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난대응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서울종합방재센터 중심으로

        배영선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논문은 서울시 통합재난위기관리시스템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 서울시의 모든 긴급 및 비 긴급 신고는 “119로 단일화” 추세이며, 재난 특성이 “복합재난으로 증대” 및 “재난경계 모호화” 추세이다. 하지만, 서울시 재난관리체계는 기능별?부설별 분리되어 운영 중에 있다. 예를 들면, 인적재난 및 민방위는 서울소방재난본부, 자연재난은 건설기획국 치수과 및 하천관리과의 치수관리팀 등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다. 즉, 상설기관인 119 종합상황실과 재난종합상황실의 운영에 따른 인력과 예산의 중복, 상황보고체계 이원화 등 비효율성이 내재 되어 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서별, 기능별 분산?운영 이원화로 재난상황 정보공유 미흡과 영역다툼 등으로 재난관리 융합행정 저해 및 공동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현 서울시 통합재난위기 관리체계의 실태분석이 시급하며, 본 연구에서는 법, 제도적 측면, 조직적 측면, 시스템적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Umyeon Mt. landslide' and 'Typoon Maemi' have taught Korea deadly and expensive lesson. Once again, we have been reminded how unprepared we are natural disasters and even man-made disasters. These emergencies occur regularly and others are waiting to happen. The time to think about emergencies is before they happen. Accordingly, this paper provides a way of thinking about emergencies and what to do about them and targets for current emergency personnel to extract and analyze present status regard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making well-designed, so called, Fusion centre, IEMS(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Particularly, this research outlines the roles of SEOC(Seoul Emergency Operation Centre) and provides steps by which MAC(Multi-Agency Coordination) entities can work together to share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on an ongoing basis. Oftentimes said, technology is re-shaping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Until 21st century, it was next to impossible to get it with the available to apply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owever, particularly, in terms with that, now this poses a question? why does Seoul government tenaciously down-played and maintained not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but inefficient "Separate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in many disaster related agencies which have tremendously caused the likelihood of loss of the general public lives and properties and astronomical costs and inconveniences etc? Now. the Seoul government is still in stalemate adopting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onsequently, it is right to thoroughly investigate regarding our separat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mong the agencies due to the tremendous problems. As it is going to sound trite, but we have major administration snags to untangle the debating buzzword "Integration" concerning the initiative "permanent Unified Emergency Operational Centre" in Korea including the local response framework, Whether or not emergency-calls into the 119 number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is the sophisticated complexities and the fuzzy definition of disaster. However, the system of Seoul's disaster management would be separately classified functional and departmental organization. As it sounds preachy, the Fusion centre (IEMS) is a cornerstone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of threats, including the Fire, EMS, including CBRN(Chemical ,Biological ,Radionogical, Nuclear) and terrorism. The term "fusion" refers to the overarching process of managing the flow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across all levels and sectors of multi-agency coordination. The overall goal of the fusion process is to convert raw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into actionable knowledge. Integrated Emergency Operation Center is effective mechanism for guiding process. The Seoul Emergency Operation center and MAC(Multi-Agency Coordination) has the capability to activate and sustain SEOC/MAC operations, coordinate with other agencies and stakeholders, develop priorities and strategies to support incident management and COOP(continuity operations), manage resources and liason with other entities to coordinates resources, and support executive decision making and coordination of information. Coordination of SEOC(Seoul Emergency Operation Centre) and MAC is crucial to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ublic. This paper recognizes that many jurisdictions within Seoul City have already working relationships and sharing protocols and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uture coordination efforts take this guidance into account.

