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병무행정에 대한 정부신뢰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진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increase of uncertainty which has been caused by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decentralization, etc demands new changes in the relation between an established government and citizens. In this reason, recently many researchers who study variety of fields such as economics, psychology, sociology, etc pay attention to the trust as social capital. However, though the trust is such an important fact in this field, Fukuyama(1995) prescribed that Korea is a low-trust country at cultural level and according to the today's papers made in Korea, the trust level of government is low and the scale is lower than ordinary trust in the relation between people.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MMA) is also har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by the unilateral and controled administrative activities likewise the past days. The MMA has to find the possible method by the enlarg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MMA and citizens based on mutual trusts.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Military Manpower Service of Korea, it is significant meaning to research the citizens' trust in the Military Manpower Servic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valuating the trust level in the MMA and finding out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trust in the MMA. To achieve this goal, in charter Ⅱ, the concept of trust in MMA is defined by establishing the multi-dimensional concepts of trust through the theological debate. In addition, the facts influence on the trust are formulated by the pre-studies. In charter Ⅲ, by the method of research design, 18 influencing factors are chosen after dividing all possible influencing factors into the statistics of population and social factor, the trustor factor and the trustee factor by considering the feature and role of MMA. After that, the questionnaire is designed with the 18 factors are selected as each item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empirical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was used the Likert's 5 points scale and a survey was executed to the adult male and female persons over 20 years old who live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460 copies among the 470 copies of whol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recalled, and among them 454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paper.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the gathered materials which were executed reliability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2.0. The conclusions obtained by these analyses are mentioned below. First, the trust of the MMA was marked 2.96 in the 5th scale. This score can be considered as low level in general, and it is even lower than 3.15, people's general trust level toward others. This result corresponds with the result of the pre-study that the trust level of government is lower than general trust level between people. Second, different from other government trust, the trustor factors such as a tendency of individuals' trust, an income level, ages, sex, etc and social statistical factors do not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trust in the MMA. Instead, it is investigated that only the recognition in necessity of Military Service shows significant influence within the 5%(p<0.05) of significance level. Third, in the aspect of the trustee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he kindness of the employees in MMA, and the integrity is followed as the second influential factor. At the point of service procedure factors, fairness, clarity, and the convenience are influenced most in order. Among them, the ß-value of fairness is recorded 0.273, and this means the faieness influences most on the trust among the whole independent factors. This paper shows that the trust in the MMA is lower than the trust toward other people. In some cases, this result corresponds with the results of pre-studies that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in Korean society is lower than the trust toward other people. However,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trust to the MMA is a lot different from the conclusion of pre-researches. In other words, more than other factors, fairness influences most, and almost all of the other trustor factors can't influence on the trust in the MMA except for the utility factor of military service. However, the method of sampling and the selection of variables in this paper were limited in some points. In addition, some responders didn't show any interest in MMA or military manpower service, and various aspects of military manpower policies were not studied either. In following survey, the military manpower policies that can overcome above limitations should be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trust in MMA. 