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양육태도 및 유아자기조절능력과 유아의 식생활습관간의 관계

        백은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self-regulation, and dietary life habit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to help healthy dietary life habit for children.To achieve the purpose, this work set up the study issues as follows :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dietary life habit depending on preschooler(age, sex) and parents(age, education,monthly income)?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life habit and Parental Attitudes?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life habit and Self-regulation? 4. How influences does preschooler(age, sex) and parents(age, education, monthly income), parental attitudes and self-regulation on dietary life habit ? For this study, 233 preschoolers aged 3-5 years old of 3 kindergartens in Nam-gu, Kwang-Ju were chosen. This work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parental attitudes and dietary life habit with their parents, and self-regulation test were carried out by their teacher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l attitude inventory, consisted of four sub-variables(affection, rejection, autonomy, control) of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self-regulation test by Ok-Seon Yang(2006) and the questions about dietary lif habit used by In-Ja Min(2000). SPSS program was used for analysing collected data. This study result ar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ge difference and gender difference were found in dietary life habit. The higher age group the higher score they got in dietary life habit. Boys showed higher scores than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life habit according to father's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hygine for eating according to mother's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habit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levance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dietary life habit. Both affectional attitude and autonomic attitude had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etary life habit. Rejecting attitude had negative impact on dietary life habit. Controlling attitude was not related. Thus, affectional attitude and autonomic attitude would be helpful for dietary life habi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evance between self-regulation and dietary life habit. Children who have good self-regulation would have healthy dietary life habit. Fourth,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dietary life habit were preschooler's sex, parental affectional attitude and autonomic attitude among parental attitude, and cognitive regulation among self- regulation. So these 4 factors would impact on dietary life habit meaningfully. It is hope that result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arants to raise their children in good way of dietary life habi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및 부모변인에 따른 유아의 식생활습관 차이와 부모양육태도 및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유아의 식생활습관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 변인이 유아의 식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유아들에게 바람직한 식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해주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변인(연령, 성별)과 부모 변인(연령, 교육수준, 월평균 가정수입)에 따라 유아의 식생활습관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식생활습관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유아의 식생활습관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 및 부모 변인, 부모양육태도, 유아 자기조절능력이 유아의 식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한 3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23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의 부모에게는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식생활습관을 조사하였고 유치원 담임교사에게는 유아 자기조절능력 측정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식생활습관 조사를 위해 선행연구 김지숙(2003)과 민인자(2009)가 사용한 질문지를 참고하여 식생활습관 문항을 수정 · 보완하여 재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한 것으로, 최유경(1998)이 수정 · 보완한 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개발한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석,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아의 식생활습관 행동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남아집단이 여아집단 보다 식생활습관 행동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 가정수입에 따른 유아의 식생활습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서는 아버지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아의 식생활습관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서는 유아의 식생활습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식생활습관 하위영역 중 식사위생에서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식사위생 행동수준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아의 식생활습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평균 가정수입에 따라서는 유아의 식생활습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식생활습관 하위영역 중 식사예절에서 ‘501만원 이상’ 집단이 ‘200만원 이하’ 집단 보다 유아의 식사예절 행동점수가 높고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식생활습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거부적 양육태도에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통제적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유아의 식생활습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자기조력능력과 유아의 식생활습관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식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부모 변인과, 부모양육태도의 4가지 요인, 유아 자기조절능력의 2가지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고려하여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성별, 부모양육태도 중에서 자율적 양육태도와 애정적 양육태도, 유아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 중에서 인지조절능력에 대한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4.939, P<.001), 21%(R2=.208)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식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아의 성별,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와 애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인지조절능력이며,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습관을 위해서는 이들의 복합적인 영향력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이 네 변인이 유아의 식생활습관을 의미 있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올바른 식생활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법이 필요하며, 부모는 자율적이고 애정적인 양육태도로 자녀를 보살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유아에게는 자기조절능력을 기르기 위한 세심한 지도 ‧ 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대구지역 초등학생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식생활습관과의 관련성

