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치료 활용을 위한 현대시 분석 : 가족 은유시 분석을 중심으로

        허문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Various and numerous linguistic expressions that are ubiquitous in our lives have been acquired since childhood without our knowledge, and metaphors are deeply rooted in them. Metaphor, which has evolved and developed along with language, has been established as a 'central principle of imagination' by poets, moving away from the category of simple rhetorical decoration and leading live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literature. became a key principle. In particular, poetry, which is a mass of metaphors, is proven to be a very effective medium as a kind therapy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due to pain such as heartache or loss in the treatment field. Park Min-jeong said, “Literary therapy exists under the premise that the reenactment of an event through recollection makes a person who remembers an objective observer, and that objectified gaze can lead to healing.” In this way,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various media are used to make participants into objective observers. Mostly, poems with intuitive, emotional, and healing elements are used a lot for recall work. Therefore, many parts of literary therapy can be seen as closely related to poetry analysis. In Chapter 1 of this thesis, we looked at several cases that metaphors have power beyond words and sentences and have power beyond words deeply rooted in our lives at the level of discourse. And in Chapters II and III, through various analysis of poetry, it was confirmed that poetry has healing powers such as comfort, self-acceptance, empathy, and the sacrament of confession. In addition, while analyzing family-related metaphors and relationship metaphors in modern poetry, I looked into the healing properties of metaphors by analyzing not only the people closest to us, but also the relationship with them. In Chapter IV, the self-healing poetry therapy analyzed the case of the researcher's creation of metaphorical poetry and discussed the healing properties of metaphorical poetry. The closest but perhaps the closest, I looked at the family members who were treated carelessly and wounded as a result and the relationship setting with them, analyzing the five poems from various angles. Most of the poems selected by the researcher are poems by active writers recently published after the 2000s, reflecting changes in the modern family history, such as the shape of the family, the position of parents, and the position of children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n other words, the metaphors revealed in the poem reflect sociality or historicity, and there are some memories 'visible but not directly exposed' and hidden emotions 'directly exposed but not seen' in the poem, and it has meaning in analyzing the poem carefully. . As Robert H. Schauffler said, “Poetry with real healing power is poetry that the author can heal himself.”, because most of the poetry we read is the curative writing of the poet who wrote it, it can be seen that readers who read it will natur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ling properties of the poe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oems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his thesis will be used as a good medium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Key words: Metaphor, Poetry therapy, Poetry analysis of Modern poetry, Literature therapy, Researcher experience, Family metaphor poetry, Self-healing poetry therapy 우리의 삶 속에 편재된 다양하고 수많은 언어적 표현들은 우리도 모르게 어린 시절부터 습득했으며, 그 속에는 은유가 뿌리 깊게 내면화되어 있다. 언어와 함께 진화, 발전해 온 은유는 시인들에 의해 ‘상상의 중심 원리’로 자리매김하면서 단순한 수사학적 장식의 범주에서 벗어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심리 상담,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삶을 이끌고 가는 핵심 원리가 되었다. 특히, 은유의 덩어리인 시는 치료 현장에서 마음의 상처나 상실의 아픔 등 고통으로 인해 표현의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동류요법으로 매우 효과적인 매체로 검증되고 있다. 박민정은 “회상을 통한 사건의 재현은 기억하는 자를 객관적 관찰자로 만들어주고 그 객관화된 시선이 치유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문학치료가 존재한다.”라고 했다. 이처럼 문학치료 현장에서 참여자를 객관적 관찰자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데, 주로 직관적이고 정서적이며 치유적 요소가 강한 시를 많이 사용하여 회상 작업을 한다. 그래서 문학치료에서 많은 부분이 시 분석과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 Ⅰ장에서는 은유가 단어와 문장을 넘어 담화 차원에서 우리 삶 깊숙이 뿌리 내린 언어 이상의 힘을 가지고 있음을 여러 가지 사례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Ⅱ장, Ⅲ장에서는 다양한 시 분석을 통해 시가 위안, 자기수용, 공감, 은밀한 고백 등 치유적인 힘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최근 현대시에 나타난 가족 관련 인물 은유, 관계 은유를 분석하면서 은유가 우회적으로 건드리고 있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주변 인물은 물론 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은유의 치유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자가치유적 시치료로 연구자의 은유적 시 창작 사례를 분석하며 은유시의 치유성에 대해 경험적 고찰을 통해 논의했다. 가장 가깝지만, 가장 가까워서 함부로 대하고, 그로 인해 상처가 쌓인 가족들과 그들과의 관계 설정을 5편의 시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면서 살펴보았다. 연구자가 선정한 대부분의 시들은 최근 2000년대 이후 발표한 현역 작가들의 시들로 사회변화에 따라 가족의 형태나 부모의 자리, 자녀의 위치 등 변화된 현대 가족사가 반영된 것이다. 즉, 시 속에 드러난 은유들은 사회성이나 역사성을 반영했으며 그 속에서 ‘직접 드러나지는 않지만 보이는’ 어떤 기억들과 ‘직접 드러냈지만 보이지 않은’ 숨은 감정을 시분석을 통해 조심스럽게 건드려 보는데 그 의미가 있다. 로버트 쇼플러(R. H. Schauffler)가 “진정한 치유 능력이 있는 시는 그 시를 쓴 작가 스스로 치료받을 수 있는 시이다.”고 말했듯이 우리가 읽는 시 대부분은 그 시를 쓴 시인의 치유적 글쓰기이기 때문에 그것을 읽는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시의 치유성을 접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하기에 연구자가 본 논문을 통해 분석한 시들은 문학치료 현장에서 좋은 매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은유, 시치료, 현대시 분석, 문학치료, 연구자 체험, 가족 은유시, 자가치유적 시치료

      • 시치료 과정을 활용한 시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교고서 수록 시작품을 중심으로

        강빛나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의 목적은 현재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의 자살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교육의 문제들에 대한 절충적 방안으로서 시치료 과정을 활용한 시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II장에서는 청소년 자살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에 대해 청소년기의 발달기제에 따른 문제 유형을 살펴볼 것이다. 필자는 청소년이 겪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의 한 가능성을 시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교육에 대한 관점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시치료에서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들과 본고에서 주이론으로 사용하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이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교육현장에의 적용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시치료 관점에서의 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시치료를 활용한 시교육에 적용될 제재로서는 중학교 1,2,3학년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시 작품을 몇 가지의 기준을 거쳐 치유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시 작품을 추출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 작품은 청소년의 자살 원인 중 가장 높은 원인으로 손꼽히는 가정불화와 성격측면으로 분리하여 이에 해당되는 시를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시에 드러난 치유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III장에서 논한다. IV장에서는 기존의 시치료 과정을 토대로 검토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용될 수 있는 부분들을 고려하여 새롭게 재구성한 시치료 과정을 제안한다. 