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용자 참여형 공공디자인 실행 프로세스 개발을 위한 전략 연구

        최용혁 강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사회의 구성원들이 수평적 네트워킹 기술을 통해 상호 작용하면서 사회를 변화시켜가는 것은 핵심적인 사회 현상의 하나이다. 이는 수용자가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를 쉽게 습득하고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수용자가 주어진 콘텐츠를 소비만 하는 콘텐츠 수용자에 머무르지 않고 콘텐츠의 소비와 생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콘텐츠 프로슈머(prosumer)로 진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즉 수용자의 창의적 사고를 통한 사회 발전이 가능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발전된 네트워킹 기술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콘텐츠의 양과 질이 높아지고 정보의 흐름이 자유로워지면서 전문가의 지식이 수용자의 그것보다 우월하다고 판단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는 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진 콘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공감대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그에 따른 사회 이데올로기의 분화 및 복잡화는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도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양상을 띠게 하였다. 이와 함께 삶의 질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은 사람들이 요구하는 욕구실현 수준을 높이고 종류도 다양하게 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오늘날 디자인은 기획 단계부터 디자인,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수용자를 주체적으로 참여시켜 수용자의 경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수용자 중심의 가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디자인의 역할을 형태 특질을 결정하는 좁은 의미로서의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수용자의 행위와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한 도구로 빠르게 확대, 변형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의 확장을 위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외부 자원의 참여를 확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Parsons(2010)는 ‘과거 디자이너의 역할이 제품 형태를 결정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면, 오늘날 가치디자인에서는 수용자 행동을 보다 직접 변화시키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과거부터 디자인을 통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주장은 끊임없이 언급되었다. 디자인 역사학자 Sparke는 ‘디자이너는 예술이나 기술 등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시대의 추세 변화에서 영감을 받아 변화를 이끄는 사람들’이라고 하였다. 근대 디자인은 20세기 초 대량생산체제의 본격화와 탈 장식과 기계 미학에 대한 인식이 폭넓게 받아들여지면서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그 결과 바우하우스를 중심으로 기하학적이고 장식이 배제된 순수하고 합리적 형태를 통해 제품의 미학적 가치를 창조하려는 기능주의가 대두 되였다. 이는 장식적 요소를 통해 미적 이상을 추구하려던 이전 세대의 디자인 개념에서 벗어나 대량생산과 제품의 기능이라는 합리적인 가치로 디자인의 미적 가치가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이후 산업화의 급격한 진전과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체제에 디자인이 적응하면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마케팅의 중요성이 주목받으면서 시장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이 힘을 가지게 되었다. 즉 대중의 소비를 조정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로의 디자인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차별화를 통해 시장에서 판매 우위를 확보하려는 포지셔닝 전략과 제품이 시장을 획득하는 데 얼마나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인가를 그 중심 과제로 삼는 디자인 경영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1960년대 이후 풍요로운 소비사회의 도래는 디자인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물질적 풍요로움은 사회,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원인이 되었고 이러한 수용자의 다양성 추구는 디자인에서 독단적 기능주의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디자인의 가치를 단순히 미적 이상을 추구하는 실용적 관점에서 벗어나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사회적 인식으로의 디자인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Loos부터 Papanek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존재하였으나 디자인이 기계 미학적 대량생산 체제에 적응하면서 주류적 흐름에서는 벗어나게 되었다. 오늘날 디자인 가치의 중심이 윤리성, 지속가능성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맞추어 지면서 수용자의 가치관과 직접적 관계를 맺는 것이 디자인 과정에서 중요한 열쇠가 되었다. 이를 통해 수용자의 잠재적 요구를 발굴하여 발현시키고, 지속할 수 있는 디자인 전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다. 이것은 1990년대 이후 Norman 등이 주장한 인간 중심의 디자인을 통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최근 디자인은 공공분야와 중첩되며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계획을 세우고 디자인하는 전통적 공공경영의 방식에서 벗어나 디자이너가 공공분야의 체계를 다루고 모든 정책 단계에서 수용자 중심의 접근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Changing society through networking technology is an important contemporary social phenomenon. This social trend has transformed users into content prosumers who perform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ntent. As users’ level of demand for needs realization increases and types of needs diversify, public designs in recent years have evolved into value designs providing users with new experiences. In values designs, users are involved at every step from the planning stage to decision-making and selection process of public designs so that they can satisfy their needs as the main group of problem solvers and to realize their value systems. Thus, public designs in recent years have made efforts to identify potential demands of users and seek proper solutions through bottom-up users-centered design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and need for participation by and collaboration with users in the public design process. But studies so far have relied on existing product design methods and, as such, require substantial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 In other words, existing methods have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respect to use of public designs.