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실내식물의 시각적 이미지 평가와 실내조경 유형화

        이혜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ssume a role as a functional model for indoor gardening design which may induce a harmonious encounter with an interior space and with nature, pursue an efficient work process, and utilize a consumer’s diverse and individual demands as reference data by analyzing the preference for those demands. First, the study prepared a perspective plan of 9 interior design styles which were designated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 and placed 11 plant images chosen from each style perspective plan through a preliminary tes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by professionals. Then,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assessed the preference for harmony in the primary test 1. In the primary test 2, the study assessed each visual image of the 11 plants chosen through descriptive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44 construction/interior professionals, 40 gardening professionals, and 100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The study proceeded to the assessment of a plant image within the gardening professional group only. The stud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primary test 1 by using an SPSS PC Statistics package and a cross analysis between groups and styles. The study organized descriptive assessment with 4 factors of refreshing(-), flexibility(-), massiveness(-), and decorativeness(-) using factor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primary test 2. The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s in a visual image between target plants through a t-test and an ANOVA.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space creation types and construction cases through materials other than plants by analyzing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each interior design style and materialized an indoor planting style according to an interior design style by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primary tests 1 and 2 and construction cases. As for the modern style, the casual style, Ficus benjamina, Ficus benjaminacv. Star Light, and Pachira aquatica were relatively in harmony, and the designated plants were common in terms of refreshing(+) and flexibility(+).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relatively light green leaves and round and curved leaves. As regards the minimal style, F. benjamina, F. benjaminacv. Star Light, Dracaena reflexa "Pleomile", Nandina domestica, P. aqatica were relatively in harmony, The appointed trees were common in refreshing(+),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a relatively light green color.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s of preferences valuation for the harmony of plants between the three styles(modern, casual, minimal). 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for the modern style to use an object with a monotone color, a beige color, or a brown color with woods, glass, metals, or stones in a straight or a simple form,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use point colors, which are primary brilliant colors in harmony with acryl and metals with a dynamic cheerful mood, for the casual style. Furthermore,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use monotone colors or contrasting black and white colors with metals or stones in a straight form for the minimalist style. As regards the natural style, F. benjamina, N. domestica, F. benjaminacv. Star Light, and Chrysalidocarpus Lutescens H.Wendl were relatively in harmony. The appointed trees were common in refreshing(+).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a relatively light green color. Also,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express the sensibility of nature by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stone and woods and natural colors,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As regards the romantic style, F. benjamina, F. benjaminacv. Star Light, C. Lutescens H.Wendl, and N. domestica were relatively in harmony, and they were common in refreshing(+) and flexibility(+).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a relatively light green color and round and oval curve. Also,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European object with a white tone or pastel tone, composed of marble and sandstone,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As regards the classic style, Ficus elastica, Dracena marginata, and Rhapis excelsa A.Henry ex Rehd were shown to be relatively in harmony, and the designated plants are common in light of refreshing(-) and massiveness(+). Also,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that forms relatively darkish green color and large and hard leaves, and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dark colors and an object with golden ornaments which may present classic, brilliant, and massive appearances,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As regards the ethnic style, D. reflexa "Pleomile", D.marginata, and R. excelsa A.Henry ex Rehd were shown to be relatively in harmony, and the designated plants are common in flexibility(-).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that forms relatively narrow and long leaves and straight line. The other side, it was concluded not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relatively round or oval curve. Also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create a rough and old mood rather than a neat one by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s, rattan, and strings,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As regards the Zen style, Dracaena Angustifolia, R. excelsa A.Henry ex Rehd, D. marginata, and N. domestica were shown to be relatively in harmony, and the designated plants did not share a common facto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s of preference valuation for the harmony of plants between zen style and korean styl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a relatively simple oriental image. Also,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produce a static mood utilizing the simple and restrained beauty of a blank space with natural materials such as stone and pebbles,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As regards the Korean style, N. domestica and R. excelsa A.Henry ex Rehd were shown to be relatively in harmony, and they were common in decorativeness(-).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introduce a central tree with relatively simple oriental feelings. Also, it was concluded to be appropriate to create a mood by using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stone lanterns, Mulhwak (stone figures to put water), tiles, and jars, as materials other than plants. As regards the preference valuation for harmony between the interior style and the indoor pla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styles except for the minimalist and the classic styles, between the construction/interior professionals, the gardening professionals, and the general public, an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five styles among the professionals group.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harmony based from gender, age, income, and housing of those in the general public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as difference of preference judgement for harmony according to individual liking. In determining the harmony between an interior space and indoor plants, the construction/interior professionals were likely to observe the shape of leaves, whereas gardening professionals were likely to observe the entire types of the trees. The general public group was highly affected by the entire types of trees and personal taste in most cases and also by the shape of the leaves as well. Also, as regards the assessment of the preference for harmony between a space and plants, the rest of the factors, such as leaf color, leaf texture, and leaf density, were not shown to affect all groups. 