이렇게 제안한 시치료 과정과 III장에서 논한 치유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시작품을 바탕으로 하여 시치료 과정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과 과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 현장에 적합하게 구성된 시치료 과정을 활용한 시교육은 기존의 시교육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하나의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학습자의 실제적인 삶을 반성적 기제로 사용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친근하게 시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etry teaching method by using poetry therapy process in oder to suggest one of compromising alternatives to concerns with dramatically increasing adolescents' suicides and practical issues in implementing poetry education at school. In the chapter II, this study examines the type of behavior problem which can cause an adolescent's suicide, aligned with the developmental mechanism. Poetry education can be one of solutions for many types of issues and problems that adolescents are now undergoing. In order to apply to the real world, it is necessary to convert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f current poetry education to a new one, and this study explores the poetry therapy in order to identify the feasibility of conversion to a new perspective. Therefore, this chapter focuses on general elements of poetry therapy and Gestalt Therapy that this study is based on, and attempts to recognize how to apply to the education field at school. In addition, significance of poetry education is also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oetry therapy. As a material for poetry education using poetry therapy, some of works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were selected based on the assessment of its healing effect. the selected poem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family discord and personal characteristic. Those factors are considered as the leading causes of adolescents' suicide, and the list of poems is also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each factor. The healing effect of each poem is analyzed, and discussed in detail in the chapter III. The new poetry therapy process, which is rearranged based on acceptability at school, is suggested in the chapter IV. Teaching-learning model and program using poetry therapy process are introduced based on a new poetry therapy process in this chapter and the selection of poems with the healing effect in chapter III. Poetry education utilizing poetry therapy process, which is designed for the education field, can be one of the solution for many issues around the current poetry education. Also, learners will be able to have more accessible opportunity of appreciating and learning a poem by using their own real lives as a reflective mechanism.

      • 정호승 시의 심리치료 활용 분석

        김지훈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치료 방법의 예비단계로 시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그 활용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시치료에 대한 선행 연구자료는 크게 임상결과에 의한 것과 시의 이론과 활용에 관한 시안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에 의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시치료가 아직까지 일반화되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은 치료의 대상은 누구이며, 어떠한 정서장애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떠한 텍스트를 선정하고 활용할 것인지 등 일차적인 문제에서부터, 임상결과가 나오기까지의 소요되는 시간과 신빙성의 문제 등 결론을 쉽게 내릴 수 있는 구체적이고 학술적인 토대가 미흡한 까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적 시치료의 예비적 연구로 정호승의 시를 활용하여 그의 시가 가진 주된 특성인 ‘정서’에 초점을 두고 융의 정신분석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정호승은 기쁨과 슬픔, 화해와 용서 등 ‘인간의 정서’를 통해 자기반성과 자기정체성을 회복하고자 노력한 시인이다. 정호승의 시에 나타난 시어에는 감정이나 정서가 드러난 것이 많은데, 그 예로 ‘슬픔으로 가는 길’, ‘슬픔을 위하여’, ‘슬픔은 누구인가’, ‘슬픔이 기쁨에게’, ‘슬픔 많은 이 세상도’ 등 ‘슬픔’이라는 단어로 이루어진 제목의 시만 해도 여러 편이다. 그 뿐만 아니라, 정호승의 시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인 ‘기쁨’, ‘슬픔’ ‘눈물’ 등의 정서적인 시어를 중심으로 시상이 전개되기 때문에 심리적치료 기제로 활용할 수 있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정호승의 시를 분석하여 시치료의 예비적 고찰은 다음과 같이 진행을 하였다. 첫째, 시적 리듬을 통해 심리적 치료요소를 찾는다. 리듬의 회복은 곧 정서의 회복이다. 이것은 정호승의 시에서 리듬이 가지는 반복이 주는 효과 그리고 노래 부르기의 유용함 등에 기인한 것이다. 둘째, 동화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심리적 치료요소를 분석한다. ‘동화적 상상력’은 융이 말한 ‘적극적 상상’과 그 맥락을 함께하고 있다. 이는 무의식을 표출하는 하나의 방법인 동시에, 치료의 특성상 언어(시어)가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담자의 감정이나 정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셋째, 이미지의 분석이다. 시에서 이미지는 무의식이 투사 되는 매개체가 된다. 이는 정호승의 시에서 정서적 이미지의 확장과 전이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곧, 무의식의 변화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넷째, 상징의 분석이다. 시에서 상징은 시를 해석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분산 된 이미지들을 하나로 집중시키고 주제를 부각시킨다. 정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시 속에서 상징을 분석하는 것은 곧, 정서의 회복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임상적 활용을 위한 시치료의 성과를 기대하기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시를 분석함으로 해서 시치료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법적 시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정호승의 시를 활용하여 상실된 자아를 찾아가는 시적 치료의 방법을 시안을 보여줌으로 해서, 인간의 정서장애를 예방하고 치유하는 한 방법적 시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analyzing factors of psychotherapy that are found in Jung Ho-seung's poetry prior to poetic therapy. The preceding search about poetic therapy are a clinical study and a tentative plan about poetic theory and the use. However, these studies are not concrete and are insufficient to clear who the object is, what kind of emotional disorder he has, which text they have to use, how much time they need and so on. This search uses Jung Ho-seung's poems that have 'emotion' as a main feature and is based on Carl Gustav Jung's Freudianism. Jung Ho-seung tried to recover self-identity and to examine himself through 'human emotion' such as joy, sorrow, reconcilement and mercy from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To Joy from Sorrow] in 1979. His poems have useful factors for therapy because these are focused on general emotions such as 'joy', 'sorrow', and 'tears'. The features which is the factors for therapy used from Jung Ho-seung's poem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 for the psychotherapy using poetic rhythm. Recovering a rhythm means emotional recovery. This is based on the effect of repetition of rhythm in his poems and availability of making a song from his poems. Second, this search analyzes the factor for the psychotherapy focusing on fairy imagination. 'Fairy imagination' means 'positive imagination' from Carl Gustav Jung. This can be an useful factor of in-depth analysis of a person's emotion and feeling because it is one of ways to express unconsciousness and the therapy uses the language(poetic words). The third one is an analysis of an image. Images in poems are the intermediation that reflects unconsciousness. This is showed as the expansion and transference of images in Jung Ho-seung's poetry. It is meaningful as the factor that shows the process of change of unconsciousness. The fourth one is an analysis of a symbol. A symbol in poetry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poems. It makes scattered images into one subject. Analyzing a symbol in poetry that are based on emotions is a method to verify the emotional recovery. In conclusion, the research is limited to expect poetic therapy for a clinical use but it is meaningful to search possibilities of poetic therapy from analyzing poems. The research presents a draft plan to heal and prevent human emotional disorder showing one of the way of poetic psychotherapy from Jung Ho-seung's poetry.