      • 발전소의 선진통합방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이호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단순 재난 발생 전파로 재난 현장에서의 초기 대응이 미흡하고 정보 공유에 어려움이 있어 체계적인 정보 공유 및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것에 대응하여 돌발 상황 혹은 급격한 상황 변화에 따라 상황에 적합한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실시간으로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발전소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을 위해 전자SOP 시스템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여 기존의 종이SOP를 대신한 효율적인 SOP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발전소 내에 분산된 시스템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재난관리 및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여 재난 상황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발전소의 개발 시스템에 대하여 전사적 통합재난관리가 가능한 통합 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하였다. 재난 상황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수습 및 복구를 위하여 재난관리시스템 구축 및 소방설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진통합방재체계 구축을 위한 선진통합방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적으로는 재난 상황에 대하여 동적 대응이 가능한 실시간 SOP 매뉴얼의 시스템화를 최초 도입하였고, 방재 분야 및 방범, 보안 등 관련 분야의 기술 보급과 신사업 분야를 창출을 제시하였으며, 보건/안전/방재의 통합 관리를 위한 핵심 시스템을 개발 제시하였다. 경제적으로는 효율적인 방재활동과 체계적인 SOP에 의한 재난 관리로 인한 비용 절감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방재에 대한 통합 관제와 정전 등 비상시에도 대응 가능할 수 있게 시스템화하였고, 재난업무 추진을 위한 비전 및 전략 수립 지원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통합방재 시스템을 이용한 모의훈련을 통해서 초동 방재 대응 체계 구축에 의한 재난 리스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S화력발전본부에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나 향후에는 각 발전소에도 이와 같은 방재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각 시스템간의 연계성을 고려하고 확장성을 고려한 발전소 방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lectronic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ystem and the monitoring system with systematic and efficient disaster response in power plants. Integr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s enabled the appropriate response for the real-time disaster situation through a model for building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system in plants. Efforts were made to build the system for the whole plants based on the individual plant system. New system was developed to build the integrated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and fire-fighting management in an attempt to respond fast and efficiently. The real time SOP manual was systematical, allowing the dynamic response against disasters. Technology transfer and creation of new business were proposed in the field of disaster as well as criminal prevention. Core system development was also made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health/safety/disasters prevention. Economically efficient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as well as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systematic SOP may reduce various costs. Attempts were also made to systematically respond to the emergency such as power outage and to establish vision and strategy support. Costs of the disaster risk could be reduced by the proper system for early response through the simulated training.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xpand results of this study to other power plants.

      •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심종오 高麗大學校 情報保護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우리는 가정에서 회사에서 거리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여가를 즐긴다. 그러나 온라인 환경은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안 위협(해킹·바이러스 등)과 개인정보유출, 사이버 폭력 등에도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은 날로 심각해지는 보안 위협으로부터 내부정보 및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공공기관에서는 정보보호 관련 법령을 정비하여 법제도를 재정립하였고, 정보보호 인력을 확충 하였으며, 정보보호 체계 인증 제도를 통하여 기본적인 정보보호 활동을 체계화 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으로 방화벽, 침입탐지시스템(IDS), 침입차단시스템(IPS), DDoS방지시스템, 웹방화벽 등의 다양한 보안시스템의 운영을 위해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을 도입․운영하게 되었으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은 수집되는 보안 이벤트의 양이 무수히 많아 보안 관리자가 침해사고와 관련된 보안 이벤트를 인지하기 어렵고 상세분석, 상관분석이 되지 않아 침해사고 파악 및 조치가 어렵다. 또한 파악된 침해사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 보안장비에 다시 접속하여 제어해야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보안관리시스템 관련 선행연구와 공공기관에 기 구축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 및 한계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안 한다. 선행연구 및 구축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 구축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대용량 보안이벤트의 수집, 저장 및 처리 등의 문제점을 파악 하였고 개선 방향으로 보안이벤트의 수집 형태 및 방법의 개선과, 저장방식의 개선, 검색 및 처리 방법의 개선 등을 도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해지고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기관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자 할 경우 좋은 참조 모델이 될 것이다.

