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 여성의 신체활동 수준이 신체 조성, 동맥경화도에 미치는 영향

        주성은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 여성의 신체활동 수준이 신체 조성, 동맥경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C시에 거주 중인 60세 이상 여성 146명을 대상으로 WHO(2005)에서 개발한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 한글판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EXCEL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시행하였다.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신체 조성, 동맥경화도를 비교·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영역별 신체활동량과 좌업생활시간 분석 결과, 그룹 간 Travel(METs/week), Recreational(METs/week), Total METs(METs/week), Sedentary(hour)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2)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신체 조성 분석 결과, 활동군과 비활동군 간 Body fat mass(kg), % Fat mass(%), BMI(kg/m2)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동맥경화도 분석 결과, 그룹 간 R-baPWV(cm/sec), L-baPWV(cm/sec)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그룹 간 분석 결과 활동군이 비활동군보다 신체 조성(Body fat mass, % Fat mass, BMI), 동맥경화도(baPWV)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노인 여성의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재고하고 동맥경화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위해 신체활동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body composition and arteriosclerosis of elderly women. For data collec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 developed by the WHO (2005) was conducted on 146 women aged 60 and over living in C city.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were performed using EXCEL and SPS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comparing and analyzing body composition and arteriosclero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re as follows. 1) Physical activity amount and sedentary analysis results by area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2) As a result of body composi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fat mass (kg), % fat mass (%), and BMI (kg/m2) between the active and inactive groups (p<.05). 3)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egree of arteriosclero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baPWV(cm/sec) and L-baPWV(cm/sec) between groups (p<.05). When these results are put together, as a result of inter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active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in body composition (Body fat mass, % Fat mass, BMI) and arteriosclerosis (baPWV) than the inactive group.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in elderly women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o prevent arteriosclerosis and promote health.

      •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에 근거한 움직임 창작연구 : 창작작품 [Nucleus]을 중심으로

        이채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Dance is the art of time and space, and also an art of expressing thougts and emotions with the body as the subject. Therefore, the essence of dance lies on the body, and I think the body should be the subject in the composition of movement.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era, the method of analyzing dance works in the present era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of the work,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analyzing the work with a focus on mo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 and technology was illuminated, and the flow and relationship of the work were mainly analyzed. However,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time when works centered on the body will be prevalent, not led by technological convergence works. Therefore,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body should be conducted, and based on this, he intends to extract move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body view and use them as a movement analysis element.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that the dancer wants to conve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dy by analyzing the movement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in the creative work. Therefore, this researcher explored body based on Merleau Ponty’s philosophical perspectives which emphasized body rather than reason unlike other philosophers and claimed that the world could be experienced through the body. Merleau-Ponty’s phenomenology saw that you can experience a world where time and space exist through the body. And al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experience's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occurred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world. The claim that you can feel time and space through the body and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the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body is the content of Maurice Merleau-Ponty’s view of body. As the body becomes the subject and can experience all phenomena and the world, Merleau-Ponty saw the body as a "cultivated consciousness" or “cultivated self”. As a result, this researcher looked at the body in motion again based on Merleau-Ponty's view of body in the dance art where the bod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han any art. The body in motion is a tool that can construct movement by combining and operating body parts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work based on Merleau-Ponty's view of bo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the dancer and the resulting move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external form of movement by grasp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elements related to movement. Accordingly,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ovement in the creative work [Nucleus] were analyzed through the time with consciousness, spatiality through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related to phenomena. 