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부트(Reboot) : 시(공)-독립 채널에 관한 연구

        주다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71

        본 논문은 우리가 시간(혹은 공간)으로부터 독립된 조건에 놓일 수 있는가 또 그 환경은 우리를 어떤 경험의 세계로 이끄는가를 탐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경험의 상태를 '시(공)간-독립 채널'에 속한 것이라고 규정짓는데, 연구자는 예술 작품을 통해 이 채널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이는 예술적 사고실험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시간-독립 채널로 들어가는 입구로서 시간-독립적 오브제가 제시된다. 이후 5년이란 시간이 흘러 제작된 2장과 3장의 채널은 사전 계획적이지 않은 특징을 가지며 연구자의 직관적 판단에 따라 서서히 확장되었다. 작업의 전개과정 중 받아들여진 모든 가능성은 시간-독립 채널을 위한 필연적 사건으로 귀결되었고, 이를 미국에서 한국으로 연장시키는 방식을 통해 우리의 인식체계는 실재하는 시(공)간-독립 채널에 속하게 되었다. 본론의 1장에서 3장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작품은 오리지널(Original) - 프리퀄(Prequel) - 시퀄(Sequel)로서 서로 연결성을 가진 사건들의 조합인 통합 채널이자 각각의 개별 채널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은 세 개의 완성된 ‘시간(혹은 공간)-독립 채널’을 분석 정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논문 자체가 곧 기존 연구의 타당성을 뒷받침해주는 리부트(Reboot) 작품으로서 역할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리부트란 컴퓨터를 재시동하는 것과 같이, 전작과의 연속성을 거부하고 작품의 주요 컨셉이나 캐릭터만을 토대로 새롭게 해석되어 다시 시작한다는 뜻의 용어로서 대개 영화의 속편을 지칭한다. 작품을 직접 감상하는 관객의 시점으로 들어와 본 글을 따라가다 보면 마지막 장에 이르러 이 전시장을 빠져나갈 출구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we can be placed in the Time & Space-independent condition and discover how that specific condition leads us to a certain world of experience. Previously mentioned state of the experience is defined as Time & Space-independent channel and this study aims to embody this channel via artworks, which is conducted in the form of artistic thinking experiments. The three works, "Original: Shooting Banksy away", "Prequel: Man in Water & Power Jumpsuit", and "Sequel: Banksy Wall Art Gym", from chapter 1 to chapter 3 of this study are integrated combinations of events with interconnectivity and they have a meaning as an individual channel. In chapter 1, Time & Space-independent object is presented as an entry which leads to a Time & Space-independent channel. The works of chapter 2 and 3, created after 5 years since then, have improvising features and channels in those works gradually expand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intuitive judgment. All the possibilities, adopted during the process of work development, resulted in an inevitable event for a Time & Space-independent channels, and through the way of extending them from the United States to Korea, our cognitive system became a part of the real Time & Space-impendent channel. This study analyzes the three Time & Space-independent channels works, furthermore it is ultimately designed to serve as a “Reboot” work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The term "Reboot" used in this study, like the rebooting of the movie in serial fiction, discards continuity with the previous work in order to be newly interpreted based on the main concept or character of the work from the beginning. As you follow the text of this study as a spectator of continuous works, you will discover the grand finale of the exhibition in the last chapter.

