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염소계 탄화수소 세척제의 노출평가 및 물질안전보건자료 일치율

        양희진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구·경북에 소재한 45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기 중 염소계 탄화수소 세척제 5종류의 노출수준을 파악하였고, 해당 세척제의 MSDS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세척제 취급 사업장의 국소배기장치 설치율은 37.78%로 나타났으며, 호흡용 보호구 착용률은 15.7%로 확인되었다. 또한 세척제별 MSDS에 표기물질과 공기 중 검출된 염소계 탄화수소 5종에 대한 일치율은 78.57%∼93.20%로 조사되었다. 1,2-디클로로에틸렌은 인쇄공정이 가장 높았고 디클로로메탄과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경우 담금세척작업의 노출수준이 다 른 작업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1,2-디클로로프로판의 노출수준은 일본의 노출기준을 초과하였고, 트리클로로메탄은 유럽연합, 독일 및 핀란드의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세척제 취급 사업장에서 채취한 공기 중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온도, 월 사용량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염소계 탄화수소 세쳑제 관련 MSDS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제조사와 관련 기관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1,2-디클로로에틸렌은 인쇄공정, 디클로로메탄과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경우 담금세척작업의 노출수준 높게 확인되어 우선 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세척제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업장 온도는 가급적 낮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다양한 노력도 요구된다. 한편, 1,2-디클로로프로판과 트리클로메탄은 우리나라 노출기준과 선진외국의 노출기준에 큰 차이가 있어 동종 업종 종사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노출기준은 개정되어야 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irborne exposure levels of five types of chlorine-based hydrocarbon cleaning agent at 45 workplace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confirmed whether they were consistent with MSDS.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rate of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at the cleaning agent handling workplace was 37.78%, and the wearing rate of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was 15.7%. In addition, the match rate between MSDS by detergent and five chlorine-based hydrocarbon detected in air was 78.57% to 93.20%. 1,2-Dichloroethylene had the highest printing process, and in the case of dichloromethane and trichloroethylene, the exposure level of cleaning in a container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work. In addition, the exposure level of 1,2-dichloropropane was found to exceed the exposure level of Japan, and trichloromethane was found to exceed the exposure level of the European Union, Germany and Finland. Temperature, monthly usage and other factors that affect the airborne concentration collected at the cleaning agent handling workplace were show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efforts by manufactur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SDS related to chlorine-based hydrocarbon cleaning agent. In addition, 1,2-dichloroethylene is confirmed to have a high exposure level in the printing process, and in the case of dichloromethane and trichloroethylene, the cleaning in a container is confirmed, and control is required first. Also, the temperature of the workshop that can affect the concentration of the detergent should be kept as low as possible. Various efforts are also required to reduce usage. On the other hand, 1,2-Dichloropropane and trichloromethane differ greatly between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and those of advanced countries, and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must be revised to protect the health of workers in similar industries.