무용은 시공간의 예술이며 신체를 주체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그렇기에 무용의 본질은 신체에 있으며 움직임 구성에 있어 신체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기술 융합적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현시대의 무용 작품 분석 방법에도 변화가 생겼다. 작품 분석에 관한 내용을 살펴본 결과 움직임에 초점을 두고 작품을 분석하기보다는 움직임과 기술의 관계를 조명하며 작품에 대한 흐름과 관계에 대한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 다가올 시대는 기술 융합적 작품이 주도하는 것이 아닌 신체가 중심이 되는 작품이 성행하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신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며, 이를 토대로 신체관에 근거한 움직임 특성을 추출하여 이를 움직임 분석 요소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창작 작품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의 특성들을 통해 무용수들이 움직임을 분석함으로써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신체관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른 철학자들과는 달리 이성보다는 신체를 강조하며, 신체를 통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한 메를로 퐁티의 철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신체에 대해 탐구하였다.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서는 신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는 세계를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세계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경험자의 지각과 의식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신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느낄 수 있으며 신체로부터 체험된 현상을 통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주장이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의 내용이다. 이처럼 신체가 주체가 되어 모든 현상과 세계를 경험할 수 있기에 메를로 퐁티는 신체를 “육화된 의식” 또는 “육화된 자아”라고 보았다. 이로써 본 연구자는 어떤 예술보다 신체가 주체가 되는 무용 예술에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을 바탕으로 움직임에서의 신체를 다시 바라보았다. 움직임에서의 신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신체 부위를 결합하고 운용함으로써 움직임을 구성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이다. 하지만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에 근거한 작품 구성은 움직임과 관계 맺는 요소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외적으로 보이는 움직임의 형태에 집중하기보다는 무용수가 어떤 의식을 가지고 신체를 운용하며 그 결과 어떤 움직임이 행해졌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시간성은 의식을 통해, 공간성은 관계를 통해, 관계성은 현상과 관련지어 창작 작품 [Nucleus]에서 나타난 움직임을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화의 관계 : 정서신념과 경험회피의 이중매개효과

        이나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체화는 의학적으로 원인을 설명하기 어려운 신체적 불편감을 경험하고 이를 타인에게 호소하는 동시에 질병이 있다고 생각하여 치료를 받으려는 경향을 의미하며, 다른 정신질환들의 초기 발현 단서가 될 수 있는 신체화에 대한 기제를 밝히는 연구는 지속되고 있다. 기존 완벽주의와 신체화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요소 중 하나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화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역기능적 정서처리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신체화 연구에 있어 완벽주의의 역할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화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서신념과 경험회피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 39세 이하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 정서신념 척도(BAEQ), 경험회피 척도(AAQ-II), 신체증상척도(SSS)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과 PROCESS macro v.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완벽주의적자기제시, 정서신념, 경험회피, 신체화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신념과 경험회피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신념과 경험회피를 거쳐 신체화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완전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체화에 이르는 기제를 밝힘으로써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을 지닌 대학생이 신체화를 경험할 때 정서신념과 경험회피와 같은 부적응적 정서처리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경향의 대학생이 신체화를 호소할 때 정서신념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개입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matization and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beliefs about emo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among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Firs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eliefs about emotion, experiential avoidance, somatization. We confirmed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beliefs about emo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matization. Lastly, we discovered the full dual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path to somatization through beliefs about emo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y reveal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leading to somatization,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beliefs about emo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can be considered when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experience somatization. Also, it means that it can affect somatization through the maladaptive emotional processing of individuals with these characteristics although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does not directly play part in the somatization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한국·중국 여대생이 지각하는 미디어의 영향, 신체 불만족 및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운동참여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왕염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일련의 두 편의 연구를 통하여 미디어의 영향과 신체 불만족 및 심리적 부적응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은 인쇄, 방송매체 노출과 신체 불만족의 관계에서 날씬한 마른체형 및 운동선수체형 내면화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참여자들은 한국 여자대학생 275명과 중국 여자대학생 1,549명이었으며, 참여자들은 미디어 유형(인쇄, 방송매체), 신체적 불만족, 미디어 이상 내면화와 관련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연구 1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여대생의 경우 인쇄매체와 방송매체 모두 신체 불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른체형 이상 내면화는 인쇄매체 노출과 신체 불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선수체형 내면화가 방송매체 노출과 신체 불만족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매개변수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국 여대생의 경우, 인쇄매체와 신체 불만족, 방송매체와 신체 불만족의 관계는 마른 체형 이상 내면화에 의해서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선수체형 내면화는 인쇄매체와 신체 불만족의 관계, 방송매체와 신체 불만족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미디어의 영향(미디어 압력 및 정보)과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신체 불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 매개효과가 운동참여수준에 따라서 유의하게 조절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2의 참여자들은 한국 여대생 240명과 중국 여대생 1333명이었다. 