      •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 연구

        강민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23

        이 연구는 학습자의 문학 작품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상 및 표현 욕구를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하여 서사를 창작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물의 삶을 구상하는 방법으로서 서사 확장에 주목하였고,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동화 원작 확장'의 개념과 유형 및 의의를 밝히고, 둘째,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모형을 탐색하며, 셋째, 지도 모형에 따라 지도를 계획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동화 원작 확장은 동화 작품을 읽고 원작의 등장인물이나 설정을 가져와 전편, 속편, 외편 등의 형태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 주체는 캐릭터를 기반으로 동화 작품을 이해하면서 인물과 인물의 삶에 대해 고찰한다. 또 원작으로부터 메타이야기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세계를 구현해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은 문학적 상상력의 제고, 문학 생산주체로서의 경험, 궁극적으로는 인간 이해 및 세계 인식의 확대를 돕는다. 동화 원작 확장에서 '캐릭터'는 확장의 중추 기제로 작용한다. 동화 원작 확장의 유형은 '후속 이야기', '선행 이야기', '파생 이야기', '교차 이야기'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동화 원작을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의 지도 모형을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작문 및 서사 창작 흐름을 따라 '작품 세계 인식', '가능 세계 탐색', '허구 세계 구체화'의 순서로 전개된다. 작품 세계 인식은 기존 작품의 세계관을 수용하는 단계로, 작품 내용 이해, 인물 분석, 캐릭터 중심의 사건 재인식의 과정을 거친다. 가능 세계 탐색은 창조하고 싶은 세계를 상상하여 구상하는 단계로, 메타이야기적 상상을 펼치고 원작에서 변형 혹은 유지할 요소를 선택한다. 허구 세계 구체화는 이를 언어로 텍스트화하는 단계이며, 스토리 구상, 주제 설정, 플롯 짜기, 초고 쓰기 및 고쳐 쓰기, 작품 교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의 목표를 설정하고 지도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의 목표는 지도의 방향과 내용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작품 내용 파악 및 인물 분석을 통한 작품 세계 인지', '메타이야기적 상상을 통한 세계 구현', '창조할 세계의 텍스트화'로 설정하였다. 지도 과정을 상세화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서울시 송파구 소재 G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의 1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각 1차시와 「종이 봉지 공주」를 제재로 6차시, 「떠버리 루이스」를 제재로 10차시, 총 18차시(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후 본 지도 방안이 서사 창작에 가져오는 유의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지, 학생활동지 및 작품, 학생 소감문, 교사의 수업관찰일지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실제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은 학습자의 인간 이해 및 세계 인식의 심화, 문학 상상력의 제고, 서사의 인과성 인식 및 확보에 기여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서사 창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선호도를 높였다. 셋째,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화된 서사 창작 방식으로 학습자의 상상 및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서사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동화 원작 확장 방식이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창작에 임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서사능력 향상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magination and expression needs that occur in learner’s accepting litera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focused on the expansion of narrative as a way of conceiving the life of a person. I designed a method of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and I actually did it applie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reveal the concept, type and significance of ‘expansion of fairy tales’, Second, to explore a narrative writing teaching model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Third, to plan teaching according the teaching model and to analyze the results.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means to read fairy tales and to bring a character and setting of the original and to make a new story in the form of prequel, sequel and spin-off. The creative subject considers the life of characters and characters while understanding fairy tales based on characters. In addition, They will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realizing new world by exercising meta story imagination from original work. The writing of narrative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helps to enhance literary imagination, experience as a subject of literary production, ultimately to expand human understanding and global awareness. In the expansion of the original stories, 'character' acts as a central mechanism of expansion. The type of expansion of fairy tales was set to four kinds: 'sequel story', 'prequel story', 'spin-off story', and 'crossover story'. Therefore, I designed a teaching model of narrative writing by expanding the original story. Following the flow of general writing and narrative writing, it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Perception of work world',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and 'fictitious world realization'. The perception of the work world is the stage of accepting the world view of the existing work, and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work, analyzing the character, and re-recognizing the character-oriented event. The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is the stage of conceiving and imagining the world that students want to create, spreading the meta - narrative imagination and choosing the element to transform or maintain in the original story. The fictitious world realization is a step of textizing it into language, and it includes story design, theme setting, plotting, super high writing and rewriting, and art exchan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et goals for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and embodied the teaching process. The goal of narrative creative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teaching, to 'Grasp the content of the story and acknowledgment of the story world through the character analysis', 'realize the world through meta storytelling', ‘Text of the world to create’. The teacning process was detailed and applied to actual education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students from one class in G elementary school in Songpa-gu, Seoul. The pre-test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18 times (2 sessions) in 6 times with 「The paper bag princess」 and 10 times 「Loudmouth lou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ingful change of the instructional method, I analyzed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student activities and works, student’s review, and the qualitative data of teacher’s observation log. The results of applying and analyzing the method of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contributed to the learner's deepening of human understanding and world recognition, the enhancement of literary imagination, and recognition and securing causality of narrative. Second, it improve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learner's narrative writing and increased the preference. Third, it has satisfied the learner's imagination and expression needs through the method of narrative wri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dea of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original sto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of expanding of fairy tales can be a means of improving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learner by being led by the learner as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