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제말기 친일문학의 내적논리와 회고의 전략 :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중심으로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3340

        본 논문에서는 일제말기(1937년~1945년) 친일문학과 해방기 회고의 전략적 성격을 문인들의 ‘자기규정’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친일문인들은 대중적 지도자나 사상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국일본과 조선 사이의 ‘번역자’로 살아왔다. 그러나 일제의 외부적 압력과 문인의 내부적 혼란이 극대화된 시점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해방은 이들을 순식간에 민족의 죄인이자 평범한 인민의 한 사람으로 끌어내렸다. 해방공간에서 친일문인들은 일제말기 제국일본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조선(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 이상으로, ‘정치적’이고 ‘전략적’인 자기변호의 텍스트를 생산해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친일문인들의 해방기 ‘회고’는 문인의 내적 욕망과 외부적 압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점, 시대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사회적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일제말기의 ‘친일문학’과 매우 닮아있다. 본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제국주의와 주체의 관계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담론의 자장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선행연구와 차별을 두기 위해 일제말기 친일문학에 영향을 미친 외부적 요인보다는 문인 개개인의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그들의 식민지적 주체형성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친일문학이 그저 외압에 의한 몰개성한 선전문학이 아님을 규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식민지적 주체성을 형성하면서 일제하에서나 해방공간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을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세 명의 문인을 통해 친일문학이 일제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문인 각자의 맥락에서 내면화한 결과물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취하는 서술전략과 서술방식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친일의 범위와 의미를 일제강점기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를 해방 후 회고와 연결시킴으로써 친일의 시작과 완결을 철저히 작가 본인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서론에서는 친일문학에 대한 기존 연구사가 갖고 있던 견고한 민족주의적 시각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돌파하려는 최근 연구 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최근 친일문학 연구에서 주목하는 ‘식민지적 주체’의 문제를 본 논문의 문제의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친일문학(연구)의 정치적 성격으로 인해 연구자들이 경직된 태도와 시각을 갖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친일문학 연구의 난점과 방법론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일제말기 조선문단의 상황과 문인협회의 존재의의를 바탕으로, 세 문인의 ‘친일논리’가 구축되는 과정을 그들의 비평(적)텍스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조선의 문인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아시아’ 개념 속에서 근대와 동양을 초극하고 서구에 대항할 가능성을 찾았다. 문인협회는 문인들의 친일행위를 집단화・조직화하고, 일본으로부터 ‘국민문학론’을 수용하는 등 새로운 문학의 방향을 모색했지만 문학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식민지적 주체의 사상적 균열과 분열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독립을 위한 근간인 ‘민족주의’가 친일로 흐르게 되는 양상은 일견 아이러니로 보이지만, 이광수를 통해 보면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결코 상반된 개념이 아님을 알게 된다. 그의 민족주의는 ‘자강론’, ‘실력양성론’ 등과 결합하면서 자연스럽게 동화주의(assimilation)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김동인의 친일논리는 그의 민족의식의 부재를 잘 보여준다. 그는 일본이 내세우는 식민지배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내면화하거나 자기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김동인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조선문단의 대표적 친일문인으로 보이기를 원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일제하에서 문인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일찍이 문학의 자율성에 대한 철저한 옹호자였던 김동인은 문학이 가장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는 자가당착적 결론에 다다른다. 그래서 일제말기 김동인에게는 주체성이 결여된 식민지 지식인의 수동적인 모습과 식민지배 체제 내에서 가치 있는 존재가 되고자하는 피식민자의 욕망이 동시에 발견된다. 