        류경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대구지역 초등학교 5~6학년 395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식이 자기효능감과, 식생활습관, 식생활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일반사항과 함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식생활습관, 식생활태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47.6%)과 여학생(52.4%)이 비슷하였다. 비만분포는 정상이 63.8%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 14.6%, 비만 11.4%, 과체중 10.25% 순이었다. 부모와 형제자매 비만 여부는 아버지(80.9%), 어머니(88.2%), 형제자매(59.8%) 대부분 비만이 아니었다.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은 평균 신장 남·여학생 모두 152.6cm, 체중은 남학생 48.4kg, 여학생 44.7kg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평균은 남학생 20.6kg/m², 여학생 19.0kg/m²로 정상이었다. 3. 초등학생들의 식이 자기효능감은 평균 3.44/5.00점(남학생 3.49점/5.00점, 여학생 3.39점/5.00점), 일반 자기효능감 평균 3.88점/5.00점(남학생 3.90점/5.00점, 여학생 3.86점/5.00점)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남녀학생 모두 ‘나는 음식이 싱거워도 건강을 위해서 소금과 소스를 더 넣지 않을 수 있다.’ 문항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4. 초등학생들의 균형 잡힌 식생활은 평균 3.36점/5.00점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3.29점/5.00점, 여학생 3.42점/5.00점으로 남녀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나는 매일 간식으로 신선한 간식을 먹는다.’ 문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초등학생의 건강한 식생활은 평균 3.27점/5.00점이었으며, 남학생 3.28점/5.00점, 여학생 3.27점/5.00점으로 남녀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강한 식생활 문항에서는 남녀학생 모두 ‘나는 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표시를 자주 확인한다.’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6.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는 식 절제요인의 평균이 4.06점/5.00점, 식품선택요인의 평균은 3.16점/5.00점으로 남녀학생 모두 식 절제 점수가 더 높게 나왔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생활태도의 문항에서는 ‘나는 올바른 식생활을 위해서 영양지식에 관심을 가진다.’가 가장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7. 초등학생의 부모 비만 여부에 따라 식이 자기효능감, 균형 잡힌 식생활, 식생활태도에서 부모님의 ‘비만아님’ 집단이 ‘비만’인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건강한 식생활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비만아님’ 집단이 ‘비만’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p<0.01, p<0.05). 8. 초등학생의 형제·자매 유무에 따라 일반 자기효능감과 식품선택에서 ‘형제·자매 없음’ 집단이 ‘형제·자매 있음’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9. 초등학생의 식이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균형 잡힌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식생활태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식이 자기효능감 ‘매우 좋음’ 수준의 집단이 균형 잡힌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식생활태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식이 자기효능감 ‘나쁨’ 수준의 집단은 각 영역에서 모두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10. 식이 자기효능감, 균형 잡힌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식생활태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 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11. 식이 자기효능감과 일반 자기효능감은 균형 잡힌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식생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상의 연구 결과, 식이 자기효능감이 좋을수록 식생활습관과 식생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학생의 학습목표 도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듯이, 식이 자기효능감 또한 초등학생의 식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식이 자기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 전반적인 식생활교육뿐 아니라 식이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대체로 식습관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나,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확고한 의지가 부족하였다. 바람직한 식생활을 유도하기 위한 동기부여와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세우고 다음 단계의 행동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survey based on diet self-efficacy, dietary habit and dietary attitude with 39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in Daegu, from 10 September to 30 October, 2020. Analysis results about diet self-efficacy, dietary habit and dietary attitude with students’ general personal data are as follows. 1. Sex distribution of subjects was similar, male 47.6% and female 52.4%. In Obesity distribution, the highest percentage was normality(63.8%), low weight was 14.6%, obesity was 11.4%, and over weight was 10.25%. Parents and siblings were mostly not obese, father 80.9%, mother 88.2%, and siblings 59.8%. 2. In Anthropometry of subjects, the average heigh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152.6cm and the average weight of males students was 48.4kg, female students were 44.7kg. Average body mass index was normal, Male students were 20.6kg/m², and female students were 19.0kg/m². 3. Diet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was 3.44/5.00 average(male students 3.49/5.00, female students 3.39/5.00), self-efficacy was 3.88/5.00 average(male students 3.90/6.00, female students 3.86/5.00).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s sex. ‘I would not add some salt and sauce for my health even if the food is slipslop.’was the lowest question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swered to. 4. Balanced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child was average 3.36/5.00, and there was virtually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male 3.29/5.00, female 3.42/5.00). However, Female students answered more frequently to the question ‘I eat fresh fruit everyday.’(p<0.05). 5. Healthy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child was average 3.27/5.00,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male 3.28/5.00, female 3.27/5.00). In healthy dietary life ques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I often check nutrition sign when I select food.’ was the lowest question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swered to. 6. In dietary attitude, both female and students answered most to food self-contro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the average of food self-control fact was 4.06/5.00, and the average of food choice fact was 3.16/5.00) ‘I’m interested in nutrition knowledge for the right dietary life.’ was the lowest question they answered to. 7. According to obesity or not of elementary schoolchil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although the score for ‘non-obese’ was higher than the score for ‘obese’ diet self-efficacy, balanced dietary life and dietary attitude. But in healthy dietary life, ‘non-obese parents’ were higher than obese parents’(p<0.01, p<0.05). 8. According to siblings or only child, only child’s result was higher than siblings In self-efficacy and Food choice attitude(p<0.05). 9. According to diet self-efficacy, there are all differences in balanced dietary life, healthy dietary life and dietary attitude(p<0.001). Students who answered ‘very good’ in diet self-efficacy also revealed the highest score in balanced dietary life, healthy dietary life and dietary attitude.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answered ‘bad’ in diet self-efficacy revealed low scores in every area. 10.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Diet self-efficacy, balanced dietary life, healthy dietary life, and dietary attitude, all the factors have positive correlation ships(p<0.01). 11. It is revealed that diet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ve an effect on balanced dietary life, healthy dietary life, and dietary attitude(P<0.001). As a result, the better diet self-efficacy one has, the more positive effect goes on dietary life. As Self-efficacy is a factor that can affect student’s learning goal reaching ability, diet self-efficacy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dietary habi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diet self-efficacy for the correct dietary habit through this research, and it is desperately needed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 overall dietary education and making diet self-efficacy high. Als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mostly aware of their dietary habit but they have little firm will to change their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motivation and specific performance plan to induce them to desirable food