실내공간과 자연과의 만남을 조화롭게 이끌어내는 실내조경 디자인에 있어 활용할만한 세분화 모형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소비자의 다양하고 개별적인 요구에 관한 선호를 분석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업무진행과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9개의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투시도를 제작하고 전문가 검증단계인 예비조사를 거쳐, 각 스타일 투시도마다 촬영된 11개의 식물이미지를 배식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본조사 1에서는 실내공간의 식물도입에 따른 시각적 조화 선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본조사 2에서는 형용사적 표현을 통해 촬영된 11개의 식물 이미지 각각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조사대상은 각각 건축?인테리어실무자 44명, 조경실무자40명, 일반인100명으로 구성되었고, 식물이미지 평가는 조경실무자 집단에서만 진행하였다. SPSS PC+ 통계 패키지를 이용해 본조사 1의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과, 집단 간, 스타일간 교차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본조사 2의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형용사적 평가를 청량성(-), 유연성(-), 중량성(-), 장식성(-)의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t검증, 분산분석을 통해 조사식물간의 시각적 이미지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각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표현기법을 분석하여 식물 외 소재를 통한 연출 형태와 그 시공사례를 제시하였고, 본조사 1,2의 결과와 시공사례를 합하여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실내조경 스타일을 유형화하였다. 모던스타일과 캐쥬얼스타일은 벤자민고무나무, 무늬벤자민고무나무, 파키라가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선정된 식물은 청량성(+)과 유연성(+)에 공통성을 가지며 그 결과, 비교적 밝은 녹색을 띈 잎과 둥글고 곡선의 형태를 나타내는 잎을 형성하고 있는 중심목의 도입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니멀스타일은 벤자민고무나무, 무늬벤자민고무나무, 드라세나자마이카, 남천, 파키라가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선정된 식물은 청량성(+)에서 공통성을 가지며, 그 결과 비교적 밝은 녹색을 띈 잎을 형성한 중심목의 도입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모던, 캐쥬얼, 미니멀의 3스타일간에 식물조화 선호판단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던스타일의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직선적이거나 단순한 형태의 목재, 유리, 금속, 석재로 모노톤, 베이지, 브라운 계통의 오브제가 적절하고, 캐쥬얼스타일은 동적이고 경쾌한 연출로 아크릴, 금속소재로의 원색적이고 화려한 배색의 포인트 컬러가 적절하며, 미니멀스타일은 직선적인 형태의 금속이나 돌로 된 구조물로 모노톤의 단색이나 흑백의 컬러대비가 적절하다 판단하였다. 내츄럴스타일은 벤자민고무나무, 남천, 무늬벤자민고무나무, 아레카야자가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선정된 식물은 청량성(+)에서 공통성을 가지며 비교적 밝은 녹색을 띈 잎을 형성한 중심목의 도입이 적합하며,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돌, 목재 등 자연적 소재와 자연색을 사용하여 자연의 감성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판단하였다. 로맨틱스타일은 벤자민고무나무, 무늬벤자민고무나무, 아레카야자, 남천이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청량성(+)과 유연성(+)에 있어서 공통성을 가지며 비교적 밝은 녹색을 띄고 둥글고 타원형의 곡선의 형태를 가진 중심목의 도입이 적합하며,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마블, 샌드스톤소재로 구성된 화이트톤이나 파스텔 계열의 유럽식오브제의 도입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클래식스타일은 인도고무나무, 드라세나마지나타, 관음죽이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선정된 식물은 청량성(-)과 중량성(+)에서 공통성을 가지며 비교적 어두운 녹색을 띄며 크기가 크고 강한 잎을 형성하고 있는 중심목의 도입이 적합하며,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어두운 색조와 금장식의 오브제로 고전적이고 화려하며 무게감 있는 연출이 도입되는 것이 적절하다 판단하였다. 에스닉스타일은 드라세나자마이카, 드라세나마지나타, 관음죽이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선정된 식물은 유연성(+)에서 공통성을 가지며, 비교적 잎의 폭이 좁고 길며, 직선적인 형태적 특성의 중심목 도입이 적절하고, 둥글거나 타원형의 곡선을 가진 형태의 중심목 도입은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목재, 라탄, 노끈 등의 자연소재로 깔끔한 연출보다는 투박하고 오래된 듯한 연출이 적절하다 판단하였다. 젠스타일은 드라세나자바, 관음죽, 드라세나마지나타, 남천이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선정된 식물은 공통적인 이미지요인을 형성하고 있지는 않으나 한국적스타일과의 스타일간 비교에 있어서 식물조화선호판단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비교적 동양적이고 소박한 이미지의 중심목 도입이 적절하다 판단하였고,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돌, 자갈과 같은 자연소재로 간결하고 절제된 여백의 미를 살린 정적인 연출이 적합하다 판단하였다. 한국적 스타일은 남천, 관음죽이 비교적 조화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장식성(-)에서 공통성을 가지며, 비교적 동양적이고 소박한 느낌의 중심목 도입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식물 외 소재로의 표현은 석등, 물확, 기와, 장독 등 전통소재를 통한 연출이 적합하다 판단하였다. 실내디자인 스타일과 실내식물과의 조화 선호평가에 있어 미니멀, 클래식스타일을 제외한 모든 스타일에서 건축?인테리어실무자, 조경실무자, 일반인간에 선호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가 집단 간에도 5개 스타일에서 조화선호판단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인의 성별, 연령대, 소득수준, 거주형태에 따른 조화선호판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큰 차이에 따른 조화선호의 경향을 보이지 않아, 취향에 따른 개인차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실내공간과 실내식물의 조화 판단을 하는데 있어 건축?인테리어 실무자는 주로 식물의 잎의 형태를 관찰하는 반면, 조경실무자는 주로 전체수형을 관찰하고, 일반인은 전체수형, 개인적인 취향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며 그 밖에 잎의 형태에 따른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머지 잎의 색, 잎의 질감, 잎의 밀도는 공간과 식물의 조화 선호 평가에 있어 모든 집단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室內庭園에 植栽되는 植物選好度 : 南楊州市植物病院에서 運營하는 生活園藝, 菊花盆栽, 現場敎育 프로그램 參加者를 중심으로

        이장범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실내정원 운영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내정원에 관한 식물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실내식물 재배 및 실내정원정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남양주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식물병원운영 원예프로그램, 국화분재반, 남양주시 사내강사가 운영하는 다산아카데미 국화분재반 실습교육, 식물병원현장교육대상자 및 농업기술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내정원에 식재되는 식물선호도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1월 5일부터 5월 2일까지 총 10회에 걸쳐 남양주시에 거주하는 시민 중 식물병원에서 운영하는 생활원예교육 참가자 100명, 국화분재교육 참가자 22명, 남양주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사내강사가 운영하는 다산아카데미 국화분재 체험교실 참가자 20명, 이동 식물병원 현장교육 참가자 55명, 농업기술센터 일반교육프로그램 참가자 120명 등 317명을 대상으로 총 41문항의 설문지를 작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회수된 총 125부의 설문지를 조사 분석하여 실내정원 설치 및 운영 시 선호하는 식물 및 비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아파트를 소유한 사람의 실내정원을 설치도가 높았으며, 실내식물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공기정화 효과, 심미적 효과, 환경개선 기능 효과로 인식하였다. 실내정원을 꾸밀 때 이용하고 싶은 실내식물 5가지는 라벤더, 벤자민고무나무, 팔손이, 인도고무나무, 돈나무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정원을 꾸밀 때 이용하고 싶지 않은 비선호도 조사에서는 옥수수, 무궁화, 무, 벚나무, 마삭줄을 선택하였다. 실내식물을 키우는 장소로는 베란다와 거실을 많이 선호하였고, 여건이 된다면 실내정원을 만들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88.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olitic direction on the indoor plant cultivation and gardening based on the survey for managers of indoor garden and the general public.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41 item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10 times from January 5, 2008 to May 2, 2008 targeting 317 people living in Namyangju city; 100 attendees of practical gardening education, 22 attendee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pot planting education managed by Namyangju city plant disease clinic, 20 attendees who listed on the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pot planting class of Dasan academy for government officers of Namyangju city organized by instructors in the office, 55 attendees of field education by mobile plant disease clinic, 120 attendees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agricultural technical center. Hundred twenty five persons were answere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people who live in apartments preferred to install indoor garden. Respondents recognized that indoor plants were good for air purifying, aesthetic effec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function. Top 5 plants that people would like to raise in their indoor garden were Lavandula stoechas, Ficus benjamina, Fatsia japonica, Ficus robusta and Pittosporum tobira in order of their preference. People would not like to cultivate Zea mays, Hibiscus syriacus, Raphanus sativus,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People preferred verandah and living room to grow their plants and 88.3%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ly to make their indoor garden as far as their circumstances permit.

