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추리소설의 현대적 변용 연구

        윤미화 建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한글초록: 추리소설은 포우로부터 시작되어 아서 코난 도일에 이르러 그 형식적 전형이 완성되고, 제 1차 세계 대전과 제 2차 대전 사이에 대중적 인기의 정점을 구가하며 많은 작가와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추리소설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작가나 작품 위주의 단편적인 연구들에 머물고 있다. 또한 추리소설에 대한 연구서나 비평사에 대한 소개도 전무한 실정이며, 추리소설에 대한 명확한 연구를 한 연구서 보다는 유명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추리소설에 대한 폄하된 시선은 이런 연구의 진척을 더욱 더디게 하였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소개된 추리소설에 대한 이론서는 대중소설의 일부나, 소설의 이론을 소개하는 부분의 일부로 되어있다. 이에 필자는 우리나라에서도 추리소설에 대한 포괄적이고 이론적인 포석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추리소설의 체계적인 진행과 이론의 전개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겠다. 2장에서는 추리소설이 탄생하게 된 문학적․사회적 배경과 발달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특히 추리소설의 발달에서는 에드가 알렌 포우를 중심으로 추리소설의 탄생과 발달을 연구하고, 발달과정에서는 아서 코난 도일과 아가사 크리스티의 중심으로 하겠다. 이 후 3장에서는 작가와 작품 위주가 아닌 추리소설의 전반적인 이론적 지식을 정리하도록 하겠다. 특히, 추리소설만이 가지는 독특한 규칙과 유형분류를 언급하고, 서사방식과 구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시키겠다. 4장에서는 추리소설이 소설의 하부 장르로서 그치지 않고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인기 있는 대중문학으로 자리 잡아 가는 발달과정을 연구하도록 하겠다. 또힌 추리소설과 순수문학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추리소설이 다른 장르와 달리 낮은 평가를 받는지 에 대한 원인에 대해 규명하도록 하며, 추리소설의 가장 큰 장점인 대중성을 알아보고, 추리소설이 순순문학작품과 용해되어가는 모습을 살펴보고, 이 장르가 미래를 열어가는 변화의 시도에 대해 연구하도록 하겠다 영문초록: The birth of detective story began with the development of novel. It was the result coming from the rapid growth of city and the advance of science. A crime was expanded in the complex cities, and that enhanced the police system and scientific crime investigation. Also, positivism science can clear not only biological process in human body but also procedure of thought. Economical growth accompanying with capitalism made the reading public come up to the surface, and which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detective story. Detective story started by Poe has shorter history rather than other genre, but it had many opportunities to change. In classical detective story, basic structure was the method how the crime is committed and step toward solution of question. In this procedure, mutual relation is formed between a writer and a reader. Also, they compete with each other for solution of questions. Under the rule, they approach for the end like as they play the game. In early detective novel, a writer took the initiative of story. Changing circumstance distributed the right to write to the public and then, they could begin to write. The public who could write reflected their though and feeling into text. Like as a matter of life and death depends on the hand of the audience, many parts of literature genre rely on readers' judgments. The times in which a reader kept though and questions in his mind has gon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media have inspired craving for writing into the public. However, not all the public began to write detective story even though the desire for writing was raised in the public. Also, the theme in detective novel which is murder, was not ordinary experience so that it was not easy to run into a fragrant crime in trivial round of daily life. Anyone could experience romantic love in their life time, but only the minimum number could face on the very spot where the crime committed. A crime occupied important parts of ordinary lif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ities. It has not become uncommon case to face on a crime. Like a newspaper filled with a crime and newscast in TV, a criminal act was spread out everywhere. Now, the public did not regard a crime as extraordinary theme. As society becomes complicated, the rate of a crime becomes higher. Although detective story was developed along with high crime rate, it was not non-fiction story. It was entirely rational and creative genre. In this dissertation, primarily purpose is to trace origination and root of development of detective novel. Poe has been generally acknowledged as a creator of detective story. However, various hidden factors has affected until one complete genre was created and matured. Detective story couldn't bean exception, and it involved many hidden factors that influenced on development of detective story. From legend to the Bible, from Greek mythology, to Shakespeare and classical literature, these factors were fused into one, that is to say detective stor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detective story intimately associated with social evolution is modernity.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n detective story depends on not preternatural or superstition but logical and scientific inspection. That is the modernity inside detective story. However, detective story was admitted inferior to other genre because it was reflected to public taste and it was positioned lower ranking in literature for long time. In twenty one century, many literature genre has faced on crisis. Emergency of reflection media has taken off eyes' of readers and recently appearing text couldn't be categorized one genre, which demonstrates cross-over feature. This moment at which many critics says literature's crisis is the time to grasp opportunity. Detective story in this time has made an effort to enter territory of real literature. The detective story's position in literature history was researched in this paper tracing the procedure of development. As we see, detective story was excluded from major stream of literature and it was not grasp the attention. However, its achievement in literature history and the effort to alter are worthy of the subject of study. Study and discussion are mostly focused on detective novel's Golden age in 1930, and especially, the fact that research of this genre are wholly lacked in Korea made me turn my viewpoint into detective story. Although it has been only 160 years since it was appeared and developed, it was not easy to endure under the circumstance in which it was despised and admitted as low ranking literature. However, it is heading towered turning point