반면 무력한 니힐리스트이자 체제순응자인 채만식의 사회주의는 ‘전체주의’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일제하 신체제로 빨려 들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채만식의 친일논리는 이광수에 대한 모방으로, 친일소설의 구상은 히노 아시헤이의 영향 하에서 그 기반을 마련하지만, 이광수와 달리 채만식은 조선(인)을 초극하여 사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조선과 조선문학, 그리고 조선인으로서 자신을 모두 미달된 존재로 규정했던 채만식은 현실적 제조건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시대에 순응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길을 정한다. Ⅲ장에서는 일제말기 문인에게 내면화된 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인 소설텍스트를 분석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해방 후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지금까지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친일소설텍스트들을 새롭게 의미화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세 문인의 ‘개성’은 문학작품의 제재(題材)와 장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광수의 친일소설은 기본적으로 일상에서 제재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조선인에게는 충(忠)을, 일본인에게는 성(誠)의 정신을 주입시키려 함으로써 계몽의 이중적 의도를 보인다. 완전한 내선일체의 완성은 한쪽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광수 특유의 도식적인 인물구도는 ‘내지인-조선인’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어 ‘정신적 내선일체’를 완성하고, 원술을 동원한 군인정신의 강조는 징병제 실시를 통한 ‘실질적 내선일체’의 기획을 뒷받침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미완으로 남은 일군의 소설들에서 이광수는 내선일체론과 국민문학론의 허상을 스스로 폭로하고, 불완전한 내면을 드러내기도 한다. 김동인의 친일소설은 모두 백제, 일본,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이다. 김동인의 친일역사소설은 텍스트 자체만으로 볼 때에는 친일적 요소를 발견하기 어렵지만, 컨텍스트와 함께 읽으면 그 안에 숨겨진 식민사관과 텍스트의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도의 전략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그는 서구를 통해 동양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일본중심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아편전쟁을 제재로 삼은 두 편의 역사소설에서 김동인은 중국의 치욕적인 역사를 통해 反서구의 정서를 정당화하고, 친중적인 서술태도로 제국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일본정신을 반영한 예술가소설에서는 국책문학 창작에 대한 일본인 문사의 고민을 담았지만, 그 함의는 조선 문인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고민으로 읽는 것이 옳다. 일제의 고대사복원 계획과 발맞춘 친일역사소설에서는 일본역사관을 바탕으로 백제와 일본의 역사적 친연성을 강조하고, 과거 백제가 일본의 도움으로 당군을 물리친 것처럼 조선이 일본을 도와 중국에 대항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채만식의 친일소설은 르포문학의 형태를 띤 전쟁소설과 후방의 역할을 강조하는 총후문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전쟁에 참여하는 용맹한 일본군, 후방에서 이를 적극 지원하는 이상적 ‘총후부인’과 ‘군국의 어머니’를 통해 채만식의 소설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를 선전한다. 일제말기 채만식의 소설 가운데 장편 『아름다운 새벽』은 해방 후 단행본으로 엮이는 과정에서 친일적 요소가 의도적으로 삭제되면서 해석상의 혼란을 야기했다. 본고에서는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채만식 친일논리와 해방기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의미화 하였다. Ⅳ장에서는 해방공간에서 쓰인 세 문인의 회고를 대상으로 친일문인들의 ‘자기규정’과 반성의 ‘전략’적 측면을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특히 복잡한 수사와 정치적 맥락 사이에 숨겨진 텍스트의 ‘진의’를 찾고자 했다. 이광수는 인생의 모든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자서전’이 아님에도 친일협력의 기간을 ‘일제말기’에 한정하고, 그 의미를 희석시키기 위해 자서전 형식의 회고를 썼다. 자의적으로 서술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민족주의자’의 순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를 ‘민족주의를 내세워 자발적으로 친일한 민족적 지도자’로, 자신을 ‘일생 조선문 소설쓰기에만 몰두한 순수하고 무력한 소설가’로 규정함으로써 친일의 그림자를 이광수에게 덧씌우고 자신은 그 비판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특히 그는 자신의 문학적 공로를 과장되게 제시하고, 일제하와 미군정의 ‘지배/점령’을 동일하게 의미화 함으로써 자신을 철저한 피해자에 위치시킨다. 채만식은 스스로를 민족의 ‘죄인’으로 규정하지만, 그의 회고에는 죄의식과 억울함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의 회고에서는 반복적으로 죄에 대한 인정과 동기에 대한 부정이 중첩되어 서술된다. 자신의 친일을 인정하면서도, 본심에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 하는 채만식의 회고는 본심과 양심 사이의 팽팽한 힘겨루기를 보여준다. 해방기 채만식의 인식은 ‘조선인 대부분이 민족의 죄인’이라는 것이다. 자기풍자와 자기폭로를 통해 죄의식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그런 면에서 채만식의 회고는 친일에 대한 반성적 텍스트가 아닌 자기변호의 텍스트임이 분명해진다. 