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니어관광객의 가치관,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 방한 중일 관광객 비교 연구

        박혜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시니어관광객의 가치관,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관광만족 간의 영향관계 : 방한 중·일 관광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ior Tourists′ Values, Motivations,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in Korea 관광경영학과 박 혜 영 지 도 교 수 조 명 환 세계적으로 노령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는 관광산업촉진을 위해 직접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노령인구 증가로 인한 시니어시장의 활성화는 시니어관광객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물론 이들을 위한 관광수용태세준비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나라 또한 시니어관광객의 대상으로 한 관광정책수립, 관광상품 개발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반해, 관광분야의 연구자, 실무자들은 방한 시니어관광객들의 일반적인 개인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관광목적지관리 방안에 대한 논의에 치중할 뿐 이들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미래지향적인 산업발전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한 중·일 시니어관광객의 관광행동의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가치관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들의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관광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실시되었다. 현재까지 관광만족의 예측을 목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심리적 가치관의 선행적 역할을 간과하고 있다. 사회심리, 마케팅, 그리고 소비자행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치관의 척도는 Kahle & Goff의 LOV 척도를 기반으로 한 전통주의 그리고 개인주의 가치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소비자만족 그리고 행동의 예측에 실증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통적/개인적 가치관의 이론적 접근과 관광객행동과 관련된 주요 속성들을 고려할 때 방한 중·일 시니어관광객의 가치관의 측정은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그리고 관광만족의 인지적 요인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는 가치관을 개인가치관(내부지향가치관 그리고 외부지향가치관)과 전통가치관(권위주의가치관, 집단주의가치관, 그리고 인본주의가치관)으로 분류하고, 재충전동기, 과시동기, 그리고 친교/경험동의 하부요인을 포함한 관광동기, 안전/매력성, 경관/시설성, 체험성, 서비스성의 하부요인들을 포함한 관광지선택속성, 그리고 단일차원으로 구성된 관광만족의 개념을 제안모델에 포함하였다. 개념들 간의 영향관계 검정의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자료는 서울과 부산을 방문한 495명의 중·일 시니어관광객의 응답을 활용하였으며, 제시된 가설검정을 위해 실증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1의 가치관과 관광동기간의 영향관계의 결과에서는 “과시동기”는 내부지향가치관, 외부지향가치관, 그리고 집단주의가치관, “재충전동기”는 외부지향가치관과 집단주의가치관, “친교/경험동기”는 외부지향가치관, 권위주의가치관, 집단주의가치관, 그리고 인본주의가치관에 의해 각각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의 가치관과 관광지선택속성간의 관계의 결과에서는 “안전/매력성”은 내부지향가치관, 외부지향가치관, 권위주의가치관, 집단주의가치관, “경관/시설성”은 내부지향가치관, 외부지향가치관, 권위주의가치관, 그리고 집단주의가치관, “체험성”은 내부지향가치관, 권위주의가치관, 인본주의가치관 의해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관광동기와 관광지선택 간의 영향관계 검증의 결과에서는 “안전/매력성”과 “경관/시설성”은 재충전동기, 과시동기, 친교/경험동기, “체험성”에는 과시동기, 그리고 “서비스성”은 재충전동기, 과시동기, 친교/경험동기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4와 가설5의 관광동기와 관광지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검정결과는 3개 관광동기요인과 관광지선택속성의 안전/매력성이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일 시니어관광객의 가치관(개인가치관과 전통가치관),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관광만족 간의 영향관계의 결과는 국적에 따른 중·일 시니어관광객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준다. 이는 시니어관광객의 관광행동을 이해하는데 이론적·실무적으로 기여한다. 둘째, 중·일 시니어관광은 개인가치관의 외부지향가치관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전통가치관의 권위주의가치관과 집단주의가치관에 대해 높게 인식한다는 결과는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관련자들에게 시니어관광객에 대한 응대서비스의 참고자료를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관광동기의 과시동기와 관광지선택속성의 안전/매력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다양한 국가관광지들이 시니어관광객을 대상을 하는 마케팅전략의 수립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시니어관광객, 가치관,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관광만족

      • Mixture Model을 사용한 시니어관광객의 추구편익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 : K-means Clustering과 Mixture Model 비교를 중심으로

        조아람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관광객의 편익추구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일반 세분화연구에 많이 쓰이는 K-means Clustering과 Mixture Model의 방식을 비교하여 세분화연구에 좀 더 합리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각각의 분석방법은 적중률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모집단의 비율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따라서 Mixture Model을 사용한 세분화연구가 더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시니어관광객의 편익추구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8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편익추구를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총 4개의 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출된 요인은 ‘경험 추구형’,‘휴양·휴식 추구형’,‘자연감상 추구형’, ‘오락 추구형’이라고 명명하였다. BIC값을 통해 최적세분시장 수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총 4개의 최적세분시장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각각의 세분집단의 특성을 프로파일링 한 결과, 각 세분시장 특성에 따라 ‘다편익 추구형 집단’,‘자연감상 추구형 집단’,‘휴양·휴식 추구형 집단’,‘경험 추구형 집단’ 이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액티브 시니어 트레킹 관광객의 감각추구성향이 몰입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종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sensation-seeking tendency, immer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ctive senior tracking tourist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compos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tracking tourists in their 50 or up who experienced the tracking tour, extracted by utiliz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20.