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 수납공간의 해석을 통한 현대적 수납방법에 관한 연구

        김민광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근·현대 외래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우리 문화속으로 용해시켜 수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외래문화에 동화되어 문화적 식민지화 현상을 맞게 됨으로서 문화적 정체성을 상실케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런 과도기적 상황에서 주생활의 문화적 정체성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우리 문화를 새롭게 해석하여 현대라는 시대상황과 사회적 배경에 알맞은 전통문화를 해석하려는 노력이 80년대 이후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사회, 문화 전반에서 세계화가 진해되는 상황에서 지역성을 의식한 전통의 문제는 단지 기호적 문제가 아닌 문화의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생존의 문제로서 보호보다는 적극적인 발전 방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주거공간과 수납공간은 고유집단의 역사적 경험과 전통을 반영하는 문화적 총체로 자연환경과 조화하면서 시대의 흐름과 사회변화에 따라 발전하였다. 그러나 외래문화 유입과 서구화를 의미하는 근대화로 인하여 현대 한국 수납문화는 지역 및 시대상황에 적합한 규범을 확립하지 못한 채 전개되었다. 오늘날 보편화된 서구식 주거양식은 편의성과 기능성을 제공하였으나, 한국인의 관습과 주거의식이라는 행태에 적합지 않아 거주자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 최근 전통 수납공간의 가치와 특성을 현대 수납공간에 접목하여 서구식 수납공간의 단점을 보완하고 이를 통해 전통 수납문화의 현대화와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전통 계승 및 그 정체성 확립을 꾀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통 수납공간이 우리 생활관습과 정서에 적합하다 하더라도 현대주거가 갖추어야 하는 기능성, 개별성, 사회성과 시대성을 고려 하면서, 사회나 시대의 변천 속에서 새롭게 창조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 전반의 경향을 기반으로 한국적 전통 문화를 재인식하여 보다 진보된 한국적 수납공간의 활성화에 이바지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의 전통수납을 분석하고, 가지고 있는 생활습관이나 사상과 행태 등의 주생활 양식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목적으로 전통수납의 생활행태 특성 중 현대에 수용할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에 대한 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의 행태에 적합한 공동주거 계획안에 생활 문화적 특성을 적용하여 현대화된 우리 수납의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During the course of accepting the outside cultur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 Korea could not dissolve and accept the foreign cultures into our own culture, but rather, it was assimilated to the foreign culture to have the colonialization of culture that it has caused the loss of cultural identity. Under this transition situation, as an alternative to resolve the cultural identity of main living, there has been an effort to interpret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is appropriate to the contemporary time and social background in new interpretation of our culture since 1980s. Today, while the globalization has been dominating throughout the society and culture that the issue of tradition with the locality is not simply an issue of preference but is an issue of survival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culture that there is a need of action plan for active development, not an issue of protection. The residential space and the storage space have been the comprehensive body of culture that reflects the historic experience and tradition of unique group that is harmoniz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o develop along the flow of time and social changes. However,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 and modernization that implied the westernization, the contemporary Korean storage culture has been undertaken without establishing the appropriate norm for local and timely situation. The generalized western resident style provides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but it does not fit into the customs and residential consciousness of Korean that it has not been fully satisfying for residents. Recently, the value and feature of traditional storage space has been linked to the contemporary storage space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 of western style storage space, and through it, there is a tendency to succeed the tradition and establish the identity thereof in the soci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for the traditional storage culture and modernization. However, even if the traditional storage space is appropriate to the life customs and sentiment of Koreans, the functionality, individuality, social features and timeliness that the modern residence required have to be considered in a way of new creation within the time of change for society and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based on such a tendency of the society in general to contribute to the facilitation of the Korean-type of storage space. By analyzing the traditional storage of the past, this proposal hereby is made for the modernized storage space of Korean with the purpose of utilizing the storage space to accommodate the main living style in living habit, ideas and types with the analysis on the elements that included the value to accommodate in modern times, and based on this, the joint residence plan appropriate for Korean has to be applied in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culture.