      •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 효과 : 4, 5, 6학년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개선을 중심으로

        이영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0

        In order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to form desirable dietary habits, the present study executed five-week nutrition education using discretional activity classes for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uwon, Gyeonggi-d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knowledge and forming desirable dietary habits in connection to school lunch program. The effects of education were evaluated in terms of 7 items of nutritional knowledge (20 questions on school lunch, food composition tower and nutrients, breakfast, unbalanced diet, snack, obesity, nutrition information reading, etc.) and 5 items of dietary habits (25 questions on regular dietary life, balanced dietary life, healthy dietary life, hygiene dietary life, well-mannered dietary life, etc.).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As for the generals of children surveyed, 70% of them had working mothers. Main activities after school were studying at home or an academy (65.7%) and playing and sporting (10.0%). This suggests that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sitting. They replied that they gain information about dietary life and nutrition from the parents (45.7%) or from T. V, newspapers, the Internet, etc. (32.9%). Only 11.4% replied that they gain information in school class. nutrition education from the parents were focused on balanced eating (52.9%), washing the hands before having a meal (24.3%), etc. With regard to what they had to correct first among their dietary habits, they mentioned unbalanced eating (42.9%), skipping the breakfast (21.4%) and lack of table manners (21.4%).2. As for change in nutritional knowledge after nutrition education, 4th-grad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by 24.3 points (from 58.8 to 83.1) (P<0.001), 5th-grade ones by 18.0 (from 59.0 to 77.0) (P<0.001), and 6th-grade ones by 16.7 (from 63.5 to 80.2) (P<0.001).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6th-grade students had been expected to make the largest improvement but, according to the result, 4th-grade students made the highest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as well as the largest improvement. 3. With regard to change in dietary habits after education, no effect was observed in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but the score of dietary habits was improved as a whole. As it was emphasized that what they learned should be continued even after the education, the teaching had a significant effect in students'' planning of correct dietary habits (P<0.001). Out of 75 points, students made 55.5 before education, 54.5 after education, and 67.8 in future plan. 4.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before education (r=0.406, p<0.001), but in no correlation after education.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 practice plan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after education (r=0.310, p<0.01).5. With regard to nutritional knowledge after nutrition education by children''s body type measured using Rohrer Index,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in normal children (p<0.001), obese children (p<0.001) and highly obese children (p<0.05) but not in slim children. The effect of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children''s dietary habits. Although it is hard to expect change in dietary habits through five-week short education, practice plan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ll of slim children (p<,0.001), normal children(p<0.001), obese children(p<0.001) and highly obese children (p<0.001).6.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after education, replies on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the program in children''s dietary life were ''Definitely Yes'' (22.9%) and ''Yes'' (45.7%), so 68.6% of replies were positive. Replies on interest in class were ''Very Interesting'' (30%) and ''Interesting'' (44.3%), so 74.3% of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the class. With regarded to interesting educational media, respondents mentioned nutrition information reading game (44.3%), Nutrition Kingdom Exploring Animation in food79.net, a nutrition education site for children (27.1%) and video program Space Trip with Beoseotdori (17.1%).