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subjects were tracking tourist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the thrill & adventure-seeking tendency and experience-seeking tendency of sensation-seeking t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mersion. In this result, when the tendency to seek thrill or adventure is high, or when the tendency to seek experience like unscheduled trip or meeting with special people is high, the immersion of tracking tourists gets high. Second, the immer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control over environment, purpose of life, and personal growth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result, when the tracking tourists feel a great sense of well-being, put efforts to get information, and feel tracking as the most favorite leisure activity,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latent realization of tracking activity is positively formed. Third, the disinhibition tendency of sensation-seeking tendency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self-accept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result, when the tendency to seek social taboos or deviation from situation is higher, the acceptance of existential value to accept their looks as they are gets lowered. Fourth, the disinhibition tendency and boredom susceptibility tendency of sensation-seeking tend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when the disinhibition tendency was higher,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ecreased. When the boredom susceptibility was higher,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increased. Fifth, the thrill & adventure-seeking tendency and disinhibition tendency of sensation-seeking tendency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control over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result, when the tendency to seek thrill & adventure related to tracking is higher, and when the disinhibition tendency like betting on sports games is higher, the control over environment meaning their will to perfectly handle their work, efforts to practice plans, and performance of responsibility gets lowered.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research targeting the senior tracking tourists getting the limelight in many fields as a new type of tourism. Also, as a practical implication, even though the conversation with people met from tracking could arouse interest a bit, it did no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state. This means that the senior citizens prefer having conversation with people, and the process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could be working negatively. Eventually, the proactive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so that the senior tracking tourists would not feel pressured when building up relationships with others during tracking tour. In case when there ar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tour, the new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m immediately.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 트레킹 관광객의 감각추구성향, 몰입,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트레킹 관광분야의 이론적 확대에 기여하고 제시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향후 트레킹 분야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여 추출한 트레킹 관광을 경험한 만 50세 이상의 트레킹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이 트레킹 관광객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감각추구성향의 스릴 및 모험추구성향과 경험추구성향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레킹 관광객이 트레킹을 하는 과정에서 스릴이나 모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거나 계획에 없는 여행이나 특별한 사람을 만나는 등 경험을 추구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탈억제 성향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권태에 대한 민감성성향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시니어 계층이 트레킹 관광을 함에 있어 시간이나 만남의 대상이 누구인지는 몰입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몰입은 심리적 웰빙의 자기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목적, 개인적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레킹 관광객이 트레킹을 하면서 느끼는 행복감이 높고 정보를 얻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나아가 트레킹을 가장 선호하는 여가활동으로 느낄수록 트레킹 활동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잠재력의 실현이 긍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 성향은 심리적 웰빙의 자기수용에 유의한 부(-)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으로 금기시하는 일이나 상황 등에 대한 일탈을 추구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할수록,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는 존재가치에 대한 수용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 성향과 권태에 대한 민감성 성향은 심리적 웰빙의 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탈억제 성향이 높을수록 긍정적 대인관계의 심리적 웰빙은 감소하는 부(-)의 관계이며, 권태에 대한 민감성 성향이 높을수록 긍정적 대인관계의 심리적 웰빙은 증가하는 영향 관계가 파악되었다. 