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유도 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심현우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성취목표 성향과 자신감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별, 체급별, 경력별, 운동능력별로 그 차이를 검증하고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이 경쟁불안의 하위요인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분석하여 유도 경기력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대한 유도회가 주최하는 춘계중고연맹유도대회, 용인대 총장기, 하계중고연맹유도대회 3개 대회에 참가한 고등부 체급의 남녀 구분 없이 각 체급별로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후 회수된 설문지는 설문지의 분류검색과정을 통하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조사후기에 신뢰도가 낮은 설문지 16부를 제외한 총 324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윈도우용 SPSS Ver 12.0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각 변인의 특성에 따른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Tukey의 사후검증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든 가설검증의 유의수준을 α=.05로 수준에서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별, 체급별 운동경력 성취목표성향은 통계적의 유의미한(P<.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적별 자아 지향적 성향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P<.01)가 검증되었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별, 체급별 자신감은 통계적의 유의미한(P<.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운동 경력별 자신감의 하위변인 중 상태스포츠 자신감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P<.01)가 검증되었으며, 성적별 상태스포츠 자신감과 특성스포츠 자신감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P<.01)가 검증되었다. 셋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별, 체급별 운동경력별 경쟁불안은 유의미한(P<.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적별 경쟁불안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상태불안은 유의한 차이(P<.01)가 검증되었다. 넷째, 성취목표성향이 자신감과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 및 경쟁불안 정적인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 지향적 성향이 특성스포츠자신감에 유의한(p<.05)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자신감이 경쟁불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쟁불안의 하위변인 중 신체적 상태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특성스포츠자신감이 경쟁불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쟁불안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상태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 위해 ?p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성취목표성향, 자신감 요인 경쟁불안 요인을 선수들을 대상으로 시합전날 설문지를 배포 수거하였다. 하지만 설문지의 신뢰성이 낮은 대상자가 많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자는 이에 대한 사전준비가 철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인구학적인 특성별 성취목표성향, 자신감, 경쟁불안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도선수들의 단일 검사에서는 차이가 나타나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차이가 불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도선수들의 경쟁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경변인을 비롯한 인구학적 특성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유도 선수들의 경쟁불안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방법의 이론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즉, 기존의 설문지내용은 수년 동안 사용되어오는 문항의 변화는 없이 동일 문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의 선수와 과거의 선수는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그 환경이 확연히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동일내용을 사용한다는 것은 신뢰성이 낮다. 따라서 유도 선수들에게 적합한 설문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confidence of high school Judo players affected their own competitive anxiety in a bid to lay the groundwork for improving their performance to the utmo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4 high school Judo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ree competitions hosted by Korea Judo Association. SPSS Ver. 12.0 program for Window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a manner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when the achievement-goal orientation of the players was investiga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school grad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elf-orientation(P<.01). Second, whether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onfidence was checked, and they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tate- sports confidence, one of the subvariables of confidence by workout career(P<.01). The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d with their school grades in state-sports confidence and Tait Sport Confidence(P<.01) as well. Third,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mpetitive anxiety, their cognitive state anxiety, one of the subfactors of competitiv

      • 중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훈련태도와 운동전념

        김서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중학생 축구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훈련태도와 운동전념의 관계 및 영향을 규명하고, 훈련태도와 운동전념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수도권 팀에 소속된 중학생 축구선수들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에 불성실한 응답을 한 17명을 제외한 190명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SPSS 26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탐색적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년별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는 1학년보다 2학년이 과제성향이 높으며, 소속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는 학교소속 선수들보다 클럽소속 선수들의 자아성향이 높다. 둘째, 성취목표성향, 훈련태도, 운동전념의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자아성향과 방관의 상관관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방관은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이 있고, 그 외 모든 하위요인은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과제성향이 높아질수록 긍정적인 훈련태도(성취, 흥미/열의)가 높아지며, 자아성향이 높아지면 부정적 훈련태도(방관)이 높아진다. 넷째, 과제성향이 높아질수록 인지전념과 행위전념이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중학생 축구선수들은 과제성향이 높아질수록 훈련에 참여하는 긍정적인 태도나 운동전념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도자들은 선수들에게 과제성향을 향상시켜준다면 선수들은 보다 긍정적인 태도 및 높은 전념을 보일 것이다.