세계화, 정보화, 분권화 등으로 인하여 나타난 불확실성의 증대는 기존의 정부와 국민과의 관계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경제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맥락에서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듯 신뢰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Fukuyama(1995)는 한국을 문화적 차원에서 저신뢰 사회로 규정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보았을 때도 한국에서의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수준이 매우 낮으며 그 수치가 일반적인 대인신뢰 수준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병무청 또한 다른 정부 기관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과거의 일방적이고 통제적인 정부활동으로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신뢰를 기본으로 한, 병무청과 국민의 상호작용의 확대를 통해 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 병무행정의 발전을 위해서는 병무행정에 대한 국민의 정부신뢰 연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무청에 대한 신뢰수준을 측정하고, 병무청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장에서는 신뢰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신뢰의 다차원적 개념을 정리하여 병무청에 대한 신뢰 개념을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조사설계를 통하여 병무청의 특성과 역할을 고려하여 병무청에 대한 신뢰의 영향요인을 인구통계?사회적 요인, 신뢰자 요인, 피신뢰자 요인으로 구분하여 18개를 선정하여 이를 독립변수의 각 항목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이것을 분석하고, 제 5장을 통하여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는 Likert식 5점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남녀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70부를 배부하여 466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에서 454부를 본 연구를 위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병무청에 대한 신뢰는 5점 척도에서 2.96으로 보통 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일반적인 타인에 대한 신뢰 수준이 3.15 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타인에 대한 신뢰보다도 정부신뢰가 낮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둘째, 다른 정부신뢰와 달리 개인의 신뢰성향이나 소득수준, 연령, 성별 등 신뢰자 요인 및 인구?사회 통계학적 요인이 병무청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군복무의 유용성 인식만이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피신뢰자 요인 측면에서는 병무청 공무원의 배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청렴 순으로 나타났다. 병무행정 절차의 측면에서는 공정성?투명성?편리성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 중에서 공정성 요인은 베타값이 0.273으로 전체 독립변수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병무청신뢰가 일반적인 타인에 대한 신뢰보다도 낮았다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는 한국사회에서 정부신뢰가 낮으며, 이는 타인에 대한 신뢰보다 낮다는 기존연구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병무청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기존연구와 많이 상이하였다. 즉, 어떤 요인보다도 공정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군복무 경험에 대한 유용성 요인을 제외한 신뢰자 요인 대부분이 병무청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표본대상의 선정, 변수 선정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병무청이나 병무행정에 무관심한 사람들이 일부 설문에 응하였던 점, 여러 병역정책적인 측면을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후속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여 병무청신뢰를 높일 수 있는 병역정책적인 측면까지 연구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팀장의 리더십 유형이 신뢰 및 팀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박종표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경기도에 근무하는 팀장급 이하의 공무원 중 조직 내 팀장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팀원의 신뢰(계산기반 신뢰, 지식기반 신뢰, 동일화기반 신뢰)와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팀장의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신뢰의 조절효과를 탐색 해 보는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지는 총 1,129부를 배포하여, 723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무효 응답 수 98부를 제외하고, 총 625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성검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고,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신뢰의 제 요인 대부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장에 대한 신뢰가 팀 유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적 행동과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동일화기반 신뢰가, 조직 몰입에 대해서는 지식기반 신뢰가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공조직에 관한 타 연구와는 달리 거래적 리더십도 팀 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나 현장적용이 공조직에서는 타 분야에 비해 많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공조직에서도 팀장의 변혁적ㆍ거래적 리더십이 유용하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리더십 연구와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leadership of team leader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trust of team members includ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and also the moderating role of the trust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tal 1,129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bordinate officials in Gyeonggi province and collected back 723 copies. Using 625 samples excluding ineffective on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with Cronbach's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lso did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hypothe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leadership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most team leaders' trust level. Second, the team leaders' trust level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tea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identification-based trust has shown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innovative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nd also knowledge-based trust influenced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ransactional leadership in the public organization also influenced on the tea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results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has found even in the public organization give a goo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 아시아에서의 정부신뢰의 근원 : 다수준 분석