      • 유료 웹소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이다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Web-fiction is a digital content which has evolved from PC communications network fiction, and it is suitable to be used by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t present, its economic value is estimated to reach tens of millions of dollars. Also, it is growing as the source of diverse cultural contents such as soap opera and movies. Although web-fiction has the potentiality of growth, there are few studies about it.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nd that what factor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paid web-fic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Before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xplained the concept of web-fiction and its three features. First, people can use it everywhere and anytime because the content is suitable for ubiquitous mobile service. Second, since it is a snack content which is divided up into small segments to be consumed in a short time, the users can pay for a piece of whole content. Third, the story or plot of it is similar to that of “genre fiction” of Korea, so the purpose is to offer fun to the readers. These features can be the basis to search preceding researches and to find variables which affect the intention to use paid web-fiction. In this study, the basic variables of TAM(such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and the intention to use) are used as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other four variables is added to this study model as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price level, interactive action,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r interface. The data which had been collected via ‘Google survey’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at three independent variables(perceived price level, interactive action, perceived playfulness) affect the perceived usefulness. However, perceived easy of use could not affect the perceived usefulness. Second,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r interface affect perceived easy of use. Third, both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affect the intention to use of paid web-fiction. From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AM is still valid to analyse the intention to use of paid web-fiction. The two variables,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r interface have relatively greater influences on the intention to use of paid web-fiction. Also, the fac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has been weaker because the users have been used to controlling mobile technology. In addition, this study achieved detailed result that what factor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paid web-fiction. Since the three variables(perceived playfulness, user interface, and perceived easy of use) have greater influences on the intention to use of paid web-fiction, it is necessary for the companies to invigorate users’ interactive action, to offer interesting contents through diverse ways including web-fiction contests, an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ir applications and payment systems. It is confirmed the fact that the combination of mobile technology and web-fiction content has made successful new paid digital content. The interactive action, well-made user interface, interesting content, and reasonable price affect on the intention to pay for web-fiction. This strategy will be a good example to show the content companies what they should do to develop the web-fiction market in this mobile heyday. 웹소설은 PC통신 문학에서 출발해 모바일 시대에 걸맞게 진화한 디지털 콘텐츠이다. 현재 웹소설은 그 자체로도 수백 억 원 대 규모의 시장을 형성했으며 드라마나 영화 등의 원천 콘텐츠로서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발전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웹소설에 대한 연구는 문학적 측면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 수용 요인을 파악하는 데 널리 쓰이는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유료 웹소설 이용의도를 분석하였다. 현재 웹소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우선 웹소설의 개념을 설명하고 웹소설의 3가지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웹소설은 PC통신 문학, 인터넷 소설을 거쳐 모바일에 맞도록 진화한 콘텐츠로서 어디서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짧게 소비하는 스낵콘텐츠이므로 기존 전자책과 달리 한 화별로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웹소설의 내용은 판타지·SF·무협·로맨스 등의 이른바 장르문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유료 웹소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구성하는 근거로 삼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의 기본 변수인 내적 신념 변수(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및 종속변수(유료 웹소설 이용의도)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여기에 인지된 가격 수준, 상호작용적 행위, 지각된 즐거움,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4가지 외생변인을 추가하여 최종 연구 모형을 만들고 총 8개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SPSS의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된 가격 수준, 상호작용적 행위, 지각된 즐거움이라는 변수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반면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각된 즐거움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변수가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모두 유료 웹소설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술수용모델이 소비자의 유료 이용의도를 파악하기에 여전히 유효한 모델임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각된 용이성의 선행 변수로 제시된 지각된 즐거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성이 유료 웹소설 이용의도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끼쳤다. 다만 이용자들이 모바일 기술에 익숙해지면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의 관계가 예전보다 약해졌다는 사실도 같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어떠한 요인이 유료 웹소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앞서 살펴본 대로 지각된 즐거움,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각된 용이성이 종속변수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관련 업계는 웹소설 이용자들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고, 공모전 등을 통해 이용자들의 취향에 맞는 흥미로운 콘텐츠를 제공하며, 어플 기능과 결제 방식을 개선시키는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기술과 웹소설이라는 콘텐츠가 결합하여 성공적인 유료 디지털 콘텐츠가 만들어졌음을 확인하였다. 활발한 상호작용, 편리한 인터페이스, 재미있는 콘텐츠, 합리적인 가격 등은 웹소설 구매에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콘텐츠와 기술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해 이용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한 웹소설의 유료화 전략은 앞으로 콘텐츠 시장이 발전하려면 무엇에 힘써야 하는지 보여 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 소설 원작 무성영화 연구