다섯째, 감각추구성향의 스릴과 모험추구 성향과 탈억제 성향은 심리적 웰빙의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트레킹에 대한 스릴과 모험에 대한 성향이 높고 스포츠 경기에 내기를 거는 등의 탈억제 성향이 높을수록 자신의 할 일을 잘 처리하려는 의지나, 계획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 책임에 대한 수행여부를 의미하는 환경에 대한 통제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술적 시사점으로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는 시니어 계층의 트레킹 관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새로운 관광의 한 형태인 트레킹 관광을 행하는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에 따라 학술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트레킹을 통해서 만나는 사람들과의 대화는 일정부분에서 흥미를 발생시키지만, 심리상태에는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니어 계층은 사람들과의 대화를 나누는 것을 선호하지만, 그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시니어 트레킹의 관광객들이 트레킹 관광을 하면서 타인과 관계를 형성할 때 관계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사전 관리가 이루어져야하며, 관광을 하는 과정에서 관계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즉시 반영한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웰니스관광 선택속성이 만족과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 -중국 액티브시니어를 중심으로-

        간웨이치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9

        현대인들은 가정 및 사회관계망의 약화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신체적 질환 증가, 경제적 여건의 불안 및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개인들이 육체적·정신적으로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김병헌, 2016).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편리함의 속에서도 스트레스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 상황에 힐링과 치유 등이 사회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게 되면서 휴식 및 치유가 관광의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황지은·장태수, 2021). 한편 건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웰니스는 의학적 범위를 넘어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등 다차원의 건강의 균형과 통합을 통해 최상의 건강상태를 위한 건강한 생활방식을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이다(유숙희·이훈, 2020). 이와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 회복 및 치유 등 목적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웰니스관광은 이러한 세대의 새로운 관광 트렌드가 되었다. 웰니스관광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관광산업으로 계절적 요소에 의존하지 않는 한편, 개별 관광객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웰니스 요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관광산업의 대안으로 여겨진다(한국관광공사, 2018). 이러한 상황에 베이비붐 세대에 속한 50대~60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있는 액티브시니어들이 소비와 여가생활에 있어 중국사회 주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투자데이터베이스(2023)에 의하면 중국 웰니스관광은 주로 건강에 대한 수요가 있는 경제력과 여유로운 시간을 가진 노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50대~70대 중장년층 관광객들은 웰니스관광 산업의 주요대상으로 간주되며 그 중 50대~60대가 가장 활발하게 웰니스관광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 중국 웰니스관광 산업의 발전에 있어 액티브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웰니스관광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면 서양에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웰니스관광을 주목하면서 학술적 측면에서도 연구가 지속 되어 오고 있는 반면 중국에서 웰니스관광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웰니스관광에 관한 질적 연구 제안, 인식, 동기와 만족 간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계속해서 웰니스관광 산업이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 또한 활성화, 다각화되어야 한다(김병헌, 2016; 배정연, 2020; 맹해영, 2021; 황지은·장태수, 2021; 배소현·이수안, 2022). 이에 본 연구는 웰니스관광에 참여했던 중국 액티브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그들이 웰니스관광 선택속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웰니스 관광활동에 참여를 선택 결정하는 속성을 밝혀냄으로써 후속 연구의 확장에 도움을 줄 것이며 관광객 수용태세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액티브시니어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웰니스관광 선택속성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웰니스 관광객 지향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광객들을 유인하기 위한 방안 마련은 몰론 웰니스관광 산업의 도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웰니스관광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만족과 웰니스관광에 지속적 참여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함으로써 웰니스관광 상품을 개발하여 향후 웰니스 관광객 만족뿐 아니라 웰니스관광에 지속적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여 웰니스관광 산업의 체계화를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각 지역 관광청, 웰니스관광 관련 기업과 웰니스관광 목적지 담당자에게 궁극적으로 관광객 유인과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웰니스관광에 참여했던 중국 액티브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 집단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응답 시 유의사항을 서두에 명기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3년 6월 19일부터 7월 6월 30일까지 12일 동안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총 461부를 회수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38부를 제외한 총 423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26.0 버전)를 이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표본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에는 각 변수에 대해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성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 간의 상관광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웰니스관광 선택속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직업, 웰니스관광 참여유형, 웰니스관광 비용, 정보원천에 따라 웰니스관광 선택속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니스관광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효용적 가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요인이 모두 지각된 가치의 하위요인인 효용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니스관광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쾌락적 가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요인이 지각된 가치의 하위요인인 쾌락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적 요인이 쾌락적 가치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웰니스관광 선택속성과 만족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요인이 