      • 아파트 수납공간에 대한 소비자 평가 : 30평형대의 붙박이 수납공간을 중심으로

        신소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 건설되어온 아파트는 도입초기에 비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지만 주택의 양적인 부족해결을 위한 공급에 급급한 나머지 거주자의 주요구나 주생활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단독주택과는 달리 아파트는 공간의 제한성이 높고 수납공간이 획일화되어 거주자의 다양한 욕구를 합리적으로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파트 내부공간의 점유율이 높은 수납공간 특히, 붙박이 수납가구가 적절하게 해결되어져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태조사에 의해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한 수납공간 디자인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소비자에 의해 사전평가를 받아보았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행연구에서는, 신발장의 벽면전체를 이용하여 신발 수납에 대한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우산, 청소도구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였다. 욕실 내부 또는 욕실 부근에 상용욕실용품 외 예비용품 수납공간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부엌이 있는 후면발코니에서 식품 저장할 곳이나 조리용품, 제사용품, 취미용품류 및 계절용품류 보관장소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에서 제시된 디자인 사례는 D사의 주택문화관 32평형으로, 위에서 나타난 요구사항을 보완한 것이다. 신발장에는 회전장 설치 및 청소기 및 폐품 보관장소를 두었다. 욕실은 상용욕실용품과 예비용품을 구분하여 수납하도록 설계하였다. 부엌은 코너 및 상부장을 활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설치하였다. 특히, 보조부엌에는 수납장과, 빨래공간을 설계하였다. 안방에는 붙박이장을 설치하되, 용도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붙박이 화장대를 설치하였다. 특히, 드레스룸을 안방과 연계하여 설치하여 의류 및 기타 액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드레스룸 후면 발코니에는 취미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3) 디자인 사례의 수납량, 용도 및 위치, 수납방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D사의 주택문화관 방문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에 응한 대부분의 대상자는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특히, 신발장은 폐품 및 청소기 보관장소를 둔 것과 회전장 및 수납량에 대한 만족감이 매우 컸다. 욕실은 수납량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수납방식에 대해서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면 보조부엌 발코니의 창고 설치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의견 중 가구식 창고도 좋지만 워크인(Walk-in) 타입의 창고 설치를 더 희망하였다. 특히, 계절용품, 자동차용품, 취미용품 등 기타수납을 할 수 있는 창고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 보조부엌 발코니의 물사용 공간이 줄어드는 것과 빨래건조공간 등이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한편으로, 안방 붙박이장에 대한 호응도는 매우 높아 붙박이장을 설치해주기를 원했다. 드레스룸 또한 용도별로 구획되어 있는 수납가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일부는 의류수납공간이 더욱 확보되기를 원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만족도가 높은 신발장, 부엌, 보조부엌 등은 제시된 디자인 사례를 따른다. 욕실은 수납량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제시된 수건함 크기를 키우거나 욕실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욕실 가까운 곳에 공간을 별도로 마련한다. 각 공간별 수납가구의 용도 및 위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나, 신발장은, 폐품보관장소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며, 청소기 보관함은 가구밑판을 없앤다. 그리고, 주위에 청소용품 보관함을 별도로 둔다. 보조부엌은 다양한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워크인(Walk in) 타입의 창고를 설치한다. 신발장에 설치된 회전장에 대한 높인다. 욕실의 수납방식은 제시된 사례를 따른다. 부엌설계시 손이 잘 닿지 않는 상부나 코너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대상자로 제한하였으므로, 이 결과로 수납공간 디자인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평가대상 평형을 체험하여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guidelines for collecting furniture of an apartment by including customer's opinions.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it was analyzed the problem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sonnel interviews were used in the design case, the housing showroom 32 pyung of 'D' company, by being made up this problems. We sampled the showroom visitors and investigat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customer requirements. 117 surveys were particularly studied. The analysis method of an interview survey was used in examining the frequency, percentag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a study precedent, the entrance closet needs space for many shoes, umbrellas, a vacuum cleaner. The bathroom needs need space for bathroom supplies that are used always and sometimes. The utility, a kitchen balcony, needs space for food, cooking supplies, etc. 2) The collecting furniture design case, the housing showroom 32 pyung of 'D' company, reflects this needs. 3) The contents of interview survey were made up of the collecting space's quantity, use, place and way in the collecting furniture design case. According to the surveys, customers were mostly satisfied. they were mostly satisfied of the entrance closet because of rotating furniture, space for waste materials, a vacuum cleaner. They were mostly satisfied of the bathroom because of being divided into supplies that are used always and sometimes. And they were mostly satisfied of the kitchen balcony storage. But, they hoped more the walk-in storage than the built-in storage. Specially, they hoped the storage of supplies for car, hobby, etc. On the one hand, they hoped the built-in closet. they were satisfied of the dressroom.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 Customers were mostly satisfied of the design case, specially, the entrance closet, kitchen, kitchen balcony. But, a cabinet size is hoped to be larger or it to be added one cabinet in the bathroom because they were insufficiently satisfied of the bathroom. In the entrance closet, it is hoped to be removed by the low part of a vacuum cleaner space and to be added the drawer for cleaning supplies. The walk-in storage is hoped to be set up in the kitchen balcony. In this study, the collecting space design is limited because it is limited by the resident in Seoul. And customers need to have an experience themself in the collecting space.

