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직무만족 및 공동체의식의 관계

        이창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직무만족의 관계 규명, 조직요인과 공동체의식의 관계에 대한 규명, 그리고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 직무만족, 공동체의식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직무만족 및 공동체의식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기 위하여 국내 스포츠행정 조직 단체인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대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협의회, 전국시도시체육회, 가맹경기단체의 조직구성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337명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배경변인으로 설정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은 연령, 학력, 월평균수입, 근무경력 등 4개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조직요인에 관한 측정도구로는 홍윤주(2008), 용영주(2004)가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에 관한 측정도구로는 Smith, kenith, & Hulin(1969)이 개발한 JDI(Job Descriptive Index)를 중심으로 송기숙(2003)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공동체의식과 관련된 문항은 김동배와 조학래(1996)가 개발한 공동체의식 척도와 친사회적 인성 종합 테스트(Prosocial Personality Battery)의 이타성 하위척도, 양진숙(1992)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친 사회적 행동 척도, 그리고 김진숙(1999)에 의해 번안 사용된 대인 및 사회적 책임성 척도 등을 토대로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따라 신뢰도분석(Cronbach's α계수), 빈도분석(frequencie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simple correlation),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 조직요인과 직무만족 및 공동체의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요인에는 연령, 학력, 월평균 소득, 근무경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에서는 연령, 월평균 소득, 근무경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의식에서는 연령, 월평균 소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직무만족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물질적 보상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은 상사만족, 동료만족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상사만족에서 인간관계는 상사만족, 보수만족, 승진만족, 내용만족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공동체의식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따른 공동체의식 요인은 이타성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적 보상, 인간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직무만족 및 공동체의식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과 직무만족 및 공동체의식의 구체적인 인과관계 설명하기 위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분해하여 총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접효과는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은 직무만족에, 직무만족이 공동체의식에, 조직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며, 간접효과는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을 통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members of sport administrative organs to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mmun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7 members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the staff of domestic sport administrative organs involving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 & Tourism,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Korean Olympic Committee,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municipal sport councils and sport associations.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selected as the background variables were age, academic credential, monthly mean income and career, and an instrument used to check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members was Hong Yoon-joo(2008)'s questionnaire and Yong Young-joo(2004)'s questionnaire, which were modifi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ir job satisfaction was Song Ki-sook(2003)'s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Smith, Kenith & Hulin(1969)'s Job Descriptive Index. This questionnaire was used with some modifications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s well. The third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nse of community was prepared by rearranging three different inventories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ltruism section of Kim Dong-bae & Cho Hak-rae(1996)'s Sense of Community Scale and Prosocial Personality Battery, Yang Jin-sook(1992)'s Prosocial Behavior Scale modified to suit Korean circumstances, and Kim Jin-sook(1999)'s adapted version of an Inter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Scale. As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Cronabch alpha coefficient),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members of the sport administrative organs in organizational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a sense of communit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members of the sport administrative organs were linked to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members of the sport administrative organ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ir sense of community. Fourth,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members of the sport administrative organs had a causal relationship to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mmunity.