모두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와 만족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효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 역시 만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웰니스관광 선택속성과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효용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요인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가치에 해당하는 효용적 가치가 부분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웰니스관광 선택속성과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쾌락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지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요인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쾌락적 가치가 부분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족과 지속적 참여의도의 영향관계 역시 만족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에 제시된 연구결과들은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존 연구에서 연구되지 않은 액티브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웰니스관광의 발전방향을 확립하고 관광객들의 지속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관광산업에서 관광객들이 추구하는 가치는 환경과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해가는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선택속성이나 변화된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웰니스관광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시대에 따른 대응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 중국 액티브시니어의 관광동기와 관광의도간 관계에서 해외 관광위험지각에 의해 조절된 관광지 선택속성의 매개효과

        장후이위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income level, the progress of the living environment, the improvement of health awareness,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technology,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being extended. Take China, a country with the large population in the World population, for example, as it enters the aging society in 2022, with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the demand for leisure life is also growing, and tourism has become an essential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China is the world's largest overseas tourism consumer, with over 20% of tourists being elderly, and its consumption power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young people. Due to the shrinking family and Role, the elderly have more leisure time than the young, have a stable consumption surplus, and are pursuing well aging.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grasp the new market dominated by the elderly. Especially with the gradual shift from group travel to individual free travel, overseas travel based on inter-country behavior is influenced by many risk factor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tourism risk perception,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intention. It not only targets the Chinese government and outbound travel agencies within China but also proposes tourism policy promotion and marketing management plans for other countries' outbound travel agencies for active elderly tourists in China; It also tries to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and necessary enlightenment for China's active elderly tourists to develop tourism products and formulate Marketing strategy for Sustainable tourism management. In this regard,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active elderly people in China. The hypothesis valid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ourism motivation has a positive (+) directional impact on the physical attributes, proximity, and leisure activities of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econdly, tourism motivation has a positive (+) impact on tourism intention; Thirdly, the physical attributes, proximity, and leisure activities of scenic area selection have a positive (+) directional impact on tourism intention; Fourthly, the physical attributes, proximity, and leisure activities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ll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and tourism intention; Fifthly, the four factors of financial, physical, social, and functional factors in tourism risk perception all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and tourism intention; Sixthly, the media effect of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between tourism motivation and tourism intention will be regulated by money, physical and functional Sex tourism risk perception, while social Sex tourism risk perception does not regulate the media effect of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have been drawn.