        배정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아시아 국가의 시민들의 정부신뢰 수준을 알아보고 정부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AiaBarometer Survey 15개국을 대상으로 다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민의 정부신뢰를 모색하기 위해 행정부신뢰 문항으로 측정되는 행정부신뢰, 정치적 성격이 두드러지며 정책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행정부와 입법부에 대한 신뢰, 마지막으로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를 포함한 정부제도신뢰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시아의 정부신뢰(행정부신뢰, 행정·입법부신뢰, 정부제도신뢰)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가 높은 수준의 정부신뢰를 보여주고 있으며 한국, 일본, 대만이 가장 낮은 수준의 정부신뢰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 결과는 경쟁적 이론인 제도성과론과 사회문화론 모두 정부신뢰의 근원을 설명하는 이론임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러나 사회문화론에서 도출된 신뢰자 중심의 가치관과 성향은 제도성과론에서 도출된 신뢰대상 중심의 정부성과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작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시아 국가의 시민은 정부성과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정부를 더 신뢰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경제문제 해결능력으로 측정한 경제적 성과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전통주의와 후기물질주의가치, 주관적 안녕은 시민 자신의 가치관과 성향으로 정부를 평가하는 기준과 정부에 대한 기대가 달라진다. 전통주의를 추구할수록, 주관적 안녕에 만족하여 긍정적인 정서가 높을수록 정부를 신뢰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후기물질주의 가치를 추구할수록 정부신뢰는 낮아지고 있다. 개인의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국가변수로는 경제성장률과 사회신뢰가 공통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정부신뢰가 낮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이는 발전국가나 경제수준이 낮은 아시아 국가는 경제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의 노력보다는 경제성장 그 이면에 있는 부정적인 측면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회신뢰가 높은 국가에서는 사회신뢰의 파급효과로 정부신뢰가 높아진다는 이론적 가정과는 다르게 사회신뢰가 높은 국가일수록 낮은 정부신뢰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회신뢰가 정부신뢰로 이어지는 누출효과 대신 정부를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의 신장으로 정부신뢰가 낮아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시도한 다수준 분석의 결과는 정부신뢰에 관한 기존 연구가 갖고 있었던 자료의 제약과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에 가장 중요한 함의를 둘 수 있다. 개인수준의 변수와 국가수준의 변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다수준 모형을 통해 정부신뢰를 설명하는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비교하고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정부신뢰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론적 가정에 대한 실증적 검증은 정부신뢰에 대한 기존 이론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경쟁적인 제도성과론과 사회문화론으로부터 정부신뢰의 근원을 동시에 모색한 것과 두 이론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 호텔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신뢰, 의무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중국호텔과 한국호텔직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흥복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n felt obligation(FO),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OC),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ed effect of employees nationality on these causal relationship. A sample of 285 employees from 12 four and five star hotels in China and Korea have been us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sing, it was concluded as follow: First, POS had a significant relations with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s, in particular, it showed higher trust in organization. Also, POS was significant i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tinu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elt obligation. Second, the analyse result showed that trust in organ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ntinu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rust in supervisors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 not effect on continu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indicated the effect of POS on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moderated by employees nationality.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we recognized that China employees are more sensitive than Korea employees i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ason may be summarize as follow, the contemporary history of hospitality industry in China has just only about 20years, th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not be formed directly. the employees conscious of organization are limited by the status of hospitality development. Based on such analytical result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employers of hotel should recognize that organized support for employees can contribute to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thod can be defined as hotel should show more care about employees and improve their confidence on the job. Second, hotel employers should try to improve trust, trustful culture can be formed among employees. Third, communication must be emphasized among organization, supervisor and employees. Fourth, the organization should also taking a serious view of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s, because employees always thinking supervisors act as representatives of the organization. Finally, after analysing between China and Korea, it showed that hotel employers of Chin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will influence on the employees directly. in addition, the education level of China employees also should be improved to follow internationalization.

