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의 근육량, 지방량, 지방률에 대한 신체계측 예측방정식 개발 및 검증 : 2008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박근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Background and Purpose: Measuring lean body mass and fat mas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optimal weight for general and patients population and it may help explain for researchers studying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iseases or mortality.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body compos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measurement due to difficulties in cost and equipment usage in large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other hand, anthropometry has been used in a very practical way. For this reas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equations that predict lean body mass and fat mass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research study on Koreans. This research developed and validated anthropometric prediction equations using 2008-2011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which conclud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dat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25 males and 6,564 females (≥19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2008-2011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had all information on DEXA and anthropometic. All participants randomly into two independent groups using a random number generator. The ratio of prediction group and validation group was 70:30. Four predictive equations were developed by combining the anthropometric factors in the prediction group. For validation, using the developed anthropometric equations for all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Then compared the predicted values and DXA-measured values in the validation group. Additional validation of subgroup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rediction equations. Result: Considering the availability of anthropometric measures in large-population epidemiological studies and cohorts studies, equation 2, which used age,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as selected as the most practical equation for the validation. Equation 2 had good predictive ability for lean body mass (men: R2= 0.84,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SEE) =2.72kg; women: R2= 0.77, SEE= 2.17 kg) and fat mass (men: R2= 0.74, SEE= 2.84 kg; women: R2= 0.83, SEE= 2.27 kg). When equations were further evaluated in the valida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XA-measured and predicted lean body mass and fat mass in both men and women. In addition, R2 and SEEs in the validation group were approximately the same to those in the prediction group. In the subgroup evaluation, For men, the predicted lean body mass and fat mass were similar from those of DEXA-measured in diabetic group, hypertriglyceridemia group and obesity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XA-measured and predictied predicted lean body mass and fat mass in hypertriglyceridemia group and obesity group in women. Conclusion: This research developed and validated anthropometric prediction equation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2008-2011. Practical equation including age,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had good predictive ability in both men and women. The equation have shown higher ability to predict lean body mass in men than in women. In contrast, equation have shown lower ability to predict lean body mass in men than in women. Interestingly, waist circum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lean body mass and fat mass in men compared to women.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on the body composition of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f ag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through sub-group validation.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proper weight of Korean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obesity research. 배경 및 목적: 신체를 구성하는 근육량과, 지방량을 측정하는 것은 다양한 환자들과 대중에 적절한 체중을 제안하고, 비만과 질환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연구자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신체구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비용과 장비의 활용 등의 어려움으로 측정에 제약이 있다. 반면에 신체계측은 매우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이유로 신체계측을 활용한 근육량과 지방량을 예측하는 방정식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한국인을 연구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이에 이중에너지 X-선 흡수방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이용한 골밀도 및 체지방검사 자료를 보유한 2008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한국인의 근육량, 지방량과 지방률에 대한 신체계측 예측방정식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08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골밀도 및 체지방검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남자 4,625명, 여자 6,564명 총 11,189명이다. 예측그룹과 검증그룹으로 7:3 비율로 무작위로 추출하여 분류하였다. 