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quired an influence of nursing teachers' self leadership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qualification of nursing teachers and self leadership to help teachers to enhance awareness and valu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nfluence does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have on professionalism? 2. What influence does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have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urveyed 290 nursing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and G city in Gyeongsangbuk-do.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A tool developed by Manz(1989) and adapted by MinJeong Kim(2007) and corrected by JiAe Gu(2011), and HanByeol Jang(2015) was used to measure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A tool developed by Lindsay and Lindsay(1987) and corrected by YuJin Kim (2003) and JeongMi Lee (2009) was used to measure professionalism of nursing teachers. A tool developed by Galloway(1982) and corrected by SunNam Do(2000)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f nursing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an influence of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on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cognitive strategy, subfactor of self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need, subfactor of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strategy, subfactor of self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oeconomic status, social service and autonomy,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ethics, fairness, expertise,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strategy and behavioral strategy , subfactors of self leadership. The higher self leadership was, the higher influence on professionalism of nursing teachers was. Second, when examining an influence of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strategy, one of subfactor of self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job, relationship with director,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relationship with school parents, social recognition, support resources, welfare, pay, working environment, total score of job satisfaction). Cognitive factor was excluded. The higher self leadership was, the high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nursing teachers was. This study found out that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growth of nursing teachers as professional teachers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combining a concept of self leadership to curriculum for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teachers is effective in enhancing quality of nursing and strengthening self control and positive mind will raise job satisfaction.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moting self leadership of nursing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사 스스로의 인식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셀프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상북도 (P, G)시에 소재한 보육교사들이다. 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영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70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는 Manz(1989)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를 김민정(2007)이 번안하고 구지애(2011), 장한별(2015)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측정도구는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측정 도구를 김유진(2003), 이정미(2009)가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예비조사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Galloway(1982)등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도순남(2000)이 어린이집 교사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예비조사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전략은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필요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전략은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자율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직업윤리, 공정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 전문직 단체, 전문성 총점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전략과 행동적 전략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셀프리더십이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행동적 전략요인이 직무만족도(직무자체, 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인정, 지지자원 및 복지, 보수 관련, 근무환경관련, 직무만족도 총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지적 요인은 제외되었다. 따라서 셀프리더십이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셀프리더십이 전문성을 가진 보육교사로서 성장 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며, 직무만족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셀프리더십 개념을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에 접목시킨다면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내적 조절과 자신의 긍정적인 생각을 강화할수록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을 증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한다.

      • 소방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상북도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focused on fire officials in Gyeongsangbukdo

        서강현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소방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상북도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서 강 현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일반행정전공 (지도교수 정 홍 상) (초록)* 이 논문은 2013년 6월 행정학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것임. 최근 소방조직의 현대화, 장비의 첨단화, 의식구조의 다양화 등 소방여건의 변화로 점차 조직의 성과와 유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소방조직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소방공무원은 소방업무수행과정에서 돌발적인 상황이나 특수한 상황 변화에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하고, 창조성과 자율성으로 무장하여 스스로를 유연하게 리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창의성과 자발적인 능력 발휘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 셀프리더십의 특성을 알아보고, 소방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각 변수들의 개념을 살펴보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실시한 문헌고찰을 통해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과 종속변수인 혁신행동,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경상북도 3개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의 특성과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평균은 3.67로 나타났고, 하위변수별로는 자기주도 계획 3.75, 자기주도 훈련 3.65, 자기주도 평가 3.67, 자기주도 사고 3.75로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율과 책임을 가지고 위급한 현장에서 자기결정을 해야 되는 소방공무원들이 자기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소방서별 변수들에 대한 평균차를 비교하기 위한 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세 집단은 신뢰수준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방수요 인구가 가장 적은 C소방서가 소방수요 인구가 많은 A, B소방서보다 셀프리더십, 혁신행동,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방수요 분석을 통한 인력배치와 기구개편 등 조직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셀프리더십을 발휘하는 소방공무원은 자신의 직무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혁신행동,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실천하고, 궁극적으로 소방조직의 성과와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보여진다. 넷째,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자기주도 계획(β=.135, P=.046), 자기주도 훈련(β=.235, P=.000), 자기주도 평가(β=.138, P=.035), 자기주도 사고(β=.229, P=.000)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행동에 있어서 개인과 조직의 수준에 맞는 실천적인 측면의 셀프리더십 훈련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다섯째,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자기주도 훈련(β=.134, P=.042), 자기주도 평가(β=.317, P=.000)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에 있어서 소방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스스로가 조직의 일원으로서 높은 긍지를 가지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여섯째,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자기주도 계획(β=.135, P=.048), 자기주도 훈련(β=.191, P=.003), 자기주도 사고(β=.290, P=.000)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에 있어서 자신의 업무나 조직의 목표에 대한 강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팀의 협력관계를 추구하는 셀프리더십의 긍정적 영향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해결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하겠다. 