문인들의 친일의 동기와 경로, 해방 후 보여준 자기비판과 반성까지 검토한 후 드러나는 것은 식민지적 주체의 모순과 분열의 복잡한 양상이다. 친일문학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텍스트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문학’이란 한 인간이 세계를 보는 관점이자, 그 자신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친일문학은 국책을 위한 전략적 글쓰기인 동시에 한 작가의 문학적 지향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대상이다. 친일문인은 식민주의 내부의 구조적인 불균등성을 극복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정작 자신들의 존재가 이 체제를 상징한다는 것, 나아가 체제를 더 공고히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논문은 세 문인의 일제말기와 해방기의 텍스트를 통해 식민지적 주체의 형성과 분열, 일제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환상과 모순, 친일문학에 내재된 피식민자의 욕망과 주체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해방 후에도 여전히 세계의 비주체적 존재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그들에게서 ‘식민지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 1930년대 한국 근대소설의 사(私)적 성격 연구 : 자기 지시적 글쓰기 양상을 중심으로

        진영복 연세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167705

        본 연구는 1930년대 한국 근대소설의 자기 지시적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자기 지시적 글쓰기는 텍스트의 화자나 주인공이 텍스트 밖의 작가를 지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1930년대 소설의 두드러진 특징은 작가의 일상이나 자기의 문제를 소설의 내용으로 삼으며 서술 행위 자체가 이야기 대상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자기 지시적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상, 박태원, 이태준, 이광수, 김남천, 한설야의 1930년대 소설을 대상으로, ‘자기’를 탐색하고 드러내는 서술의 수행 양상을 분석하고, 자기를 구성하는 담론의 층위들과 자기와 사적 영역의 관계 양상을 문제틀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 소설에서 텍스트 밖의 작가를 지시대상으로 드러내는 자기 지시적 글쓰기 양상을 내성소설, 심경소설, 신변소설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형은 서술자와 피서술자의 거울적 반영을 통해 자기를 지향하는 내성소설이다. 이상, 박태원의 내성소설은 ‘소설의 자기 의식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은 지금 원고지와 마주하고 앉아 쓰고 있는 서술 행위 자체를 표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들의 작품은 ‘자기’를 통해 현실을 사유하는 방법이 작품의 주제가 된다. 과잉된 자의식은 글쓰기와 예술 지향에서 형성되고, 작가의 자의식과 현실 세계와의 괴리가 심각하면 심각할수록 예술적 순수성은 보장받게 된다. 이상 소설은 행위의 필연성을 회멸하고 정신의 가능성을 점차 확대해 가면, 행위의 불가능이라는 벽에 다다르게 되는 정신과 행위의 패러독스를 보여준다. 이상 문학에 나타난 ‘자기’ 패러디는 절대적 자아를 추구하는 존재자의 우월감과 생활 세계와의 끈을 잃어버린 잉여자의 열패감으로 분열되는 상황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에 비해 박태원 소설의 ‘나’는 일상의 생활 세계나 인생에 대해 ‘피로’, ‘우울’이라는 청년적 감정의 특질을 갖고 있지만, 예술가와 생활자의 분리를 생활로써의 글쓰기를 통해 극복하려고 한다. 박태원의 고현학과 심리묘사의 방법은 자기의 내면과 생활 세계라는 외연을 연결시켜 주는 지점이자, 소설의 실재감을 높여주는 한 방법이다. 둘째 유형은 동양적 유현(幽玄)을 강조하는 심경소설이다. 심경소설 작가들은 서구의 본격 서사가 주관과 객관의 대립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선(禪)적이고 정(靜)적인 물아일체의 동양적 풍토에 맞지 않는다고 본다. 심경소설은 현실 세계의 심각한 갈등을 드러내기보다는 자기를 우주 전체의 생명의 흐름 속에 귀결시켜, 관조와 연민의 시선을 드러낸다. 이광수 소설은 자신을 자연 속에서 일개 생명으로 발견하여 자아보다 더 큰 우주적 자아 속으로 귀의시킴으로써 역설적으로 자기 의식의 중압감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이광수 소설은 자기와 우주는 동일의 근저를 갖고 있다는 깨달음에 의해 동일물이 될 수 있다는 초월적 주체를 지향한다. 그러나 모든 것을 자기 인연(因緣)의 업(業)으로 설명함으로써 절대 순응의 주체를 만들어낸다. 여기에 이광수의 생명 사상이 황도(皇道)의 일본 지배이데올로기와 연결될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비해 이태준의 문학적 지향은 선비 의식과 풍류, 즉 지사적 실천 의식과 자연과의 합일이라는 심경 사이에서 움직인다. 이태준 소설의 공감과 심미성은 조선적인 전통 표상과 결합하여, 공동체의 상상적 동일성을 강화해주어 지배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띠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선적인 전통을 수동과 결여태로 표상함으로써 식민지적 무의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셋째 유형은 작가의 일상의 다반사나 자전적 고백을 드러내는 신변소설이다. 신변소설을 카프 작가들이 아우라의 상실 후 사적 영역에 귀속하게 된 개인들을 다루는 소설로 한정하여, 김남천과 한설야의 소설을 살펴보았다. 