      • 아파트 주방 수납공간의 주택 규모별 개선전략에 관한 연구

        김근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y for Kitchen Storage Space of Apartment Buildings according to the Size of Dwelling Unit Kim, Keun Sung (Supervisor Kim, Jin Wook) Dept. of Housing Planning and Design Graduate School of Hou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oring capacity of buildings of different size and issues causing residents’ inconvenience. In this study, Post Occupancy Evaluation (P.O.E.)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way to store things in buildings of different size in the future and the plan for arranging major items to be stored. (1) Evaluation Result of Main Kitchen More than 50 % of the residents sensed lack of space and found themselves uncomfortable in the main kitchen. In particular, more than 90 % of the residents of the building in small size felt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space to store items. To questions about the location where storing space lacks, 73.3% responded the net to keep cruet‘s was too much small, and 83.3% responded that drawers had lack of space. 95% of residents of Apartment A thought that their cabinet was small whereas quite many number of Apartment B and Apartment C residents found that theirs had enough space. This shows that the size of kitchen differs based on the floor plan. The items in the cabinets are generally the same. The people said that the following items in order are difficult to store in the kitchen: steamer and bucket (39.3%), small home appliances (26.7%), and frying pan (26%), and pressure cooker (23.3%). (2) Evaluation Result of Sub-kitchen Most of the people in this survey said that size of the cabinet in the sub-kitchen is adequate. They usually stored food in large amount (78%), recycled products (77.3%), large baskets (74%), steamer (74%), daily supplies in large sizes (71.3%), large pots (70.7%). The larger is the residential area, the higher percentage takes the space in it for storing food in large amount, recycled products, large basket, steamer, and daily supplies in large sizes. Large basket and daily supplies in large sizes were mainly stored in the sub-kitchen. Some people said they just pile up large-sized products because the sub-kitchen does not have functions to store them – this gives people hard time when they search for the item on the pile. (3) Evaluation Result of Home Appliance Among the home appliances built in the kitchen, the respondents are contented with the following items: gas range, electric oven, dish washer, Kimchi refrigerator, and gas oven in order. Most of them did not have items with which they were not satisfied. Among the built-in home appliances supplied when people move in apartment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gas range, but they did not feel that the dish washer and gas oven are necessary provided that little options were available to arrange them. It is because home appliance companies were more interested in stand-type products than built-in items, and the latter’s functions and designs are poorer and more limited than the products in the market. (4) Evaluation Result of Recycled and Island Products Residents of the most of apartments thought that island cabinet's size is appropriate, and they used island products a lot for preparing to cook and putting things on them. For island cabinet’s preferred options and necessary functions, some people wanted to have additional storing space by separating it from island cabinets in the kitchen, and did not require some special functions. Others claimed that it is good to focus on the use of kitchen sink and dining table. For recycling bin, people have 1.8unit‘s per household in average, and mostly, they keep the bin in the sub-kitchen. For cabinets additionally purchased an installed, it was found that people build shelves in the balcony, and 1 out of 10 households buy and set up a separate cabinet for electronic range and electric rice cooker. Therefore, multi-purposed cabinet – pull-type rice cooker cabinet and built in electronic range cabinet – needs to be install urgently. Recognizing the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oposals should be reviewed when planning for the space in the kitchen: 1. In order to resolve the discontent from the lack of storing space, the survey for the rate of retained storing area and way to store things must be specific and categorized by size of residential area, economic status, age, and life cycle so that practical and systemized storing plans will be incorporated in the kitchen furniture plan. 2. Kitchen space needs to be arranged to have a place where a famil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kitchen is no longer solely owned by women. Kitchen space planning needs to be reviewed to have sight-connected and island type composition so that every family member can join together. It is the fact that proportion of Kitchen space in a housing unit accounts for 12 to 15 % regardless of its size. Therefore some space needs to be spared in the kitchen to rest or to be used by housewife – the space where housewives can take their time and think. To make this happen, space to rest, work, and read books must be clearly divided, which makes the difference from other kitchens. 3. Until now, the space in the sub-kitchen have been merely a spare space. It is important to utilize this space to pile up large-sized items and the food ingredients in large volume for higher efficiency of storing things in the kitchen. Therefore, pantry in the sub-kitchen needs to be installed for storage with large volume and effective ways to keep and natural moisture control systems are recommended to be equipped to prevent food spoilage. 4. It was found that people are discontented with the home appliances provided recently by the construction companies to resolve pending home sale issue and increase the sale price. It is because it is the manufacture, not residents, to place 제 목 : 아파트 주방 수납공간의 주택 규모별 개선전략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아파트 단위세대 주방공간의 특성을 평형별 수납량 및 불편한 점을 조사하여 향후 단위주거 평형별 수납방법 및 주요 수납물의 수납 배치계획을 단위세대를 기준으로 P.O.E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1. 본 주방 관련 결과 본 주방 관련 불만족 사항은 50% 이상이 주방이용 시 수납이 부족/ 불편하다하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일부 소형세대의 거주자는 90%이상이 수납량이 부족하여 불편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부족한 부위의 위치가 어디냐는 질문에는 73.3%의 응답자가 양념통/ 병을 넣을 망이 너무 작다, 83.3%가 서랍이 부족하다고 응답을 해 주었다. 수납장의 크기의 인식은 A단지 거주자 95% 이상이 작다라고 인식하는 반면 B. C단지 거주자는 적당하다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평면계획에 따라 주방공간의 크기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납장의 보유 물품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으며 주방 수납이 불편한 품목은 찜통/ 들통이 39.3%로 가장 높았고, 소형가전 26.7%, 후라이팬 26%, 압력밥솥 23.3%의 순으로 불편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2. 보조 주방 관련 결과 보조주방의 수납장의 크기에 대하여 대부분 응답자가 적당하다고 인식하였다. 보조 주방에는 주로 대용량 식품 78%, 재활용품 77.3%, 대형 소쿠리 74%, 찜기 74%, 대용량 생활용품 71.3%, 대형 냄비 70.7% 등을 보관하고 있었고, 세대면적이 커질수록 대용량식품, 재활용품 등 대형물품의 수납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보조주방의 수납 불편함은 대형 소쿠리, 대용량 생활용품 등이 주로 보관이 되고 있었고, 보조주방이 불편한 이유는 대형제품의 수납기능이 없어 쌓아두기 때문에 다시 찾기가 어렵다는 의견이었다. 3. 가전제품 관련 결과 주방에 설치된 빌트인 가전제품 중에 가장 만족스러운 제품은 가스레인지, 전기오븐, 식기세척기, 김치냉장고, 가스오븐 순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스러운 가전제품은 없다고 하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아파트 입주 시 지급하는 빌트인 가전에 대해서는 항상 사용하는 가스레인지는 불만족이 없으나 선택의 폭이 좁은 식기세척기, 가스오븐 등은 그렇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는 가전제품사가 빌트인 가전보다는 스텐드형 제품에 더 관심을 갖기 때문이고 디자인, 기능면에서 시중제품에 비해 빌트인 제품이 열악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4. 아일랜드, 재활용품 관련 결과 아일랜드장의 크기에 대해서는 대부분 단지에서 적당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아일랜드는 주로 조리 준비대 또는 물건을 올려놓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아일랜드장의 선호 옵션/ 필요기능으로는 주방의 아일랜드장과 수납공간은 분리를 해서 추가로 수납공간을 갖고 싶다는 의견이 있었고, 특별히 기능을 필요하지 않고 있었으며 개수대, 식탁 용도를 강조하는게 좋다는 의견을 보였다.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관련해서는 평균 1.8개의 수거함을 보유하고 있었고, 대부분 보조주방에 위치하여 보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별도의 구입 또는 설치하는 수납장은 발코니의 경우는 선반장을 설치하였고, 주방의 경우는 10세대 중 1세대 정도가 전자레인지, 전기 밥솥장을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용도 장 - 인출식 밥솥장 및 매입형 전자레인지장 - 을 설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은 본 연구의 결론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인식하여, 주방공간 계획 시 검토되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제언 하고자한다. 1. 수납공간 부족으로 인한 불만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납 보유율 및 보관방식에 대한 조사는 분양면적별, 경제수준별, 연령별,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세분화 하여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수납계획이 주방가구 계획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2. 주방이라는 공간이 여성의 전유물은 아니며 가족과 대화 할 수 있는 공간의 구성을 통해 소통의 공간으로 바뀔 수 있게 천편일률적인 방향 및 구성이 아닌 대화공간을 만들 수 있는 대면형 및 아일랜드형 주방공간을 계획하여 가족이 참여하는 주방공간을 구성하는 검토가 필요하다. 단위세대의 주방공간 비율은 면적에 관계없이 12~1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주방공간에 휴식 및 주부만의 고유의 공간을 두어 생각을 할 수 있는 주방공간이 되도록 차별화를 할 수 있는 휴식공간, 오피스공간, 독서공간 등의 구분이 명확히 되어야 할 것이다. 3. 보조주방의 공간은 그동안 자투리 공간의 활용으로 전락해 있는 공간이다. 이 공간을 대용량의 수납제품 및 대량 식재료의 적치공간으로 두어 주방의 수납율을 높이는 공간 활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보조주방의 공간에 펜트리를 두어 체계적이고 많은 수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공간구성이 필요하며 음식물이 부패되지 않도록 자연습도조절 설비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4. 최근 건설사들이 미분양 해소 및 분양가를 올리기 위해 기본 제공품목으로 실시하는 가전제품은 모든 제품에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주자의 입장이