표적 변인들에 대한 질문지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과 중국 여대생들의 미디어 압력과 우울간의 관계는 신체 불만족을 경유해서만 효과가 있었으나, 이 완전매개효과는 운동참여수준에 따라서 유의하게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여대생들의 신체 불만족은 미디어 압력과 대인 민감성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대생의 운동참여수준은 대인 민감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 불만족과 운동참여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반면, 중국 여대생의 경우에는, 신체 불만족과 운동참여수준이 대인 민감성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 중국 여대생 모두 신체 불만족은 미디어 정보와 대인 민감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국 대학생의 경우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중국 여대생의 경우는 미디어 정보와 대인 민감성에 대한 신체 불만족의 완전 매개효과가 운동참여수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influence, body dis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rough a series of two studies. Specifically, Study 1 tri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an athletic-ideal intern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print media, broadcas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Participants in Study 1 were 275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1,549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lated to media type (print, broadcasting media), body dissatisfaction, and media ideal internaliz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study 1,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both print media and broadcasting media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Exposure to print med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the thin-ideal internal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in-ideal internaliza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exposure and body dissatisfaction. Print media expos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ideal internalization and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exposure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broadcasting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thletic-ideal internalization was confirmed as a significant mediato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broadcasting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ina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in-ideal internaliz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broadcasting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ina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thin-ideal internalization. Athletic-ideal internaliz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broadcasting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Study 2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influence(media pressure and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ly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Participants in Study 2 were 240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1215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arget variables,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ressure and depressi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as meaningful only through body dissatisfaction, but this fully mediated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Second, the body dissatisfacti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ressur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ensitivity, b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the interaction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interpersonal sensitivity was significan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dex was also found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both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body dissatisfac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informat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the cas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on media informat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 코메니우스의 신체사상이 체육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윤미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코메니우스의 저서 내용을 중심으로 신체관 및 체육교육에 관련되는 내용을 고찰하고 재조명 해 봄으로써,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중 신체사상이 체육교육에 주는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이를 체육교육에 적용하여 체육교육의 새로운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과 신체사상의 배경이 되는 것으로서 인간관, 아동관, 신관, 자연관이 있으며 그는 인간의 정신은 인간의 육체와 구별되지 않고 다만 그 양자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인격체 즉, 전인적 인간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는 체육교육에서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전인교육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코메니우스의 신체사상은 바울과 루터의 영향을 받았으며 심신관, 건강양생관, 신체운동관, 훈련관으로 그의 신체관을 정의하여, 즐거운 마음이 선행된 놀이를 강조하였다. 즐거운 마음이 선행된 놀이를 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원만하게 이루어져 학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얻어지는 피로를 풀어 주는 휴식 시간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어 심신이 건강한 인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오늘날 강조되는 웰빙 문화의 근원지가 되며 올바른 놀이문화와 여가선용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한 즐거움을 제공 하여 학생들의 기본적인 활동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놀이와 표현 활동, 감상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야 한다는 7차 교육과정의 저학년 즐거운 생활 교과의 목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셋째, 코메니우스의 신체사상이 체육교육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놀이와 감각교육을 강조한 그의 신체사상이 체육학적 패러다임에 미친 영향은 체육교육은 다양하고 즐거운 신체 활동이 제공되어야하며, 인간이 생득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습득 능력을 자극하여 운동 기술의 학습 시 기능 습득은 다음 단계로 나아감에 따라 침착한 반응과 계속적인 반복 연습을 통하여 망각을 예방하고 교정하면서 숙달시켜야 한다는 반복 학습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체육과 교수-학습 지도법에서는 연령, 기능, 향상 정도에 따라 연습의 단계적 설정이 필요하다는 배려와 학습자들이 교훈과 양육을 그들의 자연적인 성장 단계와 수용력에 적합하게 모든 교과목을 터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참되게 수행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어, 