      • 실내환경 개선 및 공기정화를 위한 ‘Bio Green Wall System’ 개발

        방성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실내환경의 공기질 개선과 쾌적성 향상을 위하여 건축물 내·외부에 벽면녹화 기술이 급속도로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벽면녹화는 단순히 관수 시스템 위주로 설치되어 있어 비싼 설치비용에 비해 장기적인 유지 관리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벽면녹화 기술향상을 위하여 식물생육, 시공의 편리, 공간 활용 등 통합적 실용성을 갖춘 기능성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공기정화 장치가 부착된 Bio Green Wall System에 구조화하여 직접 제작 설치 및 실용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시공을 통하여 독창적인 벽면녹화 시공기술의 확보를 얻고자 함이며, 새로 개발된 기능성 모듈 성능의 우수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공기정화 장치가 부착된 Bio Green Wall System안에 기능성 모듈에 식물을 심어 실제 사무실에 시공한 후 공기정화장치가 없는 일반벽면녹화와 비교하여 사무실의 실내공기정화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식물의 유지관리 효율성, 지속성 등을 알아보고자 식물의 생육상태 및 배양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사용한 Bio Green Wall System 121cm(L)×35cm(W) ×193cm(H)은 이동식 프레임을 제작하여 그 안에 부착할 사다리꼴 박스 걸이형 이중모듈 화분을 10.0cm(L)×21.5cm(W)×14cm(H) 크기로 제작하였으며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로 특허출원 하였다(특허 제 10-2012-0104483호). 개발된 Bio Green Wall System 기능성 모듈의 외부케이스에는 공기를 소통시키는 망체와 벽면에 부착시키는 걸이대, 그리고 물을 통과 시키는 호스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 케이스에는 망체와 물을 흡수하는 심지가 설치 되어있다. 기능성 모듈은 과습에 의한 뿌리 썩음을 방지하며 망체는 공기 공급의 원활로 뿌리 생육 발달에 도움을 준다. 또한 화분이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수평 설치되는 화분보다 식물 생육이 더욱 원활하며, 상부에 팬 모터가 설치되어있어 후방의 탄소필터 표면에서 흡기가 일어나 공기가 정화된다. Bio Green Wall System 구조로 인해 식물에 의한 공기정화와 탄소봉에 의한 2차 공기정화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송풍 구조로 인해 화분의 후방으로 향해 있는 식물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여 식물이 건강하게 생육한다. 기능성 모듈 개발을 통해 다양한 식물의 선택이 가능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실내 및 실외의 여러 장소에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며, 식물의 교체나 보수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능성 모듈은 물 공급 시 흙을 통과 하지 않으므로, 물이 쉽게 부패하고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흙속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이 유실되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실내공기정화 효과와 식물생육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구는 식물이 없는 사무실 공간으로 하였고, 기존의 일반 벽면녹화장치, 그리고 공기정화장치와 기능성 이중모듈 화분을 장착한 Bio Green Wall System에서 비교하였다. 두 벽면녹화 시스템은 실제 사무실에 설치하였으며 사무실 온도는 24±2℃ ,습도 40±20%로 유지하였고, 아이비, 스킨답서스, 산호수, 무늬산호수, 싱고니움을 각각 16주 씩 주 1회 30분간 관수 하였다. 식물 생육조사는 식물별로 생체중(영어), 초장(영어), 엽폭(영어), 엽수(영어), 근중(영어)을 2주일 간격으로 3회 측정하였다. 실내공기질 측정은 9시∼17시 하루 8시간 씩 2개월 동안 TVOC, CO2, HCHO, 미세먼지(PM10)를 측정 하였다. 실험결과, 식물이 없는 대조군 보다 사무실에 벽면녹화 설치 후 TVOC와 미세먼지(PM10) 농도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으며, TVOC는 Bio Green Wall System에서 일반 벽면녹화에 비해 더 유의하게 많이 감소하였다. Bio Green Wall System과 일반 벽면녹화 시스템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HCHO는 벽면녹화 설치 후 유의하게 감소를 보였으나 처리구별로 CO2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양수분 함량은 기존의 일반 벽면녹화 시스템에서 29~30%을 나타냈으며, Bio Green Wall System에서는 토양수분량이 39~58% 높게 나타나 식물이 생장하기에 더 좋은 조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 생육 상태변화 결과, 스킨답서스, 산호수, 무늬산호수의 생육은 일반 벽면녹화 보다 Bio Green Wall System에서 유의하게 더 좋아졌다. 그러나 싱고니움의 생육은 두 개의 벽면녹화에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일반 벽면녹화에서 아이비의 생육은 저조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Bio Green Wall System은 실내공기정화에 매우 효과적이라 판단되며 또한 특허출원한 기능성 모듈도 식물의 생육과 유지관리에도 우수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 室內 植物이 精神健康에 미치는 影響

        윤은주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硏究에서는 室內 植物이 精神健康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精神科 患者와 一般人을 대상으로 각각 室內 植物의 治療的 效果 및 情緖誘導 效果 에 대한 실험을 행하였다. 室內 植物의 治療的 效果에 대한 연구는 環境의 영향을 많이 받는 精神科 患者를 Group 1, 2의 2개 집단으로 나누어 室內 植物이 있을 때와 없을 때 각각 1달 동안의 정신건강 개선상태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室內 植物을 설치한 病棟의 患者들이 一般 病棟의 患者들에 비해 精神 健康이 全體深度指數 및 9개 細部尺度에서 모두 개선정도가 높았다. 또한 두 집단의 30일 동안의 정신건강 개선상태를 조사한 결과에서 도 일반 병동의 환자들이 정신건강 상태가 호전되기는 했으나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없는 반면, 실내 식물이 설치된 병동의 환자들은 전 체심도지수와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척도 등 6개 세부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정도를 보여 室內 植物이 精神科 患者의 治療에 기여함이 증명되었다. 2. 정신분열증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도 室內 植物을 설치한 병동 의 환자들이 일반 병동의 환자들에 비해 전 척도에서 높은 개선정도를 나타내었으며, 두 집단의 30일 동안의 정신건강 개선상태를 조사한 결 과에서도 실내 식물이 설치된 병동의 환자들이 편집증을 제외한 8개 세 부 척도 및 전체심도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정도를 보여 室內 植物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治療에 기여함이 증명되었다. 3. 入院經驗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도 室內 植物을 설치한 병 동의 환자들이 일반 병동의 환자들에 비해 저 척도에서 높은 개선정도 를 정신건강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두 집단의 30일 동안의 정신건강 개선상태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실내 식물이 설치된 병동의 환자들이 강 박증, 대인예민성 등 2개 세부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정도를 보여 실내 식물이 精神科 慢性患者의 치료에 기여함이 증명되었다. 4. 入院經驗이 없는 患者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서는 室內 植物을 설치한 병동의 환자들이 일반 병동의 환자들에 비해 전 척도에서 정신건강 개 선정도가 높았으나, 30일 동안의 개선상태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入院期間 2달 이하의 短期入院 患者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서도 실내 식 물을 설치한 병동의 환자들이 일반 병동의 환자들에 비해 전 척도에서 높은 개선정도를 보였다. 6. 入院期間 3달 이상의 長期入院 患者를 대상으로 한 경우 室內 植物을 설치한 병동의 환자들이 일반 병동의 환자들보다 전 척도에서 개선정도 가 높았으며, 두 집단의 30일 동안의 정신건강 개선상태를 조사한 결과 에서도 실내 식물이 설치된 병동의 환자들이 전체심도지수 및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정신증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室內 植物이 長期入院患者의 治療에 기여함이 증명 되었다. 이상에서 일반 병동의 환자들이 병원치료를 통해 1달 동안 전반적으로 정 신건강상태가 나아지긴 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인 척도가 없 는 반면, 室內 植物을 설치한 병동의 환자들은 1달 동안 여러 척도에서 의미 있는 정신건강의 개선상태를 보여 室內 植物이 患者의 治療에 도움이 됨이 증명되었다. 室內 植物의 情緖誘導에 대한 연구는 大學生 52명을 대상으로 설계실의 室內 植物을 설치한 다음 精神健康狀態를 측정하여, 이를 室內 植物 設置 전 의 精神健康狀態와 비교하여 室內 植物이 一般人의 情緖를 어느 정도 誘導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실내 식물이 도입되었을 때가 도입되지 않 았을 때에 비해 양호한 精神健康狀態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공포불안 척도 를 제외한 8개 세부척도와 전체심도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내어 室內 植物이 一般人의 情緖誘導에 기여함을 보였다. 