      • 임시조직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예비적 탐색연구 :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장지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to develop and organize the Committee, a temporary organization to successfully host sporting events. For this purpose,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Paralympics Organizing Committee (POCOG) and deputy diretors on training who worked at POCOG for about seven months are selected for an in-depth survey. Major studies included human resour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job analysis, and case analysis using job character theory. Thi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and leadership, authoritarian and laissez faire leaership were widely observed. Authoritarian leaders made decisions on their own. On the other hand, laissez faire leaders left their full leadership to their members. As a result,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show a (-) correlation rather than a (+) correlation between human resources and leadership. In term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job analysis, the 'human mix' phenomenon with a mix of human resources was linked to results that could b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depending on whether the team leader had the knowledge and attitude associated with the actual tasks being performed. If the team leader had a lot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his duties, he could use them to promote motivation for his team members. On the other hand, if the team leader did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ask clearly due to his or her ignorance and low interest, the concent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team members would also decrease. This study dealt with a provisional organization in the sports field to host sporting events that had been relatively less interested in existing administrative research.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supplemented the fact that much research had not been conducted even though it was an administrative ad hoc organization such as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new research direction in relation to these provisional organizations. 본 연구는 스포츠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구성되는 행정 임시조직인 ‘조직위원회’의 효과적인 구성과 운영방법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원회에서 약 7개월 간 근무한 수습사무관들을 대상으로 조직 구성 및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내용은 인적원천과 리더십, 조직 구성과 직무 분석, 직무특성이론 등을 사용한 사례 분석 등이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인적원천과 리더십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리더 단독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그 집행은 구성원들에게 맡기는 ‘전제형 리더십’과 리더 본인이 아닌 부하에게 권한과 책임을 넘기려는 ‘자유방임형 리더십’이 많이 관측되었으며, 전문직 팀장의 경우에는 강한 전제형 리더십을, 파견직 팀장의 경우에는 강한 자유방임형 리더십이 두드러지게 목격되었다. 결과적으로 인적원천과 리더십 사이에는 (+)의 상관관계보다 (-)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경향이 강했음을 알 수 있다. 조직 구성과 직무 분석 측면에서는, 여러 인적원천이 혼합된 ‘인력 혼합 현상’ 상황은 팀장의 ‘실제 수행하는 직무와 관련된 지식과 직무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보유 여부’에 따라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업무 수행 결과로 연결되었다. 팀장 자신이 담당 업무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잘 이해하고 있으면 이를 활용해 팀원들의 동기 부여를 촉진할 수 있었다. 반면 팀장 스스로 자신의 업무에 대해 잘 모르고 관심도 낮아 업무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지 못한 경우 팀원들의 업무 집중도나 성취 또한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행정 연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가졌던 스포츠이벤트를 개최하기 위한 스포츠 분야의 임시조직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이러한 임시조직이 올림픽과 같이 세계적으로 큰 행사를 치름에도 그 동안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던 점을 보완하고 앞으로 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 스포츠 관련형태에 따른 스포츠 행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동한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gives analysis that how participators in sports feel satisfaction 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of social physical training a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purpose is to give basic information to consider welfare program service for the local resident in the times of local administration. To be conducted, the subjects of study are selected 287 male, 138 female among the persons in sports club reside in Gwang-ju, self employed persons related to sports things and physical education professor and/or teacher. The data has been collected by inquiry survey form, and analyzed the data by statics technique of T-test, ANOVA and so on used SPSS for Win V7.5. The results came to be conclud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gender group, female showed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otal parts than male, special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personal service is the highest. 2) According to the ages group, the personal service above the fifties and faculty equipment supply, the informational service in the forties, and offer event service in the thirties showed high order. All of them have little response to the expected contribution of social physical development, so they showed negative recognition on it. 3) According to educational grade, the university graduated showed high on personal service, informational service and event offer service, the post university graduated showed the most satisfaction in the faculty offer service the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much higher then other group in the expected contribution of social physical development. 4) In the pattern group related to sports, self-employed person related to sports showed the least in the service of faculty equipment, but they are the highest in all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ce level. 5) In the participated frequency of sports activity, they showed that the more participated frequency of sports activity,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informational service. The rest factors, however, hav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 스포츠행정가로서의 민관식의 삶