      • 친환경 식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의 영향요인이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소비자들의 친환경 식품에 대한 관심은 특히 광우병, 조류독감, 구제역 등 다양한 먹을거리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욕구와 함께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소비자의 변화는 친환경 식품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식품 구매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식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신뢰가 소비자의 구매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신뢰를 다차원성에 맞추어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대상별 신뢰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친환경 식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의 요인들의 정의와 신뢰 및 구매의도에 그들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이들 개념들 간의 관계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지 기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통계처리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LISREL 8.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들 개념들 간의 관계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지 기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5개의 가설 중 13개의 가설이 채택되고 2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첫째, 소비자 신뢰의 영향요인의 판매원 전문성과 인증마크는 판매점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판매점 평판과 가격공정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소비자 신뢰의 영향요인의 판매원 전문성, 판매점 평판, 가격공정성, 인증마크는 제품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 신뢰의 영향요인의 판매원 전문성, 판매점 평판, 가격공정성, 인증마크는 판매점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소비자 신뢰의 하위차원인 판매원 신뢰, 제품 신뢰, 판매점 신뢰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친환경 식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의 선행변수와 결과 변수의 관계를 검토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논문이 지닌 한계점으로 인하여 향후 연구를 촉발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Nowadays, as many different food-related problems such as mad cow disease, bird flu, and food and mouth disease have occurred,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foods have become keener and their needs for safe food have been also increasing rapidly. This kind of consumers’ change is arousing attention to environment-friendly foods, which is triggering research on factors related with buy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fidence having significant meaning in consumers when buy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on their buying process more concretely and investigate confidence in multidimensional aspect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is going to examine confidence with different subjects in detail, the definitions of consumer confidence factors rel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s, and their effects on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 used a LISTEL 8.70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Along with that, based on the relations among those concepts, this author designs a study model and draws hypotheses, and also, collects data with a questionnaire method and processes those data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es, among total 15 hypotheses, 13 hypotheses have been adopted, and 2 hypotheses have been dismissed. First, among consumer trust factors, salesperson expertise and certification mark had a positive effects on store trust. However, salesperson reputation and price fairness had not significant effects. Second, among consumer trust factors, salesperson expertise, salesperson reputation, price fairness, and certification mark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 trust. Third, among consumer trust factors, salesperson expertise, salesperson reputation, price fairness, and certification mark had positive effects on store trust. Fourth, such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consumer trust as salesperson trust, product trust, and store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consumer trust’s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but it still exhibits several limitations. Therefore,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분산 A에 대한 수정 Howe 신뢰구간의 근사도에 대한 연구 (1인자 분산구성모형에서)

        이재용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분산 A에 대한 수정 Howe 신뢰구간의 근사도에 대한 비교연구 (1인자 분산구성모형에서) A Study on the Approximate Precision of Modified Howe's Confidence Intervals for Variance A (in One-Factor Components Variance Model) 수학교육전공 이 재 용 지 도 교 수 강 관 중 이 논문에서는 1인자 분산구성모형에서 Howe 근사방법을 사용한 선행연구자의 에 대한 신뢰구간의 연구결과를 조사비교하여 그 신뢰구간을 수정하여 보다 더 좋은 신뢰구간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에 대한 수정 Howe 신뢰구간이 Howe 신뢰구간 보다 더 좋은 신뢰구간임을 보이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논문이다. 변량모형 에서 이고 이며, 를 인 분포라 하고 를 인 분포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합분산 꼴들이 생긴다. 여기서 은 급내 평균제곱이고 은 급간 평균제곱이다. 확률변수 는 관측 가능한 확률변수이고 와 는 독립 관측 불가능한 결합정규분포이다. 와 , 는 관측 불가능한 변수이다. 또, 모수 공간 는 와 에 의해 정의하면 이다. 이 모형에 대한 선행연구자들의 신뢰구간들이 대부분 근사 신뢰구간이기 때문에 이 신뢰계수가 에 꼭 맞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 중에서 Howe의 신뢰구간의 신뢰계수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하위 신뢰구간의 폭이 너무 넓고, 실험횟수가 너무 커서 신뢰구간으로 사용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이 신뢰구간을 수정하여 새로운 신뢰구간을 제안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Howe 방법에 사용한 신뢰구간에서 1) 변수 대신에 로 변환하고 2) 신뢰구간의 폭이 넓은 하위 신뢰구간은 다시 수정한 수정 Howe 신뢰구간을 Howe 신뢰구간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정 Howe 신뢰구간의 신뢰계수가 Howe 신뢰구간의 신뢰계수보다 더 좋아져서 수정 신뢰구간의 신뢰도가 더 좋아졌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신뢰구간도 크게 개선되었다. 2. 변수 를 로 바꾼 수정 Howe 신뢰구간은 실험횟수 를 보다 더 줄일 수 있었고 이때 어떤 적당한 상수 를 잡으면 실험횟수가 으로 실제 실험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지고 그 때 원하는 신뢰계수를 찾을 수 있다. 3. 하위 신뢰구간은 신뢰구간의 폭이 너무 넓어 재수정하여 더 좋은 신뢰구간을 얻었다. 4. 이 실험은 통계패키지 SAS 9.1를 사용하였다. 또, 실험의 난해성 때문에 에서만 실험하였는데 0~10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 생각되고,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도 비슷한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신뢰계수, 수정 신뢰구간, 1인자 분산구성모형.