김남천의 소설은 여성/사적 영역의 입장에서 이념과 생활 세계의 관계를 재조정하는 가운데 이데올로기를 재구축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한설야의 신변소설은 이념과 생활 세계를 대립적으로 파악하고 여성/사적 영역을 거부하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생활 세계와 이념 실천의 합일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김남천의 신변소설은 전향의 담론을 살피고 그 담론에 대한 비평을 시도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김남천의 소설에서 동양을 이질적 차이를 지닌 다수자로 보는 입장은 문화적 차이를 단독화하여 동양을 동일화하려는 시도에 대해 반대하는 논리이다. 즉 이는 아시아 제 민족과 국가의 이해의 차이를 무시하고 동양이라는 가상의 동일성으로 아시아 제 민족을 일본제국주의에 포괄하려는 시도에 대한 저항의 논리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설야의 소설에서 생활 세계는 자기를 속물화하고 타락시키는 영역으로 간주되다가 점차 그 속에 소중함과 엄중함이 있음을 깨닫고 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한설야의 신변소설은 이념에 대한 신념을 저버리지 않고 있다는 메시지를 극적 독백을 통해 끊임없이 발신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1930년대 소설의 자기 지시적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자기 지시적 글쓰기가 1930년대에 성행한 이유는 세계를 보는 자기를 주제화하려는 자기 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일본제국주의의 통제와 억압의 강화로 자기의 의식과 존재가 위기에 선 상황에서 자기 존재를 돌아보고 고백함으로써 약자로서의 진실을 보존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This thesis took a close look into "self-referential writings" shown in Korean modern novels in the 1930. Self-referential writings mean that narrators or heros of texts refer to writers. The conspicuous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in the 1930s are that writers picked their daily lives or their problems as contents of their novels and narration itself became the subject of stories. To analyze writing styles referring to writers themselves, the study looked into novels written in the 1930s by those writers as Lee Sang, Par Tae-Won, Lee Tae-Joon, Lee Kwang-Soo, Kim Nam-Chun, Han Sol-Ya. It analyzed narration methods that explore and disclose the true self, and layers of stories forming the self, as well as relations between the self and personal scopes. This study divided the styles of self-referential writings into three categories: "self-mirroring novels," "mind-exploring novels," and "novels about daily lives." The first style is the self-mirroring novel that explores an inner self through mirror reflection of the narrator and the narrated. The self-mirroring novels written by Lee Sang and Park Tae-Won show the process of carrying out "self consciousness of novels." Their novels take writers' writing activities sitting at their desks and writing on papers as the subject of their expression. The ways of looking into the reality via selves become main themes of their writings. Excess self-consciousness stems from writings and pursuit of arts. The wider is the gap between writers' self-consciousness and the surrounding world, the more will they secure artistic purity. Lee Sang's novels show a paradox of spirit and action, where an expansion of mind potentiality, attainable after destroying inevitability of action, leads to the wall of impossibility of action in the end. The "self parody" shown in Lee Sang's writings stems from the schism between the sense of superiority felt by the exist pursuing the absolute self-identity and defeatism by the residual self in the practical world with which he cut all ties. In comparison, the "I" in Park Tae-Won's novels has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such as "fatigue" and "depression" about the life or the world of daily lives, but he tries to overcome the division between an artist and ordinary being by making writings as part of daily lives. His modeomology and psychology description methods are a point linking his internal self and the external mundane world, and a means heightening the reality of novels. The second type is mind-exploring novels with Oriental characteristics. Writers of mind-exploring novels take a view that Western