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strategies to develop a users-oriented participatory public design implementation that can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methods with respect to the participation and combination of diverse stakeholders through the use of networking technology. For this, the study examined design paradigm changes and approached the design methods process with historical perspectives. In doing so, the study explained the need for the participation of users in public design and offer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s, the participatory process by users, and similar concepts predicated upon users’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process. The study also defined conditions for establishing successful public designs as continuity, integration, and sharing and explored theory on how to motivate users’ participation as well as on control structure, selection, and assessment methods for quality management. The study offered specific tools and assessment methods to implement these as well as suggested functional and structural elements for the implementation process. Lastly, the study tested these and, in doing so, proved the value of users-oriented participatory method in public design.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clear selection of stakeholders and their accurate roles through the analysis of stakeholders. Second, there is a need for composing a community that can naturally induce both th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and rational collaboration among them. Third, a control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for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along with establishment of a method for rational decision-making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or coordinating opinions between primary users (who directly benefit from the results of a design) and secondary users (who can potentially benefit from the results of a design). Fourth, there should be a need for establishing social trust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to improve citizens’ awareness of public designs and reduce errors resulting from hasty planning. Fifth, the motiv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should include internal motivation as well as external motivation such as financial support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study’s accomplish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veloped a more accurate users-oriented participatory process that is suitable for public design implementation. Second, the study proposed a work implementation process that can help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in the public design process and initiate, collect, and assess users’ opinions. Third, the study helped overcome limitations of physical space with regard to participatory designs. The study excluded the discussion of design specification and operation steps that rely on existing methods and tools. The study’s contributions lie in offering strategies to develop specific public design process, a guideline that can serve as a general system, a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collaboration and sharing through users’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s. In this way, the study can serve as a basic reference for making an implementatio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diverse public designs. To realize these, the study argued for future research in several areas. First, there should be assessment and examination of what the study argued through an application to a real public design project. Second, there should be further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the work implementation process and its management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user-oriented participatory public designs. keywords: Public design, End user, Participatory design, Horizontal network, Collective Intelligence, Co-creation

      • 디지털 시대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 소비에 대한 수용자 주관성 연구 : 놀이이론의 검증을 위한 Q 방법론적 접근

        최순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xistence of 'Playness‘ in behavior of using media contents. In the past, the exchange of media contents between countries was absolutely under state control for technology, policy, and diplomacy. Today there is still the frame of country, but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st. This study considered the reason is th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so investigated audience's subjectivity on global media contents in the digital age to clarify the aspect of today's changing audi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Japanese drama that our country has prohibited to broadcast on land-based television as the target for use. We can give greater meaning to this genre than any others if we find 'Playness’ in using Japanese drama, not in other open genres that we can enjoy physically and emotionally in free way.