예측그룹에서 신체계측 요인을 조합하여 4개의 예측방정식을 개발하였고, 검증그룹에서 예측방정식을 검증하기 위해 이중에너지 X-선 흡수방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으로 측정된 근육량, 지방량, 지방률과 예측된 근육량, 지방량, 지방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예측방정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위집단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규모 역학 연구에서 신체 측정 방법의 유용성을 고려하여 연령, 신장, 체중 그리고 허리둘레를 사용한 방정식 2가 가장 실용적인 방정식으로 선택되어 검증에 사용되었다. 근육량 예측 방정식에서 남자는 결정계수(R2)가 0.84이고, 추정값의 표준오차(SEE)가 2.72kg, 여자에서는 결정계수(R2)가 0.77이고, 추정값의 표준오차(SEE)가 2.17kg으로 나타났다. 지방량 예측 방정식에서 남자는 결정계수(R2)가 0.74이고, 추정값의 표준오차(SEE)가 2.84kg, 여자에서는 결정계수(R2)가 0.83이고, 추정값의 표준오차(SEE)가 2.27kg으로 나타났다. 검증집단에서 검증하였을 때, DEXA 측정값과 예측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정계수(R2)는 예측집단에서의 범위와 유사하며, 추정값의 표준오차(SEE)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위 집단에 대한 검증은 남자는 당뇨병군, 고중성지방혈증군과 비만군에서 예측된 근육량과 지방량이 DEXA 측정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군과 비만군에서 예측된 근육량과 지방량이 DEXA 측정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신체계측 예측방정식을 통한 근육량의 예측력은 남자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지방량의 예측력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허리둘레의 경우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근육량과 지방량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위집단의 검증을 통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60세 이상인 노년층의 신체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신체구성과 적절체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 신체계측 예측방정식, 근육량, 지방량, 지방률,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 영양교육 및 상담이 비만 여성의 신체계측치와 식습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이 신체계측치와 식습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에 소재하는 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는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양교육군은 30명으로 8주 동안 세 차례의 영양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였고, 대조군 30명은 영양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지 않았다. 신체계측, 혈압, 혈액검사, 식습관의 변화를 영양교육 전후에 측정하였다. 전체대상자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체지방율, 혈당이 증가하였고(p<0.05), 총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폐경을 한 여성이 수축기혈압(SBP), 총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권장량대비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영양소는 전체대상자에서 엽산과 칼슘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 및 상담에 참가한 영양교육군의 결과는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 둘레비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감소하였으며, 체지방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수축기혈압(SBP), 총콜레스테롤이 유의성은 없지만 감소하였으며, 이완기 혈압(DBP), 혈당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식습관 점수는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p<0.001), 이로 인한 식습관 및 식행동의 변화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본 연구결과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이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별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consultation on overweight and obese woman's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and eating habit. The target of the study was 60 people using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in Daegu. Three times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consultation were performed over 8 weeks for 30 people of nutritional education group and it did not performed for 30 people of contrast group. After nutritional education,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blood pressure, blood test and change of eating habit were measured. In the entire targets, as age was high, body fat ratio and blood sugar increased(p<0.05) and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p<0.01). In case of postmenopausal woman, the Systolic Blood Pressure(SBP)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p<0.001). It was found that the nutritive substance, in which were taken under 75% of recommended amount, were folic acid and calcium. The result of nutritional education group participating in nutritional education and consult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Body Mass Index(BMI) and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but they were decreased and body fat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SBP) and total cholesterol,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DBP) and blood sugar(p<0.05). The score of eating hab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01) and the change of eating habit and ea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01).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nutritional education and consul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Therefore individual and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continuously.

      • 20대 남성의 체형과 피하지방 분포 경향에 관한 연구

