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력사』에 나타난 북한의 역사인식

        강진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주체사관의 원리를 검토하고 그 내용이 『세계력사』의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의 역사인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체사관의 주요원리는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 민족혁명 중심의 역사인식, 수령과 후계자의 역할 강조로 나누어진다. 그 중 주체사관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이다. 이로부터 출발하여 주체사관은 역사의 본질은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이며, 인류역사의 성격을 인민대중의 창조적 역사라고 본다. 또한 인민대중의 자주성과 창조성을 일깨우기 위한 역사의 추동력을 자주적 사상의식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인민대중이 역사발전의 자주적 주체가 되려면 반드시 수령의 지도를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여 실질적인 역사발전의 주체를 수령으로 귀결시킨다. 이와 같은 주체사관의 원리는 북한 세계사 교육의 목표와 교과편제, 『세계력사』의 서술에도 반영된다. 그 결과 『세계력사』에서도 역사발전의 주체는 인민대중이며 이들의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활동으로 사회가 개조되고 역사가 발전한다고 설명된다. 특히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투쟁으로 보기 때문에 노예폭동, 농민봉기, 반제민족투쟁과 해방운동은 역사발전의 합법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사건으로 중시한다. 이에 반해 인민대중과 대립되는 왕이나 노예주와 같은 지배계급의 착취, 종교, 수정주의,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판과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하지만 사회역사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혁명운동은 고도의 의식적인 운동이며 심각한 계급투쟁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령과 후계자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본래 주체사관에서 수령은 김일성을, 후계자는 김정일을 뜻하지만 『세계력사』에서는 해당 사회의 혁명을 지도하는 대표자를 의미하며 이들의 지위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이보다 더 강조되는 것은 세계 각국의 반제민족해방투쟁에 기여한 김일성의 지도력과 혁명업적이다. 『세계력사』에서 김일성은 앞서 나타난 지도자들 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영향력 강한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어 북한 사회주의의 우수성을 정당화한다. 이처럼 주체사관은 『세계력사』에 반영되어 세계사 학습을 통해 주체사상을 고양하며 민족자주사상과 애국주의 함양을 지향한다. 이를 통해 『세계력사』는 주체사상의 이론을 정교화하고, 대중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정치사상교육의 일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main elements of juche(self-determination) ideology reflected in Segyeryoksa. The main elements of juche ideology include: a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a historic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popular revolutions; and the central roles of the suryong(revolution leader) and his successor. The essential of element of theses is the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This historical view is the bedrock of juche ideology, which argues that the essence of human history is in the endless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for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The ideology claims that the historical impetus that awakens the popular masses to their creativity and capacity to determine their own lives is a voluntary or self-determination centered ideology. But asserts that the popular masses must obey a suryong in order to becom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there by transferring the role of leading historical evolution to one single leader. The elements of juche ideology form the foundation of the objective of the North Korea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Segyeryoksa. Segyeryoksa asserts that th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are the popular masses, whose voluntary demand and creative activities reform the society and lead the progress of history. Because juche ideology locates the impetus of historical evolution in the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to gain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such historical events as slave riot, peasant uprising, and anti-imperial nationalist movement and independence fight are treated as the evidence supporting such view on history. But renders scathing criticisms and negative judgments on the exploitation of ruler(such as king and slaveholder), religion, revisionism, and imperialist invasion and colonialism. The book goes on to assert that, since revolutionary struggles for the sake of social and historical evolution required a highly sophisticated consciousness and accompany serious class conflicts, such struggles require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suryong and his successor. In juche ideology, these positions are personalized: the suryong refers to Kim il-sung, while his successor refers to Kim Jong-il. Segyeryoksa, however, includes all leaders of revolutions in a given society under the category of suryong, whose roles and positions in the history of society could not be emphasized more. Even more emphasized, however, are the leadership and accomplishments of Kim il-sung who is depicted as having made crucial contributions to the liberation of peoples of various nations from oppressive and exploitative forces. Kim il-sung is described in Segyeryoksa as incomparably superior to all the previous leaders of world revolutions, and his power and influence justify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 version of socialism. Segyeryoksa seeks to inculcate students in juche ideology by teaching them a highly selective version of world histor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book is to instill strong ideologies of self-determination and patriotism in students. Segyeryoksa, in other words, is an elaboration of juche ideology and is an political tool used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ideology.