      • 석유계 세척제 사용 인쇄업 근로자의 벤젠 노출평가

        김두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재 국내에서는 함유량이 1% 미만(발암성 0.1% 미만)인 제품의 경우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에 대한 의무가 없다. 국내의 작업환경측정은 대부분 물질안전보건자료에 의존하여 실시하므로 미량 함유(1% 미만) 하거나 실제 함유되어 있더라도 물질안전보건자료 상에 표기되어 있지 않은 물질의 경우에는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실제 벤젠이 함유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순물이나 반응물로 벤젠이 근로자에게 노출된 여러 선행연구들이 있다.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석유계 제품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상에는 미표기 되어 있지만 미량의 벤젠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발암성 물질의 경우 미량의 함유량을 가지거나 공기 중 농도가 노출 기준 미만으로 나타나더라도 인체 유해 잠재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인쇄업은 대부분이 1~4인의 영세사업장으로 대다수의 인쇄업 사업장들이 유해화학물질 노출에 취약한 상황이다. 또한 인쇄업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세척제를 정석 분석한 결과 벤젠, 톨루엔, n-헥산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018년도에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부 석유계 세척제(나프타류)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 상 미표기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량의 벤젠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으나, 국내 근로자들이 취급하고 있는 석유계 세척제 유형에 따른 전반적인 벤젠 함유 가능성 및 이에 따른 흡입 노출 수준을 현장 평가한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8)를 기반으로 벤젠이 불순물로 잔존할 가능성이 있는 석유계 세척제를 선정하였다. 함유량 1% 미만의 벤젠, 함유량 100% n-헥산, 함유량 100% 톨루엔, 함유량 50% 이상의 나프타 및 앞서 말한 4가지 물질의 혼합물로 설정하였다. 실제 사용하는 27개인쇄업 사업장을 선정하여 현장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 5가지 유형의 세척제 내 벤젠 함유량 분석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근로자 노출 평가를 수행하였고, 위험성 평가(CHARM)를 통해 석유계 세척제 내 벤젠이 근로자에게 미치는 위험성 수준을 파악하였다. 현장 측정 결과 27개 석유계 세척제에서 모두 벤젠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4개의 시료에서 함유량 0.1%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작업장 공기 시료의 경우 지역 시료 6개에서 벤젠이 검출되었으나, 모두 노출 기준 미만의 수치로 나타났다. 위험성 평가 결과 대부분의 사업장이 작업 허용 가능 수준(4등급)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소배기설치 유무에 따라 8등급으로 평가된 사업장도 확인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해당 석유계 세척제를 취급하는 인쇄업 사업장은 대부분 영세사업장으로 작업환경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자면 MSDS 상에 벤젠이 표기되어 있지 않는 석유계 세척제에서 미량이지만 충분히 벤젠을 함유하고 있으며 근로자에게 노출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업장의 특성에 맞는 차단, 공정변경, 국소배기시스템 설치 등의 적절한 공학적 작업환경관리 방안 설정 및 호흡 보호구 착용 등의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보건관리가 필요하다. Currently, products containing less than 1% (less than 0.1% in case of carcinogenicity) in Korea have no obligation to prepare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Since most domestic work environment measurements are performed on the basis of MSDS, substances that contain trace amounts (less than 1%) or are not marked even if they are actually contained are not managed at all. There ar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benzene is exposed as an impurity or reaction, even if it does not contain actual benzene. Another previous study found that petroleum products contained trace amounts of benzene, although the MSDS did not indicate it. In particular, most of the printing businesses are small businesses with one to four employees, and the majority of printing businesses are vulnerable to exposure to harmful chemicals. In addition, a standard analysis of cleaning agents used in printing business sites confirmed that they contained benzene, toluene and n-hexane. In the case of carcinogenic substances, it has been reported that even if they are present in trace amounts in the bulk or if the concentration in the air is below the exposure limit, they may exhibit the potential for human harm. In particular,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performed in 2018, a trace amount of benzene was detected in petroleum-based detergents (naphthas), although it is not indicated in the MSD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study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8), petroleum-based detergents with the possibility of remaining benzene as impurities were selected. It was set to a mixture of benzene with a content of less than 1%, n-hexane content of 100%, toluene content of 100%, naphtha content of 50% and corresponding substances. Thirty workplaces actually used were selected and a site visit survey was conducted. Worker exposure assessment was performed through analysis of benzene content in five types of cleaning agents to be evaluated and measurement of working environment, and risk level of benzene in petroleum cleaners to workers was identified through risk assessment (CHARM). As a result of field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benzene was contained in all 30 kinds of petroleum-based detergents, and benzene was found to contain 0.1% or more in a total of 4 samples. For the workshop air sample, benzene was detected in six area samples, but all were below the exposure limit. The risk assessment showed that most workplaces were acceptable level of work (grade 4). However, businesses rated as Grade 8 were also identified depending on whether local ventilation systems were installed.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survey, the printing industry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among the business sites that handle the petroleum-based cleaners, and most of these business sites are small business sites, and it was confirmed that working environment management was not properly performed. In summary, petroleum-based detergents, which do not contain benzene in MSDS, contain a small amount of benzene but are likely to be exposed to workers sufficientl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workers is necessary, such as establishing a safety and health plan and wearing respiratory protection.