또한,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을 통해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으로 이어져 결국은 양질의 소방서비스를 제공토록 소방공무원과 셀프리더십의 관계성은 지속적으로 규명되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소방공무원 셀프리더십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방정책 마련의 초석이 되고자 하였으며, 초기 연구 단계에 있는 공공기관의 셀프리더십 도입에 작은 기여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셀프리더십이 팀웍에 미치는 영향 :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손민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셀프리더십이 팀웍에 미치는 영향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이 팀웍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검증하고, 더불어 우도비율검증을 통해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에 주목적을 두었다. 항공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국내항공사 뿐만 아니라 외국 항공사의 한국 객실 승무원 채용빈도가 점점 늘어나면서, 각 항공사들은 특히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자 서비스 접점에 있는 승무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서비스와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팀조직으로 운영되는 객실승무원의 경우 팀의 리더인 팀장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행동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팀장의 역량과 다양한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요즘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 내에서 팀장의 업무상 권한과 역할, 책임이 점차 축소되고, 직원들의 자율성과 책임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셀프리더십을 적용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대상의 자료수집으로 2013년 7월부터 8월까지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에서 근무하는 한국 객실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중 무응답 및 불성실 답변 29부를 제외하고, 국내항공사 133부, 외국항공사 138부, 총 27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로 구분한 이유는 항공사 별로 셀프리더십이 팀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비교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통계 패키지인 SPSS(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18.0과 LIMDEP(LIMited DEPendent variable model)8.0을 사용하였다. 먼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표본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연구과제의 검증을 위하여 각 측정 문항 간에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LIMDEP(LIMited Dependent variable model) 8.0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항공사 간의 차이 측정항목을 국내항공사, 외국항공사로 나누어 항공사 별로 셀프리더십이 팀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한 우도비율검정(Log-likelihood Ratio test: LR-검정)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된 4개의 요인은 자기반성 요인, 자기점검 요인, 직무몰입 요인, 자기개발 요인이라 명명하였다. 측정변수들에 대한 영향관계로는 회귀분석(regression)모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는데, 전체집단에 있어서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셀프리더십에미치는 영향력은 자기반성요인, 자기점검 요인, 직무몰입 요인이 팀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셀프리더십이 팀웍에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반성 요인, 자기점검 직무몰입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외국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셀프리더십의 요인에 대한 항목으로는 자기반성, 자기개발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점검, 직무몰입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셀프리더십, 팀웍, 국내항공사, 외국항공사 ABSTRACT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eam work of flight attendants (moderating effect of domestic airlines and foreign airlines) Son Minhee Dept. of Travel & Air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abin crew's self leadership to teamwork,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it between Domestic airlines and Foreign airlin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Likelihood Ratio Test. As of the rapid increase of airline industry the recruit frequency of Korean cabin crew, not only by Domestic airlines but also by Foreign airlines, has been increased, and the role of cabin crew, standing at the service encounter,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all airline try hard to improve their service quality continuously to provide the highest service. To date, from the academic circle, for cabin crews operated as a team-based organization, it is believed that as the team leader the team manager's leadership gives influence to members' organizing behavior and role performance, so the studies related to the capability and various leadership type of team manager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As the team manager's job authority, role and responsibility in the organization have been gradually decreased, and member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thus it is understood that the applying of self-leadership is rather meaningfu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to collect date from survey objectives, has been carried out for one month period from July to August, 2013 and total 300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Total 271 sheets, after excluding 29 sheets of unsincere or no-response, among which 133 sheets

      • 여행사 종사자의 직무불안정성, 역할갈등 및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연구

        지명원 동국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that 'Job insecurity', and 'Role conflict' of the employees in travel agencies have on their 'Self-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selected to meet that purpose, and questionnaires to measure variables are based on reference books.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analysis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650 employees from travel agencies in Seoul are surveyed, and only agencies registered as outbound travel agencies with more than 5 years in the business are selected. For reliability study, Cronbach's α value is applied on 576 valid questionnaires, while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see its relations with subcategori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ach verified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ies, and satisfactory level of suitability proving it as proper instrumentation. Structural equating model is utilized to check hypotheses, and the result showed that and other fitness indicators are acceptable for the proposed research model. Verification result the research model showed on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job insecurity has negative impact on self-leadership. This is supported as analysis proved that job insecurity has nega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self-leadership.