      • 북한 고등중학교 『세계력사』 교과서 분석 연구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69

        남북한이 분단국이 되어 이질화의 길을 걸어온지도 50년이 넘어가고 있다. 2000년에 들어서면서 남북한의 통일분위기는 가속화되고 있고 통일 준비단계로서 통일교육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시기로 전환하고 있으며 특히 통일교육의 선행연구로서 현재까지의 북한 교육에 대한 분석연구가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특히 국가, 사회적 요구(체제유지)가 어느 교과목보다 강한 세계사 교과목에 대한 연구는 북한 주민의 의식구조 및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이전까지 북한의 역사교육에 대한 분석은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세계력사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 북한의 세계력사 교과목 분석결과 교과서의 외형적 체재에서 보이는 특징은 지질(紙質)이 형편없이 낙후되어 있다는 것과 그림, 부록, 연표, 도표, 사진, 사료등 시각적 학습자료 제시가 전무하며, 단순히 목차와 본문 내용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북한의 모든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세계력사 교과서에도 '긍정적 모범'으로 감화시키는 방법으로 김일성, 김정일 교시를 교과서 서술 곳곳에 고딕체로 강조해서 인용하고 있다. 서술상에서 보이는 가장 큰 특징은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계급갈등에 의한 투쟁"으로 인식하여 세계력사 교과서 서술을 계급투쟁의 관점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인식의 사상적 배경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변증법적 유물사관의 기초하에 1960년대부터 북한의 독자노선으로 확립된 주체사상에 있다. "인간개조리론"을 통한 인간개조 강화의 일환으로 교육의 이념을 성립시킨 북한은 주체사상의 확립, 유일사상의 확립, 계급혁명의 정신을 투철히 내면화하여 계급투쟁과 혁명의욕에 불타는 공산주의적 인간의 양성을 최종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북한의 세계사 교과서는 유물사관과 주체사상에 근거한 계급투쟁적 서술특징이외에 민족주의적 경향도 강하여 고구려 인민에 대하여 강조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남한과 미국에 대한 적대적 표현도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북한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 서술 분량은 고대에서 현대로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특히 사회주의사로 구성된 현대사는 고등중학교 6학년 교과서 전체를 이루고 있다. 실제 단원 분석에서 남북한, 중국, 일본, 미국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남북한의 교과서는 그 내용 서술에 있어 이미 많은 이질성을 띠고 있다.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이질성은 역사관에 의한 시대구분의 차이와 역사의 주체를 판단하는 기준의 차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북한교과서는 유물사관과 주체사상에 입각한 역사관에 의해 시대구분을 적용하고 있으며 역사의 주체를 피지배계층에서 찾고 있는 반면 남한교과서는 정치, 사회, 문화의 전세계사적 흐름을 기준으로 시대구분을 구분하고 있으며 역사의 주체 또한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주제중심의 서술을 하고 있다. 춘추전국시기를 다룬 단원을 중심으로 각국 교과서를 분석하면 북한교과서는 자세한 사건 서술이 되어있는 반면 삽화, 사진, 학습자료등이 전무하다. 남한의 교과서는 각종 학습자료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 반면 현재의 문제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서술되어 있지 못하다. 일본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에는 남한 교과서와 가장 흡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국교과서는 주제사적인 접근으로 문제해결력을 증대시키고 있고 중국교과서의 경우는 자국사임을 감안하여 분석할 때 專과 紅을 적절히 결합시켜 서술하고 있다. 통일교육에 있어서는 "역사적 통찰력의 신장"이라는 역사교육의 대전제하에 역사의 본질이나 성격을 반영하는 역사적 개념과 원리를 나타내는 역사적 사실로 내용이 선정 조직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인지발달능력에 맞도록 충분히 쉽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교과서는 제작되어야 한다. It has taken about 50 years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go in a different way as a divided country. On 2000,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has became more critical issue and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has been necessary as the preparatory preceeding for it. And it is more important to study analytically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until now.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understand North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and values through the study of world history textbook which has more national and social request of system maintenance than any other textbooks. The history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been usually analyzed through not World History but Chosun(朝鮮) History before. Thus I analyzed World History in this thesis. World History, North Korean textbook, has the poor quality of paper in shape and there is no optical materials like picture, supplement, chronological table, chart, photo, and so on. It only consists of contents and text. In addition, like all of other textbooks, it quotes the instruction of Kim, Il Seong and Kim, Jeong Il with Gothic type for influencing people as 'affirmative model'. In narrative aspect, it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class struggle with the thought that the motive of historical development is "the trouble relation by class struggle". This historical sense results from the thought of sovereignty which North Korea has established independently based on dialectic materialism of Max and Lenin since 1960s. Consolidating 'human reconstruction theory', North Korea has formed the final educational idea as establishing the thought of sovereignty and training the communist with the great desire of class struggle and class revolution.