        김기엽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부상되어진 소비자층인 20대를 중심으로 의복구성의 입장에서 합리적인 의복설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틴계측법에 따른 계측치와 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하여 24세를 기준으로 19∼24세를 집단1, 25∼28세를 집단2로 하여 두 집단간의 체형차이를 파악하고 피하지방의 분포 경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하지방이 침착하기 쉬운 부위는 허리앞1/2, 허리측면, 허리뒤1/2, 배앞중심, 배뒤중심으로 나타났다. 침착이 어려운 부위는 윗가슴측면, 전완후면, 전완내측면, 손목내측면, 하퇴전면, 목밑측면으로 나타났다. 2. 드롭치에 의한 결과 후반부 집단으로 갈수록 허리와 배부위의 지방침착으로 체간부의 굴곡이 완만해져서 둥글고 일자형의 체형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신체계측치에 의한 집단간 T-test 결과 20대 후반으로 갈수록 가슴부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하지방두께 계측에 의한 집단간 T-test 결과 20대 후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소량의 지방침착이 이루어 졌다. 4. 신체계측치에 의한 각 집단간 요인분석 결과 집단1의 요인1은 신체의 수평적 크기요인, 요인2는 체간부의 수직적 길이요인, 요인3은 발목의 수평적요인, 요인4는 체간부 후면의 수직적 길이요인으로 나타났다. 집단2의 요인1은 체간부 상부의 수평적 크기요인, 요인2는 신체의 수직적 길이요인, 요인3은 발목과 하퇴의 수평적 크기요인, 요인4는 목, 배, 허리의 수평적요인, 요인5는 무릎과 대퇴의 수평적 크기요인으로 나타났다. 전체집단의 요인1은 체간부의 수평적 크기요인, 요인2는 하퇴와 발목의 수평요인, 요인3은 체간부의 수직적 길이요인, 요인4는 신체의 길이요인으로 나타났다. 피하지방두께 계측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집단1의 요인1은 하지부위, 요인2는 체간부 1/2과 측면부위, 요인3은 발목부위와 손목부위이고, 집단2의 요인1은 윗가슴부위와 하지부위, 요인2는 대퇴후면, 전완측면, 허리뒤중심이며, 전체집단의 요인1은 상, 하지부위, 요인2는 허리앞1/2과 측면부위, 요인3은 전완부위로 나타났다. 5. 둘레항목 상호간의 상관관계는 윗가슴둘레와 가슴둘레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레항목과 너비항목간의 상관관계는 몸통둘레와 몸통너비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너비항목 상호간의 상관관계는 윗가슴너비와 가슴너비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피하지방 두께 계측항목 상호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체간부에서는 윗가슴1/2과 윗가슴뒤1/2의 상관이 높았고, 사지부위에서는 전완전면과 전완내측면이 높았고, 대퇴전 면과 하퇴측면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is to propose a basic data for reasonable clothes design the viewpoint of somatotype and clothing construction preferred by newly emerging consumers in their twenties. The subcutaneous fat was measured for male college students. Group 1 is an age range between 19 and 24 years and group 2 is between 25 and 28 year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somatotype between these two group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subcutaneous f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bcutaneous fat easily accumulated on a half the front of waist, side part of the waist, a half the behind of waist, central abdomen, back central abdomen, whereas it hardly accumulated on the side of upper chest, behind of forearm, inner side of forearm, inner side of wrist, front of calf and side part of neck base. 2. As for the drop value result, accumulation of fat on the waist and abdomen made curved contour in the group 2, thus made smooth and 1-shape somatotype. 3. T-test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of somatotype showed that the closer to the end of twenties, the larger the breast. T-test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of depth of subcutaneous fat showed that the closer to the end of twenties, slightly thicker the subcutaneous fat. 4. An analysis on the group factor by measurement of somatotype showed that the factor 1 of group 1 related with horizontal size of body. Factor 2 related with vertical length of trunk. Factor 3 related with horizontal length of ankle. Factor 4 related with vertical length of the back of trunk. The factor 1 of group 2 related with horizontal size of trunk. The factor 2 related with vertical length of body. factor 3 related with horizontal size of ankle and calf. Factor 4 related with horizontal factor of neck, abdomen and waist. The factor 5 related with horizontal size of knee and thigh. Factor 1 of the entire group related with horizontal size of trunk. Factor 2 related with horizontal size of ankle and calf. Factor 3 related with vertical length of trunk. Factor 4 related with length of body. An analysis on the group factor by the measured depth of subcutaneous fat showed that the Factor 1 of group 1 related with leg. Factor 2 related with a half the trunk and side part. Factor 3 related with ankle and wrist. The Factor 1 of group 2 related with upper chest and leg. Factor 2 related with back part of thigh, side of forearm and back central waist. Factor 1 of entire group related with arm and leg. The factor 2 related with a half the front of waist and side part of waist. Factor 3 related with forearm part. 5. The correlation analysis befween circumference items indicated that the circumference of upper chest is related with the bust circumferenc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ircumference items and breadth items indicated that the circumference of maximum bod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breadth of maximum bod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readth items in dicated that upper chest breadth is closely related with bust breadth.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of the measured depth of subcutaneous fat, a half upper chest closely related with a half the back of the upper chest on trunk.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of arm and leg, front part of forearm and inner side of forearm is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The front part of thigh closely related with the side of calf.