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role conflict has negative impact on self-leadership. It is supported as analysis proved that role conflict has nega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self-leadership. The third hypothesis is that job insecurity has notabl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wo sub-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he first one is that job insecurity has negative impact on positive well-being. As job insecurity is proven to have nega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positive well-being, this is supported. The other sub-hypothesis is that job insecurity has positive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Analysis proved that positive impac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hence the hypothesis is supported. The fourth hypothesis is that role conflict has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gain, sub-hypotheses were proposed and hypothesis 4-1 is that role conflict has negative impact on positive well-being. This one is supported as role conflict is analyzed to have nega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positive well-being. The other sub-hypothesis, hypothesis 4-2 is that role conflict has positive well-being on negative well-being. Posi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s shown supporting the hypothesis. The fifth hypothesis is that self-leadership has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ub-hypothesis 5-1 is that self-lead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positive well-being and the posi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s shown on the analysis supported this. Sub-hypothesis 5-2 is that self-leadership has negative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Analysis result supported it by showing self-leadership's negative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negative well-being. The sixth hypothesis is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job insecurity,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rst sub-hypothesis to this is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job insecurity and positive well-being. Since job insecurity is proven to have indirect impa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positive well-being through self-leadership, in addition to job insecurity's direct impact on positive well-being is proven to b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job insecurity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from self-leadership, thereby supporting the hypothesis. Sub-hypothesis 6-2 is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job insecurity and negative well-being. Both job insecurity's indirect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and job insecurity's direct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negative well-being is proven and the hypothesis is supported. Sub-hypothesis 6-3 is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role conflict and positive well-being. Indirect impact that role conflict has on positive well-being through self-leadership as well as role conflict's indirect impact on positive well-be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role conflict's impact on positive well-being is proven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supporting the hypothesis. Finally, sub-hypothesis 6-4 is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role conflict and negative well-being. Role conflict's indirect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through self-leader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ole conflict's direct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self-leadership'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role conflict's impact on negative well-being supports the hypothesis. As stated above, the verification result showed that a total of 12 hypotheses in this research are supported. Research result also show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es in travel agencies employees is largely affected by job insecurity, role conflict, self-leadership. In particular, self-leadership's mediating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s witnessed in this research proving that self-leadership is a very important preceding variable.

      • 셀프리더십이 헤어샵종사자의 조직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휘란 동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헤어샵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태도, 조직몰입, 직무성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셀프 리더십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행동 지향적 전략, 자연보상 전략,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인적자원의 자질과 역량이 중요한 헤어샵종사자들의 셀프리더십과 조직태도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셀프리더십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부산·울산·광주지역의 헤어샵종사자 363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14일부터 11월 3일까지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를 지외하고 총 330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행동 지향적 전략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자연 보상 전략은 정서적 몰입에,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넷째, 직무성과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성과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섯째, 직무성과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성과는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여섯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셀프리더십은 조직태도와의 밀접한 영향이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을 교육을 통하여 강화시켜 헤어샵의 경영의 개선과 헤어샵종사자들의 역량강화를 하여야 할 것이다. 헤어샵 현장에서 종언원은 고객과의 1:1 접점으로 인해 셀프리더십의 필요성은 인식되고 있으나 셀프리더십이 발휘할 수 있는 요소와 교육 방안에 대한 제안과 연구가 필요하며, 셀프리더십이 있다는 전제하에 조직 태도와의 관계를 본 연구로서 셀프리더십을 개선 시 조직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지 못하였기에 후속연구에서는 셀프리더십의 학습으로 개선 전·후의 조직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hair shop workers on organizational attitude,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performance, and work satisfaction, and thre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have been set as behavior-orient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strateg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attitude of hair shop workers with priority in qualification and ability of human resour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ffectively reinforcing the self-leadership. Research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from October 14th to November 3rd, 2016, on 363 hair shop workers in Seoul, Busan, Ulsan, and Gwangju. Excluding the survey copies with incomplete or poor responses, total 330 copies were finally used, and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erived from the analysis. First of all, behavior-oriented strategy was proved to influence on emotional commitment and norm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strategy were proved to influence on emo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Secondly, self-leadership was proved to positively influence on work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work performance. Third, self-leadership was proved t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work satisfaction. Fourth, work performance was proved to positivel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work performance was proved to positively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work satisfaction. Sixth,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roved t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satisfaction. According to aforementioned results, self-leadership turned out to be closely related with organizational attitude.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hair shops and reinforce the ability of hair shop workers by strengthening self-leadership education. Employees at hair shops turned out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elf-leadership through one-on-one service with customers. However, suggestions and researches on conditions for self-leadership to be exerted and educational plans are needed. This study was una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attitude when improving self-leadership as it was research in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attitude with an assumption that self-leadership exis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attitude before and after improving self-leadership through learning.