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they replied ''Definitely Yes'' (25.7%) and ''Yes'' (44.3%), so 70% of respondents repli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future. With regard to the type of nutrition education class, 70.0% of 4th-, 5th- and 6th-grade boys and girls wanted cooking practice, and 17.1% field learning. In general program evaluation, 4th-grade students gave positive replies (''Definitely Yes'') to questions on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the program for children''s dietary habits, the interestingness of class,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etc. This suggests tha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from early age.As presented above,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improved children''s nutritional knowledge but did not produce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ing their general dietary habits. However, their will to practice correct dietary habits was strengthened and children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form healthy dietary habits by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goals of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fit for children''s level an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영양지식 향상과 올바른 식생활습관 형성을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대상으로 재량활동 시간을 통하여 5주간 식생활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식과 연계한 초등학교 아동들의 영양지식 향상 및 올바른 식생활습관 형성에 필요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교육효과는 영양지식 7항목(학교급식, 식품구성탑과 영양소, 아침식사, 편식, 간식, 비만, 영양표시 읽기 등 20문항) 과 식생활 습관은 5항목(규칙적인 식생활, 균형 잡힌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위생적인 식생활, 예절바른 식생활 등 25문항)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조사 대상 아동의 일반 사항으로 어머니의 직장이 있는 아동이 70%로 높게 나타났으며, 방과 후 주된 활동은 집, 학원 등에서 공부하기(65.7%)가 운동이나 놀이(10.0%)등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나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 영양에 관한 정보는 주로 부모님의 지도(45.7%)나 T. V, 신문, 인터넷 등에서(32.9%) 얻는다고 응답하였으며, 11.4%만이 학교 수업시간에서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부모님으로부터 배우는 주된 식생활교육은 편식하지 않기(52.9%), 식사 전 손 씻기 (24.3%)등으로 나타났다. 아동 본인의 식생활 습관 중 제일 먼저 고쳐야 할 점은 편식하는 습관(42.9%)과 아침식사 거르는 것(21.4%), 식사예절 부족(21.4%)이라고 응답하였다.2. 식생활교육 후 영양지식 변화는 4학년이 58.8점에서 83.1점으로 24.3점 상승(P<0.001)하였으며, 5학년이 59.0점에서 77.0점으로 18.0점 상승(P<0.001), 6학년은 63.5점에서 80.2점으로 16.7점 상승(P<0.001)하였다. 교과 특성으로 6학년이 교육 후 가장 높은 점수를 기대하였지만, 교육 후 영양지식 점수는 4학년이 점수 증가가 가장 컸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3. 교육 후 식생활습관 변화는 영양지식과는 달리 식생활습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식생활습관 점수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수업을 통하여 교육 종료로 끝나는 것이 아님을 주지 시켜주는 올바른 식생활 습관 실천 계획에서는 교육 후 보다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001). 75점 만점에서 교육 전 55.5점, 교육 후 56.4점, 앞으로 실천 계획 67.8점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4.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의 상관관계는 교육 전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의 관계에서 양의 상관관계(r=0.406, P<0.001)를 보였다. 교육 후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교육 후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실천 계획에서는 양의 상관관계(r=0.310, P<0.01)를 보였다.5. Rohrer Index로 평가한 아동 체형별 식생활교육 후 영양지식은 정상아동군(p<0.001), 비만아동군(P<0.001), 고도비만아동군(P<0.05)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마름아동군은 유의하지 않았다. 식생활습관은 식생활교육 후 유의하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5주간의 단기간 교육으로 식생활습관 변화를 기대하기에는 어렵지만 실천 계획에서는 마름아동군(P<0.001)과 정상아동군(P<0.001), 비만아동군(P<0.001), 고도비만아동군(P<0.001) 모두 유의하게 변화되어 바람직한 결과라 하겠다.6. 교육 후 프로그램평가에서 아동의 식생활에 도움 되는 정도는 매우 그렇다 (22.9%)와 그렇다(45.7%)로 68.6%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수업에 대한 흥미 도는 매우 그렇다(30%)와 그렇다(44.3%)로 74.3%가 흥미 있었다라고 응답하였다. 재미있었던 교육 매체로는 영양표시 읽기 게임(44.3%), 어린이 영양교육 사이트인 food79.net의 영양왕국 탐험 애니메이션 활용교육(27.1%), “버섯돌이와 떠나는 우주여행“ 비디오 상영(17.1%)으로 응답하였다. 앞으로 식생활교육 필요도는 매우 그렇다(25.7%)와 그렇다(44.3%)로 70.0%가 앞으로 식생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희망하는 식생활 교육 수업 형태로는 4, 5, 6학년 남, 여 학생 70%가 전통음식 만들기, 식품 과학실험 등의 요리실습과 음식 박물관, 식품제조 공장, 농․수산물 시장 등의 현장학습(17.1%)으로 응답하였다. 전체적인 프로그램평가에서 아동 본인의 식생활습관에 도움이 된 정도, 수업 흥미, 식생활교육의 필요성 등에서 4학년 아동들이 적극적인 응답(매우 그렇다)을 나타내어 저 학년 때부터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냈다. 이상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 재량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 실시 결과 영양지식은 향상되었으나 전체적인 식생활습관 개선은 유의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앞으로 올바른 식생활습관 실천 계획 의지가 향상되었으며, 아동 스스로 건강한 식생활습관을 형성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식생활교육에 앞서 아동 눈높이에 적합한 체계적인 식생활교육 목표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식생활 및 식행동 간의 관계 :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비교분석