      • 아파트 收納空間의 計劃基準設定에 관한 硏究

        김문상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ndemental data to need for the kinds of storage space storing anticles for daily use to be kept necessarily in our usual life and scale measurement on architectural plan, with surr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use especialy for the storage space of apartment and estimation standard of user. As an approaching method, the observing research for the physcial traces mainly on the apartment has been done and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put in the computer with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satisfactory value was shown high in general circumstance of apartment but low in the storage space. 2. People living in apartment wanted the balcony being outside space to make into inside space and practically have use it as storage space profecting with window. Therefore on architecture plan, we have to use balcony more usefully with getting a proper method for it. 3. They strongly requested the installment of closet for the sub-bedroom and also the proper research is needed in architecture plan. 4. The storage of place for deposit of foods on kitchen utensil is servere, therfore we can use back balcony and need to improve kitchen style for the setllement of it.

      • 아파트 收納空間 使用實態 調査 硏究 : 光州廣域市 아파트 전용면적 60㎡규모를 대상으로

        한동진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residence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nd is also the direct leisure space with our life and spirit as a form of mankind's cultural heritage. Such a form of residence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to the various types owing to the changes of its technical and social aspects and the apartment house which is our current residential form is the composite of the west culture and our traditional life styl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torage space on the unit plan of small apartment house, its uses and problems and improvements. This study draws the problems of using the unit plan for storage space in small apartment house, seeks the solutions and presents the methods for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residential life. 1. This research is on the architectural investigation of storage space in small apartment house and analyzes the changes and uses of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unit plan of small apartment house under 60m'of exclusive area constructed in 1978, 1988 and 1998 respectivel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torage space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storage space on the unit plan. 2.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rate of furniture occupancy of exclusive area is 32∼39% and such a furniture dependent storage type should be changed to fixed storage type in the side of architectural plan and the problems such as furniture expenses in moving should be settled. 3. The factors storage space affects the unit plan include discord of acts, change of room use and inappropriate use of storage space, the reason of remodeling the original room is due to the lack of storage space and the most decisive factor of remodeling is the narrowing of residential space. 4. Since the narrowing of residential space resulted in the inconvenience for residents due to the size, location and use of storage space and spare space, it should be estimated and planned by examining the personality of its users and the types of storage objects. 5.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storage space area can be obtained. ① Altemative -1 : It is planned that the area of storage space for young double-income couple is 9.19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0.36∼1.84 ㎡). ② Alternative -2 : It is planned that the area of storage space for the family in the period of children education is 9.51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 0.37∼1.84㎡). The above results are based on the estimation of proper storage area required in each family type and though it may be different by the types of family, it is based on the common family type. For the planning of appropriate storage spa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various living residence of each family member should be researched and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appropriate size of storage space and actual size based on actual plan. And the installation of storage space has the problem which may result in the narrowing of the spac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proper solutions. Accordingly, for the residential life of better quality, the efficient plan of interior space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spatial plan should meet the kinds and quantity of storage objects which have been diversified and increased rather than unified plan.