      • 심상 시치료가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박정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인들의 정신 건강이 위협을 받고 있다. 속도와 정보감각이 넘쳐나는 시대는 유용하고 편리하기도 하지만 속도는 속도를 삼켜 버리며 물질적인 욕망은 더한 욕망을 불러오게 된다. 그리하여 인류는 자연스러움과 여유로움을 점점 상실하게 되었다. 자연 안의 생명체인 인간이 자연스러움을 상실하게 되면 인간의 내면은 위축되고 단절된다. 원활한 흐름과 소통이 되지 않을 때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정신질환자수가 증가되었으며, 특히 정신과 입원 환자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환자군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이다.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 치료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병에서 회복되어 다시 사회생활로 복귀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은 약물 치료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재활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러 예술 활동 요법 중에서 특히 시치료는 결집과 자아발견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공헌하며, 성장개발과 집단 과정의 촉진을 위한 상황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잠재력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 치료 중에서 특히 심상 시치료가 정신과 폐쇄 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에게 증상완화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심상 시치료’에서의 ‘심상’은 시에서 느껴지고 떠오르는 이미지로서의 심상(心象)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상상과 생각 그리고 사유의 개념으로 재 체험된 심상(心想)을 포함한, 확대되고 확충된 의미의 ‘심상 시치료(simsang-poetry-therapy)’이다. 따라서 심상 시치료는 단순한 시의 이미지치료가 아니라 생각하고 상상하고 감성의 힘으로 내면의 힘을 일궈내는 시치료라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경남 양산시 소재 00 병원의 0병동 내에서 입원 중인 환자 중 입원 기간이 3년 이상, 발병기간이 5년 이상이 된 만성정신분열증 환자 14명이며, 시치료 실시집단과 비실시 집단으로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2010년 4월에서 5월까지 총 12회기에 걸쳐 매주 2회, 한 회기 당 85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시치료에 활용한 시는 총 11편이다. 시치료 프로그램 진행은 환자가 각자 시의 심상을 떠올리면서 상상하고, 심상을 재창출하면서 사고를 확산시켜 마음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했으며, 내면의 힘을 일궈내는 것이 궁극적인 치료 목적이기 때문에 시치료 프로그램 이름은 ‘마음의 빛을 찾아서’라고 명명하였다. 만성 정신 분열증 환자의 증상완화의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서 심상 시치료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에게 각각 사전, 사후, 실시 한 달 후에는 추후까지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R)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심리적 안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문장완성 검사(SCT)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둘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과 폐쇄 병동 입원 중인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There is a threat to modern people's mental health. Today's rapid- changing, speedy information society is a very useful society that ensures convenience of life. However, the speedy society makes people call for something more faster, and material desire leads to another, stronger desire, which results in making mankind get more artificial and more tense. When people who are one of living creatures in nature get unnatural and artificial, they get intimidated and cut off from one another. A lack of interactive flow and communication is followed by an attack of diseases. Lately, the number of patients who suffer from mental diseases is on the rise, and schizophrenia patients make up the majority of inpatients in the psychiatry wards. The ultimate goal of treatment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is to help them recover from the illness to accelerate their social rehabilitation. And that requires not only medication but social rehabilitation approach. Among different sorts of art therapies, poetry therapy particularly makes a contribution to taking one's concentration and self-discovery to another level, and could be useful in creating the kind of environments that can expedite growth, development and group therapeutic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oetry therapy, especially simsang-poetry therapy, on not only relieving the symptoms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hospitalized in a closed psychiatry ward but affecting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 mental image that is called 'simsang' in Korean can be said as one of the integral concepts that make up a poem. In simsang-poetry therapy, 'simsang' doesn't simply refer to a mental image that comes into one's mind while he or she reads a poem. Actually, that is a more extended concept that involves a mental image that is reproduced through active imagination and thinking. Therefore simsang-poetry therapy can be defined as therapy that stimulates the thinking, imagination and sensitivity of clients to strengthen their inner power, instead of merely taking advantage of the image of a po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ho were being hospitalized in 0 ward at 00 hospital located in the city of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fourteen selected patients suffered from the disease for five years or more and were hospitalized for three years or mor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group of testing poetry-therapy and the group of non-testing, and each group had seven people. Poetry therapy was provided to them in 12 sessions in April and May, 2010, twice a week for about 85 minute, and 11 poems were utilized. the process of the programme was encouraging to collect themselves by imagining the mental image of the given poems, recreating another mental image, spreading the thinking and thereby arranging their own mind. As the ultimate goal of the therapy was to build up their inner strength, that therapy was named 'Looking for the light of mind.' In order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favorable changes in the symptoms of the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was used in the group of testing poetry-therapy and non-therapy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fter a month and more time, and we checked the result statistically. also to check their condition of psychological stability, Sentence Completion Test(SCT) were carried out and analyzed. To summary the results of research, firstly simsang-poetry therapy had meaningful effect in statistically to relaxing the symptom of patient who has chronical schizophrenia in closing ward of psychiatry, and that effect has been lasted afterward. secondly simsang-poetry therapy had meaningful effect in stabilize the psychology of patient who has chronical schizophrenia in closing ward of psychiatry, and that effect has been lasted afterward.