室內 植物이 精神科 患者에게 미치는 治療效果 및 一般人에게 미치는 情緖 誘導效果를 상호비교한 결과에서는 室內 植物이 治療的 效果보다는 情緖誘導 效果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door plants on the mental health of psychiatric patients and normal person. Symptom Checklist-90, a self-report psychiatric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ir status of mental health. This scale consists of 90 symptomatic items which reflect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s :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dimension. The first study was about the healing effect of indoor plants. The subject for this study are 29 patien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mental health state between no plantscape group and plantscape group, the patients was parted two. And no plantscape group was named group 1, plantscape group was named group 2. During 30 days group 2 were set in the psychiatric ward where indoor plants installed. And group 1 were set in the psychiatric ward where indoor plants didn't install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both of the case SCL-90 measurements was taken the first and the last week of the month. The second study was about the effect on emotional stability of the indoor plants. For 15 days indoor plants were set in drawing room. The subject for this study are 52 studen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state of emo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tting of indoor plants, SCL-90 measurements was taken.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1. Group 2 got a low score than group 1 in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 2. When subject for only schizophrenic patients, group 2 got a low score than group 1 in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 3. When subject for the patients with having a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group 2 got a low score than group 1 in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 4. When subject for the patients with not having a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group 2 got a low score than group 1 in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 5. When subject for the short term patients, group 2 got a low score than group 1 in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 6. When subject for the long term patients, group 2 got a low score than group 1 in Global Severity and 9 symptom dimension. The result of the second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After indoor plants installation within the drawing room, the students were emotionally more stabilized in Global Severity and 8 symptom dimension except phobic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ies, when indoor plants installed, the mental health state of psychiatric patients and normal person were highly improved.

      • 관엽식물의 환경조건에 따른 실내환경개선 및 식물전지의 활용

        권계정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1. 광량이 관엽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광량에 따른 접란(Chlorophytum comosum 'Picturatum'),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Marrianne'),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 산호수(Ardisia pusilla), 크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7종 관엽식물의 생장반응을 검토하였다. 120일 동안 15, 30, 60, 120µmol·m-2·s-1 PPFD에서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조중, 엽록소형광 Fv/Fm, SPAD 값, 엽색을 나타내는 Hunter(L, a, b)값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 중 초장과 엽색이 광량에 따른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120µmol·m-2·s-1에서 초장은 실험 식물 7종 중 5종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지상부, 지하부의 생체중, 건조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0µmol·m-2·s-1에서 디펜바키아, 스킨답서스, 산호수는 엽록소형광 Fv/Fm이 정상범위를 벗어나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엽색도 광량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 다양한 식물을 혼합하여 식재할 경우 색체표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정된 실내광량에 맞는 적절한 식물을 선정하고, 광량에 따른 식물별 다양한 색감으로 실내 조경 작품을 표현하고, 초기 조성한 실내조경의 원형을 유지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가능 할 것이다. 2. 관수주기가 관엽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관수주기에 따른 접란(Chlorophytum comosum),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Marianne'),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 산호수(Ardisia pusilla), 크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 8종 관엽식물의 생장반응을 검토하였다. 120일 동안 관수주기는 2회/1주, 1회/1주, 1회/2주의 3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조중, 엽록소형광 Fv/Fm, SPAD 값, 엽색을 나타내는 Hunter(L, a, b)값을 측정하였으며, 관수주기에 따른 토양수분함량, 엽수분포텐셜,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관수주기는 접란과 디펜바키아의 생존율 영향을 주어 관수관리가 필요한 식물로 판단된다. 디펜바키아에서만 초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엽장에서는 팔손이와 인도고무나무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엽폭에서는 접란, 디펜바키아, 팔손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엽면적은 대부분의 식물에서 관수주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함량은 접란과 팔손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Fv/Fm은 접란 1회/2주, 산호수 2회/1주, 1회/2주에서 정상범위 밖에 있어 관수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수분포텐셜은 스킨답서스, 팔손이를 제외한 6종 식물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접란은 관수주기에 따른 Fv/Fm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고, 생존율이 낮았으나, 산호수는 Fv/Fm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으나 생존율이 모두 100%로 나타나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엽색은 관수주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가 많이 났으며, 디펜바키아와 크루시아는 L, a, b값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다. 적절한 수분 관리는 식물의 고사와 과습해 방지뿐만 아니라 실내 식물의 시각적 색감과 품질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식물별로 관수주기에 따른 생육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관수주기에 따른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추후 더 많은 식물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광량에 따른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 본 실험은 광도변화에 따른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 제거와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광도는 0, 30, 60µmol·m-2·s-1 PPFD의 3수준에서 실시하였다. PM10이 1μg이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있어서 디펜바키아는 광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0과 60µmol·m-2·s-1 PPFD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스파티필럼은 0과 30µmol·m-2·s-1 PPFD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0µmol·m-2·s-1 PPFD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90분 경과 후, 60µmol·m-2·s-1 PPFD에서 스파티필럼의 PM1, PM10 잔존량이 가장 적었으며, 이때 이산화탄소 잔존량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티필럼은 0µmol·m-2·s-1 PPFD에서도 PM1, PM10 잔존량이 디펜바키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식물 모두 광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공전도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스파티필럼은 디펜바키아보다 광합성율과 기공전도가 높았고, 기공수가 많았으며, 잎의 앞·뒷면 모두에서 기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식물적 특성으로 인하여 같은 광도에서 스파티필럼의 공기정화 효과가 디펜바키아보다 더 좋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실내 미세먼지 제거를 위해서는 실내광도에 따른 식물의 광합성율과 기공수, 기공의 배치형태 등 식물 각각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실내 벽면녹화 차이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및 온‧습도 조절효과 본 연구는 벽면녹화 및 벽천시스템이 없을 때를 대조구로 하여, 벽면녹화시스템 1개(Case 1), 벽면녹화시스템 2개(Case 2), 벽면녹화시스템 2개와 벽천시스템(Case 3)의 4가지 조건별 실내 온·습도 조절 및 입자상 오염물질인 PM1와 PM10제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충북대학교 내의 사무실에서 2015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2개월 동안 대조구, Case 1, Case 2, Case 3 순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였고, 실험기간 동안 외기온도가 비교적 일정했던 2015년 8월 17~20일(실험 1), 8월 31일~9월 3일(실험 2)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내조경 설치에 따른 식물의 용적비는 대조구, Case 1, Case 2, Case 3이 각각 0, 0.6, 1.2, 1.4%였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Case 1, Case 2, Case 3의 평균온도는 각각 0.3-0.7, 0.7-0.9, 1.0℃가 감소되었으며, 평균상대습도는 각각 1.8-8.7, 9.2-14.6, 14.8-21.9%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염원 주입 후 300분이 경과하였을 때, 대조구, Case 1, Case 2, Case 3의 PM1 잔존비율은 실험 1의 경우에는 각각 25.0, 22.0, 21.2, 17.3%이었으며, 반복 실험 2에서는 42.3, 28.9, 23.1, 30.9%로 나타났다. PM10 잔존비율은 실험1에서는 각각 13.8, 10.8, 12.5, 9.2%이었으며, 실험 2에서는 각각 24.5, 15.3, 12.6, 14.8%로 나타났다. 