      • 항노화 상품 신뢰형성요인 발굴 및 척도 개발을 통한 신뢰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맹지혜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COVID-19 팬데믹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MZ세대와 액티브 시니어가 세계 소비시장에서 시장을 주도할 소비 주체로서 급부상하고 있다. 실용성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MZ세대들은 과거 ‘효도상품’으로 여겨졌던 항노화 상품에 대해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는 소비 특성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으며 이들은 항노화 상품 소비 현상을 SNS 등에 올려 인증하는 것을 즐기고 있다. 또한 액티브 시니어들은 건강하게 천천히 늙어가는 ‘건강 노화(Healthy ageing)’를 추구하고 있어 건강수명의 연장으로 사회적·개인적 생명 연장 및 의료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동아일보, 2022). 이처럼 시간적·경제적 여유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소비생활과 여가를 즐기는 특징을 지닌 소비 주체의 시장 주도는 항노화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IMARC그룹(2021)의 ‘세계 항노화시장 예측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항노화 시장은 2026년까지 883억 달러에 이르고 2021년부터 7년간 7.10%의 CAGR(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2)에 따르면, 2019년 대비 국내 항노화 식품의 매출액 증감률이 18.3%로 가장 높았으며, 항노화 의료기기 제조업이 15.8%, 항노화 의약품 제조업이 12.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제조업의 성장세를 볼 때, COVID-19 팬데믹 영향 및 상품배송시스템의 진화로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항노화 상품 소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구매력을 갖춘 액티브 시니어와 건강에 대한 투자, 자신을 위한 소비를 아끼지 않는 MZ세대가 항노화 시장의 큰 손으로 등장하면서 항노화 상품 소비 증가로 국내 항노화 산업 또한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식품, 건강, 뷰티 등 다양한 항노화 상품의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전 연령대의 공감을 이끌기 위한 항노화 상품 브랜드들의 움직임 또한 활발하다. 한편, 항노화 산업을 견인하는 MZ세대와 액티브 시니어가 등장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다소 무분별하게 전개되는 항노화 상품 개발 및 마케팅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마케터는 소비자들의 심도 있는 항노화 상품 선택과 올바른 소비를 위해 다각적으로 항노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항노화 상품은 건강관련 전문품으로서 제품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인증이 확보되어야 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 위한 맞춤형 마케팅 활동이 절실하다. 본 연구자는 경상남도 내 항노화 산업 육성기관에서 항노화 산업 문제해결을 위해 관련 정책을 연구하고, 항노화 기업지원을 위한 신규사업을 기획하는 등 도내 항노화 산업 육성과 항노화 기업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실무과정에서 국내 항노화 기업에서 생산되는 우수한 항노화 상품들이 시장에서 품질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항노화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구매심리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신뢰’요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대다수의 소비자는 신뢰를 기반으로 항노화 상품을 구매 또는 재구매를 하게 되는데, 신뢰요인은 선행요인인 ‘신뢰형성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박철, 2002). 또한 신뢰요인은 후행변수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유일·최혁라, 2003; 장형유, 2006; 천덕희·이현주, 2012).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항노화 상품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항노화 시장에서 우수한 항노화 상품들이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항노화 상품의 신뢰 구축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신뢰형성요인을 추가로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척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항노화 식품의 경우 ‘식품 위생 및 안전에 관한 규정’에 근거하여 항노화 상품을 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해서는 위생관련 인증을 확보해야 한다. 위생관련 인증은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인증으로 정부 및 전문기관에서 공인을 받아야 한다. 공인된 기관의 인증에는 HACCP 인증, FDA 인증 등이 있다. 또한, 항노화 상품은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하여 사용된 기능성 원료의 효능, 영양·기능정보, 섭취방법 및 보관방법, 제조원 등에 대한 정보도 소비자에게 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노화 상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신뢰형성요인으로 ‘공인된 인증’과 ‘제품정보’를 선정하여 신뢰형성요인의 척도 개발의 연구 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척도 개발 과정을 통해 척도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척도는 ‘공인된 인증’ 요인과 ‘제품정보’ 요인이며, 척도 개발 후 실증적 검증을 위해 결과변수인 신뢰와 구매의도 그리고 조절변수인 항노화 관여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을 탐색하였고, Roland Barthes와 Saussure의 통합적 의미 분석과정을 활용하고자 BIG KINDS에서 기사화된 메시지를 2차 분석하여 각각 측정변수 9개를 도출하였으며 측정문항을 정제하여 각각 4문항을 실증적 검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연구 목적에 근거하여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항노화 상품을 소비하거나 향후 소비할 계층을 대상으로 총 289부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학술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신뢰형성요인으로 새롭게 발굴하고 척도 개발한 ‘공인된 인증’, ‘제품정보’, 기 개발된 척도인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인지도’, ‘맞춤화’가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형성요인 중 새롭게 척도 개발한 ‘공인된 인증’과 ‘제품정보’는 공신력 있는 국가 인증기관으로부터 소비자에게 안전한 항노화 상품 생산과 유통, 소비과정에서 정해진 규정에 근거하여 인증된 제도의 확보 여부, 원료명, 함량, 섭취량 및 섭취방법, 영양·기능정보, 보관방법 등으로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 중 하나인 ‘지각된 평판’은 항노화 상품 및 기업에 대한 신뢰와 존중 그리고 칭찬의 정도를 의미하나, 이는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좋은 평판보다는 항노화 상품 그 자체, 상품의 구성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제품정보 및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받은 인증 등이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항노화 산업과 같은 특수한 산업분야가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 항노화 상품의 품질을 소비자가 지각하게 하고,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고객 맞춤의 상품 생산에 주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품 생산 및 유통 전 단계에서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고, 소비자가 알고자 하는 제품정보를 누락없이 정확하게 기재하여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구축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셋째, 항노화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신뢰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앞서 개발한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을 통해 항노화 상품에 구축된 신뢰는 결과변수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항노화 상품에 대한 신뢰와 정직성, 상품에 대한 안심 정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소비자는 항노화 상품에 대한 긍정적 구전과 추천 그리고 지속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넷째, 소비자의 항노화 관여도는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과 