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Q methodology, and additionall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for the in-depth analysis of mean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audience's subjectivity on using Japanese drama categorized, and what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each type? 2. How is each type positioned on ‘Playness', and what does that mean? 3. What features of subjectivity does the audience of the digital age have about the use of culture through media, and what is the cause of it? This study found 4 audience types related to the use of global media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as follows. Type 1 : ‘The Global World Type’, this calls audience who has an interest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and cultural exchange more than any others. Type 2 : ‘Japanese Drama World Type’, this calls audience who pursues differentiated pleasure and newness. Type 3 : ‘TV World Type’, this calls audience who has higher dependence on TV for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nd who has strong sovereignty-consciousness of TV viewer. Type 4 : ‘The Me World Type’, this calls audience who hardly uses media culture in real life, except some cases related to task, because they are given up to their own ’work‘. Capturing the consciousness of using media and value structure granted on using media of audience group classified into these 4 types with z-score, this study positioned with the frame 'Playness‘ factor extracted from 'Play Theory’ of Huiginga and Stephenson to grasp the substance of common audience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analyzing how each type is positioned on 5 sub-factors of ‘Playness’ are as follows. 1. 3 types of audience, except Type 1, existed in the sphere of 'Perfect playness’. 2. ‘Emotional Stability’ sub-factor gained the strongest positive support, and also audience granted higher value on ‘Non-daily ․ Entertainment’ and ‘Freedom ․ Activeness’. 3. Audience presented lower affirmation of ‘Present- orientation’ and ‘Non-instrument ․ Non-purpose’ than other properties, and there was the consciousness seceded from 'Playness‘ only in ‘Non-instrument ․ Non-purpose’. 4. 4 types of subjectivity were in keeping with each other the most in ‘Freedom ․ Activeness’. This study is a small sample doctrine, but there was partial inclination on characteristics of P sample for each type, so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oning of 4 types between characteristics of P sample(main use media, the amount of watching Japanese drama, the preference for Japan and Japanese drama, and age) and properties of 'Playness' on the side of searching hypothesis, and the hypotheses of this are as follows. 1. Audience who use internet as main use media grants bigger value on ‘Non-daily ․ Entertainment’ and ‘Emotional Stability’ of media use. 2. Audience who has the large amount of watching Japanese drama acknowledges ‘Non-instrument ․ Non-purpose’, ‘Non-daily ․ Entertainment’, and ‘Present-orientation’ of media use more than those who has less amount. 3. Audience who has the preference for Japan has higher tendency of ‘Emotional Stability’, ‘Non-daily ․ Entertainment’, and ‘Present-orientation’ in using media. 4. Young age group has greater tendency of ‘Present-orientation’ and ‘Non-instrument ․ Non-purpose’ than old age group. 5. All the audiences pursue ‘Freedom ․ Activeness’ without reference to demographical attributes. As seen above, young age group, internet user, audience who has a great amount of watching Japanese drama, and audience who has the preference for Japan granted more value partially on sub-properties of ‘Playness’ respectively, but all types, except ‘The Global World Type’, are within the sphere of ‘Playness’. Although ‘The Global World Type’ revealed ‘Instrument ․ Purpose', it presented the highest score in pursuing 'Emotional Stability', and showed the attitude of 'Playness‘ in all of other properties, so finally characteristics of P sample ha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Playness’ as the general subjectivity. Those results shows that audience of digital age recognizes the use of media contents as 'Play‘ whether in substance or in the abstract without reference to main use media, age, and amount of watching. That is, 4 types have own independent features respectively, but to conclude, according to the frame of Play Theory, all of them are within the sphere of ‘Playness’, so audience of digital age recognizes the behavior of use as a concept of 'Play‘ for the use of global media contents. This study got similar conclusions also from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and particularly, ‘Playness’ did not receive great influence from the use of media, preference for Japan, and amount of watching TV, and transcended age, namely generation,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ause of consensus on subjectivity, 'Playness', is the consciousness of digital age, just the sense of tim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행위에 ‘놀이성’이 존재함을 발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국가 간 미디어 컨텐츠의 교류가 기술적 ․ 정책적 ․ 외교적 차원에서 절대적으로 국가의 통제 하에 놓여 있었다. 오늘날도 국가의 통제의 틀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과거와는 많이 달라진 상황 하에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을 디지털 기술의 확산으로 보고, 디지털 시대,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 소비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성을 조사함으로써 변화하고 있는 오늘날의 수용자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 소비 대상 장르를 현재 국가가 지상파방송을 금지하고 있는 일본드라마로 택하였다. 