        허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일제시대에 고소설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무성영화를, 원작 소설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지금까지 초창기 무성영화에 관한 연구는 원본 필름이 남아 있지 않은 어려움 때문에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는 이런 상황에서 당대에 유통되고 영화에 영향을 미친 고소설을 중심으로 관련자료를 점검함으로써, 지금까지 규명되지 못했던 영화의 내용이나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고소설 원작 무성영화의 출현배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무엇보다도 판소리와 창극을 포함한 전통연희가 꾸준한 인기를 얻었던 것이 밑바탕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영화산업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1910년대 후반부터 일본내지의 영화회사들이 조선으로 직접진출하면서, 재조일본인 영화업자들은 배급망을 잠식당한다. 그들이 자체적인 영화제작을 꾀한 것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자구책이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이 주목한 것은 활판본 소설시장이었다. 고소설이 활판본 시장에서 후발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소설을 밀어내고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양상은, 영화를 산업으로 바라볼 수 있었던 안목을 갖춘 영화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3장에서는 1923년 <춘향전>을 시작으로, 1935년 발성영화 <춘향전>이 개봉되기 전까지 만들어진 8편의 무성영화의 관련기록을 점검하고 당대에 유통되던 활판본 고소설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산발적으로 언급되었던 고소설 원작 영화와 관련된 신문기사나 자료, 잡지에 게재된 줄거리 요약 등 접근가능한 모든 자료를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작품의 기획단계부터 개봉까지의 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련의 영화를 고소설 이본의 하나로 바라보고, 내용을 소설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일련의 작품이 치밀하게 기획된 문화상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작품은 선행하는 혹은 경쟁관계에 있는 작품들과 차별화된 전략 아래 만들어졌고, 원작 고소설을 수용하는 방식이나 광고 문구 등도 이러한 전략에 부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작품들의 스토리를 원작 소설과 비교해보면, 나름의 개작을 시도했던 정황을 확인할 수 있다. 4장에서는 [효녀 심청전]을 중심으로 당대 시나리오 양식과 영화현장에서의 의사소통의 문제, 그리고 변사의 영화해설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고소설 원작 영화는 시나리오 없이 활판본 소설을 대본 삼아 제작된 것으로 논의되었으나, 관련 자료를 검토한 결과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조선의 무성영화는 초창기부터 형식을 갖춘 시나리오를 토대로 제작되었으며, 본고에서는 이에 더해 그 시나리오가 일본어로 썼을 가능성, 영화 제작현장에서도 일본어로 소통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작품에 나타난 보조자막은 시나리오 작가이자 작품의 변사를 계획했던 김조성의 영화 해설의 양상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효녀 심청전]의 존재는 이미 1920년대의 무성영화의 변사해설이 독자적인 양식을 갖추고 있음을 말해준다. 고소설은 영화라는 매체와 만나 자신의 약점을 극복한 채로 더 많은 대중들과 만나게 되었다. 이는 고소설이 활판본으로 출판될 때부터 이미 시작된 변화로, 근대 이전에 고소설이 갖고 있었던 단점은 이미 상당부분 보완되어 있었다. 이러한 고소설 자체의 대중성이 창작자들로 하여금 영화의 소재로 선택하게 했던 원동력이었다. 만약 고소설을 '고전'으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그것은 고소설의 대중적인 성격, 다시 말해 고소설 이야기의 재미가 오래 전부터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고전이라는 단어가 일시적 베스트셀러와 구분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고전이 갖고 있는 당대의 상업적 경쟁력은 간과되었다. 고소설이 오래 전에 만들어진 내용이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그 순간에 재미있는 이야기라 판단했기 때문에 영화의 소재로 선택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고소설 원작 영화는 작품성이라는 관점에서 그 자체로 의미있는 성취를 이루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들 작품이 만들어지고 경험이 축적되면서 <아리랑>이나 <임자없는 나룻배>와 같은 수작이 출현하는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is paper, silent films based on old styl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relation with original novels and it was aimed to obtain its aspect. Due to the difficulty of lack of original film, research on initial silent films until now have not been intensively conducted. This paper propose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ovies that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ituation. In chapter 2, background appearance of old style novel originated silent films were discussed. The reason old style novels could be selected as material of movies in the initial period of silent films is because of the change of Chosun movie industry. As Japanese movie companies directly advanced to Chosun since the late 1910s, Japanese colonial movie associates encroach the distribution channels. Making autonomous movies was their method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novel market was paid attention to in this process. Although old style novels were a latecomer in the printing market, new style novels were pushed away to receive high popularity in which it influenced movie men who had insight to seek movies as an industry. In chapter 3, recording on 8 silents films are inspected starting from Chunhyangjeon春香傳 in 1923 to the opening of the talking film Chunhyangjeon in 1935 in which relation with the printed edition old style novels distributed at that time was looked into. Approachable data on sporadically referred old novel originated movie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outlines posted in magazines were reviewed. Based on this data, the total process from work planning to release was investigated. Also, a series of old style novels were looked as one different version and contents were compared with the novel.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work were thoroughly planned cultural products. In chapter 4, contemporary scenario style, problem of communication in movie scenes, and narration in silent films were investigated based on Hyonyu Simcheongjeon 孝女 沈淸. Until now old style novel originated movies were discussed to be manufactured with printed version novels, but this fact was not true as result of reviewing related data. Silent films of the Chosun Dynasty were made based on scenarios with form since the initial times and possibility of Japanese written scenarios and communication with Japanese in movie production scenes was suggested. The supporting subtitles shown in work have meaning that aspect of Kim Jo Sung’s movie narration was informed. Existence of Hyonyu Simcheongjeon shows that silent film narration in the 1920s had independent style. Old style novels have overcome its own weaknesses and has met more publicity. This has supplemented substantial amount of disadvantages that old style novels had before modern times as this change started since release of old style novels as printed versions. This publicity of old style novels was the driving force of movie production. If old style novels that are not bibles or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can be defined as ‘classis,’ it means that the public characteristic of old style novels or interest of stories have been continued for a long time. However, the word classic is recognized to classify temporary best sellers in which the contemporary commercial competitiveness was overlooked. Not because old style novels were made a long time ago, but the interesting story is important at the fact that it was selected as movie material. Old style originated movies did not achieve significant accomplishment in the aspect of literature value. However, as experience has accumulated as these work have been produced, there is meaning that it has become basis of masterpieces such as Arirang or A Ferry Boat that has No Owner.