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ctive elderly tourism motivation and overseas tourism risk perception, which are highly regarded in tourism enterprise marketing, affect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intentions of tourist destinations; The study on the active elderly population in China with sufficient leisure time and stable economic consumption surplus can be said to have academic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in tourism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stimulate the desire of Chinese elderly people to break free from repetitive daily life and enjoy leisure in their hearts and lives. Through overseas tourism, they can enjoy leisure and live in harmony with their members in the family or social interactions; Consider forming cohesion and a sense of connection. Especially in other countries, the pursuit of knowledge through new experienc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pursuits meets the demand for new explorations, especially when planning overseas tourism to pursue a life that aligns with social status. It is reported that the intention to promote overseas tourism in a highly focused manner also includes showing off motivation. Therefore, when showcasing the social status and taste of tourists to others in overseas tourism,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developing tourism products worth showing off. Secondly,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elderly people express their tourism intentions, they not only consider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overseas tourism but also consider beautiful landscapes and tourism resources, pursuing a harmonious, comfortable, and clean environment and facilities with the surrounding scenic areas. Regarding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scenic spots. In additio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ourism practitioners by providing them with sufficient tour guide information and friendly service training, with a focus on ensuring the quality of personnel services, is also an inspiration. It is worth mentioning that scenic spots need to maximize inconvenient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complete road facilities, not to mention the need for complete infrastructure such as bathrooms, parking facilities, or restaurants for elderly tourists during travel, in order to ultimately enhance tourism intentions. Thirdly, tourism enterprise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reduce their perception of tourism risks. In terms of overseas tourism, in order to eliminate concerns about high prices and unexpected expenditures or large expenses in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find systematic management sol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 in order to revitalize the tourism market,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the inbound tourism market, as well as the role of suppressing windfall profits or supervising the tourism market in tourism, improv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positive results in the tourism market profit.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tourists,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unreasonable travel schedule, they are more likely to feel tired than tourists of other classes, and may not conform to the water, food, climate, etc. of other countries due to aging, which can overcome the perfect overseas Travel insurance system and tourism,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or medical facilities.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soil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robberies, pickpockets, etc. from happening overseas, and to cater to elderly tourists, these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Moreover, in terms of overseas tourism, in order to eliminate the danger of getting lost in other countries due to language barriers, it has also hinted a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telligent tourism that utilizes the Chinese version of travel guide information manuals or digital technology. Due to the difficulty of currency exchange and the danger of carrying and keeping a large amount of cash, the scope of use of UnionPay (China UnionPay Card) has been expanded. In addition to the use of China's online payment means such as Alipay and WeChat payment, only by fully providing payment convenience can the obstacles in tourism be overcome to the greatest extent. In addition, consumption will be stimulated through tax exemptions and various settlement activities. It is understood that if elderly tourists are dissatisfied with the event due to accidents or schedule changes during tourism, they should propose monetary compensation for the tourists and give them confidence in investing time through appropriate time arrangements. In addition, as active elderly people prefer personal tourism, and this proportion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for tourism companies to activate elderly intelligent tourism technology, give motivation, and plan elderly-friendly tourism products to eliminate the information gap among active elderly tourists. Finally, to respond to and meet the constantly changing tourism market and consumer needs, tourism companies will need to develop more scientific tourism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By addressing the perception of tourism risks among elderly tourists and providing solutions to unexpected changes, we aim to suppress negative factors in tourism decision-making and achieve effective results, with the potential to take it to the next level. In this regard, the substantive orientation has been put forward in the formulation of overseas tourism Marketing strategy, which will become a specific guide for different treatments. 