물리적 ․ 정서적으로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열려 있는 장르가 아닌 일본 드라마 소비에 대해 수용자의 ’놀이성‘ 인식이 발견된다면 다른 장르를 대상으로 했을 때보다 더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연구방법으로 Q 방법론을 채택하였고, 심도있는 의미해석을 위해 심층인터뷰를 부가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일본드라마 소비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성 유형은 어떻게 세분되며, 각 유형의 특성은 어떠한가? 2. 각 유형은 ‘놀이성' 차원에서 각각 어떻게 포지셔닝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3. 디지털 시대 수용자가 매체를 통한 문화소비 행위에 대해 내면에 가지고 있는 주관성의 특징과 그 동인(動因)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 소비와 관련해 네 개의 수용자 유형을 발견했다. 각 유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유형 : ‘글로벌 세상 형’으로 국제 관계와 이해, 문화 교류 차원에 대해 우선적인 관심을 가지는 수용자들이다. 제 2 유형 : ‘일드 세상 형’으로 차별화된 즐거움과 새로움을 추구하는 수용자들이다. 제 3 유형 : ‘TV 세상 형’으로 정보와 오락에 있어 TV의존도가 높고 시청자 주권 의식이 강한 수용자들이다. 제 4 유형 : ‘나 세상 형’으로 자신의 ’일‘에 파묻혀 업무와 관련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생활에서 매체문화 소비를 거의 하지 않는 수용자들이다. 총체적 수용자 인식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들 4개 유형으로 구분된 수용자 집단의 매체 소비에 대한 의식과 매체 소비에 부여하는 가치구조를 표준점수로 포착해, 호이징하 ․ 스테픈슨 등의 '놀이이론'에서 연구자가 추출한 ‘놀이성’ 요인의 틀로 포지셔닝 하였다. 먼저 ‘놀이성’의 5 가지 하위요인에 각 유형이 어떻게 위치하는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 1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세 유형의 수용자가 모두 완전한 ‘놀이성’ 영역에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2. ‘정서적 안정성’ 요인이 가장 강력한 긍정 지지를 얻었고 ‘탈일상성 ․ 오락성’ 요인과 ‘자율성 ․ 능동성’ 요인에도 수용자들은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 3. ‘현재지향성’과 ‘비도구성 ․ 무목적성’에 대해서는 다른 속성에 비해 낮은 긍정을 나타냈으며, ‘비도구성 ․ 무목적성’ 속성에서 유일하게 ‘놀이성’으로부터 이탈된 인식이 일부 존재했다. 4. 네 유형의 주관성의 정도가 가장 일치한 속성은 ‘자율성 ․ 능동성’이었다. 다음, 본 논문은 소표본 연구이지만 각 유형 P 표본의 특성에 부분적인 쏠림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가설 탐색적 차원에서 주 소비매체, 일본 드라마 시청량, 일본 ․ 일본 드라마 선호도, 연령이라는 네 가지 P 표본 특성과 ‘놀이성’ 속성들 간에 네 유형이 각기 어떻게 위치하는가를 포지셔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얻었다. 1. 인터넷을 주 소비매체로 하는 수용자가 매체소비의 ‘탈일상성 오락성’과 ‘정서적 안정성’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2. 일본드라마 시청량이 많은 수용자가 적은 수용자에 비해 매체소비의 ‘비도구성 ․ 무목적성’ ‘탈일상성 ․ 오락성’ ‘현재지향성’을 더욱 인정한다. 3. 일본에 대해 호감을 가진 수용자가 매체소비에 있어 ‘정서적 안정성’과 ‘탈일상성 ․ 오락성’ ‘현재지향성’ 성향이 높다. 4. 저연령층이 고연령층보다 ‘현재지향성’ ‘비도구성 ․ 무목적성’ 성향이 더욱 강하다. 5. 수용자들은 인구통계학적 속성과 상관없이 모두가 ‘자율성 ․ 능동성’을 추구한다. 위와 같이 ‘놀이성’의 하위 속성에 대해서 젊은 층, 인터넷 사용자, 시청량이 많은 수용자, 일본 호감자가 각기 부분적으로 조금 더 강한 가치를 부여했지만, ‘글로벌 형’을 제외한 모두가 ‘놀이성’ 영역 안에 있고, ‘글로벌 형’도 ‘도구성 ․ 목적성’을 드러냈을 뿐 ‘정서적 안정성’ 추구에 있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것을 비롯해 나머지 속성에서 모두 ‘놀이성’ 태도를 보임으로 인해, 결국 P 표본의 특성이 총체적인 주관성으로서의 ‘놀이성’과는 특별히 유의미한 관계를 갖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결과는 디지털 시대의 수용자가 주 소비매체, 연령, 시청량과 크게 상관없이 매체 컨텐츠의 소비를 실질적이든 관념적이든 ‘놀이’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네 유형은 각기 독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놀이이론의 틀로 조명해 볼 때 모두가 ‘놀이성’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의 소비에 대해 디지털 시대 수용자들은 ‘놀이’의 개념으로 소비 행위를 인식하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심층 인터뷰 분석을 통해서도 유사한 결론을 얻었으며, 특히 인터뷰를 통해, ‘놀이성’이라는 주관성의 공감이 소비매체나 일본선호도, 시청량과 같은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점, 연령 즉 세대를 초월하는 점 등의 원인이 디지털 시대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 즉 시대감각임을 알 수 있었다.

      • 수용자의 심리적 특성과 재범위험성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이승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가 지각하는 심리적 특성 중 가족 건강성, 사회적 지지, 그릿, 불안과 재범위험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 번째, 수용자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그릿, 불안 및 재범위험성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가? 두 번째, 수용자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그릿, 불안 및 재범위험성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법무부 산하 교정기관 중 B 광역시 소재 중경비시설의 남성 수용자 500명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와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측정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를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의 구조 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는 매우 양호하였고, 잠재 변인 간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높으면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낮추어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이 높을 때 사회적지지를 높이고, 불안은 낮추어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다음 수용자의 사회적 지지는 재범위험성에 직접효과는 없으나, 불안을 낮추고 그릿을 높여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더불어 수용자의 불안이 높으면 재범위험성을 높이는 직접효과가 수용자의 그릿이 높으면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이 높으면 그릿을 높이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낮추어 그릿을 높이는 간접효과도 준다. 또한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이 높으면 사회적지지를 높이고, 불안은 낮추어 그릿을 높이는 특정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다음 수용자의 사회적지지가 높으면 그릿이 낮아지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낮추어 그릿을 높이는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더불어 수용자의 불안이 높으면 그릿을 낮추는 직접효과를 준다. 셋째,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이 높을 때 불안을 낮추는 직접효과와 사회적지지를 높여 불안을 낮추는 간접효과도 주었다. 이상 연구 결과는 수용자의 심리적 특성인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그릿, 불안은 재범위험성에 직접 및 간접효과를 주는 중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용자의 심리적 특성의 변인 간에도 유의한 직접 및 간접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법무부의 교정기관이 수용자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 그릿은 향상시키고, 불안은 감소시켜 재범위험성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즉, 수용자의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높여줄 때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과 재범위험성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중요한 의미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재범위험성 도구인 교정예측지표(CO-REPI)를 타당화한 후 국내 수용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국내 첫 연구로 의미가 있다. 더불어 범죄 연구에서 대상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부정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긍정적 요인에 집중하여 기존 범죄 연구와 차별화를 두었다. 이는 심리학 분야의 연구자나 전문가에게 또 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 수용자 징벌제도의 적정성 확보방안