      •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 연구 : <심청전> 이본을 중심으로

        김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classical novels by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increases readers’ meta-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dition of these novels, ultimately allowing the readers to dialogica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a work that exists as different editions. The different editions of the classic novel have dialogic properties, and the phenomenon of derivation of different editions, are noteworthy in literature education, which regards acceptance and creation as connected activities. Different editions of classic novels are already used as learning materials that help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and subject. However, the genre of classic novel editions itself has a dialogic nature, and is a good example of the fact that the acceptance of a novel is a dialogue structured as a response to a conversation. As a result, editions are oriented toward certain tendencies and transform over time. This phenomenon shows the readers’ desir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posed by the work, or to evaluate which solution is better. Such readers’ desire is also a desire to ethically respond to life and the work itself. Therefore, rather than simply teaching how to understand the work using different editions, the dialogical nature of classic novels, which reveals the dialogue between the novel and life through the different editions, must be utilized as a principle in novel education. In order to make dialogical understanding, which allows a dialogue between the novel and the reader’s life, an educational content, this study examines Bakhtin’s concept of “dialogue.” Bakhtin did not limit language to a system, nor dialogue to communication. To Bakhtin, the meeting of art and life is as personal as a dialogue, never an interpretation of a code. Also, understanding an object is to understand oneself through it. His focus on intersubjectivity shows that dialogue is also related to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dialogue participants. Based on such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dialogue, this study presents the polyphony of the text and the readers’ responsiveness as key principles in dialogical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responsiveness and the derivation of a different edition of a classic novel is examined by looking at what the reader focused on when creating a response. Then, this study applies these dialogic principles to The Tale of Shim Chong, which has multiple manuscripts of different editions, and examines dialogical understanding in detail. The Tale of Shim Chong illustrates a problematic situation where a conflict is caused by filial duty, and it reveals this in a polyphonic manner. Various editions of this novel present a response to the topic raised by the polyphony of the original novel.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readers primarily respond to the work through the characters,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 aspects of dialog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two main characters, Blind Shim and Shim Chong. Firs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sponses to the topic raised by the polyphony of the text differ for each character. Then, it examines the kind of dialogical understanding the responsiveness develops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in the novel. Through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dialogical understanding and confirmation of its specific aspec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and design the content of education on dialogical understanding of classic novels. This content will allow learner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and subjects, experience the literary culture based on the properties of classic novels, and experience the dialogical nature of novels and the ethics of novel acceptance. This educational content will be comprised of content that allows learners to dialogically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the subject,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dialogical understanding, and to evaluate the different dialogical understandings of different editions. Through this, the learner will ultimately inherit the problems posed by classic novels in modern times, and they are expected to be able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both themselves and life. 고전소설은 원작자가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이본으로 존재한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고전소설의 이본 파생 현상을, 수용과 창작을 연계된 활동으로 보는 문학교육이 주목할 만한 현상이라고 파악하고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을 제안하였다.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는 이본 간의 차이를 인식하고 차이를 발생시킨 텍스트의 다성성과 독자의 응답성에 주목하여 이본 간의 변모를 다층적으로 이해하는 메타적 이해 활동이다. 이러한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은 독자가 스스로 작품을 대화적으로 이해할 뿐 아니라 그 전승의 역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의 내용을 설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심청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대화성’을 소설의 속성으로 본 바흐친의 논의를 주된 연구 방법으로 삼았다. 이에 근거하여 이본 파생이 작품이 제기한 화제에 대한 ‘말 걸기와 응답’의 구조, 즉 ‘대화’의 구조를 띠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대화적 이해의 원리로는 텍스트의 다성성과 독자의 응답성을 제시하고, 텍스트의 다성성에 대한 독자의 응답성이 고전소설의 이본을 파생시킨 동기임을 밝혔다. 특히 작자이기 이전에 독자인 개작자는 소설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소설에 대한 응답을 드러내었기 때문에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양상은 <심청전>의 주요 인물인 심청과 심봉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심청 중심의 대화적 이해는 ‘이효상효(以孝傷孝)’ 화제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심봉사 중심의 대화적 이해는 ‘아버지다움’ 화제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심청전>은 심청이 효를 실행하면서 제기된 갈등, 즉 ‘이효상효’ 화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응답성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이본이 파생되었는데, 심청에 대한 응답성은 크게 인물에 대한 공감과 서사의 합리성을 두 축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물의 내적 대화의 상상적 구성’, ‘인물의 소망 이해와 그의 충족’, ‘인물의 논리 강화와 인격의 세련’, ‘주변 인물 추가를 통한 세계의 변모’를 그 대화적 이해의 양상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심청전>은 효를 받는 대상인 부모의 자격을 둘러싼 ‘아버지다움’ 논쟁도 불러일으켰다. 독자들은 심봉사에 대해 ‘부정적 태도’와 ‘공감적 태도’라는 상반되면서도 공존하는 두 가지 태도를 보였다. 그런데 심봉사에 대한 서로 다른 태도는 모두 심청을 중심으로 한 대화적 이해의 화제, 즉 ‘이효상효’ 화제와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청의 희생은 ‘색난’의 문제를 불러일으켰고 독자들은 심봉사를 중심으로 이 ‘색난(色難)’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화적 이해를 보여주었다. 이때 ‘부정적 태도’와 ‘공감적 태도’라는 심봉사에 대한 양가감정(兩價感情)은 심봉사의 개성을 창출하는 복합적 효과를 낳기도 했다. 그러나 심봉사를 부정적으로 이해하든 긍정적으로 이해하든 ‘색난’의 딜레마는 해결되지 않음으로 해서 <심청전>은 보상의 사전제시를 통해 갈등을 조정한다. 한편, 심봉사를 타매(唾罵)하는 태도에 대한 반성적 인식이 일어나면서 심봉사에 대한 반감도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심청전>에 대한 대화적 이해 양상을 바탕으로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을 설계하였다. 먼저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의 구도를 작품에 대한 심화된 이해와 향유층에 대한 이해로 제시하고,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이 ‘인물과 주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고전소설의 속성에 비롯한 문학문화를 경험’하게 하며 ‘소설의 대화성과 소설 수용의 윤리성을 경험’하게 함을 논하였다. 이를 위한 고전소설의 대화적 이해 교육의 내용은 크게 주제와 인물을 대화적으로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 두 내용은 공히 탐구학습 모형에 기반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다성성과 응답성의 원리에 주목하여 대화적 이해의 내용을 구성해보고 이를 가치 평가하는 과정으로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고전소설이 제기하는 문제를 현재의 지평에서 이어받고, 그를 통해 자아 이해와 삶의 이해를 심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중 가족소설에 대한 비교 연구 : 염상섭의 <삼대>,바진의 <가>를 중심으로

        장어헌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19세기의 한국과 중국의 나라환경을 보면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은 19세기부터 서양의 침략을 받기 시작했다. 한국과 중국은 거의 같은 시기에 애국심이 고취되는 경험을 했다. 식민지가 되어버린 상황에 두 나라의 민중들은 각자 국가를 잃어버린 고통을 느끼게 되었다. 한국과 중국은 19세기 역사를 비롯해 많은 공통점과 연관성이 있다. 먼저 가족소설과 가족소설의 의미를 연구했다. 한국의 가족소설은 개화기에 태동하여 30년대에 흥행했다. 작품의 주제나 인물 유형과 성격, 서사방식 등 여러 방면에서 연구할 가치가 크다. 중국 가족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은 5·4운동을 계기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제 2장에서는 가족소설의 장르적 검토를 먼저 하였다. 가족소설의 의미와 두 나라의 가족소설의 기원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삼대』를 통해 본 30년대의 가족사소설의 특징을 연구했다. 동시에 『가』에 나타난 중국 근대 가족사소설의 특징을 분석했다. 제 3장에서는 두 작가에 대한 연구를 했다. 염상섭은 20년대부터 한국에서 활발히 활동한 작가인 만큼 그 작품 세계도 풍부했다. 유학의 경험이 있으며 3·1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그는, 누구보다도 시대의 모순과 갈등을 표현하는데 능했다. 바진의 경우, 현대 중국의 유명한 문학가이자 번역가이다. 동시에 5·4 신문화운동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주목받았다. 제3장 2부에서는 염상섭의 『삼대』와 바진의 『가』를 분석했다. 주로 『삼대』와 『가』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비교하였다. 제4장에서는 주로 『삼대』와 『가』를 비교하였다. 인물들의 성격을 비교하며 제 1대, 제 2대, 제 3대를 나누어 이야기를 전개한 소설의 특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민족 문화를 드러내려 애썼다. 『삼대』와 『가』에 나타난 여성에게서 특별한 화제성을 발견하여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삼대』에서는 주로 홍경애를 분석하였고, 『가』에서는 주로 메이와 친을 중심으로 당대 여성들의 반항적 면모를 보여주었다. South korea and China have the same experience in nineteenth century. They are both in the development and change. So the South Korean and Chinese are almost have a strong sense of patriotism at that time. And the south korea and china both to be colonial countries and the country people were endure the painful life. So in this period two countries have show us the deeply correlation . The people suffered in the 3.1 movement of the South Korea and the 5.4 movement of China, intellectuals show their resistance and national consciousness to us . At the same time, writers also do the same national liberation through their own way. The best reflect the national situation and people's thinking style is the family novels in this period. So Yeom sangseop and Ba Jin as the representative family fiction writer have the best significance. The first chapter of the paper have research the family novel. Family novel is the best way of reflecting the country family culture. As the family novels, Yeom sangseop's three generation and Ba Jin home plays an important and respective role in their countries In 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general situation of family novel. Introduc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family novel and the meaning that family novel have get. Also make sure about the origin about two country's family novel. And 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the novel three generation have get some opinions about saga novel in 30ths of South Korea ,all the same through analysis the novel home have get china family novel's characteristics. Then in the third chapter made the analysis on the two writers. Through the novels compared the character in both two novels. In the fourth chapter summary the research and draw some conclusions. we can find why and how the writers began to realize that women's status in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s. The novel's character has been classified and also divided into three generations, through each character has reflect the national situation of the two countries' situation and national culture.