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North Korea doesn't have only the narrative aspect of class struggle based on materialism and thought of sovereignty but also the tendency of nationalism. Thus it emphasizes the people of Goguryeo(高句麗) and shows the hostile attitude toward South Korea and America. And it describes much more modern history and old history. Especially, Sixth year textbook of higher middle school is consisted of the modern history of socialism. Analyzising the text of South and North Korea, China, Japan and America, I found much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textbook in narration. South and North Korean textbook are different in the period division and the subject of history. North Korea divides the historical period on the ground of materialism and thought of sovereignty and it thinks the unruling classes as the subject of history. But South Korea divides the period based o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tream of world history, and describes the history with its theme. Analyzising the textbooks of each country with the period of ChunChuJeonGuk(春秋戰國), North Korean textbook describes details and has no illustration, photograph and learning material. South Korean textbook has all kinds of material but has no motive to approach the present problems. It is most similar to Japanese textbook. And American textbook strengthens the power of solving the problem and Chinese textbook shows its own history with balance. For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the historical textbook must consist of the historical details presenting the historical concept and principle, with the premise of historical education as "strengthening the historical insight". And the textbook must be interesting and easy for students to develope their intellect. Also it must reflect the same request of unified South and North Korea.

      • 남북한 세계사 교과서의 러시아 혁명 서술 비교 분석

        박신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남북한의 역사 인식은 교육적 논리에서뿐만 아니라 정치 · 사상적 입장 차이를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역사해석에 있어 사상적으로 자유로울 수만은 없는 러시아 혁명에 대한 서술이라면 그 차이는 더욱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역사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는 남북한의 세계사 교육 목표를 비교하고, 남북한이 세계사 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바가 교과 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남북한 교과서의 러시아 혁명 서술 내용이 세계사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지 나아가 기존의 많은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남한의 세계사 교육목표가 학생의 역사의식과 사고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세계를 올바로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라면, 북한의 교육목표는 주체사상으로 무장한 공산주의자를 양산하려는 것이다. 남북한의 세계사 교과 편제와 교과서 구성을 살펴보면 남한의 경우 러시아혁명 부분은 분량 면에서는 물론 내용 면에서도 크게 미흡하다. 이러한 사실은 학생의 역사의식을 증진시켜 세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게 만든다는 교육 목표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북한의 경우 마르크스주의사관과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자주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주체사관에 의해 내용이 구성되어 북한의 세계사 교육 목표에 맞게 서술되었다고 볼 수 있다. 러시아 혁명에 대한 연구는 레닌을 비롯한 볼셰비키 등의 혁명 지도부의 역할 고찰에 집중되어 있던 것에서 벗어나 혁명 당시 러시아의 사회 · 경제적 상황과 혁명 세력으로서의 노동자 · 농민 대중과 그들의 조직의 역할에 대한 분석으로 확대되어 왔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내용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남북한 세계사 교과서는 러시아혁명을 부분적으로 축소하거나 확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남한 교과서의 경우 특히 레닌과 볼셰비키의 역할을 크게 강조하고 있는 반면, 혁명의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노동자 · 농민과 그들의 조직의 역할에 대해서는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이에 비해 북한 교과서는 3월 혁명에 대해서 지나치게 간략히 언급하는데 그친 반면 11월 혁명을 서술하는데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이는 남북한 교과서 모두 러시아혁명 서술에 있어 기존 혁명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필요에 의해 내용을 축소하거나 확대하는 식의 서술은 지양하고 또한 사회경제적 배경과 노동자 · 농민의 의식변화 및 조직 활동 등을 다룬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점에서 본 논문은 통일에 대비하여 바람직한 역사 교육과 종합적인 역사고찰을 위해 남북한의 세계사 교과서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cause they have a different conception in political ideology as well as in education aim. Especially, description of the Russian revolution cannot be free from the ideological interpretation. In this respect, the difference of two countries which have suffered from ideological confrontation is more clearly revealed. In this study, I compare the education aim of the world history of South