신뢰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노화 정도에 있어 관심도가 저관여된 소비자의 경우, 항노화 상품을 신뢰함에 있어 공인된 기관의 인증을 통해서만 항노화 상품에 대한 신뢰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항노화 정도에 있어 관심도가 고관여된 소비자의 경우, 항노화 상품에 집중하여 그 상품에 따른 지각된 품질, 브랜드의 인지도, 제품정보를 통해 항노화 상품에 대한 신뢰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각된 평판이나 맞춤화 정도는 신뢰형성요인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지각된 평판의 경우, 소비자는 기업 또는 제품의 평판보다는 효과가 검증된 제품을 소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서 비롯되어 기각된 것으로 판단되고, 맞춤화 정도의 경우, 시장에 출시된 항노화 상품의 대부분이 개인 맞춤형 상품 판매 수준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기각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항노화 상품에 대한 신뢰형성요인과 구매의도 간에 신뢰의 매개효과는 표준화된 간접효과 값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 중 새롭게 발굴한 공인된 인증과 제품정보의 매개효과가 기존의 신뢰형성요인 척도와 더불어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 발굴과 척도 개발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노화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과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은 오픈서베이(2019)에 따르면, 항노화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70%가 상품 구매 시 상품 성분 등과 같은 제품정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 생산과 충분한 제품정보를 필수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항노화 제품뿐만 아니라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가 2020년 12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과학적 근거를 갖춘 제품에 한하여 공인된 기관으로부터의 인증마크와 기능성 문구 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항노화 상품의 성장가능성과 고부가가치산업으로서 시장 진입에 도움을 주고, 제품개발에 필요한 비용와 연구기간의 노고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 작용되기도 한다(경남일보, 2022). 둘째, 소비자가 다양한 유통채널 가운데 효율적인 비즈 채널인 온라인 채널을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항노화 상품의 온라인 마케팅을 활성화하고 해당 채널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언텍트(Untact) 시대에 맞춰 제품의 소분화, 상품 디자인과 포장의 고급화 등에 투자할 필요성 있다. 셋째, 항노화 시장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영위하기 위해 항노화 기업은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기 위한 노력과 전문인력 육성에 힘써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항노화 기업의 대다수가 영세하지만, 관련 시장의 급속한 성장세 등을 고려할 때, 기업의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넷째, 국내 항노화 기업을 육성하고 견인하기 위해 중앙부처와 유관기관의 노력이 필요하다. 항노화 산업 선도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역 내 항노화 기업지원이 가능한 기관의 긴밀한 협조 관계를 유지하여 R&D 지원(기술개발, 제품생산, 기술이전, 애로기술 컨설팅 등)과 사업화 지원(마케팅 컨설팅, 판로개척, 투자확대 등)을 위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항노화 기업맞춤형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공인된 인증’, ‘제품정보’ 요인을 발굴하고 척도를 개발했으나,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가로 발굴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으로 발굴하고 척도로 개발한 ‘공인된 인증’, ‘제품정보’와 기 개발된 ‘지각된 품질’, ‘지각된 평판’, ‘브랜드인지도’, ‘맞춤화’는 다양한 항노화 상품군 중 소비자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항노화 식품과 항노화 화장품에 중심의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한계가 있다. 항노화 상품군에는 항노화 화장품, 항노화 의약품, 항노화 의료기기 등이 있는데 이와 관련된 신뢰형성요인 발굴과 척도 개발 연구를 진행해볼 필요성이 있다. 향후 본 연구자는 항노화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인을 대상으로 항노화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업지원 방향 등에 대한 IPA 기반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항노화 산업의 현안인식과 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항노화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연구를 이어가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is an outcome variable, was empirically verified by discovering the trust-forming factors of anti-aging products and developing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rust-forming factors such as perceived quality, perceived reputation, brand recognition, and customization, a newly discovered factors are 'accredited certific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Since the anti-aging industry in Korea is an industry that directly affects consumer health, it was determined that the existing trust-forming factors had limitations in building consumer trust, need new measure was discovered. Finally discoverd new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anti-aging product consumers and analyzed the solidity and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quality, brand recognition, customization, accredited certific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anti-aging product trust-forming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rust, and perceived reput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trust appeared to affec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effect betwee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the trailing variables. This study proved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rust-forming factors and trust by strategically developing and empirically and examining meaningful and effective trust-forming factors and measurement item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ether the degree of anti-aging interest was controlled.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interest in the degree of anti-aging, it was confirmed that trust in anti-aging products is formed only through the certification of authorized institutions in trusting anti-aging products. On the one hand,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who are very interested in the degree of anti-aging were trusted through perceived quality, brand awareness, and product information in anti-aging product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anti-aging products in the future by discovering key factors for forming trust that are important for marketing in the anti-aging industry.