      • 행복배움학교 초등교사들의 직무자율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 -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와 교사전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희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Job autonomy is given to the job party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nd emphasizes autonomy, independence, and discretion. Therefore, it is regarded as important as a condition that a job party must have for successful job performance. Job autonomy is measured as the sum of autonomy, independence, and discre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Inovation School teachers working in Inche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management of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ork situations, and acquisition of new tasks, skills, and procedures, and self-leadership in this relationship. This bran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xpertis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problem solving, management of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ork situations, and acquisition of new tasks, skills, and procedure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confirmed as to whether job aut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leadership.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management of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ork situations, and acquisition of new tasks, skills, and procedures.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eacher expertis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n job autonomy and self-leadership.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presented. Firs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autonomy of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problem solving, management of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ork situations, and acquisition of new tasks, skills, and procedur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job autonomy perceived by the teacher, the higher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 ability to manage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ork situations, and the stronger the ability to acquire new tasks, skills, and procedures. Therefore, research and support effort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external situation in the future where the uncertainty is deepening and the desire to change internally in the school field are getting stronger. Second, significant results were confirmed betwee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xperti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autonomy, creative problem solving, management of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ork situations, and acquisition of new tasks, skills, and procedures. In other words, innovative school teachers decide for themselves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ry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emselves when they have the opportunity to exercise their original judgment. In addition, the attitude to try to improve the way of doing things has the attitude to efficiently adjust the work even when faced with a new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necessary strategies. Third, teachers should also striv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clud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skills, as well as attitud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given job autonom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given job autonomy through high professionalism and develop the ability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based on the self-leadership formed. In other words, the teacher's ability to accept and solve new situations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knowledge,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perceived by the teacher. The reason that teachers' competency improvement for change is required is that the improvement of teacher's competency leads to the growth of students. Therefore, teachers need to constantly research ways to expand their interest and knowledge about classes and society, and to support the growth of their students based on the reward of their work. 혁신학교 정책은 과거 열린교육의 교사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지 않은 채 진행되어 현장의 동의를 얻지 못하였다는 반성에 기반하고 있다. 또한 경기도를 중심으로 현장 교사들이 작은 학교를 대상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발현을 위한 자발적인 운동을 시작으로 정책적으로도 자리잡았다. 이러한 자율성을 바탕으로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상황에 대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등 학교의 혁신과 교육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직무자율성이란 수행과정에서 직무당사자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자율, 독립성, 재량이 강조된다. 따라서 직무당사자가 성공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가져야 하는 여건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직무자율성은 자율, 독립성, 재량의 총합으로 측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에서 근무하고 있는 행복배움학교 교사들의 직무자율성이 창의적 문제해결, 불확실하고 예측 불가능한 업무 상황 관리, 새로운 업무ㆍ기술ㆍ절차 습득에 미치는 관계와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가지는 매개효과와 교사전문성의 조절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변인 간의 관계 및 직,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은 창의적 문제해결, 불확실하고 예측 불가능한 업무상황 관리, 새로운 업무ㆍ기술ㆍ절차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이 셀프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은 직무자율성과 창의적 문제해결, 불확실하고 예측 불가능한 업무상황 관리, 새로운 업무ㆍ기술ㆍ절차 습득의 관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자율성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전문성은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사의 직무자율성이 높을 수록 적응수행 역량도 커진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교사가 인지하는 직무자율성이 높을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높아지고 불확실하고 예측 불가한 업무 상황 관리능력은 향상되며 새로운 업무, 기술, 절차 습득 역량도 강화된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불확실한 상황이 심화되는 미래의 외부 상황과 내부적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지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연구하고 이를 개선하고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교사들은 직무자율성 향상을 통해 셀프리더십을 개발하고 이를 매개로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즉, 혁신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을 스스로 결정하고 독창적인 판단력을 발휘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스스로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또한 하는 일의 방법을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자세는 새로운 환경에 맞닥뜨려도 효율적으로 일을 조정할 수 있고 필요한 전략을 찾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교사들 역시 주어진 직무자율성을 바탕으로 지식, 수행 능력 뿐 아니라 교직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힘써야 한다. 