        이준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development in korea sports was rapidly made during the short period enough to be wantless in the rhetoric called 'miracle.' The person named Min, Kwan-sik was a pioneer who achieved modernization in korea sports in this intensively growth period. Min Kwan-sik made a great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korea sports, which had been remained at the pre-modern level, while passing through diverse job positions such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Sport Council(at present, Korea Olympic Committee) and the Minister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s traces to the development phase in korea sports by analyzing many political policies and activities in the individual dimension from the category of life history that Min Kwan-sik had driven for the progress of korea sports in diverse positions including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his traces in the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history. We experienced a gruesome failure at the Tokyo Olympics in 1964 of having been opened in Japan that had persecuted our country. Min Kwan-sik multi-laterally strives to grow korea sports with overcoming this failure. As part of his effort in this way,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and the athletic hall were built first of all. The construction of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leads to being equipped with the comprehensive training center for national representatives, resulting in coming to play a role of the best contributor to strengthening Korea's stature in the world sports arena after this. Also, the construction of the athletic hall led to what 31 member organizations under the Korea Olympic Committee came to enter one building. Thus, the efficiency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increased enough to be unable to be compared with before. In addition, the integration of scientific element into sports by introducing the coach academy and the scientific training method led to having notified the beginning of the sports science to this land. During the days of the Education minister that he directly took office right after finishing the tenure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he enforced diverse policies including the national physical fitness test system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at had been alienated from the educational climate of focusing on the intellectual education. Also, Min Kwan-sik strived to supply and spread sports even in the individual dimension as well as when being in public office. A scholarship program targeting the nest generation for sports by establishing the Min Kwan-sik educational foundation leads to supporting student play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activities as an athlete. Also, the Sogang's cup national student tennis tournament hosted by this foundation has been continued to be transmitted every year since the opening in 1973. This tournament is playing a role of gateway in South Korea's junior tennis players even now with producing famous players such as Lee Hyeong-taek and Yu Jin-seon. In this way, Min Kwan-sik raised the status of korea sports one-step further by carrying out monumental projects in the korea sport history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and the athletic hall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Furthermore, he made an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the culture of korea sports over his lifetime through the sports sponsoring activity as the Education Minister and in the individual dimension. There is a role of encouraging the equable development in sports by awarding through selecting administrator, player, coach, juvenile player, and journalist who have merits in korea sports after enacting the Sogang sports grand award in 2009 by honoring his intention of loving sports in this way following Min Kwan-sik's death. 한국 체육의 발전사는 ‘기적’이라는 수사가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짧은 기간 동안 비약적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집약적 성장기에 민관식이란 인물은 한국 체육의 근대화를 이룩하였다. 민관식은 대한체육회장, 문교부 장관 등 다양한 직책을 거치면서 전근대적 수준에 머물러 있던 한국 체육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논문에서는 민관식이 대한체육회장을 위시한 다양한 위치에서 한국 체육의 발전을 위해 추진했던 여러 정책사업들과 개인적 차원의 활동들을 생애사의 범주에서 분석하여 한국 체육의 발전상에 따른 그의 행보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의 체육행보를 생애사적 관점에서 분석해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를 36년간 핍박한 일본에서 개최된 1964년 동경올림픽에서 우리는 참담한 실패를 경험해야 했다. 민관식은 이러한 실패를 딛고 한국체육을 성장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그의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가장먼저 태릉선수촌과 체육회관이 건립되었다. 태릉선수촌의 건립으로 인해 국가대표 종합 훈련센터가 갖추어지게 되면서 이후 세계 스포츠무대에서의 한국의 위상 강화에 일등공신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체육회관의 건립으로 대한체육회 산하 31개 경기 가맹단체가 한 건물에 입주하게 됨으로써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체육행정의 효율이 상승하였다. 이 외에도 코치 아카데미, 과학화된 훈련 방법의 도입 등으로 과학적 요소를 스포츠에 접목시킴으로써 이 땅에 스포츠 과학의 시작을 알렸다. 체육회장의 임기를 마치고 곧바로 취임한 문교부 장관시절에는 주지교육위주의 교육풍토에서 소외되었던 체육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체력장 제도의 입시 연계를 비롯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또한 민관식은 공직에 몸담고 있을 때 뿐만이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스포츠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관식 육영재단을 설립해 스포츠 꿈나무들을 대상으로한 장학지원사업을 통해 학생 선수들의 학업과 선수활동을 지원해 오고 있다. 또한 이 재단에서 주관하는 소강배 전국 학생 테니스대회는 1973년 개최된 이래 매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대회는 이형택, 유진선등의 유명 선수를 배출하며 지금도 한국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민관식은 체육회장으로서 태릉선수촌과 체육회관의 건립 등 한국 체육사의 기념비적 사업들을 시행함으로써 한국 체육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또한 문교부 장관 및 개인적 차원에서의 스포츠 후원 활동을 통해 평생에 걸쳐 한국 체육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관식이 타계한 후에는 그의 이러한 체육사랑의 뜻을 받들어 2009년 소강 체육대상을 제정하여 한국 체육에 공훈이 있는 행정가, 선수, 지도자, 유소년 선수, 언론인 등을 선정해 시상함으로써 한국 스포츠의 고른 발전을 독려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The Study on The Sports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Sports Culture in Korea