      • 평형별로 살펴본 아파트 수납공간에 관한 연구

        조수경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1

        현대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거형태인 아파트는 그 기능적인 편리성 때문에 크게 선호되고 있으며, 양적성장과 함께 보편적인 주거문화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아파트 평면의 설계는 획일화된 형태로 반복, 건설되고 있고 수납공간 또한 평형별 거주자의 주거양식 및 주요구에 대한 고려없이 우연히 발생한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할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그 위치나 크기 및 구조가 평형별 거주자의 수납용도에 맞지 않아 거주자는 불합리한 주공간으로부터 압박을 받는 불편한 주생활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평형별 아파트 거주자의 수납공간에 대한 의식실태조사를 통해 보다 근접한 수납공간의 실태를 파악하여 현재 수납공간의 문제점과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향후 건설될 아파트 수납공간 계획에 이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0년대 이후 서울 및 경기도 일대에 설립된 아파트의 평형별 고정식 수납공간의 실태분석 결과, 10∼20평형과 같은 소규모 아파트에서 고정식 수납공간의 보유율이 낮았고, 40∼50평형의 대규모 아파트에서는 다른 중, 소규모 아파트에서보다 고정식 수납공간의 보유율이 높고, 다른 평형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전실과 드레스룸이 설치되어 있었다. 고정식 수납공간의 총평수를 살펴보면, 평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정식 수납공간의 규모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용면적에 대한 수납공간의 비율을 보면, 50평형대가 가장 높고 20∼30평형대가 수납비율이 가장 낮았다. 또한, 수납공간의 총평수를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적정규모와 비교해보면, 모든 평형대에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적정규모 및 비율을 만족시키고 있다. 2) 실제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고정식 수납공간의 보유실태는 소규모 아파트에서 대규모 아파트로 갈수록 수납공간의 보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고정식 수납공간의 사용실태는 대규모 아파트에서는 수납공간의 보유율이 높고 수납공간의 적절한 위치로 수납물이 제 위치에 수납되어 있었으나, 소규모 아파트에서는 고정식 수납공간의 부족으로 수납물이 적재적소에 정리, 보관되지 않아 수납문제가 더욱 가중되고 있었다. 부족한 수납공간을 보완하고자 취한 방법으로는 모든 평형대에서 수납가구의 설치 또는 상자나 선반을 이용하여 부족한 수납공간을 해결하고 있었다. 3) 고정식 수납공간의 위치에 대해 10∼30평형대에서보다 40∼50평형대에서 적절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고정식 수납공간의 크기에 대해서는 아파트 평수와 상관없이 모든 평형대에서 좁다라는 의견이 50%이상 나타났다. 고정식 수납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30평형대가 가장 불만족도가 컸으며 그 다음으로 20평형대, 40평형대, 10평형대, 50평형대의 순으로 나왔다. 4) 수납을 위한 아파트 공간의 변화에 대해 모든 평형대에서 아파트 구조 변화가 매우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아파트 구조 변화가 필요한 이유로는 수납공간의 부족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고정식 수납공간에서 보완이 되었으면 하는 사항으로는 모든 평형대에서 50% 이상이 기존 수납공간에서 좀 더 효율적인 수납형식이 이루어지길 원했다. 설치하고자 하는 수납공간의 형태로는 모든 평형대에서 고정식 수납공간을 가장 원했고, 그 다음으로 이동식 수납공간, 특수한 형태의 수납공간의 순으로 나왔다. 또한, 현재 거주하는 아파트에서 고정식 수납공간이 추가로 설치되기를 매우 원했으며, 실제 사용공간이 줄어도 모든 평형대에서 고정식 수납공간의 추가 설치를 원했다. 5) 주거특성 변인과 가족특성 변인에 따른 고정식 수납공간의 만족도 및 요구도의 유의적 관계를 살펴보면, 고정식 수납공간의 만족도는 주거특성 변인과 가족특성 변인에 유의적 관계(p<.05)를 나타냈고, 고정식 수납공간의 요구도는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설치하고자 하는 고정식 수납공간의 종류는 10∼40평형대는 침실반침으로 나타났고, 50평형대는 드레스룸으로 나타났다. 가족생활주기 중 형성기, 확장기, 완전 확장기에서 침실반침을 설치하고자 했으며, 확대가족기에서는 드레스룸의 설치를 원했다. 이상이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된 주요내용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수납공간 중에서도 고정식 수납공간에 대해서만 다루어서, 전반적인 수납의 문제점을 살피지 못하였다는 내용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형태의 수납공간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주거생활과 양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또한 가족생활주기 및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에 따른 수납공간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Apartment that was very important for modern housing life is greatly preferred because of convenience in its func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quantity, it became a general housing culture. However, the plane of the apartment was designed to uniformed style repeatedly and similar apartment was built based on the uniformed plane. Collecting Space was also allowed from unexpected space without considering housing life or main requirement of residents according to acreage. Accordingly, most residents were pressed by unreasonable housing space because the place, the size and the structure of collecting space were not suitable for their usage. To recover the problem of the collecting space in apartmen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sed condition through researching the residents recognition about the collecting space. Then, it is presenting the basic data related current its problems,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sidents requirements about the collecting space in the future apartment.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1) When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fixed collecting space in apartments each the number of acreage in Seoul and Kyunggi-Do 1990, the ratio of fixed collecting space was low in the small and middle apartment like 10-20 pyung. But, the ratio in 40-50 pyung was high comparing to the small and middle apartment. In addition, there are a room in front of room and a dress room that can't be seen in other pyung. Considering the whole number of pyung of fixed collecting space, the number is increased togeth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yung of the apartment. But, considering the ratio of collecting space based on the exclusive area, it was most high in 50 pyung and in 20-30 pyung it was most low. In the meantime, comparing the whole number of pyung of collecting space to desirable dimensions presented in advanced study, every apartment satisfies the available dimension and the ratio. 2) When reviewing the actual condition having collecting space from the actual residents in apartment, the ratio having collecting space was increased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size of apartment. When investigating the actual usage of collecting space, in big apartment the ratio of collecting space was high and it was properly placed in available space. But, in small apartment, the collecting space was short and the problem of collections was increased because all kinds of collections were not placed in suitable space. To secure the shorted collecting space, people were installing the collecting furniture, boxes and shelves. 3) Regarding the place of fixed collecting space, most people have opinion that it was suitable for 40-50 pyung than 10-30 pyung. Regarding the size of fixed collecting space, it was 50% or more opinion that the size is too small in every size of apartment. Regar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dissatisfaction was most high in 30 pyung. The next following is as 20 pyung, 40 pyung, 10 pyung and then 50 pyung. 4) Regarding variation of space for collecting, people need the change of structure in every sized apartment. About the reason of need to change the structure of apartment, most people replied to shortage of collecting space. Regarding the supplements of the fixed collecting space, 50%or more of every sized apartment expected to collect efficiently from the existed collecting space. About the desired type of collecting space, the fixed type was most high and the next is a moving type and a specially designed type for collections. In addition, people want to install collecting space additionally in the present apartment. They want to install fixed collecting space though the actual using space is short. 5) Regar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housing and the member of family, the degree of fixed collecting space appeared meaningful relation(P<.05) and the requirement was not showing the meaningful relations. About the sorts of desired fixed collecting space, in 10-40 pyung it was a closet and in 50 pyung it was dress-room. On the aspect of family cycle, in the formative, enlarged, completely enlarged period of family, people want a closet and also, expanded family wants a dress-room. Through the above study was acquired important contents. Bu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 not to review whole problems of collecting space, because it treated only fixed collecting space. Therefore, it should be needed to investigate other types of collecting space. Furthermore, continuous study should be processed periodically because human life style and its mood and family cycle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iod.