높은 교사전문성을 통해 주어진 직무자율성을 활용하고 형성된 셀프리더십을 바탕으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즉, 교사가 인지하는 교직에 대한 지식, 수행, 태도의 양에 따라 새로운 상황을 받아들이고 이를 해결하는 교사의 역량이 달라지게 된다. 변화에 대한 교사의 역량 향상이 요구되는 이유는 교사의 능력이 곧 학생의 성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은 수업과 사회에 대한 관심과 지식을 넓히고 일에 대한 보람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 할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록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업 및 기관 등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안전의식, 그리고 안전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안전의식의 매개역할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안전의식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기업 및 기관들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42부가 회수 되었고, 그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8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의 자기목표 실정,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자기상상 요인은 안전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은 안전문화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셀프리더십의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요인은 안전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셀프 리더십과 안전문화 간에 안전의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자기반성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이 완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자기관찰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은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치과위생사의 직무수행능력 영향 요인 연구

        이지연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 전문직관, 셀프리더십이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치과위생사의 필수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 2021년 5월 3일부터 6월 14일까지 서울·경기·광주 소재의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및 직무수행능력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및 직무수행능력의 차이는 독립표분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능력,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및 직무수행능력의 관련성은 Pearson's 상관분석을 이용하였고,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치과병원근무자(3.98)와 대졸 이상(3.94)에서 높았다(p<0.05).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관은 치과병원근무자(3.64), 대졸 이상(3.55), 근무기관 치과위생사 수 7명 이상(3.53)에서 높았다(p<0.05). 사후분석결과 근무기관 치과위생사 수 3명 이하와 4~6명, 4~6명과 7명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치과위생사의 셀프리더십은 치과병원근무자(4.11), 대졸 이상(4.04), 중간관리자(4.00)에서 높았다(p<0.01). 치과위생사의 직무수행능력은 총 경력 11년 이상(4.08), 대졸 이상(4.04), 중간관리자(4.04), 30~34세(4.04)에서 높았다(p<0.05). 사후분석결과 29세 이하와 30~34세, 총 경력 6년 이하와 11년 이상, 7~10년과 11년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직무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과 직무수행능력(r=0.796),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수행능력(r=0.638),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r=0.522), 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r=0.481), 전문직관과 직무수행능력(r=0.479), 의사소통능력과 전문직관(r=0.437)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치과위생사의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셀프리더십(β=0.461, p<0.001), 의사소통능력(β=0.353, p<0.001), 30~34세(β=0.141, p<0.05), 총 경력 8~10년(β=-0.149, p<0.05)이었다.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은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역량으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향상에 필수적인 능력이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필수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셀프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대순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스스로 주도적이고 혁신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셀프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조직구성원들은 창조성과 자율성을 가지고 자아를 이끌어야 하고, 자발적인 목표설정을 통해 직무수행에 대한 보람을 경험해야 하며, 자기동기부여를 통한 성과 향상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은 행복감, 자신감, 낙천적 희망주의 등 여러 긍정적인 심리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개념으로 개인의 태도나 행동 변화를 촉진시켜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긍정심리자본은 기존 조직구성원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충분히 주목을 받고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상태에 긍정적 변화를 통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주도적 행동의 매개적 프로세스를 통해 규명하였다. 즉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동시에 셀프리더십과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의 효과와 영향력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 광주와 전남에 위치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세 가지 하위차원인 행동 지향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모두 주도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도적 행동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행동은 셀프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또한 연구는 행동론적 측면에서 새로운 관점인 주도적 행동을 통해 이론적 의미와 실무적 의의를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With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self leadership is being emphasizing, which is related to elf-directed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members should promote their self with creativity and autonomy. In addition, they should experience the reward of job performance through voluntary goal setting. In this regard, In this regard, effort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rough self-motivation are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The organizational memb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 concept that applies various positive psychology such as happiness, meaning, confidence, and optimistic hope,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romotes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change and positively affects the organiz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organizational members,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dentify processe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positive changes in the psychological state of organizational members. According to such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proactiv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al members’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members’ proactive behavior. In addition,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se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mpani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three sub-dimensions of self-leadership, which are cognitive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The three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on proactive behavior. Second, the proactive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the proactive behavior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oreover, the study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hrough the initiative behavior, which is a new perspective in terms of behavioral theory,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