        이용우 Herzen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of Russia 1997 해외박사

        RANK : 248638

        筆者는 이 論文을 通하여 '韓國의 體育 文化와 스포츠行政 및 經營에 관한 主要 政策' 을 摸索하고 앞으로의 發展 方向을 究明하기 爲하여 多角度로 理解를 試圖하였다. ○ 國際 스포츠 時代가 到來한 지금, '스포츠 文化 ·經營에 있어서의 韓國의 本質的 特性' 을 要約하고, 21世紀를 向한 韓國 體育의 展望과 發展 戰略에 對하여 그 內容을 摸索하였다. ○ 지난날의 韓國 體育을 謙虛하게 돌아보고 '體育 先進化를 爲한 體育政策의 再定立, 體育施設의 擴充, 體育人口의 底邊擴大, 그리고 民族 固有의 鬪技, 娛樂을 現代化' 하는 氣風 造成 等 緊要한 課題에 對하여 論하였다. ○ 새로운 時代의 體育文化와 스포츠 經營의 發展을 爲해, 그리고 이러한 問題들의 一般的 陳述을 爲해, 1. 體育 文化와 스포츠에 對한 政府 機關의 統制와 體系 2. 社會 機關과 團體, 그리고 相互 協同 等에 關하여 究明하고자 하였다.

      • The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aekwondo Referees in China from Sports Administration Perspective

        리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중국에서 태권도 인구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태권도 심판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도 불구하고 태권도 심판에 관한 이슈는 스포츠과학 혹은 체육교육맥락에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관리자의 관점에서 태권도 심판의 환경을 살핀 연구는 없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 중국 내 태권도 심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심판 교육 및 경쟁시스템의 현황, 심판활동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등을 살핌으로써 심판을 관리함에 있어 어떤 부분에 주력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전문 심판의 성과 및 심판 팀 구축에 발전을 위한 노력을 어느 부분에 특히 신경 써야 할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위해 서베이 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은 2015년 국내 태권도 시합에서 활동한 108명의 심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총 45개 설문문항으로 심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훈련 시스템, 경쟁시스템, 심판 성과 등을 물었다. 기술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터뷰도 함께 진행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심판을 둘러싼 행정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행정시스템의 정형화된 기준설정이 심판의 팀 구축 및 전문체육 무대에서의 질 높은 활동에 크게 기할 수 있다. 분석결과 태권도 심판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직환경에 대한 정답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수치화 할 수도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했던 4가지 기준 간 상호 중복되기도 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는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제 사례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한 일환이었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심판의 전반적인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반 시스템 및 환경에 대한 정비가 정형화되어야 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As taekwondo is getting popular in China, the spotlight on the taekwondo referee’s role becomes sharper. Although research on taekwondo referee issues can be found within sports science or physical education context, there is limited literature on analyzing the present environment of referees from sports administration perspective. Therefore, the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national taekwondo referees i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aekwondo referees’ environment in China, analyzing present issues from sports administration perspective, and find out the practical methods for governmental sports administrators. Our specific attention is focused on the referee administration that influences referee team building and refereeing performance.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is chosen to conduct our study. By means of survey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leading national taekwondo referees who involved in 2015 national taekwondo competit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45 items measured referees’ demographics, training system, competition system and refereeing performance. The data i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Interview is also adopted in order to make the data of the study more convincing.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eferee administration when evaluating rationality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which might be useful for the future research. It reveals that referee administration standard is important to impact referee’s team building and elite performance. Provide efficient administration of referees is critical because it designs the actual environment and contributes to the policies approaching as close as practicable to rationalitie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not static and there is no fixed solution which can address the issues of referees. In particular, the paper probes into the interactions of four interrelated causal feedback loops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quality and development of taekwondo referees and attempts to account for the dynamics of resulting system behavior.