Korea to that of North Korea based upon dissimilar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I examine how the education aim affects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lso, I analyze how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textbook description on the Russian Revolution corresponds to the education aim and furthermore whether it reflects former study achievements or not. While the education aim of the world history of South Korea makes students perceive the whole world correctly by improving their historical perspective and ability to think, that of North Korea is to make students communist militants. Considering the composition, the description on Russian Revolution of the South Korea textbook is more insufficient in substance than that of North Korea textbook. This fact is largely not helpful to achieve the aim of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e world rightly by improving their historical perspective. But the North Korea textbook was largely written to fit into it's education aim which represents Marxism-Reninism. Research on the Russian Revolution had been concentrated on revolutionary leader groups. But gradually the importance of Russia's the socio-economic situation, the revolutionary forces as workers and peasants and their organizations has been recognized. Based upon the analysis result of these study achievements, I examine two countries' textbooks.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s textbooks reduces or expands contents about Russian revolution partly. The South Korea??s especially emphasizes the role of Bolshevik leaders such as Lenin, wherea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revolution, worker and peasant consciousness and their organization's role has not been properly treated. In contrast the North Korea's mentions the March Revolution of 1917 very briefly, but it focuses on the November Revolution mostly.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on't accept the results of formal research on the revolution in the text description. So, to synthesize the Russian Revolution we shouldn't reduce or expand contents in the textbooks by necessity. Moreover, both countries should reflect the recent study achievements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revolution, the consciousness of worker and peasants and their movements. O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gives a good directive to the descrip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history textbooks and to the history education after the nation unification.

      • 칠레와 남북한 간의 관계에대한 연구 :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에서 칠레 역할과 사퇴문제를 중심으로

        Camilo Sebastian Aguirre Torrini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1963

        On May 27th, 1949, Chile became the first Latin American country to recogniz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next year, as consequence of the Korean War, the Fifth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determined the cre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the Un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Korea (UNCURK), with Australia, the Netherlands, the Philippines, Thailand, Turkey, Pakistan and Chile as member states. Chile was an active member of this commission, but also tried to withdraw from this international organization two times. The first time, on August 11th, 1966, Chile tried to withdraw with motivations to shift its foreign policy. However, Chile was convinced by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o reconsider its decision. Finally, Chile withdrew from the UNCURK on November 16th, 1970, after the democratic triumph of the Marxist regime headed by Salvador Allende. Only three years after Chile’s withdraw, on September 7th, 1973, UNCURK was disbanded by a resolution of the 28th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This thesis argues that Chile’s withdraw influenced the decision to disband the UNCURK. On explaining the dissolution of UNCURK, the impact of US‐China rapprochement and the role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 are the most accepted explanations. This thesis recognizes the impact of the US‐China negotiations and the leading role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 but – tracing the development of Chile’s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 argues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political developments of Third World countri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herefore, the Third World and the solidarity among these nations are important elem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Question.