      • 신경증과 정신병의 증상완화 및 주체화 촉진을 위한 정신분석적 시치료 연구

        최소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신경증과 만성정신분열증의 음성 증상을 가진 절망하는 주체가 정신분석적 시치료를 통해 실존적 존재로서 주체화하는 그 의미를 발견하고 주체화를 촉진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즉, 상처 입은 주체가 타자의 욕망에서 분리되어 무의식적 선한 욕망을 인식하고 트라우마를 치유하며 인간다운 삶에 대한 희망을 회복하도록 돕는 시치료에 관한 임상 연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인문학적 접근의 시치료 과정에서 시적언어(은유, 상징, 이미지, 리듬)를 통해 정신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참여자의 마음과 삶이 변화되는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시치료가 신경증(우울, 불안, 강박)과 만성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을 완화시키고, 주체화가 촉진되는 현상의 의미와 요인을 발견하여 정신분석적 시치료의 이론적 ․ 임상적 의미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울증과 만성정신분열증 환자 모두 9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사례의 단기 집중 정신분석적 시치료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정신의학과 병원에서 정신과적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외래 환자들이다. 이들을 위한 일반적인 정신의학과 치료는 신경전달물질 분비의 과다 억제나 부족한 것을 보충시키는 약물치료이다. 그러나 약물치료만으로는 치료적 효과를 극대화 하거나 정신적 구조와 삶을 변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정신분석적 시치료는 시(詩)문학을 통해 주체화를 촉진시켜 자신을 재발견하며 잠재능력을 활성화하여 삶의 전환점이 되도록 돕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시치료의 주체화 과정에서 우울증 환자들의 부정적 정서와 신체증상을 다루고, 만성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주로 겪게 되는 정서적인 장애와 사회성이 위축된 음성증상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증상을 넘어 삶의 변화에 그 목적과 의미를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에비연구와 본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깊이를 더욱 심화시켜 증상을 넘어“주체화 촉진을 위한 정신분석적 시치료󰡓를 연구하였다. 시치료를 경험한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주체화의 의미 발견과 주체화가 촉진된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참여자들에게 심층면담과 시 감상과 시 창작을 중심으로 한 시적체험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신경증, 만성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이 완화되는 변화의 경험을 재확인하기 위해 우울증 검사, 불안 검사, 자살 생각 검사, 만성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므로 예비 연구와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우울하고 불안한 정서와 무감동, 정서적 위축 등 부정적 정서 증상이 변화하여 감동, 기쁨, 즐거움, 설렘, 편안함, 안정감, 사랑, 감사,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로 전환되었다. 특히 우울증 환자들은 시치료 과정에서 증상이 완화되면서 항우울제, 항불안제 약물 복용이 감소되거나 중단되었으며 만성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음성증상이 완화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연구자와 함께 시를 읽고 쓰고 낭독하며 심층 면담을 나누는 과정에서 공감과 통찰, 자기 이해와 분석이 일어났으며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신을 재발견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정신분석적 시치료 과정에서 시적 체험과 심층면담을 통해 주체의 의미를 새롭게 구성하며 주체화가 촉진되었다. 특히 시적 은유는 병리적인 자기 이미지의 은유에서 건강성을 회복하는 자기 이미지의 은유로 변형되면서 주체화를 촉진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자기 자신과 타자와의 소외와 단절 상태에서 연결되고 소통하는 삶의 변화를 보였다. 시치료의 소통은 치료적 요인과 과정이며 결과일 뿐 만 아니라, 주체화의 요인과 과정이며 결과가 되었다.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주체화 촉진을 위한 시치료”를 위한 정신분석적 시치료는 반구조화로 수행하였고, 주체화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반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체화의 촉진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자료는 콜라이찌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정신분석적 시치료 과정은 주체의 신경증과 만성정신분열증의 음성 증상을 완화시키고 주체화를 촉진시켜 치유와 성숙으로 희망을 다시 찾아 삶의 질을 높이는 변화를 가져왔다.

      • 중년 기혼 여성의 주체화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시치료 연구

        박영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poetry therapy research, including middle-aged, married women, which explores how they experience the subjectification, what the factors of the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poetry therapy process are. These middle-aged women confront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risis are able to explore their own difficulties, face and overcome them, when experiencing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poetry therapy, becoming the sole owners of their own lives. As a result, I am to discover the whole course of their experiences. To select the test subjects, the objective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from Feb. 1 to Feb. 20, 201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SNS outlets (Facebook 604 candidates) and in Feb. 23, 2018 I selected the first round of 20 subjects in total, conducting a pre-screening test composed of sentence completion test, marital satisfaction test and anxiety scale test. Based on analysis of this pre-screening psychological test, I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selected three subjects to participate in one or two sessions of 80 minutes every week, totaling ten sessions each, for consulting individually with the researcher. This study conducted its poetry therapy based on the 'middle age' theory, which are illustrated from Erikson, Levinson and Jung, and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Lacan and Freud as well as the 'poetry therapy' theor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meaningful contents stated by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poetry therapy, the phenomenological questionnaire, poems, proses and the researcher's daily notes. For the collection of data and analysis, poetry therapy process was transcrib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 herself, where all of them were performed with full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works, Vann Manen's method was applied. Also, for the subjectification factors, Colaizz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verbatim report and the phenomenological questionnaire. A total of 15 poems and 2 proses through the poetry therapy process were analyzed and resulted in analytical phenomenological writing,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during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xploration of the inner self, 2) Facing one's wounds, 3) Expressing one's emotions, 4) Acceptance, 5) Maintaining safety distance form others, 6) Separation of desires from others, 7) Finding the subject's desire, 8) Communication with others, 9) Realizing the subject's desire, 10) Making decisions and Taking responsibility. The verbatim report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the phenomenological questionnaire was analyzed, in order to elucidate the key factors of psychothera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30 formulated meanings, 26 themes, 13 theme clusters and 11 categories. The subjectification factors categorized by 11 are: 1) Expression, 2) Organization, 3) Awakening, 4) Liveliness, 5) Comfort, 6) Reflection, 7) Clarity, 8) Support, 9) Communication, 10) Discovery, 11) Hope. In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poetry 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comfort and support by expressing their thought and feelings, realize the thoughts and feelings, and regain liveliness. Furthermore, by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self and others, the participants were inspired for self-reflection, organized their thoughts, made them clear and discovered the hope for their future. The main theme in the subjetification process is "healing the wounds and finding the desire for the subjects through the poetry therapy". The subjectification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offered them courage and hope to heal the inner wounds, restore subjectivity, communicate with others, realize that they can choose by themselves and be responsible for their lives, and thus to fulfill their innate desires. This study is about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middle-aged married women who go through it during the poetry therapy treatment, which helps them live much healthier live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nection with family and neighbors as well. Therefore, the subjectification experience of poetry therapy for them makes it meaningful to allow them to aware and realize themselves as the subject and to play a leading role of their own lives.