        김동현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수용자의 징벌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징벌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외국의 징벌제도를 비교 고찰하였으며, 수용자 징벌집행에 대한 통계분석 및 징벌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설문조사 및 징벌관련 분쟁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사회변화를 수용하고, 수용자 인권과 수용질서가 조화되는 새로운 상생제도를 도출하여, 제도적 측면, 절차적 측면, 시설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 제도개선을 통한 적정성 확보방안으로 징벌관련 규정정비, 미결수용자의 징벌의 제한, 선택의 폭이 넓고, 탄력적인 징벌제도운영을 위해 육체적인 봉사명령, 금전적인 보상, 전실조치, 이동제한, 공동프로그램 참여금지, 수강명령을 통한 반성문제출, 징벌이송, 엄중구금시설로의 이송처분, TV시청금지 등 징벌종류의 다양화를 제안하였으며, 반면 실효성이 문제되는 도서열람금지나 작업상여금 삭감규정은 삭제하였다. 아울러 개별처우 강화를 위해 수용구분의 개선, 수용자 처우향상을 위한 인권조사과의 신설 및 수용자 징벌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폭행사고를 줄이고, 이와 관련된 징벌사범을 축소하기 위해 폭력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인성교정 프로그램의 도입과 징벌집행에 있어서 교정프로그램의 도입을 주장하였다.둘째, 절차개선을 통한 적정성 확보방안으로 징벌절차에서의 미란다원칙 준수, 징벌처분에 대한 불복제도 도입, 징벌절차에 청문제도 도입, 징벌위원회 운영절차의 공정성 확보, 엄정한 상벌제도 및 운영절차의 개선, 중한규율위반사범 처리의 형사절차화, 수용자 처우관련 전문재판부 설치를 주장하였다.셋째, 시설개선을 통한 적정성 확보방안으로는 징벌거실의 시설보완, 독거수용실 확보와 나아가서 시설개선 및 수용정원을 축소하여 수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고 수용시설구금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인한 징벌사범을 줄여 실질적인 교정처우 향상을 주장하였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는 수용자 징벌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이해와 교정직원 및 수용자의 의식을 연구하는데 유용하고,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수용자 인권신장추세를 고려하여, 앞으로 있을 행형법 개정작업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교정행정에 대한 사회일반의 불신을 해소하고, 교정시설의 적정한 수용질서가 유지 될 수 있는 적정한 징벌제도가 탄생되었으면 한다. This report is process for deriving a new alternative plan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opriety of the discipline punishment inflicted on inmate. In this report, I examined preceding study on the discipline punishmen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and consider it. Also analyze the statistical analysis about executing a punishment and survey upon the propriety of discipline punishment and example about trouble related to punishment. I devide a new system into three parts such as 1) institutional aspect 2) procedural aspect 3) equipment aspect and present it.Firstly, as a plan to secure propriety through institutional revision, this report proposed to diversify the kind of discipline such as rule-maintenance related to discipline, disciplinary limit against unconvicted inmates, monetary compensation, restriction to move, forbid the inmates to participate in public program, writing a reflection paper through the order to attend a lecture, transfer as a punishment, transfer to strict detention-facility, prohibition against watching TV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is report deleted the regulation that forbid book-reading and reduce the working-bonus, because it becomes a problem in terms of effectiveness. Also, it said that improvement of commit division for improving individual treatment, establishment the department for investigation of the human right of the convicted and decrease the violence is recorded the most part of the punishment cautions, and introduce the personality-correction program considered the inmate's character and correction program in executing discipline in order to reduce the offenders.Secondly, a procedural point of view, this report claimed that obeying Miranda Rule in discipline procedure, introducing insubordination system against punishment and audience system in discipline procedure, securing fairness of management procedure of disciplinary committee, revising strict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an offender against the important rule and organizing specialized trial department related to inmate's treatment.Lastly, as a plan to secure propriety through facility-revision, this report say that improving substantial correctional treatment must be accomplished by leading the convicted inmate to psychological balance and reducing side effects caused by detention of accommodation through complementing discipline-room, securing more solitary cells, reducing the number of persons to be admitted and generally improving facilitiesThe study i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studying thoughts of the convict and staffs and comprehension about propriety of discipline punishment. Also, considering improving tendency of the human right of the convict, the alternative plan proposed by this study will be solution to our society's distrust about correction administration and keep the commit system with establishment discipline punishment.