epics, which are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do not go well with Oriental climate where selves are part of the whole and where zen and stillness are highly valued. Mind-exploring novels do not try to disclose serious conflicts in the world, but show meditative and sympathetic views by putting selves in the flows of lives in the whole universe. In his novels, Lee Kwang-Soo finds his self a mere living thing in the nature and paradoxically he tries to escape from the pressure of self-consciousness by putting himself in the bigger self of the universe. He pursues a transcendent self that is attainable by the mere realization that the self and the universe have the same origin and integrates into one entity. However, he creates the primary vehicle of absolute adaptation by explaining that all things are bound to karma. This, however, contains risks of linking his "life ideology" to the ruling ideology of the Japanese imperialist. In comparison, Lee Tae-Joon's pursuit in his literature moves between sense of noblesse oblige and integration with the nature. His novels' sympathy and aesthetic views could combine with Chosun's traditional ideas to obtain meanings of resistance against the colonization by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imaginary communities. But they also disclose the colonial-unconsciousness by passive expressions of Chosun's traditions. The third-type is novels about writers' daily lives and autobiographic confessions. Confining "daily lives novels" to KAPF writers' works dealing with individuals that fell into personal scopes, this thesis looked into novels written by Kim Nam-Chun and Han Sol-Ya. In his novels, Kim shows his efforts to restructure ideology, while trying to re-adjust the relations between the mundane world and ideology in terms of female and personal scopes. On the other hand, Han's novels take a view that ideology is in conflict with the daily world, and illustrate the process of finding the point of integrating the life world and materialization of ideology by starting from the position where female and personal scopes are denied. Kim Nam-Chun's novels about daily lives touch upon the discourse of transitions and show proactive attitudes by criticizing those discourses. His stance to view the Orient as multiple entities with exotic differences goes against the theory of viewing the Orient as identical with no differences. This could be translated as a theory resisting the Japanese attempt to put all Asian people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to ignore differences of interests of Asian nations. In contrast, the mundane world shown in Han Sol-Ya's novels was initially regarded as a scope that corrupts the self, but eventual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place where ideology was materialized into real beings. At the same time, it was shown that Han's novels were sending a clear message through dramatic monologues that they were not abandoning conviction in ideology. In conclusion, the thesis delved into various patterns of self-referring writings in the novels in the 1930s. The popularity of self-referring writings in the 1930s stemmed from the awareness of the self in a bid to put forward the self, who watches the world, as main themes of the works. They also mirror writers' intent to preserve the truth of the oppressed by reflecting their existential beings and making confessions in the face of crisis where their selves might be destroy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control and oppression.