오늘날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는 7차 교육과정의 주안점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으며, 체육에서도 시청각 자료를 십분 활용하여 생생하고 분명하게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자들의 교수-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터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오늘날 체육에서도 ICT 활용 수업의 필요성을 일깨워주고 있으며, 그가 강조한 수업방법 중 학습자의 활동을 주도하는 교사의 참여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있을 때 가장 좋은 체육수업이 되리라는 것은, 체육교육의 목적이 신체활동을 통하여 얻어지는 성취감, 만족감 등으로 올바른 자아개념을 형성하여 인간다운 인간을 교육하는 것으로 전인교육의 완성을 위해 체육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일선 현장에서 생각하는 교실 현장착근을 위한 수업개선의 질 향상을 위해선 교사와 학생간에 좋은 인격적 접촉이 있어야한다는 것과 그 뜻을 같이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and examine carefully Comenius' view of body and content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through his educational ideas in his writings. Secondly, this study aims to inspect what the real meaning that Comenius' ideas of body give to Physical Education is. I intend to apply those meanings to Physical Education and help to find out new insights about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I could come to conclusion as the following. First, Comenius' ideas of education and body came from view of human beings, children, God and Nature. He regarded human body and mind not as separate and considered it as the whole human with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In this, it is an opportunity to emphasize on whole human education with developing body and mind harmoniously. Second, Comenius' ideas of body had been influenced Paul and Luther. Comenius defined ideas of body as view of mind and body, view of physical activities and view of training and he emphasized on playing with preceded pleasant mind. According to his ideas of body, playing with preceded pleasant mind could have learners enjoy their life with sound body and mind by making good use of rest time in which they could remove their stress, fatigue from their schoolworks or daily lives. This can lead to not only the root of well-being culture which is focused on these days and also a good chance to explain the right recreation culture and making good use of spare time newly. Moreover, It means that learners should be satisfied with their basic needs by providing pleasure through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nd should be raised ability and attitudes which are able to play autonomously, creatively and express and appreciate something. Eventually it had influence on a purpose of subject which is integrating with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n the 7th curriculum. Third, The influence of Comenius' ideas of body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described as the following. His ideas of body which focused on playing and sensory education had influence on Physical Education paradigm is that various pleasant physical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for learner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omenius claimed that learners should have a repetitive learning which stimulated innate sense of acquiring knowledge and when they learn exercise skills they should acquire abilities and be skilled with preventing oblivion and revising through imperturbable response and repetitive practices according to progress in next stages. Futhermore, Comenius contended that teachers should have a thoughtful consideration by setting practice stages according to ages, skills, improvement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give a lesson to learners who can acquire and understand all subjects according to natural growth process of man. Today the main point of the 7th curriculum is that learners should be taught by ability which is considered individuality. Comenius' ideas is in collusion with this. Therefore we should use a lot of audio-visual materials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should present such things vividly and clearly for acquiring learner's activities effectively through inducing learner's interest. In one sense, it offers the necessity of using ICT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Comenius advocated that leading teacher's participation and active learner's participation can just produce the most successful instruction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He also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complet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which purpose is education of the humane man by building the right self-perception with satisfaction, achievement gained from physical activities. Both learners and teachers need to have a moral contact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improvement for taking roots in field of thinking classroom.

      • 신체놀이 활동이 발달장애 학생의 신체기능 향상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민숙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 중 교육활동을 위해 더 많은 관심과 이해로 지속적인 지도의 시간이 필요한 감각운동기인 학생에게 신체놀이 활동을 통하여 신체기능 향상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절차는 수원시 S특수학교 초등부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 3명을 선정하여 KISE발달척도 중 대근육 운동기능 발달과 사회정서 행동발달 중 대인관계를 사전검사로 한 후 2008년 3월 11일부터 5월 15일 까지 매주 2회 80분씩 10주 동안 2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신체놀이 활동으로 신체접촉놀이, 감각·운동놀이로 감각통합훈련과 장애물 달리기,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놀이로 구성하여 활동 시 타인과 바람직한 관계형성을 우선으로 하고, 학생 자신이 마음이 내켜 활동에 참여하는 표현을 중요시 하며 칭찬을 많이 하였다. 매 놀이 시마다 나타내는 활동모습 및 대인관계의 행동변화를 누가 기록하고 교사 반성일지와 학생 관찰일지를 기술하였으며, 활동을 마친 후 사전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 해 영역별 각 항목을 백분율로 처리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대근육운동 능력인 힘, 균형유지 능력, 이동능력, 협응능력이 향상돼 대상학생 A는 평균 13.52%, 대상학생 B는 평균 12.32%, 대상학생 C는 평균 17.25%의 대근육 운동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로 타인의식, 타인에 대한 반응, 상호작용주도가 향상돼 대상학생Α는 평균 28.52%, 대상학생 B는 평균 18.70%, 대상학생 C는 평균 25.19%의 또래관계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감각적 자극과 신체접촉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며, 감각통합놀이와 신체활동을 하는 신체놀이활동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학생의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며, 또래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사위의 프리즘교정이 정적신체균형에 미치는 영향