      • 수용자 지위 변화에 따른 예능 콘텐츠 다변화 사례 연구

        서채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ince the 2000s onwards, media has transformed and provided far accessible mediums in which audiences have been able to have a wider range of content across platforms. Accordingly, the audience participate in the content in various ways, and their roles have been gradually shifted from a ‘viewing viewer’ to a ‘participating viewer’. This notion of active participation enables numerous online communities across the platforms, which has come to new culture,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comments or narrow feedback. In this respect,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critical point of looking at the current audience status by positioning them in a detailed scop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content produced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been changing by those who are active audiences. This study summarized the overall changes in entertainment-related content over the previous decades since the 2000s, defined certain cases which would have worked as turning points, and examined how the content fundamentally has changed its form. Followed by these, this paper found out that the transferability between genres has been strengthened, a fandom-centered cultural content, and diversification of viewing behaviors due to the rise of OTT platforms and web entertainment. This study focused on segmenting active audiences according to changes in audience status, and understanding how each group of audiences in each sub-level has led to changes in entertainment content. Until now, mainstream culture has been considered somewhat that changes subculture most of the time. However, this paper assessed that subculture has rather become the mainstream which are mostly led by viewers. Since online platforms where audiences express their opinions are accessible everywhere; so as to be active, it is believed that audiences would be classified into more diverse layers in the future, and various changes in entertainment content will gradually ris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helps better understand the new types of content in the entertainment media that are likely to emerge. 2000년대에 들어서며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를 접할 수 있는 매체는 꾸준히 변화했고, 다양한 기기와 플랫폼의 등장으로 수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콘텐츠의 선택지 또한 확장되었다. 이에 수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에 참여하게 되었고, ‘보는 행위자’에서 ‘참여하는 행위자’로 역할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능동 수용자의 참여 행위는 단순히 댓글을 달고 소통하는 것을 넘어서 일종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하나의 문화를 만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용자의 지위를 세분화 시켜 바라볼 지점이 존재한다고 여겨졌고, 능동 수용자의 주도하에 예능 콘텐츠가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예능 콘텐츠 전성기로 불리는 2000년대 이후를 기점으로 예능 콘텐츠의 변화 양상을 정리하고, 변화 기점이 되는 사례를 지정해 플랫폼을 넘나드는 형태 변화, 장르 간의 연계성이 강화되고 파생 장르가 등장하는 변화, 콘텐츠의 팬덤이 만들어내는 문화, 다양한 층위의 능동 수용자의 등장과 OTT 예능, 웹 예능의 등장으로 인한 시청 행위의 다양화 현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수용자의 지위 변화에 따라 능동적인 수용자를 세분화하고 세분화 된 층위의 능동 수용자가 예능 콘텐츠의 변화를 어떻게 이끌어냈는지 파악하는 것에 연구 의의를 두었다. 지금까지는 주류 문화가 하위문화를 변화시키는 과정이었다면, 본 연구를 통해 최근에는 시청자 주도로 하위문화가 주류 문화로 역행하고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최근 수용자들이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또한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수용자는 보다 더 다양한 층위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지며 그에 따른 예능 콘텐츠의 다양한 변화 현상이 추가로 등장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 논문이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형태의 예능 콘텐츠 변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수용자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우울대응행동 비교

        장승구 경북대학교 특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의 개인적 특성 즉, 성별, 수용기간, 범수, 연령, 취업여부, 수용구분(기·미결), 우울정도에 따라 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정도와 도움정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법무부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6개 기관(대구교도소 190명, 대구구치소 45명, 청송제3교도소 20명, 안동교도소 30명, 부산교도소 35명, 부산구치소 80명)과 대전지방교정청 산하 1개 기관(청주여자교도소 100명) 등 교도소와 구치소, 여자교도소 등의 수용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재구성한 우울 척도와 Won(1980)의 우울대응행동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절차에서 밝힌 과정에 따라 구성한 26문항의 우울대응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관련지어 고찰한 후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1. 수용자의 성별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2. 수용자의 수용기간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3. 수용자의 범수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4. 수용자의 연령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5. 수용자의 취업여부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6. 수용자의 수용구분(기· 미결)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7. 수용자의 우울정도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anti-depression behaviors according to inmates' personal traits. The personal traits mean gender, a period of be detained, the number of offenses crimes, age, employee status, distinction of inmate(decided or undecided), level of depression. The hypothesi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gender. Secon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a period of be detained. Thir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the number of offenses crimes. For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age. Fif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employee status. Six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distinction of inmate(decided or undecided). Seven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level of depression.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Won(1980)'s Anti-depression Behavior Questionnaire, as a result screened twenty-six anti-depression behaviors. A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all of five hundred. screened twenty-six anti-depression behaviors, from in January 2006 to in February, questionnaire to inmates of seven correction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The researcher analyzed all of four hundred thirty-six the questionnaires (male: two hundred thirty-seven, female: one hundred ninety-nine) except sixty-four the questionnaires.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Depression Scales that Lee Yeung Ho(1991) reconstructed and Anti-depression Behaviors Scales that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Won(1980)'s Anti-depression Behaviors Questionnaire. The researcher carried out One-way ANOVA, if the result was significant level .05, the researcher did dependable comparisons a result by Scheffe. All data were treated with SPSS for window 12.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gender. Secon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a period of be detained. Thir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the number of offenses crimes. For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age. Fif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employee status. Six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distinction of inmate(decided or undecided). Seven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level of depression.