      • 1960년대 역사 소설의 일제강점기 기억의 서사화 양상 연구 : 『관부연락선』과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김소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34970

        이 논문은 1960년대 역사소설이 보여주는 일제강점기 기억의 서사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60년대 소설 문학의 장에서는 ‘기억’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 기억은 변형, 왜곡, 치환, 억압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의 모든 것은 사라졌지만, 과거 식민에 대한 기억은 아직도 정신적 외상으로 남아 현실적 문제로 지속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일제강점의 시기가 식민지배의 경험으로 기억되는 것은 공유기억 서사를 구성하는 전후의 담론 헤게모니의 역학이 작용 권명아,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 책세상, 2009, 280면. 하기 때문이다. 1960년대 ‘기억’의 등장은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를 통해 일본과의 관계가 회복되는 것에서 비롯된다. 한국의 지식인들은 일본의 재등장을 통해 일본에 의한 문화적․경제적 종속관계가 한국에 재구축될 것을 우려하였다. 그래서 지식인을 포함하여 전국의 대학생과 시민은 굴욕적인 한일회담에 대한 반대 시위에 나섰다. 국교가 재개됨에 따라 나타난 재식민지화라는 일제강점기 고통에 대한 기억과 그로 인한 불안은 그동안 망각되거나 침묵으로 점철되었던 식민지 경험의 역사를 다시 환기 시켰다. 이 시기에 작가는 그동안에 누락되었던 식민지 역사에 대한 기억을 다시 소환한다. 그리고 망각되었던 식민지 기억을 마주하면서 ‘기억’을 서사적 글쓰기의 전략으로 삼아 식민지 역사를 재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재현하는 방식은 식민 지배자와 식민지인 사이에 존재하는 ‘지배와 저항’의 구도로 식민지 역사의 양가성이 드러나도록 재구성하고 있다. 각자 개별 주체를 억압했던 식민지 경험과 그 기억은 자신들의 입장에 맞추어 기억을 만들어 내는데 그것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으로 상대 진영의 기억을 수용하기도 하면서 특정한 내러티브와 이미지로 식민지 기억을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소설은 작가의 시각이 현재적 관점에서 볼 때, 사회적․물적 토대에 바탕을 두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역사성을 부여받을 때만이 당대 현실과의 연관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역사와 기억의 관계에서 역사는 단순히 사건들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다. 상호주체적으로 공유된 기억은 과거 역사와의 연결에서 재배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논문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이병주의 󰡔관부연락선󰡕과 유주현의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역사를 재현한 역사소설이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도록 기록되지 않은 그 틈새로부터 나온 기억은 과거의 사건을 지나간 시간으로 확장하는 동시에 현재화한다. 식민지 시대를 역사적인 관점으로 인식하면서 작품에서 재현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다 더 확장시키기 위해 탈식민주의 이론을 중심에 두었다. 탈식민주의적 비평 행위는 역사적으로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비판적 작업이다. 우선 ‘탈식민지주의’라는 용어에 대한 간략한 검토가 필요하다. 여기서 ‘탈(post)’은 ‘벗어남’과 ‘극복’이라는 저항의 의미와 ‘무엇 이후’라는 시간적 의미를 함께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시간성’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신식민지’ 시대에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탈식민주의라는 개념은 과거 식민지 국가의 독립 이후를 지칭하는 역사적 시기로 해석”하기보다는 “어떤 구체적인 반식민 혹은 탈식민 투쟁을 수행한 담론적 실천으로 규정할 때 가장 유용해진다. 담론적 투쟁으로서의 탈식민주의는 식민 권력이 타자의 육체와 공간에 스스로를 각인한 바로 그 순간부터 시작되었으며, 탈식민주의의 전통은 신식민주의적 국제 관계가 펼쳐지는 현대 무대에서도 여전히 때로는 은밀하게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 용어 자체가 내포하는 ‘공간성’은 정치, 경제, 문화적인 폭력이 공간을 통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보다 핵심적인 의미를 갖는다. 중요한 사실은 탈식민주의적 소설에서 재현되는 탈식민성의 문제가 현실 문제와 어떻게 관련되어 나타나는지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탈식민주의는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합리적 주체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이성과 과학 중심주의를 강화하는 근대는 특유의 사고방식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프란츠 파농의 탈식민주의의 이념적 기반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의 핵심인물로서 프랑스의 식민지배에 대한 저항을 주도했으며, 누구보다도 이론의 정치성과 실천성을 역설했던 지식인이었다. 따라서 파농의 모든 이론적 논의는 동시대 역사적 상황과 분리될 수 없었고 언제나 논의의 초점이 탈식민화와 민족해방이라는 정치적 의제로 수렴된다. 그리고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역사’임을 상기해 볼 때, 역사인식을 드러내기 위해 기억이론 중 알라이다 아스만의 이론을 주요 방법론으로 선택했다. 역사와 기억을 상보적 관계로 인지하는 아스만의 이론은 역사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소설 󰡔관부연락선󰡕과 󰡔조선총독부󰡕 전체를 관통하는 분석틀로 유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루카치(G. Lukacs)는 역사소설의 대상이 되는 과거사는 현재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써 ‘현재의 구체적인 전사(前史)’임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이병주는 자신이 경험한 것을 토대로 ‘관부연락선’에 내재한 한일관계의 역사성과 현재성을 작품 내에 그려내고 있다. 그는 소설 󰡔관부연락선󰡕에서 역사적 진실을 증명하기 위해 공적인 역사에서 망각되어 왔던 인물들을 재소환해 생략되어 왔던 사실들의 복원을 통해 역사를 재구축하고 있다. 이병주는 객관적 기록과 증언으로 텍스트를 구조화시키고, 텍스트 안에서 전개되는 이야기가 허구(虛構)가 아니라 사실을 재구성하였다는 사실을 주석 형식을 통하여 끊임없이 환기시켜 주고 있다. 이러한 이병주의 역사인식과 현실인식은 상관관계에 있으며, 공적인 역사의 틈을 메우고 있는 이병주의 소설은 역사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작품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관부연락선』은 역사적 타자에 대한 기억의 복원을 시도하는 일종의 애도 서사라 볼 수 있다. 유주현은 소설 󰡔조선총독부󰡕에서 식민지시대의 기억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역사적 기록에 근거한 서술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식민지 과거의 역사 서술에서 보다 더 사실적인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소설 󰡔조선총독부󰡕가 텍스트 안에서 인물을 형상화하는데 객관성을 전면에 내세우고는 있지만 이것은 사실 식민지 과거의 역사를 ‘재현’하는 한 방식이다. 