      • 산후관리의 체형·비만·부종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정소원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69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partum fitness, obesity and swelling care programs. For this, current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objectively verify the overall effects through meta-analysis of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measurement.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20 papers which me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ster’s and Ph.D. degree these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over the past 17 year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18, and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trends on program effects, 17 master’s theses published from 2008 to 2010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2 papers were examined for 1-2 week(s). In terms of an application method, a parallel group (17 papers) was applied. In terms of treatment applied, ‘adjuvant therapy’ was the highest. Regarding overall effect assessment indexes, ‘body composition (14 papers)’ and ‘physical measurement (6 papers)’ accounted for a great por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variables by a thesis type and by the time of publication. Among the variables by the duration of the research,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applied only. Second, according to testing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ation bias concerning postpartum fitness, obesity and swelling care programs, the funnel plot analysis found a symmetric distribution with the average effect size in the middle in all categories: body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total body water, edema, abdominal circumference, WHR and thigh circumference, forecasting the absence of publication bias. Third, according to meta-analysis on physical variables,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a random-effects model was designed by categorizing edema, abdominal circumference and WHR as large effects, body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and thigh circumference as medium effects and total body water as small effects. According to a Q-statistic heterogeneity test, significant heterogeneity was found in body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total body water, edema, abdominal circumference, WHR and thigh circum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individual studies affecting average effects in physical variables, 4 papers were found in body fat percentage and abdominal circumference, 3 papers in body weight, body fat mass, total body water, WHR and thigh circumference and 2 papers in edema.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effective data in searching research area and design in postpartum programs by suggesting research trends concerning postpartum fitness, obesity and swell care programs. Furthermore,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providing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and verifying the objectivity of diverse factors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newly adopted concerning future postpartum fitness, obesity and swelling care-related studies through meta-analysis on physical improvement after applying the postpartum programs. 본 연구는 산후관리의 체형·비만·부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신체조성 및 신체계측 개선에 관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연구 동향 및 질적 메타분석을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2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최근 17년 동안 발표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만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논문 총 20편의 연구를 종합하여 효과성을 분석·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의 연구 동향분석에서 논문형태는 석사(17편), 개제시기는 2008-2010년, 연구 기간은 1-2주 (12편)으로, 적용방법은 병행군(17편), 적용요법은 보조요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 효과평가지표는 신체조성(6편), 신체조성과 계측(14편) 순으로 신체조성+계측의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논문의 형태에 따른 변인간의 차이, 게제시기에 따른 변인간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구기간에 따른 변인간의 차이에서는 적용요법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산후관리의 체형·비만·부종관리 프로그램의 출판편향 효과성 검증에서는 Funnel plot 분석에서 출판편향은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체수분량, 부종, 복부둘레, WHR, 대퇴부둘레 모두 평균효과 크기를 중심으로 깔대기 그림이 좌·우 대칭(symmetry)적인 모습을 보여 출간편향이 없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셋째, 신체적 변인의 메타분석 결과에서는 먼저 신체적 변인의 효과성애서 큰 효과크기는 부종, 복부둘레, WHR, 중간 효과크기로는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대퇴부둘레, 작은 효과크기는 체수분량으로 나뉘어 무선효과모형을 나타나게 되었다. Q통계량을 통한 이질성 검사는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체수분량, 부종, 복부둘레, WHR, 대퇴부둘레 모두 분석결과 내 상당한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신체적 변인의 효과성에서 평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연구를 분석하면 체중은 3편, 체지방량은 3편, 체지방률은 4편, 체수분량은 3편, 부종은 2편, 복부둘레는 4편, WHR은 3편, 대퇴부둘레는 3편의 연구가 평균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후관리의 체형·비만·부종관리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동향을 제시함으로써 산후관리 프로그램의 연구영역과 연구 설계를 탐색하는데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산후관리의 프로그램 적용 후 신체의 개선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추후 산후관리의 체형·비만·부종관리 연구와 관련하여 새롭게 채택된 변인들 외에 다양한 요인의 객관성을 검증하고 후속 연구의 정보를 제공하며 기초자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단백질 섭취량 증가가 단기간의 다이어트 및 운동 병행 프로그램 참가자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신철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68