      • 엘리트 복싱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수행붕괴와 슬럼프의 관계

        이상욱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엘리트 복싱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수행붕괴와 슬럼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자는 2020년 현재 대한체육회 및 대한복싱협회에 선수 등록되어 전국에 소재하는 대학교, 실업팀 및 사설 체육관(일반부) 소속으로 활동 중인 엘리트 복싱선수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10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취목표지향성 검사지, 수행붕괴척도 문항, 슬럼프 자가진단체크리스트를 수정과 보완을 거쳐 적용 및 사용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t-test, one-way ANOVA,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싱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수행붕괴 및 슬럼프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성별에서는 성취목표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수행붕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대 선수가 30대 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력에서는 수행붕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경력이 9년 이하인 선수가 운동 경력이 10년 이상인 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속에서는 수행붕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이 수행붕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복싱선수의 경우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과제성향이 수행붕괴의 하위요인 ‘인지, 정서, 지각적 혼란’과 ‘비정상적 신체감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붕괴가 슬럼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복싱선수의 경우, 수행붕괴의 하위요인 중 인지, 정서, 지각적 혼란이 슬럼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복싱선수 또한 수행붕괴의 하위요인 중 인지, 정서, 지각적 혼란이 슬럼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복싱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수행붕괴, 슬럼프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엘리트 복싱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복싱 종목에 관련된 다양한 심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ocking under pressure and the Slump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elite boxers. In 2020, 106 people were registered with the Korean Sports & Olympic Committee and the Boxing Association of Kore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elite boxers working at universities, business teams, and private gymnasiums across the country.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Chocking under pressure scale, and Slump self-diagnosis group list were also referenced and appli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urtherm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First,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hocking under pressure and Slump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ite box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gend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cking under pressure in age, with athletes in their 20s being higher than those in their 30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ocking under pressure in career history. For athletes with less than nine years of athletic experience showed higher Choking under pressure than those with more than 10 years of athletic experience. Final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ocking under pressure in the sports/team affiliation.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hocking under pressure showed that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ocking under pressure. For male boxers, task orientation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ub-factor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perceptual confusion' and ‘abnormal physical sensitivity’. Third,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ocking under pressure on the Slump has shown that the Chocking under press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lumps. For male boxers, cognitive, emotional, and perceptual confus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ocking under pressure have been shown to have a major impact on the Slump. The same result was also shown in female boxer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ocking under pressure and the Slump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elite boxers. By examining the impacts, the elite box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sychology programs related to boxing in the future.

      •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기관리행동 및 운동지속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문길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행동, 운동지속수행력을 분석하고,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행동, 운동지속수행력에 어떠한 상관성과 영향력이 있는지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소년 태권도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3년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권도선수 250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표본을 추출 하였고, 그 중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이중기입, 무기입 등의 자료가 포함된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 23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행동, 운동지속수행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 학년, 운동경력, 입상경험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과제목표성향이 자기관리행동의 정신력관리, 대인관계관리, 몸관리, 생활관리, 자아목표성향이 자기관리행동의 훈련관리와 고유행동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지속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과제목표성향이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목표성향은 운동지속수행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이 운동지속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신력관리, 대인관리, 고유행동관리가 경향성, 정신력관리, 대인관리, 훈련관리, 고유행동관리가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력관리, 대인관리, 훈련관리가 강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exercise adh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quire into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exercise adherence. As subjects of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juvenile taekwondo players as a population and extracted 250 taekwondo players as sampl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s of 2013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finally singled out 234 players excepting questionnaires that is considered lacking in reliability or data inclusive of double entry, blank etc. As a result of carrying out frequency analysis as well a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adherence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school year, exercise career and prize-winning experience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regoing.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juvenile taekwondo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management, this study revealed that task goal orientation affects mental strength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physical management, life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and self goal orientation exerts an influence on training management and intrinsic behavior management respectively. Thir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juvenile taekwondo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exercise adherence, task goal orientation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tendency, possibility and enhancement, wherea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for nothing in exercise adherence. Fourth, in respect of the influence of juvenile taekwondo players' self-management on exercise adherence, this study found that mental strength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intrinsic behavior manage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ssibility, and mental strength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affect enhancement.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멘탈력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연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멘탈력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교육 현장에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 전공 대학생 100명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212명을 대상으로 최종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ver. 21.0)와 AMOS(ver. 21.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 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멘탈력, 몰입의 일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멘탈력, 몰입에서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멘탈력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용 전공 대학생의 멘탈력이 몰입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멘탈력과 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더불어 멘탈력도 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최상의 수행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mental toughness and flow,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to the dance education field and proposes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performance. In this study,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0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 and the final data of 212 college students a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ver. 21.0) and AMOS(ver.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partial differences occurred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ntal toughness and flow,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ntal toughness and flow of students. Thir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mental toughness.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Lastly, mental toughness of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flow. Results prove that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ntal toughness and flow, and mental toughness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lo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effective measures for the best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농구동호인들의 성취목표성향, 동기분위기와 운동몰입의 관계