        이은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식생활습관 간의 관계를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식생활습관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성남시, 용인시에 위치한 일곱 곳의 유치원 만4세 유아 260명과 유아의 부모 260명(260부)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조사는 2012년 3월 19일 부터 4월 2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다. 경기도 용인시, 성남시 일곱 곳의 기관 원장 및 교사의 협조를 받아 유아를 통해 부모에게 질문지를 배포하고, 응답 후 다시 유아를 거쳐 수거하였다. 교사용 질문지는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질문지를 배포하고, 응답 후 취합하였다. 설문지 부모용 설문지 260부와 교사용 설문지 260부(교사 13명) 중에서 수집된 질문지는 부모용 233부와 교사용 219부를 본 조사의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평균과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변인간의 유의성은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공변량분석(ANCOVA)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의 식생활습관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식생활습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내 유아의 식생활습관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가정 내 식생활습관을 알아본 결과 보통이상 수준이었지만 교사가 인식한 식생활 습관보다 조금 낮은 수준으로 식생활습관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기조절능력 보다 가정에서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식생활습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식생활은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와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식행동은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과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서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의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식생활과 식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원아수와 점심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원아수에 따라서 식생활습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의 원아수가 적을수록 유아의 식생활습관이 좋게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특성에 따른 유아의 식생활습관은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연령, 가정의 월소득, 식사준비 담당자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대한 식생활습관의 관계는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가 식생활습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계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식생활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계는 소득이 높을수록 식생활습관이 약간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준비 담당자와 식생활습관의 관계는 주 식사 담당자가 어머니인 경우 식생활습관이 더 좋게 나타났다. 이는 가정의 특성이 유아의 식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유아의 발달 상태에 따른 식생활 습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키와 몸무게, 출생순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유아의 키에 따른 식생활 습관의 관계는 유아의 키가 클수록 식생활 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몸무게는 15-18kg의 유아들이 2.26점인 반면에 이를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식생활 습관과의 평균은 더 낮게 나타났다. 출생순위에 따른 식생활 습관의 관계는 둘째, 셋째, 첫째의 순으로 식생활습관 수준이 나타났다. 일곱째,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식생활습관과의 관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 따라 자기조절 능력의 영향을 받아 식생활 습관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보여준 유아는 기관에서도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보여주었다. 이에 가정의 부모나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및 기관장은 유아가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며,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형성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들을 미연에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식생활행동 간의 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이는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유아 일수록 자신의 식생활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교사나 부모는 식생활 자체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올바른 식생활을 지속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in children’s eating habits at their home and at an education institution and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their eating habi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hundred sixty children (age 4) and their parents from seve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ngnam and Yongin,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19 to April 2, 2012. Questions were asked to 213 parents and 13 teachers and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research targets’ general background check,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omputed whereas average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research questions. Also, t‐test, ANOVA, and ANCOVA were used to analyze significances between the variables.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as assessed wit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servation revealed a higher quality of eating habits at institutions than at home.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parents’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eating habits at home is higher than average, however, it was below the teachers’ recognition. Second, with regard to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 two different settings, the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ability at their institutions. Third, a study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eating habits and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Also, a similar result was confirmed as for a child’s eating behavior and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emotionality. This demonstrates that the children with a higher level of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emotionality have better eating habits and behavior. Fourth, another meaningful discovery was that children from an institution where there are comparatively a lower number of children tended to display better eating habits. Fifth, factors like whether children’s mother has a job, family income, and a person preparing a meal were considered to study the link between family characters and eating habits. Better eating habits were observed in cases where children’s mother did not have a job, mothers were older, and family income was higher. Such tendency was also the case for a family where mother is the one who prepares a meal. It is determined from these results that family characteristics actually affect children’s eating habits. Sixth, children’s height and weight as well as the order of their births were examin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growths and eating habits. It was found that taller children tende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Also, children who weighted between 15‐18kg scored the highest average point of 2.26. Finally, more preferable eating habits were observed in the order of second, third, and first child. Seventh, the study correlate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eating habits based on different settings and proved that it has a certain impact o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which also influences their eating habi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children with sound eating habits at home te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at their institutions as well.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s should foster advisable environment to help children enhancing proper eating habits as well as to prevent undesirable habits from developing at both home and institutions. Second, the fact that the research prov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eating habits is a clear proof that children with higher self‐regulation ability has a better chance in improving their eating habits. Thu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not only focus on changing the eating habits alone, but should also devise other means such as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o better children’s eating habits in long‐term.