      • 품질경영시스템(QMS)과 환경경영시스템 (EMS)의 통합시스템(IMS) 구축에 관한 연구

        강태농 대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1987년이래 고객의 품질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로 품질경영시스템 및 국제인증제도 등이 도입되기 시작되고, 1994년 개정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만여개의 회사가 ISO 국제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고 있다. 또한 1996년부터 고객뿐 아니라 자연환경과 차세대까지도 고려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제도가 확산되어 새로운 세계표준으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목적과 시행주체들로 구성된 개별시스템을 기업에 병렬적으로 적용하게 되어 많은 자원의 낭비와 시스템의 운영효과 저하가 문제점으로 대두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품질, 환경 등에 대한 글로벌 스탠다드 중 가장 대표적인 품질경영시스템(ISO 9000)과 환경경영시스템(ISO14000)을 대상으로 공통적인 요소는 통합 조정하고 개별적인 요소는 독립적으로 그 역할을 다하도록 하는 통합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경영관리의 단순화 및, 비효율적인 업무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ISO 시스템에서는 조직·구조, 공정 그리고 자원 부문의 통합운영이 가능하여 이를 기초로 품질경영시스템과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합하는 시스템을 품질·환경경영시스템 칭하고, 품질·환경 경영체제 통합 구축의 추진방법과 절차의 비교분석 그리고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한 통합시스템 구축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품질경영시스템과 환경경영시스템의 구조와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양 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기본개념을 정립하고 비교분석 데이타를 구축하였다. 개별적으로 구축된 시스템에서 가지고 있는 품질요구사항 96개와 환경요구사항 64개 합계 160개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구조, 특징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양 규격상 그 의미가 동일하거나 아주 유사하여 서로 공통으로 직접 통합할 수 있는 '공통항목'이 23개, 서로 유사하여 품질과 환경항목에 각각 또는 조정 통합하여 설정할 수 있는 '유사항목'이 21개 및 요구사항이 서로 상이하여 품질 또는 환경에 각각 설정하여야 할 '상이항목'이 74개로 각각 분석되어 모두 118개 항목에 대하여 그 내용 및 규격번호를 상호 대비하여 비교분석표를 작성 완료하여 누구라도 이 분석표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양 시스템의 구조와 특징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품질 환경경영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본적인 데이타를 완성하였다. 둘째, 품질·환경경영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ISO 9001 및 14001 요건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품질 환경 통합매뉴얼 작성지침을 마련하였다. 품질 환경 매뉴얼은 ISO 14001의 관리사이클(PDCA)에 따라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ISO 9001과 ISO 14001의 요구사항 중 유사하며 통합 가능한 것은 통합하여 운영하되 유사한 요구사항일지라도 독자적으로 유지하여야 할 사항은 각각 운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통합매뉴얼 작성시 각 장에 해당하는 책임과 권한을 각 장에서 생략하고 '4.4.1 구조 및 책임'에 부표로 모아 기술하는 것과 조직의 명칭은 실제 조직명보다 기능 수행위주의 용어(부서명)을 사용하도록 하여 통합매뉴얼의 빈번한 개정을 피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각 요구사항별로 ①관련조항, ②작성지침 순으로 '4.1 일반요구사항'부터 '4.6 경영자 검토'까지 28개 항에 대하여 작성지침을 마련하였다. 세째, 품질·환경경영 통합시스템 구축의 일반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ISO 9001 및 ISO 14001의 요건을 조항, 요구사항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와 통합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건별 작성지침을 토대로 'A 회사'의 품질 환경 통합매뉴얼 작성작업을 실행한 결과 품질환경매뉴얼과 업무수행절차서(규정) 및 심사 체크리스트를 작성 예시하여 통합시스템 구축의 일반적인 모델을 사례중심으로 제시하게 되었다. 네째, ISO 규격에 따른 품질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 요건의 수를 줄이고 시스템 문서의 간소화를 이룩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품질 환경경영매뉴얼의 규격요건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통합작업을 수행한 결과 전체 품질환경경영통합시스템의 요구사항(규격)항목은 '공통항목' 30개, '품질항목' 54개 및 '환경항목' 30개로 모두 114개로 나타나는 바 통합시스템은 그 항목수로만으로도 당초 160개에서 114개로 46개(29%)가 줄어들게 되었으며 품질 환경경영매뉴얼상에서 서로 유사 및 중복되는 문구를 조항내에서 통합하여 간소화한 문서통합을 포함할 때 실제적인 시스템의 간소화 효과는 조항수 축소비율보다 클 것으로 예측되는 바 이는 실제 체크리스트에 의한 시스템 심사시 공통항목에 대하여 2중으로 심사되는 일을 배제하는 효과와 각종 문서, 서식의 통일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 통합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지적검사측량의 정확성 및 효율성 평가