실내녹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온도와 PM1, PM10의 저감효과는 컸으며, 습도는 온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M1과 PM10은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빨리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실내식물의 식물전지 활용 가능성 본 연구는 실내 녹화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을 이용하여 전압과 전류를 생산하는 식물-미생물전지(Plant-Microbial Fuel Cell, Plant-MFC)로의 활용 가능성과 single chamber Plant-MFC의 토양용적수분함량이 전압과 전류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물을 식재한 Plant-MFC는 식물을 식재하지 않은 Soil-MFC보다 전압 및 전류 발생량이 높게 나타났다. Plant-MFC와 Soil-MFC의 10일 평균 전압은 각각 0.475V와 0.375V로 나타났고, 평균 전류는 각각 0.110mA와 0.030mA로 나타났다. 실외보다 주야간 온도 차가 크지 않은 실내에서 4개월의 실험기간 동안 스파티필럼을 이용한 Plant-MFC는 비교적 일정한 전압을 생산하였고, 0.027V의 편차를 나타냈다. 하루 동안의 최고전압과 최소전압의 차이도 0.015V로 작게 나타나 안정된 전원공급원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Plant-MFC로 사용한 식물(Used Plant-MFC)과 Plant-MFC로 사용하지 않은 식물(Not used Plant-MFC)의 토양수분, Fv/Fm, 광합성율, 엽면적, 생체중, 건조중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식물이 Plant-MFC로 사용되더라도 토양수분과 식물의 생육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용적수분함량이 Plant-MFC의 전압과 전류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는 토양수분함량이 약 19% 이상일 때는 토양용적수분함량과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전압과 전류가 발생하였으며, 토양용적수분함량이 약 10%이하일 때는 전압과 전류의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양용적수분함량이 약 19% 이상의 상태에서 일정한 전압 전류가 발생했던 기간 동안 Plant-MFC의 평균 전압과 전류는 각각 0.406V와 327μA로 나타났고, 전압과 전류의 일일 편차는 10mV와 10μA로 낮았다. 비교적 온도차가 적은 실내에서 Plant-MFC의 작동은 안정된 전원공급원으로의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0cm 포트식물과 12cm 포트식물의 Plant-MFC의 전압은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으나, 전류의 발생량은 토양의 부피와 식물체가 클수록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발생 친환경에너지원 Plant-MFC을 사용함으로써 화석에너지 소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실내조경디자인을 위한 공간 유형별 실내식물의 이미지화

        유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사회는 감성사회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으며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을 물리적 디자인 요소로 전환하여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구체적인 실내 환경 설계에 응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실내 조경 분야에서도 고객의 감성을 고려한 식물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실내 인테리어 분야에서는 고객의 감성을 고려한 다양한 실내디자인 이미지 유형을 구축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내 조경 분야에서는 식물의 실내 도입에 따른 이미지화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 상담을 위한 출발점으로 제시되어 고객이 원하는 이미지에 더욱 근접할 수 있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기본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실내식물의 이미지 틀을 마련하며, 실내 공간 내에 식물의 이미지 모델을 제작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실내식물의 이미지화를 위한 설문자료를 다변량 회귀분석법인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로 통계 분석한 결과 실내 식물 디자인 요소들과 감성언어 사이의 관계를 찾아낼 수 있었다. 통계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물별 대표 이미지 형용사, 식물별 제외 이미지 형용사, 식물별 형용사 의미그룹들을 산출한 결과 연령별, 전공 유·무별로 동일한 식물에 대한 감성 이미지 언어의 표현이 달랐으며, 대표형용사뿐만 아니라 제외 형용사와 형용사 그룹의 잠재적인 이미지 언어가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 어휘의 통계분석 결과를 가지고 각 식물별 이미지 언어를 그룹화 하여 식물에 따른 이미지 유형을 구축한 결과 연령별, 전공 유·무별 이미지 유형에 차이가 있었으며, 식물의 이미지 유형 중에 모든 유형에 한 개 이상의 식물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30,40대 전문가 그룹에서 DCU그룹에 속하는 식물은 없었고, SFN이미지 그룹과 SCN이미지 그룹에 속하는 식물이 가장 많았다. 실내이미지 공간은 이미지 큐브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단순한-복잡한의 장식성, 정식적인-일상적인의 정식성, 도시적인-전원적인의 소재성으로 구분되며 식물이미지의 분류기준도 이에 준한다. 이미지 큐브 여덟 가지를 식물의 유형에 적용시켰으며, 실내 공간과 동일한 결과의 디자인 모식도를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3D-Max로 제작하고 식물의 종류를 각 3개씩 선정하여 배치해 본 결과 공간 유형의 차이에 의한 식물의 선정도 달랐으며, 같은 유형의 공간에서도 연령별, 전공 유·무별로 각 식물의 선정이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유형의 공간에 배치된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도 그 공간이 주는 이미지에 따라 식물의 이미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식물의 유형은 연령과 전공 유·무별에 따라 다른 관점을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이를 같은 실내 공간 이미지 유형과 연계하여 컴퓨터 그래픽으로 나타낸 결과를 인간의 감성에 근간을 둔 공간 유형에 따른 실내 조경 디자인을 위한 식물의 이미지화의 발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dern society getting sensibility. It is important to build the proper foundation of plant image considered the client sensibility. Already, there were many studies of types of interior design images but notany studies in the field of interior landscape design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visual communication tool, which would be used for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er and client. To attain the purpose, this study deal with the method for model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sensibility to design elements of ornamental foliage plants for applying that to interior landscape design development. In order to extract sensibility characteristics concerning plants, I used sensibility words referred to interior design studie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four steps. First, it is a questionnaire survey for imagination of ornamental foliage plants.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in the following age and job category; non-specialist of twenties, non-specialist about forties, and specialist about forties. Second, I figure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y and plant design element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PSS, it is different in sensitivity image expression between each groups. That is to say, What they have different representative and extract adjectives indicated the potential factor of words about same plant. Third, it was modeling of interior plant types according to the image based on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ior plant image words. Fourth, through the appropriate combination designed the part of interior spaces included the plant space, it prepared newly benefit material ornamental foliage part. Interior image model was composed the image cube. 'Image Cube' was designed as comprehensive rule to classify interior image types. it is a cube which includes three planes made up of three descriptor axes: 'Simple-Decorative', which represents 'Decorativeness'; 'Formal-Casual', which represents 'Formality'; 'Urbane-Natural', which represents 'Locality"(Bang, 1998). Division standard of plant image follows this. After eight models applied plants that make interior plants modeling by 3D Max, computer graphic. The kinds of eight models 'Image Cube' were as follow; SFU(Simple-Formal-Urbane),SFN(Simple-Formal-Natural),SCU(Simple-Casual-Urbane),SCN(Simple-Casual-natural),DFU(Decorative-Formal-Urbane),DFN(Decorative-Formal-Natural),DCU(Decorative-Casual-Urbane), DCN((Decorative-Casual-Natural) In consequence classified the 50 species plants to 8 kinds of that adjective groups, we could find that every types of plants had different point of view as the ages and the job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effective application to develop imagination of ornamental foliage plants according to the landscape design based on the human sensibility.