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시치료 과정을 통해 주체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주체화 요인은 무엇인지 고찰하는 현상학적 시치료 연구이다. 중년 기혼 여성들이 겪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위기를 시치료의 주체화 과정 경험으로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고 직면하여 극복하며 자기의 삶의 주인으로서 주체화 되는 과정을 밝혀 보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 선정을 위해 ‘목적 표집’ 방법으로, 2018. 2. 1~2018. 2. 20일 까지 SNS(페이스북 604명)에 참여자 모집을 공고하였고 2018년 2월 23일 20명의 지원자를 1차 선별하여 문장 완성 검사, 결혼 만족도 검사, 불안 척도 검사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다. 사전 심리 검사 분석을 바탕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3명에게 시치료 상담을 매주 1~2회씩 80분간 각각 10회기를 개인별로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시치료 이론과 중년기 이론, 정신분석 이론을 융합하여 시치료를 수행하였고, 자료 수집은 참여자들이 시치료에서 진술한 의미 있는 내용들과 작성한 시, 줄글, 현상학적 질문지의 내용, 연구자의 연구일지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을 위해 시치료의 모든 내용을 참여자들에게 동의를 받아 녹음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녹취하고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참여자의 작품 분석은 반 매넌(Van manen)방법을 선택하였고, 축어록과 현상학적 질문지를 분석한 주체화 요인은 콜라이찌(Colaizzi) 방법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시치료 과정에서 주체화를 경험한 것에 대한 고찰을 위해 시치료에서 쓴 시 15편과 줄글 2편을 분석하여 해석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신의 내면 탐색하기, 2) 상처와 마주하기, 3) 감정 표현하기, 4)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 5) 타자와 안전거리 두기, 6) 타자의 욕망 분리하기, 7) 주체의 욕망 찾기, 8) 타자와 소통하기, 9) 주체의 욕망 찾기하기, 10) 선택하고 책임지기이다. 시치료의 주체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참여자들의 축어록과 현상학적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 구성적 의미 130개, 주제 26개, 주제군 13개, 11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11개 범주로 도출된 주체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표현, 2) 정리, 3) 환기, 4) 생기, 5)위로, 6) 성찰, 7) 명료, 8) 지지, 9) 소통, 10) 발견, 11) 희망이다. 주체화 시치료 과정에서 참여자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위로와 지지를 받고 감정과 생각이 환기가 되어 생기를 되찾았다. 또한 참여자가 생기를 얻어 자신과 외부와 연결되어 소통함으로써 자신을 성찰을 하였고, 성찰을 통해 생각을 정리하고 명료하게 되어 자신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주체화 과정의 핵심 주제는 “시치료를 통한 주체의 상처 치유와 주체의 욕망 찾기”이다.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주체화는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고 주체성을 회복하여 타자와 소통하고,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삶을 살도록 일깨우며 자신의 참된 욕망을 발견할 수 있도록 용기와 희망을 준 것이다.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주체화 과정의 시치료 연구로서 중년 기혼 여성들이 주체화를 경험을 하여 보다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데 일조할 수 있으며, 가족과 이웃과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중년 기혼 여성의 시치료를 통한 주체화 경험은 그들이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신을 인식하고 자각하여 주도적인 삶을 수 있도록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권성훈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iterary curability pattern and its meaning based on the fact that Korean modern poems showed that it had psychological curability as an essential function of literature. In chapter 1, the history of study as to literature curability as well as rhythm, metaphor, symbolization, image, poem pattern which are regarded to be curable effect through poems was examined. In chapter 2, the method of poems, curable effect, the concept and purpose of poems curability which were studied so far and the theoretical principle and method were studied. In chapter 3, divided into four periods as to Korean modern poems, the curability pattern and meaning of Korean modern poems based on three typical poets per their periods were examined. First, the poe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1910-1945s) were analyzed through the way of writing poems, 'rhythm' as a way of poetic curability to cope with national loss and realistic agonies. Second, the poetic curability pattern to escape from problem consciousness called non-existence and the destruction of human nature shown in the post-war poems(1950-1960s) was analyzed through metaphor and symbolization. Third, the poetic curability pattern as to the loss of nature and life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pre and post 1970s) was examined through image. Lastly, the poetic curability toward human alienation shown in the poems during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post-1980s) was analyzed through the problem pattern, 'poem pattern'. The reality which each poet belonged to, was thought to bring about psychological problems in her/his inner minds in one way or another, which were relieved of and sublimated by poems. That is, self-curability is achieved through some methods in writing poems such as rhythm, metaphor, symbolization, image, poetic pattern. In passage 1, the poetic curability pattern toward sovereignty loss and resistanc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was analyzed based on the poems written by Han Yong-woon, Kim So-wol, Lee Yook-sa. Han Yong-woon was very anxious for achieving the harmonious unity between despairing reality and ego or self through creating rhythm in his poems. Kim So-wol made it possible for the inner problems to be conscious and objective through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rhythm 7.5 numbers and 3 meters, through which he obtained emotional self-control. Meanwhile, Lee Yook-sa showed that he achieved catharsis self-regulation by presenting the subject consciousness as a poetic structure such as repetition and pause in time, in accordance with ready-made rules, never presenting emotion without any forms through the way of control in order that emotion may not be overflowed in their poems. In passage 2, poetic pattern of non-existence and curability of human nature shown in post-war poems was analyzed based on poems written by Kim Soo-young, Kim Chhon-soo, and Seo Jeong-ju through metaphor and symbolization. Kim Soo-young understood the reality and resisted against the country through satirical metaphor and it can be regarded as a language device as poetic curability. Kim Choon-soo purified emotion through his meaningless poems by dint of melting his own emotional poison into meaningless poems, overcoming the metaphor objects. Seo Jeong-ju achieved emotional purification and made it successful for the chaotic desire for love into the primitive life through the method of symbolization. In passage 3, nature loss and the poetic curability pattern of life caused by industrialization were analyzed based on poems written by some poets such as Kim Ji-ha, Shin Gyeong-lim, Shin Dong-yeob through image. Kim Ji-ha found life out of the resistance against suppression and severing, expressing it into accepting image , which contributed to making a sort of energy or motivation of paving way to emoton recovery and life quest. Shin Gyeong-lim showed the recovery of the community of people through the prototypical image such as the earth, fruits, rivers, fires, lights, dreams for the needy and the alienated. Meanwhile, Shin Dong-yeob saw the reality as the contrastive image, construing its curability to the psychological liberation and reality through overcoming the process. In passage 4, when it comes to curability pattern of the resistance consciousness and human alienation especially shown in poems pre-and-post democratization of Korea, poems written by a group of poets such as Kim Nam-joo, Park No-hae, Hwang Ji-woo were thoughted to be successful in insight and integration to the reality by means of poetic forms. Kim Nam-joo expressed pathos of denying reality in his poems, attempting psychological utterance via formal device, performing convey of emotion and communication. Park No-hae, through his poems, achieved the communication of subject and the recovery of unity stemmed from human liberation and labor liberation, obtaining realistic criticism at the same time. Hwang Ji-woo destroyed the form of poems, alleviating realistic suppression and psycholgy, venturing to find a new poem form to seek for the insight and integration or unity to the real worl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curability shown in Korean modern poems was examined.