        단백질 섭취량 증가가 단기간의 다이어트 및 운동 병행 프로그램 참가자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신 철 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건강관리전공 본 연구에서는 과체중 이상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과 일일 단백질 섭취량을 증가시킨 4주 체중감소 프로그램이 신체조성과 신체계측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자는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를 이용하는 20~30대 과체중 이상 비만 여성 15명이였으며, 참여자들을 복합처치 집단(n=8) 및 비교 집단(n=7)으로 나누어 4주간 체중감소 프로그램(주 3회 복합운동과 일일 단백질 섭취량에 차이를 둔 식이요법)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 총 2회에 걸쳐 신체조성, 신체계측 및 근력을 측정하였으며, 연구 시작 전 참여자들의 평소 일일 영양소 섭취량과 4주 연구기간 동안의 일일 영양소 섭취량 또한 비교 분석하였다. 1) 4주 체중감소 프로그램 실시 후 복합처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체중(p<.001), 체지방량(p<.001), 제지방량(p<.05), 체지방률(p<.001), 체질량 지수(p<.001)는 프로그램 전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지만 두 집단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2) 4주 체중감소 프로그램 실시 동안 복합처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일일 에너지 섭취량(p<.001)은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없었지만 일일 단백질 섭취량(p<.001), 일일 탄수화물 섭취량(p<.001), 일일 지방 섭취량(p<.001)은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4주 체중감소 프로그램 실시 후 복합처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좌대퇴부 둘레, 우대퇴부 둘레, 허리 둘레에서 프로그램 전후 사이에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지만 두 집단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4) 4주 체중감소 프로그램 실시 후 복합처치 집단과 비교 집단의 벤치프레스 및 스쾃 1RM은 프로그램 전후 사이에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지만 두 집단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4주 체중감소 프로그램은 20~30대 과체중 이상 비만 여성의 신체조성, 신체계측 및 근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 별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일일 영양소 섭취량을 제외한 신체조성, 신체계측 및 근력에서는 집단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일일 단백질 섭취량 증가를 시킨 복합처치 집단의 경우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비교 집단에 비해 체지방량의 감소가 크고 제지방량 감소가 적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The Effects of Increased Protein Intake on Body Composition of Short-term Diet and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Chul Hee Shi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Health Care Maj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ased protein intake on body composition of short-term diet and exercise program. Fifteen obese women, in the age range of 20-30yrs,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combination treatment group (n=8: exercise + diet with increased protein consumption) and a comparison group (n=7: exercise + diet). Participants exercised 3 times per week and program duration was 4 weeks long. Body composition, body circumference, and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4 week weight-loss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the weight-loss program, body weight (p<.001), body fat mass (p<.001), lean body mass (p<.05), body fat percentage (p<.001), and body mass index (p<.001) of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2) During 4 weeks of diet period, daily energy intake (p<.001)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However, daily protein intake (p<.001), daily carbohydrate intake (p<.001), and daily fat intake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3) After the weight-loss program, circumference of the left thigh, right thigh, and wai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4) Squats and bench press 1R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weight-loss program for both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4 week weight-loss program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n the body composition, body measurement, and strength for all the participa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lthough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creased protein intake during reduced caloric consumption was better at maintaining lean body mass than without increased protein intake.

      • 쌍둥이 연구를 통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계측치와 키, 몸무게, 체질량 지수의 유전적 연관성 고찰

        안은수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67

        쌍둥이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통한 두개 악안면 경조직의 유전율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쌍둥이 연구를 통한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이하 BMI)의 유전적 영향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연령, 사회환경, 인종학적 표본에 따라 유전율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한국인의 두개 악안면 경조직 유전율을 연구한 논문은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쌍둥이 연구를 통한 한국인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경조직 계측치와 키, 앉은키, 몸무게, BMI 등 신체계측치의 유전적 환경적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진행한 쌍둥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 중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상 모든 경조직 계측점이 측정 가능하며, 키, 앉은키, 몸무게의 신체계측치를 측정한 일란성 쌍둥이(이하 MZ) 36쌍, 이란성 쌍둥이(이하 DZ) 13쌍, 그리고 형제자매(이하 sibling) 26쌍을 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그룹 내의 표현형 일치도는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구하였으며, 구해진 상관계수(rmz, rdz, rsib)를 통하여 ACE model(A-additive genes, C-common environment, E-unique environment)을 이용한 유전율을 계산하였다. ICC 상관계수는 MZ, DZ간의 키를 제외하면 MZ 집단의 일치도가 DZ, sibling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ICC 상관계수로 구한 유전율에서는 하악의 수직적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와 관련된 수직적 계측치는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또, 두개안면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높은 유전율을 보였으며, 안면고경 길이 자체보다는 전안면고경의 비율인 N-ANS/ANS-Me과 ANS-Me/N-Me이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치아관련 계측치에서는 치아 자체와 관련된 변수들은 대체로 낮은 유전율을 보인 반면 Occlusal plane의 Mandibular plane, FH plane에 대한 수직적 위치의 경우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하악 관련 계측치 중 Gonial angle은 비교적 낮거나 중간정도의 유전율을 보였고, 후안면고경과 마찬가지로 하악지길이(ArGo) 또한 낮은 유전율을 보였다. 신체관련 계측치의 경우 BMI가 가장 높은 유전율을 보였고, 몸무게, 앉은키, 키 순으로 낮아졌다. 신체계측치와 두개악안면 계측치의 유전율을 비교하면, BMI는 하악의 수직적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와 같이 매우 높은 유전율을 보이는 계측치들과 비슷한 유전율을 보였으며, 몸무게는 약간 낮거나 중간 정도의 유전율을 보이는 두개악안면 계측치와 비슷한 유전율을 보였다.