      • 가죽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 세척제 및 유연제를 중심으로

        양해원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Leather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ince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leather artifacts have been preserved today. Leather artifacts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 that moisture and oil are lost, solidification proceeds, shape deformation occurs, and damage proceeds. To restore damaged leather, it is essential to inject moisture and oil into the leather, which is done by applying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s in the preservation process. There are no studies on the manufacture and applicability of detergents and softening agents that can be applied to leather artifacts in Korea, such that it is difficult to preserve the leather artifacts. To solve this problem, the author made a detergent and a softening agent that can inject moisture and oil into leather and applied it to real leather to see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used for preservation. Regarding the selection of detergent, total six materials were select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data and leather composition. As the softening agent material, 5 types of fixing materials for maintaining shape and 4 types of oil were selected for injecting oil and conducted lightness and flexibility tests. As a result of the tests, glycerin and ethyl alcohol were selected as detergent, and olive oil was selected as the softening agent. Preparation of the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was carried out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In detergent, a total of 9 detergents were prepared in a ratio of 1: 9 ∼ 9: 1 mL based on volume. A total of 10 softening agents were prepared using the oil ratio from 0%to 90% to the fixing material based on wt%. For these detergents and softening agents, measurements for brightness, thickness, moisture content, flexibility, and viscosity were conducted. Lightness measuremen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on the lightness of leather.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higher the glycerin content of the detergent, the greater the change in lightness. To identify the water absorption and flexibility, thickness and moisture content and flexibility measurement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when ethyl alcohol's ratio to glycerin is 4: 6 ∼ 5: 5 mL, it was identified that the absorption rate and flexibility increased to the maximum. In contrast, they were increased to the maximum at 20% ~ 40% of the softening agent's oil content. Viscos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scosity on the absorption rat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was identified that detergent's absorption rate decreased due to the evaporation of ethyl alcohol. In the softening agent's case, it was identified that the softening agent's oil content affected the absorption rate rather than the increase of absorption rate according to the viscosity. As a result of the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experiments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important to apply the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according to the important factors depending on the artifact's condition during preservation. Since artifacts passed down are sensitive to brightness and color changes, the appropriate ratio of ethyl alcohol to glycerin with little change in brightness was 3: 7 mL as a detergent, and low oil content of 0% 10% was used as a softening agent. In excavated artifacts, the proper ratio of ethyl alcohol to glycerin, which has a high value for increasing flexibility, was 4: 6 ∼ 5: 5 mL because morphological restoration is an important factor. As a softening agent, it is believed that a softening agent with an oil content of 40% is suitab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mixing conditions for each ratio of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prepared for leather preservation were presented, and the possibility of use was found in this paper. Basic data of leather preservation treatment were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preservation materials can be prepared for leather artifacts excavated and passed down if additional material addition and subtraction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nsure stability and minimize brightness change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of leather applied with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in the future. 가죽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확인되며, 현재까지 가죽 유물이 보존되고 있다. 가죽 유물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수분 및 유분이 결실되어 고화가 진행되고 형태 변형이 일어나 손상이 진행된다. 손상된 가죽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가죽에 수분 및 유분을 주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보존처리 과정 중 세척제와 유연제의 적용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국내에는 가죽 유물에 적용 가능한 세척제 및 유연제 제조와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여 보존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죽에 수분 및 유분을 주입할 수 있는 세척제와 유연제를 제조하고 실제 가죽에 적용하여 보존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세척제의 재료 선정은 국내외 연구자료 및 가죽의 성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총 6 종의 재료를 선택하였다. 유연제의 재료는 제형 유지를 위한 고정 재료 5 종과 유분 주입을 위한 오일 4 종을 선택하여 명도 실험과 유연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세척제는 글리세린과 에틸알콜, 유연제는 올리브 오일이 선정되었다. 세척제와 유연제 제조는 혼합 비율을 조정하여 진행하였다. 세척제는 부피 기준 1 : 9 ∼ 9 : 1 mL 의 비율로 총 9 가지 세척제를 제조하였고, 유연제는 wt% 기준 고정재료 대비 오일 함유량 0% ∼ 90%의 비율로 총 10 가지 유연제를 제조하여 명도 측정, 두께 측정, 함수율 측정, 유연성 측정, 점도 측정을 진행하였다. 명도 측정은 세척제 및 유연제가 가죽의 명도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였으며, 측정 결과 세척제의 글리세린 함량이 높을수록 명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유연제는 오일 함유량이 높을수록 명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 탁색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흡수율 및 유연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께 및 함수율 측정과 유연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 세척제는 에틸알콜 : 글리세린 4 : 6 ∼ 5 : 5 mL에서 흡수율 및 유연성이 최대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유연제는 오일 함유량 20 % ∼ 40 % 에서 흡수율 및 유연성이 최대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점도가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점도측정을 진행하였고 측정 결과 세척제는 에틸알콜의 증발로 인해 흡수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며 유연제는 점도에 다른 흡수율 증가보다 유연제의 오일 함유량에 따라 흡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세척제와 유연제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 보존처리 시 유물의 상태에 따라 중요한 요소들에 맞추어 세척제 및 유연제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전세유물의 경우 명도 및 색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명도의 변화가 적은 에틸알콜 : 글리세린 3 : 7 mL , 유연제는 오일의 함량이 낮은 0% ∼ 10%의 비율이 적합하고 출토유물은 형태 복원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유연성 증가 값이 높은 에틸알콜 : 글리세린 4 : 6 ∼ 5 : 5 mL 비율의 세척제, 유연제는 오일 함유량이 40%인 유연제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가죽 보존처리를 위해 제조된 세척제와 유연제의 비율별 혼합 조건 제시 및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가죽 보존처리의 기초자료를 수립하였다. 추후 세척제와 유연제가 적용된 가죽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안정성 확보와 명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재료 가감 실험을 진행한다면 출토 및 전세 가죽 유물의 보존처리 재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酸性洗滌劑를 利用한 모래 濾材의 再生特性 硏究