      • 室內植物의 機能, 管理 및 膳物에 대한 認識

        이재숙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실내식물의 활용은 현대인의 생활에 필수적이지만 그에 대한 인식은 뚜렷하지 않다. 실내 식물의 영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실내식물의 기능과 배치에 따른 효과, 관리방법 등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가정주부와 직장인 등 150명(여 79, 남 71)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모든 응답자가 실내식물 배치에 긍정적이었으나, 식물의 기능에 대한 인식은 많이 부족하였다. 실내식물이 건강에 주는 효과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자연과 가깝게 느껴서라고 응답되었다. 식물 입수 방법은 직접 구입하는 것보다 선물로 받은 것이 많았지만, 직접구입이 40%인 점은 실내식물의 필요성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본다. 선호하는 식물로는 산세베리아 (Sansevieria trifasciata). 동양란 (Cymbidium), 행운목 (Dracaena fragrans), 로즈마리 (Rosmarinus officinalis), 벤자민 (Ficus beniamina), 관음죽 (Rhapis excels), 자스민 (Jasminum), 서양란 (Cymbidium hybrida Swartz), 아프리카 바이올렛 (Saintpaulia ionantha) 등이 높았는데 이들은 실내에서 가장 오랜 기간 키운 식물이기도 하였다. 가정내 식물 배치 장소로는 베란다와 거실이 높았는데, 베란다는 광과 통기가 가장 좋은 독립주택의 마당과 같은 공간이며, 거실은 가족이 가장 많이 공유하는 공간으로 재배관리와 활용면에서 가장 합당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실내 식물을 키우고 싶은 의향에서는 가정과 직장 모두 대부분 키우고 싶다고 하였으며, 이유로는 실내 분위기가 좋아져서와 공기가 정화된다. 정신건강에 좋다, 자연과 가깝게 느껴 진다, 장식적 효과가 있다 등이 거의 비슷한 비율이었다. 식물 선물은 감사의 마음이 잘 전달되며 선물용으로는 동양난을, 선물용 화분은 흰색 도자기를 가장 선호하지만,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 계층별로 구분 관리해야 한다. 보유식물은 대부분 직원이나 가족들이 직접 관리를 하고 있으며, 분 갈이와 물주기를 어려워하고 있는 데, 분갈이는 실내 여건상 작업이 힘들고 흙 조성이 복잡하며, 물관리는 ‘물주기 3년’ 이라는 말과 같이 식물종에 따라 다른데, 이를 위해서는 인공 배합토와 같은 간편한 표준관리법의 제시도 중요하지만, 계절에 맞는 식물의 교체, 기능에 맞는 실내 배치, 물관리, 분갈이 등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임대나 전문가 관리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일반인들은 실내 식물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알지만 기능과 재배방법이나 배치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지식이 부족하고, 선물에 대한 인식도 일부 종목에 한정된다. 일반인들이 실내 식물에 쉽게 접근해 항상 자연과 눈을 마주치는 느낌으로 실내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식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대중매체나, 문화센터, 평생교육원, 학교에서 실내 식물에 대한 교육을 펼쳐나가고, 초•중•고의 교과서에 식물에 대한 기능과 효능을 소개하고, 교육하여 젊은 인재들을 원예산업에 참여하고 이들을 횔용함으로써 원예산업의 발전과 현대인의 심신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Indoor plants are essential for everyday life in modern building, but their effects are not well recognized by common people. So,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general public on the effects of indoor plants, present their functions and effects according their arrangement and management methods, and help people lead an agreeable life. The number of respondents, housewives, workers, etc., participating in this survey was 150(females: 79, males: 71). All the respondents were affirmative in arranging indoor plants, while their recognition level of the functions of indoor plants was very low. Most of them replied that they thought indoor plants were beneficial to human health in that they reduce human stress and make people feel comfortable. In view of their obtaining indoor plants, receiving as a gift was more common than direct purchase but the percentage of the latter was about 40%,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evidence that peopl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door plants surely. The favorite plants were bowstring hemp(Sansevieria trifasciata), oriental orchid(Cymbidium spp.), dracaena(Dracaena fragrans), rosemary(Rosmarinus officinalis), Ficus beniamina, Rhapis excels, jasmine(Jasminum), western orchid(Cymbidium hybrida Swartz) and African violet(Saintpaulia ionantha), which were raised indoors for the longer period than any other plants. Plant arrangement places in house were chiefly veranda and living roo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veranda is a place like the yard of row houses where permits good lighting and ventilation, and living room is a place, shared by family members, where make it easy to manage and apply indoor plants. Most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ished to raise indoor plants in both house and workplace from now on, and the reason of that was ‘enhancement of indoor atmosphere’, ‘air purification’,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feeling comfortable like being in nature’ and ‘ornamental effects’, and the percentage of those reasons was almost equal to one another. Presenting plants as a gift transfer the gratitude well. Oriental orchid was preferred as a gift plant and white ceramic pottery was preferred as a flower pot, but their selection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sex, age and occupation. Employees and family members managed indoor plants directly and they took difficulties in repotting and watering. Repotting is a troublesome work indoors for various compositions of bed soils and watering is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So, for optimal management of indoor plants, the positive introduction of management system by plant specialists, specialized in indoor arrangement, watering, repotting etc., and easy standard management method like artificial culture soil was recommended. The public know well about the benefits of indoor plants to the human health, but they lack knowledge in their functions and effects according to management and arrangement methods and their recognition of plants as a gift is confined to only a few species. We sh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public to select various indoor plants for indoor life through the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of them to indoor plants. And, we should extend education on indoor plants through mass media, school textbooks, culture centers and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and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young men of ability in the horticultural industry. The application of these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al industry and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for the modern people.