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tendency of the problem consciousness expressed in modern poems can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each period, yet the inner conflict the poet suffered as a social being derived from the reality, sublimating it as a means of curing the poet of the suffering agony. The reality understanding and problem consciousness stemmed from the reality for each poet mostly derived from despair and frustration, suppression and control, error and disorder considered to be a negative consciousness to the real world, presenting resistance, the overcoming of human alienation, entity recovery, the wish of community and eagerness for life. However, through this study, the mechanism of enabling this kind of mental overcoming and recovery was regarded to be available through a variety of poetic devices such as rhythm, metaphor and symbolization, image, poetic forms. The inner psychological conflict and agony stemmed from the concerned poet usually incite the inner desire of the poet and express her/his emotion for emotional switch via various mechanism of writing poems, resisting aggressively, and beefing up her/his ego or self as well. The effect which many creative principles built in poems was thought to be an emotional relieving of the suppressed and unbalanced psychology poets have and a mechanism of getting over emotion and recovering emotion. The Korean modern poems above-mentioned is an emotional report and a result of psychological agony unrelieved of among the un-consciousness, yet an alternative solution or a kind of cure, suggesting that Korean modern poems can be a purified text for emotion cure as an attempt of recovering poets' truth. Subject words : modern poems, poem writing, literature cure, poetic cure, curability, subject consciousness, rhythm, imagination, metaphor and symbolization, image, poem pattern, ego or self, psychology, emotion, purification, recalling 본고는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 현대시가 문학의 본질적 기능인 심리적 치유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문학적 치유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탐구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문학치료에 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 시 창작 방법이자 시에서 치료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주제의식, 상상력, 리듬, 비유와 상징, 이미지, 시적 형식 등에 대해 연구방법으로 고찰했다. Ⅱ장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시치료 방법과 치유적 효과로서 시치료의 개념과 목적 , 그리고 시치료의 이론적 원리와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 후, Ⅲ장 본론에서는 텍스트로 다룰 한국 현대시를 시대별 4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 시인들 3명씩을 선별하여 이를 대상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의 양상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첫째 일제강점기(1910년~1945년)의 시는 주권상실이라는 현실적 고뇌에 맞서 나타나는 시적 치유의 양상을 시작 기법인 ‘리듬’으로 분석하였고, 둘째 전후시(1950년~1960년대)에 나타난 실존부재와 인간성 파괴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적 치유 양상을 ‘비유와 상징’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산업화(1970년대 전후)과정 중 시에 나타난 자연 상실과 생명성 상실에 대한 시적 치유 양상을 ‘이미지’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민주화(1980년대 이후)시기 시에 나타난 인간소외에 대한 시적 치유 양상을 ‘시적 형식’이라는 문제의 틀로 분석하였다. 각 시인들이 속한 현실은 시인들의 내면에 심리적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심리적 문제들은 시를 통해서 해소되고 승화되는데, 이것은 시를 창작할 때 사용하는 방법들, 즉 상상력, 리듬, 비유와 상징, 이미지, 시적 형식 등의 방법을 통해서 자기치료를 발생시킨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론 1절에서는 주권상실의 시기에 시에 나타난 시적 치유의 양상을 한용운, 김소월, 이육사 시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한용운의 시는 절망적 현실과 자아 사이에 조화로운 통일을 리듬의 창조를 통해서 이루어지기를 갈구했다. 김소월은 7․5조와 3음보의 율격을 통해 내면의 문제들을 의식화하고 객관화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적 자기조절이 가능해졌다. 이육사는 시의 음조를 통해 자신의 저항적 감정이 넘치지 않게 하는 절도와 절제의 자기조절 방식으로써 리듬을 운용하였다. 본론 2절에서는 한국전쟁후의 시기에 나타난 실존부재와 인간성 치유의 시적 양상으로 김수영, 김춘수, 서정주의 시를 비유와 상징으로 분석하였다. 김수영은 풍자적 비유를 통해 현실을 적시하고 정권을 고발하는데, 이것은 풍자라는 간접화의 방법을 통해 현실세계에 매몰되지 않고 현실을 풍부하게 비판할 수 있는 시적 치유의 언어장치가 된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자신만의 감정적 독액을 무의미시에 용해시켜 비유대상을 극복함으로써 정서를 정화한다. 서정주는 무질서하고 혼돈스러운 애욕의 욕망을 상징화의 수법을 통해 원초적 생명성으로 전환시켜 정서적 순화와 감정적 정화를 이룬다. 본론 3절에서는 산업화과정 중 나타난 자연 상실의 문제에 맞서 생명성의 시적 치유 양상을 보여주는 김지하, 신경림, 신동엽의 시를 이미지로 분석하였다. 김지하는 억압(suppression)과 단절(severing)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생명성을 발견하고, 이를 포용적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정서의 회복과 생명탐구의 세계로 나갈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한다. 신경림은 가난하고 소외된 민중의 세계를 대지, 열매, 강물, 불, 빛, 꿈 등의 원형적 이미지로 민중적 공동체의 회복을 시를 통해 보여준다. 신동엽은 현실을 대립적 이미지로 포착하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과정을 통해 심리적 해방과 현실을 극복하는 치유성으로 해석된다. 본론 4절에서는 민주화과정 시기의 시적 치유 양상으로 김남주, 박노해, 황지우의 시들이 시적 형식을 통해 현실에 대한 통찰과 통합을 이루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김남주는 현실부정의 강력한 파토스를 시라는 형식적 장치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심리적 표출을 시도하고 그 속에서 감정의 전달과 소통을 이룩한다. 박노해는 인간해방과 노동해방에 따른 주제의식을 소통과 연대의 회복을 시로서 융해함으로 현실비판과 현실극복을 동시에 달성한다. 황지우는 시의 형태 파괴로 현실의 억압과 심리를 경감시키고 새로운 시적 형식을 찾아내려는 모험을 통해 현실세계에 대한 통찰과 통합을 이루어 나간다. 이로써 본고에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을 총 12명의 각 시기별 시인들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가 4기로 나누어 분석한 현대시에 나타난 문제의식은 시대를 달리하며 주제의식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지만 결국 사회적 존재로서의 시인의 내면 갈등은 현실 속에서 생산되고, 그것을 승화시켜 표출할 수 있는 시가 시인의 내면을 치유하는 계기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각 시인들의 현실파악과 현실에서 파생된 문제의식은 절망과 좌절, 억압과 통제, 모순과 부조리 등 현실세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부터 출발하며 그에 맞서 저항의식, 인간소외의 극복, 실존회복, 공동체의 염원, 생명성에 대한 희구 등으로 다양하게 펼쳐졌다. 하지만 이 모든 정신적 극복과 회복을 가능케 하는 기제는 시가 가지고 있는 주제의식, 상상력, 리듬, 비유와 상징, 이미지, 시적 형식을 통과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실세계에 대한 부정적 문제점과 시인 내면의 심리적 갈등과 고민들은 시창작의 방법적 기제들을 통하여 억압된 시인 내면의 욕구를 자극시키고, 감정을 분출함으로써 정서적인 환기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저항을 가능케 하는 자아를 발견하고, 그러한 자아를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것은 시에 내장된 여러 창작원리들이 가진 효과로서 시가 창작자의 억압되고 불안정한 심리에 대한 정서적 해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감정의 극복과 정서의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앞서 논의한 한국 현대시는 창작자의 무의식 속에서 해소되지 못한 정서에 관한 내면의 감정 보고서이며 심리적 고뇌의 산물이지만 동시에 그것의 대안적 치료이며 시인의 정화된 정서적 치료의 텍스트가 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주제어 : 현대시, 시창작, 문학치료, 시치료, 치유성, 주제의식, 상상력, 리듬, 비유와 상징, 이미지, 시 형식, 자아, 심리, 정서, 순화, 환기.