        권종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측량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검사측량 방법의 제시를 위해 수치지역의 지적측량성과를 중심으로 기존의 검사측량방법과 새로운 측량방법인 통합측량시스템을 이용한 방법간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비교하여 현행 검사측량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지적검사측량은 대민의 입장에서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부분이며, 구속성과 확정성을 갖는 유일한 근거로서 법원의 확정판결서와 같은 효력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적검사측량이 원활히 수행되기를 바라는 입장에서 기존의 법·제도적인 개선에 있어서는 조직구성이나 예산등에 있어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단기적인 관점에서 개선하고자 접근하였다. 즉, 기존의 지적직공무원의 업무과다, 조직구성 및 인력부분, 측량 소요시간등의 문제점을 극복 할 수 있는 1인측량이 가능한 고정밀의 효율성 높은 VRS-GPS방법이나 통합측량시스템과 같은 장비가 현실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검사측량의 적용가능성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의 통합측량시스템을 이용한 정확도 비교에서는 X, Y좌표 모두 5cm 이상의 오차는 전자평판시스템에서는 16점, 통합측량시스템에서 7점으로 나타났으며, 1cm 미만의 오차는 전자평판시스템에서는 4점, 통합측량시스템에서 23점으로 나타나 5cm이상에서는 약 2.3배, 1cm 미만에서는 약 5.8배의 차이로 통합측량시스템이 정확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효율성 비교에서는 전자평판시스템에 의한 검사측량방법이 VRS-GPS장비나 통합측량시스템에 비해 인력적 소요는 1.5배가 더 투입되어야 하며, 시간적 소요는 1.4배가 더 소요되는 결과로 나타나 기존 측량장비에 비해 효용가치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VRS-GPS와 통합측량시스템의 경우 측량환경(조건), 측량수행자등에 따라 일률적이고 균등적인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측량의 집행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법․제도적인 개선보다는 단기적이고 현실적인 부분의 첨단장비의 이용 및 도입등의 전환이 보다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지적소관청의 VRS-GPS장비나 통합측량시스템의 측량방법 개선을 통해 현행 검사측량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인력부족과 업무과다등의 측면을 최소의 인력투입과 시간절약으로 보다 더 실효성 높은 현장 검사측량제도 구현이 조속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current cadastre inspection surveying between existing ​​cadastral inspection surveying and new ways of an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with evaluation of accuracy and efficiency that is focused on the numerical area to change of practical and efficient inspection surveying method according to change of surveying environment. The present cadastre inspection surveying is very sensitive and important part for position of citizens, It have a same effect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ement of court as restriction and determinacy. Also, The position of carried out of cadastre inspection surveying smoothly, existing laws and the institutional have a limitations of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budget that have approached to improve of short term viewpoint. In other words, Practically using VRS-GPS and an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is possible one person with high precision and efficiency that is very easy to applicability and overcome the problem of existing excessive task of cadastre officials,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manpower part, Surveying time required for cadastre inspection surveying. Therefore, The result of accuracy using electronic plane table system all of X, Y coordinates errors in the 5cm above the 16 points, An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showed 7 points, Error of less than 1cm occurred 4 points from electronic plane table system, 23 points from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can be confirmed with high accuracy about 2.3 times more than 5cm error, Less than 1cm error about 5.8 times. The result of efficiency using electronic plane table system is 1.5 times more than the labor input required and takes 1.4 times more time consuming compare to VRS-GPS and an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that value appeared more high in the existing surveying equipment. In conclusion, In case of VRS-GPS and an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occurred an uniformly and equally error that is more reasonable method to enforce the accurate integration surveying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advanced equipment using and introduction rather than long-term of laws and the institutional. Finally, It is expected to come true of high effectiveness cadastre inspection surveying through the change of surveying method or equipment by VRS-GPS and an integration surveying system in cadastral competent agency that can be overcome existing problems of shortage of manpower and excessive task part from time-saving and minimum human resources.

      •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설계 및 구축에 대한 연구

        이원희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We are living in information society now. There is also trend of informatization in medical field that is largely affected by outside environmen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rightly understand the abstract, function, expected effect and management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to use this system effectively for solving medical problem. It is fact that large-sized hospitals are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treatment of patients through build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individual system that is previously developed and used for treatment assistance, hospital affair or general management respectively to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odify patient information or treatment information data to the data suitable for new system and build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hospital through materializing data warehouse architecture with treatment information and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This paper describes abstract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organization of system, the character of system and the plan and materialization of database when build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context of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replaces the introduction through defining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and explaining the organization of this paper. Chapter 2 surveys theoretical background, neces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bstract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arranging it. Chapter 3 describes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character of each system through classify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to each individual system. Chapter 4 describes the materializa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example of hospital that uses this system and product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company. Chapter 5 concludes with condition for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barrier factor when building data warehouse architecture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effective operational method and necessity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at are suitable for conclusion.

      • B금융지주 은행계열사 정보시스템 통합 전략에 대한 연구

        구일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B금융지주는 각각 K도와 B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두 개의 지방은행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양 은행 계열사들은 과거 지방은행이 가지는 이점(지역민의 충성도, 지역 내 점포들을 이용한 밀착영업 등)을 통해 시중은행과의 경쟁 속에서도 건실한 성장을 시현해 왔다. 하지만, 2015년 금융위원회의 핀테크 육성방안에 의하여 비대면 실명인증이 가능해짐으로써 비대면 채널을 통한 예금과 대출상품 신규거래가 활성화 되었고, 카카오뱅크와 K뱅크로 대표되는 인터넷전문은행을 출범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금융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지방은행이 누리던 거점지역에서의 우위성을 무색하게 만드는 것으로써, B금융지주는 산하 은행 계열사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생존과 성장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 은행 계열사의 정보시스템 통합을 통한 경영합리화와 경쟁력 있는 시스템 구축이 그 대책 중 하나라고 판단하고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방법론과 통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유형, 원인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통합방법론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비대면 실명인증’,‘인터넷전문은행’의 두 가지 주요 제도변화를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 IDS 구현방안