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will focus on Chile and North‐South Korea Relationship. In the 1960s, Chile’s relationship with the US is conceptualized as a catalyst of the Chile‐South Korea relationship. Therefore, when Chile’s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as good, Chile acted as an ally of South Korea. On the contrary, when conflicts occurred between both countries, the Chilean government showed indifference regarding to the Korean Question. In the mid‐1960s, the new Chilean government changed its stance on the Korea issue. The Christian Democrats, while receiving American aid, tried to apply the principle of “universalism” to Chile’s foreign policy and promote relationships with all the countries, regardless of their ideology. Followed by lively exchanges between Chile and North Korea, Chile decided to establish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withdraw from the UNCURK.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ncerned about their position at the United Nations, so they put pressure on the Chilean government to reconsider their decision to withdraw. In 1970, Chile’s recently elected Marxist government, which was immune to the pressure of the United States,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UNCURK and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is attitude of the Chilean government made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reconsider the role and importance of UNCURK, as is reflected in the negotiations between China and United States. In conclusion, despite being geographically far away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role of Chile in Asian regional order changes that emerged after the normalization of China‐United States relations is far from being insignificant. 1949년 5월 27일, 칠레는 한국정부를 승인했고, 이 사건은 중남미 국가가 최초로 한국을 인정한 사례였다. 또한 1950년 10월 7일, 제5차 유엔총회에서는 “통일되고 독립적이며 민주적인 한국정부의 수립을 목표로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the Un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Korea, 이하 언커크)의 설치”를 결의하였다. 결의안이 나온 직후 언커크는 호주, 네덜란드, 필리핀, 태국, 터키, 파키스탄 그리고 칠레 7 개국을 회원국으로 하여 창설되었다. 그러나 칠레는 2차례 걸쳐 (1966년 8월 11일 및 1970년 11월 16일) 동(同) 국제기구에서 철수하기로 하였고 마침내 1970년에 철수하였다. 그러고 나서 1973년 언커크가 해체되었다. 본 논문은 칠레의 언커크 사퇴가 동 기관 해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흔히 언커크의 해체는 미∘중 협상의 결과로 해체되었다는 것과 북한 외교의 승리로 해체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칠레의 대한반도 전략을 추적하면서, 언커크가 해체되는 데 미∘중 협상의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이미 1960년대부터 북한의 대제3세계 정책과 본격화된 제3세계 국가 간 연대를 적극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1차 자료를 수집을 통해 언커크에서 칠레 역할을 중심으로 칠레와 남북한 간의 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아울러 칠레 국내적 정치 상황을 고려하여 한 칠 관계와 칠북 관계의 배경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1960년대의 냉전 상황의 산물로써 미∘칠 관계를 양식화하여 미국이 한∘칠 관계의 촉매(catalyst)의 역할을 했음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칠레는 미국과 사이가 좋을 때에는 한국의 우방으로 행동한 반면에 미국과 갈등이 일어날 때에는 한국문제에 대한 무관심하거나 북한에 다가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논문은 칠레의 국내정치 노선의 변경에 따른 한국문제를 분석한다. 1960년대 중반에 칠레정부는 친미적인 우익 세력에서 중도노선 세력으로 전환하면서 한국문제에 대한 입장도 달라졌다. 중도 노선 기독교 민주당의 정부는 미국의 원조를 받으면서도 외교에 있어서 차별 없이 모든 나라와 관계를 맺고자 하는 보편주의적 접근을 실현하기로 하였다. 이에 칠레와 북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칠레 주요 인사들은 북한을 방문하여 한국문제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파악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66년에 칠레정부는 언커크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은 유엔에서 자신의 입장이 약화될 것을 우려하여 칠레 정부에 철수결정에 대해 재고하게 만들었다. 셋째, 본 논문은 칠레사의 중요한 사건인 1970년의 인민연합(Unidad Popular)의 승리를 두고 칠레와 북한관계를 분석한다. 인민연합의 정부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바탕으로 혁명을 이룬 정부로서 미국의 압박에 대해 면역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인민연합의 지도자 아옌데 대통령은 취임 며칠 후 협의 없이 언커크에서의 철수와 북한과의 외교관계 수립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고는 칠∘북의 관계에 있어 칠레와 북한 사회주의의 공통점인 반제국주의 입장을 두고 큰 차이점이 있음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칠레 태도로 인해 미국과 한국의 언커크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고 이는 미∘중 협상 과정에 반영된다는 사실을 밝힌다. 요컨대 이 논문은 당시 언커크가 '한국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임에도 불구하고, 칠레의 국내정치적 변화로부터 그 존립에 큰 영향을 받았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미중 간의 긴장완화(detente)라는 배경 속에서 아시아라는 지역질서의 변동에 칠레의 역할은 결코 미미하지 않았음을 본고는 강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