문학은 사회를 반영한다. 그러나 작가의 허구적 상상물로서의 문학은 또한 작가의 경력이나 이데올로기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본고에서 연구하는 󰡔관부연락선󰡕이 남성 중심으로 서사를 이끌어가는 반면 󰡔조선총독부󰡕의 경우 여성인물이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심지어 하나의 완전한 주체이기를 갈망하는 목소리를 부여받고 있다. 그 이유는 두 작가의 작가의식에서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식민지 과거 역사의 재현은 사회 구성원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면서 문화적 현실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식민지에 대한 성찰뿐만이 아닌 1960년대 한국의 신식민주의적 상황에 대한 비판의 지점들을 만들어낸다. 더불어 작품의 서사에 나타나고 있는 식민지 과거 역사의 재현은 민족의 각성과 식민성의 현재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narrative aspects of the 1960's Korean historical novels that show the memories about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1960s' Korean novel literature field, ‘Memory’ becomes a hot topic. The memories are appearing in the form of transformation, distortion, substitution, and oppression. Although time has passed, the memories about past colonial period remain as a mental trauma and continue to be as a realistic problem. In Korean society, the reason that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s remembered as an experience of colonization is because the dynamics of the post-war discourse hegemony that constitutes the shared memory narration. The advent of ‘memory’ comes from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 with Japan through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Korean intellectuals were concerned that Japan would re-establish the cultural and economic subordination in Korea through the re-emerge of Japan. So, university students and citizens across the nation, including intellectuals, began to protest against the humiliating Korean-Japanese conference. The memory of the suffering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anxiety of re-colonization as a result of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revived the history of the colonial experience that had been forgotten or silenced. During this period, the novelist recalls the memories about colonial history that had been omitted in the meantime. As he awakens forgotten colonial memories, he uses 'the memory' as a strategy for narrative writing to reproduce colonial history. In order to recreate the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onstructs it to reveal the ambivalence of colonial history by using the composition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that exists between colonial rulers and colonial people. The colonial experience and memories of oppressing individual subjects create memories according to their own positions, but it is not always fixed. The novelist strategically accepts the memories of the opposite side and reproduces colonial memories with specific narratives and images. The historical novel can secure the connection with contemporary reality only when the author aims at the present point of view, and only when the social relations based on social and material foundations are granted historicity. In the relations between history and memory, history does not simply reproduce events. Intersubjectively shared memories go through a process of being relocated in connection with history of the past. Lee Byung-Ju’s ‘Gwan-bu Ferry boat’ and Yu Ju-Hyun’s ‘Choseon Chongdokbu’, which are the subjects of discussion in this paper, are historical novels that reproduce the colonial history. The memory that stems at the gap not record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expands the past events into the passed times and presents it to currentiz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focuses on post-colonial theory in order to further expand the aspects that are reproduced in the work while recognizing the colonial era as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postcolonial criticism is a critical work of all things that make up human beings historically. First, a brief review of the term 'postcolonialism' is needed. 'Post' implies both the meaning of resistance, such as ‘escaping’ and ‘overcoming,’ and the time-based meaning of ‘after something or some events’. This 'temporal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era of 'neo-colony' that continues to the present day.