      • 한국인 성인 손톱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김세훈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resent study consist of morphological analysis on the Korean fingernails in normal adults in their 20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 fingernail and hand for 20s Korean adults and compares with the result of past research. It presents difference of fingernail shape in Korean gender and finds out each fingernail shapes which have correlation with stature, weight, arm length and hand length.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gernail dimensions and other body part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110 people (52 males, 58 females) ranging in age from 18 to 41 who have no matter about measuring stature, weight, arm length, hand length and fingernail length. Each measurements were adapting two point distance between hand and finger landmarks on the picture. The hand picture was taken by flat bed scanner and the fingernail picture was digital SLR camera. All picture was taken with ruler(Martin's anthropometer) and use this, all data has been calib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change of nail shape, the fingernail length and width of Korean adults was measur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past reaearch. Also to reveal Korean body dimensions was related with fingernail dimensions, and each data was analysed by SAS correlation and regression proced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ize of fingernail length and width was increasing in comparison to the past results in 20s Korean adults. And that was outstanding in female. 2. There was a different fingernail and body siz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male appeared on a large scale from all dimensions. 3. Correlation of stature and fingernail dimensions, femal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but male h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4. Correlation of weight and fingernail dimensions, femal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ngernail width and weight. Male has no significant result but in terms of correlation of BMI and fingernail dimensions, not only female but also mal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ngernail width and BMI. 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stature with female's first fingernail length and width.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for both genders was found to be the best model with the highest values fo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4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gression model in male. A variety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nthropometric nail dimensions and their application to compare with other ethnic groups. It is the first research of measure fingernail and finds out it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ody dimen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making artificial fingernail, nail restoration surgery and nail implantation etc. And the regression model can be used also as the tool for personal identification of the mangled body in the forensic situation. Keywords : fingernail, somatometry, estimation stature, personal identification, forensic anatomy 본 연구는 20대 한국인 성인의 손톱의 치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과거의 연구와 비교하여 한국인 체형의 변화가 손톱의 형태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밝히며, 한국인 손톱형태의 남녀 차이를 제시하고 각 성별 손톱의 형태가 키와, 몸무게, 팔길이와 손길이 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더 나아가 손톱과 다른 신체 치수간의 회귀적 관계를 이용하여 추정식을 도출해 내고 그 타당성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키와, 몸무게, 팔의 치수와, 손의 치수 그리고 손톱의 측정에 문제가 없는 20대에서 40대까지의 연령층 중 남자 52명, 여자 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사전 동의 및 제한사항 확인을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본 측정에 임하게 하였다. 각 신체치수의 측정은 이미 정해진 표지점 위에서 측정하였고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숙련된 한 연구자가 시행하였다. 손은 평판스캐너로, 손톱은 copy stand를 이용한 사진촬영으로 각각의 사진을 얻은 뒤 이미지벡터프로그램으로 사진 상에 두 표지점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구하였으며 실측용 자와 함께 촬영하여 원래 길이와 계측된 값의 비율로 각 데이터를 교정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의 체형은 과거에 비해 현재에 키와 몸무게 등 그 체형이 증가하였고 손톱의 치수 역시 과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여자에서 그 변화가 더 컸다. 2. 신체치수 및 손톱의 크기는 남녀 간에 차이가 있으며 남자가 모든 치수에서 크게 나타났다. 3. 키와 손톱의 상관관계에서 여자는 손톱길이와 키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남자의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4. 몸무게와 손톱의 상관관계는 여자에서는 손톱너비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남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몸무게를 직접 반영하는 BMI와는 남녀 모두 손톱너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손톱크기를 이용한 키 및 신체치수의 추정식은 여자에서만 얻을 수 있었고 각 치수의 추정은 첫째손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한국인에서 키와 손톱의 크기가 가장 큰 값을 보이는 20대 성인의 손톱의 특징을 확인하고 민족 간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20대 성인의 손톱 표준치를 제시함으로써 개인별 특성에 맞는 인공손톱의 제작과 손톱 이식 혹은 재건 시 한국인 개인의 인체특성에 맞는 정확한 치수의 손톱형태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법의학적으로 훼손된 시체의 개인 식별을 위한 도구로 손톱치수를 이용한 회귀식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구미지역 유아들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혈액생화학지표 비교