      • 필사를 활용한 시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노현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gram using poem transcription. Korea ranks first in suicide rates and remains at the bottom of the OECD's annual data survey. This suggests that the majority of the people often feel unhappy. The study was conducted to encourage them to enjoy positive emotions through poem transcription program and to help them lead a hopeful life. Poem transcription is free from physical constraints, can be anywhere, and anyone can easily get started. Using this characteristic, the hypothesis was set that it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light depression and relieving stress among modern people. In Chapter 1, we focused on the necessity of researching the program effect of the treatment using poetry theraphy and the prior research, and in Chapter 2, we presented the theory of the treatment and the principle of writing.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Nicholas Mazza's theory of poetry therapy, one of the three elements, was designed to use existing literary works to appreciate poetry and to write with expressive elements. A prior study on the function of literature and writing therapy was presented, focusing on Heninger's principle of poetry therapy and Choi So-young's model of performing poetry therapy. Chapter 3 reviewed the methods of researching the treatment program using handwrit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s in their 20s and 50s, who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eight experimental groups and five control groups. The research subjects evaluated three types of perceived stress measures, depression health, and Korean version of depression, which are used as test sites by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Center, as pre-post-examined test sites before and after the first and 21st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stage was set up with four stages of introduction-execution/work-integration- direction setting and practice. The review of the poems select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reviews felt by the participants were shared among the member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poems on topics that participants can relate to because it is an activity that focuses on reading to, concentrating on and writing poems by hand. In Chapter 4, the diagnostic test sites studied were conducted in a quantitative manner and the audit statements prepared by the participants were interpreted. As a result, first,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invalid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amples, although independent sample t-testing was performed for similariti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ponse sample t-test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found that the perceived stress scale and depression health fac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as a result of the participants'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ey looked at lif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nd reflected on themselves.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effects of transcription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next poem transcription program. As a resul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design and effectiveness of poem transcription program for adul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ubject by extending it to patients with severe depression or mental illness. Continued development and further research of transcrip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by anyone in the field are required. 본 연구는 필사를 활용한 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한국은 매해 발표하는 OECD 자료조사 국가 중 자살률은 1위, 행복지수는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이는 국민 대다수가 행복하지 않다고 느낄 때가 많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들에게 필사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 환기를 시켜주고, 희망찬 삶을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필사는 물리적 환경의 제약이 없고 어디서나 가능하며 누구나 손쉽게 시작할 수 있다. 이 특성을 활용하여 시치료와 접목한다면 현대인이 가진 가벼운 우울감 감소, 스트레스 해소에 치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1장에서는 필사를 활용한 시치료의 프로그램 연구 필요성과 선행 연구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2장에서는 시치료 이론과 필사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Nicholas Mazza의 시치료 모델 요소 중 하나인 수용적 요소를 중점으로 기존 문학작품을 이용하여 시 감상을 해보고, 표현적 요소로 필사를 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시치료 원리로 O.Heninger의 이론과 최소영 시치료 수행 심리모형, 문학의 기능, 글쓰기치료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필사를 활용한 시치료 프로그램 연구 방법을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은 20~50대 사이의 성인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5명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연구 대상 진단은 국가건강검진센터에서 검사지로 활용되고 있는 지각된스트레스척도, 우울증 건강, 한국판 우울척도 3가지를 21회차 프로그램 사전-사후 동일한 검사지로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4단계 도입-실행/작업-통합-방향 설정 및 실천으로 단계를 설정하였다. 연구자가 선정한 시를 감상하고 내담자가 필사를 한 후 느낀 감상평은 구성원끼리 공유하였다. 시를 감상하고 집중하며 손으로 옮겨 써 보는 데 중점을 둔 활동이기 때문에 내담자가 공감할 수 있는 주제의 시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장에서는 연구 대상 진단 검사지는 양적 분석을 실시하고, 내담자가 작성한 필사와 감상문은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통계적 검증으로 독립 표본t-검정을 실시하였으나 표본수가 적어서 유효하지 않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종료 후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실험집단의 지각된스트레스척도와 우울증 건강 요소에는 유의확률 .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내담자의 21회기 감상문 해석 결과, 전보다 긍정적인 관점으로 삶을 바라보게 되었으며 자기 성찰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필사의 효과를 직접 체험한 내담자는 다음 회차 필사 프로그램에도 참여 의사를 밝혔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성인 대상으로 필사를 활용한 시치료 프로그램의 설계와 효과는 입증하였다. 다만 대상을 중증의 우울증이나 정신병이 있는 환자로 확장하여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현장에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필사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심상 시치료가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증상 완화 및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박정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고도의 과학 기술과 정보화로 급속히 문명이 발달할수록 대표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것은 자연 생태 환경이다. 그에 못지 않게 정신건강 또한 타격을 받고 있다. 인류는 자연스러움과 여유로움을 점점 상실하게 되었다. 자연 안의 생명체인 인간이 자연스러움을 상실하게 되면 인간의 내면은 위축되고 단절된다. 원활한 흐름과 소통이 되지 않을 때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정신질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환자군은 조현병 환자들이다. 만성 조현병 환자 치료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병에서 회복되어 다시 사회생활로 복귀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은 약물 치료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 심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러 예술 활동 요법 중에서 특히 시치료는 결집과 자아발견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공헌하며, 성장개발과 집단 과정의 촉진을 위한 상황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치료 중에서 특히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증상완화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심상 시치료(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는 인간의 정신 활동과 고유한 오감에 초감각과 지각을 아울러서 감성으로 내면의 힘을 일궈내서 궁극적으로 온전한 마음과 영혼의 치료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연구대상은 경남 양산시 소재 정신건강의학과 00병원의 0병동 내에서 입원 중인 환자 중 입원 기간이 3년 이상, 발병기간이 5년 이상이 된 만성 조현병 환자 14명이며, 심상 시치료 실시집단과 비실시집단으로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2013년 1월에서 2월까지 총 12회기에 걸쳐 매주 2회, 한 회기 당 9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심상 시치료의 영역 중 매체활용적인 면에서 그림과 시를 위주로 하였다. 심상 시치료에 활용한 시는 총 9편, 그림은 3편이다. 