        황명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사위의 프리즘교정이 정적신체균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원거리 기준 외사위(평균 9.19±5.88△)를 가진 평균연령 22.79±6.42세의 18명(남자 8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거리 사위량 측정을 위해 타각적 커버 테스트와 프리즘 중화법을 실시하였고, Balance tracking system을 이용하여 신체균형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비정시를 완전교정하고, 외사위의 BI 프리즘 교정 전·후 신체균형의 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사위 교정 조건을 1) 셔드기준 최소 프리즘 교정, 2) 측정된 사위값의 전량교정으로 구분하였다. 비정시의 완전교정상태 및 사위 교정의 각 조건에 따라 신체균형 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체균형의 측정방법은 1) 신체균형을 조절하는 모든 감각기관이 관여하는 상태인 ‘Standard 측정’과 2) 고유감각을 제어하여 시각에 초점을 둔 ‘Vision 기반 측정’으로 구분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각 조건별로 신체균형을 각각 측정한 후 압력 중심의 흔들림 경로 길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사위 교정 조건인 셔드기준의 최소량 조건에서 측정된 사위 전량교정 및 완전교정상태와 비교해 Standard 측정의 흔들림 경로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Vision 측정에서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흔들림 거리, 속도, 영역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거나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원거리 외사위가 존재할 때, BI 프리즘 교정은 신체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신체균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프리즘 처방기준 중 셔드 기준의 최소프리즘 결정값이 신체균형을 안정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처방 지침임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ism correction of exophoria had a positive effect on static body balance. A total 18 subjects (8 males and 10 females) with a mean age of 22.79±6.42 years and a mean exophoria of 9.19±5.88△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stance phoria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objective coverage test with prism neutralization, and body balance was measured using a balance tracking system. After measuring the full corrected powers of the subject's refractive error by subjective refraction, compared the changes in body balance foctors before and after BI prism correction of exophoria. The phoria correction conditions were set to 1) sheard’s criterion minimum prism correction, and 2) measured phoria full correction. Body balance was evaluated under condition of full correction in refractive error and each condition of phoria correction. The method of measuring body balance is divided into 1) "Standard measurement", which is a state involving all sensory organs that regulate body balance, and 2) "Vision measurement", which controls proprioception and focuses on vision. After measuring the body balance in each condi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way path length. The sway path length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heard’s criterion minimum correction compared to both full correction of phoria and full corrected refractive error on standard measurement (p<0.05). In addition, the distance of sway path, velocity of sway, and sway ellipse area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vision measurement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I prism correction of exophoria has a positive effect on body balance and helps to improve overall body balance capacity. In particular, among the prism prescription criteria, the minimum prism determination value of the sheard’s criterion wa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prescription guideline for stabilizing body balance.

      • 신체상, 체형관리행동, 자기주도적 직무설계 및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박준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Influence of Body Image, Body Management Behaviors, Job Crafting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Happiness of nurses by Jun Min Park (Director: Prof. Jina Oh, Ph.D)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nursing Happines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es by describing body image, body management behaviors, job crafting,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Method: From July 11 to August 01 2022, 135 nurses from B hospital and P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with convenience sampling. Tool used in this study were Body Image, Body Management Behaviors, Korean Vers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 (JCQ-K), Korean version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K-PES-NWI),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6.0 and Jamovi 2.2.5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s follows: 57.0% were female, average of age was 27.98, average of clinical duration was 50.81 months, average of monthly salary was 2738500 KRW and 84.4% were unmarried. 2. The average of body image of the subjects was 3.12±0.38 out of 5, The average of body management behaviors of the subjects was 1.55±0.40 out of 5, The average of job crafting of the subjects was 4.00±0.76 out of 6, The average of nursing work environment of the subjects was 2.53±0.34 out of 4, The average of Happiness of the subjects was 4.07±0.63 out of 6. 3.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job craft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job crafting according to gender (t=2.30, p=.023) and clinical career (F=8.18, p<.001) 4.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ub-scal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ge (F=5.53, p=.005) and clinical career (F=14.29, p<.001). 5. The average of Happiness of the subjects was 4.07±0.63 out of 6.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Happines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F=3.76, p=.026), clinical career (F=4.83, p=.009), education level (F=4.10, p=.019). 6. Happiness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body image(r=.48 p<.001), job crafting(r=0.60, p<.001), nursing working environment (r=.43, p<.001) and negative correlated with body management behaviors (r=-.27, p=.002). 