      • 스포츠 행정조직의 권력유형과 조직 효과성의 관계

        김정하 단국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스포츠 행정조직의 권력유형과 조직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 각 권력유형별로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즉 각 권력유형별로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유효성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 권력유형에 따라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유효성의 차이를 밝히며, 이에 부가하여 개인적 특성이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국내의 스포츠 행정조직 중 문화관광부내 체육국, 대한체육회(본부, 가맹 단체와 국가대포 선수촌), 국민체육진흥공단(본부, 경륜사업본부, 파크텔 사업본부, 한국체육과학연구원,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스포츠 TV)과 생활체육 협의회 그리고 서울시체육회(본부, 가맹 단체) 등 5개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모집단으로 선정된 연구 대상자는 총 1,514명이었으며, 이를 기관별, 부서별, 직위별로 인원에 따라 비례하여 표본을 할당한 후 임의 표집 하였다. 직접 면접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806명이었고, 실제분석에 사용된 설문대상은 78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통제하고자 한 배경변인은 성, 경력, 수입 등 개인적 특성으로 제한하였으며,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변인으로 조직구조와 조직문화를 설정하였다. 권력유형과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에 대한 설문문항은 각각 국내·외의 선행 연구에서 이미 그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이나, 예비검사를 통하여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후 사용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중다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변량공분산 분석(MANCOVA), 증분류분석(MCA) 및 공변량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등 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권력유형별로 조직주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의 하위변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행정조직의 구성원들이 그들 조직의 권력유형과 조직구조, 조직문화가 권력유형에 따라 잘 적응하고 적절히 변화하면서 조직 효과성에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의 권력유형에 잘 부합되도록 조직 구조와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조직내의 갈등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상태를 이루고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려 한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각 권력유형별로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간에 내재된 인과적 관계를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 효과성 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각 권력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형 권력유형에서는 조직구조와 조직 효과성간의 직접적인 인과적 관계는 없으나 조직문화를 통한 간접적인 인과적 관계를 맺고 있고 조직문화는 조직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형 권력유형과 전제형 권력유형에서는 조직구조와 조직문화가 조직 효과성에 직접적인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문형 권력유형에서는 조직구조는 조직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조직문화는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끼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인인 개인적 특성 중 수입을 제외한 성과 경력이 부분적으로 조직구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 경력, 수입 등 모두가 부분적으로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특성 모두가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스포츠 행정조직의 각각의 권력유형에서 긍정적인 조직구조와 조직문화는 조직의 구성원이 업무에 전념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이러한 요인의 긍정적인 변화가 조직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authority in the sport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analyz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3 members in 5 different sport organizations such as the Sport Bureau of the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Korea Sport Council, Seoul OLympic Sports Promotion Foundation, the National Council of Sports for All, and Seoul Sports Council. Three data collecting instruments which were used by the several precedent researchers were utilized to collect data which validity and reliability have been established via proper procedures. The data was anali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NCOVA, MCA,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05. The major findings based on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s of authority. This means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achieved if the members of sport organizations change and conform themselves relevantly to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uthority of their organizations. This reveals that they are willing to reform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relevant to their own types of authority, to minimize conflicts among themselves and pursue the stability of their organizations, and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analyses of the variable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authorit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cultures and effectivenes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s of authority. Instrument has no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has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s, which have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of Closed System and Autocracy have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Meritocracy have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s organizational cultures have no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the variables of such individual conditions as sex and career, but not incom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tructures; all of the variables of sex, career and incom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to say, all of the individual condition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tructures,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synthesize the above-mentioned results, in every Type of Authority in the Sport Organization, positiv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members' effective execution of their duties because these factors create a friendly atmosphere in which they can apply themselves wholly to their duties.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sitive change of these factors help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대학행정직원의 스포츠 활동이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선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9