      • 아파트 식생활 영역의 수납공간에 관한 연구

        권명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1

        경제성장과 함께 다양해진 현대인들의 생활양식은 아파트 실내공간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아파트의 과시적 공간구성이 수납공간의 부족과 수납형식에 있어 불편함을 주어 거주자들의 큰불만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납공간의 위치와 크기, 구조, 수납물품을 고려한 거주자 요구를 깊이 있게 조사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주거 내 물품 수납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된 식생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수납계획 연구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조리물품의 등장으로 식생활 공간에서 수납을 고려해야할 물품의 종류와 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족한 수납공간을 개선하기 위한 주택개조로 초래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도 식생활 공간 수납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활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수납방안을 모색하고자 조리물품 수납에 관한 실태 및 거주자 의견을 파악하여 거주자의 수납만족을 높일 수 있는 수납공간 계획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 식생활 공간의 수납실태와 거주자의 수납태도, 수납만족, 수납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울산시에서 최근 10년 이내에 지어진 20평형대와 30평형대, 40평형대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9월 27일부터 10월 12일까지 15일 동안 이루어졌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변량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납가구의 현황을 살펴보면 부엌 상부수납장과 부엌 하부수납장의 경우는 평형에 관계없이 모두 설치되어 있었고 부엌 키큰장과 보조 수납기구 그리고 식기 장식장은 40평형 대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20평형대에서는 가장 적게 보유하고 있었다. 선반과 다용도실 수납가구 설치는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부엌작업대의 배치유형 중 일자형 은 20평형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ㄱ자형은 30평형대와 40평형대, ㄷ자형은 40평형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면 연결형태 중 LDK은 20평형대와 30평형대가 대부분이며, L/DK평면 연결형태는 40평형대에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다. LD/K형은 모든 평형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 현재 수납하기 어려운 조리물품은 가전제품과 냄비류, 조리보조식품 및 가공식품으로 수납하기 어려운 이유는 평형별 다르게 나타났다. 가전제품과 조리보조식품 및 가공식품은 평수가 20평형대와 30평형대 일 때 「수납공간이 부족하다」라고 이유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선반구획이 부적절」한 이유가 많았다. 그러나 40평형에서는 수납하기 어려 운 이유가 「수납공간 부족」보다 「선반구획 부적절」과 「물품크기가 다양」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냄비류는「수납공간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선반 구획 부적절」한 이유도 그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부족한 수납공간을 느끼면서 실제 개선하지 못한 이유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평형이 20평형대와 30평형대에서는 「비용이 들어서」라는 응답한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은 「더 이상의 공간이 없음으로」 「번거로와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0평형에서는 「번거로와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조리물품 중 후라이팬류와 바구니류 및 접시류, 잔·컵류, 찬통류, 준비도구류, 그리고 교자상류의 수납장소는 평형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후라이팬류는 부엌 하부수납장 에 바구니류는 부엌 하부장과 다용도실에, 대접류와 접시류, 찬통류는 부엌 상·하부장에 수납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전제품의 경우 평형이 큰 경우에 수납공간이 많음에도 불구 하고 보조수납기구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수납하는 결과를 보였다. 후라이팬류와 냄비 류의 수납장소는 전반적으로 하부수납장에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평형대에서는 후라이팬류를 다용도실에 보관하는 경우와 보조수납가구를 이용하여 수납하는 것이 다른 평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장식용 식기는 40평형대에서 식기장식장에 보관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회용품류의 수납장소는 20평형대, 30평형대인 경우 하부수납장에 가장 많이 보관하고 있었으며, 40평형대에서는 부엌 키 큰장에 보관하고 있었다. 5) 수납에 관련된 거주자의 습관으로 자주 쓰는 물품과 그렇지 않은 물품을 구분하여 정리할 때 「물품에 따라 가능한 구분하여 보관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물품을 정리하는 주기는 「일주일에 한번 한다」는 응답과 「한 달에 한 두 번 한다」는 응답은 비슷한 비율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거의 매일 한번 정리한다」가 나타났다. 6) 식생활공간에 대한 수납방법을 요인분석 한 결과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현상에서 최선 지향 요인으로 식생활공간에 대한 조리물품 수납방법에 있어서 현 상태에서 어느 정도 최선을 하는지, 둘째 보조수납가구 구입, 궁리 지향 요인으로 수납을 위해 어 느 정도 궁리하는지, 셋째 구매하는 행위를 수납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 고려하는 지, 넷 째 조리물품을 어느 정도 쌓아두는지에 대한 문항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점수를 이용 하 여 군집분석 한 결과 노력 수납형, 공간유지 수납형, 공간유지 수납형, 저장수납형의 4개 의 수납방법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노력 수납형은 수납방법에 있어서 조리물품을 쌓아 두 기보다 처분을 하고 수납을 위한 방법으로 수납보조구입을 하는 등 방법을 강구하기 위 해 노력하는 유형이며, 공간유지 수납형은 불필요한 조리물품을 처분을 하며 조리물품 을 사용 후 제자리에 두거나 정리하는 유형이며, 저장수납형은 물품을 쌓아두면서 구입 시 수납공간을 고려하지 않는 유형이며, 적극정돈 수납형은 보유하고 있는 조리물품을 처분하지 않지만 수납을 위해 물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수납공간을 고려하는 등, 효율적 수납을 위해 보조수납기구를 구입하여 수납하는 등 정리, 정돈을 위해 적극적인 수납을 하는 유형이다. 7) 수납가구별 만족은 부엌 키큰장, 부엌보조기구, 식기장식장의 만족이 20평형대와 30평 형대 보다 40평형대 만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용도실의 만족은 다른 공간에 비에 낮으며, 면적, 위치, 편리성은 평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평형에서 수납의 면적, 수납의 위치, 수납의 편리성에 대한 만족이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조리물품 수납에 대한 만족은 평형과 관계없이 다용도실의 수납가구에 불만이 높으며 양파나 감자 같은 보관용 야채 수납에 대한 만족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8) 조리물품 수납 만족 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수납의 「기능성」,「보관성」,「위치성」,「식별성」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만족요인을 군집분석 한 결과,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보관·위치 중시형」,「기능·식별 중시형」,「기타 중시형」의 3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기능·식별 중시형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연령층이 높으며 소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중시형은 기능·식별 중시형 집단보다 젊은 층이며 소득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보관·위치 중시형 집단은 연령층과 소득 수준은 다른 집단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 유형에 따른 수납 가구별 총 만족 결과는 기능·식별 중시형 집단이 다른 집단과 차이를 보인다. 