심상 시치료 프로그램 진행은 환자가 각자 시의 심상을 떠올리면서 상상하고, 심상을 재창출하면서 사고를 확산시켜 마음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2011년 발표한 '심상 시치료가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에서 나온 결과를 보다 더 심화하여 확대하고 확충하여 심도 깊은 연구 결론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만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완화의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서 심상 시치료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에게 각각 사전, 사후, 실시 한 달 후에는 추후까지 다면적 인성검사(MMPI)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심리적 안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집단을 대상으로 해서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둘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셋째, 심상 시치료가 현상학적으로 볼 때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health is growing everyday. As the civilization is being developed rapidly by high-technology and informatization, the natural ecology is being threatened and also psychological health is suffering crisis too. Nowadays, mankind is losing naturalness and ease. When human beings that live inside the nature as an organism lose naturalness, the inner side of human shrinks and severs. When smooth flow and communication is cut off, the disease emerges. Lately the number of mental patient is increasing, and especially schizophrenics have the largest percentage of patient in department of mental disease. The ultimate goal of schizophrenic's cure is helping them to be rehabilitated to social life. This goal needs psychological approach as well as drug treatment. Among diverse art treatments, poetry treatment contributes to raising self-discovery and unification and have potential to make situations for acceleration of growth development and group proc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whether among literary therap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could have positive effect at not only the side of ease of symptom but also the sid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are in closed ward.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means ultimately reaching sound mind and healing of soul by training internal power with a sensibility which embraces human's mind activity, innate five senses, super-sense, and perception.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fourteen chronic schizophrenics who had over five years of disease experience and three years of hospitalization experience among patients in 0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in 00 hospital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y were assigned randomly in half in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uffers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and control group that doesn't suffer the therap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wo times a week for twelve session from January 2013 to February, and each session took ninety minutes. At the part of media utilization, it mainly used pictures and poems among the domain of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and nine poems and three pictures were utilized. The process of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was that firstly patients conceive mental image, secondly they recreate that mental image, and finally they arranged their mind by spreading their thought. I tried to draw deeper conclusion by deepen, enlarge, and expand the result from 'Effect of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on the Symptoms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hich was announced in 2011.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chronic schizophrenic's ease of symptom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and Symptom Check List-90-Revised(SCL-90-R) were implemented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test, after the test, and after a month of test, and the results of that tests were elicited statistically. Also,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entence Completion Test(SCT) was implemented and analyzed, and to check positive chang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perimental group. To summarize the result of research, firstl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ease of symptom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in closed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that effects had lasted later on. Secondl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meaningful effects on stabilizing chronic schizophrenics' mentality, and that effect had lasted later on. Finally, at the point of phenomenolog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positive change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in closed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계선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러 가지 정서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자신의 환경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인간능력으로서의 정서지능이 교육적 노력에 의해서 증진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키는 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이고, 가설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에 비하여 정서지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C중학교 1학년 2학급 66명이다. 1학년 4개 학급에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평균이 비슷한 두 학급을 선정하여 이들 중 한 반은 실험집단, 다른 한 반은 통제집단으로 각각 33명씩 배치하였다. 시치료 프로그램은 Hynes와 Hynes-Berry(1994; 한국 어린이 문학 교육학회, 2001 재인용)가 제안한 독서 치료 과정인 인식(recognition), 고찰(examination), 병치(juxtaposition), 자기적용(Application to Self)의 4단계를 토대로 만든 한국 독서치료 학회(2003)의 질문 유형과 차재량(2007)의 시치료 단계별 주요 활동을 기초로 하여, 중학생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자가 연구 취지에 맞게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이 투입된 시기는 2008년 3월31일부터 2008년 7월 14일까지, 16주 14회기이다. 1회기는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14회기는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점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문용린(1999)이 제작한 청소년용 정서지능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사전 및 사후 정서지능 검사 점수)는 주어진 가설에 따라 SPSSWIN(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처치 전 실험·통제집단 간 정서지능에서 동질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점수에 대한 평균차 검증(t-test)를 수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처치 이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수집된 사후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공분산 분석(ANCOVA)를 수행하였다. 평균차 검증 및 공분산 분석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미성 판단은 α=.05의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통제집단 간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 요소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etry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obtain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pos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the poetrytherapy would have improved emotional intelligen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in two different classes in C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Busan, who were divided into a 33-member experimental group and a 33-member control group. The poetrytherapy was implemented in 14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6 weeks.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data, this study used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r the use of students developed by Moon Yong Lin(1999).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2.0 version) statistics program.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oetrytherapy, before and after, emotional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twice, it was implemented to see it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test, analyses of covariance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hypothese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poetrytherapy was implemented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it was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