        은양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11

        유럽의 정수장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산성 세척제를 사용하여 모래여재의 세척 후 재생 특성과 세척공정이 모래여재의 규격, 오염물질 제거율, 수질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여과지의 세척은 약품세척, 중화를 위한 세척, 최종세척을 수행 한 후, 여과사 및 수질을 분석하였다. 세척전 다량 존재했던 머드볼은 산성세척제로 세척 후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최종세척수는 먹는물수질기준 47개 전항목 기준에 적합하였다. 산성세척제로 세척 후 균등계수가 1.64에서 1.50으로, 강열감량이 0.22에서 0.06으로, 염산가용율이 0.24에서 0.15로 모래여재의 규격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결과, 오염된 여과사를 새로운 여과사로 교체하는 것보다 산성세척제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경우 여과사 구입비를 절감하고, 여과사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habilitation characteristics of filter medium using the acidic abstergent which is commonly used in European countries. The washing process is consists of three steps: the acidic abstergent washing, the washing for pH control and the final washing with pure water. Most of the mudballs formed were eliminated during the acidic abstergent washing and the quality of water from the pure water washing satisfied the 47 dringking water quality criteria, Korea. Through the acidic abstergent washing, the uniformity coefficient of the filter sand was reduced from 1.64 to 1.50, ignition loss from 0.22 to 0.06, and dissolusibility rate of filter sand in HCl 0.24 to 0.15. From the above results, the rehabilitation and reuse of filter sand using the acidic abstergent will be beneficial in saving money and time compared to the cost of purchasing new filter sand and time to maintain the facility.

      •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유기산을 이용한 토양세척에 관한 연구

        성유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09

        채광이 끝난 광산 주변에는 광물찌꺼기로 인해 오염된 토양이 방치되어 있다. 인체에 해로운 Cu, Pb, Cr 등의 중금속이 오염되어 있으며 오염물질이 지하수나 하천으로 흐르게 되면 생태계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토양세척법, 고형화/안정화법, 동전기법 등의 토양오염처리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토양세척법은 현장적용성이 높아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장적용성이 높은 토양세척법을 사용하여 중금속 추출효율을 평가하였다. 세척제는 무기산인 HCl과 유기산인 oxal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로 0.1M, 0.25M, 0.5M, 1.0M의 농도를 적용하였다. HCl은 강산으로 중금속 추출효율은 상당하지만 토양시료에 다량의 세척제를 첨가할 경우, 토양의 산성화를 일으키거나 2차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어 오염범위가 넓은 지역에는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토양세척법을 통해 HCl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산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토양세척법을 토양시료에 적용시킨 결과, 전체적으로 세척제별 추출효율은 HCl > oxalic acid > citric acid > acet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다. Pb의 경우, HCl을 사용하였을 때 추출효율이 55.28%로 가장 높지만 Cu, Zn, Cd의 경우에는 HCl에서는 33.21%, 11.35%, 11.38%이며 oxalic acid에서는 26.61%, 10.45%, 11.38%로 두 세척제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Cr, As의 경우에는 oxalic acid를 사용하였을 때 19.90%, 20.11%로 가장 우수한 추출효율로 나타났다. Pb을 제외한 다른 원소들은 oxalic acid가 HCl에 비해 더 효과적인 세척제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세척법을 통해 무기산과 유기산을 비교하여 유기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나 연속추출법을 통한 토양의 중금속 존재형태에 따라 추출효율이 달라진다. 토양세척 실험에 사용된 토양시료의 경우에는 HCl보다 oxalic acid를 사용하는 것이 중금속 제거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oil contaminated by tailings was left around the closed mine after mining. Heavy metals such as Cu, Pb and Cr, which were harmful to the human body were contaminated, and if pollutants flowed into ground water or rivers, it could lead to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To purify contaminated soil, soil pollution treatment technologies such as the soil washing, solidification/stabilization and electrokinetic separation were applied and among them, the soil washing method was the most widely used technology in Korea due to its high field applicability.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heavy metal extraction was evaluated using a soil washing with high field applicability. As extractant, concentrations of 0.1M, 0.25M, 0.5M and 1.0M were applied as inorganic acids such as HCl and organic acids such as oxalic acid, citric acid and acetic acid. HCl was highly effective in extracting heavy metals as a strong acid, but if a large amount of extractant was added to soil samples, it could cause soil acidification or secondary pollution,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areas with wide contamination ranges. Accordingly, the availability of organic acids that could replace HCl was evaluated through the soil washing metho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oil washing method to soil samples, overall extraction efficiency by extractant was found in the order of HCl > oxalic acid > citric acid > acetic acid. In the case of Pb, when HCl was used, the extraction efficiency was the highest at 55.28%. In the case of Cu, Zn, Cd, HCl and oxalic acid showed similar trends. In the case of Cr and As, the best extraction efficiency was 19.90% and 20.11% when oxalic acid was used. For elements other than Pb, it could be determined that oxalic acid was a more effective extractant HC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organic acid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inorganic acids and organic acids through the soil washing method. The extraction efficiency varied depend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or the heavy metals presence form in the soil through sequential extraction. In the case of the soil sample used in the soil washing experiment, it was considered that the use of oxalic acid rather than HCl could show excellent results in removing heavy metals.