      • 최초의 추리소설『 魔人』 연구

        유경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 문학에서 추리소설은 잠재된 가능성으로 인정되어 왔으나 정작 근대적 형태로 발전되지는 못하던 가운데 1918년 코난 도일의 「세 학생의 모임」이 번역 소개되면서 추리소설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후 발표된 추리소설을 표방한 작품들은 일부 추리소설의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추리소설의 본질인 논리성과 이성적 사고를 구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미흡하다. 또한 김래성의 데뷔작인 「타원형의 거울」은 재미와 구성이 뛰어나지만 정보의 공유에 실패하여 추리소설의 묘미인 작가와 독자 간의 지적 대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김래성의 대표작 『마인』은 범행-탐색의 스토리가 치밀한 구성과 복선으로 위장되어 있고, 긴박하게 사건이 전개되며, 반전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추리소설로서의 형식과 특징을 갖추고 있다. 또한 추리소설을 불가해한 범죄나 미궁에 빠진 사건이 이성적 영웅인 탐정에 의해 논리적으로 해결되는 과정을 그린 소설로 정의한다면 이야기에 논리성과 설득력을 부여해주는 서사구성 원리로서 가추법이 사용되고 있는 『마인』은 서구 추리소설의 흥미로운 특징을 차용하는 수준을 넘어 본질적 의미에서 추리소설을 구현한 것이다. 이렇듯 『마인』은 추리소설의 포뮬라에 충실히 부합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동시에 『마인』만이 가진 특징적인 구조 또한 발견되는데, 이는 서구의 장르가 우리 문학에서 실현되면서 일어나는 변화로서, 거꾸로 우리 사회의 문화적·문학적 관습을 밝히는 단서가 된다. 외적인 부분에서 『마인』의 탐정 유불란은 서구의 추리소설 속 탐정과 닮아 있지만 감정의 동요를 숨기지 못하고 그로 인해 저질러지는 실수가 있다는 점에서 차별을 보인다. 과학성과 논리성, 인간적인 면모를 동시에 지닌 탐정은 추리소설이라는 우리 문학사의 낯선 장르에 대해 독자들이 가질 수 있는 거부감을 희석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었다. 『마인』의 희생자인 백영호는 자신과 자식들이 살해되지만 동정 받는 대신 마땅한 죄 값을 치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백영호는 백부와 사촌형을 죽게 하고 사촌형의 애인을 능욕한 부도덕한 인물인 동시에 유교논리를 거스른 인물인 것이다. 이러한 전개는 추리소설의 구조에 권선징악의 구조가 더해진 것으로, 백영호에게 가해지는 처벌이 가혹할수록 도덕적 당위성의 지배력은 강화된다. 범죄자 주은몽과 오상억 이 두 인물은 공범이지만 서로 다른 양상으로 드러난다. 운명에 순응하고 주도적 이념인 효를 실천한 주은몽은 개인적 행복과 욕망을 추구한 오상억에 대비되어 가련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오상억은 인간미 없는 욕망의 화신으로 그려진다. 이처럼 『마인』에는 효라는 정서적 가치와 욕망과 돈이라는 물질적 가치에 대한 갈등이 함께 있는데 후자인 사회적 갈등이 부정적으로 드러남으로써, 작가의 가치관의 반영과 함께 유교적 도덕관이 물질의 우위에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렇다 할 트릭이 없는 이 작품에서는 수수께끼가 범행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범행의 동기에 결부되어 있음으로 해서 『마인』은 추리소설의 부수적인 부분인 사건의 동기와 원인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는 우리 문학 및 우리 자신에게 내재된 인과론적 사고의 반영으로, 추리소설이라는 닫힌 추론과 인과의 세계를 역사의 공간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현재의 모순이 과거에 있다는 인과관계를 기능적으로 드러내어 독자로 하여 삶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마인』은 범죄자의 범행 이후의 상황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이 작품의 결말은 범죄를 저질렀던 인물을 처벌하는 대신 오히려 범행의 동기가 되었던 사망한 줄 알았던 아버지를 만나게 함으로써 화해의 국면으로 전개된다. 이 것은 작가의 가치관 반영의 증거이며, 독자에게 익숙한 기존 소설의 관습에 충실한 결과이다. 『마인』은 추리소설에서는 부적절한 작자-서술자라는 서술자를 택함으로써 손상된 서스펜스를 과장된 서술로 만회하려 했으나 오히려 논리적 재미까지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게다가 『마인』의 서술자는 독자의 상상력을 억압하고 독자를 피동적 입장으로 물러나게 했다. 이 같은 양상은 근대적 서술방식에 이르지 못했던 당시 우리 문학의 수준, 혹은 김래성의 미숙한 작법으로 기인한 것으로 본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마인』은 추리소설이라는 낯선 장르를 구현했지만 내적으로는 우리 문학 속에서 전통적으로 옹호되던 가치인 효와 사랑의 편에 서있다. 효(주은몽)와 사랑(유불란)이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고, 개인의 욕망은 부정되는 전근대적인 가치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추리소설에서 전형적인 악인인 범죄자와 선인인 피해자가 『마인』에서 양상이 뒤바뀐 것은 당대를 지배하던 어떠한 가치보다 유교적 가치인 효가 우위를 점한다는 봉건적 사상의 증거이다. 『마인』은 외국 추리소설의 의식 없는 모방에 그치던 이전 추리소설의 수준을 벗어났고 탐정과 범인, 추리에 의한 사건 해결 등 추리소설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어 우리 문학 최초의 본격적인 추리소설이라는 것은 인정되나 여기에 담겨야 할 시대의 부조리를 고발하고 전복하는 추리소설의 저항적 의미를 살리지 못한 점은 한계로 남는다. 근대 서구의 성숙한 자본주의 토양에서 비롯된 추리소설이 우리 문학에 도입되어 보수적 성향과 특징을 드러냈다는 것은 1930년대 우리 문학이 근대소설로 향하는 과도기에 있었다는 것과 유교적 도덕관이 지배하던 당대의 분위기를 알게 한다. In our literature, mystery novel had been viewed as one of genres with bright future, but it failed to make any progress until Conan Doyles A Meeting of Three Students was translated in 1918. This novel started to draw much attention to detective story. Afterwards, literary works came out in the form of mystery novel, but as a matter of fact, they were just partially detective stories, because they didnt embody the logics and rational thinking, which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mystery novel. The Oval Mirror, Kim Rae-seongs first novel, is very fun and well-plotted, but isnt successful in sharing information and sparking intellectual competition between the author and readers, which is the core charm of detective story. Main, one of Kim Rae-seongs best novels that the title refers to a person with supernatural power, can genuinely be called a mystery novel for well-designed story line, well-grounded foreshadowing, fast development and a series of twist and turns. If mystery novel is defined as describing what mysterious crime or unsolved incident is logically brought to a settlement by a detective, a hero with rational thinking, Main, which adopts hypothetical inference as a narrative principle to put logics in the story and make it convincing, is a genuine mystery novel that doesnt rely on the main features of Western detective stories. This novel exactly conforms to the formula of mystery nove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is a unique feature in that, which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Western literary genres introduction in our literature and enables us to infer our cultural and literary practices. Yu Bul-ran, the detective in this novel, is seemingly similar to detectives in Western detective stories, but is distinguished from them as he doesnt control his own mind and eventually makes a mistake. The detective who is scientific, logical and human was able to have contemporary readers more easily familiar with mystery novel, a strange literary genre. The victim Baek Yeoung-ho and his children are murdered, but he is considered to deserve it, without stimulating readers pity. He made his uncle and cousin died and raped his cousins lover. He is so immoral and goes against Confucianism. Thus, the mystery novel is spiced with poetic justice, and the oughtness of morality is more justified as severer punishment is inflicted on him. Ju Eun-mong and Oh Sang-eok are confederate, but their character is not the same. Ju Eun-mong who accepts his fate and is dutiful to his parents is depicted as a pitiful character, whereas Oh Sang-eok who seeks after personal happiness and desire is portrayed as a perfect picture of avarice. This novel describes conflicts between filial duty, an emotional value, and desire and money, material values. And the latter is depicted negatively, from which we can infer what the authors values are and that Confucian moral values take precedence over material ones. This work is devoid of any specific trick, and the mystery is associated with the motive of the crime, not with the crime itself. Thus, the novel focuses more on the motive and cause of the incident, which is part of auxiliary components in detective story. Accordingly, the novel is a mirror of the law of causality that has taken a deep root in our literature and our mind, and the author didnt simply confine the world of inference and causality to the sphere of detective story. Instead, he saw it throughout history, suggesting that current contradiction stems from the past and making readers look back on their lives. In addition, the novel provides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ost-crime situations. In the end, this novel describes compromise, as the criminal is not punished. Rather, he meets his father who is believed to die and becomes the motive of the crime. This represents the authors values, and follows conventional practices that readers are accustomed to. Main introduced narrator, which is not appropriate for mystery novel, to offset damaged suspense with exaggerated narration, but this effort rather results in undermining logical entertainment. Furthermore, the narrator suppresses readers imagination and makes him or her an onlooker. Thi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contemporary immature literature or the authors unskilled capability. In conclusion, Main is a mystery novel which was an unfamiliar literary genre in the contemporary times, but it described filial duty and love, which are the traditional values in our literature. That stayed in the premodern sphere, as filial piety(Ju Eun-mong) and love(Yu Bul-ran) are the criteria of judgement and personal desire is rejected. Traditionally, a criminal is a bad person and a victim is a good person in detective stories, but the fact that the criminal and victim are reversed in this novel is a barometer of the feudalism that filial piety, one of the major Confucian values, comes before any other dominant values. Main didnt follow the examples of the precedent mystery novels that just imitated foreign ones. That is the first full-scale mystery novel in our literature that the incident is brought to a conclusion by reasoning, but it failed to charge the irregularities of the contemporary times and to put life into the rebelling feature of detective story. But the fact mystery novel nurtured by the mature capitalism of the West was introduced in our literature with conservative inclination shows that in the 1930s our literature was in a transition period toward early modernism, and it also implies that the contemporary age was dominated by Confucian moral values.