      • 실내식물,배지,토양 미생물 및 정화시스템이 실내공기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류명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글초록:실내에서 많이 존재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중 benzene, toluene, xylene(이하 BTX)를 밀폐챔버내에 처리하였을 때, 식물종, 환경변화, 가스처리방법, 배지종류, 배지내 미생물에 따른 각각의 가스제거능력과 식물-배지-미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의 팬 사용에 따른 식물의 생리적 반응 및 시스템에서 방출된 공기의 인체위해균 조사와 시스템을 실제로 실내공간에 두었을 때 실내오염물질의 제거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아이비(Hedera helix), 스파티필름(Spathiphyllum spp.),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파키라(Pachira aquatica), 드라세나와네키(Dracaena deremensis cv. Warneckii Compacta),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에 복합 BTX(benzene:toluene:m-xylene:o-xylene=0.5ppm:3ppm:0.25ppm:0.25ppm)를 처리하였을 경우, 벤젠과 톨루엔의 제거에서는 싱고니움과 아이비가 다른 식물종에 비해 제거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나, 싱고니움은 야간에 비해 주간에 제거효과가 크게 나타난 반면, 아이비는 이와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크실렌의 제거에서는 인도고무나무의 m-크실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주․야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실내온도와 광조건에 따른 싱고니움의 복합 BTX 제거효과에서는 24℃조건이 18℃ 조건보다 제거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저온하에서는 저광도보다는 고광도에서 가스제거가 효과적으로 나타냈다. 가스처리방법에 따른 식물의 BTX 제거효과와 생리적 변화에 있어서는 식물종, 주 야간, 그리고 단독 혹은 복합가스처리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벤젠과 톨루엔의 단일 처리에서는 스파티필름과 싱고니움, 아이비의 가스제거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싯서스의 제거효과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벤젠과 톨루엔의 복합처리시에는 싯서스와 아이비의 제거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스파티필름과 싱고니움의 제거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단일 혹은 복합가스를 식물에 처리하였을 경우, 식물종과 가스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가스 처리전보다 가스 처리후에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율이 감소하여 생리적 활성이 감소되었다. 식물 배지내로부터 분리된 토양미생물의 복합 BTX 제거에는 식물종별 토양미생물과 가스종류에 따라서 그 제거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디펜바키아, 인도고무나무와 파키라 배지내의 세균집단이 복합 BTX의 제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복합 BTX 제거에 효과적인 파키라 분배지내에서 분리시킨 세균집단을 식물체가 없고 하이드로볼 배지만 있는 대조구와 식물체 분배지내에 각각 접종하기 전과 접종한 후의 BTX 제거효과를 조사한 결과, 세균집단을 접종하기 전에는 식물체의 복합 BTX 제거가 대조구에 비해 2~3배 이상의 제거효과가 있었으며, 식물체 분배지내에 세균집단을 접종시킨 경우에는 복합 BTX제거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싱고니움의 경우가 다른 식물들에 비해 제거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 때 식물체에 세균을 접종한 후 균체의 수는 접종 전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배지-미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지와 식물종에 따른 복합 BTX 제거효과를 살펴보면, 시스템을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식물종에 상관없이 활성탄이 함유된 하이드로볼(LC)배지에서 복합 BTX제거율이 가장 좋았으며, 시스템을 작동하였을 때도 LC배지에서 복합 BTX의 제거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작동시에는 식물종에 따른 BTX 제거효과가 가스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처리 후 20분 또는 60분 후에 BTX가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특히, 산세베리아의 경우는 가스 처리후 20분 내에 모든 가스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따라서, 실내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물질의 제거에는 식물종 뿐만 아니라 배지의 선정도 매우 중요하며, 배지를 정화필터로 사용할 경우 제거효과를 탁월하게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식물의 근권을 통과한 공기에서는 배지종류에 상관없이 인체를 위해하는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다.식물-배지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의 팬을 30분, 1시간, 2시간 간격으로 on/off 시킬 때, 형태가 서로 다른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와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의 생리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두 식물 모두 주간에는 stem flux rate,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율이 증가하였으나, 야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층 저항은 이와 상반된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시스템의 팬 30분 간격으로 작동할 경우에는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그리고 증산율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 감소한 반면, 1시간 또는 2시간 간격의 팬 작동시에는 두 식물 모두 생리활성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식물-배지-미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실제공간에 두고 실내오염물질의 가스제거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빈방(E), 빈방에 5% 신나가 함유된 페인트를 칠한 하드 보드지를 넣은 경우(Ep), Ep 상태에서 실내공간의 2% 부피의 식물(벤자민 고무나무 2개, 싱고니움 4개)이 있는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Pp), Ep상태에서 Pp의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Sp), Ep상태에서 시판되고 있는 공기청정기(Ap)가 있는 조건에서 TVOCs, 톨루엔, m-크실렌, 포름알데히드, PM10, 1.0μm입경과 0.5μm입경 개수농도를 측정하였다. TVOCs, 포름알데히드, 톨루엔과 m-크실렌을 4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빈방에 VOC발생원을 넣은 처리구(Ep)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휘발성 물질이 초기값보다 증가하였으며, Pp 처리구는 초기에는 증가하나 4시간 후에는 감소하였고, Sp와 Ap 처리구는 포름알데히드, TVOCs, 톨루엔과 m-크실렌을 4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특히 Sp 처리구에서는 톨루엔과 m-크실렌이 2시간이내에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M10 제거와 0.5μm입경 미세먼지의 감소에는 Pp 처리구가 가장 좋았으며, 1.0μm 입경 미세먼지의 감소에는 A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효과가 가장 좋았으나 3시간째부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식물-배지-미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은 실내에 존재하는 가스상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 TVOCs, 톨루엔과 m-크실렌의 제거 또는 감소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기존의 시판되는 공기 청정기 효과와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초록: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investigate the removal abilities of plants according to plant species, environmental changes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gas treatments (single or mixed gas), media types, and microorganisms when plants were exposed to benzene, toluene, m-xylene, and o-xylene (these were called as BTX hereafter) amo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indoor spaces; 2)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indoor plants according to the fan operation of an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media-microorganism and the assessment of human risks from discharged microorganisms; 3) to finally 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indoor pollutants of th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s-media-microorganisms when applied to indoor space. When Hedera helix, Spathiphyllum spp., Ficus benjamina, Pachira aquatica, Dracaena deremensis cv. Warneckii Compacta, Syngonium podophyllum, Dieffenbachia amoena, and Ficus elastica were treated with a mixture of BTX (benzene:toluene:m-xylene:o-xylene = 0.5 ppm : 3 ppm : 0.25 ppm : 0.25 ppm), Syngonium podophyllum and Hedra helix showed higher elimination effect than other plants in the removal of benzene or toluene. While Syngonium podophyllum showed higher elimination effect during the day than during the night, Hedera helix showed the effect in the opposite way.