      • 무연마제 의치 세척제의 마모도 및 항균력에 관한 비교연구

        이상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77

        목적: 무연마제 의치 세척제의 마모도와 항균력을 평가하여 자가 세척방법 및 관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적절한 구강관리용품의 선택 및 사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세척제에 따른 마모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의치상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에 기계적인 칫솔질을 시행하여 손실 두께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의 거칠기를 관찰하였다. 세척제 성분에 따른 항균력의 차이는 디스크법으로 측정하였으며, One-way ANOVA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칫솔질에 의한 레진 시편의 평균 마모량은 증류수군 2.22μm, 클리너군 2.33μm, 치약군 6.43μm로 나타났다. 치약으로 칫솔질 하였을 때, 손실된 마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시편의 표면도 거칠게 관찰되었다. 세정 성분에 따른 항균력 평가에서 증류수군은 모든 농도에서 미생물 억제구역이 나타나지 않았다. 합성계면활성제군의 항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식물성계면활성제군의 항균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성분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균력도 증가하였다. 결론: 의치의 위생과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레진상의 마모를 최소화 시키면서 항균효과가 있는 세정 성분이 포함된 의치 세척제를 이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구강보건 전문가인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는 의치 관리방법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구강보건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brasiveness and antibacterial ability of the denture cleaner without abrasive, to propose self - cleaning method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selection and use of proper denture care product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compare the abrasiveness between regular toothpaste and denture cleaner without abrasive, standardized rectangular denture acrylic resin specimens were prepared. Loss of the resin specimen was measured after periodical mechanical brushing, the surface roughness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detergents was measured by disk method. One-way ANOVA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average amount of loss of the resin specimens after periodical mechanical brushing was 2.22μm with distilled water, 2.33μm with cleaner and 6.43μm with toothpaste. The loss of weigh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with toothpaste(P<0.001), also highly rough surface was detec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ynthetic detergent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e positive result was also confirmed with the vegetable detergent. Also the range of influence was increased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both detergents. Conclusion: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se a denture cleaner without abrasive to minimize wear on the denture resin, with antimicrobial vegetable detergent. Oral health care experts, such as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need to provide an accurate information on denture cleansing management.