        최정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of day-care center children according to obesity degree after analyzing anthropometric values, serum lipid concentrations, serum biochemical indices, liver function indices and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and classifying into obesity group and non-obesity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46 children of 4-6 year-old(boys 611, girls 535) of 37 day-care centers in 2005 and 1,112 children of 4-6 year-old(boys 602, girls 510) of 36 day-care centers in 2006 in Gumi, Kyungpook Province. 1. Analysis of the health status of day-care center children in the following age categories ① When mean height and weight in the following age categories were compared to Korean physical growth percentile chart of children, height of 4 year-old girls, weight of 4 year-old boys and girls, and weight of 6 year-old boys were in 50-75 percentile. And height of 4 year-old boys, 5 and 6 year-old boys and girls, and weight of 6 year-old girls were in 25-50 percentile. ② As they were older, triglyceride level and atherogenic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HDL-cholesterol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cholesterol level and LDL-cholesterol level according to age were not largely different. And mean hemoglobin, hematocrit, WBC and RBC concentrations, Mean Cell Volume(MCV), Mean Cell Hemoglobin(MCH), Mean Cell Hemoglobin Concentration(MCHC), serum GOT and GPT activity,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were all normal. ③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the obesity criteria and serum biochemical indic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DL-cholesterol level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of the both boys and girls(p<0.01). Among the obesity criteria, the highest correlation was between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 blood pressure. Plus,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among the obesity criteria, between the Obesity indices and the Kaup indices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ver 0.944-0.966 in both boys and girls(p<0.01). The Obesity indices, the Kaup indices, Weight-Length Index(WLI) had high correlations over 0.7 in both boys and girls(p<0.01). And the lowest was in between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the rest of the obesity criteria(p<0.01). 2. Analysis of the health status of day-care center children according to obesity degree ① Obesity prevalence rate according to standard of the Obesity indices, WLI, the Kaup Index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was as follows. Obese boys were 3.7% and obese girls were 3.4% according to the Obesity indices, obese boys were 6.8% and obese girls were 5.7% according to WLI, obese boys were 6.2% and obese girls were 3.6% according to the Kaup indices, obese boys were 6.3% and obese girls were 6.4% according to percentage of body fat. ② Regardless of sex, height, weight, diastolic blood pressure, percentage of body fat, the Kaup indices and the Obesity indices of the obesity group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non-obesity group. Waist-Hip Ratio(WHR) and systolic blood pressure of obesity group were higher in boys, not much different in girls. ③ Regardless of sex, total cholesterol level and triglyceride level of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LDL-cholesterol level and atherogenic index of th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but not much different in 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DL-cholesterol level between two groups regardless of sex. The mean serum lipid concentration, serum biochemical indices, GOT activity, GPT activity and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were all normal in both obesity and non-obesity group. The obesity criteria like the Obesity indices, the Kaup indices, the percentage of body fat, of day-care cente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06. The mean blood pressure, serum lipid concentrations, liver function indices and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of obesity group were normal and there was no risk of prevalence in hyperlipidemia, high blood pressure, fatty liver and diabetes mellitus, etc. This is considered that because they were young children. But obese children need to constantly control to be normal range because thei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much higher than non-obese children's even though their serum lipid concentrations are normal now. It is needed to constantly study about prevalence rate and factors of chronic disease involved in obesity at this point of time where children obesity is getting serious.