7.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were job crafting (β=.40, p<.001), body image (β=.30, p<.001), nursing working environmen t(β=.15, p=.037) and body management behaviors (β=-.16, p=.015). Which explained 47.2%.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on nurses were body image, body management behaviors, job crafting, nursing work environment. Therefore, to increase Happiness in nurs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programs that can increase positive body image, job crafting, nursing work environment. Based on this, we intend to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data that can improve Happiness in nurs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행복 정도를 파악하고, 신체상, 체형관리행동, 자기주도적 직무설계 및 간호근무환경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7월 11일부터 8월 1일까지이며, B광역시소재의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를 편의 추출하여 135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신체상(Body Image), 체형관리행동(Body Management Behaviors), 자기주도적 직무설계(Korean Vers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 간호근무환경(Korean version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행복(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2.2.5 program과 SPSS 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도구의 타당도 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 Scheffé test),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성 57.0%(77명), 평균 연령은 27.98세, 평균 임상경력은 50.81개월, 평균 월 급여는 273.85만원, 미혼인 경우가 84.4%(114명), 학사학위가 73.3%(99명)이었다 2. 대상자의 신체상 평균은 5점 만점에 3.12±0.38점, 체형관리행동 평균은 5점 만점에 1.55±0.40점, 자기주도적 직무설계 평균은 6점 만점에 4.00±0.76점, 간호근무환경 평균은 4점 만점에 2.53±0.34점, 행복 평균은 6점 만점에 4.07±0.63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주도적 직무설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성별(t=2.30, p=.023)과 임상경력(F=8.1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F=5.53, p=.005)과 임상경력(F=14.29, p<.001)에 따라 간호근무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F=3.76, p=.026), 임상경력(F=4.83, p=.009), 교육수준(F=4.10,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6. 대상자의 신체상, 체형관리행동, 자기주도적 직무설계, 간호근무환경, 행복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복은 신체상(r=.48 p<.001), 자기주도적 직무설계(r=0.60, p<.001), 간호근무환경(r=.4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형관리행동(r=-.27, p=.002)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7.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직무설계(β=.40, p<.001), 신체상(β=.30, p<.001), 간호근무환경(β=.15, p=.037), 체형관리행동(β=-.16, p=.015)이었고, 설명력은 47.2%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 체형관리행동, 자기주도적 직무설계, 간호근무환경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가 긍정적인 신체상을 가지고 자기주도성을 가지고 직무설계를 할 수 있다면 행복하게 근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

      •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선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3세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 1.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경기도 U시에 위치한 U병설유치원과 A시에 소재한 H병설유치원의 3세 유아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윤영숙(2008)의 기초체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신체적 자아개념은 신체적 자아개념질문지(PSDQ: Marsh et al.,1994)를 황순각(2001)이 유아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8주 동안 매주 2회씩 총16회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매회 30~40분간 진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유치원 실외놀이터에서 실험집단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에 비해 기초체력의 하위영역인 평형성, 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에서 평균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에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 중 유능감, 건강, 외모에서 평균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using tools on basal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 concept of three-year-old young children. 1.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using tools on basal physical fitness of young children? 2.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using tools on physical self concept of young children? To research the aforementioned questions, the researcher experimented with 32 young children in U Kindergarten in U city, Gyeonggido and H Kindergarten in A city (16 in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comparison group). In order to measure basal physical fitness of young children, Basal Physical Fitness Test Tool developed by Yoon Young-sook (2008) was used. To measure physical self concept, the resulting tool that Hwang Soon-gak(2001) modified (PSDQ: Marsh et al., 1994) for young children was used. The research was executed 16 times in total as twice per week for 8 weeks. Experimental group had physical activity programs using tool for 30 to 40 minutes each time, while comparison group had physical activities using the same tools in outdoor playground without constraints that experimental group used. To identify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using tool after experiment, ANCOVA using SPSS 18.0 program was executed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lanc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and instant reaction which are sub areas of basal physical fitness comparing to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It confirms that tool using physical activities made positive effects on basal physical fitness of young children. Second,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an value of competence, health and appearance which are sub areas of physical self concept comparing to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It confirms that tool using physical activities made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self concept of young children.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ould be said that tool using physical activity made positive effects on basal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 concept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