      • 우리나라에서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의 직업적 노출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연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0

        본 연구는 일본오사카 지역의 옵셋 인쇄업 근로자들에게서 높은 발병율을 보인 담관암의 원인물질로 의심되는 세척제 성분 중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우리나라 서울 일부지역의 옵셋 인쇄업에서 사용하는 세척제를 수거하여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이 함유량을 조사하는 것이었고, 둘째,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3년간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실시한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분석하여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이 측정된 사업장과 업종 그리고 측졍결과를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셋째, 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원자료에서 담관암으로 인한 사망자를 추출하여 직업, 연령,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1. 2012년 10월10일부터 2012년 11월21일까지 서울시 성수동과 을지로 일대의 일부 옵셋 인쇄소 22개소에서 롤러기와 블랑켓 세척제 38개를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디클로로메탄과 1,2-디클로로프로판은 검출되지 않았다. 2. 수거한 38개의 세척제에서 모두 검출된 성분은 톨루엔이었고, 24개의 시료에서 벤젠이 검출되었다. 이어서 노말헥산, 에틸벤젠 등이 주로 검출되었다. 3. 조사한 옵셋 인쇄소 22개소의 설문조사결과, 하루 세척작업은 10-50번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본 오사카 지역의 인쇄소에서 하루 300-600번 정도의 세척이 있었다는 보고보다 훨씬 낮았다. 4. 2009년에서 2011년 연도별 디클로로메탄의 작업환경측정결과 산술평균은 6.63 ppm, 6.15 ppm, 6.09 ppm이었으며, 노출기준 50 ppm을 초과할 확률은 2009년 3.44%, 2010년 4.18%, 2011년 4.36%로 나타났다. 5. 2009년에서 2011년 연도별 1,2-디클로로프로판의 작업환경측정결과 산술평균은 11.07 ppm, 13.63 ppm, 3.29 ppm이었으며, 노출기준 75 ppm을 초과할 확률은 2009년 1.94%, 2010년 6.68%, 2011년 0.57%로 연도별로 큰 차이가 나타났으나 시료수가 적어서 경향성을 판단하기는 어려웠다. 6.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2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담관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28,095명으로 연평균 2,810명이었다. 사망원인통계 원자료에서 상세한 직업군 등의 정보가 부족하여 자세한 분석을 하기는 어려웠다.

      • 세척방법에 따른 양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

        최유원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4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and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the demand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s and ready-to-eat fresh fruits and vegetables is increasing. However, proper washing and sanitation management are important because vegetables are prone to decay and vulnerable to pathogen contamination.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microbial reduction effect of cabbage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evaluate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microorganisms after washing and during storage, develop a growth prediction model of washed cabbage after inoculating Escherichia coli KCCM 12119, and predict storage to identify the microbiolog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cabbage, 4.65±0.65 log CFU/g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2.44±0.79 log CFU/g of coliform groups were found, and when cleaning products were used, the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groups decreased by up to 1.38, 1.44 log CFU/g. After inoculating the cabbage with Escherichia coli KCCM 12119, the initial microbial population was set to about 5 log CFU/g. The cabbage was washed, stored by different temperatures, and the growth pattern was measured. The populations of E.coli in the washed cabbage decreased by up to 1.55 log CFU/g. After washing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inegar, sodium hypochlorite, calcium oxide, sodium hydrogen carbonate, and dishwashing detergent, the populations of microorganisms were measured. As a result, 0.5% solution of vinegar, 100ppm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and 1% solution of sodium hydrogen carbonate met the criteria for use, the overall microbial reduction effect was excellent. 15ppm solution of calcium oxide showed a similarly reduction effect of tap water. The populations of microorganisms that can be stored in cold storage for 48 hours and at room temperature for 8 hours were measured, and it is suggested that if washed with 0.5% solution of vinegar, it can be stored in cold storage for up to 7 days. After inoculating and washing Escherichia coli KCCM 12119 in cabbage, a growth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measuring growth patterns by temperatures, and the primary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Baranyi model and the secondary model using the Square root model and the Polynomial second order model.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and lag phase duration of Escherichia coli KCCM 12119 were calculated from the cabbage washed in the primary model,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were all suitable to be 0.9 or higher. In addition, in the secondary model developed using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and lag phase duration calculated by the primary model and the inductor as variable values, the theoretical minimum temperature(Tmin) derived, and the R2 value of the secondary model was also found to be a suitable growth prediction model. Therefore, the developed model will be usable as a predictive model for the growth of E.coli on cabbage, and it will help for microbiological sanitation management of fresh-cut products and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식품산업의 발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하여 가공식품보다 자연식품을 선호하는 추세로 변화함에 따라 신선 농식품과 비가열 즉석섭취 신선 과채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채소는 부패가 쉽고 병원체 오염에 매우 취약하므로 적절한 세척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 중인 양배추를 세척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 비교, 세척 후 저장 중 미생물의 증식 변화를 통한 품질 및 저장성 평가, Escherichia coli KCCM 12119를 접종하고 세척한 양배추의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저장성을 예측하여 양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양배추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세균 4.65±0.65 log CFU/g, 대장균군 2.44±0.79 log CFU/g로 나타났으며, 세척제를 사용했을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은 최대 1.38, 1.44 log CFU/g 감소하였다. 양배추에 Escherichia coli KCCM 12119를 접종하여 초기 오염농도를 약 5 log CFU/g로 설정한 뒤 양배추를 세척하고 온도별로 저장하며 성장패턴을 측정하였고 세척한 양배추의 E.coli 수는 최대 1.55 log CFU/g 감소하였다. 식초, 차아염소산나트륨, 산화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및 과일·채소용 세척제의 농도를 달리하여 세척하고 미생물 수를 측정한 결과 식초 0.5%, 차아염소산나트륨 100ppm, 탄산수소나트륨 1% 용액이 사용기준에 적합하면서 전반적인 미생물 저감효과가 우수한 처리구였으며, 산화칼슘 15ppm은 수돗물로 세척한 것과 비슷한 저감효과를 나타냈다. 세척한 양배추는 대체로 냉장에서 48시간, 상온에서 8시간 정도 보관 가능한 미생물수가 측정되었고, 식초 0.5% 용액으로 세척할 경우 냉장에서 최대 7일 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배추에 Escherichia coli KCCM 12119를 접종하고 세척한 뒤 온도별 성장패턴을 측정한 결과로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였고 1차 모델은 Baranyi model, 2차 모델은 Square root model, Polynomial second order model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차 모델에서 세척한 양배추에서 Escherichia coli KCCM 12119의 최대성장속도, 유도기를 산출하였고 결정계수(R2)는 모두 0.9 이상으로 적합하였다. 또한 1차 모델에서 산출한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변숫값으로 사용하여 개발한 2차 모델에서는 이론적으로 미생물이 성장 가능한 최저온도를 도출하였고, 2차 모델의 R2값 또한 0.9 이상으로 적합한 성장예측모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해당 모델은 양배추의 대장균 성장예측모델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신선편의식품의 미생물학적 위생관리와 식중독의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연료 첨가제의 마케팅에 관한 연구 : Oxy사의 엔진 내부 세척제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동현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11