      • 부패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계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제적 차원에서 중국 정부의 신뢰성 수준은 비교적 앞선 위치에 처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발전 상황으로 볼 때 이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국가의 생사존망은 부정부패를 맞서는 것에 달려 있다. 정부 신뢰성의 각도로 볼 때 부정부패를 맞서는 것과 정부 신뢰성 간 상관의 존재 여부는 아직 검증이 필요한 상태이다. 대학생 72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대학생이 정부 신뢰성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적극적인 편이다. 최근 몇 년 동안의 반부패조치도 대학생들의 긍정을 받았다. 다방면의 결과로 볼 때 관원들의 기풍 및 반부패의 강도는 정부 신뢰성 수준에 대해 적극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경로분석결과도 관원들의 일하는 태도와 반부패강도가 정부 신뢰성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관원들의 기풍이 개선함에 따라 정부의 대응능력을 높일 수 있고 대학생들이 부패에 대한 감지 수준을 낮출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대학생들이 정부에 대한 신뢰성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반부패의 강도가 정부 신뢰성에 대해 미치는 영향도 이러하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반부패의 강도가 정부 신뢰성 수준에 대한 영향이 쌍방향이라는 것이다. 반부패의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반면 대학생들이 관원들의 기풍에 대한 평가를 낮출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대학생들이 부패에 대한 감지 수준을 높이고 정부의 대응성을 낮추며 정부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외에 빈부차이, 관원기풍, 사회적 공평성 및 사회적 신뢰성도 대학생이 정부에 대한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기풍을 개선하고 가장 유력한 반부패를 위주로 하는 것이 정부 신뢰성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부패가 정부 신뢰성 수준에 대한 파괴적 영향을 볼 때 이번 연구는 이하 관점을 지적하고 있다. 민중들이 정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하락하는 현황을 방지하는 동시에 집권의 합법성 및 정권의 안정성을 튼튼히 하려면 반드시 부패를 대대적으로 처벌하고 정부관원들의 부패행위를 엄격히 처벌 및 방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함으로서 민중들의 부패감지 수준을 낮추고 정부의 정치신뢰성 수준을 높일 수 있다. At present, the level of China's political trust level is in a leading position among the world, but in the domestic situation, public's political trust is in a declining trend. Based on high degree of corruption is related to the survival of the ruling party and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govenment trust, it is still waiting to be empirical tested that whether anti-corruption ac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overnment trust. We made a questionnaire survey for 729 college student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college students have a relative strong sense of trusting in government. Most college students have a positive comment on the measures and effect of anti-corruption.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style of cadres, public awareness of corruption and intensity of anti-corrup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llege students' trust of government. Path analysis confirmed the officials working style and anti-corruption effor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overnment trust: improving the officials working style can enhance the government responds, lower level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orruption and then promoving the government credibility level of college students: anti-corruption efforts is the same as officials working styl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impact of anti-corruption efforts of the government trust is a two-way, intensify anti-corruption efforts in enhancing trust in government, it would also reduce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work style of officials, and then increasing the level of perceived corruption of college students, weakened government responsiveness eventually have a negative impact on trust in government. In addition,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bureaucratic atmosphere, a sense of social justice and social trust also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students trust in government. These finding indicate that: the construction of a clean and honest administration focused on the style and strong anti-corruption currently can significantly affect on college students' trust toward to government. Due to the devastating effects of corruption on political trust, the study points out that it is necessary to vigorously punish corru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s political trust in government institutions, to save the decline of political trust, to consolidate the legitimacy of the ruling and the stability of the regime, Severely punish corrupt officials and eliminate government officials corruption in order to reduce public awareness of corruption in government agencies, improve political trust.