        국 문 초 록 대학행정 직원의 스포츠 활동이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행정관리 전공 이 선 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사립 대학교 행정직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270명을 추출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대학행정 직원의 스포츠 활동이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변수의 신뢰도 계수의 구간은 α =.665 ~ .821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사도구의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t-test 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ssion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대학 행정직원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대학 행정직원의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만족, 심리적 만족이 높게 검증되었으며,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무지에 따른 직무만족에서는 부속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직무성과만족이 높게 검증되었다. 둘째.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대학 행정직원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 대학 행정직원의 성별에 따른 생활만족에서는 남자직원이 여자직원보다 만족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검증 되었으며, 연령에 따른 생활만족 검증 연령이 높을수록 일생의 행복감, 성공감이 높게 검증되었고, 학력별에 따른 생활만족 대한 검증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일생의 행복감, 만족감, 성공감이 높게 검증되었다. 또한 경력에 따른 생활만족에 대한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지에 따른 생활만족 대한 검증 결과 일생의 행복감은 단과대학에서 근무하는 직원보다 대학본부, 부속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높게 검증되었으며, 만족감에서는 대학본부보다 단과대학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높게 검증되었고, 단과대학보다 부속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높게 검증되었다. 그리고, 성공감에서 대학본부 및 단과대학보다 부속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높게 검증되었다. 셋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스포츠 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의 차이. 대학 행정직원의 스포츠 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대한 검증 결과 직무성과 만족에서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직원이 참여하지 않는 직원보다 직무성과만족에서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행정 직원의 스포츠 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대한 검증 결과 일생의 행복감, 성공감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직원이 참여하지 않는 직원보다 일생의 행복감, 성공감이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스포츠 활동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의 차이 대학 행정직원의 스포츠 종목에 따른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대한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스포츠 활동 정도에 따른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학 행정직원의 스포츠 활동참여와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도의 하위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 활동 중 참가기간과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상관계수는 직무성과만족에서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참가 기간과 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상관계수는 일생의 행복감, 만족감, 성공감에서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스포츠 외교·행정 전문가의 역량 구성에 관한 연구

        박상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319

        스포츠는 개인 간, 지역 간, 문화 간 및 국가 간의 교류나 접촉에 있어서 주요한 도구적 매개체가 된다(Cashmore, 2001). 특히 스포츠 외교는 다원적이며 다층적이고 특정 국가의 이익에 편중되지 않는 ‘논 제로섬 게임’적인 외교로서 편파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으며, 국가의 크기나 국가 경쟁력의 대소에 관계없는 공정하고 평등한 그리고 협상참여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평화적 외교의 수단으로서 국제사회에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스포츠외교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스포츠외교는 ‘스포츠외교 인프라와 전략의 부재 및 외교 인력의 전문성 부족’이라는 본질적 한계점을 노출시켜왔다. 지속적인 문제점의 지적 속에서 국가적으로 스포츠외교 전문 인력 양성을 도모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과는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도 없이 마련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부적절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외교역량을 결정짓는 핵심 주체가 될 수 있는 스포츠 외교·행정 전문가의 역량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업 조직에서 실무적으로 활용성이 널리 인정되고 있는 역량의 개념과 분석틀을 적용하여 스포츠 외교·행정 전문가의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역량접근법을 바탕으로 지식 역량, 기술 역량, 가치 및 태도 역량의 3개로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최종적으로 총 29개 역량 요소가 선정되었으며, 지식 역량 범주에 10개 항목, 기술 역량 범주에 10개 항목, 태도 및 가치 역량 범주에 9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우선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지식 역량으로는 국제 스포츠 기구 및 조직에 대한 지식, 스포츠에 대한 본질적 이해와 스포츠 산업과 역사, 문화 등을 포함한 스포츠에 대한 이해, 스포츠 정책 지식, 국제스포츠관련 법에 대한 지식, 리더십 관련 지식, 협상 지식, 세계 정치·경제 지식, 이해관계자 지식, 문화·예술적 소양, 예절 소양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기술 역량은 언어적 기술, 비언어적 기술, 영향력 행사 기술, 이문화 감수 기술, 예절 표현 기술, 환경모니터링 및 정보관리 기술, 조직관리 기술, 협상기술, 의사결정기술, 문제해결 기술 요소로 나타났다. 마지막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가치 및 태도 역량은 스포츠에 대한 애정,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공익정신, 후배양성 신념, 전문가 의식, 인격적 자실과 성향, 적극적 태도, 매력성, 외모 및 이미지 메이킹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로 관련된 각계 전문가 그룹들은 자신의 경험이나 직무 상황에 비추어 주요 역량 요소를 조금씩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의 역량은 스포츠외교·행정의 실행 주체나 실행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량 요소가 역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역량 요소들을 바탕으로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의 선발과 교육에 필요한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이상의 역량 요소들은 스포츠외교·행정 전문가의 역량 평가 기준틀과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etencies of the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special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 modeling. This research wa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roles do the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specialist perform and what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the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specialists. A three-round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a series of surveys to obtain consensus of a group of experts in job related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In the first round,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nt to 20 experts who were qualified to respond to defined competencies of the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specialist. 20 experts consist of 6 instructors at colleges, 7 sport administration specialists, and 7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s related sport diplomacy. In the second roun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first round were distributed to 15 round-two respondents to rate the importance of each item for confirmation and validation of the results. In the third, the same procedure as in the second round was repeated to obtain the consensus of the experts on the competencies of the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speciali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mpetencies of the sport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specialist consist of 10 domain knowledge, 10 skills, and 9 values. Domain knowledge are defined as understanding on the international sport committee & organization, understanding on the sport(industry, history, culture), knowledge on the sport policy, knowledge on the leadership, knowledge on the negotiation, knowledge on the culture & art, knowledge on the global politics & economic, and knowledge on the manner. Skills are summarized 10 items such as oral & written communication skill, non-verbal communication, power-broking, culture flexibility, environment & information management, problem-solv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Attitude & values are defined love of sport, identity, mind for the public interest, faith to training junior, initiative, attractive features, and image making.