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post-colonialism is most useful when it is defined as a discourse practice that has fulfilled specific anti-colonial or post-colonial struggles rather than interpreting it as a historical period that refers to the post-independence of colonial state. Post-colonialism as a discourse struggle started from the moment when colonial power imprinted itself on the body and space of others, and its tradition continues even in the modern era of neo-colonial international relations. Furthermore, the “spatiality” implied by this term has a more central meaning in that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violence was directly carried out through space. The important fact is to discuss how the problem of post-coloniality represented in post-colonial novels is related to the real problem. Post-colonialism can be considered to have originated from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modernity. Based on the belief in a rational subject, the modern era which reinforces reason and science-centrism creates a unique way of thinking. This paper partially accept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Frantz Fanon's post-colonialism. As a key figure on the Algerian National Liberation Front, he led the resistance against French colonization, and was an intellectual who emphasized the politics and practicality of theory. Therefore, Fanon's theoretical discussions c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contemporary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focus of his discussion converges on the political agenda of decolonization and national liberation. Recalling that 'history' is a keyword that penetrates these whole novels, this study chose Aleida Assmann's theory as the main methodology among the memory theories to reveal historical perception. Assmann's theory of recognizing history and memory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s useful as an analysis framework that penetrates the entire history-centered novels, 'Gwan-bu Ferry Boat' and 'Choseon Chongdokbu'. G. Lukacs clearly defines that the history of the past, which is the subject of historical novels, has the meaning of the present and it is the specific pre-history of the present. Based on his experiences, Lee Byung-ju depicts the historicity and now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is inherent in the 'Gwan-bu Ferry Boat'. In the novel 'Gwan-bu Ferry Boat', he recalls characters who have been forgotten in public history in order to prove the historical truth and reconstructs history by restoring the facts that have been omitted. Lee Byung-ju structured the text with objective records and testimonies, and constantly reminds us that the story developed in the text reconstructed facts rather than fictions by using an explanatory note form. Lee Byung-ju's perception of history and reality are interrelated, and his novel that fills the gap in the public history increases public awareness about the history. Above all, the novel 'Gwan-bu Ferry Boat' can be identified as a kind of sympathy narrative trying to restore the memory about historical other. In the novel ‘Choseon Chongdokbu’, Yu Ju-Hyun adopts a narrative method based on historical records through reproducing memories of the colonial era. This narrative style makes it possible to guarantee a more realistic objectivity in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colonial past. This novel puts objectivity to the fore in embodying the character in the text, but this is one of way to represent the history of the colonial past. Literature reflects society. However, literature as an author's fictional imagination is also influenced by the author's career or ideology. Especially, while the 'Gwan-bu Ferry Boat’ leads the male-centered narrative, in the case of the ‘Choseon Chongdokbu’, female characters are clearly highlighted, and they are given a voice that desires for the perfect subject.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difference of consciousness as an author of the two novelists. In this way, the reproduction of colonial history makes it possible to build a cultural reality while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identities of members of society. In addition, this leads to reflection on the colony and highlights the points of criticism on the neo-colonial situation of Korea in the 1960s. Besides, the reproduction of the past colonial history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allows us to awaken national consciousness and confirm the contemporary meaning of coloni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