      • 수용자의 루머 수용과 확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트라이앤디스(Triandis) 모델의 적용

        권구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루머 확산과정에서 수용자의 루머 수용과 확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집중하였다. 인지적 요인만을 강조한 합리적 행동이론(TRA)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의 한계를 보완하고 발전시킨 트라이앤디스(Triandis) 모델을 루머 확산과정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루머의 장르 또한 경성과 연성루머로 나누어 루머 장르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진행에 앞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트라이앤디스 모델의 수정 및 확장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루머 확산과정에서의 트라이앤디스 모델 구성요인을 세분화 하였다. 추가적으로 개인의 태도 등과 같은 의사결정 과정 부분을 간과하고 있는 트라이앤디스 모델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루머 확산과정에서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별하여 트라이앤디스 모델에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루머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메시지 신뢰성’, ‘지각된 유용성’, ‘긍정적 감정’ 순으로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루머 내용의 구성력”이 루머 수용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수용자들이 내용에 대해 얼마나 신뢰할 수 있고 필요한 내용들로 구성되어있는지, 그리고 내용이 수용자들의 믿고 있던 사실과 부합하여 만족하고 유쾌하다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수록 루머를 수용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루머 수용’이 루머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루머 확산 환경에 따른 확산의도 차이에서 모두 오프라인을 통해 루머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의 경우 특히 자신의 신분이 드러나는 개인 사이트보다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환경이었을 때 확산의도가 상대적으로 조금씩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신분이 공개된 상황에서 온라인을 통해 여러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내용의 루머를 전달하는 것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루머를 확산하려는 의도가 존재하더라도 외적 환경과 객관적인 방해요소가 존재한다면 그것이 행동수행으로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행동에 미치는 외적 환경요인인 촉진조건을 ‘오프라인 상호작용’과 ‘온라인 상호작용’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활발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온라인 확산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상호작용이 활발한 환경에서는 오프라인·온라인 확산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온라인 환경이 수용자들이 가장 쉽게 접근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루머 확산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환경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온라인에서의 루머나 거짓정보의 진단과 판별에 대한 노력은 사회적으로 지속되어야 할 과제이다. 특히, 수용자의 내적요인인 ‘루머 수용’ 영향력이 높아질수록 오프라인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외적요인인 온·오프라인 상호작용’에서 온라인 익명성 보장(X)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루머 확산 환경에 따른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적 요인이 실제 루머를 확산함에 있어 수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루머장르(연성-경성)에 따라 트라이앤디스 모델 구성요인들 간에 영향력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루머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온라인 상호작용’이 루머 확산의도(오프라인, 온라인 익명보장O, 온라인 익명보장 X)에 미치는 영향력은 ‘경성루머’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루머 수용’이 루머 확산의도(오프라인, 온라인 익명보장O, 온라인 익명보장 X)에 미치는 영향력은 ‘연성루머’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성루머의 경우 정치·경제·사회문제들과 같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나 불안감을 조성하는 이슈로 구성되어 관련 정보가 많지 않은 수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검증되지 않았지만 중요하고 유용한 만큼 온라인에서 정보를 공유하려는 동기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반면, 연성루머의 경우 사적인영역의 인간적 흥미를 다루고 있어 오락적 동기와 같은 개인적 동기에 의해 쉽게 수용되고 확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having an affecting on recipients' acceptance and diffusion of rumors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rumors. In this study, Triandis model which weaknesses of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at emphasized only cognitive factors were supplemented was applied to the process of rumors. Additionally, rumors were classified into hard rumor and soft rumor to ascertain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hard rumor and soft rumor. The possibility of correction and expansion of Triandis model was ascertained based on advanced research. Factors composing Triandis model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rumor were subdivided. Factors affecting decision-making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rumor were added to Triandis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upplement weaknesses of Triandis model that neglected some elements of decision- making such as personal attitude. It was found that 'message credibility', 'usefulness' and 'positive affect' had a positive effect on rumor acceptance. 'Organizing power of rumor contents' seems to account for the greatest part of rumor acceptance. In other words, as recipients have more positive affect such as satisfaction and pleasure and reliability of the rumor contents, they are likely to accept a rumor. In addition, it seems somewhat to be high intention to deliver rumors via off-line, in the difference of diffusion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effect, which 'rumor acceptance' affects the diffusion intention, and environment of rumor diffusion. In case of on-line, in particular, it was relatively high a little for diffusion intention, when being environment which anonymity is guaranteed, rather than personal site to reveal one's identity. This means that it does not prefer to deliver the negative rumor via on-line to many people, in the situations which one's identity was open. Besides, it subdivided the facilitating condition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ehavior, into 'off-line interaction' and 'on-line interaction,' and examined it, because it cannot be connected to behavioral performance, if it exists for external environment and objective discouragements, although it exists for the intention to diffuse rumors. As a result, it showed high diffusion intention of on-line in inactivated environments of off-line interaction, and