      •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의 스포츠 공적개발원조 교육사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Dream Together Master를 통한 역량개발을 중심으로

        이요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스포츠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교육사업 중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ream Together Master, DTM) 사례를 중심으로, 수혜자의 관점에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통해 인식한 역할과 개발한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로 인해 본국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 과정(DTM)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역할을 인식하였는가? 둘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 과정(DTM)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역량을 개발하였는가? 셋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 과정(DTM)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한 역할과 개발된 역량으로 인해 본국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했는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질적 연구 중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DTM 프로그램 참여자의 관점을 대변할 수 있는 연구 참여자 각각의 사례를 1) 사업 기수, 2) 출신 대륙 및 지역, 3) 성별, 4) 소속 기관, 5) 스포츠 행정가로서의 경력을 준거(criterion)로 하여(Lecompte & Goetz, 1982) 유목적적 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으로 선정하였고,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총 10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된 면담방식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화 및 항목화 과정을 통해 분석(inductive category analysis)되었다. 연구의 진실성(trustworthiness)을 높이기 위해 삼각 검증법,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구 윤리를 준수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 참여 경험을 통해 인식한 역할은 선구자의 역할, 기획자의 역할, 전문가의 역할, 관리자의 역할, 지원자의 역할, 연결자의 역할 총 6가지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 참여 경험을 통해 개발한 역량은 문제해결 역량, 기획 및 혁신 역량, 상황 대처 역량, 스포츠 전문 지식 역량, 의사소통 역량, 관계 역량으로 크게 6가지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 참여 경험 후 인식한 역할과 개발한 역량을 통해 본국에서 경험한 변화로 개인의 변화, 조직의 변화, 국가 및 제도의 변화가 도출되었다. 개인의 변화는 삶의 관점 및 태도의 변화, 자국 변화 선도, 스포츠 행정가로서 전문성 증대, 주변의 인정 및 신뢰, 직위의 변화 및 기회의 증가, 인적 네트워크 증대, 한국에 대한 우호적 감정 형성으로, 조직의 변화는 운영방식의 변화, 조직 네트워킹 증대, 조직 대외 영향력 증대로, 국가 및 제도의 변화는 대중의 인식 변화, 스포츠 저변 확대, 스포츠 정책 및 제도 개편으로 세분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논의로는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변화주체로서 자국변화를 선도했고 이를 통해 개발도상국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둘째, 스포츠 체계, 지원, 전문가가 전무한 실정에서 스포츠 경영 석사학위와 전문지식을 갖춰 전문성을 보유하게 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스포츠 생태계와 자국의 상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전문가로서 본국 스포츠 변화를 주도할 수 있었다. 셋째, 개발도상국에 실력 있는 인재의 부재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여러 계급 행정가의 역할을 동시다발적으로 감당하며 본국 환경을 개선하는데 적합한 역량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DTM 프로그램 참여 후 한국에 대한 우호적 감정이 형성되어 친한 인사로서 영향력을 행사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을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성과, 향후에도 이들이 한국 및 국제 스포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봐야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의 구체적인 역할과 역량이 다양하게 변화함을 확인함으로써 DTM 프로그램의 발전적 지표와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변화에 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DTM 프로그램 참여 후에도 본국 변화를 주도하는데 1) 의지 및 자원의 한계, 2) 역량의 한계, 3) 사회적 지위의 한계, 4) 네트워킹의 한계 등을 마주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수혜자 의견이 반영된 DTM 프로그램 발전방안으로 1) DTM Alumni Contest 인센티브 확대, 2) 역량개발 지속 및 실무경험 확장, 3) 한국 정부의 직접 홍보 및 고위급 행정가 선발, 4) DTM 포럼 개선 및 코디네이터 도입을 통한 DTM Alumni 네트워킹 활성화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 담론을 스포츠 ODA 교육사업 중 DTM 프로그램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스포츠 ODA 교육사업을 통한 역량개발의 방향성과 접근방식을 제시함에 있다. 둘째, DTM 프로그램의 단일 사례를 연구의 범위로 제한하고 프로그램 수혜 대상의 관점이 배제되었던 선행 연구를 보충했다는데 있다. 실무적으로는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의 ‘역할 및 역량’의 구체적 요소를 탐색함으로써 DTM 프로그램에 대한 수혜자 중심의 판단기준과 평가지표를 통한 발전방안을 도출함에 있다. 둘째, 변화주체들이 마주한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DTM Alumni를 보완한 체계적인 사후관리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과 역량이 서로 어떻게 대칭을 이루는지 파악하지 못했다. 