        김경표 평택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화시대의 도래로 인해 정보통신 분야는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의 역기능 또한 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안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었고 최근에는 통합보안시스템의 도입이 점차 늘고 있다. 이것은 기존에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침입차단시스템, 침입탐지시스템, 앤티 바이러스 시스템 등의 보안시스템을 통합하여 원격으로 관리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 침입차단시스템의 보완적 의미로 시작된 침입탐지시스템의 도입은 통합보안관리시스템 구축의 핵심이 되고 있다. 침입탐지시스템은 정보시스템 내의 각종 자원에 대한 허가받지 않은 접근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에 대한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방어시스템을 말한다. 다양한 형태를 지닌 침입탐지시스템은 거대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탐지모델로 발전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확장되고 있다.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의 침입탐지시스템의 구축방안은 정책적인 측면의 구축방향과 물리측면의 구축방향 그리고 논리적 측면의 구축방향으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정책적 구축방향은 보안정책 수립에서 관리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방향을 결정하고, 이에따라 물리적 측면의 보안 시스템이 단계적으로 이뤄진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이 논리적 측면을 통해 유기적, 지능적,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 침입탐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시스템적 접근 방법인 분석, 설계, 구현, 관리의 4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단계별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첫째, 분석단계에서는 시스템에 대한 가능한 모든 대상과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여야 하며 둘째, 설계단계에서는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의 침입탐지시스템의 성능과 역할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해야하며 셋째, 구현단계에서는 외부위탁인지, 자체개발인지 또 외부위탁이라면 그 범위는 어디까지인지를 제품의 특성, 기능을 잘 파악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관리단계에서는 대상의 목적과 내용에 맞는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field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have been developing with the information-oriented times. But with this development, the side effects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also have appeared as a important social problem. To reduce this, the security system has been interested and the induction of the joi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 increasing as of lately. This means that uniting and putting each individual security system like a Fire wall system and a Intrusion Detection system, a anti virus system under remote control. The induction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that compensates for Fire wall system is the core of establishing the joi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A Intrusion Detection system is a protection system performing watch function to protect or minimize the losses. Because it can find a access without permission immediately. A Intrusion Detection system with a diverse form is growing as a detection model in this huge network and expanding of the marketing scale. The establishing plan of the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the joi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should be set up after considering all the information concerning dividing it into the political side and the physical side, logical side. A political establishing plan makes the direction step by step from setting up the security system to managing it. And the security system to the physical side follows it. Also these factors follows through the logical side organically, intellectually, and mutually. To establish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the joi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it was divided into 4 steps of the analysis and the design, the embodiment, the management. And the things to be considered in the each step follows. The first thing is that it has to be analyzed all object and possibility out in the analysis step. The second thing is that in the design step it has to determine the terms desired from the capability and the role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the joi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e third thing is that it has to determine the range of embodying according to the judging if it is commission development or its own development in the embodiment step. Finally, it has to be executed an appropri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 object and content.