      • 1930년대 小說의 民族意識 연구

        이숙영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학이란 당대의 현실상황을 반영하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30년대 일제 식민지 치하에 놓여있던 우리의 피폐한 현실을 보다 실체적이고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대사회적 기능 즉 절망적인 사회현실에 30년대 문학이 얼마만큼 적절히 대응하는 도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였는지와 민족의 자주독립 의식의 고취 등에는 또 얼마나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한 나라 한 시대의 문학을 거론하는데 있어서 작품에 반영된 역사ㆍ사회적 상황을 간과해 버린채 오로지 작품 자체의 예술성 또는 문학의 형식적 법칙성만을 따지려고 들지는 않을 것이다. 주지하는 대로 어느 한 시대에 발표된 문학 작품의 세계가 일대일 대응방식으로 그 시대를 직접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 시대가 지닌 삶의 총체적 분위기가 작가에게 미치는 직접ㆍ간접의 영향은 결코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노동자 소설중에 본고의 대상인 강경애의 『인간문제』, 박화성의 『하수도 공사』, 김남천의 『공장신문』과 『공우회』의 경우 노동의 현실을 삶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간조건의 문제와 결합시키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또 노동자들의 극도의 궁핍이 형상화되고 그때의 생활난은 노동자들이 공통의 이해관계 속에 처해있을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노동운동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그려지고 있다. 제시한 소설의 경우 실제로 거의 모두가 노동자의 삶과 노동단계를 그리면서 노동운동 속에서 성숙하는 인물을 그리려고 하였다. 윤세중의 『그늘 밑 사람들』과 강경애의 『모자』, 『번뇌』, 한설야의 『니녕』, 박승극의 『풍진』의 소설 속에 들어있는 지식인의 민족의식은 언론검열에 대응하려는 작가들의 노력이 집요했고 그 방법 역시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지식인이라면 소외받는 하층민을 대변해주고 앞장서서 민족적인 단결과 민중의 자각을 외치고 독립을 위하여 앞장서서 행동해야 했지만 1930년대는 지식인들이 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일본의 탄압은 점점 심하여지고 사태는 더 악화될 뿐이었다. 위에 제시한 소설중에 나타난 지식인은 시대에 편승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의지를 올바른 행동으로 나아가는 적극적인 지식인이다. 그리하여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하여 지식인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지식의 길을 보여주려고 하고 있다. 가장 이상적인 지식인상으로 생각하고 내세우는 인물은 현실을 극복하는 의지를 지닌 인물들인데 『그늘 밑 사람들』의 '철호'와 『모자』의 '승호 어머니', 『니녕』에서의 '민우', 『풍진』에서의 '철식'과 같은 이들은 사회구조의 모순을 발견하고 굳은 의지와 신념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강경애의 『원고료 이백원』, 『어둠』, 한설야의 『임금』, 『철로교차점』, 『딸』에 들어있는 가정소설의 현실인식을 논하였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사람을 포기하고 자신의 비참한 삶 속에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이 새롭게 눈뜨는 적극적인 저항의지와 변혁의지를 잘 나타내었다. 우리 문학사뿐만 아니라 현대사에도 막중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30년대 소설중에 민족의식이 들어있는 작품을 연구함으로해서 일제 식민지 시대에 있어서 옳은 문학이란 강한 현실변혁적 성향을 고수하는 문학이어야하고 암울했던 시대의 우리민족에게 뚜렷한 민족의식을 불어 넣어주고자함이 엿보여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이주민의 갈등과 그 해결 양상 비교 연구 : 박범신의 <나마스테>와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을 중심으로