즉 요인별 만족이 높은 보관·위치중시형 집단과 기능식별 만족유형집단은 총체적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9) 부엌의 수납방식은 작업행위와 가까운 수납을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당의 수납방식은 시각적 미를 고려한 수납 그리고 다용도실의 수납방식은 많은 물품 수납을 요 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물품 수납요구는 평형에 관계없이 「조리물품의 크기에 맞게 칸막이를 움직이거나 높이 조절 등이 가능해야 한다 」와 「자주 사용하는 일상 조 리물품은 작업하기에 가까운 곳에 수납해야 한다」 및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다용도 실 선반을 설치해야한다」의 요구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10) 조리물품 수납 요구 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난 7가지 요인 즉, 「수납공간 우선 지향」 그리고 「편리성 지향」,「기능성 지향」, 「조리편리성 지향」, 「사용중시 지향」, 「보관성 지향」, 「실용성 지향」을 가지고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적응형」,「사용 중시형」,「보관 중시형」의 3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적응형 집단은 3집단 중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사용 중시형 집단은 적응형 집단에 비해 젊은 층이 많으며 소득수준이 높았다. 보관 중시형 집단은 3집단 중 소득수준이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1) 식생활 공간 수납가구 보유는 부엌 키큰장, 식기장식장, 보조수납가구의 경우 평형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선반설치와 다용도실 수납가구설치를 한 경우 평형별 차이를 보이 지 않고 효율적 수납을 위해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용도실공간의 수납 면 적, 위치, 편리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다용도실공간의 수납 면 적과 수납위치, 및 수납편리성을 고려한 창고나 선반의 계획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 식생활 공간에서 조리물품을 자주 사용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물품으로 구분하여 정리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후 계획 시 이에 대한 필요성이 긍정적일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 3) 식생활 공간별 수납 면적, 수납 편리성, 수납 위치에 대한 만족은 전체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 각 공간의 수납 편리성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조리 물품 수납에 대한 불만도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양적인 측면이 아니라 수납가구 내부의 공간구획의 융통성, 편리성, 접근성 및 설치장소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의 의견이 반영된 실질적이고 활용 가능한 수납계 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식생활 공간의 수납가구 배치와 종류를 현장조사 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명확한 계획방향을 제시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다양한 수납유형을 제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납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주관적 평가인 수납만족과 수납요구조사는 수납공간 디자인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연구에 의해 수요자의 수납만족과 수납요구를 현장에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는 객관적 질문 문항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storage space of cooking, eating and utility area. According to the apartment size, the 232 sample apartments were selected by the random sampling metho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instrument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ack program. The statistics used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F-tes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oking item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six categories such as portable electric machines, cookers, vessels, small utensils, foods and big utensils. The difficulties for storing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partment size. The biggest difficulty in small apartments was the short storage space. Most of the difficulties in big apartments were inappropriateness of shelves division. The adopted ways for short storage spac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partment size. In the case of big apartments, they had wagons. In the case of small apartments, they made shelves or used boxes for storing. A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using the 4 factors, the types of storage attitude showed a studying type, a space-maintenance type, a preservation type and a best-arrangement type. The satisfaction on storage space of utility related to furniture was lower than cooking or eating space in all apartment size. The satisfaction on a convenient storage differed in the size of apartments. The types of satisfaction showed a keeping-place type, a function-discrimination type and the other importance type and differed in income and size of apartment. The storage needs on cooking, eating and utility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eeds on a visual storage was low. The needs on a function storage, a convenience storage and a discrimination storage were high. The needs on the utility space for foods storage were high. The types of storage needs showed an adaptation type, an using-importance type and an keeping -impotance type.