      • 환경·안전의 통합운영 시스템개발

        허두욱 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제사회는 WTO 출범 이후 시장 개방압력 등 무한 경쟁 체재로 돌입하였으며 선진국의 적극적인 기술 보호주의 등장은 기업의 경영혁신과 기술의 고도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환경이 국제적, 사회적 문제로 심각하게 대두되어 국제사회에서는 무역장벽으로서 존재하고 2002년 7월1일부로 우리 나라도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됨에 따라 안전 및 환경친화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안전성이 미 확보된 제품은 수요가 줄고 있다. 이에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실현이 기업의 의무이자 생존의 수단이기에 국내외 기업들은 제품의 안전성과, 주위환경의 영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경영시스템과 제조물책임 제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합하여 환경과 안전의 복합적인 영향을 고려하고 다양한 요구사항의 누락방지와 균형 있는 업무수행을 가능하게 하여 기업의 환경·안전통합운영시스템의 모형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1. 환경경영시스템 및 PL의 문헌과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2. 제조물책임법을 기업경영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이를 PDCA관리싸이클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각 단계별 요구사항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고려사항을 PLP, PLD, PLI를 고려한 PL시스템을 제시하였다. 3. 통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환경경영시스템과 PL시스템을 환경과 안전을 고려하여 비교 분석하고 공통부분을 도출하여 통합하였다. 4. 도출한 공통부분을 PDCA싸이클에 적용하여 통합부분에 대한 요구사항과 고려사항을 기술하여 환경·안전통합 운영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환경·안전통합 운영시스템을 통하여 인적, 물적 자원의 중복투자 회피와 같은 직, 간접 비용절감과 기업의 이미지개선 및 제품의 경쟁력 확보와 전원의 환경과 PL에 대한 책임과 인식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ntered the boundless competition system such as market opening press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WTO. In addition, the advent of the aggressive technology protectionism in advanced nations is demanding corporate management innovation as well as technology sophistication. Furthermore, the environment has become an international and social issue. It exists as a trade barri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of July 1st 2002, the manufactured goods responsibility law was implemented in Korea, and the demand from consumers for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has increased. In this context, products lacking safety are losing their ground and their market share is dropping impeding the corporate growth. Therefore, domestic companies as well as foreign ones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product safety and impact on surroundings since materialization of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s both corporate obligation and means of survival.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and integrate th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manufactured goods responsibility systems and to consider complex impact of environment and safety. It also intends to ensure that none of the various demands is overlooked and that a balanced management is feasible. By doing so, this research wants to see that companies effectively achieve their objectives by corporate environment system models as well as the integrated safe management system models. This research's proces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taken an approach from a corporate management standpoint o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preceded research on PL and manufactured goods responsibility law. It has applied them on PDCA monitoring cycle. Second, it has proposed a PL system considering the PLP, PLD, and PLI by classifying demands by phase. Third, it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PL systems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safety. It has drawn a common area and has integrated them. Fourth, it has applied the drawn common area on the PDCA cycle. It has established an integrated environment-friendly and safe management system by describing demands and considerations on integrated areas. By such an integrated environment-friendly and safe management system, overlapping investment o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ll be avoided, and direct as well as indirect expenses will be reduced. In addition, corporate image can be improved and product competitiveness can be enhanced. Workers' responsibility and awareness on environment and PL can be improved as well.

      • 통합소방방재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 방재시스템을 중심으로

        이용선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발생되는 재해는 초대형화 및 다양성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며, 효과적인 예방과 대책방안을 위하여 소방방재의 통합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에 대한 현황조사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관련 문헌의 이론적인 고찰과 새로운 통신시스템을 다른 시스템으로 선진 기술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소방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중요하고, 비화재보/오보 방지, 통신선로의 다중화 등이 필요하며,일반인들의 소방에 대한 안전의식과 적극적인 참여의 필요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화재수신기와 타설비 간 상호시스템의 통합적으로 통신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하며 환경적인 조성을 기본바탕으로 통신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화재수신기의 신호를 외부에 전달 및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외부 통신망을 국제 표준화 방식 TCP/IP 와 인터넷을 기본으로 표준화시켜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야 한다. 넷째, 빌딩 및 공동주택처럼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국제적인 빌딩자동화 통신시스템은 많은 타설비와 겸하여 운영을 하여야 하고, 우리나라의 건축물은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통합방재시스템을 개발하여 표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였다. The disaster which occurs recently is quick about extra-large size and variety is accurat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which and a countermeasure plan constructed the network system which fire fighting prevention of disaster is integrated and operates and the method which discussed a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and a problem point about existing system and from the present paper grasped with the system which is different a new communication system and with the investigation which the relation literature is theoretical investigation research of advanced technique led constructs the system which is integrated the operation plan which presented. The main subject with afterwords is same. 1. For an integrated prevention of disaster system construction from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fire fighting system to be important, expense The anger treasure/multiplexing etc. of incorrect report prevention and the communication railway line to be necessary, about fire fighting of the common people inside With intention to fight must have the necessity of the participation which is active. 2. Integrated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fire receiver between, the receiver and other equipment between trade name system Must be constructed, the creation which is environmental with basic character standardization of communication protocol Base must come. 3. Delivery and controls the signal of the fire receiver on the outside and in order operates efficiently from The external network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method TCP/IP and to standardize the Internet in basic, Must repeat a silver research. 4. Like the building and the public housing the formation building in case the building automatic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n international Many other equipment and to combine and must operate, our country building actual and America The develops the integrated prevention of disaster system which is aimful and standardizes and the plan for under presenting 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