      • 음악과 움직임 프로그램이 신체계측 변화와 대퇴 근력 및 정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최유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연구는 음악과 움직임 프로그램이 신체계측 변화와 대퇴 근력 및 정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20-40대 건강한 성인 여성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대산소섭취량의 50-60%로 60분, 주 3회, 총 8주 동안 음악과 움직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허리둘레-신장 비에서 유의한 개선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시 근속도와 근파워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근지구력보다 근력에서 더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 안정성 측정 시 눈뜨고 외발서기와 눈감고 외발서기 모두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눈감고 외발서기에서 더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20-40대 건강한 성인 여성에게 음악과 움직임 프로그램은 복부지방을 감소시키고 대퇴사두근과 대퇴이두근의 근력 및 근지구력을 향상시키며, 정적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근비대와 근부하의 개선을 위해 운동 기간과 운동 강도를 더 증가시키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혈액투석환자의 영양상태 평가

        전수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1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환자들의 영양평가를 위하여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지표,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고 이들 지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신체계측 지표와 혈청 알부민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48명)는 남자 31명, 여자 17명으로 평균 연령은 60.2±10.9세, 평균 혈액투석 기간은 36.4±38.8개월, 원인 질환은 당뇨,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 IgA 신병증 등이었다. 2) 평균 BMI는 19.9±2.5로 대상자의 47.9%가 정상, 47.9%가 저체중, 4.2%가 비만으로 판정되었다. 한국 정상인 수치와 비교하여 5 percentile 미만이 TSF는 남자 0%, 여자 64.7%, MAMC는 남자 38.7%, 여자 29.4%이었다. 3) 혈청 알부민은 평균 4.0g/ dl로 정상 범위에 속하였으며 남녀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크레아티닌은 남자 9.4mg/ dl, 여자 8.3mg/ dl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값은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4) Kt/V 값은 남자 1.1, 여자 1.3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PRU는 평균 61.5%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총 열량 섭취량은 전체 평균 1413kcal, 남자 1503kcal, 여자 1248kcal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대한 열량 섭취 비율은 평균 66.4%로 매우 낮았다. 이상체중당 열량,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평균 24.3kcal/ kg IBW, 0.9g/ kg IBW이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열량비는 62 : 15 : 21이었다. 칼슘, 칼륨,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섭취량은 부족한 상태이었고, 인, 나트륨, 비타민 C의 경우 섭취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체질량지수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두 군간 혈청 알부민 농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열량, 지방, 탄수화물, 칼슘, 인, 철, 나트륨, 비타민 B_1 섭취량은 Ⅱ(BMI≥20)군이 Ⅰ(BMI<20)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7) 혈청 알부민 4.0g/ dl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구분하여 신체계측 지표, 생화학적 지표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성별, 나이, 혈액투석 기간, 투석 중에 소실되는 초여과량(ultrafiltration volume, UF), Kt/V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생화학적 지표 중 혈청 총 단백질은 알부민치가 높은 군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영양소 섭취량은 알부민치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8) SGA에 따라 대상자를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성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고령에서 SGA 결과가 나빴다. 투석 기간, Kt/V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GA 결과가 좋을수록 BMI, PIBW, TSF, MAC, MAMC, cAMA 및 혈청알부민, 크레아티닌, 인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9) MAMC, cAMA는 혈청 알부민 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체중은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인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PIBW는 탄수화물, 나트륨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BMI는 열량, 탄수화물, 칼슘, 나트륨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MAC는 탄수화물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MAMC는 열량, 탄수화물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cAMA는 열량, 탄수화물, 비타민 C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청 총 단백질은 비타민 C 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혈청 중성지방은 비타민 A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철분, 나트륨, 비타민 A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10) 체중과 혈청 알부민 농도에 의해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면, marasmus type malnutrition 4명, moderate malnutrition 1명, mild malnutrition 16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43.7%가 영양불량상태에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utritional status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parameters and the nutrient intakes. Anthropo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arameters and dietary intake were measured in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48 (male 31, female 17).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0.2±10.9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n hemodialysis was 36.4±38.8 months. Mean BMI was 19.9±2.5kg/ m^2. By BMI, 47.9% of the subjects were normal, 47.9% were underweight and 4.2% were obese. TSF and MAM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ubjects compared the average Korean elderly. The mean albumin level of the subjects was 4.0g/ d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he serum creatinine levels of the male and female were 9.4mg/ dl and 8.3mg/ dl,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Mean daily energy intakes and RDA percentage of energy intakes of the male and female subjcets were estimated as 1503kcal(67.2%) and 1248kcal (65.1%), respectively.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calcium, potassium,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and niacin were below RD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BMI and the level of serum albumin. Their nutritional parameters and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witheach other. Based on BM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fat, carbohydrate,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and vitamin B_1 intake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total protein between two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serum albumin. By serum albumin level, the group with high levels of albumin showed higher nutrient intakes than the other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Nutritional status was classified into well nourished(A), mild to moderate malnutrition(B), and severe malnutrition(C) by using SG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hemodialysis duration, Kt/V, BMI, PIBW, TSF, MAC, MAMC, cAMA, serum albumin, creatinine and phosphorus levels among the groups. MAMC and cAM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albumin levels,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energy, carbohydrate, protein, phosphorus intakes, PIBW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bohydrate, sodium intakes,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energy, carbohydrate, calcium, sodium intakes, MA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bohydrate intakes, MAM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energy, carbohydrate intakes, and cAM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energy, carbohydrate, vitamin C intakes. Whe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was evaluated by weight and serum albumin level, 43.7% of them showed malnutr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