둘째, 행정가의 출신 대륙 및 기관별 특성에 따른 변화 양상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했고 DTM 프로그램 참여자 전체의 경험을 대변하지 못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연구 대상과 시간적 간격을 확장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둘째, 비순차적이고 연속적인 변화의 프로세스와 인과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촉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through roles and competencies develop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Korean Spor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Dream Together Master(DTM) beneficiar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role did participants recognize through the Dream Together Master? Second, what competencies did participants develop through the Dream Together Master? Third, what changes did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ir home country after developing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through the Dream Together Master? This study used the case study method among qualitative studies based on constructivism. Semi-structured interviews (n = 10) were conducted and each interviewee who represent the perspective of DTM participants wa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the criterions are as follows: 1) admission year, 2) region of origin, 3) gender, 4) current institution, 5) experience as a sports administrat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riangulation, members check,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to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and research ethic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s perceiv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DTM were categorized into six items: pioneer, planner, specialist, manager, helper, and networker role. Second, the competencies develop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DTM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problem-solving, planning and innovation, flexibility, sports expertis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etency. Third, the changes experienc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develop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DTM were categorized a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and institutional changes. Individual changes include changes in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life, pioneering changes in home country, increased expertise as a sports administrator, increased recognition and trust, increased opportunities and positions changed, expansion of networking, and formed friendly feelings for Korea. Organizational changes include changes in operation methods, increased organizational networking, and increased organizational external influence. Nation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re subdivided into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expansion of sports system, and reorganization of sports policies and institutions. Based on finding and research participants’ suggestions, the researcher could discuss that, as a change agent,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enabled various changes in their home country through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developed by the DTM and achieved capacity development and foothol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faced various limitations of 1) will and resources, 2) competencies, 3) social status, 4) networking, even after participating in the DTM to pioneer changes in home country. Thus, 1) expansion of incentives for the DTM Alumni Contest, 2) expansion of internships and education program, 3) selection of high-level administrators as a participant, 4) improvement of the DTM Forum and promotion of DTM Alumni networking were suggested to further develop the DTM program.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pplying the capacity development discourse to the DTM case, the direction and approach of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the sports ODA education program are presented. Secon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o a single case of the DTM program, and this study supplemented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perspective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was excluded. Practically, first, it has implication in deriving development plans for DTM program through beneficiary-centered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exploring specific elements of role and competency of the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need for systematic follow-up support that complements DTM Alumni program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faced by the change ag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what roles and competencies we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institution of the sport administrator was not considered. Third, the experience of the entire DTM program participants was not represen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urther research could be proposed. First, a study that expands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ime interval of the DTM program should be conducted. Second, follow-up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non-sequential and continuous change through the DTM program can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