        IMF hit our economy in 1996 and our economy was required to change the structure. The modem society is competitive and we have gradually reduced the border among the countries. So, the more qualified products we produce,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us to distinguish our products from theirs. In the end, if we couldn't consider of the reforming of the productive marketing, our enterprises would dismiss. The research point toward the productive proposal of the automobile fuel ingredients fuel additive of OXY inc. The reason why I chose this issue is that this product is expected to be the best brand among the competitive other products. Second, as it has been developing and the demand increases, strategies of the demand would be desperate. Third, I have worked for OXY inc, So I hope to serve the development of our company by using this research. Firs of all, this research describe the entire situation of the automobile supplies market and the prosperity of fuel additive. Considering the change of market, the competitive situation and the condition of customers through the OXY case studies, we try to figure out the marketing proposal which help recover its recession, Then,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literature studies and the case studies. We use this analyses of customers as the second material. These three additive of automobile divided an antifreezing solution , an engine oil additive and a fuel additive. Considering benefits and prospects, a fuel additive is the most prospective among these three elements. In our market, low-priced goods were popular. But OXY inc produced the concentrated product in 1997 which the developed countries use commonly . Joining in a technical tie-up of the TEXACO inc, they end up develop the product that washed carburetor, injector and, intake-valve into the product that wash three parts and even a combustor. The name of this product is called by 'bulls'. this means the power of bulls. Adding to wash cleary it in one time, we name it as 'bulls one shot'. We decided that OXY inc would go head more than any other companies on the quality of product, the power of sales and the advertisement. Because they have succeeded the industries of household utensils. But problems still remained. That is how they advertise this product. It is related directly to the prior occupation of market. They try to draw the attentions of customers with advertising fuel system cleaner and they emphasized waste materials to effect on depreciation of machine. Using this strategies, they stimulated to recognize the such problems and boosted to regard it as living necessaries. In other way, they approached to the distribution of oil station and occupied it. As to the price, they faced resistance of customers. and they were tested by domestic and foreign officially organization in order to solve it. It was used to advertise this product. According to this plan, the distribution channels extend oil stations where have been the established distributions of OXY inc to car centers , stores of car supplies and discount houses. but they didn't succeed it. So, they changed plan to concentrate the sales on the oil stations from July, 1998. However, we expected that numbers of car centers and discount stores will be increased in the near future , as people prefer repairing car by themselves. they have promoted its advertisement through the media and the catalog as well as employees of oil stations. and they have held events against 2,000 persons in resting places of super highway, sky resorts and oil stations. they tried to approach to unoccupied places with samples and catalogs. Sales man have visited door to door to promote it. Conclusionally, the main reasons to be successful are the distinguished quality of products, fast action of approaching to oil stations, future-oriented investments, the marketing on the field and recovering loyalties from customers through performance tests. Especially, this product is expected to grow higher income. but they have to know the truth, that customer's tastes has been changing.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for employees of the marketing department including the automobile industries and simultaneous industries.