it showed high diffusion intention of off-line, on-line in activated environments of on-line interaction. When synthesizing these results, it is known that on-line environment is the one which recipients can access more easily, share information, and rumor diffusion can actively occur. Therefore, it is the task to be continued socially for effort against on-line rumor or diagnosis and judgment of false information, from now on. In particular, whereas it showed high effect on off-line diffusion intention, the higher effect of 'rumor acceptance,' internal factor of recipients, it was high effect on diffusion intention of not guarantee on-line anonymity (X), the more activated in on-line & off-line interaction, external factor. There is a difference on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factor in effects affecting diffusion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 of rumor diffusion. It implies that environmental factor can affect recipients directly in diffusing actual rumor, via this result. Lastly, it surveyed if there is a difference of effect among organizing factors of Triandis model in conformity with genre of rumor (soft-hard). As a result, it was strong in ‘hard rumor’ for which ‘usefulness’ affects rumor acceptance and ‘on-line interaction’ affects rumor W.O.M Intention (off-line, on-line guarantee anonymity, not guarantee anonymity). On the other hand, it was strong in ‘soft rumor’ for which ‘rumor acceptance’ affects rumor W.O.M Intention (off-line, on-line guarantee anonymity, not guarantee anonymity). For hard rumor, this result is composed of socially important issue such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or issue causing anxiety, so it means that it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users who have not many relevant information. Although it is not proved, as important and useful as, it is expected to happen the motives to share information on-line. In case of soft rumor, it deals with humane interest of private areas, so it means to be accepted and diffused easily by personal motives such as motive of entertainment.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argued the academic, practical implications.

      • 외국인 수용자의 효율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성맹환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국민들이 흘린 땀과 노력으로 짧은 기간에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이와 같은 경제성장은 물질적 풍요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도 했지만, 3D업종에 대한 기피현상으로 생산현장의 노동인력 부족을 심화시키고 고령화 사회를 촉진하는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었다. 교통·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위와 같은 국내의 사회,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90년대부터 중국·동남아 등 외국인들의 국내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국내에서의 각종 외국인 범죄 발생도 급속히 늘어나게 되었다. 법무부에서도 늘어나는 외국인 수용자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처우의 전문화를 위해 대전과 천안 및 청주여자교도소를 외국인 전담교도소로 지정하여, UN「피구금자 처우에 관한 최저기준규칙」을 비롯한 각종 국제준칙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준에 맞게 외국인 수용자 관리와 처우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러나 내국인 수용자와는 달리 외국인 수용자들은 교정시설 내에서 언어소통의 곤란, 외부교통권 행사의 어려움, 음식물, 종교, 생활습관 및 문화 등의 차이를 극복하는데 적잖은 고충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서 분석을 통해 위와 같은 외국인 수용자의 신분상 특수성과 사회·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수용생활 적응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외국인 수용자의 관리와 처우에 있어서 내국인 수용자와 대등하게 인권과 권리가 보장되고, 수용생활 과정에서 어떠한 불이익도 일어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교정시설에서 교정교화를 위한 작은 노력이 출소 후 선량한 시민으로서의 성공적인 사회복귀와 건전하고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리라 믿는다. As an exchange of human resources between countries has become very active from 1990's, the traditional meaning of 'national border' has been fading. The rapid growth of national economy affected people's attitude toward jobs in a way that they have a tendency of avoiding ‘3D’ (Difficult, Dangerous, Dirty) industries and also the country has faced a shortage of workers due to a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That's the reason why the country accelerate its 'Open Boarder Policy' for foreign workers. The number of foreigners pursuing 'Korean Dream'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fter the 'Open Boarder Policy' gave more chances to foreign workers to make money in the country. And,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illegal entrants keeps increasing. Some of them has found it difficult to adjust to Korean society. Their maladjustment in the society contributed to one of the main reasons of various crimes committed by foreigners, and, nowadays, it has become a serious issue in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arious solutions for the effectiv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foreign inmates with a fair manner in comparison to native inmat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urvey in this study is focusing on finding out the way to overcome their handicaps derived from different cultures, lifestyles, diets, languages, and the restrictions derived from their status as foreigners. Based on the survey with questionnaires which is written in Korean, English, and Chinese, most of the foreign inmates turned out to be typically satisfied with communication, diet, religious activity and very interested in earnings of prison work and international transfer of prisoners. It believes this survey will help improve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foreign inmates in our system when the solutions suggested will be reflected in a government policy. Finally, we should really try to make fairer treatment for inmate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it is time for all of us to have consistent interest and concern for their successful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