        김현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두 개의 다문화소설, 박범신의 『나마스테』와 이창래의 『영원한이방인』에 나타난 이주민의 갈등과 그 해결 양상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2000년대부터 몇몇 한국 현대소설들에서 이주민의 서사를 그려낸 다문화소설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소설은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적인 문제들을 고발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주기도 하지만 그 재현양상에 있어 많은 한계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대표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는 작품이 바로 박범신의 『나마스테』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문화소설의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국문학의 범위를 넘어서서 실제 이주민의 입장에서 다문화사회의 이야기를 소설로 다룬 한국계 미국인 작가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Native Speaker)』과 박범신의 『나마스테』의 비교를 통해 이주민의 갈등과 그 해결 양상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주민을 재현하는 방식에 따라 이주민인 주인공의 개인적이거나 사회적인 갈등이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의 관계, 즉 개인적 측면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갈등의 해소가 어떤 방식으로 달리 나타나는지 영문학과 국문학을 아우르는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문학의 보편적 가치를 탐색해볼 것이다. 아울러, 향후 본격화될 다문화사회에서 한국문학이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본다. Because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come to us, from 2000, multicultural novels dealing with stories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several Korean modern novels. Though these novels can give us implications on social problems of foreign immigrants, there are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on realizing their stories in them. 『Namaste』 of Pak Beomsin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has these limitations. In this pap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novels, it was trying to compare 『Namaste』 of Pak Beomsin with 『Native Speaker』 that dealt with actual multicultural stories over the range of Korean literature and written by a Korean-American, Lee Changre, and then, it was also trying to examine their differences on the conflict of immigrants and solving process. It was trying to check how they can change individual or social conflict of an immigrant, main character of their novels in accordance with methods relating to realizing immigrants. Moreover,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English and Korean literature, it was trying to explore universal values of the literature about what methods can differentiate solving process on individual identity between their main characters and surrounding characters. Besides, because multicultural society will begin in earnest in the future, it was also trying to find right direction for Korean literature in this society.

      • 단편소설 「로키의 거짓말」 (외 2편)의 창작 실제

        황보윤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에서 창작자는 소설 창작의 실제를 인물과 환경의 관점에서 고찰했다. 근대 이후 자본주의의 발달로 우리 사회는 정신적 가치보다는 돈과 상품으로 대변되는 물질적 가치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생활의 편리와 물질적 풍요를 얻었지만 소비의 객체로 전락하고 말았다.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경제력이 부족한 개인의 실존은 희미해지고 점차 사회의 변방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창작자는 소설의 형식을 빌려서 비탈에 선 존재들의 삶을 조명하고 싶었다. 이 논문에서 다룬 3편의 소설은 작중인물들이 환경과 대립하며 다각적으로 성찰해가는 과정과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모색해나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들이다. 서론에서는 창작자가 소설을 쓰게 된 동기와 논문을 쓰는 목적을 밝혔다. 왜 쓰는가를 고민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주제 의식을 갖게 된다. 콜린 윌슨의 지적처럼 ‘작가들은 자신의 글쓰기에 한 시대의 무가치와 사회혼란에 대한 방대한 파노라마를 반영해야 한다.’ 물화된 세상에서 소외된 사람들이 사회에 당당히 맞서 살아가는 모습을 그려내고자 한 것이 창작자의 주제 의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소설 세 편의 창작과정을 상세히 서술했다. 이는 창작자의 작품을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창작 방법론을 모색하고, 문학적으로 한층 성숙된 창작의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소설 창작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주제의 형상화를 위한 플롯 짜기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싶기도 했다. 2장에서는 주제 의식의 소설적 형상화 과정에 대해 밝혔다. 먼저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의 관계를 제시했다. 창작 배경에서는 소재 찾기와 인물의 성격을 구축하는 법, 공간을 만드는 법에 대해 서술했다. 주제 의식은 ‘왜 쓰려고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작품을 쓰기 전에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을 미리 생각해놓아야 한다. 키워드는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최종목표이기 때문이다. 창작자의 3편의 소설에는 각각 ‘거짓말’과 ‘바다에 대한 그리움’과 ‘탈주’ 또는 ‘유월’ 이라는 키워드가 담겨 있다. 인물과 환경의 유기적 형상화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먼저 인물이 환경을 만나 겪게 되는 일들을 개요 짜기로 간추렸다. 이어 환경에 ‘즉해’ 있던 평범한 인물들이 어떻게 환경에 ‘대한’ 인물로 변해 가는지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창작 과정과 플롯 구성에 대해 밝혔다. 먼저 비탈에 선 존재들이 환경이나 주변 인물들과 갈등을 겪으며 다각적으로 성찰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로키의 거짓말」의 박미라는 거짓으로 포장된 자본의 본질에 눈 떠가고, 「바다로 간 솟대」의 정수는 바다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외계인은 펜비트로 말한다」의 래진은 펜비트를 연주하며 억압적인 세상으로부터 달아난다. 주제와 플롯의 관계를 밝히는 일은 주제와 인물 구성, 주제와 형식, 주제와 시점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망했다. 각 소설에 적용한 시점도 각각 다른데, 이는 작품의 주제를 전달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을 선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논문에서 다루었던 3편의 창작품을 첨부하여 창작과정이 하나의 작품으로 어떻게 완성되었는지 제시했다. In this paper, the creator tried to examine the actuality of novel cre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son and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since the modern era, our society has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material values represented by money and goods rather than spiritual values. As a result, people gain the convenience and material abundance of life, but they have become objects of consumption. The existence of an individual who has no economic power in a materialistic society is blurred and gradually escalated to the side of society. The creator wanted to illuminate the life of the beings on the slope in the form of a novel. The three novels that will be covered in this paper are the works that explore the process of confronting the environment and seeking a sustainable way of life. In the introduction, I talked about the motivation for the author to write a novel and the purpose of writing a thesis. If you are worried about why you use it, you will naturally have a sense of theme. "The writers must reflect the vast panorama of the valuelessness of one era and the social chaos in their writing," said Colin Wilson. It is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creator who wants to express the image of the people who are alienated in the world that has become bloated and living in a society against the people. Next, I described in detail the creation process of the three novels. It is aimed to find a new method of creation by objectively analyzing the work of the creator, and to prepare a biography of a more mature literary work. It is also intended to show the process of plotting for the shaping of subjects to those who study novel creation. In Chapter 2, I describe the process of novelization of theme consciousness. First, I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background and the theme consciousness. In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I explained how to find the material, how to characterize the character, and how to make space. The subject consciousness can be said to be 'a journey to find the answer to why you are going to write it'. The author should think about words and sentences which can be called keywords before writing works. This is because the keyword is the ultimate goal that the author wants to convey through one's writing. The three novels of the author each contain the words 'lies', 'longing for the sea', 'escape' or 'June'. I also described the organic form of character and environment. First, I pointed out the outline of the things character will encounter in the environment. Then, I looked at how the ordinary characters in the environment were transformed into environmental characters. In Chapter 3, I talked about the creation process and plot composition. First, I looked at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various aspects of existence on the slope through conflicts with the environment or surrounding people. 'Park mira' of the 「Lie of Loki」 wakes up to the essence of the lie-wrapped capital, and the 'Jung su' of the 「Sotdae to the sea」 struggles to survive in the sea. 'Lae jin' in "The alien speaks in the pen bit" runs from the oppressive world by playing the pen b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plot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me, character composition, subject and form, subject and view. The point at which each novel is applied is also the most effective point in conveying the theme of the work. In Chapter 4, we attached three original works that were discussed in the paper, and presented how the creation process was completed as a single work. At the conclusion, we reaffirmed the form in which a work is completed through the method of creation presented in the main text. Also, I find out writing's turning point about which direction author's writing going on.