        민경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농구동호인들의 성취목표성향, 동기분위기와 운동몰입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활체육 농구인들의 보다 수준 높은 동호회 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생활체육 농구종목을 좀 더 활성화 시키는 방안으로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만19세 이상 충청권 지역팀의 소속되어 있는 생활체육 남자 농구 동호인을 대상으로 총 182명을 편의표본추출을 통해서 모집하였으며, 이중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는 155명이다.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독립 표본 t-test와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취목표성향과 운동몰입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목표성향의 하위 요인인 과제목표성향이 강한 참가자와 자아목표성향이 강한 참가자 모두 몰입경험을 깊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참가자들 대부분이 과제지향적목표와 자아지향적목표가 높은 것은 몰입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지각 된 동기분위기는 성취목표성향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줬다. 동기분위기의 두 가지의 하위 요인 중 개인적 기량 향상과 성취를 강조하는 과제지향적인 동기분위기일수록 몰입경험을 더 높게 하고, 타인과 비교하거나 승부를 강조하는 자아지향적인 동기분위기는 몰입경험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기량 향상의 동기분위기의 두 하위 요인인 지각된 과제지향적 동기분위기와 성취경험을 강조하는 자아지향적분위기는 몰입 경험 정도를 높여 주었다. 또한 자아목표성향이 몰입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과 비교해 우월성을 추구하거나 승부에서 이기는 성취동기(자아지향적)가 몰입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지도자, 팀원 등이 과제지향적 동기분위기를 강조한다면 수행자로 하여금 그 영향이 더 커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종합하면 생활체육 농구 동호회원들의 성취목표성향과 동기적분위기는 직접적으로 운동몰입의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basketball players' goal orientation, motivational climate, and flow, and to provide basic data as an opportunity for sports basketball players to perform higher level club activities and to promote more life sports and basketball fields. A total of 182 people were recruited through sample collection for men's basketball lovers who are members of the Chungcheong regional team over the age of 19, and 155 of them were finally used in the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over flow. It was found that task orientation, a sub-factor of goal orientation, is deepening the flow of both strong and strong participants, and the high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of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could be seen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flow experience. Second, the motivational climate showed a different result than goal orientation. Of the two sub-factors of the motivational climate, the task climate that emphasizes personal skill improvement and achievement showed that the flow is higher, and the ego climate that emphasizes comparison or competition with other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low. Finally, the two sub-factors of the individual skills improvement motivational climate, task climate and ego climate, which emphasize achievement experience, have increased the degree of flow. In addition, the effect of ego goal orientation on flow was shown to be on the rise, and the ego climate, which sought superiority or won the match compared to o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flow. However, if leaders and team members emphasize task claim, this means that the effect on the conductor will be greater. Therefore, the goal orientation and motivational climate of the members of the life sports, basketball, and club directly affected the flow.