      • 근관세척제의 현황과 병용처리에 관한 고찰

        정민영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51

        근관 치료의 목표는 근관 내 괴사된 치수조직, 세균, 감염된 상아질 등을 제거하고 재감염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근관계는 해부학적으로 복잡한 형태를 지녀 기계적인 근관 확대만으로 근관 내 감염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유기 조직을 용해시키고 항균 작용을 하는 근관세척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세정 방법이 필수적인 과정으로, 다양한 근관세척제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상적인 근관세척제는 넓은 항균 범위를 가지고, 괴사된 치수조직 잔사를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하며, 세균의 내독소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어야 하고, 도말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근관세척제가 존재하지 않아 각각의 근관세척제들의 장단점과 병용처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Sodium hypochlorite (NaOCl)은 근관세척제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근관세척제로 광범위한 항균범위, 괴사 조직 용해 등이 가능하나 독성이 강하고, 도말층을 확실히 제거하지 못한다. Chlorhexidine (CHX)은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갖고, 특히 Enterococcus faecalis로 인한 염증반응을 감소시키지만, 조직 용해 능력이 없고, 도말층 제거 능력도 떨어진다.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의 경우 도말층 제거 능력이 뛰어나지만, 항균 작용이 다른 근관세척제에 비해 떨어지며 유기물 용해 능력이 없다. 다양한 근관세척제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근관세척제는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병용처리가 고려해 볼 수 있다. NaOCl과 CHX을 병용처리 할 경우 단독 사용시 보다 더 큰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병용처리 시 둘의 화학반응 결과로 파라클로로아닐린 (parachloroaniline, PCA)이라는 적갈색의 침전물이 생성된다. PCA는 치아의 적갈색 변색을 유발하며, 근관충전시 근관폐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발암성이 있다. NaOCl은 상아질이나 도말층을 거의 제거하지 못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탈회작용이 가능한 EDTA를 병용처리시 도말층제거와 탈회가 가능하다. 그러나 EDTA와 NaOCl을 혼합하여 사용시 EDTA의 킬레이션 능력은 유지되지만, NaOCl의 조직 용해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상적인 근관세척을 위한 병용처리에 대해서 아직도 알려지지 않은 작용기작과 문제점이 많아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해서도 연구가 더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goal of endodontic treatment is to disinfect the root canals with infection and further to prevent re-infection. Although mechanical instrumentation could substantially reduce the number of bacteria existing in the infected root canals, it is difficult to obtain complete disinfection because root canal system is anatomically complicated. Thus, chemical irrigation is to be accompanied for dissolving necrotic tissues and eliminating the bacteria. An ideal irrigant should have a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dissolve necrotic pulp tissue remnants, and prevent the formation of a smear layer during instrumentation. Commonly-used root canal irrigants are sodium hypochlorite (NaOCl), chlorhexidine (CHX), and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NaOCl has the capacity of dissolving necrotic tissues an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but it often cause tissue damages and it cannot dissolve inorganic components of a smear layer. CHX has a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and residual antimicrobial activity, and is effective in eradicating Enterococcus faecalis biofilm. However, it is not effective in dissolving necrotic tissues and a smear layer. EDTA has a potent capacity of dissolving a smear layer, but not necrotic tissues, with weak antimicrobial activity. Although approximately seven intracanal irrigants have been introduced so far, none of them is ideal calling for the co-treatment to complement each other. Co-treatment with NaOCl and CHX has more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but parachloroaniline (PCA), a brownish-red precipitation, is frequently formed. PCA results in discoloration of teeth and obliteration of root canal system, and it is carcinogenic. Co-treatment with NaOCl and EDTA removes both organic and inorganic smear layers, however, it results in the loss of tissue dissolving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current co-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