경제발전으로 국민 소득수준 향상과 생활환경 개선에 더해, 건강 의식의 제고와 현대 의학 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다. 세계적인 인구 대국 중국의 경우 2022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해,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여가생활의 욕구도 커지면서, 여행을 삶의 질을 높여주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중국은 전 세계 최대의 해외여행 소비국의 지위를 차지해, 관광객 중에 시니어 관광객 수가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젊은 층보다 현저히 높은 소비력을 보이다. 시니어 계층은 가정 및 사회의 역할축소로 젊은 층보다 충분한 여유를 갖게 되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소비 여력이 갖추고 있고, well-aging을 추구하고 있으니, 시니어 계층이 주도한 새로운 시장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다. 특히 기존의 단체여행에서 점차 개별 자유여행으로 변화되고 있어, 국가 간 이동을 바탕으로 한 해외여행에 많은 위험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동기, 관광위험지각, 관광지 선택속성 및 관광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중국 정부 및 중국 내 아웃바운드 여행사뿐만 아니라 중국 액티브시니어 계층 관광객의 타겟으로 다른 나라의 인바운드 여행사의 관광정책 홍보 마케팅관리 방안, 그리고 중국 액티브시니어 계층 관광객을 위한 관광상품 개발과 지속가능한 관광지 경영관리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 및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실증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중국 액티브시니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동기가 관광지 선택속성의 물리적속성, 접근성, 레저활동인 3가지 요인에 모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광동기가 관광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관광지 선택속성의 물리적속성, 접근성, 레저활동인 3가지 요인이 모두 관광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광지 선택속성의 물리적속성, 접근성, 레저활동인 3가지 요인이 모두 관광동기와 관광의도간의 관계에 부분매개를 나타났다; 다섯째, 관광위험지각의 금전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적 4가지 요인이 모두 관광동기와 관광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광동기와 관광의도 간의 관광지 선택속성의 매개효과는 금전적, 신체적, 기능적 관광위험지각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사회적 관광위험지각은 관광지 선택속성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관광기업 마케팅에서 주목받고 있는 액티브시니어 관광동기와 해외 관광위험지각이 관광지 선택속성 및 관광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여가시간이 충분하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소비 여력이 갖추고 있는 중국 액티브시니어 계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관광기업에서 중국 액티브시니어들의 내재적으로 반복되는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마음과 삶의 여유를 갖고자 하는 욕구를 자극해야 하며, 해외관광을 통해 여가를 즐기고 가족 또는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원들과의 화합, 결속력 및 유대감 형성을 해주는 데에 고민해야 한다. 특히, 타국에서 새로운 경험 및 역사 문화를 통한 지식 추구, 새로움에 대한 탐구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특히, 해외관광에서 사회적 지위에 맞는 생활 추구를 위해 해외관광 계획을 하거나, 높은 관심으로 해외관광을 하고자 노력할 의도를 유발한다는 것은 과시 동기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이에 해외관광에 관광객의 사회적 지위와 품위를 타인에게 과시할 때, 구전해줄 만한 관광상품 개발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중국 액티브시니어들은 관광의사를 내릴 때, 해외관광에서 다양한 레저활동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경관 및 관광자원을 고려하며, 관광지 주변에 잘 이룬 환경과 조화, 쾌적하고 청결한 환경과 시설을 추구한다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에 관광지 관리개발에 고민해야 한다. 또한, 관광종사원의 전문성을 제고해 그 들의 충분한 관광안내정보 및 친절한 서비스 교육을 통해 인적서비스 품질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시사하고 있다. 특히, 관광지에서 최대한 불편 없고, 편리한 교통수단 및 잘 되어 있는 도로 시설을 잘 이루어져야 하며, 더구나 이동 중에 시니어 관광객이 필요한 화장실, 주차시설이나 식당 같은 완비한 인프라 시설을 구축해야 궁극적으로 관광의도를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관광기업에서 관광위험지각을 최대한 낮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외관광에 있어 타국의 고물가 및 예상치 못한 경비 지출이나 바가지요금의 발생의 대한 걱정을 소멸하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찾아야 하며, 정부의 측면에서도 관광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체질 개선 및 관광 중 바가지요금을 억제하거나 관광시장을 감독해 주는 역할을 주도해 지역 경쟁력 제고 및 관광시장 이윤 창출한 긍적적인 결과를 추진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니어관광객의 특성상 불편한 교통수단하고 무리한 관광 일정으로 인해 타 계층 관광객보다 쉽게 피곤을 느끼며, 신체적인 노화로 인한 타국의 물, 음식, 기후 등에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완비한 해외관광 보험 체계 및 관광하고 의료기관이나 의료시설의 구축을 개선함에 극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외에서 교통사고, 풍토병, 전염병, 강도, 소매치기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시니어 관광객을 맞추기 위해서는 이러한 고민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해외관광에 있어 타국의 언어장벽 문제로 인한 타국에서 길을 잃을 위험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 중국어판 관광안내정보 책자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관광의 개발 필요성도 시사한다. 화폐 환전의 어려움과 대량 현금의 지참하고 보관하는 위험성으로 유니온페이(중국 은련 카드)의 사용 범위를 확대함으로 더해서 알리페이, 위챗페이와 같은 중국 온라인 결제 수단을 활용할 수 있게끔 결제 편의를 충분히 제공해야 관광에 있어 장애를 최대하게 극복할 수 있고, 더불어 세금 면제 및 다양한 결제 이벤트를 통해 소비를 자극하는 데 마련이다. 관광하는데 발생하는 사고나 일정 변경 등으로 인해 액티브시니어 관광객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관광객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적절한 시간 안배로 관광객의 시간 투자에 대한 확신을 주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액티브시니어가 개별 여행을 선호하고 이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관광기업은 액티브시니어 관광객의 정보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시니어 스마트관광 기술을 활성화하여 동기를 부여하고, 고령 친화 관광상품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끊임없는 관광시장과 소비자 욕구의 변화함을 응대하고 충족하기 위해서 관광기업은 보다 과학적인 관광시장 세분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을 것이며, 시니어관광객의 관광위험지각에 대안과 예상치 못한 변화에 해결책을 통해 관광 의사결정에 부정적인 요소를 억제해 효과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는데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해외관광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차별화할 수 있는 세부 지침이 될 것이다.