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moval of xylene between day and night, except the m-xylene removal by Ficus elastica. For the effect of indoor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Syngonium podophyllum plant's removal of mixed BTX, the elimination effect was greater under the 24℃ condition than the 18℃ condition, and the removal rate was higher under the high light intensity than under the low light intensity, when the temperature was low.In the BTX elimination effects and the following physiological changes of plants when a single gas or gas mixture of benzene and toluene was exposed in an air-tight chamber, the gas removal rate of the plant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it was day or night, as well as on the plant species and whether the gas was a single gas or a gas mixture. During the day, Spathiphyllum spp., Syngonium podophyllum, Hedera helix register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a single gas (benzene or toluene) whereas Cissus rombifolia had the lowest removal efficiency. When benzene and toluene were treated at the same time, however, Spathiphyllum spp. and Syngonium podophyllum showed lower efficiency than Cissus rombifolia and Hedera helix. Meanwhile, when the plants were exposed to either benzene or toluene or their mixture for six hours, all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photosynthetic rates, stomatal conductance, and the transpir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results of the removal of mixed BTX by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s isolated from the cultivation media of different plants showed that different levels of removal efficiency wer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by plant species and the gas types. The results further showed that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s from the cultivation media of Dieffenbachia spp., Ficus elastica, and Pachira aquatica were more efficient than those of the other plant species in the removal of mixed BTX. Meanwhile, the microbial population, which was isolated from the Pachira aquatica medium that was effective in the removal of mixed BTX, was innoculated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hydroball medium itself without plant and the hydroball medium with plant. Then, the effects of the BTX removal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innoculation. The effect on the removal of BTX compound by medium with plant was 2 to 3 times as high as that of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innoculation of the microbial population. The plant's ability to remove the BTX compound was more efficient when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innoculated into the medium with plant. Among such plants, Syngonium podophyllum demonstrated the most significant removal effect when compared to other plants. In this case, the number of biomass organism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noculation of the microbial population when compared to that before the innoculation. The removal rate of the mixed BTX of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media-microorganism according to plant species and media show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BTX with an idle system without ope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Luwasa hydroball (LC) medium that contained 60% (v/v) active carbon, regardless of the plant species,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BTX by air purification systems using plants-media-microorganisms displayed the same result. While removal abilities of BTX according to plants species varied with the gas types in the active system, BTX was completely removed 20 or 60 minutes after the treatm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Sansevieria trifasciata, the gas was thoroughly eliminated within 20 minutes after the gas treatment.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selection of both the medium and the plant species was very important in removing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a room, and that when a medium was used as an air purifying filter, the removal efficiency could be tremendously enhanced by the medium additive to the plant itself. In addition, harmful bacteria to human were not detected in the discharged air that passed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system regardless of the type of medium. When a fan in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s-media was set to be active or inactive at intervals of 30 minutes, one hour, and two hours,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differently-shaped Ficus elastica and Syngonium podophyllum showed that the stem flux rate,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in both plants were increased during the day and decreased during the night, whereas their boundary layer resistance showed the opposite changes. Compared to the physiological factors when the system fan was inactive, however, the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in both plants were gradually reduced in time when the system fan was activated at the interval of 30 minutes. On the contrary, neither plant demonstrated significant impacts in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when the fan was activated at the interval of one hour or two hours.The fin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indoor pollutants of an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s-media-microorganisms when the system was applied to actual indoor spaces. In the empty room (E), the room with paints containing 5% thinner on the B5-sized hardboard (Ep), the room with plants equivalent to 2% of the room size (two Ficus benjamina and four Syngonium podophyllum) under the Ep condition (Pp), the room with the Pp system under the Ep condition (Sp) and the room with the commercial air purifier under the Ep condition (Ap), the levels of indoor TVOCs, toluene, m-xylene, formaldehyde, PM10, and the particle concentrations of 0.5-μm particles and 1.0-μm particl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s of TVOCs, formaldehyde, toluene and m-xylene, these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ime from the initial valu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pa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plants, these factors were initially increased but decreased after four hours. The system and the air purifier effectively removed the formaldehyde, TVOCs, toluene, and m-xylene, and particularly the system removed toluene and m-xylene within two hours. The elimination of PM10 and the 0.5-μm fine particles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group with 2% plants. For the removal of 1.0-μm particles, the air purifier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y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but the dust particles were rather increased after three hours. Therefore,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plants-media-microorganisms system demonstrated a remarkable efficiency on the removal or reduction of contaminants in the room such as formaldehyde, TVOCs, benzene, and toluene. In particular,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medium-microorganism is considered to have the similar effect to those of other existing air purification systems in terms of the efficiency in removing contamin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