      • 유아들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관계 연구

        김은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98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간의 상호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만4세 및 만5세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와 교사 각각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유아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을 묻는 설문지를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유아의 또래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에게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식을 하지 않는 집단이 과식을 하는 집단보다 또래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규칙적인 식생활 습관을 가진 집단의 또래 관계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식의 정도가 전반적인 또래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 또래관계(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좋은 식생활 습관을 가진 아동은 또래간의 관계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음식패턴과 또래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해서 살펴볼 때 올바른 식생활 습관 형성과 음식에 대한 고른 수용태도가 또래간의 관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의 꾸준한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food pattern to their peer interaction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228 4-aged and 5-aged preschoolers' mothers and teachers. Their mothers were asked on their children's eating habit and food pattern, and the teachers were asked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hildren who do not eat to excess have better peer relationship to their friend than the children who eat to much. Second, children who have a regular eating habits prone to have a positive peer interaction. Third, biased nutritioners have some more negative relations to their friends though they have no negative relations on general peer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ho have good eating habits also have a good peer interaction. And finally, food pattern also is an reliable index to peer relation. The results support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good eating habit, balanced diet and a good peer interaction.

      •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과 영양 지식에 관한 연구

        이정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67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편의 표집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학생은 일반사항, 식생활 및 건강관련 요인, 간식 섭취 실태, 식생활습관을 학부모는 일반사항, 식생활 관련 요인, 영양지식, 식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남학생은 158명(49.2%), 여학생은 163명(50.8%)이었으며 체질량지수 분석 결과 저체중 195명(60.7%), 정상 95명(29.6%)이었고 비만은 31명(9.7%)이었다. 학생 식사 횟수는 하루 3번이 209명(65.9%)으로 가장 높았고 수면시간과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편식은 ‘조금하는편’이 222명(69.2%)로 가장 높았고 지역에 따라 편식과 편식 이유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지역에 따라 건강보조식품 섭취 여부에 차이(p<0.05)가 있었으며 세종의 경우 24명(40%)로 섭취율이 가장 높았다. 간식 섭취이유는 ‘맛이 있어서’가 208명(64.8%)으로 가장 높았고 학생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간식 섭취 장소는 ‘집’이 219명(68.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편의점·패스트푸드점이 60명(18.7%)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역과 학생 수면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학생 성별, 거주지역, 부모 영양지식 점수, 학부모 학력, 학생 수면시간에 따라 간식 종류별 섭취에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식생활 평균점수를 보면 학생의 경우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에서 2.57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학부모의 경우 ‘단 음식을 먹는다.’에서 2.59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학부모 영양지식 점수 문항에서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에 관련된 문항의 정답 평균점수가 0.21점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부모 영양지식과 학부모 학력과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났다(p<0.001). 또한 학부모 영양지식과 학생·학부모 식생활습관 문항별 상관관계에서도 학부모의 영양지식이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위해서 학부모의 식생활습관과 영양지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며 앞으로도 학생의 올바른 식생활습관 정착을 위해 실과교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가정과 연계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their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etary education by grasping the dietary life of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8 to September 30, 2018 in a survey. Students examined general information, dietary and health related factors, snack intake, and dietary habits. Parents examined general information, dietary factor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There were 158 males (49.2%), 163 females (50.8%), and 195 (60.7%) were underweight, 95 (29.6%) were normal, and 31 (9.7%) were obese. The number of student meals was the highest at 209 (65.9%), 3 times a day, and it was significant with sleep time (p <0.05). The number of meals was the highest at 222 people (69.2%), and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from the reasons for the type of eating and the types of eating (p <0.05). There was a difference (p <0.05) in the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by region, and the highest intake rate was 24 (40%) in Sejong. The reason for snack intake was 'the taste' was highest in 208 people (64.8%),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p <0.05). The most common place for snacks was '219' (68.2%), followed by 60 convenience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18.7%). The intakes of snack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 gender, residence area, parental nutrition score,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student sleep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food score, students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2.57 in 'periodical exercise every day' and parents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2.59 in 'eating sweet food'. The parental knowledge score item showed a very low average score of 0.21 for questions related to protein and carbohydrat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and parental education (p <0.001). In addition,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and parent-child dietary habits related items showed that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affects student and parent's dietary life.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parent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are important for the student's proper eating habits. In addition, guidance is needed in various ways as well as in the classroom to establish students' correct eating habits. It is considered to be.

      •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특성 및 식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

        오미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66

        본 연구는 전남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식생활 특성 및 식생활 습관을 비교하여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과 식생활 태도를 향상시키고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가 있는 학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7월 17일부터 7월 24일까지 조사하였고, 전남지역 초등학생 5, 6학년 45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식품 알레르기 특성, 식품 알레르기 인식 및 표시 인식, 식생활 특성 및 식생활 습관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0.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χ2-test와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63.6%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67.9%로 가장 많았고, 식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70.3%로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 표시 인식에서는 ‘학교급식에서 알림판(식단표)에 식품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유무’, ‘식품 알레르기 정보 관심 유무’, ‘알레르기 식품 정보 제공 시 도움 여부’, ‘알레르기 유발 식품 정보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 표시제도가 도움이 되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 ‘규칙적인 식생활’, ‘균형잡힌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은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두 집단 모두 비슷한 경향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사고를 예방하고 식품 알레르기 학생 관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식품 알레르기는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진단 없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을 제한한다면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없어 영양 결핍 또는 성장 지연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 식품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식품을 제한하고 대체 식품을 이용하여 영양상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및 유발 식품 표시제에 대한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식품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대처하지 않는다의 응답률이 높은 것은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제에 대한 필요성은 높지만 관심과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생각되므로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하겠다. 식품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제는 알레르기를 경험하지 못한 학생보다는 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들에게 더 필요한 제도로써 유발 식품 표시제가 식품 알레르기 유발 식품에 대한 단순한 알림판의 역할이 아니라 식품 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들이 좀 더 활용하기 쉬운 표시제에 대한 영양교사의 교육이 필요하며, 지금보다 이해하기 쉽고, 알아보기 쉽도록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학생들에게는 매우 필요한 제도임에도 학생들이 표시제에 대해 알지 못하고 관심이 없다면 실효성 없는 제도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학교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실태 조사 및 식품 알레르기의 예방 및 관리 차원의 영양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학교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제한식이나 대체식을 제공하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 학생뿐 아니라 모든 학교 관계자를 대상으로 교육이나 상담 등을 활발히 하여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더불어 식품 알레르기 증상 학생의 인식을 높여서 올바른 식습관을 정착시키고, 이해도를 높여 학생의 정서 및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미래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식생활습관 및 영양지식이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곽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64