      • 노년층 해외 개별여행객에 대한 여행의 심리적 효과 : 심층면접법을 바탕으로

        김미래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87

        전 세대 모두가 가장 원하는 여가활동은 단연 여행이다. 여행은 우리의 인생에서 다양한 긍정적 역할을 해왔다.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 조치를 기점으로 해외여행을 떠나는 국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여가시간 확대와 저가항공의 증편으로 국민의 해외여행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여행의 형태는 크게 패키지여행과 개별여행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오늘날의 여행자들은 패키지여행보다 여행사의 개입이 없는 자유로운 개별여행을 훨씬 선호한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세대 뿐 아니라 60세 이상 시니어 해외여행객도 마찬가지이다. 시니어는 개별 자유여행을 선호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시니어의 여행형태가 점차 패키지여행에서 해외 개별여행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오래되지 않았으며, 시니어의 여행형태 변화에 따른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60세 이상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객의 여행 경험을 연구하기 위하여 10인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현상학적 분석 절차 중 하나인 Giorgi의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 및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60세 이상 시니어의 해외 개별여행 경험 및 심리적 효과는 3개의 주제에 대한 8개의 구성요소, 20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3개 주제와 8개의 구성요소에 따른 개별 연구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를 기술하고, 전체 연구참여자들의 관광경험을 일반적 구조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 번째 주제 ‘해외 개별여행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는‘기억에 남는 개별여행 경험’, ‘추구편익’, ‘관광제약’, ‘여행기술 증가’로 구성되었다. ‘기억에 남는 개별여행 경험’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새로운 경험’, ‘의도치 않은 우연’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추구편익’에서는 ‘이동의 편리 추구’, ‘숙소의 편안 추구’, ‘목적 달성 추구’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관광제약’의 하위 구성요소는 ‘관광정보 접근 제약’으로 도출되었으며, 마지막 구성요소인 ‘여행기술 증가’에서는 ‘경험 축적에 따른 여행기술 증가’가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주제인 ‘해외개별여행 전·후 차이’에서는 ‘여행 전 심리적 상태’와 ‘여행 후 심리적 변화’그리고 ‘개별여행의 효능’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여행 전 심리적 상태’에서는 ‘여행 전 일상에서 느낀 감정’과 ‘여행 전 느낀 감정’의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여행 후 심리적 변화’에서는 ‘재충전’, ‘자아효능감 향상’, ‘일상에서의 이해의 폭 확대’의 하위 구성요소가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별여행의 효능’ 구성요소에서는 ‘탈일상’, ‘자아정체성 찾기’, ‘사회적 교류’, ‘신기성의 이해와 적응’의 하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주제인 ‘60세 이전·이후의 여행 차이’에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여행의 변화’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 신체적 약화’, ‘정신적 약화’, ‘경제적 약화’, ‘자유 획득’의 4가지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객의 경험과 해외 개별여행의 심리적 효과를 다뤘으며,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객의 여행경험이 젊은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과 시니어가 해외 개별여행의 심리적 효과를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참여자 선정을 수도권 지역에 국한하여 진행하였고, 10인의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해외 개별여행 경험에 의거하여 재구성한 질적 연구로, 60세 이상 시니어 해외 개별여행 경험을 일반화하기 어렵다. 또한 의도하지 않았지만 연구참여자가 높은 연금을 받는 직종의 종사자였기 때문에 시니어 해외개별여행객 전체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액티브시니어의 능동적 참여 스포츠관광 체험 분석 : 모터사이클 라이더를 중심으로

        정봉규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031

        본 연구는 모터사이클을 중심으로 액티브시니어의 능동적 스포츠관광 체험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모터사이클을 타는 액티브시니어의 능동적 스포츠관광을 체험하게 될 때 느끼는 개인의 감정과 액티브시니어의 능동적 스포츠 관광 참여를 통한 개인적·사회문화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체험과 문화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현장에서 진술하는 내용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자료의 수집기간은 총 8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단체면담), 내용분석(체험기술, 참여일지, 문헌자료), 참여관찰(비디오 자료)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처리되어 이야기(narrative) 형태로 주제별로 약호화 하여 소주제들을 찾아내었고, 그 연계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개념들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터사이클을 통해 스포츠 및 스포츠관광 활동에 참여하여 긍정적인 감정과 요인들을 경험한다. 모터사이클을 통해 젊음, 성취감, 자기과시 욕구 해소 등을 경험하고, 모터사이클 투어를 통해 자유, 힐링, 풍경 감상 등 여행을 통해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경험하며 모터사이클 동호회를 통해 새로운 사람들과 만나고 갈등을 해소하며 대인 관계에 있어서 활발함을 경험한다.

