live-action films of Disney showed that, of the ‘Seven Character Types of Vladimir Propp’, common personality changes appeared in the 5 character types of the ‘Hero’, ‘Princess’, ‘Father of the Princess’, ‘Helper’, and ‘Villain’. The ‘Hero’ who played a leading role and who made plans to achieve goals and the sociable and friendly ‘Princess’ became the sociable and free-spirited ‘Hero’ and the active ‘Princess’ who becomes a ruler in the live-action film. Thus,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of males and females changed. The ‘Father of the Princess’ became a conservative traditionalist in the live-action film who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Princess’. Also, the ‘Helper’ came to display stronger active behavior, playing a role of greater importance than in the animation and the ‘Villain’ who had been egotistical became a cautious and humane villain through the live-action film. Afterwards, comparative analysis of costume colors in the classic animations and live-action films of Disney showed that colors that correspond to character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and that the costumer colors of characters whose personality types changed through live-action films were modified to suit the changes in their personality types.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elements of character personality changes are related to costume colors. Lastly, common personality changes appeared in the five character types of ‘Hero’, ‘Princess’, ‘Father of the Princess’, ‘Helper’, and ‘Villain’ through personality type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and applications were made of costume colors that are associated with identical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haracter. Afterwards, examinations made of behavior elements within the animations of the characters in which common personality changes appeared showed that they were tied down to old-fashioned ideas that fall behind the modern age and verifications were made that such behaviors changed through live-action films.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Disney is making attempts to change animation characters who had fixed behaviors due to old-fashioned thinking or prejudices according to human characters desired by the current age. 본 연구는 캐릭터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시각적으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내기 위해 첫 번째로 성격 유형을 비교분석 한 후 두 번째로 의상 색채의 추상적 연상과 비교해 성격 변화의 요소에 맞게 의상 색채가 변화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디즈니가 실사화를 통해 어떤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먼저 디즈니의 고전 애니메이션을 리메이크한 실사영화 13편 중 의상색채의 분석이 힘든 영화는 제외하여 비교분석 대상으로 <알라딘>(2019), <미녀와 야수>(2017), <신데렐라>(2015),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10), <말레피센트>(2014), <뮬란>(2020) 등 총 6편의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를 선정하였다. 분석에 앞서 선정한 영화들을 시청한 후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영화 당 5명의 주요 캐릭터를 선발하였다. 첫 번째로 성격 유형의 분석을 위해 캐릭터에 프로프의 일곱 가지 등장인물의 역할을 대입하여 등장인물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후 MBTI를 통해 캐릭터의 성격 유형을 도출한 후 DISC를 사용하여 캐릭터의 행동 패턴을 수집하였다. 캐릭터의 성격유형을 검사한 결과는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분석틀에 정리해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의상 색채의 추상적 연상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영화 장면 속 캐릭터의 의상을 캡처한 후 포토샵으로 보정하여 그늘과 햇빛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보정한 의상의 RGB값을 추출한 후 Munsell Conversion을 사용해 RGB값을 HVC(먼셀)값으로 변환하였다. HVC(먼셀)값은 한국 산업 규격(KS)의 색상 범위에 대입하여 수식 형용사(톤)를 적용한 색상을 도출하였다. 이후 수식 형용사(톤)의 연상표(일본 색채연구소, 2000)와 기본적인 색채 이미지 연상표(문은배, 2011)를 사용하여 추상적 연상을 수집해 긍정적 연상과 부정적 연상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격 유형의 변화 요소와 의상 색채의 긍정적/부정적 연상을 표로 정리하여 캐릭터의 성격 변화가 의상 색채에 적용이 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디즈니의 고전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캐릭터의 성격 유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프로프의 일곱 가지 등장인물 중 주인공, 공주, 공주의 아버지, 조력자, 악당 등 5명의 등장인물 유형에게 공통적인 성격 변화가 나타났다. 