      • 중국 현대소설의 ‘낯설게 하기’ 현상과 한국어 번역 고찰 : 옌롄커(阎连科) 소설을 중심으로

        진혜용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陌生化”一词含有“使之陌生、奇特、不同寻常”等涵义,是俄国形式主义代表人物什克洛夫斯基提出的一种艺术主张。作为一种艺术的手法,“陌生化”就是使事物变得陌生,增加理解和感知的难度和时间。俄国形式主义学派认为,文学性是文学作品最核心的属性,也是其本质特征。而文学性体现在作家苦心经营的“陌生化”手法上。因此,“陌生化”手法对于文学作品的价值来说是至关重要的。同样,对于译者而言,如何看待和处理原作中的“陌生化”现象也就决定了译作的成败与否。译者理应为实现原作者的艺术追求,满足读者的阅读期待而采用适当的策略来处理“陌生化”现象。这同时也可以丰富译入语的语言和文化,体现出译者的专业素养。 那么小说题材的“陌生化”程度如何?保留源语文化的“陌生化”效应对于翻译来说是否可行?从译文中可以总结出那些翻译策略?围绕这些问题,本文采取《丁庄梦》、《受活》、《四书》三部阎连科的代表作品以及韩译本作为研究对象,分析三部小说“陌生化”手法的表现,并通过对韩译本的考察,总结出具体的翻译方法和策略。本文的具体研究过程如下。 首先,笔者在第一章中介绍了本论文的研究背景及目的,确立了研究的范围和方法,并梳理了韩国、中国、西方学术界关于“陌生化”现象的先行研究,对现有研究的主要内容及研究的局限性进行分析和整理。研究发现,关于“陌生化”现象的重要研究几乎都是围绕建筑、设计、多媒体等视觉领域所进行的,对于文学作品的研究大多局限于文学批评、文学鉴赏等领域,特别是针对文学翻译的探讨仍然不足。 第二章中,笔者对“陌生化”理论的概念、以及在小说题材上的体现进行梳理,并确立了独立的分析体系,从语言学的角度来看,小说的“陌生化”主要体现在词汇、句法、语篇上,其中词汇包含生造词,新造词,语码混杂等方面;句法上主要体现在句子成分,词性等变异;语篇上主要体现在叙述视角、时间空间的排列、语域的变化等方面。其次,对于是否有必要在韩语中再现这些手法,翻译是否可行等问题在第二章中也给出了肯定的答案。 在第三章,笔者以第二章建立的分析体系为标准,对三部长篇小说进行了全面的分析。从研究方法来看,主要对词素、句子成分、词性、语域、叙事手法等多个语言层次的具体“陌生化”手段进行了统计,并分析其原因、读者在阅读过程中的心理、审美上的效果等因素。在本文的研究对象中,陌生化手法大量存在于词汇、句法和语篇三个语言层面上,其对于增强作品的文学性,营造艺术效果上起到了很好的作用。 本文的第四章中,通过对比原作,考察译文“陌生化”效果的保存和流失,并总结出具体的翻译方法和策略。结果显示,在阎连科小说的翻译过程中,译者与传统的翻译观念相似,仍然将等值作为基本的翻译策略,具体方法与源语一样,通过添加、删略、置换、替换、重复等方式进行类推。在无法实现等值的情况下,译者通常采用了一些融通的手段来处理,如:切分、转换、引申、注释、音译等方法。以此为基础,笔者首先对四章的内容分析做了全面总结,并提出了本论文的局限性和今后的研究方向。同任何一种翻译策略一样,再现“陌生化”也有其局限性,单一的研究不能解决所有的问题,同时,“不可译性”的存在,让我们无法把一种翻译策略奉为圭臬。希望通过本论文,能够引起翻译学界对于“陌生化”现象的重视,期待今后发掘更多的学术资源,不断丰富再现“陌生化”的翻译策略。 关键词:“形式主义”,“陌生化”,“文学性”,“文学翻译”,“中国现代小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