      • 액티브시니어의 소셜미디어 관광정보 탐색행동 연구 : 관광정보 가치가 소셜미디어 사용동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66783

        Unlike the passive senior customers, active seniors, who fulfill his or her health and wealth and pursuit conative and active life, are emerging as a new consumer group. Tourism Industries are also thriving along with the increase of active seniors’ demands for travelling. Furthermore, active seniors’ influences on the social media were expanded by their abilities of using the internet with a computer and mobile which was thought to be young’s exclusive property. Nevertheless, the need of a research was rose up because advanced researches regarding the use of the social media for senior group in tourism industries are insufficient. Because the tourism industries are bothered the scale of demand and the quality, it is important to research the use of the social media and the effects of behavior change on active seniors. Wit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travel information and the intention for using social media is established. To verify the behavior changes,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is to be determined.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es and theories, factors that affect active seniors’ search behavior and continuous use of social media are determined. The hypothesis is adduced to determine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ue of the social media travel information effects positively on the social media use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each values for travel information effects differently on the use intention. Hedonic, innovative, symbolic values effects positively on the motivation for the information seeking. Also, it was found that hedonic and innovative values effects on the entertaining motivation positively. However, the motivation for the relationship maintenance was only influenced by the functional values. And the aesthetic values were not influence by anything. Marketers from the government, travel agencies, and attractions are able to form a new relationship and communicate with active seniors using social media. Within the tourism industries where uses the social media, active seniors are important market. Hereafter, understanding active senior’s new environment is important in creating and sharing travel information and contents deviating from the existing ways. 기존의 수동적인 시니어 소비자와는 달리 건강과 경제력을 갖추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추구하는 액티브시니어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관광업계 역시 액티브시니어들의 여행수요가 증가하면서 호황을 누리고 있다. 또한 액티브시니어는 컴퓨터와 모바일을 통한 인터넷 활용에 익숙할 뿐만 아니라 젊은 층의 전유물이라 여겼던 소셜미디어에도 그 영향력을 넓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분야에서 시니어 계층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고, 이에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관광산업에서 시니어 소비자가 그 수요규모와 질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시니어 소비자의 소셜미디어 활용 및 행동변화의 영향요인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액티브시니어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보 탐색 행동에 있어 그들이 추구하는 관광정보의 가치와 소셜미디어 사용동기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련의 과정에 따른 행동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사용의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액티브시니어의 소셜미디어 관광정보 탐색행동과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소셜미디어 관광정보 가치는 액티브시니어의 소셜미디어 사용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각각의 관광정보 가치 별로 사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쾌락적 가치와 혁신적 가치 및 상징적 가치는 정보추구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쾌락적 가치 및 혁신적 가치는 오락적 동기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관계유지 동기는 기능적 가치로부터만 유의한 영향을 받았고, 심미적 가치는 정보추구 동기나 오락적 동기, 관계유지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었다. 지역자치단체, 여행사, 관광지 마케터들은 시니어 계층에 있는 관광소비자의 지속적인 소셜미디어 이용을 활용해 시니어 소비자와의 새로운 관계형성 및 활발한 소통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관광산업에서 시니어 소비자는 중요한 시장이다. 앞으로 시니어 계층을 대상으로 한 관광정보 및 관광 컨텐츠의 생산과 전달에 있어 기존의 채널에서 벗어나 그들의 새로운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