주도적이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획을 세우던 ‘주인공’유형과 사교적이고 친절하던 ‘공주’유형은 실사화를 통해 사교적이고 자유로운 성격의 ‘주인공’유형과 주도적이고 왕이 되는 ‘공주’유형이 되면서 남성과 여성의 전통적인 성역할이 변화하였다. ‘공주의 아버지’유형은 실사화를 통해 보수적인 전통주의자로 변화하였으며 ‘공주’유형과 대립 구도를 형성하였다. 또한 ‘조력자’유형은 주도적인 행동 요소가 강해지며 애니메이션에 비해 비중이 커졌고 자기중심적이던 ‘악당’유형은 실사화를 통해 신중하고 인간적인 악당으로 표현되었다. 이후 디즈니의 고전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캐릭터의 의상 색채를 비교분석한 결과, 캐릭터의 성격 유형에 해당하는 연상의 색채가 적용되었으며 실사 영화를 통해 성격 유형이 변화한 캐릭터는 의상 색채 역시 변화한 성격 유형에 맞게 수정되었다. 따라서 캐릭터의 성격 변화 요소가 의상 색채에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격 유형 비교분석 연구를 통하여 주인공, 공주, 공주의 아버지, 조력자, 악당 등 다섯 가지 등장인물 유형에게 공통적인 성격 변화가 나타났으며 등장인물마다 동일한 감성적 특징이 연상되는 의상 색채가 적용되었다. 이후 공통적인 성격 변화가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애니메이션 속 행동 요소들을 관찰했을 때 현재 시대에 뒤떨어지는 구사상에 얽매여 있었으며 실사화를 통해 이러한 행동이 변화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디즈니는 시대가 원하는 인간상에 맞춰 뒤떨어진 사상이나 편견으로 인해 고정된 행동을 하는 애니메이션의 인물을 변화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ESG 확산에 대한 국내 중소기업의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對 EU 수출 자동차 부품기업을 중심으로

        이윤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3

        ESG 확산에 대한 국내 중소기업의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對 EU 수출 자동차 부품기업을 중심으로 - 2022년 2월 EU는 일정 규모 이상의 역내·외 기업은 인권과 환경친화적 조건을 검증하기 위해 ESG 공급망 실사를 거쳐야 한다고 발표했다. EU 의회와 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후, 역내 27개국 회원국은 2년 이내에 ESG 실사 지침과 관련된 국내법을 개정해야 한다. EU 실사 지침은 기업 경영에 있어서 이미 화두가 된 ESG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는 흐름이다. EU의 ESG 실사 지침으로 EU의 공급망 속에 있는 한국 기업도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 기준을 충족해야 하므로, 대기업에 비해 ESG 경영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중소 수출기업은 위기로 작용할 것이다. 대기업들은 ESG 경영 도입을 적극적으로 준비해 왔지만, 중소기업 대부분은 ​​ESG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은 비용부담, 전문인력, 이행체계 미비 등으로 상대적으로 대응이 더딜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EU의 공급망 실사 지침의 본격적 시행이 국내 자동차 부품 수출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ESG와 기업실사, 자동차 부품산업의 현황을 고찰하고, 무역의 관점에서 EU 시장의 특징 및 국내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의 EU 수출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EU의 ESG 제도와 공급망 실사 지침의 제도화 배경, 법제화 과정,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자동차 부품 수출 중소기업에 미치는 주요 영향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의 자동차 부품산업은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지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이슈 관리에 대한 인식과 준비 부족으로 사업을 잃을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특히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는 공급사 간 ESG 준수 요건을 강화한 글로벌 기업에 의해 공급망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수출 중소기업은 이러한 ESG 경영 트렌드에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ESG 경영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자동차 부품기업은 EU의 실사 지침의 준수를 위해 공급망 관리 및 점검이 필요하다. 기존의 수직적 공급망 구조가 아닌 네트워크형 글로벌 공급망으로 전환하고, 국내 완성차 업체와 부품업체를 네트워크로 유기적으로 연결해 대안을 항상 준비해야 한다. 또한 기업 내부적으로는 인권 및 환경과 같은 쟁점에 대해 직원을 지속해서 교육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친환경 설비 도입이나 저공해 소재 개발도 추진해야 하며, 정부 차원에서는 EU 실사 지침의 시행에 따라 영향을 받을 한국 기업에 맞는 촘촘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EU는 앞으로 기업의 ESG 공급망 실사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기 시작할 것이므로 EU로 수출하는 자동차 부품기업도 EU의 정책이 인권 및 환경에 대한 국제 협약을 반영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EU의 입법 과정에서 ESG 실사 요건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EU의 입법 변경 사항을 계속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EU가 제품을 윤리적이고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데 더 엄격한 규칙을 시행하면 한국 기업이 자체 기준을 높이고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므로 경쟁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중소 수출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고 환경 및 인권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