      • 아파트 거주 아동의 생활재 특성 연구

        조은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99

        본 연구는 아동의 주거환경 중 현대사회의 주거 모델이 되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아동실의 제반 공간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공간내 아동이 사용하는 생활재와 공간과의 대응 유형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 아동실의 제반 공간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아동 생활재의 특성을 파악하며 공간과의 대응 유형을 정립한다. 셋째, 아동실의 수납위주 생활재와 수납가구와의 대응관계를 파악하고, 넷째, 각 공간대응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 및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현장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울의 3침실형 아파트에 거주하며 아동 1인이 1실을 사용하고 맞벌이 가족에 가구소득은 상, 중, 하에 해당되는 가구로써 학년별로 3가구씩 남학생과 여학생이 있도록 총 18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실과 아동이 사용하는 가구 및 생활재가 분포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기초분석자료에 기반하여 심층사례 조사분석 방법이 이루어졌다. 단순한 계측 통계에 대한 정리기반 만으로는 실제 아동의 생활재 특성을 논할 수 없고, 통계적 차이에 대해 규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보다 쉽고 체계적인 틀의 마련을 위해 미리 관련 변인들을 설정하여 생활재 특성과 함께 증명함으로써 변인에 대한 영향력이 나타나도록 분석하였다. 관련 변인은 크게 조사대상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주거특성, 아동실 공간 환경적 특성, 아동의 가구 및 생활재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생활재 특성을 살펴본 결과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전체 성향은 아동실 내부로 다른가족이 사용하는 생활재나 공용생활재가 침해하고, 아동이 사용하는 생활재가 아동실 외부로 분산되는 현상이다. 이는 아동의 영역성과 프라이버시에 부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주거공간 전체의 수납질서에도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분산 또는 침해 현상이 나타나는 가구는 총 17가구로 조사되었으며 침해수량과 용적의 평균은 각각 167.4개, 0.3388㎥이고 분산수량과 용적의 평균은 각각 162개, 0.3327㎥로 조사되었다. 2) 아동실의 수납위주 생활재와 수납가구와의 대응관계를 파악한 결과, 붙박이장은 비체계적인 내부구조로 여러가지 생활재를 쌓아두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책상은 음향, 조명기기 외에도 PC기기의 사용증가로 작업면이 협소하였고, PC 겸용 책상의 경우 수납서랍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책장과 책꽂이는 크기와 형태상 수납되기 어려운 생활재를 위에 올려두는 경우가 많은등 생활재와 가구간의 대응관계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3) 생활재의 침해와 분산이라는 두 변수의 조합을 통해 아동 생활재와 공간대응실태의 유형을 4가지로 크게 분류하고 이를 다시 6가지 세부유형화 하여 미리 선정된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해와 분산상황이 없는 유형은, 아동실의 보유가구 패턴(의류, 서적류를 수납할 수 있는 가구가 충분할수록), 가구의 합리적인 내부체계, 아동이학년(고학년일수록), 이성의 자녀구성 등이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침해상황은 없고 아동실 공간과 수납공간에 여유규모가 없어 분산상황이 일어나는 유형은, 아동이 학년(저학년일수록), 아동실과 인접한 베란다로의 접근성(용이할수록) 등이 상황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침해상황은 없고 아동실 공간과 수납공간에 여유규모가 있음에도 분산상황이 일어나는 유형은, 아동이 학년(저학년일수록), 동성의 자녀구성, 자녀간 연령차(적을수록), 가구의 비합리적인 내부체계 등이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넷째, 분산상황은 없고 아동실 공간과 수납공간에 여유규모가 있어서 침해상황이 일어나는 유형은, 보유가구 패턴(의류, 서적류를 수납할 수 있는 가구가 많을수록), 아동의 학년(저학년일수록), 동성의 자녀구성 등이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다섯째, 분산상황은 없고 아동실 공간과 수납공간에 여유규모가 없음에도 침해상황이 일어나는 유형은, 보유가구패턴, 비효율적인 가구내부체계, 거주년수 (단기간일수록) 등이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여섯째, 침해와 분산 상황이 모두 일어나는 유형은, 가구보유 패턴 및 비효율적 내부체계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외에도 제 3의 변인으로서 주생활 양식, 주거공간 전체의 수납현상과도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파트에 거주하는 아동의 생활재는 공간과의 대응측면에서침해와 분산이라는 현상학적 특징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6가지 유형으로 정립하였으며, 각 유형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배경들을 탐색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아파트 아동실의 규모와 형태, 시설, 설계기준 및 가구설계와 디자인 개발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참고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주거환경이 아동의 독립성, 자율성 등을 적절히 지원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탐색된 요인에 대한 검증 연구가 후속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생활재 현상과 아동의 제반 발달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여 아동의 건전한 성장 및 발달을 고무하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관심이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nvironment of children’s room of apartments which are the main living model in modern society and to understand the corresponding type between children’s living commodities and storage space. The followings ar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irst objectiv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nvironment of children’s room of apartments. The second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ving commodities and to find the corresponding type between space and children’s commodities, and the third to underst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living commodities and furniture in children’s room. The fourth wa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each corresponding type. The study method of this research was on-site survey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The subjects included 18 houses and the conditions of subjects were 3-bedroom apartment in Seoul, one child using one’s own room, 3 houses for each school grade, both boy and girl students, dual-income family, the level of family incomes were high, intermediate, and low grade each. And the study was restricted to the children’s rooms and furniture and storage space where the living commodities are located. The other study method was depth case analysis on the base of basic analysis data. Simple measurement analysis cannot lea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ving commod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associated factors were selected beforehand as a qualitative study method and then analyzed to induc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and children’s living commodities. The preselected associated factors were sociodemographic and habi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families, and spat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oom,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urniture and living commodities. The following show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1) The obvious overall tendencies of this study are: the living commodities used by other family members or commonly using commodities are intruding the children’s room and living commodities used by children are tend to be dispersed outside the children’s room. They can be a negative factor for children’s territory and privacy and can influence on the whole house space storage system. Total number of houses showing dispersion phenomenon was 17 houses (94.4%), the average number and extent of the commodities showing intrusion phenomenon were each 167.4, and 0.3388㎥. And the average number and extent of dispersion were each 162, and 0.3327㎥. 2) In most cases, built-in furniture were being used for piling up various living necessities due to their unsystematic inner storage structures. In case of desk, working space was too narrow because of increasing use of PC, illuminators and sound facilities, and in case of bookshelf and bookcase, many things were laid on the top of the bookshelf because their size and structure were inappropriate for the articles. As a conclusion, many storage furniture were not properly corresponding to the living commodities. 3) By combination of two variables of intrusion and dispersion of living commodities, we classified the type of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living commodities and furniture of children’s room into 4 types. Then w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with the 6 preselected related factors. In the first pattern of no intrusion and dispersion, related factors were the furniture pattern in children’s room (if enough number of furniture to contain the clothes, books and so on), effective inner structural storage system of furniture, the children’s grade (if higher grade), different children’s gender composition. In the second pattern of no intrusion but dispersion due to narrow space of children’s room and storage furniture, related factors were the children’s grade (if lower grade), the accessibility from the children’s room to the veranda (if easier). In the third pattern of no intrusion but dispersion in spite of enough space of children’s room, the grade of children (if lower grade), same children’s gender composition, gap between children’s age (if smaller), ineffective inner structural storage system of furniture were revealed to be related factors. In the fourth pattern of no dispersion but intrusion due to enough space of children’s room and storage furniture, the furniture pattern in children’s room (if enough number of furniture to contain the clothes, books), the children’s grade (if lower grade), same children’s gender composition were the related factors. In the fifth pattern of no dispersion but intrusion in spite of no spare space in the children’s room and storage furniture, related factors were the pattern of possessing furniture, ineffective inner storage system of furniture, residence duration (if shorter). In the sixth pattern of intrusion and dispersion both, many variables in example, the pattern of possessing furniture, ineffective inner storage system of furniture, interacted as a complex. And further more, style of house living and whole house storage phenomenon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intrusion and dispersion were demonstrated in the corresponding aspect of children’s living commodities and storage space in apartments. And this phenomenon was classified into 6 types, and we presented various factors expected to be related with each type. This study can serve as a useful and practical reference when designing the size, structure, facility and developing the design criteria, furniture design and planning children’s room in apartments. And further studies can be expected concerning whether house environments are relevantly supporting the children’s independency and autonomy. Further more, much attention must be paid by search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iving commodities and children’s development to make environment supporting children’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