      • 고교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왕성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difference of goal entation and career decision type on High school athletes, also was to analyze what kind of effect had. With regard to data collection in Seoul, Gyeonggi-do, In-chen and Chungcheongnam-do a survey was established as universe involving among High school athletes who registered in the Korea Amateur Athletic Associa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350 high school athletes. After 32 samples considered to be answered in appropriately were excluded, a total of 318 sampl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samples SPSSWIN version 12.0,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high school athlete, differ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that male athlete was shown self-orien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igher than female athlete in gender, but there were not shown different with scholastic year, exercise experience, winning a prize record, and exercise type. Second,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high school athlete, difference of settle their route type was that male was higher than female in instinctual decision, anaclisis decision of the settle route type, and in scholastic year, the settle route type of anaclisis decision was shown to b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group, and all settle route type were shown to b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in winning a prize. Also the settle route type of rational decision was shown to b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in exercise type, but there was not different in exercise experience. Third, achievement good orientation of self-oriented and task-oriented of high school athletes had an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rational intention decision type. Forth, achievement good orientation of self-oriented and task-oriented of high school athletes had an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instinctual intention decision type. Fifth, self-orien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high school athletes had an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all anaclisis intention decision type, but there had not positive influence task-orien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astly,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high school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be difficul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ender as well as the gender, the grade, the winning a prize, the exercise type of the settle route decision typ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had positive influence partially in the settle-rout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had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all the settle route decision type of the rational, the instinctive, the anaclisis and intention decision type. Accordingl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needed to enhance mainly in the settle their route of high school athletes. 이 연구는 고교운동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진로결정유형의 차이를 규명하고, 성취목표성향이 진로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2007년도 현재 서울, 경기, 인천 그리고 충남지역의 고등학교 운동선수 중 대한체육회에 선수 등록된 고등학생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운동선수 3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 32부를 제외한 총 318부의 자료를 SPSSWIN 12.0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는 성별에서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자아 지향적 성취목표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운동경력, 입상경험 그리고 운동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의 차이는 직관적 결정과 의존적 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유형에서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서는 의존적 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유형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입상경험에서는 모든 진로결정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운동유형에서는 합리적 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아지향과 과제지향의 성취목표성향은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을 설명하는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아 지향과 과제 지향의 성취목표성향은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을 설명하는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아 지향적 성취목표성향은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을 설명하는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 지향적 성취목표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은 성별에 따라서, 진로결정유형에는 성별, 학년, 입상경력, 운동유형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관여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고, 진로결정유형에 성취목표성향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성취목표성향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진로결정유형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진로에 있어 성취목표성향을 높이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엘리트 볼링선수의 2×2성취목표 성향이 인지된 경기력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이미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엘리트 볼링선수의 2×2성취목표 성향이 인지된 경기력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문헌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엘리트 볼링선수 중 고등학생,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6년 대구에서 열린‘ 제 30회 대한볼링협회장 배 학생볼링대회’에 참가한 선수 352명을 비확인표본추출방법(nonprobablity sampling) 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였다. 그 중 345부를 회수하였으며, 설문을 완성하지 않았거나 응답을 불성실하게 임해 자료로서 가치가 없는 23부를 제외하고 최종 322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 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인 SPSS Version 21.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사용된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요인분석·신뢰도 분석·t- 검정·일원 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엘리트 볼링선수의 2×2성취목표성향이 인지된 경기력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2×2성취목표 성향, 인지된 경기력, 운동지속의 차이에서는 성별, 연령, 선수경력, 훈련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2×2성취목표 성향의 숙달접근, 수행회피에서 인지된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취목표성향의 숙달접근, 수행회피에서 인지된 경기력의 인지기술 및 운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선수경력에 대한 차이에서는 2×2성취목표 성향의 숙달회피와 인지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훈련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2×2성취목표성향의 수행접근에서 운동지속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엘리트 볼링선수의 2×2성취목표성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2성취목표 성향의 수행접근과 수행회피가 인지된 경기력의 기술 및 운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자신감에는 수행접근, 수행회피 성취목표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엘리트 볼링선수의 2×2성취목표성향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숙달회피성취목표성향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엘리트 볼링선수의 인지된 경기력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지된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인이 운동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자대학2부 리그 농구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과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강승묵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에서는 농구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일반적 특성(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 둘째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셋째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6년 현재 한국대학농구연맹 남자대학 2부 리그에 등록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이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자료처리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변인들(성취목표성향,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간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의 통계처리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는 과제목표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6~9년의 선수생활을 한 집단이 3~5년의 선수생활을 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났다. 자아목표성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과제목표성향이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목표성향은 인지몰입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목표성향과 과제목표성향이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목표성향, 과제목표성향이 능력입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목표성향은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목표성향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목표성향은 코치지도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제목표성향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목표성향은 신체적, 정신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목표성향은 신체적, 정신적 준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지도자들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도전적 과제를 제공하고 내적동기를 높여,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와 몰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 신체적, 정신적 준비를 철저히 하여, 도전적이고 지속적인 과제목표성향적인 목표성향을 지도해 주고, 선수들이 능력을 입증할 수 있도록 자아목표성향적인 합리적 목표를 설정해주어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