        초등학교시기의 아동들에게 학교급식을 통한 식생활 교육은 중요하다. 그 중 급식지도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담임교사의 역할은 아동들의 식태도를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배경요인과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식생활습관, 영양지식이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급식지도의 환경개선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포커스 그룹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담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한 30부를 제외한 219부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교사가 89.5%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연령은 30대가 37.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기혼인 경우가 68.5%, 자녀양육경험이 있는 비율이 56.6%로 나타났다.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영양교사가 배치된 경우가 70.8%였으며, 급식장소는 식당이 88.1%로 교실배식에 비해 많았다. 응답자의 83.6%가 급식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학교급식에 대해 대부분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담임교사의 급식지도에 대해서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담임교사들의 급식지도 역시 대부분이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사예절지도를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식생활습관은 100점 만점에 평균 73.31로 나타났고, 규칙적인 식생활 영역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영양지식은 20점 만점에 15.30점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저학년 담임일수록,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기혼인 경우, 자녀양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급식지도의 평균이 높았다. 또한 영양사가 배치된 경우보다 영양교사가 배치된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담임교사들의 경우의 급식지도 평균이 더 높았으며, 급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급식지도 평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담임교사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식생활습관이 좋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을수록 급식지도의 평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담임교사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식생활습관, 영양지식과 급식지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식생활습관과 급식지도 사이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영양지식은 학령기 아동에 대한 영양지식과 급식지도 사이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담임교사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식생활습관, 영양지식이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중 영양관리 측면과 공동체 생활지도 측면, 학령기 아동에 관한 영양지식, 규칙적인 식생활습관 순서로 급식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급식지도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담임교사들이 학령기 아동에 대한 올바른 영양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영양정보를 제공해 적절한 급식지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영양교사와 담임교사 간의 소통을 통해 급식에 대한 믿음과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어 담임교사들이 급식지도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영양교사가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담임교사들의 급식지도의 수준을 높여 아동들의 올바른 식태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etary education through school meals to school-aged children is important. The role of the teacher performing the duties the meal guidanc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forming children's attitudes on meal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school meal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on meal guidance for school-aged children. As a result, this study aims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school meal guidance. Questionnaire created b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used. Conducted a survey of the 249 teachers, and finally 219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ept for 30 insincerely answ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89.5%, are female,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37.9%, are in 30s, 68.5% are married, and 56.6% are found to hav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The proportion of giving out meals in cafeteria is 88.1%, more than in classroom. 83.6% of them replie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chool meal.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he positive awareness on school meals, and they also think it is important for homeroom teachers to have meal guidance. It is showed that most of homeroom teachers are doing well on school meal guidance. In particular, table manners are shown to be the primary concern. It is showed that homeroom teachers were given average 73.31 points out of 100 in dietary habits, and they got the highest score in a regular diet category. They got 15.30 points out of 20 points regarding nutrition knowledge. Elementary homeroom teachers have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on meal guidance as lower grades of their students are, older teachers are, longer career they have, and in case of married, with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of meals guidance of teachers working with nutrition tea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eachers working with a dieticians. And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school meals, the higher average score of meal guidance they have. Above all,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 on meal guidance when homeroom teacher have better perception on school meals, have better eating habits, and have higher nutrition knowledge.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coefficient recognition of school meals,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meals guidance showed that perception, eating habits and meal guida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and nutrition knowledge for school-aged children and meals guid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s well.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homeroom teachers' awareness about school meal, nutrition knowledge of school-age children, regular eating habits, and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on meal guidance, it showed that nutritional management, community life guidance aspect of awareness about school meal, nutrition knowledge of school-age children, regular eating habits appeared to influence meals guidanc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provide the right knowledge on nutrition of school-aged children to the teacher, to helps appropriate guidance as a way to improve meal guidance. Also,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nutrition teachers, homeroom teachers can get help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meals guidance in collaboration with nutrition teachers. Based on the belief and positive awareness of the school meals,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proper formation of children eating attitude by raising the standards of meals guidance. Key words :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 School Meals, Meal Guidance, Eating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 중학생의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식생활습관, 신체활동 및 체형인식의 차이 분석