      •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수현 서경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조사를 하고 그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조직신뢰의 개념과 중요성 및 결정요인에 관한 문헌을 검토한 후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을 절차적 공정성,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공동체의식의 세가지로 보고 관료적 역기능과 관련하여 관료주의를 조직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조직신뢰는 상급자, 최고관리자, 동료에 대한 신뢰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표본은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에 속한 기업의 종업원 357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신뢰에는 개방적 커뮤니케이션과 절차공정성의 두 가지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최고관리자에 대한 신뢰에는 개방적 커뮤니케이션과 절차 공정성이, 상급자에 대한 신뢰에는 개방적 커뮤니케이션과 공동체 의식이, 동료에 대한 신뢰에는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이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우선 본 조사를 통해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방적 커 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뢰란 저절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조직풍토를 조성하려는 사려 깊은 노력의 결과로 주어진다는 사실을 경영자들은 인식해야 한다. 절차공정성 또한 조직신뢰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직신뢰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결정과 집행이 원칙과 절차에 따라 예외없이 일관성있게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당사자의 의견을 고려함으로써 조직신뢰가 높아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조직신뢰에 공동체 의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조직내에서 소외감이나 차별을 느끼는 사람이 없고 소수집단에서 특혜나 특권이 집중되는 폐단이 제거될 때 조직신뢰는 높아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rust in organization and to suggest its consequential implications. The literatures about concepts, significance and determinants of trust in organization are reviewed, and then procedural fairness, open communication, sense of community are considered as trust-building factors in organization. Red tape associated with bureaucratic disfunction is regarded as a factor weakening trust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 Trust of organization is defined as trust for superior, top management and peer.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357 employee from 6 companie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pen communication and procedural fairness a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overall trust in organization. Open communication and procedural fairness also a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trust for top managemen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trust for superior are proved to be open communication and sense of community. Open communication is als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trust for peer in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open communication is of very significance for trust in organization. Therefore there must be a recognition on the part of managers that trust does not come naturally, but has to be carefully managed through building of open communication 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fairness of organizational procedure has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organization. For trust building in organization, there must be consistency and no exception in organizational policy making and execution according to principles and procedure, and opinion of parties concerned is considered as input to policy making. The result showed that sense of community is of significance for trust in organization. In order to strengthen trust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 there must be no person feeling sense of alienation or discrimination in organization, and any privilege or favor for some group are to be eliminated.

      • 신뢰와 지각된 위험이 인터넷 뱅킹의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선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터넷 및 인터넷 뱅킹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도, 인터넷 뱅킹의 사용과 같이 거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인터넷 뱅킹의 채택에 소극적일 수 있다. 이렇듯 인터넷 뱅킹을 기피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첫째, 인터넷을 통해 금융 거래를 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risk)에 대한 인식(perception)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은 거래가 잘못될 확률(probability of risk)과 잘못된 결과에 따른 손실의 크기(size of loss) 모두를 포함하며, 고객의 의사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인터넷이라는 전자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해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web merchant)에 대한 신뢰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거래 매체로서 전자적 채널(e.g.인터넷)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 뱅킹을 제공하는 은행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뱅킹의 환경 안에서 신뢰와 지각된 위험이 신뢰 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지각된 위험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또한 신뢰 행위와 지각된 위험에 신뢰 성향, 위험 성향, 상대적 이점 등의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밝혀 보았다. 특히, 지각된 위험을 두 가지 구성 요소(위험크기, 위험확률)로 구분하여 다른 변수들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신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은행의 약속 준수에 대한 신뢰와 금융거래 매체로서 인터넷에 대한 신뢰, 인터넷 뱅킹에 대한 지각된 위험의 확률, 인터넷 뱅킹의 상대적 이점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은행의 약속 준수에 대한 신뢰와 금융거래 매체로서 인터넷에 대한 신뢰에는 지각된 위험의 확률과 상대적 이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위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뢰 성향만이 유의한 값을 나타냈고, 지각된 위험의 확률에 있어서는 신뢰 성향과 상대적 이점이 유의한 값을 나타냈다. Although the number of users of the Interne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usage is even lower in the case of financial applications such as Internet banking. Possibl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may be the risk perception consumers perceive the risk using the Internet for a banking transactions and the lack of trust consumer have in the electronic channel and web merchants. Thus, trust and perceived risk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ntext of e-commerce. So,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re constructs surrounding trust, perceived risk and trusting behavior. The context of Internet banking adoption is used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that incorporates the effect of trust and perceived risk on trusting behavior (adoption of Internet banking)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trust. Fin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trust propensity, risk propensity, and relative advantage on trusting behavior and perceived risk. Especially in this research, two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were assessed: the probability that something will go wrong and the size of the loss incurred when it do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usting behavior (adoption of Internet bank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rust in bank (commitment) and trust in Internet as a banking medium, probability of risk, and relative advantage. Second, trust in bank (commitment) and trust in Interne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robability of risk and relative advantage. Third, size of risk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rust propensity and also probability of risk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rust propensity and relative advan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