        김성미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3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balanced physical develop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of the youth by analyzing dietary habits, physical activities and differences in body image recognition by gender and BMI(Body Mass Index)patter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for this, 500 student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in 2010 are selected and given questionnair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or the final 429 student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x²test) are implemented by using SPSS 19.0 for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l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BMI pattern, male students show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in order, while normal weight, underweight and overweight for female students. In overweight, male students(20.7%) are higher than female ones(19.0%) and in normal weight, female students(56.5%) are higher than male ones(30.5%). Secondly, the current BMI of male students shows underweight(48.8%), normal weight(30.5%) and overweight (20.7%) in order and their hopeful BMI is in order of normal weight(74.2%), underweight(22.1%)and overweight(3.8%).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BMI of female students is normal weight(56.5%), underweight(24.5%) and overweight(19.0%) in order and their hopeful BMI is in order of underweight(73.6%), normal weight(26.4%) and overweight(0%). Most of male students hope normal weight but most female students want to be underweight. Thirdly, in the dietary habits based on gender and BMI pattern,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male and female students. Mostmale students show satisfaction but most female students show average and normal weight male students show satisfaction in their dietary habits overall. Fourthly, in the analysis of physical activities by gender and BMI pattern, among intense physical activity,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muscle strengthening, intense physical activity has more than three days regardless of weight, and in moderate physical activity, normal weight male students have more than three-day activity. Female students show low participation in intense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ies but a little more in moderate physical activity than intense one. Fifthly, in body image recognition by gender and BMI patter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get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overweight even though they are normal or underweight except overweight students and the ratio is 15.0% for male students and 32.4% for female on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들의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식생활습관, 신체활동 및 체형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청소년기의 조화로운 신체적 발달을 도모하고 비만을 예방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2010년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3개의 시에서 편의표본추출을 하여 5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최종 429명의 자료를 SPSS 19.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x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학생이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의 순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정상체중, 저체충, 과체중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20.7%)이 여학생(19.0%)에 비해 과체중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정상체중은 여학생(56.5%)이 남학생(30.5%)에 비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현재 BMI는 저체중(48.8%), 정상체중(30.5%), 과체중 (20.7%) 순으로 나타났고, 희망 BMI는 정상체중(74.2%), 저체중(22.1%), 과체중(3.8%)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현재 BMI는 정상체중(56.5%), 저체중(24.5%), 과체중(19.0%) 순으로 나타났고, 희망 BMI는 저체중 (73.6%), 정상체중(26.4%), 과체중(0%)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대부분은 정상체중을 희망하는 반해 여자는 대부분 저체중을 희망하고 있어 희망 체형에 대한 남녀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식생활습관에서는 남녀학생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양호가 많았지만 여학생들은 보통이 많았고 정상체중의 남학생들이 식생활습관이 양호한 학생들이 많았다. 넷째,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신체활동은 격렬한 신체활동, 중등도 신체활동, 근력운동 중 격렬한 신체활동은 체중별에 관계없이 3일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중등도 신체활동에서는 정상체중의 남학생이 3일 이상 활동량이 많이 나타났다. 여학생은 격렬한 신체활동, 중등도 신체활동 모두 참여도가 낮지만 격렬한 신체활동보다 중등도의 신체활동량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체형인식에 남녀학생 모두 과체중을 제외하고는 저체중, 정상체중 임에도 불구하고 뚱뚱하다고 인식한 학생들이 남학생은 15.0%, 여학생은 32.4%로 남녀학생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시즌기와 비시즌기의 식생활습관과 영양섭취형태

        윤보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32

        This research purpose is making correct eating habit and efficiency improving of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through analysis of Women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s eating habit and taking nutrition form on season and on non-season. The result was deducted through a survey divided into two sections season and non-season for 9 female high school basketball teams, 72 female basketball players of high schools located in 5 cities. Data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s analysed by Window SPSS 21.0, and nutritive contents of female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s nutrition state is analysed by CANpro 4.0 nutrition analysis program. For finding a difference between eating habits, analysis of frequency is conducted on itiem result. And matching sample T-test is conducted for finding difference between forms of taking nutrition. Level of significance is set as a p<.05. The result g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ing procedure and process is the following. Firstly, the result of players's eating habits on season and non-season is they do not have right eating habits and well-balanced diet on both seasons. The correct perception is lacked about taking nutritions such as vegetables, meat, fruits and fish which are necessary for teenage players. This result is shown more on non-season than season Secondly, in the result of players's taking nutrition form analysis, every nutrition is taken more on season than non-season. For example, carbohydrate, protein, minerals, vitamin and fat. The players eat these nutritions more no season. This result originates from spending more energy on season. As a result, taking nutrition and well-balanced diet is shown more on season than non-season. But generally knowledge and importance of nutrition is lack for women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exercise performance. For the players's correct growth and good athletic performance, coach and parents's systematic and scientific management of nutrition is needed.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시즌기와 비시즌기의 식생활습관 및 영양섭취형태 분석을 통해 선수들의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고 효과적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 5개 시도에 소재하고 있는 여자 고등학교 농구팀 9팀, 총 72명을 대상으로 시즌기와 비시즌기를 나누어 각각의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Windows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영양상태의 영양 내용은 영양분석 프로그램인 CANpro 4.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시즌기와 비시즌기의 식습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결과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즌기와 비시즌기의 영양섭취형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절차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의 시즌기와 비시즌기의 식생활습관을 알아본 결과 두 시즌모두 균형 잡힌 식사 및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운동선수에게 꼭 필요한 채소류, 육류, 과일 및 생선 등과 같은 영양소의 섭취에 대한 올바른 인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즌기보다 비시즌기에 이러한 결과가 많은 선수들에게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의 영양섭취형태의 검증 결과 거의 모든 영양소에서 시즌기가 비시즌기보다 더 많은 영양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탄수화물군, 단백질군, 지질군, 무기질 및 비타민군의 모든 부분에서, 시즌기가 더 많이 섭취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시즌기가 비시즌기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식생활습관 및 영양섭취형태를 알아본 결과, 대체적으로 비시즌기 보다는 시즌기에 조금 더 많은 영양섭취와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여자 고등학교 선수들이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영양에 대한 지식 및 중요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들의 올바른 성장 및 좋은 경기력을 내기 위해서는 지도자 및 학부모 등에게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영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